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029B1 - 점보롤 보빈의 파지 및 이송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점보롤 보빈의 파지 및 이송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029B1
KR102151029B1 KR1020200043211A KR20200043211A KR102151029B1 KR 102151029 B1 KR102151029 B1 KR 102151029B1 KR 1020200043211 A KR1020200043211 A KR 1020200043211A KR 20200043211 A KR20200043211 A KR 20200043211A KR 102151029 B1 KR102151029 B1 KR 10215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pad
frame
downward
lo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솔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솔루텍
Priority to KR102020004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12Load carriers, e.g. hooks, slings, harness, gloves, modified for load car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점보롤의 보빈을 용이하게 이송하기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알루미늄시트, 또는 구리시트 등이 감긴 점보롤을 용이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점보롤의 보빈을 파지하여 보관창고의 보관레일을 따라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점보롤 이송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잡이를 포함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향연장부를 구비한 ㄱ 자형상의 장프레임(100);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장프레임(100)에 비하여 짧은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오목하게 하향 연장되는 하향연장부를 포함하는 ㄱ 자형상의 단프레임(200);
상기 단프레임(200)의 수평부와 하향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30)를 상기 장프레임(100)의 수평부 중간부에 자유자재로 회동되도록 결합하는 힌지결합부(300); 및
상기 장프레임(100)과 단프레임(200)의 각 연장부에는 보빈을 파지하기 위한 제1패드와 제2패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보롤 보빈의 파지 및 이송보조장치{THE APPARTUS FOR MOVING JUMBO ROLL}
본원 발명은 점보롤의 보빈을 용이하게 파지하고 이송하기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알루미늄시트, 또는 구리시트 등이 감긴 점보롤을 보관레일에 용이하게 이송하거나 보관레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하여 점보롤의 보빈을 파지하여 보관창고의 보관레일을 따라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점보롤의 보빈 파지 및 이송보조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대용량 원재료의 시트가 감긴 점보롤이 사용된다. 특히 그 원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그 활용도가 달라지는데, 본원 발명이 관련된 원재료는 매우 순도가 높은 알루미늄시트 또는 구리시트와 같은 금속시트에 관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2차전지의 배터리 전극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시트 또는 구리시트는 공장에서 생산된 이후에 매우 조심스러운 운반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운반과정에서 원재료에 하중이 가지해지면 안되기 때문에 손으로 점보롤의 원재료 표면을 접촉하는 것은 철저히 금지된다. 결국 원재료를 감고 있는 보빈 양단의 파지부에만 손이나 기타 도구로 접촉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점보롤은 보관창고에 마련된 양측 보관레일 사이를 통과하면서 보빈의 양측 파지부가 양측 레일의 상부를 따라서 구름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보관레일은 보관창고에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고, 또한 상하로 복수층의 보관레일이 설치됨으로 인해서 보관창고에 많은 점보롤을 보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관레일을 따라서 점보롤을 안쪽으로 안내하여 이송해야 하고, 또한 보관창고로부터 밖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보관레일을 따라서 밖으로 인출해야 한다.
종전에는 이러한 점보롤의 보빈 파지부를 장갑을 착용한 손으로 보관레일을 따라서 굴리면서 이송하였으나, 점보롤의 무게가 수백 kg에 달하는 관계로 작업자는 손에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파지부에 벨트를 결합하고 벨트로 보빈의 파지부를 끌어당김으로써 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지만, 이러한 경우에 파지부와 보관레일 사이에 벨트가 끼는 문제, 파지부가 보관레일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점보롤의 이송이 매우 불편하게 되었다.
