KR102156674B1 -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및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및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674B1
KR102156674B1 KR1020190001757A KR20190001757A KR102156674B1 KR 102156674 B1 KR102156674 B1 KR 102156674B1 KR 1020190001757 A KR1020190001757 A KR 1020190001757A KR 20190001757 A KR20190001757 A KR 20190001757A KR 102156674 B1 KR102156674 B1 KR 102156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id nanoparticles
solid lipid
skin
lecith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529A (ko
Inventor
박천웅
김동욱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1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6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23Organic compounds, e.g. fats, sug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661,3-Diazol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phenyto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rapa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4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amines, polyanhyd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및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형지질나노입자는 아토피 치료용 약물을 포집시켰을 때 그 크기가 균일하고 안정적이며, 용출속도가 빠르고, 높은 효율로 피부를 투과하며 피부의 각질층뿐 아니라 하부까지 고르게 전달되어, 난용성의 아토피 치료용 약물의 전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및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SOLID LIPID NANOPARTICLES FOR SKIN PERMEATION AND COMPOSITION FOR DRUG DELIV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및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현대인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의학적으로 원인이 불분명한 만성 피부질환으로, 유전적 요인과 면역계 결핍과 관련되어 있다고 추정할 뿐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은 환경 및 식생활 개선을 통해 다소 완화되는 것으로 기대될 뿐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전무한 실정이다.
개인차를 보이긴 하지만, 아토피 피부염은 일반적으로 극심한 가려움증을 비롯한 피부건조증, 발진, 진물 등을 수반하며, 이로인한 정서적 불안, 스트레스, 긴장 등의 감정과 기타 알레르기성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현재까지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 약물로는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비스테로이드제를 비롯한 기타 진정제와 신경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06896호는 아토피성 피부염 특이 인자인 TARC(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의 발현을 억제하는 타몰 및 미르센 화합물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현재 아토피 피부염은 3단계의 과정을 통해 치료하는데, 1차적으로는 비약물요법으로서 건조한 피부를 보습해주는 바세린, 베이비파우더 등이 사용된다. 2차로는 국소 외용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여 1차의 비약물 요법과 병행하는데, 중증도 이상의 심한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국소용 면역억제제인 타크로리무스, 피메크로리무스 등의 약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타크로리무스 및 피메크로리무스 등을 포함하는 연고제는 3가지 제품만이 시판되고 있다. 이는 활성성분의 물리화학적 난해한 특성 때문으로 생각되는데, 일례로, 타크로리무스는 분자량이 882.95 g/mol로 상당히 크고 난용성 물질이고 용해도가 0.012 ㎎/㎖ 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타크로리무스는 log P 값이 3.96±0.83으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와 같이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의 난용성 특징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0689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난용성 약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및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시틴;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및 스테아르산 및 코코글리세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토피 치료용 약물이 포집된, 상기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아토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토피 치료용 약물이 포집된, 상기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테아르산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용해액을 수득하는 단계; 레시틴 및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유기용매에 균질화시켜 균질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용해액 및 균질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수득하는 단계;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용해된 용매에 상기 수득된 혼합액을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지질나노입자는 아토피 치료용 약물을 포집시켰을 때 그 크기가 균일하고 안정적이며, 용출속도가 빠르고, 높은 효율로 피부를 투과하며 피부의 각질층뿐 