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358B1 - Electronic wheelchair with armrest operation mechanism - Google Patents
Electronic wheelchair with armrest operation mechanis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5358B1 KR102155358B1 KR1020190109620A KR20190109620A KR102155358B1 KR 102155358 B1 KR102155358 B1 KR 102155358B1 KR 1020190109620 A KR1020190109620 A KR 1020190109620A KR 20190109620 A KR20190109620 A KR 20190109620A KR 102155358 B1 KR102155358 B1 KR 1021553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rest
- unit
- seat
- link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5—Wheelchairs having brakes manipulated by wheelchair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oper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팔걸이 동작메커니즘을 구비한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팔걸이의 위치 상태에 따라 전동 휠체어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팔걸이 동작메커니즘을 구비한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wheelchair having an armrest operation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wheelchair having an armrest operation mechanism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armrest.
장애인이나 환자 등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휠체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바퀴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동 모터의 회전으로 구동되는 전동 휠체어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relation to wheelchairs for improving mobility of a disabled person or a patient, in recent years, the spread of electric wheelchairs in which wheels are driven by rotation of an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s increasing.
종래의 전동 휠체어는 시트의 좌측 및 우측면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고정식 팔걸이와 수동 회전식 팔걸이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electric wheelchair consists of a fixed armrest and a manual rotation armrest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즉, 고정식 팔걸이는 탑승자가 탑승할 때 팔걸이의 간섭으로 인하여 탑승이 불편한 단점이 있으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the fixed armres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board due to interference of the armrest when the occupant boards, but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a fall.
이에 반해, 수동 회전식 팔걸이는 수직으로 회전조작되어 탑승편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나, 팔걸이가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낙상을 방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ual rotary armres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convenience on board by being rotated vertically,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prevent falls if the armrest is not in its original position.
따라서, 수동 회전식 팔걸이는 탑승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등받이부 쪽으로 수직되게 회전조작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수평으로 원위치되지 않더라도 위험상황으로 인식하는 강제 안전모드가 발생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트 상승 작동이나 전동 휠체어의 구동시 시트로부터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for the convenience of boarding, the manual rotation armrest is a structure that does not generate a forced safety mode that recognizes as a dangerous situation even if a certain time elapses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after it is rotated vertically toward the backrest, or it is not positioned horizontally.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a fall accident from the seat when driving the electric wheelchair.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팔걸이부가 수동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조작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위험상황으로 인식하여 안전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팔걸이 동작메커니즘을 구비한 전동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problems, and if the armrest is not rotated vertical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being manually operated, it is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and can be switched to the safe mode. It is to provide an electric wheelchair equipped with a motion mechanism.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 동작메커니즘을 구비한 전동 휠체어는, 등받이부, 의자부 및 팔걸이부를 포함하는 시트; 상기 시트와 연결된 이승강기; 상기 이승강기를 구동시키는 후륜 휠에 연결된 구동부; 및 상기 등받이부와 팔걸이부를 연결하여 팔걸이부가 일정 각도 회전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수평으로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위험상황으로 인식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승강기와 후륜 휠의 구동을 정지하는 동작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ic wheelchair having an armrest ope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seat including a backrest, a chair, and an armrest; An elevator connected to the seat; A driving unit connected to a rear wheel driving the lifter; And an operation control means for connecting the backrest part and the armrest part so that when the armrest part is not horizontally positioned for a certain time after being rotated by a certain angle, it recognizes as a dangerous situation and stops driving the lifter and the rear wheel by the driv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동작제어수단은, 상기 등받이부에 연결되는 고정파이프; 상기 고정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결합되는 감지부; 상기 고정파이프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토퍼; 및 상기 팔걸이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에 결합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peration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xed pipe connected to the backrest; A sensing unit coup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fixed pipe; A stopper coupled to the end of the fixed pipe; And a coupling hole formed at an end of the armrest and coupled to the stopper.