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195B1 - 유체저항 운동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유체저항 운동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5195B1 KR102155195B1 KR1020190095743A KR20190095743A KR102155195B1 KR 102155195 B1 KR102155195 B1 KR 102155195B1 KR 1020190095743 A KR1020190095743 A KR 1020190095743A KR 20190095743 A KR20190095743 A KR 20190095743A KR 102155195 B1 KR102155195 B1 KR 1021551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plate
- fluid receiving
- exercise
- exercise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2—Fluids, e.g.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by moving the surrounding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저항을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를 수용하는 원기둥 형상의 유체수용부; 유체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한 운동부;를 포함하고, 운동부는, 유체수용부의 내부에서 슬라이드되고, 유체가 통과될 수 있는 유체통과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로부터 유체수용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 상에 결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유체저항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저항을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건강을 유지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해 다양한 운동방법 및 운동기구가 제공되고 있다. 의료분야나 피트니스에서 운동기구의 다양함이 선보여진다. 다양한 운동기구 중에는 무게추를 반복이동시킴으로써 근육에 자극이 생기도록 하는 운동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운동기구의 형태는 근육이 작동하는 각도나 위치에 있어서 근육에 부담이 되는 이완수축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등속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도 있으나 이는 고가의 운동기구에 해당되어 이용하는 것이 어려운 현실이다. 여기서, 등속운동은 기구에 가해지는 에너지의 양이나 방향과 관계없이 기구의 이동속도가 고정되는 것으로 무게추에 의존하는 타 운동기구와는 동작 메커니즘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근육이 발생시키는 힘에 비례하도록 저항이 발생하여 근육이 발생시키는 힘의 크기에 따라, 즉각적으로 그에 대응되는 저항이 발생하는 운동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앞서 기술한 종래의 운동기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운동기구로부터 유동적이고 즉각적인 저항이 발생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유체통과 면적을 조절하여 기본저항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운동방향으로 단부에 충격을 감소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체저항을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를 수용하는 원기둥 형상의 유체수용부; 유체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한 운동부;를 포함하고, 운동부는, 유체수용부의 내부에서 슬라이드되고, 유체가 통과될 수 있는 유체통과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로부터 유체수용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 상에 결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유체저항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는 연결부와 고정된 제1플레이트 및 제1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플레이트는, 왕복운동되는 방향 중 일방을 대향하고, 원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된 제1회전유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체수용부는, 왕복운동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위치되고, 제1회전유도면에 대응되는 제2회전유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체는 물 또는 유류일 수 있다.
또한, 유체수용부에 수용되는 유체는 기체 및 액체를 포함하고, 왕복운동되는 방향의 양단에 기체가 각각 수용되고, 양단 사이에 액체가 위치되도록 기체 및 액체가 이동플레이트에 의해 각각 구획되거나 기체를 수용하는 기체수용부가 양단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한 쌍의 유체저항 운동기구; 및 한 쌍의 유체저항 운동기구를 베이스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저항 운동기구는, 유체를 수용하는 원기둥 형상의 유체수용부; 원기둥 형상의 유체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한 운동부;를 포함하고, 운동부는, 유체수용부의 내경와 외경이 슬라이드되고, 유체가 통과될 수 있는 유체통과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유체수용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 상에 결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기구로부터 유동적이고 즉각적인 저항이 발생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통과 면적을 조절하여 기본저항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방향으로 단부에 충격을 감소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항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형상 