아니라 하부까지 고르게 전달되어, 난용성의 아토피 치료용 약물의 전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크기를 확인한 결과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용출속도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피부 투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피부 분포를 확인한 결과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레시틴;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및 스테아르산 및 코코글리세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레시틴(lecithin)"은 글리세린 인산을 포함하는 인지질의 하나로서, 가수분해되면 콜린, 인산, 글리세롤 및 지방산 등을 생성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레시틴은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 2 내지 30 중량%, 3 내지 30 중량%, 4 내지 30 중량%, 1 내지 27 중량%, 2 내지 27 중량%, 3 내지 27 중량%, 4 내지 27 중량%, 1 내지 22 중량%, 2 내지 22 중량%, 3 내지 22 중량%, 4 내지 22 중량%, 1 내지 15 중량%, 2 내지 15 중량%, 3 내지 15 중량%, 4 내지 15 중량%, 1 내지 12 중량%, 2 내지 12 중량%, 3 내지 12 중량% 또는 4 내지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비이온 계면 활성제"는 이온으로 분리되지 않는 계면 활성제로서, 계면 활성제는 하나의 분자 안에 친수성과 소수성 부분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친수성 부분에 따라서 양이온, 음이온, 중성 또는 주피터 이온형(zwitter ionic) 계면 활성제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이온 계면 활성제는 폴록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헥사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 hexadecyl ether),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소르비탄 에스터(sorbitan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캐스터 오일 유도체(polyoxyethylene castor oil derivative), 폴리에틸렌 알킬 에테르(polyethylene alkyl ether) 및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tearat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고형지질나노입자"는 형태적인 측면에서 나노미터(㎚) 단위의 크기를 갖고, 리포좀이나 에멀젼 제형과는 달리 고형매트릭스 형태로 존재하는 입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지질나노입자는 난수용성 물질을 포집하여 상기 난수용성 물질의 생체 내, 특히 피부 내로의 전달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방법을 적절히 변형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는 직경이 50 내지 500 ㎚, 60 내지 500 ㎚, 70 내지 500 ㎚, 80 내지 500 ㎚, 50 내지 450 ㎚, 60 내지 450 ㎚, 70 내지 450 ㎚, 80 내지 450 ㎚, 50 내지 400 ㎚, 60 내지 400 ㎚, 70 내지 400 ㎚, 80 내지 400 ㎚, 50 내지 350 ㎚, 60 내지 350 ㎚, 70 내지 350 ㎚, 80 내지 350 ㎚, 50 내지 300 ㎚, 60 내지 300 ㎚, 70 내지 300 ㎚, 80 내지 300 ㎚, 50 내지 250 ㎚, 60 내지 250 ㎚, 70 내지 250 ㎚, 80 내지 250 ㎚, 50 내지 200 ㎚, 60 내지 200 ㎚, 70 내지 200 ㎚, 80 내지 200 ㎚, 50 내지 150 ㎚, 60 내지 150 ㎚, 70 내지 150 ㎚, 80 내지 150 ㎚, 50 내지 100 ㎚, 60 내지 100 ㎚, 70 내지 100 ㎚ 또는 80 내지 100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체를 제공한다.
상기 약물전달체에 포함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는 레시틴;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및 스테아르산 및 코코글리세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전달체는 생리활성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생리활성물질'은 생체 기능을 증진시키거나 억제시키는 물질로서, 인체의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이 결핍되거나 과도하게 분비되어 비정상적인 병태를 보일 때 이의 균형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토피 치료용 약물이 포집된, 상기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아토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는 레시틴;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및 스테아르산 및 코코글리세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토피 치료용 약물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어떠한 물질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타크로리무스, 덱스판테롤 및 알란토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토피 치료용 약물은 타크로리무스일 수 있다. 상기 아토피 치료용 약물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 중량%, 0.05 내지 1 중량%, 0.08 내지 1 중량%, 0.01 내지 0.7 중량%, 0.05 내지 0.7 중량%, 0.08 내지 0.7 중량%, 0.01 내지 0.5 중량%, 0.05 내지 0.5 중량%, 0.08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포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생물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에 전달하는데 적합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로서,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제제 또는 비경구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여기에는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과 같은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등의 주사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될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 주사, 직장내 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중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된다. 