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193B1 -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193B1
KR102156193B1 KR1020130111438A KR20130111438A KR102156193B1 KR 102156193 B1 KR102156193 B1 KR 102156193B1 KR 1020130111438 A KR1020130111438 A KR 1020130111438A KR 20130111438 A KR20130111438 A KR 20130111438A KR 102156193 B1 KR102156193 B1 KR 102156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y data
copy
input
dat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2393A (ko
Inventor
권성영
이호련
Original Assignee
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1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는 복사된 하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활성화 이벤트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복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복사 데이터를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포함하며, 제1 복사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여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활성화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 영역에서 수신된 입력 영역의 상태값과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복사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EDITING OF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문자 입력 및 편집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의 복사 및 붙여 넣기 기능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모바일 단말은 기본적인 음성호 서비스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의 성능 향상과 이동통신망의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에 힘입어,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인터넷 접속과 다양한 SNS 및 메신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에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이 가능해 지면서, 일정관리 및 메모장 등의 간단한 기록뿐만 아니라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게 되었다.
모바일 단말은 키패드(Keypad)와 같은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Input Method Editor, IME)를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IME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편집할 때, 동일하게 반복되는 문구, 숫자 및 기호를 반복하여 입력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복사 및 붙여 넣기 기능을 사용한다. 하지만, 모바일 단말은 일반 PC와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문구를 정확하게 복사하여 붙여넣기를 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과거에 복사한 적이 있는 문구를 다시 붙여넣기 위해서는 해당 문구를 또 다시 복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는 복사 및 붙여 넣기 기능은 하나의 대상만을 복사하여 붙여 넣는다. 즉, 새로운 대상을 복사하게 되면, 이전에 복사했던 대상은 새로운 대상으로 덮어 씌어지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복사하여 붙여 넣고 싶어하는 대상은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일 수 있다. 이처럼 복사하여 붙여 넣고 싶어하는 대상이 여러 개인 경우, 사용자는 한번에 하나의 대상만을 복사하여 붙여 넣기를 실시한 후, 다른 대상에 대해 복사/붙여 넣기를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대상을 복사한 후, 복사한 내용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붙여 넣기를 실시해야만 확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새로운 대상을 복사하더라도 이전에 복사했던 대상이 새로운 대상으로 덮어 쓰이지 않고 유지하면서 동시에 둘 이상의 대상을 복사하여 붙여 넣기가 가능한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는 복사된 하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및 활성화 이벤트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복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복사 데이터를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포함하며, 제1 복사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여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활성화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 영역에서 수신된 입력 영역의 상태값과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복사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사 제어부는 입력 영역의 상태값과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여 각각의 형식을 구분할 수 있다. 저장된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는 전화번호 형태 또는 이메일 주소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복사 제어부는 수신된 입력 영역의 상태값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 중에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복사 데이터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제1 복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생성해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복사 제어부는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포함된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 및 수신된 입력 영역의 상태값을 고려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사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는 각각의 복사 데이터의 붙여 넣기 횟수, 최근 갱신 날짜, 즐겨 찾기 여부, 복사된 대상의 형태, 동일 복사 데이터의 반복 저장 횟수 및 복사 데이터 사용 빈도수 중에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복사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복사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복사 데이터를 제1 영역의 입력 인터페이스에 붙여 넣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를 갱신하여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저장한다.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제2 복사 데이터는 복사 데이터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복사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붙여 넣기 하기 위한 복사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복사 목록 영역을 포함한다. 복사 목록 영역은 드래그를 통해 복사 데이터 목록 중에서 다른 복사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제2 복사 데이터는 구비된 확장 버튼을 통해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제2 복사 데이터에 포함된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복사 데이터가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제2 복사 데이터에 포함된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는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내에 포함되거나, 제2 영역은 제1 영역과 별도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방법은 먼저, 복사된 하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입력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이벤트를 감지되면, 활성화 이벤트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여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된 입력 영역의 상태값과 생성된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사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상기 제2 복사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복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복사 데이터를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한다.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여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여 각각의 형식을 구분한다. 그리고,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사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상기 제2 복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신된 입력 영역의 상태값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 중에서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복사 데이터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을 이용하여 동시에 둘 이상의 대상을 복사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복사 대상을 목록에서 확인하여 필요한 대상을 선택적으로 붙여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 영역의 상태값을 통해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함으로써, 각 상황에 대응하는 복사 데이터가 목록에서 먼저 나타나기 때문에, 보다 빠르게 필요한 복사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빈도수 또는 즐겨 찾기 지정을 통해 자주 사용하는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복사 데이터가 목록에서 먼저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대상을 동시에 복사하는 과정이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만을 이용하여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클립보드나 메모장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복사 데이터 저장 과정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붙여 넣기 과정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기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복사 목록을 드래그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확장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복사 목록 관리 인터페이스의 추가/삭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복사 목록 관리 인터페이스의 목록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방법의 복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방법의 복사 데이터 붙여 넣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에서 이미지를 복사한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에서 이미지를 복사한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확장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에서의 기능 및 효과를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업계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명시된 경우에는 명시된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경우,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일 실시예는 저장부(110), 복사 제어부(120), 인터페이스 처리부(130) 및 화면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화면 표시부(140)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복사한 복사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10)는 모바일 단말의 내부에 구비된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하는 모든 저장공간에 저장이 가능하다. 