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536B1 - 용융로 - Google Patents

용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536B1
KR102151536B1 KR1020180086642A KR20180086642A KR102151536B1 KR 102151536 B1 KR102151536 B1 KR 102151536B1 KR 1020180086642 A KR1020180086642 A KR 1020180086642A KR 20180086642 A KR20180086642 A KR 20180086642A KR 102151536 B1 KR102151536 B1 KR 102151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furnace
buffer tank
molten iron
sla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775A (ko
Inventor
김현수
이종열
김선영
최무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8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5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06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 F27B2014/0818Dis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는 용선 및 슬래그가 위치하는 용융로 몸체, 상기 용융로 몸체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용선 및 상기 슬래그를 배출하는 출선구, 그리고 상기 출선구에 연결되는 버퍼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 탱크의 측벽에는 상기 용선 및 상기 슬래그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용융로{MELTING FURNACE}
본 발명은 용융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선 시 차르 베드 레벨(Char bed level)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용융로에 관한 것이다.
용융로의 내부에는 용선 및 슬래그가 체류한다. 용융로의 노저부에는 차르(Char) 및 코크(Coke)가 위치하지 않고 용선만이 채워지는 자유 공간(Free space, FS)이 형성된다. 이러한 자유 공간은 용용로의 노저 내화물의 침식을 줄여주고 슬래그 배출 및 출선을 원활하게 해준다.
그러나, 출선 시, 자유 공간의 높이 변화로 인해, 차르 베드 레벨(Char bed level)도 변동되므로, 용융로 내부의 가스 이용률이 변화되어 조업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출선하기 전에는 철원으로부터 생성되는 용선과 슬래그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용융로 내부에 쌓이게 되므로, 용선과 슬래그가 증가하고 자유 공간이 증가하게 된다. 자유 공간이 증가하므로, 차르(Char)는 떠오르게 되어 차르 베드 레벨(Char bed Level)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출선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용선 및 슬래그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용융로 내부의 용선 및 슬래그가 감소하고, 자유 공간이 감소하여 차르 베드 레벨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차르 베드 레벨이 낮아지면 장입물인 환원철(HCI)의 체류 시간이 감소하게 되므로, 환원 가스의 이용률이 저하되어 열적 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코크스 및 연료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차르 베드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유 공간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용융로 내부의 용선 및 슬래그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나, 출선구 주변이 침식에 의해 확대되므로, 출선 속도가 일정하지 않아, 용선 및 슬래그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출선구는 배출되는 용선 및 슬래그의 압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마모되며, 용선의 온도가 1500℃의 고온으로 열적 부하가 크기 때문에 출선구의 마모 속도는 가속화된다. 이러한 출선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용융로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으나, 이 경우 생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출선 시 용융로 내부의 자유 공간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차르 베드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용융로의 조업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용융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는 용선 및 슬래그가 위치하는 용융로 몸체, 상기 용융로 몸체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용선 및 상기 슬래그를 배출하는 출선구, 그리고 상기 출선구에 연결되는 버퍼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 탱크의 측벽에는 상기 용선 및 상기 슬래그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출선구는 상기 버퍼 탱크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버퍼 탱크의 상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며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며 산소를 투입하는 산소 투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며 산화 칼슘을 투입하는 산화 칼슘 투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는 출선구에 연결되는 버퍼 탱크를 설치함으로써, 자유 공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용선 및 슬래그의 배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선 및 슬래그를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조업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는 용융로 몸체(10), 용융로 몸체(10)의 측벽에 형성되는 출선구(20), 출선구(20)에 연결되는 버퍼 탱크(Buffer tank)(30), 그리고 버퍼 탱크(30)의 상부에 위치하며 버퍼 탱크(3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40)를 포함한다.
