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314B1 - 생물오손 방지용 역삼투막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생물오손 방지용 역삼투막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3314B1 KR102153314B1 KR1020180084095A KR20180084095A KR102153314B1 KR 102153314 B1 KR102153314 B1 KR 102153314B1 KR 1020180084095 A KR1020180084095 A KR 1020180084095A KR 20180084095 A KR20180084095 A KR 20180084095A KR 102153314 B1 KR102153314 B1 KR 1021533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verse osmosis
- osmosis membrane
- layer
- disinfectant
- membrane accor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8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SXRSQZLOMIGNAQ-UHFFFAOYSA-N Glutaraldehyde Chemical group O=CCCCC=O SXRSQZLOMIGNA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UUIVKBHZENILKB-UHFFFAOYSA-N 2,2-dibromo-2-cyanoacetamide Chemical compound NC(=O)C(Br)(Br)C#N UUIVKBHZENILK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768 polyami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60003333 chlorhexidine gluconate Drugs 0.000 claims 2
- YZIYKJHYYHPJIB-UUPCJSQJSA-N chlorhexidine gluconate Chemical group OC[C@@H](O)[C@@H](O)[C@H](O)[C@@H](O)C(O)=O.OC[C@@H](O)[C@@H](O)[C@H](O)[C@@H](O)C(O)=O.C1=CC(Cl)=CC=C1NC(=N)NC(=N)NCCCCCCNC(=N)NC(=N)NC1=CC=C(Cl)C=C1 YZIYKJHYYHPJIB-UUPCJSQJSA-N 0.000 claims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417 fungicid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855 fungicid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2770 biofilm form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9
- GHXZTYHSJHQHIJ-UHFFFAOYSA-N Chlorhexidine Chemical compound C=1C=C(Cl)C=CC=1NC(N)=NC(N)=NCCCCCCN=C(N)N=C(N)NC1=CC=C(Cl)C=C1 GHXZTYHSJHQHI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9
- 229960003260 chlorhexidine Drugs 0.000 description 3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4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4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7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6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218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47 ki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NCOSPRUTUOJCJ-UHFFFAOYSA-N Biguanide Chemical group NC(N)=NC(N)=N XNCOSPRUTUOJ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589517 Pseudomonas aeruginos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1240958 Pseudomonas aeruginosa PAO1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WZCQRUWWHSTZEM-UHFFFAOYSA-N 1,3-phen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C(N)=C1 WZCQRUWWHSTZ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UWCPYKQBIPYOLX-UHFFFAOYSA-N benzene-1,3,5-tr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C(Cl)=O)=CC(C(Cl)=O)=C1 UWCPYKQBIPYOL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45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18564 m-phenylened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78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83 ATR-FTI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GHNJXZEOKUKBD-SQOUGZDYSA-M D-gluconat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 RGHNJXZEOKUKBD-SQOUGZDYSA-M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695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50410 glucon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036 growth inhib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836 hexameth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2])C([H])([H])C([H])([H])C([H])([H])C([H])([H])C([H])([H])[*:1]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854 p-chloro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C([H])C([H])=C1Cl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JMOSONTPMZWPB-UHFFFAOYSA-M propidium iodide Chemical compound [I-].[I-].C12=CC(N)=CC=C2C2=CC=C(N)C=C2[N+](CCC[N+](C)(CC)CC)=C1C1=CC=CC=C1 XJMOSONTPMZWPB-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56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3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3456 Microcol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NIPNSKYNPDTRPC-UHFFFAOYSA-N N-[2-oxo-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NIPNSKYNPDTR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2 Student's t-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26 X-ray photoelectr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63 acyl chlorid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2 aldehy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68 am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40 amide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89 atomic force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93 bioaccumul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39 bio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65 bio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98773 bovine serum albu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79 cell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8 che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81 chemical toxic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86 cytos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16 effect on prote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49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0 fluorescent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00 immo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5 industri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53 low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1 microbia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61 microbic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55 microbicid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00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8 molecular pro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5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20 protein precip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6 re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8—Phys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e.g. swelling, coating or impregn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01D2321/168—Use of other chemical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8—Antimicrobi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화성 살균제층이 고정된 역삼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은 항균 특성 및 생물막 형성 저해 능력이 우수하고, 지속 가능한 사용이 보장되며, 화학 물질 투여에 비해 친환경적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물오손 방지용 역삼투막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수 담수화 및 폐수 처리 분야에 있어서, 역삼투 공정은 해수 및 폐수를 정수하여 식수 및 공업용수를 생산하는 대표적인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역삼투 공정에는 매우 얇은 폴리아미드층을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층으로 이루어진 역삼투막이 많이 활용되어 왔다. 폴리아미드층을 포함하는 역삼투막은 다양한 범위의 pH 조건에서 안정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높은 유량 및 염 제거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수십여 년에 걸쳐 막 기반의 분리 공정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역삼투막을 이용한 역삼투 공정에서는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원치 않는 유기물 및 무기물이 막에 부착됨으로 인해 공정 성능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생물오손 (biofouling)은 유기물 부착의 일종으로서, 세균의 최초 부착, 마이크로콜로니의 형성, 및 성숙한 생물막 (biofilm)의 형성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연속적인 생물막 형성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특히 역삼투 공정에서의 생물오손은 공정에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일반적인 유기물 또는 무기물과는 달리, 세균 등의 미생물이 최초 부착하게 되는 경우, 살균, 소독 등의 전처리 공정을 통해 상기 미생물의 99.9%를 제거할 수 있지만, 극소량의 미생물이라도 잔류하게 되는 경우 미생물이 막 표면에서 다시 성장함으로써, 심각한 부착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물막은 미생물 그 자체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 자체적으로 분비하는 탄수화물, 단백질과 같은 세포외 고분자 물질 (EPS,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까지 포함하는데, 생물막 내의 미생물은 자체 분비한 세포외 고분자 물질에 감싸지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제거하기 매우 어렵다. 이로 인해 역삼투막에 생물오손이 발생하게 되면 작동 비용의 증가 뿐만 아니라, 투과 유량 및 염 제거율이 감소하게 되며, 심한 경우 막의 손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역삼투 공정에서 생물오손의 방지는 중요한 해결 과제에 해당한다.