복사 데이터는 사용자가 동일한 내용을 다른 곳에 붙여 넣기를 하기 위해 선택한 데이터로서, 문자(Text)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SMS나 메신저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 또는 작성한 메시지의 내용중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하여 복사할 수 있으며, 웹 페이지 또는 문서 파일에 기재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복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는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새로운 문자 또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생성된 새로운 복사 데이터는 저장부(110)에 지속적으로 저장되거나, 기 설정된 개수만큼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면, 시간 순서에 따라 가장 먼저 저장된 순서대로 이전 복사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사 데이터는 삭제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복사 데이터는 복사 제어부(1200)에 의해 판별되어, 복사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문자로 형성된 복사 데이터가 특정한 규격이나 양식을 가지는 경우 해당 규격/양식에 기초하여 복사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는 각각의 특정한 양식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 데이터가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인 경우, 해당 양식을 통해 복사 데이터를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특징지어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는 복사 제어부(130)에 의해 분석된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에 의해 복사된 복사 데이터와 관련된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는 복사 데이터에 대한 판별 결과를 포함하며, 각 복사 데이터의 붙여 넣기 횟수, 최근 갱신 날짜, 즐겨 찾기 여부, 복사된 대상의 형태, 동일 복사 데이터의 반복 저장 횟수 및 복사 데이터 사용 빈도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일한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일한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한다면, 해당 복사 데이터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복사 데이터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일한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한다면, 해당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하여 저장한 횟수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자주 사용하는 복사 데이터에 대해 즐겨 찾기를 설정할 수 있다.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는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저장되어 있는 복사 데이터 및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복사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복사 제어부(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복사 데이터 각각의 종류를 판별한다.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사 데이터는 크게 숫자 또는 글자만을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로 구분하거나, 숫자와 문자를 함께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문자로 형성된 복사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그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문자로 형성된 복사 데이터는 일반적인 문구, 문장이나 단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문자로 형성된 복사 데이터가 특정한 규격이나 양식을 가지는 경우 해당 규격/양식에 기초하여 복사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는 각각의 특정한 양식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 데이터가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인 경우, 해당 양식을 통해 복사 데이터를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특징지어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사 제어부(130)는 저장부에 저장된 복사 데이터와 관련된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사용자에 의해 복사된 복사 데이터와 관련된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는 각 복사 데이터의 붙여 넣기 횟수, 최근 갱신 날짜, 즐겨 찾기 여부, 복사된 대상의 형태, 동일 복사 데이터의 반복 저장 횟수 및 복사 데이터 사용 빈도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202 단계에의 복사 데이터 판별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일한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일한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한다면, 해당 복사 데이터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복사 데이터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일한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한다면, 해당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하여 저장한 횟수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자주 사용하는 복사 데이터에 대해 즐겨 찾기를 설정할 수 있다.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는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복사 제어부(120)는 입력 인터페이스 동작이 확인된 후,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로부터 입력 영역 상태값을 수신하고, 저장부(110)로부터 복사 데이터 및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내용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영역에 대응하여 실행되거나, 화면상에 팝업된다. 예를 들어, 메신저 응용프로그램에서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가 실행되거나,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내용을 입력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 입력 영역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으로 메신저의 메시지 입력창이나 웹 페이지의 문자 입력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영역은 해당 응용프로그램이나 웹페이지의 종류나 입력 목적에 따라 특정한 유형이나 형태로 문자의 종류가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에서 전화번호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은 입력 가능한 문자가 숫자 형태로 고정되거나, 전화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의 형태로 한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에 전화번호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숫자를 입력하려 하면, 입력 인터페이스는 우선적으로 숫자 키패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은 이메일 주소의 형태로 입력 가능한 형태가 한정될 수 있다. 입력 영역 상태값은 이와 같이 해당 입력 영역에 대응하여 한정되는 입력 형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입력 영역 상태값은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복사 제어부(120)는 복사 데이터의 판별 결과 및 수신된 입력 영역 상태값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복사 데이터 및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수신한 복사 제어부(120)는 수신된 입력 영역 상태값 및 수신된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번에 하나의 복사 데이터만을 복사하여 붙여 넣기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저장하고,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붙여 넣기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사 데이터가 둘 이상인 경우,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한다.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가 복사되어 저장된 시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나열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복사 데이터가 복사된 시간 순서대로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결정하여, 가장 먼저 복사된 복사 데이터가 목록의 맨 아래 또는 맨 위에 위치하고, 시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복사 데이터가 위치하도록 목록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사 데이터의 카테고리별로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입력 영영 상태값 및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입력 영역 상태값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의 형태를 파악하고,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복사 데이터의 판별 결과를 비교하여 해당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복사 데이터를 우선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역 상태값이 해당 입력 영역이 전화번호라고 한다면,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의 판별 결과를 통해 복사 데이터 중에서 전화번호 형태로 판별된 복사 데이터를 우선 순위로 설정하거나, 숫자 형태로 판별된 복사 데이터를 우선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영역 상태값이 해당 입력 영역이 이메일 주소라고 한다면,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의 판별 결과를 통해 복사 데이터 중에서 이메일 주소 형태로 판별된 복사 데이터를 우선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판별된 복사 데이터를 동일한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카테고리 별로 구분된 복사 데이터 중에서 특정한 카테고리만을 복사 데이터 목록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즐겨 찾기나 해당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에 기초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복사 제어부(120)는 이벤트 감지부(150)에 의해 입력 인터페이스(IME) 동작(활성화)이 확인 또는 감지되면, 각각의 복사 데이터에 대해 우선 순위가 설정된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여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로 전달한다.