이에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보빈의 파지부를 잡아당기거나 밀거나 하는 경우에 유용한 도구가 착안하게 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20-0225899 (2001. 03. 21. 등록)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특허공보 10-1249718 (2013.03.27. 등록) 선행문헌 3 :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6-0001278 (2016. 01. 06. 공개) 선행문헌 4 :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4-0078071 (2014. 6. 25. 공개)
본원 발명은 비좁은 보관레일에서 무거운 하중의 점보롤을 이송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운반도구로서, 점보롤의 보빈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밀고 당길 수 있는 점보롤 이송보조도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비좁은 보관레일에서 점보롤과 보관레일의 마찰을 줄여서 마찰에 따른 이송의 불편함으로 제거한 점보롤 이송보조도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점보롤 파지 및 이송 보조장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수평부(110)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향연장부(120)를 구비한 ㄱ 자형상의 장프레임(100);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장프레임(100)에 비하여 짧은 수평부(210)와, 기 수평부로부터 오목하게 하향 연장되는 하향연장부(220)를 포함하는 ㄱ 자형상의 단프레임(200); 상기 단프레임(200)의 수평부와 하향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30)를 상기 장프레임(100) 수평부의 중간에 자유자재로 회동되도록 결합하는 힌지결합부(300); 및 상기 장프레임(100)과 단프레임(200)의 각 하향연장부(120, 220)에는 보빈을 파지하기 위한 제1패드(121)와 제2패드(221)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프레임(100)은 수평부는 힌지결합부(300) 전후에 경사부가 구비되되, 손잡이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되고 다시 손잡이부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단프레임(200)의 수평부는 제1스트립, 제2스트립, 제3스트립이 겹쳐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230) 이하로 제1스트립, 제3스트립이 상호 이격되어 중공부를 구성하며 상기 장프레임(100)의 경사부가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여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1패드는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개방홈에 상기 장프레임(100)의 하향연장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2패드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T자 단면의 돌기가 상기 단프레임(200)의 하향연장부의 중공부에 삽입 결합되며, 장프레임(100)과 단프레임(200)의 손잡이에 대한 압축력에 의해서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가 점보롤의 보빈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프레임(100)의 하향연장부와 힌지결합부(300) 사이의 수평부에 설치되는 가이드(4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400)는 장프레임(100)의 수평부로부터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가이드연결부(410); 및 이송되는 보빈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가이드연결부(410)에서 수직하게 하향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420);로 이루어진다.
본원 발명은 비좁은 공간의 보관레일에 무거운 하중의 점보롤이 탑재되도록 하기 위해 보관레일 상에서 점보롤의 보빈을 푸시하거나 당기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점보롤의 파지 및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본원 발명의 점보롤 파지 및 이송보조장치는 점보롤의 보빈이 보관레일을 따라서 이동할 때 보빈의 축이 삐뚤어지면서 보관레일의 측면에 맞닿게 됨에 따라서 발생하는 점보롤 이송의 장애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를 보빈에 파지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제2실시예로서 보빈에 파지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제3실시예로서 수직파지보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3실시예의 수직파지보조장치의 활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본원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점보롤 보빈 파지 및 이송 보조장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긴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향연장부를 구비한 ㄱ 자형상의 장프레임(100); 또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장프레임(100)의 수평부에 비하여 짧은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향연장부를 포함하는 ㄱ 자형상의 단프레임(200); 상기 단프레임(200)의 수평부와 하향연장부를 잇는 연결부(230)를 상기 장프레임(100)의 수평부 중간부에서 자유자재로 회동되도록 결합하는 힌지결합부(300); 및 상기 장프레임(100)과 단프레임(200)의 각 하향연장부에는 보빈을 파지하기 위한 제1패드와 제2패드가 결합된다.
장프레임(100)의 하향연장부에 마련된 제1패드는 파지되는 보빈의 후부(後部)를 밀착하고, 단프레임(200)의 하향연장부에 마련된 제2패드는 보빈의 전부(前部)를 밀착한 상태에서 서로 가압되어 보빈을 파지하게 된다. 여기서 보빈의 후부(後部)와 전부(前部)는 사용자 입장에서 먼 위치가 후부(後部)이며, 가까운 위치가 전부(前部)라고 정의한다.
상기 장프레임(100)과 상기 단프레임(200)은 모두 보빈이 접촉되는 하향연장부와 손잡이와 연결되는 수평부로 구성된다. 장프레임(100)과 단프레임(200)은 모두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하향하여 연장되는 하향연장부로 이루어지되, 단프레임(200)의 연결부(230)가 장프레임(100)의 수평부 중간지점에서 만나 힌지결합되게 된다.
단프레임(200)의 수평부는 제1겹, 제2겹, 제3겹의 판형 스틱이 겹쳐서 구성되고, 하향연장부는 제2겹이 생략된 상태로서, 제1겹, 제3겹의 판형 스틱이 상호 이격되어 중공부를 구성하며 상기 장프레임(100)이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여 제2패드가 결합된다.
특히, 사용자가 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하여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상기 장프레임(100)의 수평부는 힌지결합부(300) 전후로 하여 경사부가 구비되되, 손잡이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되고 다시 손잡이부에서 수평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프레임 결합에 의해서 장프레임(100)과 단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고 파지가 용이하게 된다.
제1패드는 상기 장프레임(100)의 하향연장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결합되는 제1패드와 단프레임(200)의 하향연장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패드로 구성되며,
상기 제1패드는 일면이 직선형이고 타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되 직선형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개방홈이 구비되어 상기 장프레임(100)의 하향연장부 내측면이 삽입되며 볼트 등에 의해서 체결된다.
상기 제2패드는 단면 중앙부에 돌기가 구비되고 양측에 계단형으로 T 자와 같이 형성된 것으로서 돌기가 상기 단프레임(200) 하향연장부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볼트 등에 의해서 체결된다.
