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504B1 -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504B1
KR102152504B1 KR1020180131837A KR20180131837A KR102152504B1 KR 102152504 B1 KR102152504 B1 KR 102152504B1 KR 1020180131837 A KR1020180131837 A KR 1020180131837A KR 20180131837 A KR20180131837 A KR 20180131837A KR 102152504 B1 KR102152504 B1 KR 10215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urvature
unit
light distribution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042A (ko
Inventor
이윤철
송상빈
신경호
정광현
채성기
배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3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5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43Inhomogeneous or irregular arrays, e.g. varying shape, size, he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의 배광분포와 노면을 m×n 매트릭스로 대응시켜 각 노면에 해당하는 렌즈면을 자유곡면 형태로 구성하여 목표 배광을 구현하는 자유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기활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그가 m×n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곡률 생성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공급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표면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변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원의 배광분포와 노면을 m×n 매트릭스로 대응시켜 각 노면에 해당하는 렌즈면을 자유곡면 형태로 구성하여 불필요한 배광은 배제하고 목표한 배광은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REE FORM LENS}
본 발명은 자유형상 렌즈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의 배광분포와 노면을 m×n 매트릭스로 대응시켜 각 노면에 해당하는 렌즈면을 자유곡면 형태로 구성하여 목표 배광을 구현하는 자유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서는 야간에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로를 조명하는 도로조명용 조명기구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도로용 조명용 기구는 등주식 가로등 기구로서, 도로의 갓길 밖의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고,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이 도로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비춰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기구와 배광분포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조명기구(10)에서 출력된 빛은 도로(20)에 조사되어 임의의 배광분포(30)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기구는 광원에서 출력된 빛이 미리 설정된 도로의 배광영역(30) 외에 다른 미영역(40, 41, 42)으로 조사되는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미설정영역으로의 배광형성은 주거지역이나 농경지와 같은 곳에 빛 공해로 인한 민원 발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91406호(발명의 명칭: 백열등의 배광패턴을 갖는 LED 등기구)와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082548호(발명의 명칭: 횡단보도용 조명등)는 각각 반사부와 리플렉터를 이용하여 배광패턴을 구현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반사부나 리플렉터를 사용함에 따라 제조단가가 높고, 리플렉터 사용으로 인한 조명범위를 과도하게 축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082548호(발명의 명칭: 횡단보도용 조명등) 2.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28474호(발명의 명칭: 어레이 렌즈 가공 방법 및 장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원의 배광분포와 노면을 m×n 매트릭스로 대응시켜 각 노면에 해당하는 렌즈면을 자유곡면 형태로 구성하여 목표 배광을 구현하는 자유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활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그가 m×n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곡률 생성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공급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표면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변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는 m×n 매트릭스 형태로 구분된 배광영역으로 조사되는 배광패턴에 대응하여 개별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렌즈의 곡률 산출 프로그램을 통해 산출하는 곡률 데이터 생성부; 상기 곡률 데이터 생성부에서 산출된 개별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전기활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그가 m×n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지그의 표면 곡률이 변형되도록 하는 곡률 생성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곡률 생성 모듈부는 전기활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전기 활성부를 구비한 지그; 및 상기 전기 활성부로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기 활성부는 강유전성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노면에 조사될 배광패턴 데이터가 곡률 데이터 생성부에 입력되면, 상기 곡률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노면을 m×n 매트릭스의 배광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배광영역으로 조사될 배광패턴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b) 상기 곡률 데이터 생성부가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렌즈의 곡률 산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배광영역에 대응되는 개별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c)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개별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곡률 생성 모듈부로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곡률 생성 모듈부의 표면 곡률이 변형되면, 상기 곡률 생성 모듈부의 표면 형상에 대응하는 몰딩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조된 몰딩부를 이용하여 렌즈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단계의 곡률 생성 모듈부는 m×n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지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그의 표면 곡률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부는 렌즈의 출사면이 임의의 기준점(P)을 중심으로 동일한 기울기 또는 서로 다른 기울기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부는 렌즈의 입사면 형상을 장방형상의 타원형상으로 구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부는 렌즈의 입사면을 일측에 편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원의 배광분포와 노면을 m×n 매트릭스로 대응시켜 각 노면에 해당하는 렌즈면을 자유곡면 형태로 구성하여 불필요한 배광은 배제하고 목표한 배광은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배광패턴을 제공하는 렌즈를 제조할 수 있어 광원에서 출력된 빛이 손실없이 목표한 배광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기구와 배광분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의 곡률 데이터 생성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의 곡률 생성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곡률 생성 지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본 발명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렌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렌즈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의 곡률 데이터 생성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의 곡률 생성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곡률 생성 지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자유 형상 렌즈의 제조장치(100)는 전기활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그(130a, 130b, 130c)가 m×n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곡률 생성 모듈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130a, 130b, 130c)는 공급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표면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변형되도록 이루어지며, 곡률 데이터 생성부(110)와, 제어부(120)와, 곡률 생성 모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곡률 데이터 생성부(110)는 노면에 조사될 배광패턴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노면을 m×n 매트릭스의 배광영역(300)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배광영역(300)으로 조사될 배광패턴을 미리 저장된 배광패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모의적으로 실험하고, 그 배광특성을 파악한다.
