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667B1 -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수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0667B1 KR102150667B1 KR1020190143610A KR20190143610A KR102150667B1 KR 102150667 B1 KR102150667 B1 KR 102150667B1 KR 1020190143610 A KR1020190143610 A KR 1020190143610A KR 20190143610 A KR20190143610 A KR 20190143610A KR 102150667 B1 KR102150667 B1 KR 1021506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board
- rail
- shape
-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a writing surfac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동일한 형태의 부품들의 제조 및 가공을 통해 비용이 절감되고 가공 및 조립이 편리한 수납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장치는 공간을 둘러싸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공간에서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드 및 복수의 수납장들이 상기 레일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사각형의 테두리들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 서로 분리 배치되는 관 형태의 프레임들이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캡들 각각을 둘러싸며 서로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장치는 공간을 둘러싸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공간에서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드 및 복수의 수납장들이 상기 레일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사각형의 테두리들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 서로 분리 배치되는 관 형태의 프레임들이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캡들 각각을 둘러싸며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보관하는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강의실이나 교실 또는 회의실에는 칠판이 배치되고, 공간 활용을 위해 칠판 주위에는 옷장, 서랍 또는 다양한 크기의 수납장이 배치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킨다.
그러나 칠판을 포함하는 수납장들은 제한된 공간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예정된 수치와 다른 칠판 수납 공간이 발생되므로 칠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인 공간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4460호는 디지털교과서 보관용 멀티미디어 교구 수납장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4597호는 다용도 수납부 칠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수납장들의 배치 이후에 남은 공간을 활용하여 편리하게 칠판을 설치가능한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동일한 형태의 부품들의 제조 및 가공을 통해 비용이 절감되고 가공 및 조립이 편리한 수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장치는 공간을 둘러싸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공간에서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드 및 복수의 수납장들이 상기 레일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사각형의 테두리들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 서로 분리 배치되는 관 형태의 프레임들이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캡들 각각을 둘러싸며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보드는 사각 필기판의 테두리들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 서로 분리 배치되는 관 형태의 보드프레임들이 상기 보드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캡들 각각을 둘러싸며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의 하부에 배치되는 레일캡들 각각의 일부는 상기 프레임과 밀착되는 롤러의 양측에 돌출된 구동축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롤러보다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레일홈들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홈들 사이를 차단하는 가이드판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보드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파티클 보드에 저압멜라민필름(LPM 필름: Low pressure melamine film)을 고온 열압시켜 제작되는 목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장치는 수납장들이 둘러싸는 공간에 결합되는 프레임들의 가공 및 연결캡들을 통한 조립을 통해 편리하게 상기 공간에 적합한 레일부의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장치는 보드의 조립을 위해 사용되는 레일캡의 하부에 롤러가 형성되어 별도의 롤러 부착이 필요없고 보드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수납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들.
도 3은 도 1의 보드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수납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수납장치의 사시도 및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6은 도 5의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부분절개도.
도 2는 도 1의 수납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들.
도 3은 도 1의 보드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수납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수납장치의 사시도 및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6은 도 5의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부분절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수납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장치(100)는 레일부(200), 보드(300, 360)들, 수납부(400)들 및 디스플레이(500)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강의실이나 교실 또는 회의실에는 칠판이 배치되고, 공간 활용을 위해 칠판 주위에는 옷장, 서랍 또는 다양한 크기의 수납장들이 배치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킨다.
그러나 칠판을 포함하는 수납장들은 제한된 공간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예정된 수치와 다른 칠판 수납 공간이 발생되므로 칠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공간 활용 또는 설치가 난해한 단점이 있다.
수납 장치(100)는 복수의 수납장들이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레일부(200)가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수납장들과 결합되고, 보드(300)는 레일부(200)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레일부(200) 및 보드(300)들 각각은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들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코너쪽에 배치되는 캡들을 통해 서로 조립이 가능하여 상기 수납장들의 배치를 통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에 적합하도록 가공 및 조립이 가능하다.
레일부(200)는 제1프레임(210), 제2프레임(220), 제3프레임(230), 제4프레임(240), 제1 연결캡(250, 260)들 및 제2 연결캡(270, 280)들을 포함한다.