용융로 몸체(10)의 내부에는 용선(1) 및 슬래그(2)가 위치하며, 차르(Char)(3)가 채워진다. 용융로 몸체(10)의 노저부에는 차르(Char)가 위치하지 않는 자유 공간(Free space, FS)이 형성된다.
출선구(20)는 용융로 몸체(10)의 측벽으로부터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출선구(20)는 버퍼 탱크(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출선구(20)는 용용로 몸체(10) 내부의 용선(1) 및 슬래그(2)를 버퍼 탱크(30)로 배출한다.
이 때, 출선구(20)와 동일한 높이에 용선(1)과 슬래그(2)의 경계면(BA)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용선(1)과 슬래그(2)가 동시에 출선구(20)를 통해 버퍼 탱크(30)로 배출된다.
버퍼 탱크(30)는 출선구(20)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버퍼 탱크(30)의 측벽에는 용선(1) 및 슬래그(2)를 배출하는 배출구(3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31)는 버퍼 탱크(30)의 상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 탱크(30)의 배출구(31)는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배출구(31)의 압력은 대기압과 동일하다. 그리고, 용융로 몸체(10) 내부의 압력(P1)은 대기압보다 높다.
따라서, 출선구(20)를 통해 배출되는 용선(1)은 빠르게 버퍼 탱크(30)를 채우고 배출구(31)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용선(1)은 배출구(31)를 통해 빠르게 배출된다.
출선구(20)로 배출되는 용선(1) 및 슬래그(2)의 양이 배출구(31)로 배출되는 용선(1) 및 슬래그(2)의 양보다 많을 경우 버퍼 탱크(30)에서 기체만이 존재하는 기체 공간(B)의 높이(He)가 감소하게 된다. 즉, 버퍼 탱크(30) 내부의 용선(1)의 높이(Hs)가 증가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기체 공간(B)의 높이(He)는 감소하게 된다. 기체 공간(B)의 높이(He)가 감소하면 기체 공간(B) 내부의 압력(P2)이 증가하게 된다. 기체 공간(B) 내부의 압력(P2)은 압력 측정부(4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체 공간(B) 내부의 압력(P2)이 증가하므로, 배출구(31)로 배출되는 용선(1) 및 슬래그(2)의 속도가 증가되게 된다. 따라서, 출선구(20)에서 배출되는 용선(1) 및 슬래그(2)의 양과 배출구(31)에서 배출되는 용선(1) 및 슬래그(2)의 양이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용융로 몸체(10) 내부의 자유 공간(FS)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차르 베드 레벨(CL)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융로 몸체(10) 내부에서 생성되는 용선(1) 및 슬래그(2)의 양을 버퍼 탱크(30)에서 직접 확인 가능하므로, 저선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버퍼 탱크(30)의 내부에 체류하는 용선(1) 및 슬래그(2)에 의해 발생하는 수압(Hydrostatic pressure)을 이용하여 버퍼 탱크(30)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으므로 출선구(20) 및 배출구(31)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버퍼 탱크(30)의 직경(D)은 수십 cm 이하여도 상관없다. 버퍼 탱크(30) 내부에 체류하는 용선(1) 및 슬래그(2)에 의한 수압(Hydrostatic pressure)은 버퍼 탱크(30)의 직경과는 무관하기 때문이다.
한편, 용선(1) 및 슬래그(2)는 배출구(31)의 높이까지 도달해야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31)의 높이까지 도달한 용선(1) 및 슬래그(2)는 수압으로 인해 출선구(20)의 압력보다 낮아지므로, 출선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구(3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수압을 조절하여 용선(1) 및 슬래그(2)의 배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버퍼 탱크(30)에 불활성 가스 주입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함으로써,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버퍼 탱크(30)의 압력을 조절하여 용선(1) 및 슬래그(2)의 배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버퍼 탱크에 배출구만이 형성되었으나, 버퍼 탱크에 산소 투입부 및 산화 칼슘 투입부를 설치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산소 투입부 및 산화 칼슘 투입부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는 용융로 몸체(10), 용융로 몸체(10)의 측벽에 형성되는 출선구(20), 출선구(20)에 연결되는 버퍼 탱크(30), 버퍼 탱크(30)의 상부에 위치하며 버퍼 탱크(3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40), 버퍼 탱크(30)의 하부에 연결되며 산소(O2)를 투입하는 산소 투입부(50), 그리고 버퍼 탱크(30)의 하부에 연결되며 산화 칼슘(CaO)을 투입하는 산화 칼슘 투입부(60)를 포함한다.
산소 투입부(50) 및 산화 칼슘 투입부(60)는 용선(1) 중의 규소(Si) 또는 황(S)의 함량이 높을 경우, 버퍼 탱크(30)에 산소 및 산화 칼슘을 투입하여 탈규소 및 탈황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개시를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용융로 몸체 20: 출선구
30: 버퍼 탱크 40: 압력 측정부