또한, 상기곡률 데이터 생성부(110)는 상기 배광패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렌즈면의 곡률 산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배광영역(300)에 대응되는 배광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개별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를 산출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곡률 데이터 생성부(110)에서 산출된 개별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곡률 생성 모듈부(130)로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렌즈면이 일정 곡률을 형성할 경우, 곡률 생성 모듈부(130)로 상기 형성될 곡률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곡률 생성 모듈부(130)는 전기활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그(130a, 130b, 130c)와, 상기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지그(130a, 130b, 130c)의 표면 곡률이 변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지그(130a, 130b, 130c)와, 상기 지그(130a, 130b, 130c)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전극부(132, 133, 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그(130a, 130b, 130c)는 지그 1(130a), 지그 2(130b) ‥ 지그 n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그 1, 지그 2 내지 지그 n은 m×n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곡률 데이터 생성부(110)에 입력되는 노면의 m×n 배광영역(30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지그 1, 지그 2 내지 지그 n(130a, 130b, 130c)은 전기활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전기 활성부(135)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전기 활성부(135)는 강유전성(Ferroelectric) 거동 원리로 작동하는 전기활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부재로서, 전압이 공급되면 표면의 형태가 변형되는 겔(gal)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등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범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기 활성부(135)는 전극부(132, 133, 1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회로 기판부(131) 상에 어레이되어 설치된다.
상기 전극부(132, 133, 134)는 제1 전극부(132)와, 제2 전극부(133)와, 제3 전극부(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 3 전극부(132, 133, 134)는 전기 활성부(135)로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 활성부(135)의 표면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전극부(132)와 제2 전극부(133)는 전기 활성부(135)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3 전극부(134)는 상기 전기 활성부(135)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전극부(132)와 제2 전극부(133)는 "+" 전압이 형성될 수 있고, 제3 전극부(134)는 "-"전압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전극부(132)와 제2 전극부(133)는 동일한 전압이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부(132, 133, 134)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전기 활성부(135)의 표면이 변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전극부(132)와 제2 전극부(133)에 예를 들어 동일한 크기의 "+" 전압을 공급하면, 전기 활성부(135)의 표면은 대칭 구조의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고, 상기 제1 전극부(132)와 제2 전극부(133)에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크기의 "+" 전압을 공급하면, 상기 전압의 차이를 통해 전기 활성부(135)의 표면은 비대칭 구조의 볼록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지그 2(130b)에 설치된 제1 전극부(132'), 제2 전극부(133'), 제3 전극부(134')는 상기 지그 2(130b)의 표면이 개별 변형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곡률 생성 모듈부(130)에 설치된 지그 1, 지그 2 내지 지그 n은 m×n 매트릭스 형태로 세분화된 개별 곡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의 제조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면에 조사될 배광패턴 데이터가 곡률 데이터 생성부(110)에 입력되면, 상기 곡률 데이터 생성부(110)는 상기 노면을 m×n 매트릭스의 배광영역(300)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배광영역(300)으로 개별적으로 조사될 배광 패턴을 시뮬레이션(S100)한다.
상기 S100 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기 곡률 데이터 생성부(110)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한 배광 패턴의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한 배광 패턴의 형성에 요구되는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렌즈의 곡률 산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배광영역(300)에 대응되는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개별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를 산출(S200)한다.
상기 S200 단계를 수행한 다음, 제어부(120)는 상기 산출된 개별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값(예를 들면, 전압 값)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룩업테이블(LUT)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전기 신호값을 곡률 생성 모듈부(130)로 출력(S300)한다.
상기 S300 단계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값은 곡률 생성 모듈부(130)의 제1 전극부(132, 132'), 제2 전극부(133, 133'), 제3 전극부(134, 134')를 통해 m×n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지그 1(130a) 지그 2(130b), 지그 n(130c)에 각각 전달되어 전기 활성부(135)를 활성화시켜 상기 곡률 생성 모듈부(130)의 지그 1, 지그 2 내지 지그 n(130a, 130b, 130c)의 표면 곡률이 변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그 1, 지그 2 내지 지그 n(130a, 130b, 130c)의 표면 곡률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면 곡률이 서로 다른 경우, 비대칭 형상의 표면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곡률 생성 모듈부(130)의 지그 1, 지그 2 내지 지그 n(130a, 130b, 130c)의 표면 곡률이 변형되면, 상기 곡률 생성 모듈부(130)의 표면 형상에 대응하는 몰딩부(400)를 제조(S400)한다.
