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431B1 -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 Google Patents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431B1
KR102151431B1 KR1020190077818A KR20190077818A KR102151431B1 KR 102151431 B1 KR102151431 B1 KR 102151431B1 KR 1020190077818 A KR1020190077818 A KR 1020190077818A KR 20190077818 A KR20190077818 A KR 20190077818A KR 102151431 B1 KR102151431 B1 KR 102151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guide
check valve
fluid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주)두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쿰 filed Critical (주)두쿰
Priority to KR1020190077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431B1/ko
Priority to EP20830614.2A priority patent/EP3992503A4/en
Priority to US17/623,002 priority patent/US20220228670A1/en
Priority to PCT/KR2020/008164 priority patent/WO2020262936A1/ko
Priority to JP2021577979A priority patent/JP7489121B2/ja
Priority to CN202080045947.8A priority patent/CN114008362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16K15/02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 F16K15/028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the valve member consisting only of a predominantly disc-shaped flat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1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 F16K15/02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the valve member consisting only of a predominantly disc-shaped flat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2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는 유체가 이송되는 유입관 및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영역과, 상기 유입 영역을 통해 내부로 공급된 유체가 체류하는 체류 영역과,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체류 영역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영역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경로를 개폐하는 디스크 조립체와, 상기 디스크 조립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가 구비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개폐부를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를 개방하는 캡이 구비되되, 상기 제1 가이드에는 상기 캡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되는 제1 결합면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Check valve capable of assembling}
본 발명은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크 밸브의 바디부에 구비된 캡과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별도로 조립 가능하고, 유체의 경로를 개폐하는 디스크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유로의 개폐가 반복되어도 디스크 시트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관 속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 유속, 압력 등을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 종류로는 한쪽 방향으로만 유체를 흘러 보내고 반대 방향으로의 흐름은 차단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비롯하여, 압력밸브, 차폐밸브, 유량조절밸브, 통수밸브, 컨트롤밸브 등이 있다.
종래의 밸브는 밸브몸체 및 밸브몸체를 통과하는 유체의 경로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밸브몸체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입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된 유체가 체류하는 공간부와, 공간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개폐수단은 일측이 밸브몸체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측이 밸브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템과, 스템의 일측에 설치된 핸들과, 스템의 타측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유입부 또는 배출부를 개방 또는 차폐하는 디스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밸브몸체는 주철 주물(이하, 주철이라 칭함)로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온도 변화나 충격에 취약한 주철의 특성상 기계 가공이 어려워서 밸브몸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캡에 전술한 스템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캡과 가이드를 일체로 형성할 경우 부품의 크기가 커져서 취급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철의 특성상 온도 변화에 취약해서 유입관 및 배출관을 함께 용접할 수 없고, 충격에 취약해서 밸브 몸체에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기 어려워 링 조인트나 홈 조인트 방식으로 유입관 및 배출관을 연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체크 밸브의 바디부에 구비된 캡과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별도로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체의 경로를 개폐하는 디스크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유로의 개폐가 반복되어도 디스크 시트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는 유체가 이송되는 유입관 및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영역과, 상기 유입 영역을 통해 내부로 공급된 유체가 체류하는 체류 영역과,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체류 영역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영역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경로를 개폐하는 디스크 조립체와, 상기 디스크 조립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가 구비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개폐부를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를 개방하는 캡이 구비되되, 상기 제1 가이드에는 상기 캡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되는 제1 결합면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에는 상기 단차면에 삽입 고정되는 제2 결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스템의 축 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에는 상기 제1 가이드의 내주면과 상기 스템의 외주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제1 부시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의 타측에는 상기 스템의 축 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2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홈에는 상기 제1 가이드의 내주면과 상기 스템의 외주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제2 부시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템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시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대응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결합홈에는 상기 스템의 외주면과 상호 이격되는 이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크 조립체는 유입되는 유체를 개폐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스템과 결합하는 디스크 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템의 타측에는 상기 디스크 스템이 삽입되는 제2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크 스템의 외주면은 상기 제2 가이드의 내주면에 지지되면서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와 상기 캡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체결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가 형성된 커플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디스크 스템의 타측을 지지하는 인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 가이드에는 상기 디스크 스템의 타측이 관통 지지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의 내주면과 맞닿는 지지바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 영역의 단부에는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흐르는 유입홀이 형성된 인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인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입관의 둘레가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홀의 둘레에는 상기 디스크 조립체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유입홀의 둘레에 내식성 용접봉을 이용한 육성 용접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 리브에는 상기 디스크 조립체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면은 상기 디스크 조립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 영역의 외주면과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체결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가 형성된 커플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는 바디부에 구비된 캡과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분리형으로 구성된 후 별도로 조립되므로 부피가 감소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체의 경로를 개폐하는 디스크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제1 가이드에 제1 및 제2 부시가 구비되므로 디스크 조립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개폐 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크 스템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유입관에 구비되는 인 가이드를 지지링과 지지바로 구성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 증가 및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유로 폐쇄를 위해 디스크 조립체가 안착되는 부분에 보강 리브를 구비하여 유로의 개폐가 반복되어도 디스크 시트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는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 가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 플레이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는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 가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 플레이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30)는 유체가 이송되는 유입관(10) 및 배출관(20)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30)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바디부(100)와 이러한 바디부(100)로 유입되는 유체의 경로를 개폐하는 개폐부(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디부(100)에는 개폐부(200)를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바디부(100)의 내부를 개방하는 캡(140)이 구비되며, 캡(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50)를 이용해서 체결될 수 있으며, 커플러(150)를 통한 캡(140)과 바디부(100)의 체결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개폐부(200)에는 유체의 경로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50)이 구비되고, 바디부(100)에는 개방되는 정도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기(60)가 구비된다.