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정파이프와 스토퍼는 축 방향으로 볼트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xing pipe and th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olted in the axial direction.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토퍼는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파이프의 끝단 외주면에 180°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블럭면이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ymmetrical block surfaces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fixing pipe at a distance of 180° so as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결합홀은, 내주면 일측에 상기 블럭면과 접촉되어 팔걸이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접촉면이 형성되고, 내주면 타측에 상기 블럭면과 비접촉되어 팔걸이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비접촉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upling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tac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lock surface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armrest, and a non-contact surface that is non-contact with the block surface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induce rotation of the armres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접촉면은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에서 180°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비접촉면은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에서 상기 접촉면들 사이에 180°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act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a 180° interval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and the non-contact surface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a 180° interval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do.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팔걸이부는 수직으로 회전된 후 자중에 의해 원위치되지 않도록 수직에서 등받이부의 뒤쪽으로 5 °더 회전된 상태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rmres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ed vertically and then stopped in a state rotated further by 5° from the vertical to the rear of the backrest portion so that it is not positioned by its own weight.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감지부는 상기 결합홀의 접촉면과 비접촉면의 위치 변화에 따라 팔걸이부의 회전조작 또는 원위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n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a rotation operation or an original position of the armres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ntact surface and the non-contact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감지부는 상기 팔걸이부가 수동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조작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수평으로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경고음 또는 주의메시지 음성안내음을 발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n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rning sound or a caution message voice guidance sound when the armrest is not rotated vertical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being manually rotated vertically.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감지부는 상기 팔걸이부가 수동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조작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수평으로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위험상황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armrest is not vertically rotated manual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armrest is vertically rotated.
본 발명의 팔걸이 동작메커니즘을 구비한 전동 휠체어는 탑승편의를 위해 팔걸이부가 수동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조작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위험상황으로 인식하여 전동 휠체어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안전모드로 전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탑승자의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lectric wheelchair equipped with the armrest opera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to a safety mode to stop driving the electric wheelchair by recognizing that it is a dangerous situation if the armrest is not rotated vertical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being manually operated for boarding convenience. Because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pant from falling.
도 1은 종래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서 시트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서 시트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서 시트가 제1 위치인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서 시트가 제2 위치인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서 시트가 제3 위치인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측면 외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부에 팔걸이 동작메커니즘을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제어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제어수단이 팔걸이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제어수단이 등받이부와 팔걸이부를 연결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제어수단에 의해 팔걸이부가 수직에서 등받이부의 뒤쪽으로 5 °더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is lowered in a conventional electric wheelchair;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is raised in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3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of the seat in the first position in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of the seat in a second position in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of the seat in a third position in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exterior view of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mrest operation mechanism is applied to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armrest;