레일부(200)는 직육면체 형태의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에 위치하는 프레임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코너쪽에 위치한 연결캡들을 통해 서로 조립 또는 분해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프레임(21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면은 상기 공간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배치되는 보드(300, 360)들 각각의 저면에 밀착되고, 제1프레임(210)의 저면은 상기 공간의 하부에 해당하는 수납부(400)에 결합된다.
보드(300, 360)들 각각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프레임(210)과 결합되고, 제1프레임(210)은 길이는 상기 공간의 일측 및 타측 사이에 형성되는 거리에 따라 편리하게 가공이 가능하다.
제2프레임(220)은 제1프레임(210)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수납부(400)의 내측면과 결합되고, 보드(300, 360)들 각각의 상부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2프레임(220)과 결합된다.
제3프레임(230)은 제1프레임(210)의 일측 및 제2프레임(220)의 일측 사이를 연결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제1연결캡(250) 및 제2연결캡(270)들 각각을 통해 제1 및 제2 프레임(210, 220)들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4프레임(240)은 제1프레임(210)의 타측 및 제2프레임(220)의 타측 사이를 연결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제1연결캡(260) 및 제2연결캡(280)들 각각을 통해 제1 및 제2 프레임(210, 220)들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3 및 제4 프레임(230, 240)들 각각은 수납부(400)의 중앙에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의 높이를 고려하여 편리하게 절단 가공이 가능하고, 연결캡들을 통해 서로 편리하게 조립 또는 분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수납부(400)는 제1수납장(410)들, 제2수납장(420)들, 제3수납장(430)들, 제4수납장(440), 제5수납장(450) 및 후면판(460)들을 포함한다.
제1 수납장(410)들 각각은 전면에 도어가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제1프레임(210)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서로 밀착된 상태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일렬로 배치되어 제1프레임(210)을 지지한다.
제2 수납장(420)들 각각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제1수납장(410)들 각각보다 높게 형성되고, 전방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며, 제1수납장(410)들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수납장(420)들 각각의 일측면은 제1수납장(410)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3 프레임(230) 및 제4프레임(240)들 각각의 외측면들과 밀착되면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4수납장(430)들 각각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형성되며, 제2수납장(420)들 및 제2프레임(220)들의 상부면과 거치되거나 제2프레임(220)의 중앙 상부면에 거치된다.
따라서, 레일부(200) 및 보드(300)들은 상기 공간에 삽입되어 수납부(400)와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레일부(200) 및 보드(300)들을 둘러싸는 수납부(400)를 통해 편리하게 다양한 물품들의 수납이 가능하다.
한편, 수납부(400)에서 사용되는 목재는 파티클 보드에 저압멜라민필름(LPM:low pressure melamine film)을 고압 열압시켜 제작되고, 용도 또는 환경에 따라 고분자,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의 이용이 가능하다.
제4수납장(44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들이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수직판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보드(360)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1 수납장(410)들 및 제3수납장(430)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결합된다.
제5수납장(45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들이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수직판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보드(360)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1 수납장(410)들 및 제3수납장(430)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드(300, 360)들을 이동시키는 방향에 따라 제4 또는 제5 수납장(440, 450)들 중 어느 하나를 수납 장치(100)의 전방을 향해 노출시킬 수 있고, 노출된 제4 또는 제5 수납장(440, 450)들 중 어느 하나의 수납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0)는 보드(300, 360)들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제1수납장(410)들 및 제3수납장(430)들 사이에 배치되고, 인터넷 공유기, 컴퓨터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영상 재생이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500)를 대신하여 전자화이트보드가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보드(300, 360)들 대신에 상기 전자화이트보드를 사용하여 청취자들에게 제공할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를 할 수 있다.
후면판(46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이 전방 및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제1 내지 제5 수납장(410, 420, 430, 440, 450)들 각각의 후방에 결합된다.
후면판(460)은 제1 내지 제5 수납장(410, 420, 430, 440, 450)들과 결합되어 제1 내지 제5 수납장(410, 420, 430, 440, 450)들 각각의 후방을 향해 개방된 통로를 차단한다.
