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176B1 - 시편 측정장치 및 시편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시편 측정장치 및 시편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176B1
KR102153176B1 KR1020180117379A KR20180117379A KR102153176B1 KR 102153176 B1 KR102153176 B1 KR 102153176B1 KR 1020180117379 A KR1020180117379 A KR 1020180117379A KR 20180117379 A KR20180117379 A KR 20180117379A KR 102153176 B1 KR102153176 B1 KR 102153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receiving
receiving groove
blo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955A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17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1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06General arrangement of respective parts
    • G01N2021/0112Apparatus in one mechanical, optical or electronic b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는 시편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시편을 홀딩하도록 상기 카메라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측부면 각각에 시편수용홈이 형성되되, 각각의 측부면에 형성되는 시편수용홈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수용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편 측정장치 및 시편 측정방법{Specimen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시편 측정장치 및 시편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산 소재는 일정크기로 가공하여 품질인증 및 분석목적으로 각종실험 및 평가를 진행하다.
특히 실험생산 소재의 경우 품질인증과 분석항목이 대단히 많으며 재현성 목적으로 매우 많은량의 소재에 대하여 가공, 내습, 내수, 부식 등 다양한 실험이 진행된다.
일정크기로 가공 실험과 평가를 진행한 소재는 최종적으로 품질인증 및 분석결과의 레포트 작성을 목적으로 소재표면 이미지측정과 함께 소재의 각종 데이터를 기록한다.
실험전후 소재표면 이미지측정은 실험과 평가에 사용되는 소재전량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필요에 따라 평가 기간 중 일정주기로 측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많은 공정이 반복되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된 소재표면 이미지는 개별소재 하나하나를 소재와 문서 크기에 맞게 편집을 통해 레포트 양식에 붙여넣기를 하는데 측정과정에서 소재표면 형상이 기울거나 틀어질 경우 편집 과정에서 일부의 소재표면이 편집되며 일부의 소재표면은 소재범위보다 넓게 편집되어 측정부위가 유실되거나 불필요한 부분이 삽입되어 측정이미지를 통한 표면분석의 어려움이 빈번하다.
다수의 소재를 이용한 이미지측정은 소재마다 안착과정, 센터링 제어와 선명도를 위한 레벨 제어 등이 수없이 반복되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업무부하로 연결된다.
또한 실험과 평가 진행시의 이미지 측정과정 중 철강소재 특유의 광택으로 조명에 반사되거나 카메라 촬영 과정에서 명암의 영향으로 측정이미지로는 표면특성분석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일례로, 고온고습(Humidity)을 이용한 소재표면 평가실험의 경우 실험진행 과정 중 일정주기로 소재 표면 이미지측정을 진행하는데 표면의 얼룩 등이 카메라 촬영 과정 중에 조명 등으로 인해 소재의 광택이나 주변 명암으로 인해 확인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진행된 다수실험의 데이터 신뢰성, 재현성 부족으로 폐기되거나 재실험을 진행해야 하며 많은 공정과 시간 노력뿐만 아니라 추가경비 수반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 내지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서, 시편 측정장치 및 시편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출원 번호 제 10-2016-0177604호
본 발명은 시편 표면에 대한 촬영 데이터의 수집시에 시편의 위치 제어를 통하여 신뢰성, 재현성을 확보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시편 측정장치 및 시편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는 시편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시편을 홀딩하도록 상기 카메라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측부면 각각에 시편수용홈이 형성되되, 각각의 측부면에 형성되는 시편수용홈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수용블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블록부는, 측부면에 상기 시편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시편수용홈의 개방된 상부면에 스토퍼탭이 구비된 각형블록, 상기 시편수용홈의 바닥면에서 탄성 돌출되게 구비되는 탄성기둥 및 상기 탄성기둥에 의해서 일면이 탄성지지되고, 타면과 상기 스토퍼탭 사이에 시편이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판은, 상기 시편수용홈의 개방된 개방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의 탄성기둥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꺾임판 및 상기 시편수용홈의 폐쇄된 폐쇄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의 탄성기둥에 의해서 탄성지지되고, 상기 꺾임판과 힌지 결합되는 수평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의 상기 수용블록부는, 상기 시편수용홈이 상기 카메라에 대면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의 상기 수용블록부는, 측부면에 상기 시편수용홈이 형성된 각형블록, 상기 각형블록의 단부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홀이 형성된 지지관, 상기 지지관에 