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522B1 -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522B1
KR102151522B1 KR1020140149006A KR20140149006A KR102151522B1 KR 102151522 B1 KR102151522 B1 KR 102151522B1 KR 1020140149006 A KR1020140149006 A KR 1020140149006A KR 20140149006 A KR20140149006 A KR 20140149006A KR 102151522 B1 KR102151522 B1 KR 102151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tting
terminal
service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563A (ko
Inventor
최우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5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와 서킷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원격지의 단말을 제어하여, 패킷망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책 서버가 단말별 서비스 설정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설정 변경 정보를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를 통해서 해당 단말로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상기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한다.

Description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call service set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패킷망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시스템이 단말을 제어하여, 단말의 패킷망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위치의 제약 없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초기에는 단순히 음성 서비스만을 제공하였으나, 최근에는 고속, 고품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패킷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점차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패킷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개발에 따라 점차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뿐 아니라 패킷 기반으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예컨대, 과거의 CDMA, GSM 등과 같은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W-CDMA 등과 같은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패킷 기반 데이터 서비스와 함께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으로 기본적인 음성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였다면, 최근 급속히 상용화되고 있는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방식으로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LTE에서의 패킷 기반 음성 서비스를 VoLTE(Voice over LTE)라 하며, LTE의 상용화와 함께 주목 받고 있는 기술의 하나라 할 수 있다.
VoLTE 서비스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음성 신호까지도 데이터 망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발신자와 수신자 모두 VoLTE를 통해 통화를 할 경우 HD급 음질로 더욱 선명하고 깨끗한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VoLTE는 음성 및 데이터를 동일한 LTE망을 통해 서비스하기 때문에, 음성, 영상 및 데이터 서비스를 융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를 하면서 상대방과 사진을 주고받거나,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현재의 이동통신망은 서킷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과, 패킷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4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이 공존하고 있으며, 단말 사양, 가입한 요금제, 망 상태에 따라서 패킷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가능 여부가 결정된다.
그런데, 기존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단말의 설정 메뉴를 조작하여,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온/오프함으로써,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조작 실수 혹은 미숙으로 인해 서비스 설정 정보가 바르게 설정되지 않아, 적절한 VoLTE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거나, 요금제 변경, 망 장애 등으로 인해 단말에 대한 VoLTE 서비스 가능 여부가 변경될 때, 이에 맞추어 적절하게 단말의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02145호, 2012년 11월 09일 등록 (명칭: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 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패킷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와 서킷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신 시스템이 단말을 제어하여, 단말에서의 패킷망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단말별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단말별 서비스 설정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설정 변경 정보를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를 통해서 해당 단말로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상기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책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입자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 요청 신호, 단말의 사양 정보, 해당 단말이 가입된 요금제 정보,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패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의 망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별 서비스 설정 정보를 결정한다.
더하여,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정책 서버가, 단말별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설정 변경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도록 메시지 전송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책 서버가, 단말별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시지 전송 서버를 통해 해당 단말로 정책 서버로의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정책 서버에 접속하여 정책 정보를 요청하면, 설정 변경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서버를 통해 정책 서버로부터 전송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 모듈로 전달하는 메시지 모듈; 및 상기 메시지 모듈로부터 전달된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상기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하는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설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메시지 전송 서버를 통해 정책 서버로부터 전송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설정 모듈로 전달하는 메시지 모듈; 및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정책 서버에 접속하여,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상기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하는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설정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단말에서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정책 서버가 관리하면서, 설정 변경 정보를 메시지 전송 서버를 통해서 단말로 제공하여, 단말이 수신된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자신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토록 함으로써, 통신 시스템이 원격으로 단말의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사용자의 개입 없이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즉시 반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책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은 단말(100)과 통신 시스템(200)간의 연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100)은, 패킷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의 대상이 된다. 