도 3은 도 1의 보드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수납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300, 360)들 각각은 필기판(310), 제1보드프레임(311), 제2보드프레임(312), 제3보드프레임(313), 제4보드프레임(314), 제1레일캡(315, 316)들 및 제2레일캡(317, 318)들을 포함한다.
필기판(310)은 화이트보드 또는 일반적인 칠판중 어느 하나이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태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넓은 전면 및 배면은 각각 수납장치(100)의 전방 및 후방 각각을 향해 배치된다.
제1보드프레임(311)의 일단은 단면이 직사각형태인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필기판(310)의 전면 및 배면 일부를 둘러싸는 요철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필기판(31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필기판(31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관 형태로 연장되면서 필기판(310)과 결합된다.
제2보드프레임(312)의 일단은 단면이 직사각형태인 관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필기판(310)의 전면 및 배면 일부를 둘러싸는 요철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필기판(31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필기판(31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관 형태로 연장되면서 필기판(310)과 결합된다.
제3보드프레임(313)의 일단은 단면이 직사각형태인 관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 필기판(310)의 전면 및 배면의 일부를 둘러싸는 요철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필기판(310)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필기판(310)의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면서 필기판(310)과 결합된다.
제4보드프레임(314)의 일단은 단면이 직사각형태인 관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 필기판(310)의 전면 및 배면의 일부를 둘러싸는 요철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필기판(310)의 타측 하부에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필기판(310)의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면서 필기판(310)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보드프레임(311, 312, 313, 314)들 각각은 필기판(310)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필기판(310)의 코너쪽 일부분을 제외한 필기판(310)과 각각 결합된다.
제1레일캡(315)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제1보드프레임(311)의 일단 내부에 삽입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필기판(310)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부를 향해 일단과 동일한 형태의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어 제3보드프레임(313)의 일단 내부에 삽입된다.
제1레일캡(316)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제1보드프레임(311)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필기판(31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부를 향해 일단과 동일한 형태의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어 제4보드프레임(314)의 일단 내부에 삽입된다.
제1레일캡(315, 316)들 각각은 제1바디(320), 제2바디(321) 및 롤러(322)들을 포함한다.
제1바디(320)의 일단은 전면 및 배면들이 양측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 하부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축소 연장되어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양변사다리꼴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제1바디(320)의 중앙부의 전면 하부의 일부분은 직육면체 형태로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롤러(322)의 일부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제1바디(32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부를 향해 일단과 동일한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된다.
제2바디(321)의 일단은 전면 및 배면들이 양측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 하부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축소 연장되어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양변사다리꼴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제2바디(321)의 중앙부의 배면 하부의 일부분은 직육면체 형태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롤러(322)의 일부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제2바디(321)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부를 향해 일단과 동일한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 바디(320, 321)들 각각은 서로 결합되어 롤러(322)를 둘러싸고, 롤러(322)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롤러(322)의 중앙을 관통하는 회동축을 통해 제1 및 제2 바디(320, 321)들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및 제2 바디(320, 321)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바디(320, 321)들 각각의 일단은 서로 결합되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제1보드프레임(311)의 일단 또는 타단에 삽입된다.
제1 및 제2 바디(320, 321)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바디(320, 321)들 각각의 타단은 서로 결합되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제3보드프레임(313) 또는 제4보드프레임(314)의 일단에 삽입된다.
제2레일캡(317)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제2보드프레임(312)의 일단 내부에 삽입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필기판(310)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하부를 향해 일단과 동일한 형태의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어 제3보드프레임(313)의 타단 내부에 삽입된다.
제2레일캡(318)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제2보드프레임(312)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필기판(31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하부를 향해 일단과 동일한 형태의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어 제4보드프레임(314)의 타단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보드(300, 360)들 각각은 단면이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보드프레임(311, 312, 313, 314)들 각각을 동일한 장비를 통해 제작이 가능하여 원가가 절감되고 가공되는 길이의 조정을 통해 수납부(400)가 형성하는 공간에 적합하도록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프레임(210)은 거치부(211), 제1슬라이딩부(212), 제2슬라이딩부(213) 및 지지부(214)들을 포함하고, 제2프레임(220)은 홈부(221), 제1상부슬라이딩부(222), 제2상부슬라이딩부(223) 및 돌출부(224)들을 포함한다.
