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737B1 -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 Google Patents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737B1
KR102151737B1 KR1020190031201A KR20190031201A KR102151737B1 KR 102151737 B1 KR102151737 B1 KR 102151737B1 KR 1020190031201 A KR1020190031201 A KR 1020190031201A KR 20190031201 A KR20190031201 A KR 20190031201A KR 102151737 B1 KR102151737 B1 KR 102151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ipe
working fluid
heat
hea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용
Original Assignee
박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용 filed Critical 박병용
Priority to KR1020190031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5Convecting elements concealed in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85Pipe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7Heat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난방 위치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유입 온수관과, 상기 유입 온수관에 일정 간격마다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히트 파이프와, 상기 복수개의 히트 파이프가 일정 간격마다 체결되어 히트 파이프들로부터 배출되는 온수가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유출 온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히트 파이프의 내부 구조는 온수가 흐르는 외부 온수 하우징과, 상기 외부 온수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는 작동 유체관을 포함하여 히트 파이프 내부로 흐르는 온수량을 작동 유체관의 크기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Colling or heating device using Heat pipe}
본 발명은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히 설명하면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 장치의 난방 파이프 내부에 히트 파이프가 형성되어 난방 효율을 향상시키는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 주택, 아파트 및 빌딩 등의 바닥에 사용되는 난방 장치는 바닥 하부에 난방 파이프를 시공하고, 상기 난방 파이프로 온수를 전달하는 보일러를 이용하는 형태이다.
상기 난방 파이프는 온수가 통과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열이 바닥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병렬로 설치된다.
보일러에서 배출된 온수는 난방 위치에 설치된 난방 파이프 전체를 경유한 후에 다시 보일러로 보내져 설정 온도까지 가열된 후에 다시 난방 위치로 보내진다.
그런데 종래의 난방 파이프는 단순한 관 형태로 난방 파이프 내부 전체에 온수가 흐르도록 형성되어 온수의 양이 많이 필요하고, 보일러에서 많은 양의 온수를 가열하기 위해서 연료 소비도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44130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난방에 사용되는 온수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열 전달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온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난방 위치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유입 온수관과, 상기 유입 온수관에 일정 간격마다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히트 파이프와, 상기 복수개의 히트 파이프가 일정 간격마다 체결되어 히트 파이프들로부터 배출되는 온수가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유출 온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히트 파이프의 내부 구조는 온수가 흐르는 외부 온수 하우징과, 상기 외부 온수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는 작동 유체관을 포함하여 히트 파이프 내부로 흐르는 온수량을 작동 유체관의 크기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작동 유체관은 내부가 진공인 상태로 열매체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체관이 외부 온수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탄성 지지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체관의 외측 둘레에 나선형 돌출 부재 또는 나선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체관의 양측단 중심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에 탄성 지지 부재의 끝단이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온수 하우징의 내측에 작동 유체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공간점유봉, 방사형 지지부재 및 지지중공관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중공관에도 열매체를 투입하여 외부 온수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유출 온수관의 끝단에 연결되는 감압 밸브와, 상기 감압 밸브를 통과한 온수가 보일러에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감압 온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 온수관에는 히트 파이프와 결합되는 유입 분기 부분에 탄성 재질의 원터치 결합 패킹이 형성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 둘레에는 상기 원터치 결합 패킹에 결합되는 만곡 돌출 패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터치 결합 패킹은 상기 유입 분기 부분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 오목홈에 체결되는 체결부분과, 고리 형태의 내측으로 형성된 2개의 만곡 돌기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만곡 돌기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 오목 부분 중 오목 외측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만곡 돌출 패킹의 패킹 후면도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동 유체관이 형성된 히트 파이프를 통하여 난방 온도는 유지하면서 난방장치 내부에 흐르는 전체 온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난방에 사용되는 온수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열 전달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공간점유봉들은 작동 유체관과 외부 온수 하우징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감소시키면서 외부 온수 하우징의 외측으로 전달되는 열의 양은 최대화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지지중공관은 작동 유체관이 외부 온수 하우징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도록 지지작용을 함과 동시에 작동 유체관과 외부 온수 하우징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외부 온수 하우징의 내측에 흐르는 온수의 양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인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히트 파이프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단면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대한 제1변형례이고, 도 2의 (c)는 도 2의 (a)에 대한 제2변형례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히트 파이프 중 B-B'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대한 제1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a)에 대한 제2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3의 (a)에 대한 제3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히트 파이프 체결 부분 A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 중 C부분을 체결전과 체결후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5의 (c)는 도 5의 (b) 중 D부분의 변형례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도 1의 감압 밸브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1의 감압 밸브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의 히트 파이프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단면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대한 제1변형례이고, 도 2의 (c)는 도 2의 (a)에 대한 제2변형례이며, 도 3의 (a)는 도 2의 히트 파이프 중 B-B'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대한 제1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100)는 온수를 가열하여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보일러(110)와, 상기 보일러(11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난방 위치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유입 온수관(130)과, 상기 유입 온수관(130)에 일정 간격마다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히트 파이프(150)와, 상기 복수개의 히트 파이프(150)가 일정 간격마다 체결되어 히트 파이프(150)들로부터 배출되는 온수가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유출 온수관(170)과, 상기 유출 온수관(170)의 끝단에 연결되는 감압 밸브(190)와, 상기 감압 밸브(190)를 통과한 온수가 보일러(110)에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감압 온수관(210)을 포함한다.