아울러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바디부(10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배출관(20)으로 이동하도록 바이패스 관(40)이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에는 유입관(10)과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영역(110)과, 유입 영역(110)을 통해 내부로 공급된 유체가 체류하는 체류 영역(120)과, 배출관(20)과 연결되어 체류 영역(120)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영역(1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관(10)으로 이송된 유체는 유입 영역(110)을 통해 바디부(100) 내부로 유입되고, 체류 영역(120)을 거쳐 배출 영역(130)을 통해 바디부(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 영역(130)으로 배출된 유체는 배출관(20)을 따라 이송된다.
이러한 바디부(100)의 내부에는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경로를 개폐하는 개폐부(200)를 포함하며, 개폐부(200)는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경로를 개폐하는 디스크 조립체(210)와, 이러한 디스크 조립체(21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스템(220)과, 스템(2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230)를 포함한다.
즉, 디스크 조립체(210)는 스템(2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유체의 경로를 개폐하게 되며, 제1 가이드(230)가 스템(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개폐 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에는 이러한 개폐부(200)를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바디부(100)의 내부를 개방하는 캡(140)이 구비되고, 제1 가이드(230)에는 이러한 캡(140)에 형성된 관통홀(141)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되는 제1 결합면(231)이 형성된다.
즉, 개폐부(200)의 스템(220) 일측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230)가 캡(140)에 삽입 고정되도록 제1 결합면(231)이 형성됨으로써 바디부(100)에 구비되는 캡(140)과,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200)가 분리형으로 구성되고, 이후 별도로 조립되므로 캡(140)의 전체 부피가 감소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디부(100)는 유입 영역(110), 체류 영역(120)과 캡(140)을 통해 개폐부(200)가 설치되는 영역은 일직선 상에 배치된 일체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스템(220)이 일직선 상에 배치된 유입 영역(110)과 체류 영역(120)에 배치됨으로써 바디부(100)의 외부로 노출된 스템(220)의 길이가 짧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체크 밸브(30)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디부(100)와 캡(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틸(steel)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재질의 관(pipe)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피 및 무게는 줄이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41)의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차면(142)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230)에는 이러한 단차면(142)에 삽입 고정되는 제2 결합면(232)이 형성된다.