삽입되되 복수의 상기 걸림홀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탄성 돌출되는 탄성볼이 형성된 가지관 및 상기 가지관이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직기둥이 삽입되게 결합되어 상기 수직기둥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블록가이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의 상기 탄성기둥은, 상기 각형블록의 측부면과 수평한 위치에 상기 시편이 배치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수용판을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시편에 대면하도록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되 적어도 상기 수용블록부의 측부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되, 적어도 상기 수용블록부의 측부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차광커버 및 상기 차광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직기둥이 삽입되게 결합되어 상기 수직기둥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커버가이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 및 시편 측정방법은 시편 표면에 대한 촬영 데이터의 수집시에 시편의 위치 제어를 통하여 신뢰성, 재현성을 확보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시편에 대한 품질인증과 평가작업 과정에서 시편의 정확한 위치 제어로 카메라 촬영 데이터의 편집 과정에서 유실로 인한 소재표면의 분석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반복적인 촬영 데어터의 수집시의 위치 제어에 따른 업무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외부조명으로 인한 소재표면 광택반응을 예방하여, 시편 표면의 선명도를 높이며 이에 따른 분석의 신뢰성, 재현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에서 스토퍼탭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에서 스토퍼탭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에서 커버부를 포함하여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편 측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편 측정장치(1) 및 시편(3)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편(3) 표면에 대한 촬영 데이터의 수집시에 시편(3)의 위치 제어를 통하여 신뢰성, 재현성을 확보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1) 및 시편(3) 측정방법은 다수의 시편(3)에 대한 품질인증과 평가작업 과정에서 시편(3)의 정확한 위치 제어로 카메라(2) 촬영 데이터의 편집 과정에서 유실로 인한 소재표면의 분석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반복적인 촬영 데어터의 수집시의 위치 제어에 따른 업무부하를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촬영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외부조명으로 인한 소재표면 광택반응을 예방하여, 시편(3) 표면의 선명도를 높이며 이에 따른 분석의 신뢰성, 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1)에서 커버부(300)를 포함하여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1)는 시편(3)을 촬영하는 카메라(2)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베이스부(100) 및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되며, 시편(3)을 홀딩하도록 상기 카메라(2)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측부면(212) 각각에 시편수용홈(211)이 형성되되, 각각의 측부면(212)에 형성되는 시편수용홈(211)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수용블록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1)는 수용블록부(200)에 형성된 시편수용홈(211)이 시편(3)을 홀딩할 수 있게 형성되기 때문에, 시편(3)의 위치 조정을 위한 별도의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수용블록부(200)에는 여러 사이즈의 시편수용홈(211)이 형성되기 때문에, 시편(3)의 크기에 따라 대응되는 시편수용홈(211)에 수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시편(3)의 위치 조정에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수용블록부(200) 등을 지지하는 바디의 역할을 하게 되며, 또한 카메라(2)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블록부(200)에 수용된 시편(3)에 대한 카메라(2) 촬영을 위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 상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직기둥(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기둥(120)은 상기 수용블록부(20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수용블록부(200)가 상하로 이동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블록부(200)는 상기 수직기둥(120) 상에서 상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제1고정볼트(24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기둥(120)에는 후술할 커버부(300)가 결합되며, 이러한 커버부(300)도 상하로 이동되게 배치될 수 있어, 상기 수용블록부(200)에 수용된 시편(3)에 대한 차광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수직기둥(120) 상에서 상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제2고정볼트(3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블록부(200)는 시편(3)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시편수용홈(211)이 형성되어 시편(3)의 수용시에 별도의 위치 조정을 하지 않아도 재현성을 확보한 시편(3)의 지지가 가능하다.