상기 보일러(110)는 사용 연료에 따라서 가스 보일러, 전기 보일러, 기름 보일러, 태양열 보일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감압 온수관(210)을 통하여 전달되는 낮은 온도의 온수를 사용자 등이 설정한 고온으로 가열하여 상기 유입 온수관(130)으로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유입 온수관(130)에는 보일러(110)로부터 전달되는 온수를 복수개의 히트 파이프(150)에 전달하기 위해서 일정 간격마다 유입 분기 부분(132)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 분기 부분(132) 중 제1유입 분기 부분(132-1)은 상기 히트 파이프(150) 중 제1히트 파이프(150-1)에 연결되고, 제2유입 분기 부분(132-1)은 히트 파이프(150) 중 제2히트 파이프(150-2)에 연결되며, 제n유입 분기 부분(132-n)은 히트 파이프(150) 중 제n히트 파이프(150-n)에 연결된다.
상기 히트 파이프(150)의 내부 구조는 도 2의 (a)와 같이 외부 온수 하우징(152)과, 상기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에 형성되는 작동 유체관(158)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부 중 상기 작동 유체관(158)을 제외한 부분에는 온수가 흐르고, 상기 작동 유체관(158)은 내부가 진공인 상태로 증류수 등의 열매체(160)가 전체 부피의 1/5인 20% 주입되어 있다.
상기 열매체(160)는 상기 온수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받아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되어 작동 유체관(158) 전체의 온도를 상기 온수의 온도와 같은 상태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은 작동 유체관(158)이 형성된 히트 파이프(150)를 통하여 난방 온도는 유지하면서 난방장치 내부에 흐르는 전체 온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난방에 사용되는 온수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열 전달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작동 유체관(158)이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스프링 등의 탄성 지지 부재(162)의 일측을 상기 작동 유체관(158)에 연결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162)의 타측을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에 고정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작동 유체관(158)은 도 3의 (a)와 같이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중앙에 위치되며, 외부 충격에 의해 작동 유체관(158)이 진동할 때도 탄성 지지 부재(162)가 탄성 변형되면서 작동 유체관(158)의 위치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대한 제1변형례로서, 작동 유체관(158)이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작동 유체관(158)의 양측에 베어링부(158-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162)가 상기 베어링부(158-1)에 연결되어 작동 유체관(158)이 탄성 지지 부재(162)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유체관(158)의 외측 둘레에 나선형 돌출 부재(158-2)가 형성되어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에 흐르는 온수의 흐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에 흐르는 온수가 상기 나선형 돌출 부재(158-2)를 미는 작용을 하며, 작동 유체관(158)은 탄성 지지 부재(162)를 기준으로 회전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보일러(110) 난방 온도를 급하게 상승시키고자 할 때 보일러(110)를 통하여 고온으로 가열된 온수가 신속하게 전체 난방 위치에 전달되도록 작동 유체관(158)이 회전될 수 있어 히트 파이프(150) 내측을 흐르는 온수의 흐름을 가속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2의 (c)는 도 2의 (a)에 대한 제2변형례로서, 작동 유체관(158)의 양측단 중심에 오목홈(158-3)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58-3)에 탄성 지지 부재(162-1)의 끝단(162-2)이 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158-3)과 끝단(162-2)은 점접촉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오목홈(158-3)의 중심에 끝단(162-2)이 점접촉하여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점접촉된 부분이 작동 유체관(158)의 회전중심축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 유체관(158)에는 둘레를 따라서 나선형 홈(158-4)이 형성되어 온수의 흐름에 따라서 작동 유체관(158)은 탄성 지지 부재(162-1)의 끝단(162-2)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보일러(110) 난방 온도를 급하게 상승시키고자 할 때 보일러(110)를 통하여 고온으로 가열된 온수가 신속하게 전체 난방 위치에 전달되도록 작동 유체관(158)이 회전될 수 있어 히트 파이프(150) 내측을 흐르는 온수의 흐름을 가속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보일러(110)의 