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145B1 -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145B1
KR101202145B1 KR1020060130364A KR20060130364A KR101202145B1 KR 101202145 B1 KR101202145 B1 KR 101202145B1 KR 1020060130364 A KR1020060130364 A KR 1020060130364A KR 20060130364 A KR20060130364 A KR 20060130364A KR 101202145 B1 KR101202145 B1 KR 10120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tegrated
call
application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055A (ko
Inventor
황진경
우상우
신기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130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1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87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voi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media content delivery, e.g. audio, video or 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세대 통신망(BcN)에서 발/착신 트리거 기능을 통해 세션(통화) 혹은 비세션(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의 가입정보, 세션정보, 접속정보, 사용하고 있는 응용서비스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와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수집ㆍ관리하는 단계;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일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 응용 서비스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타 응용 서비스 연결 요청시, 상기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와 상기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일 응용 서비스의 수행을 일시 중지시키고 상기 타 응용 서비스를 트리거하여 해당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응용 서비스 종료 요청시, 상기 일 응용 서비스의 수행을 재개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종 서비스, 통합서비스, 통화 응용 서비스, 데이터 응용 서비스, 통합정보

Description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Convergence ser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 of converged service among heterogeneous service system service system}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이종 서비스 시스템 간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중 통합 제어 서버의 구성과 연동 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중 통합정보 서버의 구성과 연동 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통화 응용 서버 20 : 데이터 응용 서버
30 :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31 : 통합 제어 서버
32 : 통합정보 서버 33 : 통합정보 데이터베이스
40 : 세션 제어 서버 50 : 가입자정보 서버
60 : 접속망 라우터 70 : 통화 단말
80 : 데이터 단말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세대 통신망(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에서 발/착신 트리거 기능을 통해 세션(통화) 혹은 비세션(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차세대 통신망(BcN)이라 함은, 패킷 전달망 상에서 안전하고 보장된 품질로 통화서비스 및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망을 일컫는다. BcN의 플랫폼으로는 세션 연결을 통한 통화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세션 제어 시스템과 통화 응용 서버, 데이터 연결을 통해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응용 서버, 통화/데이터 단말이 BcN으로 접속하기 위해 접속제어 및 서비스품질(QoS) 할당을 수행하는 접속망 라우터, 가입자의 상태, 위치, 가입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가입자정보 서버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BcN 환경으로 국한되지는 않고, 유사한 기술을 활용하는 IP기반 서비스 제공망에 적용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세션 기반 통화서비스와 비세션 기반 데이터서비스가 서로 독립적인 서비스로서 제공되어, 동일한 가입자가 각각의 서비스를 동일한 시점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서비스 간의 연관관계를 통한 통합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한 가입자가 여러 통화 응용 서비스에 가입하여 한 통화 세션 상에서 여러 번 호출되는 경우에, 복수 호출된 서비스들 간의 중재 및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3GPP IMS 표준규격에서 SCIM(Service Capability Interaction Manager) 기능으로서 정의된 서비스 브로커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세션에 기반한 통화형 서비스에 대한 중재, 조정만을 담당하며, 동일한 가입자가 사용하는 데이터서비스와의 제어관계에 대해서는 정의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차세대 통신망(BcN)은, 표준화된 개방형 구조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도입되어 제공되는 환경이며, 통신서비스 가입자는 통화, 메시징, 데이터, 스트림 등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어, 이종 서비스들 간에 통합적으로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고 제어하여 이용자에게 통합된 관점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히 차세대 통신망(BcN) 환경에서는 이종 서비스 간에 세션 기반 통화서비스와 비세션 기반 데이터서비스를 통합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세대 통신망(BcN)에서 발/착신 트리거 기능을 통해 세션(통화) 혹은 비세션(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의 가입정보, 세션정보, 접속정보, 사용하고 있는 응용서비스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와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수집하는 정보 수집 및 관리 수단; 상기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 및 상기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저장ㆍ관리하는 저장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일 응용 서비스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타 응용 서비스 연결 요청시, 상기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 및 상기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일 응용 서비스의 수행을 일시 중지시키고 상기 타 응용 서비스를 트리거하여 해당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며, 상기 타 응용 서비스 종료 요청시 상기 일 응용 서비스의 수행을 재개토록 하는 통합서비스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의 가입정보, 세션정보, 접속정보, 사용하고 있는 응용서비스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와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수집ㆍ관리하는 단계;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일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 응용 서비스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타 응용 서비스 연결 요청시, 상기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와 상기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일 응용 서비스의 수행을 일시 중지시키고 상기 타 응용 서비스를 트리거하여 해당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응용 서비스 종료 요청시, 상기 일 응용 서비스의 수행을 재개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이종 서비스 시스템 간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은 차세대 통신망(BcN)에서 이종 서비스 간에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단말 기능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세션(통화) 혹은 비세션(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통합서비스를 제공한다.