거치부(211)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면의 일부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반원기둥 형태로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해당하는 거치부(211)의 단면은 하부를 향해 아치형태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거치부(211)는 제1프레임(210)의 상부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보드(300, 360)들에 사용하는 필기도구 또는 지우개를 거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제1슬라이딩부(212)는 거치부(211)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거치부(211)와 연결되고, 내부의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인 제1레일홈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제1슬라이딩부(212)의 저면 중앙의 일부분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1가이드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판은 상기 제1레일홈에 해당하는 공간을 전방 및 후방 각각으로 분리시킨다.
즉, 제1슬라이딩부(212)의 단면은 상부를 향해 삼지포크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홈들은 제1슬라이딩부(212) 단면의 삼지포크의 포크들 중 중앙에 위치한 포크에 해당하는 상기 제1가이드판을 사이에 두고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분리된다.
제2슬라이딩부(213)는 제1슬라이딩부(212)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1슬라이딩부(212)와 연결되고, 내부의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인 제2레일홈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제2슬라이딩부(213)의 저면 중앙의 일부분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2가이드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판은 상기 제2레일홈에 해당하는 공간을 전방 및 후방 각각으로 분리시킨다.
제2슬라이딩부(213)의 단면은 제1슬라이딩부(212)와 동일한 상부를 향해 삼지포크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일홈은 제2슬라이딩부(213) 단면의 삼지포크의 포크들 중 중앙에 위치한 포크에 해당하는 제2가이드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된다.
지지부(214)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제2슬라이딩부(213)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2슬라이딩부(213)와 연결되고, 제1프레임(2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500) 또는 전자화이트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지지판(215)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제1슬라이딩부(212) 및 제2슬라이딩부(213)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1슬라이딩부(212)의 후방 하부에 결합된다.
지지판(215)의 하단부는 상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1프레임(210)의 내부에서 제1프레임(210)의 저면쪽 내측면에 결합되고, 제1프레임(210)의 내부공간은 지지판(215)을 사이에 두고 전방공간 및 후방공간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지지판(215)은 제1슬라이딩부(212) 또는 제2 슬라이딩부(213) 중 어느 하나에 보드(300, 360)가 결합되는 경우, 보드(300, 360)의 중량에 의해 하부를 향해 절곡되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홈부(221)는 내부의 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된 사각 레일 형태로 형성되고, 제2프레임(220)의 하부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단면은 상부를 향해 직사각 캡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홈부(221)는 보드(300, 360)들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거치부(211) 및 홈부(221) 사이에 삽입되어 보드(300, 360)들 각각의 전방을 커버하는 커버의 상단부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제1상부슬라이딩부(222)는 내부의 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된 사각 레일 형태로 형성되고, 제1슬라이딩부(212)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홈부(221)의 후방에 연결되며, 보드(300)의 상단 일부는 제1상부슬라이딩부(222)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제1상부슬라이딩부(222)의 단면은 상부를 향해 돌출된 직사각 캡 형태로 형성되고, 홈부(221)의 단면에 형성되는 직사각 캡 형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돌출된다.
제2상부슬라이딩부(223)는 내부의 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된 사각 레일 형태로 형성되고, 제2슬라이딩부(213)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1상부슬라이딩부(222)의 후방에 연결되며, 보드(300)의 상단 일부는 제2상부슬라이딩부(223)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제2상부슬라이딩부(223)의 단면은 상부를 향해 돌출된 직사각 캡형태로 형성되고, 제1상부슬라이딩부(222)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보드(300, 360)들은 제1슬라이딩부(212) 및 제1상부슬라이딩부(222)들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하단 일부 및 상단 일부는 각각 제1슬라이딩부(212) 및 제1상부슬라이딩부(222)들 각각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보드(300, 360)들은 제2슬라이딩부(213) 및 제2상부슬라이딩부(223)들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하단 일부 및 상단 일부가 각각 제2슬라이딩부(213) 및 제2상부슬라이딩부(223)들 각각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돌출부(224)는 제2상부슬라이딩부(223)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214)의 상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500) 또는 전자화이트보드의 상부면과 밀착되어 디스플레이(500) 또는 상기 전자화이트보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도 5는 도 1의 수납장치의 사시도 및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연결캡(250, 260, 270, 280)들 각각은 제1삽입부(251, 255), 제2삽입부(252, 256), 제3삽입부(253, 257) 및 제4삽입부(254, 258)들을 각각 포함한다.