이후, 상기 S400 단계에서 제조된 몰딩부(400)를 이용하여 복수의 개별 렌즈를 구비한 렌즈부(500)를 제조(S500)한다.
한편, 상기 렌즈부(500)는 상기 제조과정을 통해 개별 렌즈의 출사면(510a, 510b, 510c)이 임의의 기준점(P)을 중심으로 동일한 기울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511, 5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500)는 개별 렌즈의 입사면(520a, 520b, 520c)을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상의 타원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일측에 편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500)는 개별 렌즈의 입사면(520a, 520b, 520c)을 타원의 초점거리와 주축 길이를 조절하여 배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장축 방향으로 전사광 및 후사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단축방향으로 일정 방향에 대한 배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500)는 개별 렌즈의 입사면(520a, 520b, 520c)의 장축과 단축의 차를 최대화하여 광원부(200)에서 출력된 빛이 장축 방향으로 입사 후 굴절각이 최대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단축 방향으로 입사한 빛은 굴절각을 최소화하여 일정 방향으로 넓은 범위를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500)는 입사면(520a, 520b, 520c)의 장축 방향으로 입사된 빛은 완만한 경사의 제1 경사면(511)과 상기 제1 경사면(511)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사의 제2 경사면(512)을 통해 굴절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경사면(511)은 렌즈부(500)의 전측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근거리인 후측방향에 비해 넓은 영역으로 조사될 수 있게 굴절각이 큰 값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경사면(512)을 통해 굴절된 빛은 후사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굴절된 빛이 바닥면으로 굴절되는 큰 굴절각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광원의 배광분포와 노면을 m×n 매트릭스로 대응시켜 각 노면에 해당하는 렌즈면을 자유곡면 형태로 구성하여 불필요한 배광은 배제하고 목표한 배광은 구현할 수 있고,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배광패턴을 제공하는 렌즈를 제조할 수 있어 광원에서 출력된 빛이 손실없이 목표한 배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제조장치 110 : 곡률 데이터 생성부
120 : 제어부 130 : 곡률 생성 모듈부
130a : 지그 1 130b : 지그 2
130c : 지그 n 131 : 회로 기판부
132, 132' : 제1 전극부 133, 133' : 제2 전극부
134, 134' : 제3 전극부 135, 135' : 전기 활성부
135a, 135'a : 전기 활성부 표면
200 : 광원부 300 : 배광영역
400 : 몰딩부 500 : 렌즈부
510a, 510b, 510c : 렌즈부 출사면
511 : 제1 경사면 512 : 제2 경사면
520a, 520b, 520c : 렌즈부 입사면

Claims (9)

  1. m×n 매트릭스 형태로 구분된 배광영역(300)으로 조사되는 배광패턴에 대응하여 개별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렌즈의 곡률 산출 프로그램을 통해 산출하는 곡률 데이터 생성부(110);
    상기 곡률 데이터 생성부(110)에서 산출된 개별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곡률 생성 모듈부(130)로 출력하는 제어부(120); 및
    전기활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그(130a, 130b, 130c)가 m×n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지그(130a, 130b, 130c)의 표면 곡률이 변형되도록 하는 곡률 생성 모듈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130a, 130b, 130c)는 공급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표면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변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생성 모듈부(130)는 전기활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전기 활성부(135)를 구비한 지그(130a); 및
    상기 전기 활성부(135)로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전극부(132, 133, 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활성부(135)는 강유전성 전기 활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5. a) 노면에 조사될 배광패턴 데이터가 곡률 데이터 생성부(110)에 입력되면, 상기 곡률 데이터 생성부(110)가 상기 노면을 m×n 매트릭스의 배광영역(300)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배광영역(300)으로 조사될 배광패턴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b) 상기 곡률 데이터 생성부(110)가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렌즈의 곡률 산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배광영역(300)에 대응되는 개별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c) 제어부(120)가 상기 산출된 개별 렌즈면의 곡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곡률 생성 모듈부(130)로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곡률 생성 모듈부(130)의 표면 곡률이 변형되면, 상기 곡률 생성 모듈부(130)의 표면 형상에 대응하는 몰딩부(400)를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조된 몰딩부(400)를 이용하여 렌즈부(500)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유 형상 렌즈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곡률 생성 모듈부(130)는 m×n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지그(130a, 130b, 130c)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그(130a, 130b, 130c)의 표면 곡률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형상 렌즈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500)는 렌즈의 출사면(510a, 510b, 510c)이 임의의 기준점(P)을 중심으로 동일한 기울기 또는 서로 다른 기울기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경사면(511, 51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형상 렌즈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500)는 렌즈의 입사면(520a, 520b, 520c) 형상을 장방형상의 타원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형상 렌즈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500)는 렌즈의 입사면(520a, 520b, 520c)을 일측에 편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형상 렌즈 제조방법.