통합서비스의 제공은 하나의 가입자가 소유한 다중 단말들(70,80)로부터 여러 서비스들(통화 응용 서비스(10), 데이터 응용 서비스(20))이 동시에 호출되었을 때, 이 서비스들(10,20)이 가입자와 관련되어 상호 연관된 정보를 분석하고,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에 의해 가입자에게 일관되고 통합된 관점으로 보여지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은, 패킷기반 IP 전달망을 품질보장이 가능하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차세대 통신망(BcN)을 통하여, 서비스 로직 및 서비스 실행 환경을 갖추고 착신전환이나 링백톤 등 세션 기반 통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응용 서버(10)와,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로 게임 등 데이터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응용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통화 응용 서비스, 데이터 응용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가입자의 통화 단말(70) 혹은 데이터 단말(80)로부터, 통화서비스인 경우는 세션 제어 및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션 제어 서버(40)를 통하여, 혹은 데이터 응용 서비스인 경우는 데이터 단말(80)로부터의 요청을 직접 혹은 가입자 단말에 대해 IP 할당, 인증, 연결을 제공하는 접속망 라우터(60)를 통하여 서비스 요청을 받았을 때, 가입자의 위치, 프레즌스, 선호도 등을 저장하고 제공하는 가입자정보 서버(50), 세션 제어 서버(40), 접속망 라우터(60), 혹은 통화 응용 서버(10), 데이터 응용 서버(20)로부터 가입자의 상태를 수집하고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의 구성을 살펴보면, 가입자정보 서버(50), 세션 제어 서버(40), 접속망 라우터(60), 통화 응용 서버(10), 데이터 응용 서버(20)와 연동하여, 가입자의 가입정보, 세션정보, 접속정보 및 사용하고 있는 통화 응용 서비스 상태정보, 데이터 응용 서비스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정보가 요청되었을 때 전달하는 통합정보 서버(32)와, 통합정보 서버(32)로부터 가입자의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근거로 하여, 서비스 요청에 대해 적절한 응용 서비스를 트리거하는 통합 제어 서버(31)로 이루어진다.
즉,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은, 가입자의 가입정보, 세션정보, 접속정보, 사용하고 있는 응용서비스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와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수집하는 통합정보 서버(32)와,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 및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통화 응용 서비스에 우선순위를 두어, 데이터 응용 서비스 진행 중 통화 응용 서비스를 제공)을 저장ㆍ관리하는 통합정보 데이터베이스(33)와, 적어도 하나의 일 응용 서비스(일예로, 데이터 응용 서비스)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타 응용 서비스(일예로, 통화 응용 서비스) 연결 요청시,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 및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확인하여,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에 따라 일 응용 서비스(데이터 응용 서비스)의 수행을 일시 중지시키고 타 응용 서비스(통화 응용 서비스)를 트리거하여 해당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며, 타 응용 서비스(통화 응용 서비스) 종료 요청시 일 응용 서비스(데이터 응용 서비스)의 수행을 재개토록 하는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을 포함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중 통합 제어 서버의 구성과 연동 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통합 제어 서버(31)는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가입자의 가입정보, 세션정보, 접속정보, 사용하고 있는 응용서비스 상태정보를 포함함)에 근거한 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해 통합 정보 서버(32)와 연동하며, 세션 제어 서버(40)와 연동하여 세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경우나, 접속망 라우터(60)/데이터 단말(80)과 연동하여 데이터 응용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경우, 이것이 발신에 의한 서비스인지 착신시도에 의한 서비스 요청인지를 판단하여 각각 발신 트리거부(311) 및 착신 트리거부(311)가 구동된다.