제1 및 제2연결캡(250, 260, 270, 280)들 각각은 위치 또는 회전된 각도가 다를뿐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제1 연결캡(250)들 각각의 일단은 내부공간이 보드(300)의 타측을 향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각각의 일단에서 수납부(400)의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관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연결캡(25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부를 향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된 관 형태로 연장되고, 제1 연결캡(250)의 타단의 구조는 제1 연결캡(250) 일단의 구조와 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된다.
제1연결캡(250)의 일단은 제1프레임(210)의 일단 내부에 삽입되고, 제1연결캡(250)의 중앙부는 제1프레임(210) 및 제3프레임(230)들 사이에 해당하는 코너 위치에서 외부에 노출되며, 제1연결캡(250)의 타단은 제3프레임(230)의 일단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제1삽입부(251)는 제1연결캡(250)의 상부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고, 단면은 절곡된 부분들이 상부를 향하는 'ㄷ'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며, 거치부(211)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삽입된다.
제1삽입부(251)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부(211)의 안쪽에 삽입되면, 배면은 제1프레임(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슬라이딩부(212)의 전방에 밀착되고, 상부면은 거치부(211)의 후방 하부에 밀착된다.
제1삽입부(251)의 중앙부는 일단의 하부에서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상부면 중앙부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돌출된 거치부(211)의 저면과 밀착된다.
제1삽입부(251)의 타단은 중앙부의 전방에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거치부(211)의 전방에 해당하는 부분의 직하방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1삽입부(251)는 거치부(211)의 하부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거치부(211)를 지지하고, 거치부(211)의 형태가 온도변화 또는 환경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삽입부(252)는 상단부 및 하단부 일부가 후방을 향해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은 제1삽입부(251)의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1삽입부(251)와 연결되며, 하단부는 제3삽입부(253)와 연결되면서 제1프레임(210)의 하부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2삽입부(252)의 상단부는 거치부(211)를 지지하는 제1삽입부(251)의 일단 상부면과 함께 거치부(211)의 전방 하부에 해당하는 제1프레임(210)의 안쪽 내측면에 밀착되어 거치부(211)에 거치될 수 있는 물품이나 상기 커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삽입부(251) 및 제2삽입부(252)들은 제1슬라이딩부(212)에 하부를 향한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지지판(215)과 함께 거치부(211)의 하강 및 제1프레임(210)의 전면의 변형을 방지하므로, 보드(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3삽입부(253)는 전방부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전방부의 단면은 상부를 향해 돌출된 양변사다리꼴로 형성되고, 후방부는 제1프레임(210)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3삽입부(253)의 후방부는 제1프레임(210)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끝단이 지지판(215)의 전면과 밀착되고, 제1연결캡(250)은 제2삽입부(252) 및 제3삽입부(253)들을 통해 전후방 유격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삽입부(251, 252, 253)들 각각은 거치부(211), 제1프레임(210)의 전방 및 제1프레임(210)의 하부에 각각 밀착되어 제1연결캡(250)을 제1프레임(2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제4삽입부(254)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3삽입부(253)의 타단과 지지판(21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판(215)의 배면과 밀착된다.
제4삽입부(254)의 타단은 일단에서 제1프레임(210)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제1프레임(210)의 후방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다시 전방을 향해 절곡되며 지지부(214)의 하부에 밀착되면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2슬라이딩부(213)의 후방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4삽입부(254)의 외측면은 제1프레임(210)의 후방쪽 하부, 후방 및 상부 내측면들 각각에 밀착되어 제2슬라이딩부(213)의 변형을 억제하므로 제2슬라이딩부(213)에 설치되는 보드(300)의 중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제4삽입부(254)의 외측면은 제1프레임(210)의 후방쪽 하부, 후방 및 상부 내측면들 각각에 밀착되어 제1프레임(210)에 삽입된 제1연결캡(250)이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3프레임(230)은 홈부(231) 및 지지판(232)들을 포함한다.