즉, 상기 수용블록부(200)에는 복수의 시편수용홈(211)이 형성되고, 각각의 시편수용홈(211)은 서로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시편(3)의 크기에 따라 시편(3)의 크기에 맞는 시편수용홈(211)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시편(3)은 별도의 위치 제어 내지 센터링 작업 없이도 재현성이 확보된 위치에 배치될 있으며, 이와 같이 재현성이 확보되게 위치된 시편(3)을 카메라(2)로 촬영하여 시편(3)의 표면에 대한 촬영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수용블록부(200)는 시편(3)의 크기에 맞는 시편수용홈(211)이 상기 카메라(2)에 대면하도록 회전되는 구조로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1)의 상기 수용블록부(200)는, 상기 시편수용홈(211)이 상기 카메라(2)에 대면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0)에 회전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블록부(200)는 회전되게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되기 위해서, 각형블록(210), 지지관(220), 가지관(230), 블록가이드관(24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1)는 상기 카메라(2)가 상기 시편(3)에 대면하도록 상기 카메라(2)가 배치되는 관통홀(311)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되되 적어도 상기 수용블록부(200)의 측부면(212)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부(300)는 상기 시편(3)의 표면의 촬영시에 광의 간섭 내지 반사에 의한 시편(3) 표면 촬영 데이터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차광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부(300)는 적어도 상기 시편(3)이 안착된 상기 수용블록부(200)의 측부면(212)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편(3)이 안착된 상기 수용블록부(200)의 측부면(212)에 형성된 시편수용홈(211)으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시편(3)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2)의 렌즈로 유입되는 광경로를 형성하는 외부 광의 차단을 위해서 상기 커버부(300)가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부(300)는 차광커버(310), 커버가이드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1)의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관통홀(311)이 형성되되, 적어도 상기 수용블록부(200)의 측부면(212)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차광커버(310) 및 상기 차광커버(310)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100)의 수직기둥(120)이 삽입되게 결합되어 상기 수직기둥(120)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커버가이드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커버(31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이 상기 시편(3) 표면 상에서 반사되어 간섭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광의 차단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차광커버(310)는 상기 카메라(2)가 상기 시편(3)의 표면에 대면하도록 상기 카메라(2)가 관통되는 관통홀(3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용블록부(200)의 측부면(212)을 감싸게 구비되어 외부의 광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블록부(200)가 직사각 기둥인 경우에 상기 수용블록부(200)의 어느 하나의 측부면(212)과 그에 이웃하게 연결된 다른 두 개의 측부면(212)을 감싸는 단면 "ㄷ"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양단부는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도 1, 도 6 등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가이드관(320)은 상기 차광커버(310)를 상기 수직기둥(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차광커버(310)가 상기 수용블록부(200)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위치 조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각형 형태의 상기 수직기둥(120)이 삽입되는 각형 형태의 관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1)는 상기 카메라(2)와 연결되어 상기 시편(3)의 표면을 촬영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어수단(4)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1)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1)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1)의 상기 수용블록부(200)는, 측부면(212)에 상기 시편수용홈(211)이 형성된 각형블록(210), 상기 각형블록(210)의 단부면(213)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홀(221)이 형성된 지지관(220), 상기 지지관(220)에 삽입되되 복수의 상기 걸림홀(221)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탄성 돌출되는 탄성볼(231)이 형성된 가지관(230) 및 상기 가지관(230)이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100)의 수직기둥(120)이 삽입되게 결합되어 상기 수직기둥(120)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블록가이드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수용블록부(200)는 시편(3)의 크기에 맞는 시편수용홈(211)이 상기 카메라(2)에 대면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회전된 