복사 제어부(120)는 저장부(110)로부터 수신된 복사 데이터를 상술한 내용과 같이 우선 순위를 설정한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여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로 전달한다. 하지만, 복사 제어부(120)는 수신된 복사 데이터에 대해 항상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목적 또는 설정에 따라 우선 순위를 설정하지 않고, 수신된 복사 데이터를 그대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존의 복사 데이터를 계속 사용하지 않거나, 기존의 복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복사 데이터 목록은 수신된 하나의 복사 데이터만을 표시할 수 있다.
복사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복사 데이터를 선택받으면, 인터페이스 처리부(130)에 선택된 복사 데이터를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 영역에 표시하도록 명령한다. 그리고, 복사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 데이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를 저장부(110)에 전달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된 해당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를 갱신(Update)한다. 사용자가 복사한 복사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선택하여 붙여 넣기를 수행한 복사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각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를 누적할 수 있다. 누적된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는 복사 데이터 목록 순서를 설정할 때, 복사 데이터의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입력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면, 입력 인터페이스 동작 사실을 복사 제어부(120)에 알리고,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의 상태값을 복사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영역에 대응하여 실행되거나, 화면상에 팝업된다. 예를 들어, 메신저 응용프로그램에서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가 실행되거나,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내용을 입력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 입력 영역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으로 메신저의 메시지 입력창이나 웹 페이지의 문자 입력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영역은 해당 응용프로그램이나 웹페이지의 종류나 입력 목적에 따라 특정한 유형이나 형태로 문자의 종류가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에서 전화번호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은 입력 가능한 문자가 숫자 형태로 고정되거나, 전화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의 형태로 한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에 전화번호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숫자를 입력하려 하면, 입력 인터페이스는 우선적으로 숫자 키패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은 이메일 주소의 형태로 입력 가능한 형태가 한정될 수 있다. 입력 영역 상태값은 이와 같이 해당 입력 영역에 대응하여 한정되는 입력 형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입력 영역 상태값은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복사 제어부(120)로부터 순서가 설정된 복사 데이터 목록이 수신되면,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수신된 순서가 설정된 복사 데이터 목록에 기초하여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 영역을 생성한다.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복사 제어부(120)에서 순서가 설정된 복사 데이터 목록을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복사 데이터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복사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로 문자 입력을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가 생성 또는 팝업되면, 입력 인터페이스 내의 소정의 영역에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 영역이 생성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목록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에 있는 복사 데이터만을 우선적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좌우 플리킹(Flicking)을 통해 나머지 복사 데이터 목록을 표시하거나, 소정의 확장 입력에 의해 전체 복사 데이터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생성된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단말의 화면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화면 표시부(140)에 표시된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사하여 붙여 넣기를 하고자하는 복사 데이터를 선택한다. 화면 표시부(140)의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복사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복사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복사 목록을 선택한 사용자 입력이 복사 제어부(120)에 전달된다. 그리고, 복사 제어부(120)로부터 선택된 복사 데이터 표시 명령을 수신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화면 표시부(140)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문자입력 화면에 선택된 복사 데이터를 표시한다.
화면 표시부(140)는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에 의해 생성된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한다. 화면 표시부(14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벤트 감지부(150)는 모바일 단말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저장부(110)에 활성화 이벤트 감지 사실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는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 인터페이스(입력 편집기)가 활성화됨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사용자에 의해 입력 인터페이스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감지부(150)는 입력 인터페이스 활성화 이벤트를 감지하여, 이를 복사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복사 데이터 저장 과정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에서의 복사 데이터 저장 과정은 먼저, 저장부(110)가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201). 복사 데이터는 사용자가 동일한 내용을 다른 곳에 붙여 넣기를 하기 위해 선택한 데이터로서, 문자(Text)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SMS나 메신저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 또는 작성한 메시지의 내용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하여 복사할 수 있으며, 웹 페이지 또는 문서 파일에 기재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복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는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새로운 문자 또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생성된 새로운 복사 데이터는 저장부(110)에 지속적으로 저장되거나, 기 설정된 개수만큼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면, 시간 순서에 따라 가장 먼저 저장된 순서대로 이전 복사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사 데이터는 삭제될 수 있다.
