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213B1 -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213B1
KR102154213B1 KR1020200041586A KR20200041586A KR102154213B1 KR 102154213 B1 KR102154213 B1 KR 102154213B1 KR 1020200041586 A KR1020200041586 A KR 1020200041586A KR 20200041586 A KR20200041586 A KR 20200041586A KR 102154213 B1 KR102154213 B1 KR 10215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base
working
drill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규
강명순
Original Assignee
임대규
강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규, 강명순 filed Critical 임대규
Priority to KR1020200041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천공장치와 같은 작업에 필요한 높은 중량의 장비를 실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 일측에 형성되어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발판(140)을 포함하여 수중발파에 필요한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working platform}
본 발명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중발파 공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천공 및 장약작업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수중에서 발파를 하고자 하는 경우 소정의 위치에 발파공을 소정의 개수만큼 천공을 하여 장약공을 형성하고, 그와 같이 형성된 장약공에 화약을 장약하여 발파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작업이 수중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필수적으로 크레인이나 천공장치와 같은 관련 장비와 인력을 발파 위치까지 선박을 이용해 운반하여 선박을 소정 위치에 정박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국내 대형 수중발파용 선박은 선박의 중앙부에 빈 공간인 문풀(Moonpool)을 제작한 후 문풀을 활용하여 수중천공 및 장약작업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작업공간이 협소하며, 장비와 인력이 동일 공간에서 작업을 실시하여 안전성에도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수중발파용 전용 장비의 제작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추기 투자비용이 과다한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70007095호(2017.1.6.)
본 발명은 수중발파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를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천공장치와 같은 작업에 필요한 높은 중량의 장비를 실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일측에 형성되어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발판을 포함하여 수중발파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적으로 또는 바지선등에 고정하여서 수중발파 작업에 필요한 각종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대, 특히 천공장치 등이 운용되는 공간과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분리하여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의 측면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의 정면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의 상면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가 앵커로 정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수중발파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천공장치와 같은 작업에 필요한 높은 중량의 장비를 실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일측에 형성되어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발판을 포함하여 수중발파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의 측면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의 정면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의 상면 구조를 부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가 앵커로 정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는 베이스(100)와 작업발판(14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베이스(100)는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평면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부력을 가지게 형성된다. 부력은 통상의 바지선과 같이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룸으로써 확보될 수 있는바, 결과적으로 바람직한 베이스(100)의 형상은 대체로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을 이루게 된다.
베이스(100)에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멍에는 스퍼드(spud, 120)가 설치되는바, 수면에서 베이스(100)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여 움직임이 최소화되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스퍼드(120)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구멍은 스퍼드(120)가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하면서 견딜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최대한 작업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를 선정하여 복수개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100)에는 필요에 따라 난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100)는 천공장치(200)와 같은 고 하중의 장비와 수중발파 작업에 필요한 각종 장비와 도구를 실을 수 있음과 아울러 해당 장비를 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물론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작업발판(140)은 일정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판 구조를 이루어 베이스(100)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작업발판(140)은 베이스(100)와는 별도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따라서 베이스(100)에 실린 장비들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들이 작업발판(140)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작업발판(140)에는 천공홀(148)이 형성된다. 천공홀(148)에는 천공장치(200)에 의해 작동되는 천공드릴(248)이 관통될 수 있게 되는바, 천공드릴(248)이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직 하강하면서 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천공홀(148)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 결과 천공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천공 위치를 고려하여 필요한 위치의 천공홀(148)에 천공드릴(248)을 관통시켜서 작업을 수행하면 일정한 간격으로 장약공을 천공할 수 있게 되는바, 필요한 위치의 천공홀(148)에 천공드릴(248)을 관통시켜서 작업을 수행하면 일정한 간격으로 장약공을 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개조 및 추가 작업 없이 다양한 천공제원의 발파패턴을 천공할 수 있게 된다.
작업발판(140)은 망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망체로 형성되게 되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발판(140) 아래 수면의 상황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장약공의 천공위치 등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작업발판(140)은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작업발판(142)과 하부 작업발판(144)을 포함하는 구조로, 상부 작업발판(142)은 베이스(100) 상면과 비교적 수평한 위치에 형성되고, 하부 작업발판(144)은 상부 작업발판(142) 아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100)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베이스(100)와 분리된 독립적인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하부 작업발판(144) 위에 서서 필요한 작업, 예를 들면 천공 및 장약에 필요한 작업, 뇌관각선의 회수등에 필요한 작업 등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부 작업발판(142)이 낙하물의 낙하를 방지하게 되므로 안전한 상황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천공장치(200)와도 완전히 분리된 지점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더욱 안전한 상황에서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 구성에서 상부 작업발판(142)과 하부 작업발판(144)에는 모두 천공홀(148)이 형성된다. 따라서 천공드릴(248)의 수직도 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천공드릴(248)이 관통되는 케이싱을 설치하기도 용이하게 된다. 기와 같은 작업발판(140)에는 난간이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난간을 통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는 수면에 설치하여 수중발파에 필요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인선으로 작업위치까지 끌고 가서 스퍼드(120)로 정박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만, 정박 방법은 앞서 스퍼드(120)에 의한 정박을 예로 하였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130)으로 정박하는 것도 가능하고, 베이스(100)를 기존의 선박이나 바지선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100)에는 수중발파 작업에 필요한 자재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나 작업자가 대기할 수 있는 공간등을 필요에 따라 구획하거나 별도로 마련하여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바, 다양한 구조로 변형하면서 최적의 수중발파 천공 작업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100 : 베이스, 120 : 스퍼드,
140 : 작업발판, 142 : 상부 작업발판,
144 : 하부 작업발판, 148 : 천공홀,
200 : 천공장치, 248 : 천공드릴.