상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각형블록(210)은 상기 시편수용홈(211)이 형성되어 각각의 크기에 맞는 시편(3)이 수용되며, 상기 카메라(2)에서 상기 시편(3)이 대면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각형블록(210)은 각형 기둥 형태로 구비되며, 각각의 측부면(212)에 상기 시편수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센터홀(215)이 형성되어 상기 각형블록(21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할 탄성기둥(250) 등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확보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관(220)은 상기 각형블록(210)과 결합되며, 상기 블록가이드관(240)이 결합된 상기 가지관(230)이 삽입되어 상기 각형블록(210)이 상기 블록가이드관(240)에 삽입된 상기 수직기둥(120)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형블록(210)이 상기 각형블록(21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가지관(230)과 연계되며, 상기 각형블록(210)의 회전 위치에서의 고정을 위해서 상기 가지관(230)의 탄성볼(231)이 일부 삽입되는 걸림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홀(221)은 상기 지지관(220)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됨에 의해서 상기 각형블록(210)의 회전 각도에 따른 위치 고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가지관(230)은 상기 지지관(220)과 협력하여 상기 각형블록(210)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각형블록(2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지관(230)은 상기 수직기둥(120)이 삽입되어 상기 수직기둥(120)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블록가이드관(24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220)의 걸림홀(221)에 걸리는 탄성볼(2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볼(231)은 상기 걸림홀(221)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관(220)이 회전되어 상기 걸림홀(221)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지지관(220)의 내면과 접촉시에는 내부로 수축되고, 상기 걸림홀(221)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홀(221)을 향하여 일정 간격 돌출되어 상기 걸림홀(221)에 걸려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지관(230)의 내부에 상기 탄성볼(231)이 위치하되 상기 탄성볼(231)의 일측면이 돌출되는 일정한 돌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볼(231)을 상기 돌출홀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제1스프링(23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록가이드관(240)은 상기 각형블록(210)을 상기 수직기둥(120)에서 상하로 위치 이동시키며,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블록가이드관(240)은 각형 기둥 형태의 상기 수직기둥(120)이 삽입되는 각형 관재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수직기둥(120) 상에서 고정되는 제1고정볼트(24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1)의 상기 수용블록부(200)는, 측부면(212)에 상기 시편수용홈(211)이 형성된 각형블록(210), 상기 시편수용홈(211)의 바닥면(211a)에서 탄성 돌출되게 구비되는 탄성기둥(250) 및 상기 탄성기둥(250)에 의해서 일면이 탄성지지되는 수용판(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블록부(200)는 상기 각형블록(210), 탄성기둥(250), 수용판(26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시편(3)을 탄성적으로 상기 측부면(212) 상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각형블록(210)에 형성된 시편수용홈(211)에 상기 탄성기둥(250)이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이러한 탄성기둥(250)의 돌출되는 단부에 의해서 상기 수용판(260)이 지지됨에 의해서, 상기 수용판(260) 상에서 상기 시편(3)이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기둥(250)은 상기 각형블록(210)에 구비되되, 상기 각형블록(2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센터홀(215)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게 배치되되 탄성적으로 상기 시편수용홈(211)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기둥(250)은 상기 시편수용홈(211)과 상기 센터홀(215) 사이에 관통되는 이동기둥(251)과 상기 센터홀(215)에 위치하는 상기 이동기둥(251)의 일단부에 형성된 하부플랜지(253), 상기 시편수용홈(211)에 위치하는 상기 이동기둥(251)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부플랜지(252), 상기 이동기둥(251)이 삽입되게 배치되되 상기 상부플랜지(252)와 상기 시편수용홈(211)의 바닥면(211a) 사이에 배치되는 제2스프링(2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판(260)은 상기 탄성기둥(250)에 의해서 일면이 지지되고, 타면에는 상기 시편(3)이 수용되어 안착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수용판(260)은 상기 시편(3)이 복수 개가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하면 상기 시편(3)의 무게에 의해서 상기 시편수용홈(211)의 바닥면(211a)에 접근하게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시편(3)의 무게에 의해서 상기 탄성기둥(250)의 탄성력과의 평형이 형성되는 위치까지 상기 바닥면(211a)에 