난방 효율은 신속하게 난방이 되는 것도 중요한 요소이며, 본 발명은 상기 제1변형례와 제2변형례를 통하여 작동 유체관(158)의 회전 구조를 형성하고, 온수의 흐름을 가속할 수 있어, 고온의 온수를 신속하게 난방 위치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통하여 효율성이 높은 보일러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도 3의 (b)와 같이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에 작동 유체관(158)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공간점유봉(16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간점유봉(164)들은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에 작동 유체관(158)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한 감소시키면서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외측으로 전달되는 열의 양은 최대화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점유봉(164)들은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에 접하도록 일체화되어 공간점유봉(164)들이 작동 유체관(158)과 외부 온수 하우징(152) 사이의 공간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공간점유봉(164)은 온수의 열이 전달되지 않은 비열전도성 소재가 바람직하다.
도 4의 (a)는 도 3의 (a)에 대한 제2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3의 (a)에 대한 제3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에 작동 유체관(158)의 둘레를 따라서 방사형 지지부재(166)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사형 지지부재(166)는 얇은 격벽 형태로 형성되고, 작동 유체관(158)이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도록 지지작용을 한다.
상기 방사형 지지부재(166)의 개수는 방사형을 형성하도록 3개 이상이어야 하며, 4개 내지 8개 사이에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방사형 지지부재(166)의 재질을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작동 유체관(158)은 방사형 지지부재(166)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 중앙에 위치될 수 있어 파손의 위험이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방사형 지지부재(166)를 통하여 작동 유체관(158)의 파손을 방지하여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에 작동 유체관(158)의 길이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지지중공관(168)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중공관(168)은 내측이 빈 공간인 관 형상이며, 길이 방향으로 작동 유체관(158)과 외부 온수 하우징(152)에 선접촉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중공관(168)이 작동 유체관(158)을 중심으로 해서 작동 유체관(158)과 외부 온수 하우징(152) 사이에 방사형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 작동 유체관(158)은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중심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중공관(168)은 상기 작동 유체관(158)이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도록 지지작용을 함과 동시에 작동 유체관(158)과 외부 온수 하우징(152)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외부 온수 하우징(152)의 내측에 흐르는 온수의 양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중공관(168)에도 열매체(160-1)를 투입하여 외부 온수 하우징(152) 내부의 온도를 고르게 유지하는 것도 가능한다.
도 5의 (a)는 도 1의 히트 파이프 체결 부분 A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 중 C부분을 체결전과 체결후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5의 (c)는 도 5의 (b) 중 D부분의 변형례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히트 파이프(150) 체결 부분의 변형례는 도 5와 같이 원터치 체결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 온수관(130)의 유입 분기 부분(132)과 히트 파이프(150) 사이의 체결을 원터치 체결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유입 분기 부분(132)의 일측에는 탄성 재질의 원터치 결합 패킹(310)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 분기 부분(132)에 결합되는 히트 파이프(150)의 일측 둘레에는 상기 원터치 결합 패킹(310)에 결합되는 만곡 돌출 패킹(330)이 형성된다.
상기 원터치 결합 패킹(310)은 개략적으로 고리 형태이며, 유입 분기 부분(132)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 오목홈(332)에 체결되는 체결부분(334)과, 고리 형태의 내측으로 형성된 2개의 만곡 돌기 부분(336-1, 336-2)이 포함된다.