특히, 단말(100)은,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서킷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기능 및 4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패킷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듀얼모드의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100)은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에 따라서, 서킷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 기능과 패킷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 기능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은,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무선 디바이스(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통신 시스템(200)은, 상기 단말(100)에 대하여 통화 서비스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서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와, 패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는, GSM, GPRS, CDMA, W-CDAM 등과 같은 서킷 기반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2세대,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노드 B, RNC(Radio Network Control), MSC(Mobile Switching Center), GMSC(Gateway MSC),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HLR(Home Location Regis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드B는 여러개의 셀로 구성되어, 각 셀에 다수의 단말(100)이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RNC는 다수의 노드 B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각각의 노드B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핸드오버 등을 제어하고, MSC는 서킷 기반의 교환 장치로서, 음성 통화 및 SMS 등의 기능을 제어하며, GMSC는 타 통신망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SGSN은 패킷 망에서의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위치 추적 및 과금 정보 수집을 수행하며, GGSN은 외부망과 패킷망을 연결해주는 관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단말(100)과 외부 망과의 통신로를 생성하며, HLR은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인증 정보를 관리한다. 상술한 3 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는 MSC를 통해 이루어지며, 데이터 패킷 전송은 상기 SGSN 및 GGSN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패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는, 패킷 기반으로 단말(100)과 통신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은, 예를 들어, eNode B,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erving Gateway(S-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PDN-GW)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LTE 망일 수 있다. 여기서, eNode B는 단말(100)과 무선으로 접속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이며, MME는 3GPP 네트워크 간 이동성 시그널링을 제어하고, 위치 등록,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며, S-GW는 eNB와 3GPP 간의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로서, eNode B로의 패킷 데이터의 스위칭 및 라우팅과 포워딩을 수행하고, PDN-GW는 3GPP와 비3GPP 간의 이동성 앵커로서, 정책에 따라 과금 및 QoS 제어를 수행하고, S-GW로의 패킷 라우팅과 포워딩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200)은, IP(Internet Protocol)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단말(100) 간에 제공하기 위한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MS 서버는, P-CSCF(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I-CSCF(Interrogat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P-CSCF는 IMS 시스템의 최초 컨텍 포인트로서, 상기 GGSN과 같은 도메인에 존재하며, 프록시와 사용자 에이전트 역할을 수행하고, I-CSCF는 사업자 망별 컨텍 포인트로서, 타사업자망과의 연동을 수행하고, S-CSCF는 단말(100)의 세션을 제어하는 서버로 HSS와 연동하여 가입자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며, 해당 단말(100)에 대한 세션 제어 및 세션 상태 관리, 그리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동을 수행하고, HSS는 이동성 관리, 호와 세션 설정 지원, 가입자의 보안 정보 생성, 가입자의 인증, 메시지의 무결성 체크와 암호화를 위한 데이터 생성, 생성된 데이터 저장 서비스 별 가입자 식별자 관계 처리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IMS 서버는, 패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100)로 패킷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100)에 대한 패킷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200)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메시지 전송 서버(210)와,정책 서버(2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210)는, 단말(100)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서버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단말(100) 간에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나, 푸쉬 방식으로 메시지 혹은 정보를 전달하는 푸쉬 서버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메시지 전송 서버(210)는 상기 서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패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100)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정책 서버(230)는 통신 시스템(200)을 통해 단말(100) 별로 제공되는 서비스 혹은 QoS 정책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책 서버(230)는, 단말별로 설정된 패킷 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설정 정보의 변경에 따라서,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210)를 통해 단말(100)의 패킷 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가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단말(100)은 상기 정책 서버(230)의 제어에 따라서 패킷 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가 변경되고, 변경된 설정 정보에 맞추어 패킷 망 기반의 통화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의 주요 구성인 단말(100) 및 정책 서버(230)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통신부(110)와, 입력부(120)와, 출력부(130)와,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상기 통신 시스템(200)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21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통신 시스템(200)을 통해서 다른 단말과 통화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서 음성 및/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통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통신 시스템(200)에 적용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서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과 패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100)로 사용자 명령 혹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숫자, 문자, 및 기호를 포함하는 다양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또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단말(100)의 기능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명령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단말(1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출력부(13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스피커), 촉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표시 장치가 형성된 경우, 표시 장치는 입력부(12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대표적으로 스피커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130)는 통화 서비스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메시지 전송 서버(2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저장부(140)는, 기본적으로 단말(100)의 운영(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더불어, 상기 OS 환경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 그의 실행에 필요하거나 실행 중에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40)는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메시지 전송 서버(21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은 제어부(150)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어부(150)는 하드웨어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OS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실행 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입력부(12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명령 혹은 이벤트 발생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소정의 기능 혹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 모듈(151) 및 메시지 모듈(15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상기 저장부(140)로부터 제어부(150)의 메모리로 로딩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의 집합이다.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설정 모듈(151)은, 패킷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위한 호 및 통화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설정 모듈(151)은,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에 따라서, 활성화되어 동작한다.