10A and 10B are sid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tion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by connecting the backrest and the armrest;
1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mrest is further rotated 5° from the vertical to the rear of the backrest by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elem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configuration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서 시트가 제1 위치인 측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서 시트가 제2 위치인 측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서 시트가 제3 위치인 측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측면 외관도이다. 3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at in the first position in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in the second position of the seat in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In the electric wheelchair, the seat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in the third posi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of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제1 위치라 함은 후술하는 시트의 의자부 높이가 구동부의 본체 프레임 상면부 높이와 동일한 위치를 의미하고, 제2 위치라 함은 시트의 의자부가 지면에 접촉된 위치를 의미하며, 제3 위치라 함은 시트의 의자부가 지면으로부터 최고 높이일 때의 위치를 의미한다. Here, the first position refers to a position in which the height of the chair part of the seat to be described later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of the drive unit, and the second position refers to the position where the chair part of the se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3 position means the position when the chair part of the seat is at the highest height from the ground.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등받이부(12), 의자부(14) 및 팔걸이부(16)를 포함하는 시트(10); 상기 시트(10)와 연결된 이승강기(20); 상기 이승강기(20)를 구동시키는 후륜 휠(32)에 연결된 구동부(30); 및 상기 등받이부(12)와 팔걸이부(16)를 연결하여 팔걸이부(16)가 수동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조작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수평으로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위험상황으로 인식하여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이승강기(20)와 후륜 휠(32)의 구동을 정지하는 동작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즉, 상기 팔걸이부(16)는 탑승편의를 위해 수동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조작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상기 동작제어수단(40)에 의해 위험상황을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감지 신호를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이승강기(20)와 후륜 휠(32)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안전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시트(10)의 상승 작동이나 전동 휠체어의 주행을 차단하여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팔걸이부(16)가 탑승편의를 위해 도 10a와 같이 수동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조작된 후, 도 10b와 같이 일정 시간 내에 수평으로 원위치하거나 일정 시간 경과후 수평으로 원위치시키면, 상기 동작제어수단(4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정상모드로 판단하여 구동부(30)에 의해 이승강기(20)와 후륜 휠(32)을 구동시킴으로써 시트(10)의 상승 작동이나 전동 휠체어의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And, after the
이때, 상기 팔걸이부(16)는 도 11과 같이 수직으로 회전된 후 자중에 의해 원위치되지 않도록 수직에서 등받이부(12)의 뒤쪽으로 5 °더 회전된 상태로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이승강기(20)는, 상기 구동부(30)에 지지되어 구동되는 메인 링크 어셈블리(21)와 보조 링크 어셈블리(22)로 이루어져 있다. Meanwhile, the
즉, 상기 메인 링크 어셈블리(21)는, 상기 이승강기(20)를 구동시키는 후륜 휠(32)에 연결된 구동부(30); 시트(10); 일측은 상기 구동부(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10)에 연결된 제1 링크(23) 및 제2 링크(24); 상기 구동부(3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링크(23)에 타측이 연결된 제1 액츄에이터(25); 상기 시트(10)와 연결되는 제1 링크(23)-시트(10)의 연결점 위치인 제1 링크(23)가 상기 시트(10)에 연결되는 제2 링크(24)-시트(10)의 연결점 위치인 상기 제2 링크(24)보다 제1 거리(L1)만큼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링크(23)-시트(10)의 연결점 및 상기 제2 링크(24)-시트(10)의 연결점은 상기 시트(10)의 등받이부(12)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액츄에이터(25)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부(30) 보다 전방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구동부(30)의 본체 프레임(31) 상면부의 수직방향 최대높이까지 상기 시트(10)가 지면에 대해 평행을 유지한 채 일정궤도로 이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제1 링크(23)와 상기 구동부(30)가 연결되는 제1 링크(23)-구동부(30)의 연결점; 상기 제2 링크(24)와 상기 구동부(30)가 연결되는 제2 링크(24)-구동부(30)의 연결점; 제1 링크(23)-구동부(30)의 연결점 위치가 상기 제2 링크(24)-구동부(30)의 연결점보다 제2 거리(L2)만큼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상기 제1 링크(23)-시트(10)의 연결점과 상기 제1 링크(23)-구동부(30)의 연결점 거리는 상기 제2 링크(24)-시트(10)의 연결점과 상기 제2 링크(24)-구동부(30)의 연결점 거리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그리고, 상기 보조 링크 어셈블리(22)는, 상기 구동부(30)의 후술하는 전륜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3 링크(26); 일측이 상기 등받이부(12)에 연결되는 제4 링크(27); 상기 제3 링크(26)와 상기 제4 링크(27)는 링크연결부(28)에서 힌지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링크연결부(28)에 타측이 상기 구동부(30)에 힌지 연결되는 제2 액츄에이터(29)가 추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Further, the
이때, 상기 제2 액츄에이터(29)가 선작동하여 상기 시트(10)가 상기 구동부(30)보다 전방의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면, 상기 제1 액츄에이터(25)가 후작동하여 상기 시트(10)가 상기 구동부(30)의 본체 프레임(31) 상면부의 수직방향 최대높이까지 상기 시트(10)가 지면에 대해 평행을 유지한 채 일정궤도로 이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액츄에이터(29)와 상기 제1 액츄에이터(25)는 순차적으로 작동되어진다.At this time, when the
상기 제3 링크(26), 상기 링크연결부(28) 및 상기 제4 링크(27)에 형성되는 제3 링크(26)-제4 링크(27)의 사잇각(a)은 상기 제2 액츄에이터(29)에 의해 변화되고, 180°보다 작아짐에 따라 상기 시트(10)의 위치는 최대위치보다 낮아지며, 상기 시트(10)가 지면에 위치할 때 최소각이면서 최대 180°가 된다. The
상기 제4 링크(27)의 길이는 상기 제3 링크(26)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The length of the
먼저, 사잇각에 대하여 정의를 내리고 설명한다.First, we define and explain the angles.