복사 데이터가 저장부(110)에 저장되면, 복사 제어부(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사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한다(202).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사 데이터는 크게 문자 또는 이미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자로 형성된 복사 데이터는 더욱 세부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문자로 형성된 복사 데이터는 단순하게 숫자 또는 문자만을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로 구분하거나, 숫자와 문자를 함께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문자로 형성된 복사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그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문자로 형성된 복사 데이터는 일반적인 문구, 문장이나 단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문자로 형성된 복사 데이터가 특정한 규격이나 양식을 가지는 경우 해당 규격/양식에 기초하여 복사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는 각각의 특정한 양식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 데이터가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인 경우, 해당 양식을 통해 복사 데이터를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특징지어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사 제어부(130)는 저장부에 저장된 복사 데이터와 관련된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203). 복사 데이터를 판별한 결과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복사 데이터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사용자에 의해 복사된 복사 데이터와 관련된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는 판별 결과뿐만 아니라, 각 복사 데이터의 붙여 넣기 횟수, 최근 갱신 날짜, 즐겨 찾기 여부, 복사된 대상의 형태, 동일 복사 데이터의 반복 저장 횟수 및 복사 데이터 사용 빈도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일한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일한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한다면, 해당 복사 데이터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복사 데이터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일한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한다면, 해당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하여 저장한 횟수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자주 사용하는 복사 데이터에 대해 즐겨 찾기를 설정할 수 있다.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는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붙여 넣기 과정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붙여 넣기 과정은 먼저, 입력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면,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입력 인터페이스 동작 여부를 복사 제어부(130)로 전달한다(204).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일종의 키패드로 스마트폰에서는 IME(Input Method Deitor)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자체적으로 별도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는 모바일 단말에서 입력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면, 복사 데이터를 붙여 넣는 과정을 시작한다.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입력 인터페이스 동작 여부를 복사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의 상태값을 복사 제어부(120)로 전달한다(205).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영역에 대응하여 실행되거나, 화면상에 팝업된다. 예를 들어, 메신저 응용프로그램에서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가 실행되거나,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내용을 입력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 입력 영역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으로 메신저의 메시지 입력창이나 웹 페이지의 문자 입력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영역은 해당 응용프로그램이나 웹페이지의 종류나 입력 목적에 따라 특정한 유형이나 형태로 문자의 종류가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에서 전화번호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은 입력 가능한 문자가 숫자 형태로 고정되거나, 전화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의 형태로 한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에 전화번호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숫자를 입력하려 하면, 입력 인터페이스는 우선적으로 숫자 키패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은 이메일 주소의 형태로 입력 가능한 형태가 한정될 수 있다. 입력 영역 상태값은 이와 같이 해당 입력 영역에 대응하여 한정되는 입력 형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입력 영역 상태값은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동작이 확인되면, 저장부(110)는 복사 데이터 및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복사 제어부(120)로 전달한다(206). 그리고, 복사 데이터 및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수신한 복사 제어부(120)는 수신된 입력 영역 상태값 및 수신된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설정한다(207). 본 발명에서는 한 번에 하나의 복사 데이터만을 복사하여 붙여 넣기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저장하고,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붙여 넣기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사 데이터가 둘 이상인 경우,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한다.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가 복사되어 저장된 시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나열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복사 데이터가 복사된 시간 순서대로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결정하여, 가장 먼저 복사된 복사 데이터가 목록의 맨 아래 또는 맨 위에 위치하고, 시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복사 데이터가 위치하도록 목록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사 데이터의 카테고리별로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사 데이터 목록은 복사 데이터의 복사 순서와 관계없이, 항상 문자로 된 복사 데이터가 먼저 위치하고 숫자로 된 복사 데이터가 뒤에 위치하거나,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가 항상 맨 위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입력 영영 상태값 및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입력 영역 상태값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의 형태를 파악하고,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복사 데이터의 판별 결과를 비교하여 해당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복사 데이터를 우선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역 상태값이 해당 입력 영역이 전화번호라고 한다면,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의 판별 결과를 통해 복사 데이터 중에서 전화번호 형태로 판별된 복사 데이터를 우선 순위로 설정하거나, 숫자 형태로 판별된 복사 데이터를 우선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영역 상태값이 해당 입력 영역이 이메일 주소라고 한다면,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의 판별 결과를 통해 복사 데이터 중에서 이메일 주소 형태로 판별된 복사 데이터를 우선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즐겨 찾기나 해당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에 기초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복사 제어부(120)는 각각의 복사 데이터에 대해 우선 순위가 설정된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여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로 전달한다(208).