인접하게 이동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시편(3)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면서 복수의 시편(3)에 대한 시편(3) 표면의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1)의 상기 탄성기둥(250)은, 상기 각형블록(210)의 측부면(212)과 수평한 위치에 상기 시편(3)이 배치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수용판(260)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기둥(250)이 작용하는 탄성력이 상기 시편(3)의 무게에 의한 중력보다 크게 형성됨에 의해서도 상기 시편(3)을 상기 측부면(212)의 수평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인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시편수용홈(211)에 스토퍼탭(214)을 형성함에 의해서 가능한데,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1)에서 스토퍼탭(214)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시편 측정장치(1)에서 스토퍼탭(214)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1)의 상기 수용판(260)은, 타면과 상기 시편수용홈(211)의 개방된 상부면(211b)에 형성된 스토퍼탭(214) 사이에 상기 시편(3)이 끼워져 수용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기둥(250)이 작용하는 탄성력이 상기 시편(3)의 무게에 의한 중력보다 크게 형성됨에 의해서도 상기 시편(3)을 상기 측부면(212)의 수평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인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시편수용홈(211)에 스토퍼탭(214)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기둥(250)에 의해서 상기 수용판(260)이 상기 시편(3)을 밀어주더라도 상기 시편(3)이 상기 스토퍼탭(214)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시편(3)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시편수용홈(211)의 개방된 상부면(211b)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토퍼탭(214)은 상기 상부면(211b)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토퍼탭(214)의 외측면이 상기 상부면(211b)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스토퍼탭(214)의 내측면이 상기 상부면(211b)과 수평하도록 배치될 상기 스토퍼탭(214)을 구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스토퍼탭(214)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시편(3)이 상기 시편수용홈(211)에 수용되기 위해서, 상기 시편(3)은 상기 시편수용홈(211)의 상부면(211b)을 통하여 수용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시편(3)이 상기 상기 시편수용홈(211)의 개방된 측단부인 개방측면(211c)을 통하여 슬라이딩되게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편(3)의 슬라이딩 삽입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판(260)은 일부가 힌지결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측정장치(1)의 상기 수용판(260)은, 상기 시편수용홈(211)의 개방된 개방측면(211c)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의 탄성기둥(250)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꺾임판(261) 및 상기 시편수용홈(211)의 폐쇄된 폐쇄측면(211d)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의 탄성기둥(250)에 의해서 탄성지지되고, 상기 꺾임판(261)과 힌지 결합되는 수평판(2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판(260)이 꺾임판(261)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꺾임판(261)의 꺾인 단부와 상기 스토퍼탭(214) 사이의 간격이 벌어짐에 의해서 상기 시편(3)의 슬라이딩 공간의 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상기 시편(3)의 수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꺾임판(261)은 상기 수평판(262)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꺾임판(261)과 수평판(262)은 각각 서로 다른 탄성기둥(250)에 의해서 지지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꺾임판(261)을 눌러주어 간격을 형성하려면 상기 꺾임판(261)을 지지하는 탄성기둥(250)과 상기 수평판(262)을 지지하는 탄성기둥(250)을 각각 별도로 배치되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편(3) 측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편(3) 측정방법은 상기 시편 측정장치(1)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복수의 시편수용홈(211) 중에서 시편(3)의 크기에 대응되는 시편수용홈(211)에 복수의 시편(3)을 안착시키는 수용단계, 상기 시편수용홈(211)에 수용된 시편(3)을 상기 카메라(2)에 대면하게 배치시키는 대면단계 및 상기 카메라(2)로 상기 시편(3)을 촬영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촬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편(3) 측정방법은 상기 준비단계, 수용단계, 대면단계, 촬영단계를 포함함에 의해서, 복수의 시편(3)에 대한 시편(3) 표면 촬영을 용이하게 하되, 촬영 데이터의 재현성,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준비단계는 전술한 시편 측정장치(1)를 배치하는 단계이고, 상기 수용단계는 시편(3)을 상기 시편 측정장치(1)의 시편수용홈(211)에 수용하는 단계이다. 특히 이러한 수용단계에서는 시편(3)의 크기에 맞는 시편수용홈(211)에 상기 시편(3)을 수용하게 되며, 복수의 시편(3)을 적층하면서 수용할 수도 있다.