그리고, 메시지 모듈(152)은, 메시지 전송 서버(21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메시지 모듈(152)은, 메시지 전송 서버(210)를 통해서 정책 서버(230)로부터 전송되는 통화 서비스의 설정 변경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설정 변경 정보를 설정 모듈(151)로 전달한다. 그리고, 설정 모듈(151)은, 상기 메시지 모듈(152)로부터 전달된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상기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를 변경한다. 참고로, 상기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는,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책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책 서버(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31)와, 저장부(232)와, 제어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31)는 메시지 전송 서버(210)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200)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서, 통화서비스에 대한 설정 변경 정보 또는 정책 서버(230)로의 접속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210)로 전달하여 단말(100)로의 전송을 요청한다.
저장부(232)는 정책 서버(230)의 동작에 요구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정책 서버(230)에 의해 관리되는 단말별 정책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232)는 단말별 정책 정보로서, 각 단말(100)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며, 이는 단말(100)의 사양, 망 상태, 단말(100)이 가입한 요금제 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단말(100) 및 정책 서버(230)의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를 위한 동작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상기 정책 서버(230)는, 통신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100)들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정책 서버(230)는, 가입자의 서비스 설정 정보의 변경 요청 또는 단말(100)의 사양 정보 및 요금제 정보, 패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의 망 상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정책 서버(230)는 가입자 요청에 따라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비활성화에서 활성화로 변경하거나, 단말 사양 및 VoLTE 요금제의 가입 여부를 조합하여, 단말(100)이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처리가 가능한 단말이면서, VoLTE 요금제에 가입된 경우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활성화로 설정하거나, 패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여,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를 비활성화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정책 서버(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100)들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중에,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S105), 설정 변경 정보를 메시지 전송 서버(210)로 전송한다(S110).
이에, 상기 설정 변경 정보는 메시지 전송 서버(210)에 의하여 메시지 형태로 단말(100)로 전송된다(S115).
상기 설정 변경 정보는, 단말(100)의 메시지 모듈(152)에 의해 수신되어 설정 모듈(151)로 전달되고(S120), 이와 같이 설정 변경 정보를 수신한 설정 모듈(151)은, 수신된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한다(S125). 즉,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비활성화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거나, 활성화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한다.
이후, 설정 모듈(151)은, 설정 정보의 변경 처리 결과를, 메시지 모듈(152)로 전달하고(S130), 상기 설정 정보의 변경 처리 결과는 메시지 전송 서버(210)를 통해서 정책 서버(230)로 전달된다(S135, S140).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상기 정책 서버(230)는, 제1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통신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100)들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정책 서버(230)는, 가입자의 서비스 설정 정보 변경 요청 또는 단말(100)의 사양 정보 및 요금제 정보, 패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의 망 상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정책 서버(230)는 가입자 요청에 따라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비활성화에서 활성화로 변경하거나, 단말 사양 및 VoLTE 요금제의 가입 여부를 조합하여, 단말(100)이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처리가 가능한 단말이면서, VoLTE 요금제에 가입된 경우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활성화로 설정하거나, 패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여,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를 비활성화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정책 서버(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100)들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중에,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S205), 메시지 전송 서버(210)로 정책 서버로의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S210).
이에, 상기 정책 서버로의 접속 요청은 메시지 전송 서버(210)를 통해서 메시지 형태로 단말(100)의 메시지 모듈(152)로 전송된다(S215).
상기 단말(100)의 메시지 모듈(152)은 수신된 정책 서버로의 접속 요청을 설정 모듈(151)로 전달하고(S220), 접속 요청의 처리 결과, 즉, 설정 모듈(151)로 접속 요청이 성공적으로 전달되었는 지를 메시지 전송 서버(210)를 통해서 정책 서버(230)로 전송한다(S225, S230). 상기 접속 요청의 처리 결과를 수신한 정책 서버(230)는 단말(100)로부터의 접속을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요청을 수신한 설정 모듈(151)은, 상기 정책 서버(230)로 접속하여 정책 정보를 요청하고(S235), 이에 정책 서버(230)는 상기 단말(100)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정책 정보를 상기 설정 모듈(151)로 전송한다(S240).