사잇각(α)은 제2 액츄에이터(323)의 작동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The angle α may be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ctuator 323.
보다 상세하게는, 제3 링크(26)-제4 링크(27) 사잇각(α)은 시트(10)가 지면에 위치할 때가 최소각이고, 최대높이에서 180도일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angle α between the
사잇각(α)은 시트(10)의 전진방향 측으로 예각(0도 포함)에서 180도까지 변화시키면 최저높이에서 최대높이가 구현된다. 180도라는 것은 시트의 최고위치(최대높이)일 때의 각도를 의미한다.When the angle α is changed from an acute angle (including 0 degrees) to 180 degrees toward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다시 말해서, 시트(10)의 시트 하면부가 지면과 접촉할 때 사잇각(α)은 예각일 수 있고, 시트(10)의 시트 하면부가 지면으로부터 최대 이격되는 높이에서는 사잇각(α)이 180도일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만일, 제3 링크(26)-제4 링크(27) 사잇각(α)이 180도보다 커진다면, 시트(10)의 위치는 최고위치보다 낮아질 수 있다.If the intervening angle α of the third link 26-the
상기 시트(10)는 상기 링크연결부(28)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10)의 전진방향 측으로 예각을 이루던 상기 제3 링크(26)와 상기 제4 링크(27) 사잇각(a)은 180°가 되면서 상승 되어진다. The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이승강기(20)의 상기 메인 링크 어셈블리(21)와 보조 링크 어셈블리(22)의 링크구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31); 상기 본체 프레임(31)의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하는 후륜 휠(32); 상기 본체 프레임(3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륜 프레임(34)에 장착되어 구동하는 전륜 휠(33); 상기 본체 프레임(31)의 후방에 장착되어 전동 휠체어의 후방 전도를 방지하는 보조 휠(35)을 구성한다. The driving
이와 같이 시트(10)를 도 4와 같이 최저 높이로 하강시키기 위하여 구동부(30)를 구동시키면, 시트(10)의 의자부(14)가 본체 프레임(31) 하면부보다 낮아져 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후륜 휠(32)의 지면 접촉부와 높이가 동일하게 유지된다. In this way, when the driving
이때, 제4 링크(27)는 길이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이고, 제1 거리(L1)와 제2 거리(L2)는 동일한 상태이며, 사잇각(a)은 예각인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이 상태에서 시트(10)가 상승하기 위해 제2 액츄에이터(29)가 작동되면, 사잇각(a)은 점차적으로 커진다.In this state, when the
그리고, 제4 링크(27)가 최소 축소상태이므로 제2 액츄에이터(29)의 푸쉬력을 시트(10)에 온전히 전달하게 되면서 시트(10)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사잇각(a)이 예각이며 제3 링크(26) 및 제4 링크(27)가 서로 연결점에서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적은 힘으로도 시트(1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제1 액츄에이터(25)의 초기 구동 부하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intervening angle (a) is an acute angle and the
반대로, 시트(10)가 제2 위치로 하강될 때에도, 특히 시트(10)는 보조 링크 어셈블리(22)가 일종의 댐퍼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1 액츄에이터(25)의 구동 부하가 줄어들면서 시트(10) 하강 모션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Conversely, even when the
한편, 시트(10)를 5와 같이 최고 높이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구동부(30)를 구동시키면, 시트(10)의 의자부(14)가 본체 프레임(31) 상면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며, 의자부(14) 와 등받이부(12)가 접하는 시트 엣지부의 중심이 링크연결부(28)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ing
이때, 사잇각(a)이 둔각이며 180°까지 변화 가능하고, 제3 거리(L3)가 제4 거리(L4)와 동일한 상태가 되고, 제4 링크(27)는 길이가 최대로 확장된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the intervening angle (a) is an obtuse angle and can be changed up to 180°, the third distance (L3) becomes the same as the fourth distance (L4), and the