Claims (5)

  1.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천공장치와 같은 작업에 필요한 고 중량의 장비를 실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 일측에서 베이스(100)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2단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하거나 보조설비를 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천공홀(148)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천공장치의 천공드릴(248)이 관통될 수 있게 되는 작업발판(140),
    을 포함하는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에는 스퍼드(spud)를 설치할 수 있는 구멍이 복수개 형성되는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140)은 망체로 형성되어 작업발판(140) 아래 상황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

  4. 삭제
  5. 삭제
KR1020200041586A 2020-04-06 2020-04-06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 KR10215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586A KR102154213B1 (ko) 2020-04-06 2020-04-06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586A KR102154213B1 (ko) 2020-04-06 2020-04-06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213B1 true KR102154213B1 (ko) 2020-09-09

Family

ID=7245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586A KR102154213B1 (ko) 2020-04-06 2020-04-06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2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285A (ko) * 2008-01-04 2009-07-08 김지신 수중 및 수상작업대가 구비된 작업선
KR20170007095A (ko) 2015-07-10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팅 시스템 및 그것의 리소스 관리 방법
KR102014712B1 (ko) * 2018-08-27 2019-10-21 주식회사 고려노벨화약 이동식 폭약량 자동 조절 주입 장치와 벌크 폭약 장전기가 설치된 수중발파 전용 바지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285A (ko) * 2008-01-04 2009-07-08 김지신 수중 및 수상작업대가 구비된 작업선
KR20170007095A (ko) 2015-07-10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팅 시스템 및 그것의 리소스 관리 방법
KR102014712B1 (ko) * 2018-08-27 2019-10-21 주식회사 고려노벨화약 이동식 폭약량 자동 조절 주입 장치와 벌크 폭약 장전기가 설치된 수중발파 전용 바지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33506B (zh) 冲击钻限位成孔植入结合履带吊的钢栈桥施工方法及设施
JP3187726B2 (ja) 大水深掘削用複合型パイプ揚降装置
CN110984004B (zh) 一种桥梁下部支撑结构的拆除方法
US4276959A (en) Quick way scaffold
EP295430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testing of ground support bolts anchor bolts or rock bolts
KR102154213B1 (ko) 수중발파 작업용 작업대
CN101870435A (zh) 直升机平台的翻转式吊装方法
Olsson et al. Äspö HRL. Experiences of blasting of the TASQ tunnel
CN102277981B (zh) 一种对钢筋混凝土构筑物水下钻切施工方法
KR20000036258A (ko) 수중암반의 발파공법
CN205444137U (zh) 一种调压井施工操作平台
KR102014712B1 (ko) 이동식 폭약량 자동 조절 주입 장치와 벌크 폭약 장전기가 설치된 수중발파 전용 바지선.
KR20110094895A (ko) 데릭 승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CN106194025B (zh) 海上凿岩施工工艺及设备
KR20120058108A (ko) 운반 장비의 하중 테스트를 위한 웨이트
KR100796033B1 (ko) 레이즈클라이머를 이용한 수직위치 측량방법
CN111980594A (zh) 临时海底基盘及批量安装深水表层导管的方法
KR100743452B1 (ko) 버력 처리가 용이한 수직갱의 발파방법
KR101005897B1 (ko) Bop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경사테스트 방법
US4134702A (en) Arrangement of platform deck for oil rigs or the like
CN217268735U (zh) 一种用于网架高空作业的吊笼
KR102177228B1 (ko) 액화 천연가스 저장탱크용 작업대 설치방법
KR100518034B1 (ko) 해상 그라우팅에 사용되는 작업대
Hold et al. ROPE ACCESS FOR INSPECTION AND MAINTENANCE.
JP2681218B2 (ja) 深礎工法における作業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