이와 같이, 설정 변경 정보를 수신한 설정 모듈(151)은, 수신된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한다(S245).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단말(100)에서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통신 시스템(200)에서 원격으로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됨으로써, 통신 시스템(200)이 사용자의 개입없이 다양한 상황에 맞추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즉시 반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 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단말에서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정책 서버가 관리하면서, 설정 변경 정보를 메시지 전송 서버를 통해서 단말로 제공하여, 단말이 수신된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자신의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토록 함으로써, 통신 시스템이 원격으로 단말의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사용자의 개입없이 다양한 상황에 맞추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즉시 반영할 수 있게 된다.
100: 단말
200: 통신 시스템
210: 메시지 전송 서버
230: 정책 서버

Claims (7)

  1. 메시지 전송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단말별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단말별 서비스 설정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설정 변경 정보를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를 통해서 해당 단말로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상기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하는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입자의 서비스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 요청 신호, 단말의 사양 정보, 해당 단말이 가입된 요금제 정보,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패킷 기반 액세스 네트워크의 망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별 서비스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를 통해서 정책 서버로의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단말이 접속하여 정책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설정 변경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 서버.
  4. 정책 서버가,
    단말별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설정 변경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하는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하도록, 메시지 전송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5. 정책 서버가,
    단말별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시지 전송 서버를 통해 해당 단말로 정책 서버로의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정책 서버에 접속하여 정책 정보를 요청하면, 설정 변경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하는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6. 메시지 전송 서버를 통해 정책 서버로부터 전송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 모듈로 전달하는 메시지 모듈; 및
    상기 메시지 모듈로부터 전달된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하는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설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메시지 전송 서버를 통해 정책 서버로부터 전송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설정 모듈로 전달하는 메시지 모듈; 및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정책 서버에 접속하여,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에 대한 설정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설정 변경 정보에 따라서 패킷 기반 통화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하는 서비스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설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40149006A 2014-10-30 2014-10-30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5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06A KR102151522B1 (ko) 2014-10-30 2014-10-30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06A KR102151522B1 (ko) 2014-10-30 2014-10-30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63A KR20160050563A (ko) 2016-05-11
KR102151522B1 true KR102151522B1 (ko) 2020-09-03

Family

ID=5602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006A KR102151522B1 (ko) 2014-10-30 2014-10-30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853B1 (ko) * 2019-05-16 2020-12-0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단말 연결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0077A (ko) * 2006-04-05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과금 서비스 제한 장치 및 방법
KR101202145B1 (ko) 2006-12-19 2012-11-15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8244B1 (ko) * 2007-10-02 2009-05-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설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1034554B1 (ko) * 2008-07-24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통화품질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43621B1 (ko) * 2009-04-28 2011-06-24 주식회사 케이티 부가서비스 변경에 대한 안내 메시지 시스템
KR101854441B1 (ko) * 2011-08-04 2018-06-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선택적 호 처리 방법, 선택적 호 처리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과금 장치
KR20140039852A (ko) * 2012-09-25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호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63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69529B (zh) 始发方移动设备辅助式语音呼叫技术选择
KR10206569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915248B (zh) 用于esim配置文件操作回调的数据增强
CN103155607B (zh) 用于紧急回叫或点击拨号会话的单无线电语音呼叫连续性
JP2008519476A (ja) 移動通信装置能力の選択的動作不能化
CN105554855A (zh) 一种接入网络的选择方法及装置
CN112449759B (zh) 将数据连接传输到无线电接入网络
US20100109901A1 (en) Methods and Systems to Hold Functions on a Device After an Identifier is Determined
WO2019201038A1 (zh) 一种短消息服务能力更新方法、设备及装置
WO2021057526A1 (zh) 一种网关设备容灾的方法及通信设备
JP2021509546A (ja) ネットワーク切替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端末デバイス
CN113365234B (zh) 呼叫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1646256A (zh) 跨无线接入技术的语音切换方法、设备及网络系统
KR20200054282A (ko) 액세스 링크의 관리 방법, 디바이스, 저장 매체 및 시스템
CN108476468A (zh) 语音呼叫处理方法及终端设备
US20220131911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US886772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orizing call forwarding
WO2019223478A1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网元及存储介质
CN110856213B (zh) 切换数据传输方式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8594655B2 (en) Remote activation of video share on mobile devices
KR102151522B1 (ko)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4915508A (zh) 用于网络装置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KR102420102B1 (ko) 착신 시간 동안 복수 종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826452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ccess domain selection (ADS) during an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IRAT) procedure
US11997146B1 (en) IMS restoration triggered by receipt of a MWI or a text message via fallback protoc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