종래에는 역삼투막에 발생하는 생물오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살균제를 사용하거나, 산 또는 염기를 이용하여 제거하거나, 금속 킬레이트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화학적 제거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산화제와 같이 주로 사용되는 화학적 제거제는 역삼투막의 폴리아미드층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역삼투 공정에서 전후처리 또는 공급류에 화학적 제거제를 첨가함으로써 생물오손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도, 역삼투 농축물에 남아있는 화학 물질이 해수, 지하수 또는 지표수와 같은 수생 생태계에 2차 피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역삼투 공정에서 역삼투막에 생물오손의 발생을 저감, 방지하여 역삼투 공정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종래 기술에 비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전략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역삼투막의 구조를 손상시키지 않는 항균 물질을 이용하여, 생물오손 발생을 방지하면서 역삼투 공정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 시킬 수 있는 역삼투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을 포함하는 역삼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막의 표면에 항균 물질을 고정시킴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고 화학적 제거제를 직접 투여하는 경우에 비해 친환경적인 역삼투막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공성 지지층, 상기 다공성 지지층에 결합된 폴리이미드층 및 상기 폴리이미드층에 결합된 제1 살균제 층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살균제 층에 결합된 제2 살균제 층 및 상기 제2 살균제 층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제3 살균제 층을 더 포함하는 역삼투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을 포함하는 역삼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막 표면에 살균제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다층 구조의 역삼투막이 제공되며, 이를 이용하여 역삼투 공정 작동시 막 표면에 고정된 살균제에 의해 막 표면에 세균의 최초 부착이 저감되고, 세균의 생존 가능성이 낮아져 막 표면에 생물막이 형성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은 살균제층을 화학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재사용시에도 안정적인 성능 확보가 가능하며, 화학 물질의 직접 투여 방식에 비해 살균제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역삼투막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검은색),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적색),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 (청색)에 대해 Cl 밴드의 (a) XPS 스펙트럼 및 (b) ATR-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a)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b)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및 (c)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의 SEM 이미지이고, 삽도는 각각의 역삼투막에 대한 물 접촉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a)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b)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및 (c)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의 AFM 이미지이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검은색),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적색),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 (청색)의 제타 전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검은색),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적색),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 (청색)을 사용하는 경우 (a) 물 유량 (Water flux) 및 염의 제거율 (NaCl rejection), (b) 각 역삼투막의 성능 안정성 (정규화된 물 유량), 및 (c) 클로로헥시딘 고정화 안정성 그래프이다.
도 7은 드립 흐름 반응기의 작동 후에 (a)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b)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및 (c)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물막의 CLSM 이미지이다. 살아있는 세균은 녹색으로 나타나며, 사멸한 세포는 적색으로 나타난다.
도 8은 (a)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b)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및 (c)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을 사용하는 배치 규모의 역삼투 유닛을 24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에 생물오손을 확인한 SEM 이미지이다.
도 9은 (a)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b)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및 (c)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을 사용하는 배치 규모의 역삼투 유닛을 24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에 생물막에 포함된 세포외 고분자 물질 (EPS)의 구성 성분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검은색),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적색),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 (청색)에 대해 Cl 밴드의 (a) XPS 스펙트럼 및 (b) ATR-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a)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b)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및 (c)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의 SEM 이미지이고, 삽도는 각각의 역삼투막에 대한 물 접촉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a)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b)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및 (c)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의 AFM 이미지이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검은색),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적색),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 (청색)의 제타 전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검은색),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적색),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 (청색)을 사용하는 경우 (a) 물 유량 (Water flux) 및 염의 제거율 (NaCl rejection), (b) 각 역삼투막의 성능 안정성 (정규화된 물 유량), 및 (c) 클로로헥시딘 고정화 안정성 그래프이다.
도 7은 드립 흐름 반응기의 작동 후에 (a)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b)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및 (c)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물막의 CLSM 이미지이다. 살아있는 세균은 녹색으로 나타나며, 사멸한 세포는 적색으로 나타난다.