상기 대면단계는 상기 시편수용홈(211)에 수용된 시편(3)을 상기 카메라(2)에 대면하게 상기 시편 측정장치(1)의 수용블록부(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대면단계는 상기 수용단계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시편(3)의 크기에 대응되는 시편수용홈(211)이 형성된 측부면(212)이 상기 카메라(2)에 대면하도록 상기 수용블록부(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대면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시편(3)을 상기 카메라(2)에 대면된 수용블록부(200)에 수용시키는 수용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편(3) 측정방법의 상기 대면단계는, 상기 수용블록부(200)를 회전시켜 데이터를 수집할 시편(3)을 상기 카메라(2)에 대면하게 배치시키는 회전조정단계 및 상기 시편수용홈(211)에 적층된 복수의 시편(3) 중에서 최상면에 배치된 시편(3)이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시편(3)인 경우에 최상면에 배치된 상기 시편(3)을 제거하는 시편(3)제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대면단계에서는 상기 수용단계에서 적측된 복수의 시편(3)에 대한 이후의 촬영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회전조정단계에 의한 위치 조정 이외에 상기 시편(3)제거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시편수용홈(211)에 적층된 시편(3) 중의 최상면의 시편(3)이 이미 촬영된 시편(3)인 경우에는 이러한 시편(3)을 제거하여 차순위 시편(3)이 상기 카메라(2)에 대면하게 배치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촬영단계는 카메라(2)에 의해서 상기 시편(3)의 표면을 촬영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촬영단계에서는 상기 커버부(300)에 의해서 상기 시편(3)이 안착된 상기 수용블록부(200)의 측부면(212)에 차광을 수행하여 광의 반사에 의한 데이터 하자를 방지하여 촬영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시편 측정장치 2: 카메라
3: 시편 4: 제어수단
100: 베이스부 110: 베이스판
120: 수직기둥 200: 수용블록부
210: 각형블록 211: 시편수용홈
212: 측부면 213: 단부면
214: 스토퍼탭 215: 센터홀
220: 지지관 221: 걸림홀
230: 가지관 231: 탄성볼
232: 제1스프링 240: 블록가이드관
241: 제1고정볼트 250: 탄성기둥
251: 이동기둥 252: 상부플랜지
253: 하부플랜지 254: 제2스프링
260: 수용판 261: 꺾임판
262: 수평판 300: 커버부
310: 차광커버 311: 관통홀
320: 커버가이드관 321: 제2고정볼트

Claims (11)

  1. 시편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시편을 홀딩하도록 상기 카메라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측부면 각각에 시편수용홈이 형성되되, 각각의 측부면에 형성되는 시편수용홈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수용블록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블록부는,
    측부면에 상기 시편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시편수용홈의 개방된 상부면에 스토퍼탭이 구비된 각형블록;
    상기 시편수용홈의 바닥면에서 탄성 돌출되게 구비되는 탄성기둥; 및
    상기 탄성기둥에 의해서 일면이 탄성지지되고, 타면과 상기 스토퍼탭 사이에 시편이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판;
    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판은,
    상기 시편수용홈의 개방된 개방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의 탄성기둥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꺾임판; 및
    상기 시편수용홈의 폐쇄된 폐쇄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의 탄성기둥에 의해서 탄성지지되고, 상기 꺾임판과 힌지 결합되는 수평판;
    을 포함하는 시편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블록부는, 상기 시편수용홈이 상기 카메라에 대면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블록부는,
    측부면에 상기 시편수용홈이 형성된 각형블록;
    상기 각형블록의 단부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홀이 형성된 지지관;
    상기 지지관에 삽입되되 복수의 상기 걸림홀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탄성 돌출되는 탄성볼이 형성된 가지관; 및
    상기 가지관이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직기둥이 삽입되게 결합되어 상기 수직기둥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블록가이드관;