복사 제어부(120)로부터 순서가 설정된 복사 데이터 목록을 수신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수신된 순서가 설정된 복사 데이터 목록에 기초하여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 영역을 생성한다(209).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복사 제어부(120)에서 순서가 설정된 복사 데이터 목록을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복사 데이터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복사 데이터를 선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로 문자 입력을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가 생성 또는 팝업되면, 입력 인터페이스 내의 소정의 영역에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 영역이 생성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목록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에 있는 복사 데이터만을 우선적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좌우 플리킹(Flicking)을 통해 나머지 복사 데이터 목록을 표시하거나, 소정의 확장 입력에 의해 전체 복사 데이터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생성된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단말의 화면 표시부(140)에 표시한다(210).
사용자는 화면 표시부(140)에 표시된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사하여 붙여 넣기를 하고자하는 복사 데이터를 선택한다. 화면 표시부(140)의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복사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복사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복사 목록을 선택한 사용자 입력이 복사 제어부(120)에 전달된다(211).
사용자로부터 복사 목록 선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은 복사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 데이터를 입력 인터페이스의 문자입력 화면에 표시하도록 인터페이스 처리부(130)에 명령한다(212). 복사 제어부(120)로부터 선택된 복사 데이터 표시 명령을 수신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화면 표시부(140)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문자입력 화면에 선택된 복사 데이터를 표시한다(213).
그리고, 복사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 데이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를 저장부(110)에 전달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된 해당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를 갱신(Update)한다.(214). 사용자가 복사한 복사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선택하여 붙여 넣기를 수행한 복사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각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를 누적할 수 있다. 누적된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는 207 단계에서 복사 데이터 목록 순서를 설정할 때, 복사 데이터의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고려될 수 있다. 207 단계에서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중에서 사용 빈도수가 더 많은 복사 데이터를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에서 우선 순위에 배치할 수 있다.
복사 데이터 목록을 설정하는 기준과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3a, 도 3b, 도 3c, 도 4a 및 도 4b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기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는 입력 영역(310), 복사 목록 영역(320) 및 키패드 영역(33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영역(310) 및 키패드 영역(330)는 일반적인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하나의 영역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사 목록 영역(320)은 일반적인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력 영역(310) 및 키패드 영역(330)과 동일한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력 영역(310) 및 키패드 영역(330)과는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입력 영역(310)은 사용자가 키패드 영역(330)의 키패드를 통해 편집중인 문자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메신저 프로그램이나 SMS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하는 내용을 입력한다. 종래의 입력 인터페이스는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 영역(330)을 통해 입력 영역(310)의 문자를 편집하고, 입력 영역(310)에 편집된 내용을 표시 영역(10)에 표시하는 방법을 통해 문자를 입력한다. 본 발명의 입력 영역(31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편집하는 영역으로 종래의 입력 영역과 동일하다.
키패드 영역(330)은 다양한 종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한 영역으로 종래에 모바일 단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키패드와 동일하다.
복사 목록 영역(320)은 복사 목록(321), 기능 버튼(322) 및 확장 버튼(323)을 포함한다. 복사 목록 영역(320)은 입력 영역(310)과 키패드 영역(330) 사이에 소정의 넓이를 가지고 위치할 수 있다.
복사 목록(321)은 사용자가 복사한 복사 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하여 보여주는 인터페이스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번에 하나의 복사 데이터만을 화면에 표시한다. 복사 목록(321)은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한번에 하나의 복사 데이터만을 화면에 표시하며,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복사 목록 영역(320)을 드래그 또는 플리킹함으로써, 나머지 복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사 목록 영역(320)을 드래그/프리킹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모두 확인할 수 있으며, 복사 목록(321)에 표시된 복사 데이터를 선택하여 선택된 복사 데이터의 내용을 입력 영역(310)에 복사할 수 있다.
기능 버튼(322)은 복사 목록 영역(320) 내의 소정의 영역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사용자의 의해 설정된 기능(Function)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능 버튼(322)을 잠금 버튼으로 설정하면, 기능 버튼(322)을 통해 잠금을 On/Off하여 복사 목록(321)에 표시된 복사 데이터의 삭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능 버튼(322)을 즐겨 찾기 버튼으로 설정하면, 기능 버튼(322)을 통해 현재 복사 목록(321)에 표시된 복사 데이터에 대해 즐겨 찾기를 설정할 수 있다.
