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937B1 -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937B1
KR102150937B1 KR1020180140215A KR20180140215A KR102150937B1 KR 102150937 B1 KR102150937 B1 KR 102150937B1 KR 1020180140215 A KR1020180140215 A KR 1020180140215A KR 20180140215 A KR20180140215 A KR 20180140215A KR 102150937 B1 KR102150937 B1 KR 102150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
chatbot
universal
sub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541A (ko
Inventor
이강윤
김진수
하늘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0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9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에 따르면, 기존의 챗봇이 특정 서비스에만 초점이 맞춰져있다는 점, 또한 개인 맞춤이 되어 있지 않다는 챗봇의 문제점을 유니버셜-서브 모델 챗봇으로 통합하고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챗봇들을 찾지 않아도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챗봇을 이용할 수 있고, 유니버셜 봇이 사용자와 서브 봇 사이의 질문, 답변의 쌍들을 기반으로 피드백 트레이닝을 수행하여 질문에 대한 개인 맞춤형의 서비스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챗봇 개발자들이 메신저 플랫폼에서 독립된 챗봇 마켓플레이스에 자신의 챗봇을 등록시킴으로써 사용에 대한 인센티브를 받아 사용자들의 입장에서는 질 높은 챗봇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개발자들의 입장에서는 개발의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위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System for Chatbot Marketplace implementation with Universal-Serve bot model}
본 발명은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여러 챗봇을 방문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학습을 통한 챗봇 효율성 증대와 마켓의 인센티브를 통해 개발자의 의욕을 향상시켜, 보다 질 높은 챗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챗봇은 자연어 처리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사람이 마치 사람과 사람이 대화하는 것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기술로써, 웹이나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지 않고 마치 사람과 대화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날씨를 알려주거나, 영화 예매, 식당 예약과 같은 서비스를 사람에게 대화하듯이 기계가 처리해줄 수 있도록 한다.
현재 구글, 페이스북과 같은 글로벌 기업, 카카오, 네이버와 같은 국내 IT 기업들은 자신의 메신저 플랫폼에 챗봇 기술을 적용하여 서비스 하고 있지만, 기업들 역시 독자적인 형태의 챗봇을 출시하고 있어 챗봇들 간의 연동이 어렵다.
사용자 개인에게 맞춤화된 통합 챗봇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챗봇을 통합하려고 해도, 하나의 챗봇에서 하나의 도메인 서비스만 집중되어 서비스하고 있고, 챗봇마다 다른 구조와 형태로 챗봇이 구현되어 서비스되기 때문에 통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챗봇 서비스는 특정 서비스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챗봇을 찾아다녀야 하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여러 챗봇을 하나씩 차례로 방문하며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984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챗봇이 특정 서비스에만 초점이 맞춰져있다는 점, 또한 개인 맞춤이 되어 있지 않다는 챗봇의 문제점을 유니버셜-서브 모델 챗봇으로 통합하고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챗봇들을 찾지 않아도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챗봇을 이용할 수 있고, 유니버셜 봇이 사용자와 서브 봇 사이의 질문, 답변의 쌍들을 기반으로 피드백 트레이닝을 수행하여 질문에 대한 개인 맞춤형의 서비스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챗봇 개발자들이 메신저 플랫폼에서 독립된 챗봇 마켓플레이스에 자신의 챗봇을 등록시킴으로써 사용에 대한 인센티브를 받아 사용자들의 입장에서는 질 높은 챗봇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개발자들의 입장에서는 개발의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은 쳇봇 마켓 플레이스에 접속하여 정보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특정 도메인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도메인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브 봇;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 요청 내용과 개인정보를 토대로 인텐트 및 엔티티 분석이 시행되도록 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서브 봇이 검색되도록 한 후, 검색된 서브 봇과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유니버셜 봇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챗봇 마켓은 유니버셜 봇과 서브 봇의 인텐트 및 엔티티 리스트를 등록받아 저장한 후, 인텐트 및 엔티티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유니버셜 봇이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된 서브 봇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유니버셜 봇은 챗봇 마켓에서 인텐트 및 엔티티 등록된 서브 봇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도메인의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것으로;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유니버셜 봇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받은 정보 제공 요청과, 서브 봇을 검색하여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연속하여 처리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제공 요청과,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한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응답을 재학습하여 이전 정보 제공 요청이나 유사한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다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유니버셜 봇을 통하여 서브 봇에서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반응이 긍정적이라면, 챗봇 마켓은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한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서브 봇의 응답 횟수에 비례하여 인센티브가 증가될 수 있다.