도 8은 (a)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b)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및 (c)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을 사용하는 배치 규모의 역삼투 유닛을 24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에 생물오손을 확인한 SEM 이미지이다.
도 9은 (a)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 (b)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및 (c)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을 사용하는 배치 규모의 역삼투 유닛을 24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에 생물막에 포함된 세포외 고분자 물질 (EPS)의 구성 성분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공성 지지층, 상기 다공성 지지층에 결합된 폴리이미드층 및 상기 폴리이미드층에 결합된 제1 살균제 층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살균제 층에 결합된 제2 살균제 층 및 상기 제2 살균제 층에 결합된 제3 살균제 층을 더 포함하는 역삼투막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공성 지지층은 초미세여과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층은 상기 다공성 지지층의 기공에 단량체를 증착시키고, 상기 단량체를 기초로 계면 중합하여 형성시킨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살균제 층을 포함하는 역삼투막은 상기 제3 살균제 층에 결합된 제4 살균제 층 및 상기 제4 살균제 층에 결합된 제5 살균제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에서 상기 제1 내지 제5 살균제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는 비산화성 살균제일 수 있다. 막의 생물오손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막의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과 막의 표면에 항균 물질을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막의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으로는, 막의 표면에 작용기를 도입하여 막의 소수성 (hydrophobicity), 평활도 (smoothness) 또는 막의 음전하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으며, 막의 표면에 항균 물질을 고정하는 방법에는 살균제, 유기물질 또는 나노입자를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막의 표면에 살균제를 고정하는 경우, 역삼투막의 폴리아미드층에는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막 표면의 생물오손을 방지하기 위해 비산화성 살균제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에서 상기 제1, 제3 및 제5 살균제는 클로로헥시딘 및 DBNPA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클로로헥시딘 (chlorhexidine, C22H30Cl2N10)은 클로르헥시딘 또는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로도 알려져 있으며, 2 개의 대칭인 4-클로로페닐 고리와 중심에 위치한 헥사메틸렌 사슬에 결합된 2 개의 비구아니드기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클로로헥시딘은 포유동물에 대한 낮은 독성으로 인해 소독제, 방부제, 손 세정제 및 구강 관리 제품으로 많이 사용되며, 박테리아, 조류, 균류, 효모 및 바이러스와 같은 광범위한 미생물에 대한 사멸 효과가 확인되었다.
DBNPA (2,2-dibromo-3-nitrilopropionamide, C3H2Br2N2O)는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 세포에서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을 방해하여 미생물의 주요 대사를 억제시키는 비산화성 살균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에서 상기 제2 및 제4 살균제는 글루타르알데히드일 수 있다.
글루타르알데히드 (glutaraldehyde, C5H8O2)는 박테리아, 균류 및 바이러스에 대해 광범위한 사멸 효과가 있는 동시에, 글루타르알데히드의 알데히드기는 아미드기를 갖는 다른 화합물과의 화학적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에서 살균제 층은 아미드 결합에 의해 화학적으로 결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을 포함하는 역삼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그람 음성균으로 녹농균 PAO1 (Pseudomonas aeruginosa)을 사용하였다. 녹농균은 역삼투 공정에서 역삼투막의 표면에 생물오손을 일으키는 주요 세균 중 하나이다. 녹농균을 트립틱 소이 배지 (TSB) (BD, Franklin)를 이용하여 진탕 배양기에서 250 rpm, 37℃ 조건으로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다공성 지지층 재료로 폴리설폰 (PSF) 초미세여과 (UF, ultrafiltraion)막 (PS-20, Nanostone Water Inc.)을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폴리아미드 (PA)층의 계면 중합을 위해, 3.0% 농도의 m-페닐렌디아민 (MPD, 99.0%, SigmaAldrich) 수용액 및 0.15% 농도의 트리메소일클로라이드 (TMC, 98.0%, SigmaAldrich)의 n-헥산 용액을 준비하였다. 살균제로 20% 농도의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G, Wako) 용액 및 25% 글루타르알데히드 (GA, SigmaAldrich) 용액을 준비하였다. 클로로헥시딘 용액은 증류수를 이용하여 0.5, 1, 2, 3 중량%로 희석하고, 25% 글루타르알데히드 용액은 증류수를 이용하여 1.0 중량%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역삼투막의 제조