즉, 개폐부(200)를 통한 유로의 안정적인 개폐 동작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개폐부(200)가 캡(140)에 정확하게 고정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캡(140)에 형성된 관통홀(141)의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차면(142)을 형성하고, 제1 가이드(230)에는 이러한 단차면(142)에 삽입 고정되는 제2 결합면(232)이 형성된다. 이때, 단차면(142)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면(142a)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면(142b)이 형성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230)의 일측에는 스템(220)의 축 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1 결합홈(233)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1 결합홈(233)에는 제1 가이드(230)의 내주면과 스템(220)의 외주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제1 부시(240)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부시(240)가 제1 가이드(230)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제1 결합홈(233)에 먼저 삽입 고정된 이후에 스템(220)이 제1 부시(240)를 관통 설치되어 제1 부시(240)가 스템(220)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1 가이드(230)에 제1 부시(240)를 설치하기 위해서 제1 가이드(230)의 내주면과 제1 부시(240)의 외주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나사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템(220)이 제1 부시(240)를 관통한 상태에서 스템(220)의 외주면과 제1 부시(240)의 내주면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부시(240)에는 별도의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230)의 타측에는 스템(220)의 축 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2 결합홈(234)이 형성되고, 제2 결합홈(234)에는 제1 가이드(230)의 내주면과 스템(220)의 외주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제2 부시(250)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부시(240)와 마찬가지로, 제2 부시(250)가 제1 가이드(230)의 타측에 함몰 형성된 제2 결합홈(234)에 먼저 삽입 고정된 이후에 스템(220)이 제2 부시(250)를 관통 설치되어 제2 부시(250)가 스템(220)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230)에 제2 부시(250)를 설치하기 위해서 제1 가이드(230)의 내주면과 제2 부시(250)의 외주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나사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2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s)이 형성되고, 제2 부시(25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s)에 대응되는 대응 나사산(ds)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핸들(50)을 돌리게 되면 스템(220)이 회전하게 되고, 나사산(s)은 제2 부시(250)에 형성된 대응 나사산(ds)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230)에 제1 부시(240) 및 제2 부시(250)가 구비되므로 스템(22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결국 디스크 조립체(210)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되어 개폐 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홈(234)에는 스템(220)의 외주면과 상호 이격되는 이격면(23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면(234a)은 제1 부시(240)와 제2 부시(25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이격면(234a)이 형성될 경우 스템(220)은 제1 부시(240)와 제2 부시에 의해서만 지지될 뿐 제1 가이드(230)의 내주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핸들(50)을 이용해서 스템(220)을 회전시키는 경우 작은 힘으로도 스템(220)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조립체(210)는 유입되는 유체를 개폐하는 디스크(211)와, 이러한 디스크(211)의 중심에 배치되어 스템(220)과 결합하는 디스크 스템(2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디스크(211)에 압력을 인가하게 되면 디스크(211)와 이에 조립된 디스크 스템(212)이 밀리게 되며, 디스크 스템(212)은 스템(220)에 결합된 상태로 스템(22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개폐부(200)에는 스템(220)의 둘레에 설치되어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차폐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60)이 구비된다.
이때, 스템(220)의 타측에는 디스크 스템(212)이 삽입되는 제2 가이드(221)가 구비되며, 디스크 스템(212)의 외주면은 제2 가이드(221)의 내주면에 지지되면서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디스크(211)가 밀리게 되면 디스크 스템(212)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디스크 스템(212)은 스템(220)의 타측에 구비된 제2 가이드(221)의 내주면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밀리게 되며, 이와 같이 디스크 스템(212)의 외주면이 제2 가이드(221)의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구성하면 디스크(211)가 스템(220)의 축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면서 유로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바디부(100)와 캡(14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체결홈(101, 143)이 각각 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체결홈(101, 143)에 각각 삽입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151)가 형성된 커플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러(150)는 2개 이상의 커플링 세그먼트가 조립되는 것으로, 그 크기에 따라 2개, 3개, 4개의 커플링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00)와 캡(140)이 스틸(steel)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기계 가공을 통해 둘레 방향을 따라 결합홈(101, 143)을 형성하고, 커플러(150)를 이용해서 체결하게 되면 체결 용이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바디부(100)의 경우 무계목 강관(seamless pipe)또는 용접 강관(welded steel pi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무계목 강관(seamless pipe)은 소재에 구멍을 뚫은 다음 가공하거나 이미 천공된 소재를 프레스로 압출하는 방식으로 만든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압연 천공법, 원심 주조법, 압출법, 인발법 등이 있다. 