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636B1 -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 Google Patents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636B1
KR102152636B1 KR1020140005453A KR20140005453A KR102152636B1 KR 102152636 B1 KR102152636 B1 KR 102152636B1 KR 1020140005453 A KR1020140005453 A KR 1020140005453A KR 20140005453 A KR20140005453 A KR 20140005453A KR 102152636 B1 KR102152636 B1 KR 10215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joint
user
pivote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608A (ko
Inventor
이종원
김용재
권영도
김정훈
이연백
노세곤
이민형
최병준
최현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5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636B1/ko
Priority to US14/592,694 priority patent/US10219968B2/en
Publication of KR20150085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1Forc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27Arm part
    • Y10S901/28Joi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ipulator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실제 발목 관절과 유사하게 동작하는 관절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보행보조로봇에 포함된 발목 관절은 발목관절 외부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Joint assembly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
개시된 발명은 하중을 지지하고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고 피봇 가능한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에 관한 것이다.
보행보조로봇은,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감퇴된 근력과 체중을 보조해주는 보조장치로 이용되거나, 큰 중량을 가진 물건을 운반하는 작업 등을 위해 사용자의 근력을 증폭해주고 중량물의 하중을 대신 지지해주는 증강장치로 이용될 수도 있다.
개시된 기술의 일 측면은, 관절 어셈블리가 사용자의 발목 관절과 유사한 동작을 할 수 있는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을 제공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발구조물을 연결하는 관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관절 어셈블리는, 상기 발구조물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제1방향으로 피봇가능하게 하는 제1관절부; 및 상기 발구조물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제2방향으로 피봇가능하게 하는 제2관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관절부는 제1방향으로 피봇되어, 상기 발구조물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끝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plantar-flexion/dorsi-flexion)한다.
상기 제2관절부는 제2방향으로 피봇되어, 상기 발구조물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이 좌우 방향으로 피봇(inversion/eversion)되도록 한다.
상기 제2관절부는, 상기 프레임 측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 및 일측이 상기 제1링크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발구조물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제1링크부; 상기 제1링크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프레임 측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 및 상기 제2링크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3링크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발구조물 측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를 포함하는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보조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링크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부를 연결하는 제1보조링크 및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부를 연결하는 제2보조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링크는, 일측이 상기 제1링크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마련된 링크축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에 장착된다.
상기 제2보조링크는, 일측이 상기 제2링크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마련된 링크축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에 장착된다.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프레임 측을 연결하는 링크축으로부터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1보조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3링크 및 상기 프레임 측을 연결하는 링크축으로부터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다.
상기 제2보조링크 및 상기 제2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으로부터 상기 제2링크와 상기 발구조물 측을 연결하는 링크축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으로부터 상기 제4링크와 상기 발구조물 측을 연결하는 링크축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다.
상기 제1링크부 및 상기 제2링크부는 각각 상기 관절 어셈블리의 외부에 위치한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봇된다.
상기 제1링크, 상기 제1보조링크 및 상기 제3링크는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링크, 상기 제2보조링크 및 상기 제4링크는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관절부 및 상기 제1관절부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관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부 및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제2관절부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관절부는 제1방향으로 피봇가능하고, 상기 제1링크부 및 상기 제2링크부는 제2방향으로 피봇가능하다.
상기 제1링크부 및 상기 제2링크부는 연결관절부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절부는 상기 발구조물에 장착된다.
상기 발구조물에는 상기 연결관절부가 장착되는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연결관절부는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보조로봇으로서, 상기 보행보조로봇은, 사용자의 다리에 장착되는 프레임; 사용자의 발에 장착되는 발 구조물; 및 2 자유도를 갖고, 상기 발구조물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하는 발목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발구조물이 제2방향으로 피봇될 때, 피봇 중심은 상기 발목관절의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발목관절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관절부; 제1방향으로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제1관절부에 연결된 제2관절부; 및 제2방향으로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제2관절부에 연결된 제3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관절부는, 제1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와 평행하게 위치된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보조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제2관절부에 연결되는 제1링크 및 상기 제1링크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와 상기 발구조물을 연결하는 제2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제2관절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와 평행한 제3링크 및 상기 제3링크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3링크와 상기 발 구조물을 연결하고 상기 제2링크와 평행한 제4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링크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부를 연결하는 제1보조링크 및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부를 연결하는 제2보조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3관절부는 상기 발목관절 외부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방향으로 피봇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보조로봇으로서, 상기 보행보조로봇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프레임; 사용자의 발에 장착되는 발 구조물;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발 구조물을 피봇가능하게 연결하는 발목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발목관절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관절부; 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관절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관절부; 및 상기 발목관절의 외부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상기 제2관절부에 장착되는 제3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관절부는 사용자의 발목이 제1방향으로의 피봇 동작에 대응되어 피봇되고, 상기 제3관절부는 사용자의 발목이 제2방향으로의 피봇 동작에 대응되어 피봇된다.