폴리설폰 초미세여과막을 이소프로필알콜과 증류수로 각각 10분 동안 세척하였다. 세척한 폴리설폰 초미세여과막을 실리콘 프레임이 달린 유리판에 고정시키고, 3.0 중량%의 m-페닐렌디아민 수용액을 3분 동안 주입하여 적셔주었다. 이후에, 수용액은 버리고 막 표면에 남아 있는 m-페닐린디아민 수용액은 에어건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0.15 중량%의 트리메소일클로라이드의 n-헥산 용액을 상기 막 위에 부어 폴리아민층을 형성시켰다. 1분 동안 반응시킨 이후에, 잔여 트리메소일클로라이드 용액은 제거하고, 제조된 막을 n-헥산으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된 막을 1분 동안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생성된 막은 사용 전에는 증류수 내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1. 역삼투막의 제조
실시예 1-1. 클로로헥시딘 단일층이 형성된 역삼투막의 제조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각각의 막에 0.5, 1.0, 2.0 및 3.0 중량%의 클로로헥시딘 수용액을 부어 막 표면에 존재하는 아실클로라이드기와 클로로헥시딘의 아미드 형성 반응을 유도하였다. 10분 동안 반응시킨 이후에, 클로로헥시딘층이 형성된 막을 증류수로 세척하여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클로로헥시딘 수용액을 제거하였다. 생성된 막은 사용 전에는 증류수 내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1-2. 클로로헥시딘 이중층이 형성된 역삼투막의 제조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한 막에 1.0 중량%의 글루타르알데히드 수용액을 부어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글루타르알데히드층이 생성된 막을 증류수로 세척하여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글루타르알데히드 수용액을 제거하였다. 이후 막에 다시 실시예 1-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농도의 클로로헥시딘 수용액을 부어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막은 사용 전에는 증류수 내에 보관하였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1 및 1-2에서 3.0 중량%의 클로로헥시딘 수용액 및 1.0 중량%의 글루타르알데히드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역삼투막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막의 물성 확인
실시예에 따라 막에 클로로헥시딘이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XPS (PHI 5000, VersaProbe, Physical electronics In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486.6 eV 조건에서 단색의 Al Kα 방사를 이용하였으며, X-ray 건은 10 kV 및 1 mA로 작동시켰다. 그 결과, 198 내지 204 eV의 범위에서 염소에 의한 결합 에너지 변화가 확인되었다 (도 2 (a)).
또한, ATR-FTIR (Nicolet iS50, Thermo Fisher Scientific Inc.)를 이용하여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막에 클로로헥시딘과 글루타르알데히드와 같은 살균제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을 확인하였다. 역삼투막의 표면을 FT-IR 4100 (JASCO) 분석기로 측정하고, 2800 내지 3200 cm-1의 범위에서 1.0 cm-1 파수의 해상도로 최소 50번 스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도 2 (b)와 같다.
FE-SEM (S4800, Hitachi)을 이용하여 가속 전압 15 kV에서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막의 표면 이미지를 얻었다 (도 3).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막을 증류수로 세척하고 실온에서 데시케이터로 건조하여 준비하였으며, FE-SEM 분석 전에 백금 이온-스퍼터 코터 (E-1030, Hitachi)를 이용하여 20 mA 조건에서 90초 동안 코팅시켰다.
AFM을 이용하여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막의 이미지를 얻었다 (도 4).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의 경우 표면이 거친 데에 비해, 실시예 1-1 및 1-2에 따른 역삼투막의 경우 클로로헥시딘 층이 형성됨에 따라 폴리아미드층 표면의 거칠기가 줄어들었다. 이는 클로로헥시딘이 폴리아미드 표면의 골-마루 (valley-ridge) 구조에서 골 부분에 더 부착됨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정적 접촉각 분석기 (Pheonix 300, Surface Electro Optics)를 이용하여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막의 습윤성 (wettability)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막에 대해 Sessile drop 방법으로 물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물 접촉각은 비디오 카메라가 구비된 측각기 (KSV CAM-200, KSV Instruments)를 이용하였다. 각 샘플에 대해 적어도 7회의 측정을 통해 평균 값을 얻어 도 3의 삽도에 표기하였다.
흐름 전류 동전기 분석기 (SurPASS, Anton Parr GmbH)로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막의 제타 전위를 결정하였다. 10 mM의 NaCl 용액에 0.1 M HCl 및 NaOH을 소량씩 가하여 pH 3 내지 10으로 조절된 전해질 용액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막을 cm x cm 크기로 샘플을 준비하고, 이 샘플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3회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와 같다.
실험예
실험 데이터의 통계적 차이는 P-value로 분석하였다. P-value는 Microsoft Excel 소프트웨어로 Student’s t-test를 통해 계산하였다.