이는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병용 투여시, 투여는 순차적 또는 동시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0.001 ~ 10,000 mg/㎏, 구체적으로는 0.1 g ~ 5 g/kg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1회일 수 있고, 수회로 나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토피 치료용 약물이 포집된, 상기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는 레시틴;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및 스테아르산 및 코코글리세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토피 치료용 약물은 타크로리무스, 덱스판테롤 및 알란토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용 약물이 포집된,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크림,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용매, 용매화제, 유탁화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가칸트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설페이드, 알칼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 성분 이외에도, 보조제로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보습제, 안료, 향료,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계면활성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테아르산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용해액을 수득하는 단계; 레시틴 및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유기용매에 균질화시켜 균질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용해액 및 균질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수득하는 단계;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용해된 용매에 상기 수득된 혼합액을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스테아르산, 레시틴,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및 유기용매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조방법에서 균질화시키거나 혼합하는 과정은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이는 적절한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 활성제는 폴록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헥사데실 에테르,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캐스터 오일 유도체, 폴리에틸렌 알킬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는 염화메틸렌, 에틸알코올, 디클로로메탄, 메틸알코올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수득된 고형지질나노입자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1
먼저, 0.102 g의 타크로리무스 수화물(0.1 g의 타크로리무스) 및 0.4 g의 스테아르산을 25 ㎖의 염화메틸렌이 포함된 비커에 넣고, 35℃로 가온하여 교반시킴으로써 5분 동안 완전히 용해시켰다. 한편, 0.05 g의 레시틴 및 1 g의 Brij 93을 50 ㎖의 에틸알코올이 포함된 비커에 넣고, 50℃로 가온하여 고압균질기를 이용해 5,000 rpm으로 10분 동안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상기 용해된 타크로리무스 수화물을 포함하는 용액과 상기 분산된 레시틴을 포함하는 균질액을 전량 혼합하고 50℃의 온도하에서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5,000 rpm으로 10분 동안 균일하게 하여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1 g의 플록사머 188을 100 ㎖의 증류수가 포함된 비커에 넣고, 70℃로 가온하며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7,000 rpm으로 15분 동안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균일하게 혼합된 플록사머를 포함하는 용액을 70℃로 유지하면서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빠르게 첨가하였다. 이후, 동일한 온도하에서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15,000 rpm으로 20분 동안 강하게 혼합시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멀젼을 0℃로 냉각시키면서 초음파분쇄기(sonicator)를 이용하여 충분히 혼합시켰다. 그 결과, 활성성분으로서 타크로리무스를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2
0.05 g의 레시틴 대신 0.15 g의 레시틴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활성성분으로서 타크로리무스를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3
0.05 g의 레시틴 대신 0.3 g의 레시틴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활성성분으로서 타크로리무스를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4
0.05 g의 레시틴 대신 0.6 g의 레시틴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활성성분으로서 타크로리무스를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5
0.05 g의 레시틴 대신 0.75 g의 레시틴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활성성분으로서 타크로리무스를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6
0.4 g의 스테아르산 대신 0.4 g의 코코글리세라이드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활성성분으로서 타크로리무스를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7