즉, 발/착신 트리거부(311)는 통화 단말(70)로부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세션 제어 서버(40)로부터 해당 요청을 전달받거나, 데이터 단말(80)로부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접속망 라우터(60) 혹은 데이터 단말(80)로부터 직접 서비스 요청을 전달받아, 통합 정보 서버(32)로부터의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에 근거하여 적절한 통화 응용 서버(10) 혹은 데이터 응용 서버(20)로 전달하고, 부가적인 서비스 호출을 중재, 처리한다.
이때, 발/착신 트리거부(311)는, 가입자가 가입에 의해 기 설정한 순서에 의해 서비스 호출을 하는 경우에는 가입자 트리거(312)를, 가입과 무관하게 서비스번호를 통해 서비스 호출을 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트리거(313)를, 예외 상황이나 서비스 처리가 실패한 경우에는 예외/실패 트리거(314)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가입자 트리거(312)는 가입자가 기 설정 및 가입한 다중 서비스에 대해 발신 통화 시도시나 가입자에 전화가 도착한 경우 호출되는 서비스를 처리한다. 또한, 서비스 트리거(313)는 가입자가 특정한 서비스 번호를 입력하였을 때, 요청된 서비스를 처리한다. 또한, 예외/실패 트리거(314)는 서비스 요청이 실패한 경우, 처리 방식을 규정한다.
이렇게 트리거(312~314)가 구동되면, 지정된 통화 응용 서버(10)나, 데이터 응용 서버(20)와의 연동을 통해 서비스 전달이 이루어진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중 통합정보 서버의 구성과 연동 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통합정보 서버(32)는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를 수집하여 통합정보 DB(33)에 저장하고, 통합 제어 서버(31)에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를 전달한다.
이때,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연동부(321)는 가입자의 통화중/아이들(Idle) 상태를 전달받기 위해 세션 제어 서버(40)와 연동하고, 가입자의 접속상태, 단말의 능력 정보, 단말상태를 전달받기 위해 접속망 라우터(60)/단말(70,80)과 연동하고, 망에 의해 수집되고 관리되는 가입자의 프레즌스, IP 주소나 단말의 지리적 위치, 가입자의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 서버(50)와 연동하며, 통화 응용 서비스 접속 상태를 수집하기 위해 통화 응용 서버(10)와 연동하고, 데이터 응용 서비스 접속 상태를 수집하기 위해 데이터 응용 서버(20)와 연동한다.
이를 위해, 통합정보 관리부(322)는 정보 생성, 저장, 수정, 삭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연동부(321)는, 가입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망의 각 서버들, 즉 가입자의 세션 접속 상태를 수집하기 위해 세션 제어 서버(40)와의 연동, 가입자의 접속/단말 상태를 수집하기 위해 접속망 라우터(60)/단말(70,80)과의 연동, 가입자에 대한 프레즌스, 위치, 선호도 등 망사업자가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50)와의 연동, 그리고 가입자의 통화 응용 서비스 상태를 수집하기 위해 통화 응용 서버(10)와의 연동, 가입자의 데이터 응용 서비스 상태를 수집하기 위해 데이터응용 서버(20)와의 연동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또한, 통합정보 관리부(322)는 가입자와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 관리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통화 단말(전화기)(10)과 데이터 단말(PC)(20)을 소유하고 있는 통합서비스 가입자는 특정 통화 응용 서비스(통화 응용 서버(10)에서 제공됨)와 데이터 응용 서비스(데이터 응용 서버(20)에서 제공됨)에 가입되어 있으며, 통화 응용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데이터 응용 서비스에 비해 더 높고, 만약 데이터 응용 서비스 수행 도중 통화 응용 서비스가 시작되는 경우(전화의 발/착신), 데이터 응용 서비스는 일시 중지되었다가, 통화 응용 서비스가 종료된 경우 다시 시작(엄밀하게는 재개)하도록 하는 통합서비스 조건을 설정해 두었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통합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을 포함한 차세대 통신망의 장비들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수행한다.
통합서비스에 관련된 응용 서버들(즉, 적어도 하나의 통화 응용 서버(10),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응용 서버(20))은 서비스(통화 응용 서비스, 데이터 응용 서비스)를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에 등록한다(401,402).
그리고 가입자에 대한 망 정보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 서버(50)는 통합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등록한다(403).