및 회전유도부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및 회전유도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유체수용부에 기체 및 액체가 구획되어 수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항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형상 및 회전유도부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및 회전유도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유체수용부에 기체 및 액체가 구획되어 수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운동기구는 베이스(10), 고정부(20) 및 유체저항 운동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체저항 운동기구는 한 쌍이 포함될 수 있고, 베이스(10)에 각각 고정되기 위해 각각의 고정부(20)에 의해 베이스(10)와 유체저항 운동기구는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에 베이스(10)가 기 결정된 면적만큼 펼쳐지고, 상기 기 결정된 면적 내에 한 쌍의 유체저항 운동기구는 설치될 수 있다. 유체저항 운동기구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유체수용부(200)와 유체수용부(200)와 슬라이드되며 왕복운동될 수 있는 운동부(10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운동부(100)를 파지하여 운동부(100)를 이동시키면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예시의 경우에는 유체수용부(200)가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었으므로, 상기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며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0)와 고정부(20) 간의 결함은 베이스(10)에 형성된 고정홀(20a)을 통한 고정수단(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유체수용부(200) 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멀리하기 위해 간격을 조절 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고정홀(20a)이 베이스(10)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20a)의 형태는 본 예시와 같이 원형의 관통공일 수 있고, 간격조절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태일 수도 있다. 장공형태(양측의 유체수용부(200)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는 두 개의 장공 또는 하나의 장공 상에 두 개의 유체수용부(200) 배치)로 고정홀(20a)이 형성되면 장공 길이의 범위 내에서 유체수용부는 자유롭게 고정부를 통해 베이스에 고정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운동은 유체수용부(200) 내에 수용된 유체저항의 정도에 따라 난이도를 달리할 수 있다. 유체저항은 운동부(100)를 왕복이동시키는 힘이 증가되거나, 유체의 점성이 증가하면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저항이란, 유체수용부(200) 내에 수용된 유체가 유체수용부(200) 내에 위치한 운동부(100)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저항을 의미한다. 유체저항 운동기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 2를 통해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항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운동부(100)의 일부는 유체수용부(200) 내에 위치되고 운동부(100)의 나머지 일부는 유체수용부(200) 외에 위치된다. 운동부(100)는 파지부(110), 연결부(120) 및 플레이트(130)로 구성될 수 있다.
유체수용부(200)는 내부에 유체(물 또는 유류 등)가 수용된다. 플레이트(130)가 유체수용부(200) 내부에서 유체수용부(200)의 내면과 슬라이딩되며 원기둥 형태인 유체수용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다. 왕복이동되는 동안 플레이트(130)는 유체 내부에서 유체저항을 맞으며 이동될 수 있다. 플레이트(130)에는 유체통과공(130a)이 마련되어 유체통과공(130a)을 통해 유체가 통과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30)가 유체 내에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플레이트(130)가 이동되는 속도에 대응되는 만큼의 유체저항력에 의해 사용자가 운동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30)에 마련된 유체통과공(130a)이 크게 형성될수록 유체저항이 감소하므로 플레이트(130)는 유체수용부(200) 내에서 보다 적은 에너지로 왕복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유체통과공(130a)이 작게 형성되면, 유체가 유체통과공(130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체저항력이 증가되어 플레이트(130)가 왕복이동되기 위한 에너지는 보다 더 많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운동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로 유체통과공(130a)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요인으로는 유체자체의 점성의 차이에 따라 유체저항력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130)를 상기 왕복이동시키는 힘은 연결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부(120)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연결부(120)에 마련된 파지부(110)를 파지할 수 있다. 