이로 인하여, 시트(10)가 제1 위치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상승 되면 제1 액츄에이터(25)의 힘에 의해 상승되고, 제4 링크(27)는 시트(10)의 상승과 함께 길이가 확장된다.Accordingly, when the
한편, 상기 동작제어수단(40)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12)에 연결되는 고정파이프(42); 상기 고정파이프(42)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결합되는 감지부(44); 상기 고정파이프(42)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토퍼(46); 및 상기 팔걸이부(16)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46)에 결합되는 결합홀(48)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control means 40,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fixing
즉, 상기 고정파이프(42)의 끝단에는 상기 결합홀(48)에 삽입되는 단차면이 형성된 것으로서, 이 단차면 외주에 링 형상의 감지부(44)와 스토퍼(46)의 수순으로 끼워져 위치 고정된 후 고정파이프(42)와 스토퍼(46)가 축 방향으로 볼트(50)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That is, a stepped surface inserted into the
상기 감지부(44)는 상기 결합홀(48)의 접촉면(48a)과 비접촉면(48b)의 위치 변화에 따라 팔걸이부(16)의 회전조작 또는 원위치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또한, 상기 감지부(44)는 상기 팔걸이부(16)가 수동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조작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수평으로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경고음 또는 주의메시지 음성안내음을 발산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감지부(44)는 상기 팔걸이부(16)가 수동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조작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수평으로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위험상황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The
상기 스토퍼(46)는 상기 결합홀(48)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파이프(42)의 끝단 외주면에 180°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블럭면(46a)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결합홀(48)은, 내주면 일측에 상기 블럭면(46a)과 접촉되어 팔걸이부(16)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접촉면(48a)이 형성되고, 내주면 타측에 상기 블럭면(46a)과 비접촉되어 팔걸이부(16)의 회전을 유도하는 비접촉면(48b)이 형성되어 있다. The
이때, 상기 접촉면(48a)은 상기 결합홀(48)의 바깥 측면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48)의 바깥 측면 끝단과 접촉면(48a)과의 사이 내주면에는 고정파이프(42)와 스토퍼(46)의 체결 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개(미도시)가 끼워진다.At this time, the contact surface (48a) is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uter side end of the coupling hole (48),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outer side end of the coupling hole (48) and the contact surface (48a) is a fixing pipe (42) A stopper (not shown) is fitted so that the fastened state of the and
상기 접촉면(48a)은 상기 결합홀(48)의 내주면에서 180°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비접촉면(48b)은 상기 결합홀(48)의 내주면에서 상기 접촉면(48a)들 사이에 180°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The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carried out wit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to which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re applied also belong to the following claims. Must see.