제3프레임(230)의 일단은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제1연결캡(250)의 타단을 둘러싸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연결캡(270)의 일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2연결캡(270)과 결합된다.
홈부(231)는 제3프레임(230)의 전방쪽 측면에 형성되고, 절곡된 부분들이 보드(300)를 향해 개방된 'ㄷ'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일측 일부분이 홈부(231)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판(232)은 제3프레임(230)의 내부에서 일측 및 타측을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3프레임(230)의 내부공간을 이등분하며, 제3프레임(230)의 전면 및 지지판(232) 사이의 거리는 제1프레임(210)의 전면 및 지지판(215)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제1삽입부(255)는 제1연결캡(250)이 제3프레임(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홈부(231)의 내측면을 둘러싸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 위치하는 제2삽입부(256)와 연결된다.
제1삽입부(255)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홈부(231)의 안쪽에 삽입되면, 홈부(231)의 후방쪽 내측면에 밀착된다.
제1삽입부(255)의 중앙부는 일단의 하부에서 홈부(231)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삽입부(255)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일측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홈부(231)의 전방에 해당하는 부분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1삽입부(255)는 홈부(23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홈부(231)를 지지하고, 홈부(231)의 형태가 온도변화 또는 환경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삽입부(256)는 일측 및 타측 일부가 후방을 향해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은 제1삽입부(255)의 전방에서 제1삽입부(255)와 연결되며, 타측은 제3삽입부(257)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삽입부(256)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제1삽입부(255)의 타단에 연결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제3프레임(230)의 전방 및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다시 후방 및 타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3프레임(230)의 하부에 밀착되면서 제3 삽입부(257)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2삽입부(256)의 일단은 홈부(231)를 지지하는 제1삽입부(255)의 일단과 함께 홈부(231)의 전방 타측에 해당하는 제3프레임(230)의 안쪽 내측면에 밀착되어 홈부(231)에 해당하는 제3프레임(230)의 내구성을 개선한다.
제3삽입부(257)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2삽입부(256)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3프레임(230)의 후방 및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전방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3프레임(230)의 일측을 향해 단면이 양변사다리꼴 형태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제3삽입부(257)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제2삽입부(256)의 타단에 연결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타측 및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후 절곡되어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다시 절곡되어 후방 및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3삽입부(257)의 타단은 제3프레임(230)의 타측에 밀착된 상태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지지판(232)의 전면과 밀착되고, 제3프레임(230)의 전방에 밀착되는 제2삽입부(256)와 함께 제3프레임(230)의 내부에서 제1연결캡(250) 타단의 전후유격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삽입부(255, 256, 257)들 각각은 홈부(231), 제3프레임(230)의 전방 및 제3프레임(230)의 타측에 각각 밀착되어 제1연결캡(250)의 타단이 제3프레임(2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4삽입부(258)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3삽입부(257)의 타단과 지지판(23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판(232)의 배면과 밀착된다.
제4삽입부(258)의 타단은 제3프레임(230)의 타측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 일측을 향해 절곡되어 제3프레임(230)의 후방 내측면에 밀착되며 일측을 향해 연장되고, 다시 전방을 향해 절곡되며 제3프레임(230)의 일측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4삽입부(258)의 외측면은 제3프레임(230)의 후방쪽 타측, 후방 및 일측 내측면들 각각에 밀착되어 제3프레임(230)의 후방의 변형을 억제하므로 하부 및 상부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210, 220)들 각각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연결캡(270)의 일단은 제3프레임(230)의 타단에 삽입되고, 제2연결캡(270)의 타단은 제2프레임(220)의 일단에 삽입되어 제2 및 제3 프레임(220, 230)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제2연결캡(270)의 타단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 삽입부(255, 256, 257, 258)들 각각은 제2프레임(220)의 일단 내부에 삽입되어 제2프레임(220)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제1삽입부(255)의 외측면은 제2프레임(220)의 내부에서 홈부(221)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홈부(221)를 둘러싸고, 제2삽입부(256)는 제2프레임(220)의 내부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2프레임(220)의 전방 내측면에 밀착된다.