1 g의 폴록사머 188 대신 1 g의 Brij 58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활성성분으로서 타크로리무스를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8
0.102 g의 타크로리무스 수화물 대신 0.1 g의 덱스판테놀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활성성분으로서 덱스판테놀을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9
0.1 g의 덱스판테놀 대신 0.2 g의 덱스판테놀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활성성분으로서 덱스판테놀을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10
0.1 g의 덱스판테놀 대신 0.4 g의 덱스판테놀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활성성분으로서 덱스판테놀을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11
0.102 g의 타크로리무스 수화물 대신 0.1 g의 알란토일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알란토일을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12
0.1 g의 알란토일 대신 0.2 g의 알란토일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알란토일을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13
0.1 g의 알란토일 대신 0.4 g의 알란토일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알란토일을 포함하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레시틴 함량에 다른 입자크기의 비교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에 사용된 레시틴의 함량에 따라 나노입자의 크기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1.5 ㎖의 큐벳에 1 ㎖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를 각각 넣고, 제타사이져 분석기를 사용하여 입자크기 및 입자크기의 분산도를 측정하는 다분산지수 값을 얻어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레시틴의 중량비(중랑%) 평균 입자크기(㎚) 다분산지수
실시예 1 2 409.9 0.510
실시예 2 5 265.7 0.399
실시예 3 10 150.3 0.233
실시예 4 20 147.7 0.275
실시예 5 25 149.5 0.299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형지질나노입자에 첨가되는 레시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크기는 작아졌다. 그러나, 레시틴이 10 중량% 이상으로 첨가되면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크기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5 또는 10 중량%의 레시틴이 포함되어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크기가 가장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입자크기 비교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에 사용된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나노입자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실험은, 실시예 6 및 7에서 제조한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계면활성제 평균 입자크기(㎚) 다분산지수
실시예 6 폴록사머 188 89.6±21.5 0.279
실시예 7 Brij 58 94.1±22.6 0.327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계면 활성제로서 폴록사머 188 또는 Brij 58을 사용한 경우 모두 100 ㎚ 이하의 작은 입자가 만들어졌으며, 이와 같은 크기의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활성성분의 함량에 따른 입자크기 비교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에 포함된 활성성분의 함량에 따른 나노입자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실험은 실시예 8 내지 13에서 제조한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실험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활성성분(g) 평균 입자크기(㎚) 다분산지수
덱스판테놀 알란토인
실시예 8 0.1 - 114 0.333
실시예 9 0.2 - 274 0.317
실시예 10 0.4 - 384 0.322
실시예 11 - 0.1 266 0.209
실시예 12 - 0.2 275 0.194
실시예 13 - 0.4 355 0.246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활성성분인 덱스판테놀 또는 알란토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크기가 커졌다.
실험예 4. 봉입율 확인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 내에 포함된 활성성분의 봉입률을 HPLC 분석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미콘(Amicon) 사의 필터튜브(포어 크기 약 10 kDa)에 500 ㎕의 실시예 6 내지 13에서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를 각각 넣었다. 이후, 상기 필터튜브를 4℃ 및 17,000 rpm의 조건하에서 5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나노입자 내부에 포집되지 않은 활성성분을 제거하였다. 활성성분이 제거된 고형지질나노입자를 HPLC에 주입한 뒤 하기 표 4에 나타난 조건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동상 아세토나트릴 및 물을 70:30의 부피비로 혼합
컬럼 C18 150×4.6 ㎜
컬럼 온도 50℃
검출기 UV(210 ㎚)
유지시간 8분
유속 1.1 ㎖/분
주입량 20 ㎕
활성성분 봉입율(%) 표준편차
실시예 6 0.102 g 타크로리무스 수화물
(0.1 g 타크로리무스, 0.1 중량%)
88.9 0.7
실시예 7 0.102 g 타크로리무스 수화물
(0.1 g 타크로리무스, 0.1 중량%)
88.5 0.2
실시예 8 0.1 g 덱스판테놀(0.1 중량%) 35.5 0.4
실시예 9 0.2 g 덱스판테놀(0.2 중량%) 43.2 0.4
실시예 10 0.4 g 덱스판테놀(0.4 중량%) 37.2 2.7
실시예 11 0.1 g 알란토인(0.1 중량%) 62.7 0.8
실시예 12 0.2 g 알란토인(0.2 중량%) 37.1 2.6
실시예 13 0.4 g 알란토인(0.4 중량%) 34.5 4.0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활성성분으로서 타크로리무스 수화물이 포집된 고형지질나노입자가 봉입률이 우수하였다. 한편, 덱스판테놀 및 알란토일은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제조시에 첨가된 양이 증가할수록 봉입율의 편차가 증가하였다.