인텐트는 대화 내용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고, 엔티티는 대화 내용에 포함된 하나의 개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에 따르면, 기존의 챗봇이 특정 서비스에만 초점이 맞춰져있다는 점, 또한 개인 맞춤이 되어 있지 않다는 챗봇의 문제점을 유니버셜-서브 모델 챗봇으로 통합하고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챗봇들을 찾지 않아도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챗봇을 이용할 수 있고, 유니버셜 봇이 사용자와 서브 봇 사이의 질문, 답변의 쌍들을 기반으로 피드백 트레이닝을 수행하여 질문에 대한 개인 맞춤형의 서비스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챗봇 개발자들이 메신저 플랫폼에서 독립된 챗봇 마켓플레이스에 자신의 챗봇을 등록시킴으로써 사용에 대한 인센티브를 받아 사용자들의 입장에서는 질 높은 챗봇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개발자들의 입장에서는 개발의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개발자가 마켓 플레이스에 챗봇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하여 예약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이 질문과 답변 쌍으로 피드백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이 질문과 답변 쌍으로 피드백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을 통한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 챗봇 마켓 플레이스(300) 및 챗봇 개발자 단말기(510, 530, 5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쳇봇 마켓 플레이스(300)에 접속하여 정보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 탑, 노트북 등 다양한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챗봇 마켓 플레이스(300)는 유니버셜 봇(310), 검색엔진(330) 및 복수의 서브 봇(351, 353, 355)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유니버셜 봇(310)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 요청 내용과 개인정보를 토대로 인텐트 및 엔티티 분석이 시행되도록 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서브 봇이 검색되도록 한 후, 검색된 서브 봇과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유니버셜 봇(310)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챗봇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게 되고, 챗봇 마켓 플레이스(300)에 등록하기 위하여 개인정보와 챗봇 마켓 플레이스(300)에 필요한 챗봇의 정보(챗봇 고유의 데이터)를 챗봇 마켓 플레이스(300)에 동의하면 챗봇 마켓 플레이스(300)에 등록이 된다.
복수의 서브 봇(351, 353, 355)은 각각 특정 도메인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도메인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서브 봇 개발자(510, 530, 550)는 챗봇 마켓의 양식에 맞도록 서브 봇을 설계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봇의 도메인과 인텐트 테이블 리스트(371, 373, 375) 및 엔티티 테이블 리스트(391, 393, 395) 등 서브 봇의 사용 정보들을 챗봇 마켓의 양식에 맞도록 작성하고, 챗봇 마켓의 승인 후 서브 봇이 챗봇 마켓 플레이스(300)에 등록이 된다.
인텐트와 엔티티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챗봇 마켓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Figure 112018113411363-pat00001
인텐트는 예를 들어, 서울 날씨가 어때? -> 날씨질의, 안녕? -> 만남인사, 불고기 피자 한 판 주문하고 싶어 -> 피자주문, 액션 영화 추천해줘 -> 영화추천, 인천에서 도쿄 가는 비행기 표 사고 싶어 -> 비행기 표 예매 등으로 대화 내용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엔티티는 예를 들어, 서울 날씨가 어때? -> @지역(서울), 불고기 피자 한 판 주문하고 싶어 -> @피자메뉴(불고기피자) @수량(1), 액션 영화 추천해줘 -> @영화장르(액션), 인천에서 도쿄 가는 비행기 표 사고 싶어 - @출발지(인천) @도착지(도쿄) 등으로 대화 내용에 포함된 하나의 개체를 의미한다.
검색엔진(330)은 서브 봇 개발자를 통하여 등록된 인텐트 리스트 및 엔티티 리스트를 전달받아 저장시키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 요청 내용과 개인정보를 토대로 인텐트 및 엔티티 분석하여 추출하고, 추출한 인텐트 및 엔티티를 기반으로, 서브 봇 등록 시 개발자들이 입력한 서브 봇의 인텐트 및 엔티티 정보와 챗봇 마켓의 자체적인 분류를 통하여 매칭되는 서브 봇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예를 들어 '내일 도쿄로 가는 비행기 표 예매 사려고'를 유니버셜 봇(310)으로 요청한다.