제3삽입부(257)의 외측면은 제2프레임(220)의 내부에서 제2프레임(220)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는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4삽입부(258)는 지지판(225)을 사이에 두고 제1 내지 3 삽입부(255, 256, 257)들과 분리된다.
제4삽입부(258)의 외측면은 제2프레임(220)의 내부에서 제2상부슬라이딩부(223)를 제외한 제2프레임(220)의 후방쪽 상부, 후방 및 하부 내측면들과 각각 밀착된다.
따라서, 제2연결캡(270)의 타단은 제2프레임(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프레임(2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제2프레임(2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수납장(430)들의 중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부분절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120)는 보드(700)의 제1보드프레임(710), 제1레일캡(720, 770), 벨트(730) 및 스캐너(74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수납장치(100) 및 보드(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치(120)는 후술될 제2바디(722)의 중앙부를 절개한 부분절개도이다.
수납장치(120)는 보드(700)를 포함한다.
보드(700)는 제1보드프레임(710), 제1레일캡(720), 벨트(730), 스캐너(740) 및 제1레일캡(770)들을 포함한다.
보드(700)는 제1프레임(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장착된 스캐너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이동시키고 필기판(310)에 적힌 필기 또는 그림을 스캔하여 무선으로 단말기, 디스플레이(500) 또는 전자화이트보드로 스캔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제1보드프레임(710)의 일단은 단면이 직사각형태인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필기판(310)의 전면 및 배면 일부를 둘러싸는 요철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필기판(31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필기판(31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관 형태로 연장되면서 필기판(310)과 결합된다.
제1보드프레임(710)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일부분은 후방을 향해 함몰되어 제1보드프레임(71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슬라이딩홈(712)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712)의 일측 및 타측은 제1보드프레임(710)의 일단 및 타단을 향해 개방된다.
제1레일캡(720)은 제1바디(721), 제2바디(722), 롤러(723, 726)들, 제1기어(724), 제2기어(725) 및 스위치(727)들을 포함한다.
제1레일캡(720)은 제1보드프레임(710)을 사이에 두고 제1레일캡(770)과 마주하도록 제1보드프레임(710)에 결합되고, 제1레일캡(770)의 구조는 제1보드프레임(710)을 사이에 두고 제1레일캡(720)과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1레일캡(720)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제1보드프레임(710)의 일단 내부에 삽입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필기판(310)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부를 향해 일단과 동일한 형태의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어 제3보드프레임(313)의 일단 내부에 삽입된다.
제1바디(721)의 일단은 전면 및 배면들이 양측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 하부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축소 연장되어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양변사다리꼴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제1바디(721)의 중앙부의 전면의 일부분은 직육면체 형태로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롤러(723, 726)들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제1바디(721)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부를 향해 일단과 동일한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된다.
제2바디(722)의 일단은 단면이 사각형인 관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제1기어(724) 및 제2기어(725)들을 둘러싸며, 중앙부 하부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축소 연장되어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양변사다리꼴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제2바디(722)의 일단 전방 상부의 일부는 후방을 향해 함몰되어 제2바디(722)의 일단 내부공간과 전방 공간을 연결하는 슬라이딩홈(728)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728)은 제1레일캡(720)의 타측 방향에 해당하는 공간 및 슬라이딩홈(712)과 연결된다.
제2바디(722)의 중앙부 배면 일부분은 직육면체 형태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롤러(723, 726)들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제2바디(722)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부를 향해 일단과 동일한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된다.
롤러(723)는 제1 및 제2 바디(721, 722)들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롤러(723)의 중앙을 관통하는 회동축은 제1 및 제2 바디(721, 722)들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기어(724)의 후방부는 롤러(723)의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롤러(723)와 결합되고, 제1기어(724)를 후방을 향해 누르면 제1기어(724)는 제2기어(725)와 분리되며, 제1기어(724) 및 롤러(723)들은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제1기어(724)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제1기어(724)를 다시 후방을 향해 누르면 제1기어(724)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롤러(723)와 분리되고, 제1기어(724)는 제2기어(725)와 맞물린다.