상기 제3관절부는, 상기 제2관절부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와 평행하게 위치된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보조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부는 제1링크 및 상기 제1링크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부는 제3링크 및 링크축에 의해 상기 제3링크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제4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링크는,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을 연결하는 제1보조링크 및 상기 제2링크 및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을 연결하는 제2보조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발목관절이 제2방향으로 피봇될 때, 상기 제1보조링크에 의해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3링크는 평행하게 위치되어 피봇되고, 상기 제2보조링크에 의해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4링크는 평행하게 위치되어 피봇된다.
상기 발구조물은 상기 제1방향으로 피봇되어 상기 발구조물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끝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plantar-flexion/dorsi-flexion) 한다.
상기 발구조물은 상기 제2방향으로 피봇되어 상기 발구조물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이 좌우 방향으로 피봇(inversion/eversion)되도록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실제 발목 관절과 유사하게 동작하는 관절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보행보조로봇에 포함된 발목 관절은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a)는 사용자의 발이 발목관절을 중심으로 제1방향으로 피봇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1회전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사용자의 발이 발목관절을 중심으로 제2방향으로 피봇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 및 도 3(c)는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2회전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에 포함된 발목관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에 포함된 발목 관절의 제1방향의 피봇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의 제2방향의 피봇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의 일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과 피봇 중심축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로봇(1)은 사용자의 다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10,11)을 포함한다. 프레임(10,11)은 제1프레임(10) 및 제2프레임(11)을 포함한다. 보행보조로봇(1)은 사용자의 발에 장착되는 발 구조물(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0)과 허리 고정장치(12)는 둔부관절(1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11)은 무릎관절(1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프레임(11)과 발 구조물(16)은 발목관절(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보행보조로봇(1)은 구동원(17) 및 고정장치(18,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17)은 둔부관절(13)과 무릎관절(14)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고정장치(18,19)는 프레임(10,11)을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시킬 수 있다.
프레임(10,11)은 사용자의 대퇴부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10) 및 사용자의 종아리에 고정되는 제2프레임(11)을 포함한다. 상기 둔부관절(13)은 제1프레임(10)을 허리 고정장치(12)에 피봇가능하게 연결한다. 무릎관절(14)은 제2프레임(11)을 제1프레임(10)에 피봇가능하게 연결한다. 발목관절(2)은 발 구조물(16)을 제2프레임(11)에 피봇가능하게 연결한다.
프레임(10,11)은 사용자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10) 및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11)은 무릎관절(14)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에는, 제1프레임(10)을 사용자의 대퇴부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장치(18)가 연결될 수 있다. 제2프레임(11)에는, 제2프레임(11)을 사용자의 종아리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장치(19)가 연결될 수 있다.
제1고정장치(18) 및 제2고정장치(19)는 파스너(fastene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고정장치(18) 및 제2고정장치(19)에 의해 프레임(10,11)이 사용자의 다리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고정장치(18) 및 제2고정장치(19)는 사용자의 다리 사이즈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은 둔부관절(13)에 의해 허리 고정장치(12)와 연결될 수 있다. 허리 고정장치(12)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유연성 있는 스트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허리 고정장치(12)는 벨크로(Vencro)와 같은 후크 앤드 루프 고정장치 또는 버클, 래칫(ratchet) 버클 또는 캐치(catch)와 같은 고정부를 포함한 스트랩일 수 있다.