나아가, 운동이 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파지부(110)는 연결부(120)의 다양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위해 연결부(120) 상에는 파지부(110)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홈이 하나 이상 높이에 따라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암나사홈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파지부(110) 일측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30)가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경우 연결부(120)도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높이방향(수직방향)으로 연결부(120) 상에 파지부(110)가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20)와 파지부(110)는 서로 탈착이 가능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연결부(120)로부터 파지부(110)가 탈착될 수도 있고, 유체수용부(200) 외측에 위치된 연결부(120)의 길이 조정에 의해 연결부(120)에 고정된 파지부(110)의 위치가 조절되는 방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연결부(120)의 길이조절에 의해 파지부(110)의 위치가 결정되는 방법은 연결부(120) 자체에 무게추와 같은 하중이 없는 상태이므로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120)는 유체수용부(200) 내외측에 걸쳐 연장될 수 있는데 유체수용부(200)의 상방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멍으로 유체의 유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멍에는 실링처리가 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30)의 형상 및 회전유도부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30) 및 회전유도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30)는 제1플레이트(131) 및 제2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31) 및 제2플레이트(132)는 각각의 유체통과공(130a)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플레이트(131)는 연결부(120)와 고정되어 연결부(120)와 별도로 회전되는 것이 불가능하나, 제2플레이트(132)는 연결부(120)에 연결되되 고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플레이트(132)는 연결부(1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플레이트(132)가 연결부(1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2플레이트(132)가 회전된 각도에 따라 제1플레이트(131)에 형성된 유체통과공(130a)과 제2플레이트(132)에 형성된 유체통과공(130a)이 중첩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중첩정도에 따라 유체의 통과단면적의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통과단면적은 유체저항을 결정하므로, 플레이트(130)가 유체수용부(200) 내에서 왕복이동에 요구되는 에너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운동의 난이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플레이트(132)는 원형의 플레이트(130)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심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부(120)와 연결될 수 있는 결합부(120a)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20a)를 중심으로 기 결정된 거리 이격된 하나 이상의 유체통과공(130a)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2플레이트(132)에 마련된 유체통과공(130a)은 제1플레이트(131)에 마련된 유체통과공(130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플레이트(132)에 형성된 유체통과공(130a)이 짝수개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120a)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체저항이 발생하는 지점이 연결부(120)가 연결된 플레이트(130)의 중심으로부터 비대칭적으로 발생하면 직선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체통과공(130a)은 결합부(120a)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플레이트(132)의 회전은, 제2플레이트(132)의 하면인 제1회전유도부(132a)와 제2플레이트(132)가 최하방으로 이동시에 접하는 접촉부(205)의 제2회전유도부(205a)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30)가 최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회전유도부(132a)와 제2회전유도부(205a)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유체수용부(200)를 중심으로 연결부(120)를 회전시켜 제1플레이트(131) 및 제2플레이트(132) 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플레이트(131) 및 제2플레이트(132) 간 회전되는 구성을 만족하기 위해 마주하는 제1회전유도부(132a) 및 제2회전유도부(205a)는 서로 대응되는 산과 골의 형태일 수 있다. 산과 골은 원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20)와 고정된 제1플레이트(131)는 연결부(120)를 회전방향(R)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함께 회전된다. 즉, 연결부(1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플레이트(132)는, 제1회전유도부(132a)와 접촉부(205)의 제2회전유도부(205a) 간의 치합에 의해 연결부(120)가 회전되는 중에도 회전방향(R)으로 회전되지 않고 비회전될 수 있다. 물론, 회전방향은 도 3을 통해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방향(R)을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플레이트(132) 및 제1플레이트(131) 간에 상대적인 회전이 발생하고 회전방향(R)으로의 회전된 각도만큼 제1플레이트(131) 및 제2플레이트(132)에 각각 형성된 유체통과공(130a)의 중첩율은 달라질 수 있다. 