장프레임(100)과 단프레임(200)에 의해서 작용하는 파지력에 의해서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가 점보롤의 보빈 둘레를 감싸게 되며, 사용자는 손잡이를 밀어나 당김으로써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 사이에서 보빈 회전되도록 하여 보관레일 상에서 구름운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제1패드와 제2패드는 보빈을 파지하면서 보빈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마찰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보롤을 보관레일안으로 이송하거나 보관레일로부터 인출하고자 할 때 본원 발명의 이송보조장치를 이용하여 보빈을 파지하여 밀거나 잡아당김으로 점보롤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점보롤이 보관레일의 일측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 보빈의 측면이 보관레일의 옆면에 부딪히면서 점보롤의 이송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원 발명은 바람직하게 장프레임(100)의 수평부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이드(400)가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400)는 장프레임(100)의 수평부로부터 측면으로 소정높이만큼 돌출되는 가이드연결부(410); 및 이송되는 보빈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가이드연결부(410)에서 수직하게 하향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420);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원 발명의 이송보조장치는 장프레임(100)의 수평부 측면에 가이드(400)가 부가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400)는 장프레임(100) 수평부 측면으로부터 수평부 길이방향을 따라서 보빈의 측면에 평행하게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로부터 하향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플레이트(42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는 장프레임(100) 수평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20)가 이로부터 하향되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가이드(400)의 가이드플레이트(420)가 보관레일에 접촉되면서 보관레일에서 보빈의 구름방향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원 발명은 상기 장프레임(100)과 단프레임(200)의 양 손잡이부에 근접한 수평부 각각에는 복쉬스프링(500)을 결합하기 위한 제1통공 및 제2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통공 및 제2통공에는 각각 단부가 결합되는 복쉬스프링(500);이 구비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는 하향연장부에 구비되는 제1패드와 제2패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장프레임(100)의 제1패드는 하향연장부(120) 하단에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단프레임(200)의 하향연장부(220)에 구비되는 제2패드(221)는 보빈이 접촉하는 면에 하단에 롤러가 부가된 것이다.
제1패드(121)는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제2패드는 하단부에 롤러가 구비됨으로 인해서, 제1패드(121)와 제2패드(221)가 보빈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한다. 보관레일 상에 위치한 보빈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1패드와 제2패드를 보빈에 접촉시킬 때 제1패드는 힌지부(121a)의 회전에 의해서 다양한 각도에서 제1패드가 용이하게 보빈의 후면을 파지하게 되고, 또한 제2패드의 롤러에 의해서 어떤 위치에서도 제2패드가 용이하게 보빈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원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본원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점보롤 보빈파지 및 이송보조장치는, 2층의 레일에 보관되는 점보롤을 파지하고 이송하기 위해서는 1층의 작업자가 2층의 보관 점보롤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송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2층 레일상에서 점보롤을 파지 하기 위해서는 수직방향으로 개방되며, 또한 파지할 수 있는 점보롤 파지 및 이송보조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힌지결합부(300)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프레임은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2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프레임(210)의 단부와 제2프레임(220)의 일단부는 각각 손잡이부(110, 210)가 구비되고, 타단부는 각각 보빈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1패드(121)와 제2패드(22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손잡이 사이에는 복귀스프링(500)이 구비되어서 파지 작업의 용이성을 증대시킨다.
10 : 점보롤, 11 : 보빈
20 : 보관레일
100 : 장프레임
110 : 수평부, 120 : 하향연장부, 121 : 제1패드
200 : 단프레임
210 : 수평부, 220 : 하향연장부, 221 : 제2패드
300 : 힌지결합부
400 : 가이드
500 : 복귀스프링

Claims (5)

  1. 삭제
  2. 손잡이를 포함하는 수평부(110)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향연장부(120)를 구비한 ㄱ 자형상의 장프레임(100);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장프레임(100)에 비하여 짧은 수평부(210)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오목하게 하향 연장되는 하향연장부(220)를 포함하는 ㄱ 자형상의 단프레임(200);
    상기 단프레임(200)의 수평부와 하향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30)를 상기 장프레임(100) 수평부의 중간에 자유자재로 회동되도록 결합하는 힌지결합부(300); 및
    상기 장프레임(100)과 단프레임(200)의 각 하향연장부(120, 220)에는 보빈을 파지하기 위한 제1패드(121)와 제2패드(221)가 결합되며,
    상기 장프레임(100)의 하향연장부와 힌지결합부(300) 사이의 수평부에 설치되는 가이드(4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400)는 장프레임(100)의 수평부로부터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가이드연결부(410); 및 이송되는 보빈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가이드연결부(410)에서 수직하게 하향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4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보롤 보빈의 파지 및 이송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프레임(100)은 수평부는 힌지결합부(300) 전후에 경사부가 구비되되, 손잡이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되고 다시 손잡이부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단프레임(200)의 수평부는 제1스트립, 제2스트립, 제3스트립이 겹쳐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230) 이하로 제1스트립, 제3스트립이 상호 이격되어 중공부를 구성하며 상기 장프레임(100)의 경사부가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여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1패드는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개방홈에 상기 장프레임(100)의 하향연장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2패드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T자 단면의 돌기가 상기 단프레임(200)의 하향연장부의 중공부에 삽입 결합되며,
    장프레임(100)과 단프레임(200)의 손잡이에 대한 압축력에 의해서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가 점보롤의 보빈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보롤 보빈의 파지 및 이송 보조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프레임(100)의 하향연장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패드가 힌지결합되어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단프레임(200)의 하향연장부에 중공부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제2패드는 보빈에 접촉되는 하단부에 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보롤 보빈의 파지 및 이송 보조장치.