KR1020180131837A 2018-10-31 2018-10-31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152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837A KR102152504B1 (ko) 2018-10-31 2018-10-31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837A KR102152504B1 (ko) 2018-10-31 2018-10-31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042A KR20200049042A (ko) 2020-05-08
KR102152504B1 true KR102152504B1 (ko) 2020-09-04

Family

ID=7067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837A KR102152504B1 (ko) 2018-10-31 2018-10-31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5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8655A (ja) 1999-02-03 2000-08-08 Sumitomo Electric Ind Ltd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形成用金型の製造方法
JP2005062304A (ja) 2003-08-08 2005-03-10 Fuji Xerox Co Ltd マイクロレンズアレー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20050157396A1 (en) 2000-10-10 2005-07-21 Canon Kabushiki Kaisha Microstructure array, mold for forming a microstructure arr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2645686A (zh) 2012-05-18 2012-08-2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均匀会聚菲涅尔透镜的设计方法
JP2012215871A (ja) 2011-03-31 201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無メガネ方式の2次元/3次元ディスプレイ用レンチキュラー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723B1 (ko) * 2006-12-15 2008-09-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마이크로 렌즈 패턴 형성방법, 도광판용 코어금형의제조방법 및 코어금형을 이용한 도광판 제조방법
KR101082548B1 (ko) 2011-06-15 2011-11-15 신경준 횡단보도용 조명등
JP5814847B2 (ja) * 2012-03-28 2015-11-17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
KR101471030B1 (ko) 2013-04-25 2014-12-11 아이오솔루션(주) 어레이 렌즈 가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98188A (ko) * 2014-02-18 2015-08-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변 초점 반사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
KR101593789B1 (ko) * 2014-04-08 2016-02-12 한국광기술원 복합 비구면 렌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8655A (ja) 1999-02-03 2000-08-08 Sumitomo Electric Ind Ltd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形成用金型の製造方法
US20050157396A1 (en) 2000-10-10 2005-07-21 Canon Kabushiki Kaisha Microstructure array, mold for forming a microstructure arr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5062304A (ja) 2003-08-08 2005-03-10 Fuji Xerox Co Ltd マイクロレンズアレー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2215871A (ja) 2011-03-31 201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無メガネ方式の2次元/3次元ディスプレイ用レンチキュラーユニット
KR101813614B1 (ko) * 2011-03-31 2018-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2차원/3차원 무안경식 디스플레이 용 렌티큘러 장치
CN102645686A (zh) 2012-05-18 2012-08-2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均匀会聚菲涅尔透镜的设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042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2696B1 (en) Lighting device having a rectangular illuminance pattern
JP5920612B2 (ja) 2つ以上のマイクロ構造化されたフィルムを有する光学構造
JP3153647U (ja) Ledの光学レンズおよびその光学レンズを用いた照明装置
US70426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fulfilling illumination prescription
US20110320024A1 (en) Optical element of lighting device and design method of the same
US9128344B2 (en) LED vehicle headlamp with electrochromic device
RU2336458C2 (ru) Способ освещ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вещения
US10156342B2 (en) Lighting device with elastic envelope
US20120300469A1 (en) Light Collector With Extended Center Lens
CA2641832A1 (en) An improved led device for wide beam generation
CN103927421A (zh) 三维光学系统的实现方法
Fournier A review of beam shaping strategies for LED lighting
WO2011154735A1 (en) Lens element arrangement
JP2018527711A (ja) Ledモジュール及び照明モジュール
JP2008140667A (ja) 照明装置
Timinger et al. Designing tailored free-form surfaces for general illumination
KR102152504B1 (ko)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
EP2823348A1 (en) Lens and illuminating device having the lens
CN110402349B (zh) 高视觉舒适道路和城市led照明
CN108506743A (zh) 一种高聚焦度的自由曲面菲涅尔照明系统
TWI664545B (zh) 一次光學自由曲面結構的製作方法
Zhang et al. Adjustable beam lighting with LED matrix and lens array
Hsieh et al. The Development of LED‐Based Dental Light Using a Multiplanar Reflector Design
CN208381776U (zh) 光束灯和照明系统
Desnijder et al. Design of a freeform, luminance spreading illumination lens with a continuous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