중첩율이 클수록 유체통과 단면적이 증가되므로 플레이트(130)의 왕복이동 중에 유체저항이 감소하고, 중첩률이 낮을수록 유체통과 단면적이 감소하므로 플레이트(130)의 왕복이동 중에 유체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메커니즘에 의해 유체저항을 조절함으로써, 운동 난이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유도부(132a) 및 제2회전유도부(205a)의 형태인 산과 골은 라챗타입으로써 자중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산과 골의 형태가 아니라 사각홈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회전을 제한하는 조립체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나아가, 제1회전유도부(132a)가 본 예시에서는 하방을 향하고 제2회전 유도부(205a)가 상방을 향하는 형태로 유체수용부(200) 내의 하방에 위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회전유도부(132a)가 상방을 향하고 제2회전유도부(205a)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치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플레이트(131) 및 제2플레이트(132)의 위치는 서로 바뀌게 되고, 접촉부(205)도 유체수용부(200) 내에서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제1플레이트(131)는 연결부(120)와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2플레이트(132)는 연결부(12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술한 예와 같이 플레이트(130)가 복층으로 형성되되, 유체수용부(200)로부터 연결부(120)를 분리하여 유체통과공(130a)이 형성된 복층의 플레이트(130)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켜 조절하여 연결부(120)를 유체수용부(200) 내로 삽입함으로써 유체저항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접촉부(205)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수용부(200)에 기체(202, 203) 및 액체(201a)가 구획되어 수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체수용부(200)에 충진되는 유체(201)는 이종유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30)가 왕복이동되는 운동구간(S1)에 수용되는 유체(201)는 액체일 수 있고, 유체수용부(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수용되는 유체는 기체일 수도 있다. 물론, 이종유체라는 것이 기체(202, 203) 및 액체(201a)의 조합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점도와 같은 유체의 특성이 상이한 유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비압축성을 띄는 액체(201a)와 압축성을 띄는 기체(202, 203)를 채용함으로써, 운동구간(S1) 내에서의 플레이트(130) 충격에 대하여 완충할 수 있는 이종유체의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의 유체수용부(200) 내의 공간을 높이방향(수직방향)으로 플레이트(130)가 왕복이동 될 때,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플레이트(130)가 충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신체로 충돌로 인해 관절 등의 신체부위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구간(S1)의 양측에는 완충구간(S2, S3)을 형성하는 압축성 유체인 기체(202, 203)의 배치를 함으로써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종유체 간의 구획은 이종유체 간 이동플레이트를 통한 구획이 될 수 있고, 다른 예로는 기체(202, 203)가 충진된 백을 운동방향의 양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의해 이종유체간 구획되는 경우는 이동플레이트는 유체수용부(200)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주로 형성된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이며 외주는 탄성체 등의 실링부재를 통해 실링처리가 되어 이종유체 간 수밀 및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유체수용부(200)의 높이방향으로 압력 또는 충격에 의해 압축성질의 유체의 압축량만큼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베이스
20 : 고정부
20a : 고정홀
100 : 운동부
110 : 파지부
120 : 연결부
120a : 결합부
130 : 플레이트
130a : 유체통과공
131 : 제1플레이트
132 : 제2플레이트
132a : 제1회전유도부
200 : 유체수용부
201 : 유체
201a : 액체
202, 203 : 기체
205 : 접촉부
205a : 제2회전유도부
S : 전체구간
S1 : 운동구간
S2, S3 : 완충구간
R1 : 회전방향
20 : 고정부
20a : 고정홀
100 : 운동부
110 : 파지부
120 : 연결부
120a : 결합부
130 : 플레이트
130a : 유체통과공
131 : 제1플레이트
132 : 제2플레이트
132a : 제1회전유도부
200 : 유체수용부
201 : 유체
201a : 액체
202, 203 : 기체
205 : 접촉부
205a : 제2회전유도부
S : 전체구간
S1 : 운동구간
S2, S3 : 완충구간
R1 : 회전방향
Claims (7)
- 유체를 수용하는 원기둥 형상의 유체수용부;
상기 유체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한 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부는,
상기 유체수용부의 내부에서 슬라이드되고, 상기 유체가 통과될 수 있는 유체통과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유체수용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상에 결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와 고정된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왕복운동되는 방향 중 일방을 대향하고, 원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된 제1회전유도면을 포함하는, 유체저항 운동기구.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수용부는,