먼저, 통합서비스 가입자로부터 데이터 응용 서비스에 대한 연결이 요청되면, 가입자의 데이터 단말(80)로부터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으로 데이터 응용 서비스 연결 요청이 전달되고(404), 통합서비스제어 시스템(30)은 통합 정보 서버(32)를 통해 가입자와 관련된 통합정보 상태와 기 설정된 통합서비스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하는 데이터 응용 서버(20)로 트리거를 수행하여 트리거 요청이 지정된 데이터 응용 서버(20)로 전달된다(405).
이에 대해, 데이터 응용 서버(20)로부터 데이터 응용 서비스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이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을 통해 데이터 단말(80)로 전달된다(406,407).
이와 같이 데이터 응용 서비스 실행 도중, 동일 가입자의 통화 단말(70)로부터 통화 세션 서비스 연결이 요청되면, 통화 세션 서비스 연결 요청은 망에서 세션 서비스를 처리하는 세션 제어 서버(40)를 거쳐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으로 전달된다(408,409).
이때,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은 통합정보 서버(32)를 통해 가입자와 관련된 통합정보 상태와 기 설정된 통합서비스 조건을 판단하여, 이때 가입자의 다른 단말(즉, 데이터 단말(80))에 의해 데이터 응용 서비스가 수행중임을 인지한다. 따라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은 <통화 응용 서비스 우선, 데이터 응용 서비스 진행중 통화 응용 서비스 제공>의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에 따라 데이터 응용 서버(20)로 진행중인 데이터 응용 서비스의 일시 중지 메시지를 전달한다(410).
이후, 데이터 응용 서버(20)는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으로 현재까지 진행된 데이터 응용 서비스의 상태값, 예를 들어 특정 스트림의 n 프레임까지를 재생한 경우라면 t = n의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응답한다(411). 또한, 데이터 응용 서버(20)는 데이터 응용 서비스 일시 중지 메시지를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을 통하여 가입자의 데이터 단말(80)로 전달한다(412,413). 이에 대해, 데이터 단말(80)은 응답 메시지를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을 통하여 데이터 응용 서버(20)로 전달한다(414,415).
이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은 상기 "409" 단계에서 상태진행을 멈추고 있었던 통화 응용 서비스의 트리거(통화 세션 서비스 연결 요청)를 통화 응용 서버(10)로 진행한다(416). 이에 대해, 통화 응용 서버(10)는 통화 세션 서비스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화서비스 제어 시스템(30), 세션 제어 서버(40)를 통하여 통화 단말(70)로 전달한다(417~419).
이후, 통화를 진행하던 가입자가 통화 세션 서비스 종료를 요청하면, 통화 단말(70)로부터 세션 제어 서버(40)를 거쳐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으로 통화 세션 서비스 종료 요청이 전달된다(420,421), 그러면,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은 통합정보 서버(32)를 통해 가입자와 관련된 통합정보 상태와 기 설정된 통합서비스 조건을 분석하고 잠시 멈춤되어 있는(일시 정지되어 있는) 데이터 응용 서비스와의 관계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은 데이터 응용 서버(20)에게 데이터 응용 서비스 다시 시작 메시지(데이터 응용 서비스 재개 메시지)를 전달한다(422). 이때, 이전에 저장해 두었던 상태 t=n 파라미터를 함께 전달한다. 이에 대해, 데이터 응용 서버(20)가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으로 응답을 한다(423).
이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은 상기 "421" 단계에서 일시 멈춤되어 있던 통화 세션 서비스 종료 요청을 통화 응용 서버(10)로 전달한다(424). 이에 대해, 통화 응용 서버(10)는 통화 세션 서비스 종료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화서비스 제어 시스템(30), 세션 제어 서버(40)를 통하여 통화 단말(70)로 전달한다(425~427).
이후, 데이터 응용 서버(20)는 상기 "422" 단계에서 요청된 대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을 통하여 가입자의 데이터 단말(80)상의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 다시 시작 요청(데이터 응용 서비스 재개 요청)을 전달한다(428,429). 이때, 현재까지 진행된 데이터 응용 서비스의 상태값(t = n)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전달한다.