둔부관절(13)은 3 자유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둔부관절(13)에 연결된 제1프레임(10)은 x 축, y 축, z 축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은 둔부관절(13)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둔부관절(13)은 구동원(17)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프레임(10)을 x축을 중심으로 피봇시킬 수 있다. 제1프레임(10)은 힌지 장치 등에 의해 둔부관절(13) 또는 허리 고정장치(12)에 연결되어, y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이 z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도록, 제1프레임(10) 또는 제1프레임(10)이 연결된 둔부관절(13)은 허리 고정장치(12)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프레임(11)은 발목관절(2)에 의해 발 구조물(16)과 연결될 수 있다. 발목관절(2)은 3 자유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프레임(11) 또는 발 구조물(16)은 발목관절(2)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발목관절(2)은 제2프레임(11)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발목관절(2)의 피봇 구조 및 하중 지지구조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발 구조물(16)은 사용자의 발을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발이 닿게 되는 발 구조물(16)의 바닥면에는 센서가 구비되어 보행보조로봇(1)을 착용한 사용자의 하중의 변화 등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둔부관절(13) 또는 무릎관절(14)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11)은 무릎관절(14)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무릎관절(14)은 2 자유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무릎관절(14)은 구동원(17)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11)을 2 자유도로 피봇시킬 수 있다.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11)은 사용자의 무릎 관절의 동작에 대응되도록 롤링(rolling) 및 슬라이딩(sliding) 동작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하,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2)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사용자의 발이 발목관절을 중심으로 제1방향으로 피봇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1회전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는 사용자의 발이 발목관절을 중심으로 제2방향으로 피봇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 및 도 3(c)는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2회전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발목관절은 종아리 부위와 발을 연결시켜주는 경골(F1: tibia), 경골(F1)의 후방에 위치한 비골(F2: fibula) 및 경골(F1)의 단부, 비골(F2)의 단부와 연결된 거골(F3: talus)로 이루어진다. 발목관절은 경골(F1), 비골(F2) 및 거골(F3)의 움직임의 조합으로 제1회전축(A1) 또는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1회전축(A1)은 사용자의 발의 연장방향과 대략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회전축(A1)은 사용자의 발목관절 부위의 좌우 양쪽에 위치한 복사뼈들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회전축(A1)의 연장방향을 X축이라 할 수 있다. 즉, 제1회전축(A1)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발끝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사용자의 발을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발을 피봇(plantar-flexion and dorsi-flexion)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두번째 발가락(M1)과 세번째 발가락(M2) 사이 및 종골(F4: calcaneus)의 중심을 지나는 선을 기준선(M)이라 하면, 제1회전축(A1)은 기준선(M)과 직각에 가까운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발등을 내려다볼 때 기준선(M)과 제1회전축(A1) 사이의 각도(θ1)은 대략 84°일 수 있다.
이하, 사용자의 발이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경우를 사용자의 발이 제1방향으로 피봇된다고 할 수 있다.
제2회전축(A2)은 사용자의 전방 상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회전축(A2)은 사용자의 발목을 관통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회전축(A2)과 제1회전축(A1)은 사용자의 발목관절 내에서 교차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의 발이 Y축을 따라 연장된다고 할 때, 제2회전축(A2)은 Y축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Y축과 Z축이 형성하는 평면에 위치되어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을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피봇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발은 양쪽 복사뼈가 위치하는 좌우 방향으로 피봇(inversion and eversion)될 수 있다.
제2회전축(A2)은 중심선(M)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바닥면과 특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발등을 내려다볼 때, 제2회전축(A2)과 기준선(M) 간의 각도(θ2)는 대략 23°일 수 있다. 사용자의 다리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2회전축(A2)과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바닥면 간의 각도(θ3)는 대략 41°일 수 있다.
이하, 사용의 발이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경우를 사용자의 발이 제2방향으로 피봇된다고 할 수 있다.