상기 히트 파이프(150)의 일측 둘레가 상기 유입 분기 부분(132)에 결합될 때, 상기 만곡 돌출 패킹(330)이 상기 2개의 만곡 돌기 부분(336-1, 336-2) 사이에 탄성 변형되면서 밀착되어 방수되도록 수밀성이 유지되면서 결합된다.
본 발명은 원터치 체결 방식을 통하여 시공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의 (c)와 같이 상기 만곡 돌기 부분(336-1, 336-2)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 오목 부분(336-3) 중 내측 만곡 돌기 부분(336-1)과 연결되는 부분은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외측 만곡 돌기 부분(336-2)과 연결되는 오목 외측면(336-3a)은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 오목 부분(336-3)에 결합되는 만곡 돌출 패킹(330)의 패킹 후면(330a)도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 외측면(336-3a)과 패킹 후면(330a)이 모두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만곡 돌출 패킹(330)이 상기 2개의 만곡 돌기 부분(336-1, 336-2) 사이에 결합된 후 수밀성이 높고 탈거되기 어려운 효과가 발생된다.
도 6의 (a)는 도 1의 감압 밸브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1의 감압 밸브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감압 밸브(190)는 도 6과 같이 일측은 유출 온수관(170)과 연결되고, 타측은 감압 온수관(210)과 연결된다.
감압 밸브(190)에는 상기 유출 온수관(170)과 감압 온수관(210)에 동일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밸브 부분(192)과, 상기 본체 밸브 부분(192)에 수직 상부에 형성된 개략적으로 십자가 형태의 감압 조절 부분(194)이 포함된다.
상기 본체 밸브 부분(192)에는 하부에서 중앙부로 형성된 하부 격벽(196)과, 상기 하부 격벽(196)과 연결되어 중앙부에서 상부로 형성된 상부 격벽(198)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격벽(196)과 상부 격벽(198) 사이에는 중앙 유로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유로공(201)의 하부에는 개폐 부재(203)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 부재(203)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탄성 지지 부재봉(20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봉(205)은 감압 조절 부분(194)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상부에 고정되며, 감압 조절 부분(194) 중 공간이 확장되는 개략적인 십자가 형태의 양팔 부분(207)에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변형가능한 다이아프램 부재(209)가 형성된다.
도 6의 (a)는 감압 밸브(190)가 개방된 상태이고, 이 상태는 감압 밸브(190)로 유입되는 온수의 압력인 P1과 감압 밸브(19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온수의 압력인 P2가 동일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감압 밸브(19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온수 양이 증가되면 P2의 압력이 높아져서 개폐 부재(203)를 상승시키면서 탄성 지지 부재봉(205)을 탄성 압축시켜 개폐 부재(203)가 중앙 유로공(201)을 막도록 작용되면서 유로가 좁아진다.
상기 중앙 유로공(201)을 통하여 형성된 유로가 좁아지면 흐르는 유량도 작아지고 P2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탄성 압축되었던 탄성 지지 부재봉(205)이 복원되면서 개폐 부재(203)를 다시 하방으로 이동시켜 중앙 유로공(201)을 통하여 형성된 유로를 확대한다.
만약, P2의 압력이 매우 높아지면 중앙 유로공(201)이 개폐 부재(203)에 의해 폐쇄되면서 도 6의 (b)와 같이 감압 밸브(190)가 폐쇄된 상태가 된다.
감압 밸브(19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감압 밸브(19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온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감압 밸브(190)로 유입되는 온수의 양보다 배출되는 온수의 양이 작게 되도록 조절한다.