이어서, 유니버셜 봇(310)은 사용자의 정보 요청 내용과 개인정보를 검색엔진(330)으로 전달하며, 검색엔진(330)에서 사용자의 정보 요청 내용과 개인정보를 토대로 인텐트는 '#비행기 표 예매', 엔티티는 '@지역 -> 도쿄'라고 분석하여 추출하고, 인텐트는 '#비행기 표 예매', 엔티티는 '@지역 -> 도쿄'와 매칭되는 인텐트 및 엔티티를 가진 항공사 서브 봇 A, 항공사 서브 봇 B 및 항공사 서브 봇 C를 선택하여 유니버셜 봇(310)으로 제공한다.
이어서, 유니버셜 봇(310)은 '내일 도쿄로 가는 비행기 표는 항공사 A, 항공사 B 및 항공사 C가 있습니다. 어떤 항공사를 이용하시겠습니까?' 라고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나 항공사 A 이용 할래'라고 유니버셜 봇(310)으로 요청하면, 유니버셜 봇(310)은 항공사 서브 봇 A가 선택되도록 하여, 내일 도쿄로 가는 비행기 표는 항공사 A를 통하여 예매가 완료되도록 한다.
한편, 유니버셜 봇(310)은 챗봇 마켓에서 인텐트 및 엔티티 등록된 서브 봇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도메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받은 정보 제공 요청과, 서브 봇을 검색하여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하는 과정을 연속하여 처리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제공 요청과,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한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응답을 재학습하여 이전 정보 제공 요청이나 유사한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응답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나 비행기 표 예약 할래'를 유니버셜 봇(310)으로 요청하고, 이어서, 유니버셜 봇(310)은 항공사 서브 봇이 선택되도록 하여, 비행기 표가 예약 완료되었음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이때, 유니버셜 봇(310)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정보 요청 받은 내용과, 요청에 대한 제공 결과 등을 로그 기록하고, 로그 기록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브 봇 사이에 전달된 내용을 트레이닝 한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난 비행기 표 예약 언제야?'라고 유니버셜 봇(310)으로 요청하면, 유니버셜 봇(310)은 트레이닝된 내용과 인텐트 및 엔티티의 여부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응답이 존재하면, 검색엔진(330) 및 서브 봇을 거치지 않고, 요청받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빠르게 제공한다.
아울러, 유니버셜 봇(310)을 통하여 서브 봇에서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사용자의 반응이 긍정적이라면, 챗봇 마켓은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한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서브 봇의 응답 횟수에 비례하여 챗봇 개발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비행기 언제 출발해?'를 유니버셜 봇(310)으로 요청하고, 유니버셜 봇(310)은 '예약하신 비행기는 오후 3시에 출발 예정입니다'라고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언제쯤 출발할까?'를 유니버셜 봇(310)으로 요청하고, 유니버셜 봇(310)은 '예약하신 면세점을 이용하시는 시각을 포함하면 3시간전에 공항에 도착하는게 어때요?'라고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그래, 좋은 것 같아.'를 유니버셜 봇(310)으로 요청하면, 챗봇 마켓에서는 사용자의 감정 분석을 통하여 긍정 93%, 수긍88% 등 일정 기준을 넘으면 이에 대한 인센티브를 증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에 따르면, 기존의 챗봇이 특정 서비스에만 초점이 맞춰져있다는 점, 또한 개인 맞춤이 되어 있지 않다는 챗봇의 문제점을 유니버셜-서브 모델 챗봇으로 통합하고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챗봇들을 찾지 않아도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챗봇을 이용할 수 있고, 유니버셜 봇이 사용자와 서브 봇 사이의 질문, 답변의 쌍들을 기반으로 피드백 트레이닝을 수행하여 질문에 대한 개인 맞춤형의 서비스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챗봇 개발자들이 메신저 플랫폼에서 독립된 챗봇 마켓플레이스에 자신의 챗봇을 등록시킴으로써 사용에 대한 인센티브를 받아 사용자들의 입장에서는 질 높은 챗봇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개발자들의 입장에서는 개발의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위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310: 유니버셜 봇
330: 검색엔진 351, 353, 355: 서브 봇
510, 530, 550: 챗봇 개발자

Claims (5)

  1. 챗봇 마켓 플레이스에 접속하여 정보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특정 도메인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도메인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다수의 서브 봇들;
    상기 서브 봇 개발자들이 서브 봇 별로 등록한 인텐트 리스트 및 엔티티 리스트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 요청 내용과 개인정보를 토대로 인텐트 및 엔티티 분석을 한 후 상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서브 봇 들 중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서브 봇을 검색하는 검색엔진; 및
    검색된 서브 봇과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유니버셜 봇;을 포함하되,