실험예 1. 디스크 확산 분석을 통한 항균성 평가
디스크 확산 분석 (disk diffusion assay)을 통해 살균제에 대한 미생물의 저항성과 민감도를 확인하였다. 초미세여과막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쿠폰 (coupon)을 지름 6 mm의 원형으로 준비하고,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처리하였다. 각 디스크 쿠폰을 0.5, 1.0, 2.5 및 5.0 중량%의 클로로헥시딘 용액 3 mL, 및 0.5, 1.0, 2.5 및 5.0 중량%의 글루타르알데히드 용액 3 mL에 침지시킨 후, 패트리디쉬에 놓고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TSB 배지에서 배양한 세균 100 μL (600 nm 조건에서 O.D.=0.1)를 TSA 플레이트에 발라주었다. 샘플 각각을 TSA 플레이트 위에 놓고 확산 실험을 수행하였다. 플레이트 상에 나타나는 억제 영역 (inhibition zone)을 버니어 캘리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
클로로헥시딘 농도 (중량 %) | 글루타르알데히드 농도 (중량 %) | |||||||
0.5 | 1.0 | 2.5 | 5.0 | 0.5 | 1.0 | 2.5 | 5.0 | |
P. aeruginosa PAO1 |
8.7±0.8 | 10.0±0.6 | 12.8±0.3 | 13.3±0.5 | ND | ND | ND | 6.6±0.4 |
(3회 측정에 따른 평균±표준편차, 단위 : mm, ND : Not Detectable)
표 1에서 클로로헥시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원형의 억제 영역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5, 1.0, 2.5 및 5.0 중량%의 클로로헥시딘에 침지된 쿠폰은 각각 8.7, 10.0, 12.8 및 13.3 mm의 세균 억제 영역을 형성하였다. 0.5, 1.0, 2.5 중량%의 글루타르알데히드에 침지된 쿠폰은 세균 성장 억제 및 감수성에 관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5 중량%의 글루타르알데히드에 침지된 쿠폰은 지름 6.6 mm의 성장 억제 영역을 나타내었고, 녹농균 PAO1에 대해 낮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클로로헥시딘이 글루타르알데히드에 비해 녹농균 PAO1에 대한 더 높은 감수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역삼투막의 최상층을 구성하는 살균제로 글루타르알데히드보다는 클로로헤시딘을 선택하면 보다 우수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예 2. 역삼투막의 성능 평가
드립 흐름 생물막 반응기 (DFR, drip flow biofilm reactor) (BioSurface Technologies, Bozeman)를 이용하여 비교예, 실시예 1-1 및 1-2에 따른 역삼투막의 생물막 형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험 전에 모든 실험 장비를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멸균하였다. 각각의 역삼투막을 너비 2.5 cm x 길이 5 cm 크기의 쿠폰으로 준비하였다. 각각의 역삼투막 쿠폰의 지지층을 3M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유리 슬라이드의 표면에 부착하였다. 역삼투막 쿠폰을 신선한 TSB 18 mL 및 녹농균 배양 (595 nm 조건에서 O.D.=1.0) 2 mL로 채워진 패트리디쉬 내에 각각 침지시켰다 (37℃에서 24시간 동안 수행).
생물막이 형성된 비교예, 실시예 1-1 및 1-2에 따른 역삼투막의 작동 성능을 물의 유량과 NaCl 제거율을 통해 평가하였다 (도 6 (a)).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의 물의 유량은 27.0±1.0 Lm-2h-1, NaCl 제거율은 99.2±0.1%로 나타났다.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의 물의 유량은 24.0±1.0 Lm-2h-1, NaCl 제거율은 99.1±0.2%로 나타났다.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의 물의 유량은 22.0±2.0 Lm-2h-1, NaCl 제거율은 99.1±0.1%로 나타났다.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역삼투막은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에 비해 유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역삼투막 표면에 수많은 클로로헥시딘 분자가 고정됨으로써 나타난 결과이다. 또한, 이는 클로로헥시딘 도입에 따라 막 표면의 소수성이 증가한 것에도 부합한다 (도 3 삽도 참조). 비교예 및 실시예 1에 따른 역삼투막 작동시 NaCl 제거율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클로로헥시딘이 비산화성 살균제로서, 폴리아미드층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높은 수준의 염 제거율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역삼투막 성능의 지속적인 유지 가능 여부 및 역삼투막의 재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막 성능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도 6 (b)). 비교예, 실시예 1-1 및 1-2에 따른 역삼투막을 이용하는 배치 규모의 역삼투 유닛을 총 36시간 동안 작동시켰을 때, 각 유닛의 정규화된 유량 (normalized water flux)을 분석하였다. 처음 정규화된 유량은 24시간 동안 작동시킨 것에 대한 값이다. 24시간 작동 이후에, 각 유닛을 30분 동안 물리적으로 세척하고, 12시간 동안 재작동시켰다.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의 정규화된 유량은 초기 유량에 비해 57.8% 감소하였는데, 이는 생물오손이 증가함에 따라 유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의 경우 유량이 20.9% 감소하였다. 이러한 성능 유지는 막 표면에 고정된 살균제가 생물막 형성을 지연시키고, 막 표면의 미생물을 사멸시킨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의 정규화된 유량은 최초 12시간 동안에는 실시예 1-2에서 나타난 경향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의 정규화된 유량은 12시간 이후에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이후 24시간까지 54%가 감소하였다. 12시간 이후에 나타나는 유량의 급격한 감소는 생물오손 축적으로 인해 막의 항균 활성이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각 유닛을 물리적으로 세척한 후에 재작동 시킨 경우, 유량은 재작동 기간 (12시간)에 전반에 걸쳐 각 유닛의 최초 작동시의 유량의 변화 경향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성능 평가한 후, 성능 평가 전과 비교하여 막 표면의 Cl 함량을 확인하였다 (도 6 (c)). 막 표면의 Cl 함량이 0.93에서 0.87로 약간 감소하였으나, 24시간의 사용 후에도 클로로헥시딘 층 대부분이 막 표면에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역삼투막을 물리적으로 세척하면 지속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CLSM) 분석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CLSM) (LSM780, Carl Zeiss LSM780)을 이용하여 생물막 내의 세포 및 사멸한 세포를 시각화하여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의 z-스택 모드를 이용하여 드립 흐름 반응기 내의 쿠폰 상에 형성된 생물막으로부터 3D 이미지를 얻었다. Live/Dead BacLight 세균 생존 키트 (Molecular Probes, Eugene)를 이용하여 세균 생존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형광 염료로 SYTO 9 및 프로피디움아이오디드 (PI)를 사용하여 각각 15분 동안 암실에서 실온 조건에서 생물막을 배양하는 경우, 살아있는 세포는 녹색으로, 사멸한 세포는 적색으로 염색된다. 염색 후에, 상기 쿠폰을 증류수로 2회 세척하여 잔여 염료를 제거하였다. x20 대물렌즈 (Plan-APOCHROMAT 20x/0.8, Carl Zeiss)를 이용하여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이미지를 얻었다 (도 7). Zen 소프트웨어 (Carl Zeiss) 및 ImageJ (NIH, Bethesda)를 이용하여 생물막의 3D 이미지로부터 살아있는 세포와 사멸한 세포의 평균 비율 (%), 생물막의 두께 (μm), 생체 부피 (μm3/μm2)를 계산하였다.