확장 버튼(323)은 복사 목록 영역(320) 내의 소정의 영역에 위치하며, 복사 목록(321)을 확장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확장 복사 목록을 생성한다. 확장 버튼(323)에 의해 생성되는 확장 복사 목록은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입력 인터페이스 상의 새로운 레이어(Layer)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의 복사 목록을 드래그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를 참조하면, 복사 목록 영역(320)의 복사 목록(32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하거나 플리킹하면, 복사 목록(32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새로운 제2 복사 목록(321-1)이 복사 목록 영역(320) 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복사 목록(321)을 드래그하여 제2 복사 목록(321-1)으로 변환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복사 목록(321)을 드래그하여 제2 복사 목록(321-1)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의 복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확장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면, 복사 목록 영역(320)의 확장 버튼(323)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종래의 복사 목록(321)을 확장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확장 복사 목록(321-2)을 생성한다. 확장 버튼(323)에 의해 생성되는 확장 복사 목록(321-2)은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설정된 개수만큼의 복사 데이터를 한번에 표시할 수 있다. 확장 복사 목록(321-2)은 복사 데이터의 개수가 설정된 개수보다 많은 경우, 복사 데이터를 설정된 개수만큼만 화면에 표시하고, 나머지 복사 데이터는 확장 복사 목록(321-2)를 상하로 드래그하여 확인할 수 있다. 확장 복사 목록(321-2)은 복사 목록(321)의 영역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입력 인터페이스 상의 새로운 레이어(Layer)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복사 목록 관리 인터페이스의 추가/삭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복사 목록 관리 인터페이스(401)는 저장된 다수의 복사 데이터 중에서 불필요한 복사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으며, 새로운 복사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복사 목록 관리 인터페이스(401)는 복사 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추가 아이콘(410) 및 복사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아이콘(4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가 아이콘(410)을 선택하여 복사 데이터 추가 인터페이스(402)의 추가 입력창(411)을 불러내 추가하고자 하는 복사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는 도 4와 같이 추가 입력창(411)을 통해서만 복사 데이터를 추가하도록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문서, 웹 페이지 및 메시지 등에서 선택적으로 복사하는 문자나 문장을 복사 데이터로 저장하며, 추가 입력창(411)을 통해 복사 데이터를 추가하는 방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삭제 아이콘(420)이 선택되면, 복사 데이터 목록에 포함된 복사 데이터 각각의 우측 영역에 삭제 선택 영역(421)이 생성되어, 리스트뷰(ListView) 방식의 복사 데이터 삭제 인터페이스(403)가 화면에 표현된다. 사용자는 삭제 선택 영역(421)을 체크하여 불필요한 복사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의 복사 목록 관리 인터페이스의 목록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복사 목록 관리 인터페이스(400)에서 화면 내의 소정의 영역에 위치한 메뉴 버튼(411)을 선택하거나, 모바일 단말에 물리키 형태로 구비된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복사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메뉴(430)가 생성된다. 복사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메뉴(43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수 설정 메뉴(431)를 선택하면,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의 확장 복사 목록에 표시되는 복사 데이터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개수 설정 인터페이스(404)의 개수 설정창(431-1)이 생성된다. 사용자는 개수 설정창(431-1)에 개수 값을 입력하여, 확장 복사 목록에 표시되는 복사 데이터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복사 데이터의 개수 설정에 의해 확장 복사 목록에 표시되는 복사 데이터의 개수가 설정되면, 도 2b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우선 순위에 따라 복사 데이터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사 데이터의 개수를 5로 설정하면, 가장 최근에 복사된 복사 데이터 5개를 표시하거나, 가장 사용 빈도수가 높은 복사 데이터 5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즐겨 찾기 해놓은 복사 데이터 5개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 메뉴(430)를 구성하는 항목 보호 메뉴(432)를 통해 항목 보호를 선택하면, 복사 데이터 각각의 우측 영역에 보호 선택 영역(432-1)이 생성되어, 리스트뷰(ListView) 방식의 항목 보호 인터페이스(405)가 화면에 표현된다. 사용자는 보호 선택 영역(432-1)을 체크하여 삭제를 예방할 수 있는 복사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관리 메뉴(430)를 구성하는 즐겨 찾기 메뉴(433)를 통해 즐겨 찾기 설정을 선택하면, 복사 데이터 각각의 우측 영역에 즐겨 찾기 선택 영역(433-1)이 생성되어, 리스트뷰(ListView) 방식의 항목 보호 인터페이스(406)가 화면에 표현된다. 사용자는 즐겨 찾기 선택 영역(433-1)을 체크하여 다수의 복사 데이터 중에서 즐겨 찾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방법의 복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방법에서 복사 데이터의 복사 방법은 먼저, 사용자로부터 복사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한다(501). 사용자는 SMS나 메신저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 또는 작성한 메시지의 내용중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하여 복사할 수 있으며, 웹 페이지 또는 문서 파일에 기재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복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를 복사하도록 입력하면, 선택한 문자는 복사 데이터로 수신되어 저장된다. 사용자는 한번에 하나의 복사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복사 데이터는 지속적으로 저장되거나, 기 설정된 개수만큼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면, 시간 순서에 따라 가장 먼저 저장된 순서대로 이전 복사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복사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복사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한다(502). 수신된 복사 데이터는 크게 숫자 또는 문자만을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로 구분하거나, 숫자와 문자를 함께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복사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그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문자로 형성된 복사 데이터는 일반적인 문구, 문장이나 단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문자로 형성된 복사 데이터가 특정한 규격이나 양식을 가지는 경우 해당 규격/양식에 기초하여 복사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는 각각의 특정한 양식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 데이터가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인 경우, 해당 양식을 통해 복사 데이터를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특징지어 구분할 수 있다.