    상기 유니버셜 봇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정보 제공 요청과, 그에 대한 서브 봇의 응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연속하여 처리한 후 그 처리결과를 포함한 로그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브 봇 사이에 전달된 내용을 트레이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이전 정보 요청 또는 유사한 정보 요청이 전달되면 상기 트레이닝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검색엔진 및 서브-봇을 거치지 않고, 대응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니버셜 봇을 통하여 서브 봇에서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반응이 긍정적이라면, 챗봇 마켓은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한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서브 봇의 응답 횟수에 비례하여 인센티브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인텐트는 대화 내용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고, 엔티티는 대화 내용에 포함된 하나의 개체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KR1020180140215A 2018-11-14 2018-11-14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KR10215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215A KR102150937B1 (ko) 2018-11-14 2018-11-14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215A KR102150937B1 (ko) 2018-11-14 2018-11-14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41A KR20200056541A (ko) 2020-05-25
KR102150937B1 true KR102150937B1 (ko) 2020-09-03

Family

ID=7091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215A KR102150937B1 (ko) 2018-11-14 2018-11-14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519B1 (ko) * 2020-06-25 2022-09-21 (주)아크릴 대화형 지능 서비스 제공 챗봇 제작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0517A (ja) * 2015-06-25 2017-01-12 バイドゥ オンライン ネットワーク テクノロジー (ベイジ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人工知能によるヒューマン・マシン間の知能チャット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840420B1 (ko) * 2017-04-21 2018-05-04 주식회사 닐리리아 챗봇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869A (ko) * 2016-08-17 2018-02-27 주식회사 텍스트팩토리 챗봇을 이용한 개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29798B1 (ko) 2017-02-24 2018-12-18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챗봇 거래 방법 및 챗봇 거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0517A (ja) * 2015-06-25 2017-01-12 バイドゥ オンライン ネットワーク テクノロジー (ベイジ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人工知能によるヒューマン・マシン間の知能チャット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840420B1 (ko) * 2017-04-21 2018-05-04 주식회사 닐리리아 챗봇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41A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i et al. Progress on technology use in tourism
US8515888B2 (en) Affiliate linking where answerer requests permission to insert an interactive link in an answer
US8935192B1 (en) Social search engine
US10992609B2 (en) Text-messaging based concierge services
JP7291713B2 (ja) 向上したビジネスリスティングのための知識検索エンジンプラットフォーム
US20160182416A1 (en) Distributing Messages in a Network Environment
US20110010352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search tools
JP2019028647A (ja) 研修情報提供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53078A (ja) 人工知能学習方法、人工知能学習システムおよび返答中継方法
US11475900B2 (en) Establishment of audio-based network sessions with non-registered resources
KR102063183B1 (ko) 학습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WO2016101881A1 (zh) 通过计算机实现的信息推荐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eutzer et al. Fields of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customer service, marketing and sales
US11847179B2 (en) Curated result finder
KR102150937B1 (ko) 유니버셜-서브 봇 모델을 통한 챗봇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KR20190108624A (ko) 향상된 온라인 리서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9156A (ko) O2o 기반 택시, 관광객 및 관광지를 연결하는 다국어 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통합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US10691736B2 (en) Contextualized analytics platform
Zou et al. Automatic product copywriting for e‐commerce
JP7339310B2 (ja) 登録されていないリソースによるオーディオベースのネットワークセッションの確立
US20230259541A1 (en) Intelligent Assistant System for Conversational Job Search
Der Weth et al. CloseUp—A Community-Driven Live Online Search Engine
AU2012100405A4 (en) Social search engine
KR20200060996A (ko) 사용자 맞춤형 추천 콘텐츠 정보의 출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