용접 강관으로 사용할 수 없는 고압, 고온, 저온, 내식 등 특수 배관용, 기계 구조용 및 열교환기용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용접 강관(welded steel pipe)은 철판을 구부려 이음매를 용접하는 방식으로 만드는데 용접하는 방법에 따라 전기저항용접강관(ERW 강관), 가스용접관, 아크용접강관(SAW 강관)으로 분류된다. 원자재의 성질에 따라 탄소강 강관, 스테인리스강 강관, 아연도금 강관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바디부(100)를 구성하게 되면 기계 가공을 통해 결합홈(101)을 형성해서 링 조인트나 홈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하거나, 유입관(10)과 배출관(20)을 용접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부피 및 무게는 줄이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입관(10)의 내주면에는 디스크 스템(212)의 타측을 지지하는 인 가이드(16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스템(212)의 일측은 스템(220)에 구비된 제2 가이드(221)에 의해 지지되고, 디스크 스템(212)의 타측은 인 가이드(16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디스크 스템(212)의 안정적 지지 및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인 가이드(160)는 유입관(10)의 내주면에 용접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 가이드(160)에는 디스크 스템(212)의 타측이 관통 지지되는 지지링(161)과, 지지링(161)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유입관(10)의 내주면과 맞닿는 지지바(1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 스템(212)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유입관(10)에 구비되는 인 가이드(160)를 지지링(161)과 지지바(162)로 구성하게 되면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 증가 및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유입 영역(110)의 단부에는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흐르는 유입홀(171)이 형성된 인 플레이트(170)가 구비되고, 이러한 인 플레이트(170)에는 유입관(10)의 둘레가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삽입되는 삽입홈(172)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00)가 스틸(steel)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재질로 형성되면 이러한 바디부(100)에 인 플레이트(170)를 용접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디부(100) 및 인 플레이트(170)에 용접 고정되는 유입관(10) 및 배출관(20)의 각도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 체크 밸브(30)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형 체크 밸브(30)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인 플레이트(170)에 형성된 유입홀(171)의 둘레에는 삽입홈(172)이 형성되어 유입관(10)의 둘레가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만큼 삽입될 수 있으므로 유입홀(171)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171)의 둘레에는 디스크 조립체(210)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173)가 구비될 수 있고, 보강 리브에는 디스크 조립체(210)가 안착되는 안착면(173a)이 형성되되, 안착면(173a)은 디스크 조립체(2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리브(173)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구성되며, 인 플레이트(170) 일측에 디스크 조립체(210)가 안착되는 위치에 직접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보강 리브(173)는 부식 방지를 위해 내식성 용접봉으로 육성 용접(덧살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보강 리브(173)의 내식성 또는 경도(디스크 조립체(210)의 잦은 작동에 대비하여 내마모성을 증가시킴) 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보강 리브(173)에 형성된 안착면(173a)에는 하향 경사가 형성된다. 이는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증가할수록 디스크 조립체(210)와 안착면(173a)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유체의 유로를 효과적으로 폐쇄하기 위함이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0)과 배출관(20)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홈(12, 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0)과 배출관(20)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11, 21)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에 형성된 배출 영역(130)의 외주면과 배출관(2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체결홈(101)이 각각 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체결홈(101)에 각각 삽입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151)가 형성된 커플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러(150)는 2개 이상의 커플링 세그먼트가 조립되는 것으로, 그 크기에 따라 2개, 3개, 4개의 커플링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부(100)와 유입관(10) 및 배출관(20)은 스틸(steel)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재질로 형성되는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종래에 주철로 제작된 밸브몸체에 비해, 인장강도 및 내수압성이 증가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쉽게 깨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바디부(100)와 유입관(10) 및 배출관(20)을 용접, 링조인트, 홈조인트와 같은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공기가 줄어들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유입관 11 : 플랜지
12 : 걸림홈 20 : 배출관
21 : 플랜지 22 : 걸림홈
30 : 체크 밸브 40 : 바이패스 관
50 : 핸들 60 : 표시기
100 : 바디부 101 : 체결홈
110 : 유입 영역 120 : 체류 영역
130 : 배출 영역 140 : 캡
141 : 관통홀 142 : 단차면
143 : 체결홈 150 : 커플러
151 : 레그 160 : 인 가이드
161 : 지지링 162 : 지지바
170 : 인 플레이트 171 : 유입홀
172 : 삽입홈 173 : 보강 리브
173a : 안착면 200 : 개폐부
210 : 디스크 조립체 211 : 디스크
212 : 디스크 스템 220 : 스템
221 : 제2 가이드 230 : 제1 가이드
231 : 제1 결합면 232 : 제2 결합면
233 : 제1 결합홈 234 : 제2 결합홈
234a : 이격면 240 : 제1 부시
250 : 제2 부시 260 : 스프링
a : 경사 s : 나사산
ds : 대응 나사산