종래의 보행보조로봇의 발목관절은 사용자의 발이 제1방향으로 피봇되는 동작과 유사한 피봇 동작을 구현할 수 있었다. 사용자의 발이 제1방향으로 피봇되는 동작의 경우, 보행보조로봇의 발목관절과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1회전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보행보조로봇은 사용자의 신체 외측부에 장착되므로, 보행보조로봇의 발목관절의 회전축과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2회전축의 위치 간에 오프셋(offset)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이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보행보조로봇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들뜨게 되거나 사용자의 발목관절에 불필요한 로드를 전달하기도 하였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의 경우,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2회전축과 유사한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4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에 포함된 발목 관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1)에 포함된 발목관절(2)은 제1관절부(20), 제2관절부(22) 및 제3관절부(3)를 포함한다. 제1관절부(20)는 제2프레임(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관절부(22)는 제1관절부(2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관절부(3)는 제2관절부(22)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관절부(22)는 연결관절부(23)에 의해 발 구조물(16)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관절부(20)는 제2프레임(11)에 장착될 수 있다. 제1관절부(20)의 일측은 제2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관절부(20)의 타측에는 제2관절부(22)가 제1방향으로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관절부(20)와 제2관절부(22)를 관통하는 회전축(21)에 의해 제1관절부(20)와 제2관절부(22)가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관절부(22)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제1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회전축(21)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21)은 제2프레임(11)으로부터 가해진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제2관절부(22)의 일측은 제1관절부(20)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관절부(22)의 타측에는 제3관절부(3)가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관절부(3)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관절부(22)의 타측에는 제3관절부(3)가 연결될 수 있다. 제3관절부(3)는 제2관절부(22)에 연결되어 제2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3관절부(3)의 일측에는 제2관절부(22)가 연결되고 제3관절부(3)의 타측에는 연결관절부(23)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절부(23)는 발 구조물(16)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2프레임(11)이 발목관절(2)을 통해 발 구조물(16)과 연결될 수 있다.
제3관절부(3)는 복수의 링크들을 포함한다. 제3관절부(3)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는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들에 의해 제3관절부(3)에 가해진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제3관절부(3)는 제1링크(31), 제2링크(32), 제3링크(33) 및 제4링크(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31) 및 제3링크(33)는 제2관절부(22)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링크(32)는 제1링크(31)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제4링크(34)는 제3링크(33)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31)와 제3링크(33)는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링크(31)의 일면과 제3링크(33)의 일면은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링크(32)와 제4링크(34)는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링크(32)의 일면과 제4링크(34)의 일면은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하, 제1링크(31)와 제2링크(32)가 연결된 구조물을 제1링크부라 할 수 있고, 제3링크(33)와 제4링크(34)가 연결된 구조물을 제2링크부라 이름할 수 있다.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는 보행보조로봇(1)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내부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는 사용자의 발목관절과 유사하게 제2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3관절부(3)는 복수의 링크들 또는 관절부들을 피봇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축들을 포함한다. 제3관절부(3)는 제1링크축(41), 제2링크축(42), 제3링크축(43), 제4링크축(44), 제5링크축(45) 및 제6링크축(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31)는, 제1링크(31)의 일측과 제2관절부(22)의 타측을 관통하는 제1링크축(41)에 의해 제2관절부(22)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링크(33)는, 제3링크(33)의 일측과 제2관절부(22)의 타측을 관통하는 제4링크축(44)에 의해 제2관절부(22)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31)와 제2링크(32)는 제2링크축(42)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링크축(42)은 제1링크(31)의 타측과 제2링크(32)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링크(33)와 제4링크(34)는 제5링크축(45)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5링크축(45)은 제3링크(33)의 타측과 제4링크(34)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링크(32)와 연결관절부(23)는 제3링크축(43)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링크축(43)은 제2링크(32)의 타측과 연결관절부(23)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4링크(34)와 연결관절부(23)는 제6링크축(46)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6링크축(46)은 제4링크(34)의 타측과 연결관절부(23)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관절부(3)는 보조링크(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링크(5)에 의해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보조링크(5)는 제1보조링크(51) 및 제2보조링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조링크(51)는 제1링크(31)와 제5링크축(45)을 연결할 수 있다. 제2보조링크(52)는 제2링크(32)와 제5링크축(45)을 연결할 수 있다. 