10 : 시트 12 : 등받이부
14 : 의자부 16 : 팔걸이부
20 : 이승강기 21 : 메인 링크 어셈블리
22 : 보조 링크 어셈블리 23 : 제1 링크
24 : 제2 링크 25 : 제1 액츄에이터
26 : 제3 링크 27 : 제4 링크
28 : 링크연결부 29 : 제2 액츄에이터
30 : 구동부 31 : 본체 프레임
32 : 후륜 휠 33 : 전륜 휠
34 : 전륜 프레임 40 : 동작제어수단
42 : 고정파이프 44 : 감지부
46 : 스토퍼 46a : 블럭면
48 : 결합홀 48a : 접촉면
48b : 비접촉면 50 : 볼트
L1 : 제1 거리 L2 : 제2 거리
L3 : 제3 거리 L4 : 제4 거리
α, a : 사잇각10: seat 12: backrest
14: chair part 16: armrest part
20: Lee lift 21: main link assembly
22: auxiliary link assembly 23: first link
24: second link 25: first actuator
26: third link 27: fourth link
28: link connection 29: second actuator
30: drive unit 31: body frame
32: rear wheel 33: front wheel
34: front wheel frame 40: motion control means
42: fixed pipe 44: sensing unit
46:
48:
48b: non-contact surface 50: bolt
L1: first distance L2: second distance
L3: 3rd street L4: 4th street
α, a: angle
Claims (10)
상기 시트(10)와 연결된 이승강기(20);
상기 이승강기(20)를 구동시키는 후륜 휠(32)에 연결된 구동부(30); 및
상기 등받이부(12)와 팔걸이부(16)를 연결하여 팔걸이부(16)가 일정 각도 회전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수평으로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위험상황으로 인식하여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이승강기(20)와 후륜 휠(32)의 구동을 정지하는 동작제어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제어수단(40)은,
상기 등받이부(12)에 연결되는 고정파이프(42);
상기 고정파이프(42)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결합되는 감지부(44);
상기 고정파이프(42)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토퍼(46); 및
상기 팔걸이부(16)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46)에 결합되는 결합홀(48)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파이프(42)와 스토퍼(46)는 축 방향으로 볼트(50) 체결되고,
상기 스토퍼(46)는 상기 결합홀(48)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파이프(42)의 끝단 외주면에 180°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블럭면(46a)이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48)은,
내주면 일측에 상기 블럭면(46a)과 접촉되어 팔걸이부(16)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접촉면(48a)이 형성되고,
내주면 타측에 상기 블럭면(46a)과 비접촉되어 팔걸이부(16)의 회전을 유도하는 비접촉면(48b)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48a)은 상기 결합홀(48)의 내주면에서 180°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비접촉면(48b)은 상기 결합홀(48)의 내주면에서 상기 접촉면(48a)들 사이에 180°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팔걸이부(16)는 수직으로 회전된 후 자중에 의해 원위치되지 않도록 수직에서 등받이부(12)의 뒤쪽으로 5 °더 회전된 상태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 동작메커니즘을 구비한 전동 휠체어.
A seat 10 including a backrest 12, a chair 14 and an armrest 16;
An elevating device 20 connected to the seat 10;
A driving unit 30 connected to the rear wheel 32 driving the lifter 20; And
When the backrest part 12 and the armrest part 16 are connected and the armrest part 16 is not horizontally positio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being rotated by a certain angle, it is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and lifted by the driving part 30 (20) and an operation control means (40) for stopping driving of the rear wheel (32),
The operation control means 40,
A fixing pipe 42 connected to the backrest 12;
A sensing unit 44 coup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fixed pipe 42;
A stopper 46 coupled to the end of the fixing pipe 42; And
I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armrest portion 16 and includes a coupling hole 48 coupled to the stopper 46,
The fixing pipe 42 and the stopper 46 are fastened with bolts 50 in the axial direction,
The stopper 46 has a block surface 46a which is symmetrical with a 180° interv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fixing pipe 42 so as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48, respectively,
The coupling hole 48,
A contact surface 48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armrest 16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block surface 46a,
A non-contact surface 48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induce rotation of the armrest 16 by being non-contact with the block surface 46a,
The contact surface (48a) is formed to be symmetrically spaced 180°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48),
The non-contact surface 48b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a 180° interval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48a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48,
The armrest unit 16 is an electric wheelchair having an armrest operation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armrest unit 16 is rotated vertically and then stopped in a state rotated further 5° to the rear of the backrest unit 12 so that it is not positioned by its own weight.
상기 감지부(44)는 상기 결합홀(48)의 접촉면(48a)과 비접촉면(48b)의 위치 변화에 따라 팔걸이부(16)의 회전조작 또는 원위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 동작메커니즘을 구비한 전동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44 is an armrest operation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a rotational operation or an original position of the armrest unit 16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ntact surface 48a and the non-contact surface 48b of the coupling hole 48 Electric wheelchair equipped with.