수신된 복사 데이터의 종류가 판별되면, 수신된 복사 데이터와 관련된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503). 사용자에 의해 복사된 복사 데이터와 관련된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는 각 복사 데이터의 붙여 넣기 횟수, 최근 갱신 날짜, 즐겨 찾기 여부, 복사된 대상의 형태, 동일 복사 데이터의 반복 저장 횟수 및 복사 데이터 사용 빈도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502 단계에의 복사 데이터 판별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일한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일한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한다면, 해당 복사 데이터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복사 데이터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일한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한다면, 해당 복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복사하여 저장한 횟수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자주 사용하는 복사 데이터에 대해 즐겨 찾기를 설정할 수 있다.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는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는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가 존재할 때,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사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방법의 복사 데이터 붙여 넣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방법의 복사 데이터 붙여 넣기 방법은 먼저, 입력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면, 입력 인터페이스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504).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일종의 키패드로 스마트폰에서는 IME(Input Method Deitor)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자체적으로 별도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영역에 대응하여 실행되거나, 화면상에 팝업된다. 예를 들어, 메신저 응용프로그램에서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가 실행되거나,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내용을 입력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 입력 영역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으로 메신저의 메시지 입력창이나 웹 페이지의 문자 입력 영역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는 모바일 단말에서 입력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면, 복사 데이터를 붙여 넣는 과정을 시작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동작이 확인되면, 저장된 복사 데이터 및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읽어온다(505). 502 단계 및 503 단계에서 복사 데이터를 판별하고, 저장된 복사 데이터 및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읽어온다.
그리고, 동작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의 상태값을 확인한다(506).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 영역은 해당 응용프로그램이나 웹페이지의 종류나 입력 목적에 따라 특정한 유형이나 형태로 문자의 종류가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에서 전화번호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은 입력 가능한 문자가 숫자 형태로 고정되거나, 전화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의 형태로 한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에 전화번호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숫자를 입력하려 하면, 입력 인터페이스는 우선적으로 숫자 키패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은 이메일 주소의 형태로 입력 가능한 형태가 한정될 수 있다. 입력 영역 상태값은 이와 같이 해당 입력 영역에 대응하여 한정되는 입력 형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입력 영역 상태값은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 영역의 상태값이 확인되면, 확인된 입력 영역 상태값 및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설정한다(507). 본 발명에서는 한 번에 하나의 복사 데이터만을 복사하여 붙여 넣기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저장하고,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붙여 넣기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사 데이터가 둘 이상인 경우,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한다.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가 복사되어 저장된 시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나열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복사 데이터가 복사된 시간 순서대로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결정하여, 가장 먼저 복사된 복사 데이터가 목록의 맨 아래 또는 맨 위에 위치하고, 시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복사 데이터가 위치하도록 목록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사 데이터의 카테고리별로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입력 영역 상태값 및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입력 영역 상태값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의 형태를 파악하고,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복사 데이터의 판별 결과를 비교하여 해당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복사 데이터를 우선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역 상태값이 해당 입력 영역이 전화번호라고 한다면,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의 판별 결과를 통해 복사 데이터 중에서 전화번호 형태로 판별된 복사 데이터를 우선 순위로 설정하거나, 숫자 형태로 판별된 복사 데이터를 우선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영역 상태값이 해당 입력 영역이 이메일 주소라고 한다면,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의 판별 결과를 통해 복사 데이터 중에서 이메일 주소 형태로 판별된 복사 데이터를 우선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즐겨 찾기나 해당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에 기초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복사 데이터 목록 순서에 기초하여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508). 입력 영역의 상태값 및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사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가 결정되면, 이를 반영하여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로 문자 입력을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가 생성 또는 팝업되면, 입력 인터페이스 내의 소정의 영역에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 영역이 생성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목록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에 있는 복사 데이터만을 우선적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좌우 플리킹(Flicking)을 통해 나머지 복사 데이터 목록을 표시하거나, 소정의 확장 입력에 의해 전체 복사 데이터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는 도 3a, 도 3b 및 도 3c에 기재된 실시예를 따를 수 있다. 그리고,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가 생성되면,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509).
사용자로부터 복사 목록 선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으면,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 데이터를 입력 인터페이스의 문자입력 화면에 붙여 넣는다(510).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를 갱신한다(511). 사용자가 복사한 복사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선택하여 붙여 넣기를 수행한 복사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각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를 누적할 수 있다. 누적된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는 복사 데이터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 순서를 설정할 때,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에서 이미지를 복사한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에서 이미지를 복사한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는 입력 영역(610), 복사 목록 영역(620) 및 키패드 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영역(610)은 사용자가 키패드 영역(630)의 키패드를 통해 편집중인 문자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메신저 프로그램이나 SMS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하는 내용을 입력한다. 종래의 입력 인터페이스는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 영역(630)을 통해 입력 영역(610)의 문자를 편집하고, 입력 영역(610)에 편집된 내용을 표시 영역(60)에 표시하는 방법을 통해 문자를 입력한다. 본 발명의 입력 영역(61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편집하는 영역으로 종래의 입력 영역과 동일하다.