제1보조링크(51)의 길이는 제1링크축(41)과 제4링크축(44) 간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2보조링크(52)의 길이는 제3링크축(43)과 제6링크축(46) 간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1링크(31)와 제1보조링크(51)는 제7링크축(4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31)에는 제1링크축(41)과 제2링크축(42) 사이에 위치되는 제7링크축(47)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제7링크축(47)은 제1링크(31)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7링크축(47)은 제1링크축(41) 및 제2링크축(42)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보조링크(51)는 제7링크축(47)과 제5링크축(45)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7링크축(47)은, 제1링크축(41)으로부터 제7링크축(47)까지의 거리가 제4링크축(44)으로부터 제5링크축(45)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링크(32)에는 제2링크축(42)과 제3링크축(43) 사이에 위치되는 제8링크축(48)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제8링크축(48)은 제2링크축(42) 및 제3링크축(43)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8링크축(48)은 제2링크(32)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보조링크(52)는 제8링크축(48)과 제5링크축(45)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8링크축(48)은, 제8링크축(48)으로부터 제3링크축(43)까지의 거리가 제5링크축(45)으로부터 제6링크축(46)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보조링크(51)에 의해 제1링크(31)와 제2링크부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보조링크(52)에 의해 제2링크(32)와 제2링크부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연결관절부(23)는 발 구조물(16)에 구비된 연결부(160)를 통해 발 구조물(16)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절부(23)의 타측은 연결부(160)에 장착됨으로써 발 구조물(16)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절부(23)가 연결부(160)에 장착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1회전축(A1)과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2)의 회전축(21)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도 6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에 포함된 발목 관절의 제1방향의 피봇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의 제2방향의 피봇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2)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2)은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동작 및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 동작과 유사하게 피봇 동작할 수 있다.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2)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이때 발목관절(2)은 제1방향으로 피봇된다. 회전축(21)은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1회전축(A1)과 동일한 직선상에 있을 수 있다.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2)은 사용자의 발목관절이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제1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2)은 제2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2)의 제3관절부(3)는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보행보조로봇(1)의 제3관절부(3)는 제1링크축(41) 및 제4링크축(44)을 중심으로 제2관절부(22)에 대해 피봇된다. 제3관절부(3)는 제3링크축(43) 및 제6링크축(46)을 중심으로 연결관절부(23)에 대해 피봇된다. 또한 제3관절부(3)는 제2링크축(42) 및 제5링크축(45)을 중심으로 피봇된다.
상기와 같이 제3관절부(3)가 복수의 링크와 링크축을 포함하고, 각 링크가 링크축을 중심으로 피봇되도록 하여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2)이 보행보조로봇(1)을 착용한 사용자의 실제 발목관절의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피봇되도록 할 수 있다.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2)이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보조로봇(1)을 착용하고 발목관절을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피봇시킬 때 보행보조로봇(1)이 사용자의 신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피봇될 수 있고 사용자의 발목관절에 불필요한 로드를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2)이 제2방향으로 피봇될 때 회전 중심이 사용자의 발목관절의 제2회전축(A2)과 일치하는 점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의 일부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목 관절과 피봇 중심축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3)은 사용자의 실제 발목관절의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발목관절(3)은 제2관절부(22)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관절부(23)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제3관절부(3)를 포함한다. 제3관절부(3)는 복수의 링크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링크들은 복수의 링크축들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이하,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3)이 사용자의 실제 발목관절의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피봇됨을 수식을 통해 설명한다.
제1링크축(41), 제4링크축(44)은 제2회전축(A2)을 통과하는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3링크축(43)과 제6링크축(46)은 제2회전축(A2)을 통과하는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링크(42), 제1보조링크(51), 제3링크(33) 및 제1링크축(41)과 제4링크축(44)를 지나는 직선은 제1평행사변형(P1)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제2링크(32), 제2보조링크(52), 제4링크(33) 및 제3링크축(43)과 제6링크축(46)을 지나는 직선은 제2평행사변형(P2)을 형성한다. 이때 제7링크축(47), 제5링크축(45), 제8링크축(48) 및 제2링크축(42)이 형성하는 도형(T1)은 제4링크축(44), 제2회전축(A2), 제6링크축(46) 및 제5링크축(45)이 형성하는 도형(T2)과 닮은 도형이다.
제4링크축(44)으로부터 제2회전축(A2)까지의 거리는 l0라 할 수 있다. 제3관절부(3)의 제1링크축(41)으로부터 제7링크축(47)까지의 거리는 l1이라 할 수 있다. 제4링크축(44)으로부터 제5링크축(45)까지의 거리는 제1링크축(41)으로부터 제7링크축(47)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l1이다.