왕복운동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1회전유도면에 대응되는 제2회전유도면을 포함하는, 유체저항 운동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물 또는 유류인, 유체저항 운동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유체는 기체 및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운동되는 방향의 양단에 상기 기체가 각각 수용되고, 상기 양단 사이에 상기 액체가 위치되도록 상기 기체 및 상기 액체가 이동플레이트에 의해 각각 구획되거나 상기 기체를 수용하는 기체수용부가 상기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유체저항 운동기구. - 베이스;
한 쌍의 유체저항 운동기구; 및
상기 한 쌍의 유체저항 운동기구를 상기 베이스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저항 운동기구는,
유체를 수용하는 원기둥 형상의 유체수용부;
원기둥 형상의 상기 유체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한 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부는,
상기 유체수용부의 내경와 외경이 슬라이드되고, 상기 유체가 통과될 수 있는 유체통과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유체수용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상에 결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와 고정된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왕복운동되는 방향 중 일방을 대향하고, 원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된 제1회전유도면을 포함하는, 운동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5743A KR102155195B1 (ko) | 2019-08-06 | 2019-08-06 | 유체저항 운동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5743A KR102155195B1 (ko) | 2019-08-06 | 2019-08-06 | 유체저항 운동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5195B1 true KR102155195B1 (ko) | 2020-09-11 |
Family
ID=7247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5743A KR102155195B1 (ko) | 2019-08-06 | 2019-08-06 | 유체저항 운동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5195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0697Y1 (ko) * | 2002-12-31 | 2003-04-21 | 주식회사 협신금속 | 오리피스 밸브 |
KR20100020599A (ko) | 2008-08-13 | 2010-02-23 | 창 주 이 | 웨이트 운동기구 |
KR20140078900A (ko) * | 2012-12-18 | 2014-06-26 | 나훈규 | 공기압을 이용한 운동기구 |
US20150087482A1 (en) * | 2013-09-24 | 2015-03-26 | Southern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Water resistance lower body reciprocating exerciser |
CN206896668U (zh) * | 2017-03-17 | 2018-01-19 | 尤春蕊 | 健身器械阻力发生器 |
-
2019
- 2019-08-06 KR KR1020190095743A patent/KR1021551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0697Y1 (ko) * | 2002-12-31 | 2003-04-21 | 주식회사 협신금속 | 오리피스 밸브 |
KR20100020599A (ko) | 2008-08-13 | 2010-02-23 | 창 주 이 | 웨이트 운동기구 |
KR20140078900A (ko) * | 2012-12-18 | 2014-06-26 | 나훈규 | 공기압을 이용한 운동기구 |
US20150087482A1 (en) * | 2013-09-24 | 2015-03-26 | Southern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Water resistance lower body reciprocating exerciser |
CN206896668U (zh) * | 2017-03-17 | 2018-01-19 | 尤春蕊 | 健身器械阻力发生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61173B2 (en) | Device for damping movement | |
KR102155195B1 (ko) | 유체저항 운동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
US6290038B1 (en) | Elastomer damper | |
US7520191B2 (en) | Actuator | |
JPS60234106A (ja) | 直線駆動装置 | |
CN1553998A (zh) | 磁流变阻尼器 | |
AU2010207008B2 (en) | Downhole vibration dampener | |
KR100416396B1 (ko) | 선형 액츄에이터 | |
JP2014502684A (ja) | 減衰機構 | |
US4276947A (en) | Roller Belleville spring damper | |
JP4476208B2 (ja) | 軸系の縦振動制振装置 | |
JP2016061364A (ja) | 摩擦ダンパ | |
RU2577735C1 (ru) | Виброизолятор сетчатый маятниковый | |
CN110042941B (zh) | 一种肘形弹性体振动耗能转动型流体阻尼节点 | |
KR102165830B1 (ko) | 범퍼구간이 구비된 압력 전달 실린더 | |
KR101718721B1 (ko) | 피스톤과 하우징 내면의 이격거리 조절 형태의 힌지댐퍼 및 힌지장치 | |
KR20140080177A (ko) | 완충기 | |
KR101747943B1 (ko) | 왕복운동장치 | |
RU2620275C1 (ru) | Виброизолятор с демпфером сухого трения | |
KR101768620B1 (ko) | 선형 유압 액추에이터 | |
CN109441978A (zh) | 一种基于流体粘性的变阻尼驱动器 | |
KR100775511B1 (ko) | 쇽 업소버의 피스톤 실링구조 | |
KR20190114225A (ko) | 유공압 장치 | |
KR970070548A (ko) | 회전운동/직선 왕복운동 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압 발생장치 | |
RU2691808C1 (ru) | Захватный механизм с пятью степенями подвижност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