키패드 영역(630)은 다양한 종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한 영역으로 종래에 모바일 단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키패드와 동일하다.
복사 목록 영역(620)은 사용자에 의해 복사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복사 목록(621)은 사용자가 복사한 복사 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하여 보여주는 인터페이스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사된 이미지의 파일명만을 화면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사 목록 영역의 넓이를 고려하여 복사된 이미지의 파일명으로 표시하였으나, 썸네일(Thumb Nail)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기능 버튼(622)은 복사 목록 영역(620) 내의 소정의 영역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사용자의 의해 설정된 기능(Function)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능 버튼(622)을 잠금 버튼으로 설정하면, 기능 버튼(622)을 통해 잠금을 On/Off하여 복사 목록(321)에 표시된 복사 데이터의 삭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능 버튼(622)을 즐겨 찾기 버튼으로 설정하면, 기능 버튼(622)을 통해 현재 복사 목록(621)에 표시된 복사 데이터에 대해 즐겨 찾기를 설정할 수 있다.
확장 버튼(623)은 복사 목록 영역(620) 내의 소정의 영역에 위치하며, 복사 목록(621)을 확장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확장 복사 목록을 생성한다. 확장 버튼(623)에 의해 생성되는 확장 복사 목록은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입력 인터페이스 상의 새로운 레이어(Layer)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에서 이미지를 복사한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확장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복사 목록 영역(620)의 확장 버튼(623)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종래의 복사 목록(621)을 확장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확장 복사 목록(640)을 생성한다. 확장 버튼(623)에 의해 생성되는 확장 복사 목록(640)은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사 데이터 목록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설정된 개수만큼의 복사 데이터를 한번에 표시할 수 있다. 확장 복사 목록(640)은 복사 데이터가 이미지인 경우, 이미지를 썸네일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확장 복사 목록(640)에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 복사 데이터를 통해 각각의 복사 이미지의 형태를 대략적으로 확인하여 원하는 복사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또는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0: 저장부
120: 복사 제어부
130: 인터페이스 처리부
140: 화면 표시부
310: 입력 영역
320: 복사 목록 영역
321-1: 제2 복사 목록
321-2: 확장 복사 목록
330: 키패드 영역

Claims (29)

  1. 복사된 하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상기 활성화 이벤트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복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복사 데이터를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 및
    상기 제1 복사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여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활성화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 영역에서 수신된 입력 영역의 상태값과 상기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복사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사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복사 제어부는 상기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포함된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에 기반하여 둘 이상의 복사 데이터 사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복사 데이터 목록의 순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역의 상태값과 상기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복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제어부는,
    둘 이상의 상기 제1 복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둘 이상의 제1 복사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여 각각의 형식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입력 영역의 상태값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상기 제1 복사 데이터 중에서 상기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복사 데이터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를 생성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는 각각의 복사 데이터의 붙여 넣기 횟수, 최근 갱신 날짜, 즐겨 찾기 여부, 복사된 대상의 형태, 동일 복사 데이터의 반복 저장 횟수 및 복사 데이터 사용 빈도수 중에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복사 목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복사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복사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역의 입력 인터페이스에 붙여 넣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복사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를 갱신하여 상기 복사 데이터 관련 정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30111438A 2013-09-16 2013-09-16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KR102156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438A KR102156193B1 (ko) 2013-09-16 2013-09-16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438A KR102156193B1 (ko) 2013-09-16 2013-09-16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393A KR20150032393A (ko) 2015-03-26
KR102156193B1 true KR102156193B1 (ko) 2020-09-16

Family

ID=5302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438A KR102156193B1 (ko) 2013-09-16 2013-09-16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807B1 (ko) * 2016-08-18 2024-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5023A (ko) *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팬택 복수의 클립보드 저장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가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64421A (ko) * 2011-12-08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393A (ko)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2073B2 (en) Exposing non-authoring features through document status information in an out-space user interface
US10489044B2 (en) Rich drag drop user interface
JP6479079B2 (ja) 関連する文書のための拡張機能アクティブ化
US7650575B2 (en) Rich drag drop user interface
US9245259B2 (en) Presenting E-mail on a touch device
US8020101B2 (en) User specified transfer of data between applications
EP3306454B1 (en) A user interface for a touch sensitive display on an electronic device
CN103618830B (zh) 一种未读信息查看方法以及装置
KR20190125376A (ko) 텍스트 편집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7408242B (zh) 提供对通信内的内容的交互式预览
JP587162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1078963A (ja) 文書注記方法
KR102156193B1 (ko) 모바일 단말의 입력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JP595261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38054B1 (ko) 이미지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0633159A (zh) 一种数据对象溯源方法及装置
KR20150065512A (ko) 텍스트 선택 방법
JP6545218B2 (ja) 通知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3170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JP2018156268A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31490A (ja) 電子フォーム利用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12073729A (ja) エディタプログラム及びエディタプログラムを搭載した情報処理装置
JP2014174905A (ja)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JP2006343945A (ja) 情報分類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情報分類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