제7링크축(47)으로부터 제2링크축(42)까지의 거리는 l2라 하고, 제2링크축(42)으로부터 제8링크축(48)까지의 거리는 l3라 할 수 있다. 제8링크축(48)으로부터 제3링크축(43)까지의 거리는 l4라 할 수 있다. 제5링크축(45)으로부터 제6링크축(46)까지의 거리는 제8링크축(48)으로부터 제3링크축(43)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l4이다.
제1링크축(41)으로부터 제4링크축(44)까지의 거리를 lc라 하면, 제7링크축(47)으로부터 제5링크축(45)까지의 거리, 제3링크축(43)으로부터 제5링크축(45)까지의 거리 및 제3링크축(43)으로부터 제6링크축(46)까지의 거리도 lc이다.
제7링크축(47), 제5링크축(45), 제8링크축(48) 및 제2링크축(42)이 형성하는 도형(T1)은 제4링크축(44), 제2회전축(A2), 제6링크축(46) 및 제5링크축(45)이 형성하는 도형(T2)과 닮은 도형이므로 하기와 같은 관계식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4004501896-pat00001
l0에 대해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4004501896-pat00002
제1링크축(41)에서 가상의 x-y 좌표가 있다고 가정할 때, 제1링크축(41), 제4링크축(44)을 연결한 선과 x축 간의 각도를 a라 할 수 있다. 제1링크(31)와 x축이 이루는 각도를 α라 할 수 있다. 제2링크축(43)에서 상기와 유사한 x-y 좌표가 있다고 가정할 때, 제2링크(42)와 x축 간의 각도는 β라 할 수 있다.
제2회전축(A2)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4004501896-pat00003
제3링크축(43)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4004501896-pat00004
제6링크축(46)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4004501896-pat00005
제2회전축(A2), 제3링크축(43) 및 제6링크축(46)을 지나는 직선은 y=C(x-x0)+y0 의 관계식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y=C(x-x0)+y0 의 관계식에 ③, ④, ⑤를 대입하면 하기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14004501896-pat00006
Figure 112014004501896-pat00007
Figure 112014004501896-pat00008
y=C(x-x0)+y0 의 관계식에 ⑥,⑦,⑧을 대입하고, x, y값에 제2회전축(A2)의 위치(③)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14004501896-pat00009
관계식 ⑨에 ②를 대입하면, α,β에 관계없이 관계식 ⑨의 좌변, 우변이 모두 0이므로 항상 동일한 제2회전축(A2)을 갖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2)은 항상 사용자의 실제 발목관절의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1링크(42), 제1보조링크(51), 제3링크(33) 및 제1링크축(41)과 제4링크축(44)를 지나는 직선은 제1평행사변형(P1)을 형성하고, 제2링크(32), 제2보조링크(52), 제4링크(33) 및 제3링크축(43)과 제6링크축(46)을 지나는 직선은 제2평행사변형(P2)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발목관절(3)이 항상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1링크 및 제2링크가 이루는 각도 또는 제3링크 및 제4링크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더라도 제3관절부(3)는 제2회전축(A2)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이로써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3)이 사용자의 실제 발목관절과 유사하게 제2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행보조로봇(1)의 발목관절(3)의 사용자의 실제 발목관절과 유사하게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피봇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보행보조로봇(1)을 착용한 사용자가 발목관절을 피봇시킬 때 사용자의 발목에 로드를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보행보조로봇(1)의 프레임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보행보조로봇 2: 발목관절
3: 제3관절부 20: 제1관절부
21: 회전축 22: 제2관절부
23: 연결관절부 31: 제1링크
32: 제2링크 33: 제3링크
34: 제4링크 41: 제1링크축
42: 제2링크축 43: 제3링크축
44: 제4링크축 45: 제5링크축
46: 제6링크축 47: 제7링크축
48: 제8링크축 51: 제1보조링크
52: 제2보조링크 A1: 제1회전축
A2: 제2회전축

Claims (31)

  1.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발구조물을 연결하는 관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관절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관절부;
    제1방향으로 피봇 가능하게 상기 제1관절부에 연결되는 제2관절부;
    제2방향으로 피봇 가능하게 상기 제2관절부에 연결되는 제3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관절부는
    상기 제2관절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와, 일측이 상기 제1링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발구조물 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제1링크부;
    상기 제1링크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관절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와, 상기 제2링크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3링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발구조물 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를 포함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관절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절부는 제1방향으로 피봇되어, 상기 발구조물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끝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plantar-flexion/dorsi-flexion)하는 관절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관절부는 제2방향으로 피봇되어, 상기 발구조물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이 좌우 방향으로 피봇(inversion/eversion)되도록 하는 관절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관절부는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보조링크;를 포함하는 관절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부를 연결하는 제1보조링크 및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부를 연결하는 제2보조링크를 포함하는 관절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링크는, 일측이 상기 제1링크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마련된 링크축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에 장착되는 관절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링크는, 일측이 상기 제2링크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마련된 