실험예 5.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형태 분석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형태를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6 및 7에서 제조한 고형지질나노입자를 구리 그리드 위에 올린 뒤, 이를 2% 포스포텅스텐산(phosphotungustic acid) 용액에 넣어 나노입자를 염색하였다. 염색 후, 고형지질나노입자를 2초 동안 증류수에 넣어 세척하고, 이를 건조시켜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6 및 7에서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는 작고 균일한 크기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용출 시험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용출시험을 프란츠 디퓨젼 셀(Franz diffusion cell)을 사용하여 하기 표 6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그 후, 용출속도를 실험예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건 및 방법으로 HPLC를 수행하여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서 0.1%(w/w)의 프로토픽 연고(아스텔라스 제약)를 사용하였다.
막(membrane) 인공막(입자 크기: 12,000 내지 14,000 kDa)
온도 수조: 37℃, 프란츠 셀 박스: 32℃
실험량 500 ㎕의 고형지질나노입자, 500 ㎎의 프로토픽 연고
간격 0, 1, 2, 4, 6, 8, 12, 24 시간
용량 200 ㎕의 추출된 수용체 페이즈 전량 주입
수용체 페이즈(receptor phase) 생리식염수:에틸알코올=70:30(v/v)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6 및 7의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용출속도가 대조군인 프로토픽 연고보다 우수하였다.
실험예 7.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피부 투과 시험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피부투과 시험을 프란츠 디퓨젼 셀을 사용하여 하기 표 7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그 후, 피부 투과 정도를 실험예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건 및 방법으로 HPLC를 수행하여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서 0.1%(w/w)의 프로토픽 연고(아스텔라스 제약)를 사용하였다.
막(membrane) 랫트 8주령 등피부(SD rat skin)
온도 수조: 37℃, 프란츠 셀 박스: 32℃
간격 24시간 도포 후 피부분석
수용체 페이즈(receptor phase) 생리식염수:에틸알코올=70:30(v/v)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6 및 7의 고형지질나노입자가 대조군에 비해 더 깊은 피부층까지 투과하였고, 특히 실시예 6의 고형지질나노입자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피부 분포 확인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피부 분포를 FT-IR 이미징(FT-IR imaging)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실험예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6 및 7의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피부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150 ㎛의 두께로 피부를 잘라 절편을 얻었다. 피부 절편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올려놓고, FT-IR 이미징을 이용해 약물의 분포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서 0.1%(w/w)의 프로토픽 연고(아스텔라스 제약)를 사용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6 및 7의 고형지질나노입자와 프로토픽 연고가 모두 각질층에 가장 많이 잔류하였는데, 이로부터 활성성분인 타크로리무스 약물 자체의 특성이 고형지질나노입자 내에서 크게 변하지 않고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대조군에 비해 실시예 6 및 7의 고형지질나노입자가 각질층을 지나 더 깊은 피부층까지 약물을 전달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6의 고형지질나노입자는 상대적으로 깊은 피부층까지 약물을 전달하였다.

Claims (11)

  1. 타크로리무스 및 코코글리세라이드;
    고형지질나노입자 총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12 중량%의 레시틴 및 폴리옥시에틸렌(2) 올레일 에테르; 및
    폴록사머188 또는 폴리옥시에틸렌(20) 세틸 에테르를 포함하고,
    80 내지 100 ㎚의 직경을 갖는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은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 내지 11 중량%로 포함되는, 아토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타크로리무스 및 코코글리세라이드;
    고형지질나노입자 총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12 중량%의 레시틴 및 폴리옥시에틸렌(2) 올레일 에테르; 및
    폴록사머188 또는 폴리옥시에틸렌(20) 세틸 에테르를 포함하고,
    80 내지 100 ㎚의 직경을 갖는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타크로리무스 및 코코글리세라이드를 염화메틸렌에 용해시켜 용해액을 수득하는 단계;
    고형지질나노입자 총 중량에 대하여 4 내지 12 중량%의 레시틴 및 폴리옥시에틸렌(2) 올레일 에테르를 에틸알코올에 균질화시켜 균질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용해액 및 균질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수득하는 단계;
    폴록사머188 또는 폴리옥시에틸렌(20) 세틸 에테르가 용해된 용매에 상기 수득된 혼합액을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80 내지 100 ㎚의 직경을 갖는 고형지질나노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제조방법.