    을 포함하는 시편 측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기둥은, 상기 각형블록의 측부면과 수평한 위치에 상기 시편이 배치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수용판을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측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시편에 대면하도록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되 적어도 상기 수용블록부의 측부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시편 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되, 적어도 상기 수용블록부의 측부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차광커버; 및
    상기 차광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직기둥이 삽입되게 결합되어 상기 수직기둥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커버가이드관;
    을 포함하는 시편 측정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17379A 2018-10-02 2018-10-02 시편 측정장치 및 시편 측정방법 KR102153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379A KR102153176B1 (ko) 2018-10-02 2018-10-02 시편 측정장치 및 시편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379A KR102153176B1 (ko) 2018-10-02 2018-10-02 시편 측정장치 및 시편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55A KR20200037955A (ko) 2020-04-10
KR102153176B1 true KR102153176B1 (ko) 2020-09-07

Family

ID=7029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379A KR102153176B1 (ko) 2018-10-02 2018-10-02 시편 측정장치 및 시편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184B1 (ko) * 2021-03-16 2023-06-29 (주)유아이엠디 생물학적 샘플의 이미지 분석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6045A (ja) * 2015-04-24 2016-12-08 株式会社クボタ 管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682U (ko) * 2008-09-29 2010-04-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판재 시료 고정용 지그
KR101159918B1 (ko) * 2009-09-28 2012-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편 연마기용 시편 홀더 장치
KR101908795B1 (ko) * 2016-12-12 2018-10-16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홀더 및 이를 사용하는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6045A (ja) * 2015-04-24 2016-12-08 株式会社クボタ 管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55A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50691B (zh) 借助于光对少量液体介质进行分析或吸收测量的装置
KR102153176B1 (ko) 시편 측정장치 및 시편 측정방법
EP1131618B1 (de) Messanordnung und messmethode zum parallelen auslesen von spr-sensoren
KR101096067B1 (ko) 3차원 표면 형상 측정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DE102018103353A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industriellen optischen Erkennung von Schäden
US1057859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optical scanning of a chromatographic sample
JP2008506607A (ja) マイクロプレート格納装置及び方法
JPS6249573B2 (ko)
KR100840732B1 (ko) 시편 제조 장치 및 방법
JPH07229893A (ja) ステープル・ファイバー試料の機械的特性及び/又は幾何学的特性を自動的に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234602B1 (ko) 레이저 산란 기반 시편 검사 장치
JP6173727B2 (ja) 金属材料の撮像装置
Ong et al. Analysis of MTF Degradation in the Imaging of Cells in a Flow System
JP2000266682A5 (ko)
KR200445198Y1 (ko) 테스트핸들러의 테스트트레이용 인서트
JP5036873B2 (ja) 液体試料分析装置
US9116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ize and location of minimum beam spot
DE19937797C1 (de) Anordnung zum Nachweis biomolekularer Reaktionen und Wechselwirkungen
JPH045566A (ja) 薄層クロマトプレートの水平展開方法及び転写方法
EP1865304A1 (en) Microcell and microcell holder
CN205510231U (zh) 用于线阵相机和线型光源的调准检测装置
CN211014003U (zh) 紫外可见分光光度计进样装置
KR102118266B1 (ko) Tem 시료 지지 장치
CN215768250U (zh) 一种用于台式光谱仪的精准聚焦测试台
CN203811543U (zh) 一种干化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