링크축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에 장착되는 관절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프레임 측을 연결하는 링크축으로부터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1보조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3링크 및 상기 프레임 측을 연결하는 링크축으로부터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관절 어셈블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링크 및 상기 제2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으로부터 상기 제2링크와 상기 발구조물 측을 연결하는 링크축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으로부터 상기 제4링크와 상기 발구조물 측을 연결하는 링크축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관절 어셈블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 및 상기 제2링크부는 각각 상기 관절 어셈블리의 외부에 위치한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관절 어셈블리.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상기 제1보조링크 및 상기 제3링크는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갖는 관절 어셈블리.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 상기 제2보조링크 및 상기 제4링크는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갖는 관절 어셈블리.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 및 상기 제2링크부는 제2방향으로 피봇가능한 관절 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 및 상기 제2링크부는 연결관절부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절부는 상기 발구조물에 장착되는 관절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구조물에는 상기 연결관절부가 장착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관절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연결관절부는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절 어셈블리.
  19.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보조로봇으로서,
    상기 보행보조로봇은, 사용자의 다리에 장착되는 프레임;
    사용자의 발에 장착되는 발 구조물; 및
    2 자유도를 갖고, 상기 발구조물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하는 발목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발목관절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관절부;
    제1방향으로 피봇 가능하도록 상기 제1관절부에 연결되는 제2관절부; 및
    제2방향으로 피봇 가능하도록 상기 제2관절부에 연결되는 제3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관절부는
    상기 제2관절부에 연결되는 제1링크 및 상기 제1링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와 상기 발구조물을 연결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제1링크부;
    상기 제2관절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와 평행한 제3링크 및 상기 제3링크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3링크와 상기 발구조물을 연결하고 상기 제2링크와 평행한 제4링크를 포함하는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보조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발구조물이 제2방향으로 피봇될 때, 피봇 중심은 상기 발목관절의 외부에 위치하는 보행보조로봇.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부를 연결하는 제1보조링크 및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부를 연결하는 제2보조링크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관절부는 상기 발목관절 외부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방향으로 피봇되는 보행보조로봇.
  25.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보조로봇으로서,
    상기 보행보조로봇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프레임;
    사용자의 발에 장착되는 발 구조물;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발 구조물을 피봇가능하게 연결하는 발목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발목관절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관절부;
    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관절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관절부; 및
    상기 발목관절의 외부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상기 제2관절부에 장착되는 제3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관절부는
    상기 제2관절부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와 평행하게 위치된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보조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부는 제1링크 및 상기 제1링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부는 제3링크 및 링크축에 의해 상기 제3링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4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관절부는 사용자의 발목이 제1방향으로의 피봇 동작에 대응되어 피봇되고, 상기 제3관절부는 사용자의 발목이 제2방향으로의 피봇 동작에 대응되어 피봇되는 보행보조로봇.
  26. 삭제
  27. 삭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는,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을 연결하는 제1보조링크 및 상기 제2링크 및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링크축을 연결하는 제2보조링크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관절이 제2방향으로 피봇될 때, 상기 제1보조링크에 의해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3링크는 평행하게 위치되어 피봇되고, 상기 제2보조링크에 의해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4링크는 평행하게 위치되어 피봇되는 보행보조로봇.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발구조물은 상기 제1방향으로 피봇되어 상기 발구조물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끝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plantar-flexion/dorsi-flexion)하는 보행보조로봇.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발구조물은 상기 제2방향으로 피봇되어 상기 발구조물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이 좌우 방향으로 피봇(inversion/eversion)되도록 하는 보행보조로봇.