그러면, 데이터 단말(80)상의 클라이언트가 다시 재구동되며, 데이터 응용 서버(20)로 응답한다(430,431). 따라서 가입자는 데이터 응용 서비스를 다시 이용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는 두 가지의 전형적인 이기종 단말인 통화 단말(70)과 데이터 단말(80)에 대해서 통합서비스 제공 시나리오를 예시하였으나, IPTV 단말이나, 홈게이트웨이와 같은 다른 종류의 단말에 대해서도 통합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서로 다른 단말에 의한 경우가 아닌, 하나의 단말 상에 서로 다른 기능으로써 복합적인 서비스가 수행되는 경우에도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예시에서는 두 가지의 전형적인 이기종 서비스인 통화 응용 서비스 1종 및 데이터 응용 서비스 1종에 대한 통합서비스 제공 시나리오를 예시하였으나, 두 개 이상의 통화 응용 서비스 및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응용 서비스가 관련된 경우에도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30)의 다중 트리거 기능에 의해 통합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차세대 통신망(BcN)을 모델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대상 망이 일반적인 IP 망인 경우에도 동일한 통합서비스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세대 통신망 및 IP 패킷망에서 하나 이상의 이종 단말을 소유하고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에게 일관되고 통합된 관점의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의 가입정보, 세션정보, 접속정보, 사용하고 있는 응용서비스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와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수집하는 정보 수집 및 관리 수단;
    상기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 및 상기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저장ㆍ관리하는 저장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일 응용 서비스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타 응용 서비스 연결 요청시, 상기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 및 상기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일 응용 서비스의 수행을 일시 중지시키고 상기 타 응용 서비스를 트리거하여 해당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며, 상기 타 응용 서비스 종료 요청시 상기 일 응용 서비스의 수행을 재개토록 하는 통합서비스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응용 서비스와 상기 타 응용 서비스는,
    동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응용 서비스와 상기 타 응용 서비스는,
    이종 단말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응용 서비스는, 비 세션 기반 데이터 응용 서비스이며,
    상기 타 응용 서비스는, 세션 기반 통화 응용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은,
    상기 통화 응용 서비스에 우선순위를 두어, 상기 데이터 응용 서비스 진행 중 상기 통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및 관리 수단은,
    가입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망의 각 서버들, 즉 가입자의 세션 접속 상태(가입자의 통화/아이들 상태)를 수집하기 위해 세션 제어 서버와 연동하고, 가입자의 접속/단말 상태를 수집하기 위해 접속망/단말과 연동하며, 망에 의해 수집되고 관리되는 가입자의 프레즌스, IP 주소나 단말의 지리적 위치, 가입자의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가입자정보 서버와 연동하고, 가입자의 통화 응용 서비스 상태를 수집하기 위해 통화 응용 서버와 연동하고, 가입자의 데이터 응용 서비스 상태를 수집하기 위해 데이터 응용 서버와 연동하며, 가입자와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 수단은,
    통화 단말로부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상기 세션 제어 서버로부터 해당 요청을 전달받거나, 데이터 단말로부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접속망 라우터, 혹은 상기 데이터 단말로부터 직접 서비스요청을 전달받아, 상기 정보 수집 및 관리 수단으로부터의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통화 응용 서버 혹은 데이터 응용 서버로 전달하고, 부가적인 서비스 호출을 중재, 처리하는 발/착신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착신 트리거부는,
    가입자가 기 설정 및 가입한 다중 서비스에 대해 발신 통화 시도시나 가입자에 전화가 착신된 경우 호출되는 서비스를 처리하는 가입자 트리거, 가입자가 특정한 서비스번호를 입력하였을 때 요청된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비스 트리거, 서비스 요청이 실패한 경우 처리방식을 규정하는 예외/실패 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9.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의 가입정보, 세션정보, 접속정보, 사용하고 있는 응용서비스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와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수집ㆍ관리하는 단계;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일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 응용 서비스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타 응용 서비스 연결 요청시, 상기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와 상기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일 응용 서비스의 수행을 일시 중지시키고 상기 타 응용 서비스를 트리거하여 해당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통합서비스 제어 단계; 및
    상기 타 응용 서비스 종료 요청시, 상기 일 응용 서비스의 수행을 재개토록 하는 제2 통합서비스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응용 서비스와 상기 타 응용 서비스는,
    동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응용 서비스와 상기 타 응용 서비스는,
    이종 단말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응용 서비스는, 비 세션 기반 데이터 응용 서비스이며,
    상기 타 응용 서비스는, 세션 기반 통화 응용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은,
    상기 통화 응용 서비스에 우선순위를 두어, 상기 데이터 응용 서비스 진행 중 상기 통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합서비스 제어 단계는,
    데이터 응용 서비스 실행 도중 통화 세션 서비스 연결 요청시,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이 상기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와 상기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판단하여, 데이터 단말에서 데이터 응용 서비스가 수행중임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이 상기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에 따라 데이터 응용 서버로 진행중인 데이터 응용 서비스의 일시 중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응용 서버가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으로 현재까지 진행된 데이터 응용 서비스의 상태값을 전송하고, 데이터 응용 서비스에 대한 일시 중지 메시지를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단말로 전송하며, 이에 대해 상기 데이터 단말이 응답 메시지를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응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이 통화 세션 서비스 연결 요청을 통화 응용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응용 서버가 통화 세션 서비스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통화서비스 제어 시스템, 세션 제어 서버를 통하여 통화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통화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합서비스 제어 단계는,