생물막 특성 | 비교예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생물막의 두께 (μm) |
25.0±5.9 | 18.1±3.0 | 17.3±1.3 |
생체 부피 (μm3/μm2) |
23.5±5.7 | 15.6±2.3 | 4.3±0.7 |
살아있는 세포 (μm3/μm2) |
18.0±4.4 | 5.3±1.0 | 0.7±0.1 |
사멸한 세포 (μm3/μm2) |
5.5±1.3 | 10.3±1.5 | 3.6±0.6 |
(3회 측정에 따른 평균±표준편차)
도 7 및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물막은 대부분 살아있는 세균이었다.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물막의 생체 부피 및 두께가 가장 크고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은 실시예 1-1 및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에 비해 가장 우수한 생물막 형성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물막의 생체 부피는 육안으로 확인하여도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물막에서는 사멸한 세포 (적색)가 살아있는 세포 (녹색)에 비해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체막의 생체 부피 및 살아있는 세포의 양은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체막에 비해 각각 81.7% 및 96.1%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체막의 생체 부피 및 살아있는 세포의 양은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체막에 비해 각각 33.6% 및 70.6%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실시예 1에 따른 역삼투막은 우수한 항균 효과를 보여주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막 표면에 클로로헥시딘을 고정하는 것은 사차암모늄 화합물 (QAC)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대부분의 세균에 대해 접촉 사멸시키는 항균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클로로헥시딘은 2 개의 대칭인 4-클로로페닐 고리와 중심에 위치한 헥사메틸렌 사슬에 결합된 2 개의 비구아니드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2 개의 비구아니드기는 양전하를 띠고 있는데, 이로 인해 클로로헥시딘이 고정된 막은 양전하를 띠게 된다. 클로로헥시딘이 고정된 막과 음전하를 띠는 세균 표면 (예를 들어, 세포벽 및 세포질막)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게 되고, 접촉 사멸 메커니즘을 통해 항균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클로로헥시딘 분자의 비구아니드기에 의해 세균 세포질막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세포막의 직접적인 파열로 이어져 세균을 사멸시키게 된다. 추가적으로, 클로로헥시딘은 광범위한 세포 손상, 세포질 성분의 응고, 및 단백질과 핵산의 침전을 유발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 표면이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 표면에 비해 더 길고 유연한 살균제의 사슬을 가지며, 더 높은 양전하를 띠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4. 세포외 고분자 물질 분석
비교예, 실험예 1-1 및 1-2에 따른 역삼투막에 생물오손을 발생시켜, 막 표면에 발생한 생물오손을 더 분석하였다. 생물오손이 발생한 각 샘플을 4℃의 4% 글루타르알데히드 용액에 1시간 동안 침지시켜 생물막을 고정하였다. 각 샘플을 50, 70, 90 및 100%의 에틸알콜 용액에 순차적으로 15분씩 침지시켜 생물막을 탈수시켰다. 이후 각 샘플을 데시케이터에서 밤새 건조하였다. FE-SEM으로 관찰하기 전에, 각 샘플을 백금 이온-스퍼터 코터로 20 mA 조건에서 90초 동안 코팅시켰다. 15kV에서 x3000, x5000 및 x10000로 관찰한 FE-SEM 이미지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은 세균 세포의 축적으로 인해 전체 막 표면이 두꺼운 생물막으로 덮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은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생물오손 형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에서 가장 우수한 생물오손 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8 (c)의 SEM 이미지는 세균 및 세포외 고분자 물질이 거의 없어 막 표면의 넓은 면적이 노출된 것을 보여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이미지에서 생물막 내의 세균 세포가 세포외 고분자 물질로 둘러싸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포외 고분자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각 샘플을 5 cm x 5cm의 크기로 준비하고, 실리콘 주걱과 0.9% NaCl 용액을 이용하여 막 표면의 모든 부착 물질을 수집하였다. 30mL의 오손 용액을 와류 혼합기로 완전히 혼합하고, 12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은 피펫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침전물은 0.9% NaCl 용액 10 mL에 다시 분산시키고, 와류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 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이를 4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은 피펫으로 수집하고, 외부의 생물막 구조를 형성하는 세포외 고분자 물질 (structure EPS)로서 분석하였다. 세포 주변에 결합된 세포외 고분자 물질 (bound EPS)은 열 추출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원심분리 후 남은 침전물에 0.9% NaCl 용액 10mL를 첨가하였다. 와류 혼합기로 혼합한 후, 각 샘플을 80℃에서 30분 동안 가열시키고, 12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피펫으로 수집하고, 세포 주변에 결합된 세포외 고분자 물질로서 분석하였다.