Claims (18)

  1. 유체가 이송되는 유입관 및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영역과, 상기 유입 영역을 통해 내부로 공급된 유체가 체류하는 체류 영역과,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체류 영역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영역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경로를 개폐하는 디스크 조립체와, 상기 디스크 조립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가 구비된 개폐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개폐부를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를 개방하는 캡이 구비되되,
    상기 제1 가이드에는 상기 캡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되는 제1 결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조립체는 유입되는 유체를 개폐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스템과 결합하는 디스크 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스템의 타측에는 상기 디스크 스템이 삽입되는 제2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크 스템의 외주면은 상기 제2 가이드의 내주면에 지지되면서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되,
    상기 유입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디스크 스템의 타측을 지지하는 인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인 가이드에는 상기 디스크 스템의 타측이 관통 지지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의 내주면에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는 지지바가 형성되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스템의 축 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에는 상기 제1 가이드의 내주면과 상기 스템의 외주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제1 부시가 삽입되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의 타측에는 상기 스템의 축 방향을 따라 함몰된 제2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홈에는 상기 제1 가이드의 내주면과 상기 스템의 외주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제2 부시가 삽입되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홈에는 상기 스템의 외주면과 상호 이격되는 이격면이 형성되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캡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체결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가 형성된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10. 삭제
  11. 삭제
  12. 유체가 이송되는 유입관 및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영역과, 상기 유입 영역을 통해 내부로 공급된 유체가 체류하는 체류 영역과,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체류 영역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영역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경로를 개폐하는 디스크 조립체와, 상기 디스크 조립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가 구비된 개폐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개폐부를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를 개방하는 캡이 구비되되,
    상기 제1 가이드에는 상기 캡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되는 제1 결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 영역의 단부에는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흐르는 유입홀이 형성된 인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인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입관의 둘레가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의 둘레에는 상기 디스크 조립체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유입홀의 둘레에 내식성 용접봉을 이용한 육성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되되,
    상기 보강 리브에는 상기 디스크 조립체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에는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증가할수록 상기 디스크 조립체와 상기 안착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디스크 조립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홈이 형성되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 영역의 외주면과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체결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가 형성된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KR1020190077818A 2019-06-28 2019-06-28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KR102151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818A KR102151431B1 (ko) 2019-06-28 2019-06-28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EP20830614.2A EP3992503A4 (en) 2019-06-28 2020-06-23 COMPOSITE NON-RETURN VALVE
US17/623,002 US20220228670A1 (en) 2019-06-28 2020-06-23 Assemblable check valve
PCT/KR2020/008164 WO2020262936A1 (ko) 2019-06-28 2020-06-23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JP2021577979A JP7489121B2 (ja) 2019-06-28 2020-06-23 組立可能なチェックバルブ
CN202080045947.8A CN114008362A (zh) 2019-06-28 2020-06-23 能够组装的止回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818A KR102151431B1 (ko) 2019-06-28 2019-06-28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431B1 true KR102151431B1 (ko) 2020-09-03

Family

ID=7246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818A KR102151431B1 (ko) 2019-06-28 2019-06-28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28670A1 (ko)
EP (1) EP3992503A4 (ko)
JP (1) JP7489121B2 (ko)
KR (1) KR102151431B1 (ko)
CN (1) CN114008362A (ko)