    통화 세션 서비스 종료 요청시,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이 통합정보 서버를 통해 상기 가입자 관련 통합정보와 상기 통합서비스 설정 조건을 분석하여 데이터 응용 서비스와의 관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 응용 서버에게 데이터 응용 서비스 재개 메시지를 전송하되, 이전 저장해 두었던 상태값을 함께 전달하고, 이에 대해 상기 데이터 응용 서버가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으로 응답하는 단계;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이 통화 세션 서비스 종료 요청을 상기 통화 응용 서버로 전달하고, 이에 대해 통화 응용 서버가 통화 세션 서비스 종료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통화서비스 제어 시스템, 상기 세션 제어 서버를 통하여 상기 통화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응용 서버가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단말로 데이터 응용 서비스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되, 현재까지 진행된 데이터 응용 서비스의 상태값을 함께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단말이 상기 데이터 응용 서버로 응답하여, 데이터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 통합서비스 제어 방법.
  16. 삭제
KR1020060130364A 2006-12-19 2006-12-19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2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364A KR101202145B1 (ko) 2006-12-19 2006-12-19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364A KR101202145B1 (ko) 2006-12-19 2006-12-19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055A KR20080057055A (ko) 2008-06-24
KR101202145B1 true KR101202145B1 (ko) 2012-11-15

Family

ID=3980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364A KR101202145B1 (ko) 2006-12-19 2006-12-19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563A (ko) 2014-10-30 2016-05-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762B1 (ko) * 2007-12-28 2011-02-08 한국정보화진흥원 이종 네트워크 또는 이종 응용서비스 환경의 이용자들 간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교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67016B1 (ko) * 2011-07-19 2016-10-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681941B1 (ko) * 2011-07-19 2016-12-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563A (ko) 2014-10-30 2016-05-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055A (ko) 2008-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5645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スアクセスと会議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0416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veraging end user terminals in self-learning networks
US8126439B1 (en) Persona management for mobile enabling services
US8611524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all routing
US9226002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alizing broadcast TV
US20070143470A1 (en) Facilitating integrated web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s with collaborating web and telecommunication clients
US89583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SIP loopback in communication devices
US8908684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payload data
EP1619853A1 (en) RTSP proxy extended to detect streaming session events and report to valued streaming applications the notified ones
WO2009146621A1 (zh) 数据处理方法及宽带网络网关、策略控制器和接入设备
WO20060106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related communication sessions in hybrid telecommunication networks
JP2012090250A (ja) クラウド・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ためのマルチレイヤー・スタック・プラットホーム
US20140164543A1 (e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 Server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Server Cooperation
KR101202145B1 (ko) 통신망에서 이종 서비스 간 통합서비스 제어를 위한통합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053204A (zh) 基于分组的网络中的服务质量监控
CN115664989A (zh) 一种云桌面的监控系统及方法
US7881309B2 (en) Controlling service stream
US8903985B2 (en) Sharing status information acros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WO2014114088A1 (zh) 一种ngn下实现宽带业务功能的方法及业务平台
KR100657617B1 (ko)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
EP1962471A1 (en) Method of providing an access to a real-time service
US79036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ple user sessions in an internet protocol (IP) multi media system (IMS)
US78049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tones and announcements in multimedia communications networks
TWI412252B (zh) Wireless broadband user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network quality control function
KR101483270B1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서비스 플로우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