Claims (6)

  1. 용선 및 슬래그가 위치하는 용융로 몸체,
    상기 용융로 몸체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용선 및 상기 슬래그를 배출하는 출선구, 그리고
    상기 출선구에 연결되는 버퍼 탱크
    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 탱크의 측벽에는 상기 용선 및 상기 슬래그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선구는 상기 용융로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출선구와 동일한 높이에 상기 용선 및 상기 슬래그의 경계면이 위치하며,
    상기 버퍼 탱크의 내부에는 기체만이 존재하는 기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공간은 외부와 차단되는 용융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선구는 상기 버퍼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는 용융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버퍼 탱크의 상측벽에 형성되는 용융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며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용융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며 산소를 투입하는 산소 투입부를 더 포함하는 용융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탱크의 하부에 연결되며 산화 칼슘을 투입하는 산화 칼슘 투입부를 더 포함하는 용융로.
KR1020180086642A 2018-07-25 2018-07-25 용융로 KR102151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42A KR102151536B1 (ko) 2018-07-25 2018-07-25 용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42A KR102151536B1 (ko) 2018-07-25 2018-07-25 용융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775A KR20200011775A (ko) 2020-02-04
KR102151536B1 true KR102151536B1 (ko) 2020-09-03

Family

ID=6957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642A KR102151536B1 (ko) 2018-07-25 2018-07-25 용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5162B (zh) * 2021-08-23 2023-08-29 云南国钛金属股份有限公司 一种熔盐渣箱防溢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006A (ja) 1999-07-09 2001-02-06 Technological Resources Pty Ltd 直接製錬法の開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0814A (ja) * 1998-04-30 1999-11-09 Nippon Steel Corp 溶融還元炉
WO2012106769A1 (en) * 2011-02-09 2012-08-16 Technological Resources Pty. Limited Direct smelting process
BR112015000912B1 (pt) * 2012-07-25 2019-10-29 Tata Steel Limited método para iniciar um processo de fundição à base de banho em fusão para um material metalífero em um recipiente de fundição que define uma câmara de fundição e de produção de um metal de fusão
KR101728286B1 (ko) * 2013-07-24 2017-04-1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배기 가스 처리 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006A (ja) 1999-07-09 2001-02-06 Technological Resources Pty Ltd 直接製錬法の開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775A (ko)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536B1 (ko) 용융로
KR101579031B1 (ko) 벨레스 고로에 대한 원료 장입 방법
CN102154535B (zh) 真空度节气调节系统
JP5772823B2 (ja) 溶融ガラスの減圧脱泡装置および減圧脱泡方法並びにガラス製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2890951A (en) Continuous tapping of metallurgical furnace
JP2007270190A (ja) 高炉の減尺休風操業方法
KR102170938B1 (ko) 래들
KR100424814B1 (ko) 고로 하부의 통액성 및 불활성 지수 판단방법
CN110885913A (zh) 一种控制出钢口管砖长度提高出钢率的方法
KR100264993B1 (ko) 산소풍구전단에 형성되는 침투길이의 최적유지 장치 및 방법
JPS57104605A (en) Method for blowing out of blast furnace
KR960006322B1 (ko) 용광로의 조업방법
KR20180072459A (ko) 고청정 용강의 제조 방법
KR20190077863A (ko) 진공 탈가스 장치
WO2022168503A1 (ja) 溶融物高さの検出方法および溶鉱炉の操業方法
KR20040083637A (ko) 고로 화입이후 안정적인 초기 풍량확보를 위한 장입물충진방법
EP4265742A1 (en) Method for detecting height of molten material and method for operating blast furnace
US1681043A (en) Cupola with forehearth
KR950012419B1 (ko) 진공순환탈가스(RH) 장치의 산소취입(Oxygen Blowing)방법
KR20010003436A (ko) 연화융착대 정위치 조정방법
KR20000042525A (ko) 용광로 조업방법
KR20200066496A (ko) 정련로 지금 생성 방지장치
JP2021172580A (ja) ガラスを溶融しかつ精製する装置ならびにこのような装置を製造する方法
JP4317504B2 (ja) 高炉操業方法
US2772516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vertically drawing glass in sheet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