WO (1) WO202026293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438A (ko) * 1996-07-30 2000-05-25 굿윈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이중판체크밸브
KR200290295Y1 (ko) * 2002-05-23 2002-09-26 주식회사 원일산업 건축 설비용 다기능 복합 밸브
US20050062000A1 (en) * 2000-02-18 2005-03-24 Bartell Donald L. Electric motor actuated stop and self-closing check valve
KR101096870B1 (ko) * 2011-09-16 2011-12-22 김병문 댐퍼 기능을 가지는 체크밸브가 내장된 제어밸브
US20160290521A1 (en) * 2013-06-28 2016-10-06 GEA AWP GmbH Non-return valve/filter unit
KR20170135766A (ko) * 2016-05-31 2017-12-08 (주)두쿰 밸브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451A (en) * 1935-01-21 1935-05-21 Wallace M Gray Water hammer eliminator
US2214000A (en) * 1936-09-12 1940-09-10 George Valve Company Valve operating mechanism
US2426423A (en) * 1945-02-21 1947-08-26 Marman Products Company Inc Hydraulic coupling
US2619115A (en) * 1947-03-22 1952-11-25 John A Dondero Spring biased relief valve
US2643849A (en) * 1947-05-09 1953-06-30 Ohio Brass Co Screw actuated valve with auxiliary threaded stem support
US2731035A (en) * 1951-08-30 1956-01-17 Anco Inc Spring loaded dual type relief valve
US3035604A (en) * 1959-06-15 1962-05-22 Midland Mfg Corp Relief valve
JPS51119518A (en) * 1975-04-14 1976-10-20 Kyokuto Mfg Check valve for protecting hydraulic shock
JPS5529718Y2 (ko) * 1976-02-17 1980-07-15
JPS58189863U (ja) * 1982-06-14 1983-1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逆止弁装置
US4634093A (en) * 1985-10-07 1987-01-06 Vilter Manufacturing Corporation Mounting means for valve disc
US4799506A (en) * 1987-05-20 1989-01-24 Taylor Wesley L Adjustable safety relief valve
US4945941A (en) * 1990-03-05 1990-08-07 Vilter Manufacturing Corporation Means to reduce vibration in check valves and stop/check valves caused by pulsating low fluid flow
JPH1122842A (ja) * 1997-07-04 1999-01-26 Karatsu Valve Kogyo Kk 遠心ポンプ用逆止め弁
JP2001141085A (ja) * 1999-11-10 2001-05-25 Toto Ltd 逆流防止弁
US6443182B1 (en) * 2000-11-08 2002-09-03 Ingersoll-Rand Company Non-slamming check valve
US6516828B2 (en) * 2001-06-19 2003-02-11 Mercer Valve Company, Inc. Snap-type safety relief valve having a consistent low blow-down value
JP4233542B2 (ja) * 2005-04-25 2009-03-04 ジャパン・ハムワージ株式会社 油圧装置の流量制御弁および流量制御弁を備えた油圧舵取機
KR101216035B1 (ko) 2012-06-08 2012-12-27 주식회사 에쓰브이씨 앵글형 다기능 체크밸브
CN104976390A (zh) * 2014-04-10 2015-10-14 苏州科迪流体控制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升降式止回阀
CN204647452U (zh) * 2015-05-25 2015-09-16 杭州良工阀门有限公司 一种核电用压力调节型止回阀
US10612676B2 (en) * 2016-01-14 2020-04-07 Do Qoom, Corp, Ltd Check valve having reverse-direction fluid supply function
WO2017123028A1 (ko) * 2016-01-14 2017-07-20 (주)두쿰 역방향 유체 공급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KR101773794B1 (ko) * 2016-01-14 2017-09-01 (주)두쿰 역방향 유체 공급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WO2017209515A1 (ko) * 2016-05-31 2017-12-07 (주)두쿰 밸브 조립체
US11268638B2 (en) * 2017-07-28 2022-03-08 ASC Engineered Solutions, LLC Pre-assembled coupling assemblies with pipe fitt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438A (ko) * 1996-07-30 2000-05-25 굿윈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이중판체크밸브
US20050062000A1 (en) * 2000-02-18 2005-03-24 Bartell Donald L. Electric motor actuated stop and self-closing check valve
KR200290295Y1 (ko) * 2002-05-23 2002-09-26 주식회사 원일산업 건축 설비용 다기능 복합 밸브
KR101096870B1 (ko) * 2011-09-16 2011-12-22 김병문 댐퍼 기능을 가지는 체크밸브가 내장된 제어밸브
US20160290521A1 (en) * 2013-06-28 2016-10-06 GEA AWP GmbH Non-return valve/filter unit
KR20170135766A (ko) * 2016-05-31 2017-12-08 (주)두쿰 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92503A4 (en) 2023-07-26
CN114008362A (zh) 2022-02-01
JP7489121B2 (ja) 2024-05-23
US20220228670A1 (en) 2022-07-21
JP2022539391A (ja) 2022-09-08
WO2020262936A1 (ko) 2020-12-30
EP3992503A1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6312B2 (en) Ball valve with removable means for retaining the axial seal
US20070272308A1 (en) Check Valve With Oblong Hinge Openings
EP3262325B1 (en) Nozzle check valve
US7506858B2 (en) Tube-end butterfly metering and shutoff valve
US10094483B2 (en) Nozzle check valve
CN109416131B (zh) 阀组件
US7533689B2 (en) Excess flow control valve
KR20070058650A (ko) 밸브 유지 부재
KR102151431B1 (ko) 조립 가능한 체크 밸브
KR101402915B1 (ko) 밸브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버터플라이 밸브
US11287057B2 (en) Y-globe valve assembly with integrated pressure relief passageway
JP2004190851A (ja) バタフライ弁
DE102004041499B4 (de) Absperrvorrichtung für eine Gasleitung
US10465813B2 (en) Housing for a shut-off valve
KR20170064859A (ko) 와류 방지용 압력감쇄부재를 구비한 버터플라이 밸브
KR20150000349U (ko) 쐐기형 스펙터클 플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