  10. 제9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11. 삭제
KR1020190001757A 2019-01-07 2019-01-07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및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 KR102156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757A KR102156674B1 (ko) 2019-01-07 2019-01-07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및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757A KR102156674B1 (ko) 2019-01-07 2019-01-07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및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529A KR20200085529A (ko) 2020-07-15
KR102156674B1 true KR102156674B1 (ko) 2020-09-16

Family

ID=7160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757A KR102156674B1 (ko) 2019-01-07 2019-01-07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및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6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616B1 (ko) * 2016-05-27 2017-09-13 한국식품연구원 α-토코페롤이 포집된 나노 지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70512B1 (ko) * 2016-06-24 2018-06-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 지질 나노입자로 안정화한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896B1 (ko) 2017-11-14 2018-10-11 (주)에스디생명공학 티몰 및 미르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616B1 (ko) * 2016-05-27 2017-09-13 한국식품연구원 α-토코페롤이 포집된 나노 지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70512B1 (ko) * 2016-06-24 2018-06-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 지질 나노입자로 안정화한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 Wang et al. AFRICAN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2012) Vol.6, pp.904-9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529A (ko)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582B1 (ko) 중합 피나스테리드 및 미녹시딜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 공정, 이를 포함한 수성 현탁액, 약학적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의 용도
EP1513492B1 (de) Mikro-emulsionen mit binärer phasen- und wirkstoffdifferenzierbarkeit,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insbesondere zur topischen sauerstoffversorgung
EP2252267B1 (de) Lyophilisierte nanoemulsion
KR20150046332A (ko) 중합 피나스테리드 나노입자, 이를 포함한 수성 조성물, 탈모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공정 및 이 조성물의 용도
Guan et al. Propranolol hydrochloride-loaded liposomal gel for transdermal delivery: Characterization and in vivo evaluation
Date et al. Microemulsions: applications in transdermal and dermal delivery
Shilakari et al. Novel vesicular carriers for topical drug delivery and their application’s
Cao et al. A combination of a microemulsion and a phospholipid complex for topical delivery of oxymatrine
WO2020116892A2 (ko) 생리활성물질 봉입을 위한 나노지질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Michel et al. Effect of liposomes on percutaneous penetration of lipophilic materials
US20150283080A1 (en) Stabilized dermatological delivery system for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s for topical administration to the skin
Manconi et al. Eco-scalable baicalin loaded vesicles developed by combining phospholipid with ethanol, glycerol, and propylene glycol to enhance skin permeation and protection
EP2079527B1 (de) Verwendung von Deuteriumdioxid zur Behandlung von nicht-malignen hyperproliferativen Erkrankungen der Haut
Ho et al. Development of itraconazole-loaded polymeric nanoparticle dermal gel for enhanced antifungal efficacy
SK7082000A3 (en) Composition with azelaic acid
KR101732844B1 (ko) 국소 피부 전달용 항염증 지질 나노 전달체를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70064492A (ko) 온도 및 pH 민감성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59075A (ko) 피부모사 리포좀 및 보습효능을 포함하는 이의 용도
KR102156674B1 (ko) 피부투과성 고형지질나노입자 및 상기 고형지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용 조성물
KR20200070091A (ko) 생리활성물질 봉입을 위한 나노지질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028262A (zh) 一种壬二酸类离子盐/共晶环糊精包合物脂质体的制备方法与应用
WO2022168124A1 (en) Berberis extract nano-formulation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KR101512190B1 (ko) 경피 전달용 아미덤 조성물
KR102667301B1 (ko) 병풀 정량 추출물의 나노 현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30323A (ko) 사이클로스포린의 안구필름 제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