KR1020140005453A 2014-01-16 2014-01-16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KR102152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453A KR102152636B1 (ko) 2014-01-16 2014-01-16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US14/592,694 US10219968B2 (en) 2014-01-16 2015-01-08 Joint assembly and walking assistant robot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453A KR102152636B1 (ko) 2014-01-16 2014-01-16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608A KR20150085608A (ko) 2015-07-24
KR102152636B1 true KR102152636B1 (ko) 2020-09-08

Family

ID=5352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453A KR102152636B1 (ko) 2014-01-16 2014-01-16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19968B2 (ko)
KR (1) KR102152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198B1 (ko) * 2015-01-07 2021-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FR3034660B1 (fr) * 2015-04-07 2022-06-10 Wandercraft Exosquelette comprenant une liaison mecanique de cheville avec deux axes de pivotement
CN105479437B (zh) * 2015-12-28 2017-07-11 中国人民解放军理工大学 三自由度下肢助力外骨骼踝关节
KR102541802B1 (ko) 2016-08-26 202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보조 장치
EP3525729B1 (en) * 2016-10-13 2023-08-02 Dephy, Inc. Unidirectional actuated exoskeleton device
KR102503934B1 (ko) 2017-11-21 2023-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보조 장치
CN109648541B (zh) * 2018-11-16 2020-05-22 浙江大学 一种应用于外骨骼机器人的足部穿戴装置
CN109877803B (zh) * 2019-01-28 2020-07-28 西安交通大学 一种柔顺机械足
CN110916974B (zh) * 2019-12-02 2021-07-13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脚踝保护及康复训练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0465A (ja) * 2008-11-06 2010-05-20 Honda Motor Co Ltd 歩行補助装置の足首関節構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33583T1 (de) * 1996-04-15 2003-03-15 Giancarlo Pellis Anpassbare gelenkverbindung mit einem drehradius für gymnastikgeräte und knieschienen
US6821259B2 (en) * 2001-07-30 2004-11-23 The Nemours Foundation Orthosis device
US7628766B1 (en) 2003-10-29 2009-12-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wer extremity enhancer
JP4332136B2 (ja) * 2005-06-03 2009-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肢体アシスト装置および肢体アシストプログラム
CA2684971C (en) * 2007-05-01 2016-07-26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Robotic exoskeleton for limb movement
CH712922B1 (de) 2007-07-13 2018-03-15 Levo Ag Wohlen Aufrichteinheit für Aufrichtrollstühle und Therapiegeräte.
JP4784771B2 (ja) * 2007-10-01 2011-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JP5075759B2 (ja) * 2008-08-07 2012-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KR101258094B1 (ko) 2011-08-30 2013-04-25 현대로템 주식회사 근력지원로봇용 토크 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근력지원로봇의 발목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0465A (ja) * 2008-11-06 2010-05-20 Honda Motor Co Ltd 歩行補助装置の足首関節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96450A1 (en) 2015-07-16
KR20150085608A (ko) 2015-07-24
US10219968B2 (en)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636B1 (ko)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KR101290174B1 (ko) 근력 지원용 착용형 로봇
KR101219795B1 (ko) 근력 지원용 착용형 로봇
KR102073001B1 (ko) 착용형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101290173B1 (ko) 근력 지원용 착용형 로봇
KR101517058B1 (ko) 고관절용 근력보조로봇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11666B1 (ko) 다절 링크 기구와 이를 이용한 하지 외골격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1853B1 (ko)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JP6588635B2 (ja) ヒト外骨格のための汎用テンセグリティ関節
KR102253243B1 (ko) 보행 보조장치 및 보행 보조장치의 제어 방법
US20110163561A1 (en) Robot hand and robot having the same
US20080203955A1 (en) Legged Mobile Robot
US9079624B2 (en) Walking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balance thereof
KR20150085357A (ko) 착용형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6139A (ko) 운동 보조 장치
KR20180023708A (ko) 운동 보조 장치
US20100161116A1 (en)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balance thereof
KR101983377B1 (ko) 운동 보조 장치
EP2387384A1 (en) Method for automatic alignment of a position and orientation indicator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movements of a body part
US8301303B2 (en)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75301A (ko) 운동 보조 장치
US20110257567A1 (en) Motion assist device
KR101287346B1 (ko) 근력 지원용 착용형 로봇
JP2011217834A (ja) 歩行補助装具の評価方法及び評価用治具
KR101496417B1 (ko) 무릎관절용 근력보조로봇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