외부의 생물막 구조를 형성하는 세포외 고분자 물질 및 세포 주변에 결합된 세포외 고분자 물질은 주로 탄수화물과 같은 다당류 및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었다. Coomassie (Bradford) 단백질 분석 키트 (Thermo Scientific)를 이용하여 소 혈청 알부민을 기준으로 세포외 고분자 물질 내의 총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탄수화물 및 단백질의 광학 밀도 (즉, 흡수율)는 UV 분광광도계 (DR-5000, HAC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샘플별로 외부의 생물막 구조를 형성하는 세포외 고분자 물질 및 세포 주변에 결합된 세포외 고분자 물질을 세분화하여 평가하였다 (도 9).
도 9 (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물막에서 세포외 고분자 물질 농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포외 고분자 물질 내의 탄수화물은 막 표면에 고정된 클로로헥시딘층의 항균 및 생물막 저해 효과로 인해 외부의 생물막 구조를 형성하는 세포외 고분자 물질 및 세포 주변에 결합된 세포외 고분자 물질 모두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물막의 총 탄수화물 양은 325.6 mg/m2인데,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에 형성된 생물막의 총 탄수화물 양은 65.8 mg/m2으로 79.8% 적은 수치이다. 이러한 결과는 표 2 및 도 7에 나타난 생물막 특성 및 CLSM 이미지와 유사한 결과에 해당한다.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생물막의 세포외 고분자 물질은 주로 탄수화물과 단백질과 같이 미생물로부터 분비된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외 고분자 물질 중의 탄수화물 부분은 접착성 및 점착성이 있어 생성되는 생물막의 내구성 및 안정성 증가에 기여하게 된다. 세균 세포 주변에 형성되는 세포외 고분자 물질의 매트릭스는 흡착제 또는 반응제로 작용하여 미생물을 외부의 독성 화학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실시예 1에 따른 역삼투막은 세포외 고분자 물질 전체의 탄수화물을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역삼투막은 막 표면에 초기 부착되는 세균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외 고분자 물질의 전체 양을 감소시킨다. 다만, 단백질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는 세포외 고분자 물질 내의 단백질은 살아있는 세포 및 이로부터 분비된 것뿐만 아니라 용균된 세포와 같이 사멸한 세포의 잔여물의 양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더라도, 실시예 1에 따른 역삼투막을 이용한 역삼투 유닛의 경우 세포외 고분자 물질의 총량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물 유량을 고려할 때, 상기와 같은 세포외 고분자 물질의 감소는 막 성능의 유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생물오손이 발생함에 따라 세포외 고분자 물질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역삼투 공정에서 투과 유량과 같은 작동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in-situ
역삼투 공정 적용 검토
실시예 1에 따른 역삼투막은 비교예에 따른 역삼투막에 비해 감소된 생체 부피 및 생물막 두께를 나타내어, 감소된 생물오손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 따른 역삼투막은 세포외 고분자 물질의 감소로 인해 더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였다. 비록,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은 작동 12시간 이후에 유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은 역삼투 유닛의 작동 전반에 걸쳐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1-2에 따른 역삼투막이 layer-by-layer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실시예 1-1에 따른 역삼투막에 비해 더 유연하고 긴 살균층의 사슬을 형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과 같이 역삼투막 표면에 클로로헥시딘을 고정시키면 다양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역삼투막은 in-situ 역삼투 공정의 작동 전반에 걸쳐 요구되는 화학적 세척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화학적 세척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화학적 제거제의 절약 및 역삼투 작동 비용의 감소를 의미하며, 더 긴 시간 동안 작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종합하면, 클로로헥시딘이 고정된 역삼투막을 in-situ 역삼투 공정에 적용하면, 화학적 제거제로 인한 막의 손상을 감소시키고, 생물오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막의 생분해의 감소로 인해 막 모듈의 교체 비용을 감소시키므로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잔여 화학적 제거제로 인해 발생하는 생물 농축과 같은 수생 생태계의 2차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 다공성 지지층;
상기 다공성 지지층에 증착된 폴리아미드층;
상기 폴리아미드층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제1 살균제층;
상기 제1 살균제층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제2 살균제층; 및
상기 제2 살균제층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제3 살균제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살균제 층의 제1 살균제 및 제3 살균제 층의 제3살균제는 각각 독립적으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또는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마이드이며,
상기 제 2살균제 층의 제2 살균제는 글루타르알데히드인 것인
역삼투막. -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지지층은 폴리설폰층을 포함하는 폴리머층인, 역삼투막. -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살균제 중 적어도 하나는 비산화성 살균제인 것인, 역삼투막.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화학적 결합은 아미드 결합인, 역삼투막. -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역삼투막을 포함하는 역삼투 장치.