KR1020200043211A 2020-04-09 2020-04-09 점보롤 보빈의 파지 및 이송보조장치 KR10215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211A KR102151029B1 (ko) 2020-04-09 2020-04-09 점보롤 보빈의 파지 및 이송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211A KR102151029B1 (ko) 2020-04-09 2020-04-09 점보롤 보빈의 파지 및 이송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029B1 true KR102151029B1 (ko) 2020-09-02

Family

ID=7246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211A KR102151029B1 (ko) 2020-04-09 2020-04-09 점보롤 보빈의 파지 및 이송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1139A (zh) * 2021-08-24 2021-11-16 浙江中创科联智能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大卷布自动卸车系统及其使用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5911U (ko) * 1980-03-17 1981-10-15
KR200225899Y1 (ko) 2000-12-06 2001-06-01 이흥창 파이프 연결용 집게
KR20120016512A (ko) * 2010-08-16 2012-02-24 임무남 조리용기용 집게
KR101249718B1 (ko) 2011-03-23 2013-04-02 김남숙 신발 방향을 전환하는 신발집게
KR20140078071A (ko) 2012-12-15 2014-06-25 김성원 다용도 집게
KR20160001278A (ko) 2014-06-27 2016-01-06 황경봉 연탄집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5911U (ko) * 1980-03-17 1981-10-15
KR200225899Y1 (ko) 2000-12-06 2001-06-01 이흥창 파이프 연결용 집게
KR20120016512A (ko) * 2010-08-16 2012-02-24 임무남 조리용기용 집게
KR101249718B1 (ko) 2011-03-23 2013-04-02 김남숙 신발 방향을 전환하는 신발집게
KR20140078071A (ko) 2012-12-15 2014-06-25 김성원 다용도 집게
KR20160001278A (ko) 2014-06-27 2016-01-06 황경봉 연탄집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1139A (zh) * 2021-08-24 2021-11-16 浙江中创科联智能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大卷布自动卸车系统及其使用方法
CN113651139B (zh) * 2021-08-24 2022-09-13 浙江中创科联智能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大卷布自动卸车系统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773B2 (en) Device for moving large containers
KR102151029B1 (ko) 점보롤 보빈의 파지 및 이송보조장치
CN105668167B (zh) 一种脚手架钢管双工位输送装置
US5464315A (en) Squeeze and lift apparatus
US4173428A (en) Printer's paper pile inverter
CN211075967U (zh) 一种带有快捷固定机构的手推车
US2882774A (en) Cam-lever actuated, slidable jaw hand tool
JP6871610B2 (ja) 鉄道レール用移動器具
CN217320447U (zh) 一种用于配合转运车的转运架
CN214776031U (zh) 一种建筑装修工程用板材运输装置
KR101225959B1 (ko) 벽돌운반용 수레
CN210941817U (zh) 卷筒搬运小车
KR101793506B1 (ko)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US2429797A (en) Hand truck
CN219506044U (zh) 一种用于运送包装辅料的新型转运推车
CN216071792U (zh) 卷芯转运装置及电池隔膜生产线
US3425575A (en) Hand truck
CN221023752U (zh) 一种建筑施工管材件搬运手推车
CN218143702U (zh) 便携式卸货装置
US4599777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rolls which are interconnected end-to-end
KR102318845B1 (ko) 박스 운반장치
CN216424468U (zh) 一种便于拿取物品的运输小车
CN211076026U (zh) 一种油桶运输小车
CN216332169U (zh) 一种耐火材料搬运用板车
CN216072730U (zh) 一种集装箱起吊设备用辅助抓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