상기 감지부(44)는 상기 팔걸이부(16)가 수동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조작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수평으로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경고음 또는 주의메시지 음성안내음을 발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 동작메커니즘을 구비한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ing unit 44 comprises a warning sound or a caution message voice guidance sound emitting unit when the armrest unit 16 is not vertically rotated manual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is not positioned horizontally. Electric wheelchair with motion mechanism.
상기 감지부(44)는 상기 팔걸이부(16)가 수동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조작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수평으로 원위치되지 않을 경우, 위험상황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 동작메커니즘을 구비한 전동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ing unit 44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armrest unit 16 is not vertically rotated manual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armrest unit 16 is rotated vertically. Equipped electric wheelchai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9620A KR102155358B1 (en) | 2019-09-04 | 2019-09-04 | Electronic wheelchair with armrest operation mechanis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9620A KR102155358B1 (en) | 2019-09-04 | 2019-09-04 | Electronic wheelchair with armrest operation mechanis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5358B1 true KR102155358B1 (en) | 2020-09-11 |
Family
ID=7247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9620A KR102155358B1 (en) | 2019-09-04 | 2019-09-04 | Electronic wheelchair with armrest operation mechanis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535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23747B2 (en) * | 2001-03-22 | 2006-09-20 | スズキ株式会社 | Electric vehicle |
JP2009233219A (en) * | 2008-03-28 | 2009-10-15 | Free Chair's:Kk | Joint structure of turning member for wheelchair |
KR20120059999A (en) | 2010-12-01 | 2012-06-11 | 용인송담대학 산학협력단 | Wheelchair possible of up and down, front and back movement of seat |
-
2019
- 2019-09-04 KR KR1020190109620A patent/KR1021553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23747B2 (en) * | 2001-03-22 | 2006-09-20 | スズキ株式会社 | Electric vehicle |
JP2009233219A (en) * | 2008-03-28 | 2009-10-15 | Free Chair's:Kk | Joint structure of turning member for wheelchair |
KR20120059999A (en) | 2010-12-01 | 2012-06-11 | 용인송담대학 산학협력단 | Wheelchair possible of up and down, front and back movement of sea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381249T3 (en) | Work platform | |
KR100878984B1 (en) | Speed reaction type prominence for overspeed prevention | |
US6182798B1 (en) | Mobile lifting device for the disabled | |
KR101626260B1 (en) | Safety foothold for train platform | |
CN104783722B (en) | Intelligent safety electric up-down power-assisted chair for closet | |
KR102039508B1 (en) | Apparatus for prevention narrowness of high-place workbench | |
KR102155358B1 (en) | Electronic wheelchair with armrest operation mechanism | |
ES2262882T3 (en) | COOKING DEVICE ENCASTRABLE IN HEIGHT. | |
CN108697567B (en) | Height-adjustable wheelchair | |
EP2825145B1 (en) | Wheelchair lift arrangement with load sensing system | |
KR100797930B1 (en) | A car lift having safe sensor | |
JP2012149484A (en) | Safety device for road roller | |
KR20090008564U (en) | Auto lift toilet stool | |
KR102205520B1 (en) | Movable working-tower apparatus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 | |
KR102239971B1 (en) | Lifting device for wheelchair with cushioning module | |
WO2018114552A1 (en) | Traction system for hinged landing doors, a landing door, an elevato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landing door | |
JP7497856B2 (en) | Self-propelled dental chair | |
KR20200113968A (en) | chalyangjeongbisi chajong-e ttaleun lipeuting jangchi | |
KR101828391B1 (en) | apparatus for block lift with a weight sensing and a overthrow prevention function | |
KR200495987Y1 (en) | Foot rest for automobiles | |
JP3601313B2 (en) | Elevator equipment | |
CN108584623A (en) | Anti-collision mechanism for apparatus for ride instead of walk | |
KR102563245B1 (en) | Lift apparatus combined with stairs using wireless signal | |
KR102628588B1 (en) | Patient bed | |
WO2016038761A1 (en) | Passenger boarding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