- (1) 폴리아민층이 증착된 다공성 지지층을 제1 살균제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단계;
(2) 제2 살균제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3) 제3 살균제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살균제 층의 제1 살균제 및 제3 살균제 층의 제3 살균제는 각각 독립적으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또는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마이드이며,
상기 제 2살균제 층의 제2 살균제는 글루타르알데히드인 것인 역삼투막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4095A KR102153314B1 (ko) | 2018-07-19 | 2018-07-19 | 생물오손 방지용 역삼투막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4095A KR102153314B1 (ko) | 2018-07-19 | 2018-07-19 | 생물오손 방지용 역삼투막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9564A KR20200009564A (ko) | 2020-01-30 |
KR102153314B1 true KR102153314B1 (ko) | 2020-09-08 |
Family
ID=6932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4095A KR102153314B1 (ko) | 2018-07-19 | 2018-07-19 | 생물오손 방지용 역삼투막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331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53730A (zh) * | 2022-09-05 | 2022-11-01 | 江西国膜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超滤膜的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84535B2 (ja) * | 1998-05-21 | 2006-06-14 | 株式会社クラレ | 複合逆浸透膜 |
CN102015078A (zh) * | 2008-04-14 | 2011-04-13 | 栗田工业株式会社 | 反渗透膜组件的操作方法 |
KR101584130B1 (ko) * | 2014-04-30 | 2016-01-11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생물막 오염 저해용 카트리지 필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 수처리장치 |
KR101995351B1 (ko) * | 2015-05-07 | 2019-07-02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막 세정용 비산화성 살균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과 막 세정방법 |
-
2018
- 2018-07-19 KR KR1020180084095A patent/KR10215331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9564A (ko) | 2020-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arkhanechi et al. | Biofouling resistance of reverse osmosis membrane modified with polydopamine | |
Zhang et al. | Functionalization of ultrafiltration membrane with polyampholyte hydrogel and graphene oxide to achieve dual antifouling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 |
Zhu et al. | Polymeric antimicrobial membranes enabled by nanomaterials for water treatment | |
US10842148B2 (en) | Colloidal antimicrobial and anti-biofouling coatings for surfaces | |
Zhang et al. | Antibiofouling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modified by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direct contact-killing versus induced indirect contact-killing | |
Shi et al. | Fouling-resistant and adhesion-resistant surface modification of dual layer PVDF hollow fiber membrane by dopamine and quaternary polyethyleneimine | |
Sawada et al. | Development of a hydrophilic polymer membrane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with both organic antifouling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 |
Wen et al. | Thin-film nanocomposite membranes incorporated with water stable metal-organic framework CuBTTri for mitigating biofouling | |
Zhao et al. | Achieving highly effective non-biofouling performance for polypropylene membranes modified by UV-induced surface graft polymerization of two oppositely charged monomers | |
Xu et al. | Antimicrobial polysulfone blended ultrafiltration membranes prepared with Ag/Cu2O hybrid nanowires | |
Yu et al. | Mussel-inspired surface functionalization of polyamide microfiltration membrane with zwitterionic silver nanoparticles for efficient anti-biofouling water disinfection | |
Kim et al. | Surface immobilization of chlorhexidine on a reverse osmosis membrane for in-situ biofouling control | |
Bernstein et al. | Bacterial attachment to RO membranes surface-modified by concentration-polarization-enhanced graft polymerization | |
US20100059433A1 (en) | Polymer deposition and modification of membranes for fouling resistance | |
US20130299428A1 (en) | Antimicrobial membrane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 |
Liu et al. | Surface reaction route to increase the loading of antimicrobial Ag nanoparticles in forward osmosis membranes | |
US20130240445A1 (en) | Polyphenol-type polymer coating of filtration membranes | |
Díez et al. | Electrospun composite membranes for fouling and biofouling control | |
Khan et al. | Surface grafting of reverse osmosis membrane with chlorhexidine using biopolymer alginate dialdehyde as a facile green platform for in situ biofouling control | |
Guo et al. | Antimicrobial thin-film composite membranes with chemically decorated ultrasmall silver nanoclusters | |
Somayajula et al. | In situ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within hydrogel-conjugated membrane for enhanced antibacterial properties | |
Zhang et al. | A novel method of fabricating anti-biofouling nanofiltration membrane with almost no potential to induce antimicrobial resistance in bacteria | |
Yi et al. | Thin-film composite polyamide membranes with in situ attached Ag nanoparticles for fouling-mitigated wastewater treatment | |
Park et al. | Anti-biofouling enhancement of a polycarbonate membrane with functionalized poly (vinyl alcohol) electrospun nanofibers: Permeation flux, biofilm formation, contact, and regeneration tests | |
Fang et al. | Intrinsically antibacterial thin film composite membranes with supramolecularly assembled lysozyme nanofilm as selective layer for molecular separ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