본 발명은 보일러(110) 내에 냉각기를 연결하여 냉수를 공급함으로써 냉방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110: 보일러
130: 유입 온수관 132: 유입 분기 부분
150: 히트 파이프 152: 외부 온수 하우징
158: 작동 유체관 160: 열매체
162: 탄성 지지 부재 164: 공간점유봉
170: 유출 온수관 190: 감압 밸브
210: 감압 온수관

Claims (6)

  1. 온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난방 위치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유입 온수관과,
    상기 유입 온수관에 일정 간격마다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히트 파이프와,
    상기 복수개의 히트 파이프가 일정 간격마다 체결되어 히트 파이프들로부터 배출되는 온수가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유출 온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히트 파이프의 내부 구조는
    온수가 흐르는 외부 온수 하우징과,
    상기 외부 온수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는 작동 유체관을 포함하여 히트 파이프 내부로 흐르는 온수량을 작동 유체관의 크기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유입 온수관에는 히트 파이프와 결합되는 유입 분기 부분에 탄성 재질의 원터치 결합 패킹이 형성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 둘레에는 상기 원터치 결합 패킹에 결합되는 만곡 돌출 패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체관이 외부 온수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탄성 지지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체관의 외측 둘레에 나선형 돌출 부재 또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출 온수관의 끝단에 연결되는 감압 밸브와,
    상기 감압 밸브를 통과한 온수가 보일러에 전달되도록 형성되는 감압 온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결합 패킹은
    상기 유입 분기 부분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 오목홈에 체결되는 체결부분과, 고리 형태의 내측으로 형성된 2개의 만곡 돌기 부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KR1020190031201A 2019-03-19 2019-03-19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KR102151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201A KR102151737B1 (ko) 2019-03-19 2019-03-19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201A KR102151737B1 (ko) 2019-03-19 2019-03-19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737B1 true KR102151737B1 (ko) 2020-09-04

Family

ID=7247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201A KR102151737B1 (ko) 2019-03-19 2019-03-19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7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2976A (ja) * 1995-05-19 1996-11-26 Kurita Kogyo:Kk 床暖房システム及び床暖房装置
KR200280127Y1 (ko) * 2002-01-24 2002-06-29 (주)금정테크 히트파이프가 내장된 팬히터
JP2004053186A (ja) * 2002-07-23 2004-02-19 Fujikura Ltd 扁平型ヒートパイプ
JP2004353874A (ja) * 2003-05-26 2004-12-16 Hitoshi Shiga 熱交換器及びそれを備えた家屋の冷暖房構造並びにその施工方法
KR2016004413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삼광글로벌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온풍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2976A (ja) * 1995-05-19 1996-11-26 Kurita Kogyo:Kk 床暖房システム及び床暖房装置
KR200280127Y1 (ko) * 2002-01-24 2002-06-29 (주)금정테크 히트파이프가 내장된 팬히터
JP2004053186A (ja) * 2002-07-23 2004-02-19 Fujikura Ltd 扁平型ヒートパイプ
JP2004353874A (ja) * 2003-05-26 2004-12-16 Hitoshi Shiga 熱交換器及びそれを備えた家屋の冷暖房構造並びにその施工方法
KR2016004413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삼광글로벌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온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24180A1 (en) Coil tube heat exchanger for a tankless hot water system
KR101495550B1 (ko) 순간 온수기
KR102447439B1 (ko) 수처리 장치용 온수생성모듈
CN105221826A (zh) 感温流量调节阀芯及感温流量调节阀
US4518007A (en) Automatic hot water recovery system
KR102151737B1 (ko)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
RU2548219C1 (ru) Устройство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системы отоп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05065016U (zh) 感温流量调节阀芯及感温流量调节阀
US4735174A (en) Hot water heater with counterflow action
KR102064702B1 (ko) 자연 순환식 가열 버너 장치
CN109488816A (zh) 节水暖管
CN102639922A (zh) 气体供给装置
EA027404B1 (ru)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льцевым гнездом для пароохладителя
KR20120132916A (ko) 축열탱크
CN205590676U (zh) 一种发酵罐
CN216009569U (zh) 一种用于壁挂炉的新型节能阀
CN217763898U (zh) 一种燃气热水器
KR20010084150A (ko) 전기 보일러
KR101160598B1 (ko) 냉온수 혼합 밸브
CN220911682U (zh) 一种具有振动功能的相变材料热水器
CN208058893U (zh) 一种畜禽养殖用燃料节能型加热炉
GB2575948A (en) Instantaneous water heater having guide part
KR102245139B1 (ko) 공기 축열식 보일러
KR101724236B1 (ko) 고효율 보일러용 가열장치
KR101839437B1 (ko) 보일러 열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