즉, 제1기어(724) 및 롤러(723)는 누르면 들어가고 다시 누르면 원위치로 돌아오는 일반적인 스위치의 구조와 동일한 형태로 연결된다.
제2기어(725)는 제1기어(724)의 직상방에 배치되어 제1기어(724)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보드(700)의 이동으로 롤러(723) 및 제1기어(724)가 정회전하면, 제2기어(725)는 역회전한다.
롤러(726)의 전면은 제2기어(725)의 배면에 결합되고, 벨트(730)의 일단 내측면에 밀착되며, 제2기어(725)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 벨트(730)는 제2기어(725)의 회전에 따라 이동한다.
벨트(730)의 일단은 롤러(726)의 일측, 상부 및 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벨트(730)의 일단 내측면은 롤러(726)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벨트(730)의 타단은 일단에서 제1레일캡(720)의 일단 내부 및 제1보드프레임(710)의 내부를 지나 필기판(31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제1레일캡(770) 내부의 롤러를 둘러싼다.
스캐너(740)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슬라이딩홈(712, 728)들에 동시에 삽입되어 제1레일캡(720)의 일단 내부에 배치되는 벨트(730)와 결합된다.
스캐너(740)의 타단은 일단 전방에서 제1레일캡(720)의 전면, 제1보드프레임(710)의 전면 및 필기판(310)의 전면을 지나면서 전방을 향해 연장된 후 제1프레임(210)의 전방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되고, 제2프레임(220)의 하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소정의 거리만큼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스캐너(740)의 내부에는 저장부, 무선통신부 및 배터리가 형성되고, 배면에 스캐너유닛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드(700)를 이동시키면 스캐너(740)가 작동하며, 스캐너(740)가 커버하는 필기판(310)의 전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스캔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드(700)를 이동시키면, 스캐너(740)는 벨트(73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필기판(310)에 적힌 필기 또는 그림을 스캔하고 저장하며, 스캔데이터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단말기, 디스플레이(500) 또는 전자화이트보드에 전송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수납 장치 200: 레일부
300, 360, 700: 보드 400: 수납부
300, 360, 700: 보드 400: 수납부
Claims (6)
- 공간을 둘러싸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공간에서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드; 및
복수의 수납장들이 상기 레일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사각형의 테두리들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 서로 분리 배치되는 관 형태의 프레임들이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캡들 각각을 둘러싸며 서로 연결되며,
상기 보드는 사각 필기판의 하부 테두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필기판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관 형태의 제1 보드프레임, 상기 제1 보드프레임의 일단 및 타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레일캡들, 상기 제1 레일캡들 및 상기 제1 보드프레임의 내부를 연결하는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벨트 및 상기 제1 보드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드프레임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지나 상기 벨트로 연장되어 상기 벨트와 연결되는 스캐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일캡들 각각은 상기 제1 레일캡의 내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과 밀착되는 롤러(723) 및 롤러(723)의 상부에 배치되어 롤러(723)와 기어 연결되고 상기 벨트의 일부가 권취되는 롤러(726)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를 이동시키면 상기 스캐너가 작동하며 이동하여 상기 필기판을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캡들 각각의 일부는 상기 롤러(723)에 돌출된 구동축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롤러(723)보다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레일홈들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롤러(723)는 상기 레일홈들 사이를 차단하는 가이드판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보드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파티클 보드에 저압멜라민필름(LPM 필름: Low pressure melamine film)을 고온 열압시켜 제작되는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610A KR102150667B1 (ko) | 2019-11-11 | 2019-11-11 | 수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610A KR102150667B1 (ko) | 2019-11-11 | 2019-11-11 | 수납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0667B1 true KR102150667B1 (ko) | 2020-09-02 |
Family
ID=7244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3610A KR102150667B1 (ko) | 2019-11-11 | 2019-11-11 | 수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066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2408B1 (ko) * | 2022-01-12 | 2022-05-02 | (주)휴코스 | 서랍형 테블릿 pc 보관함 및 인출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세트형 수납장 유닛을 포함하는 칠판 보조장 |
KR102493408B1 (ko) * | 2022-10-17 | 2023-01-31 | 위드팀버 주식회사 | 칠판보조장과 판서용 스크린 보드 시스템 설치 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30846A (ja) * | 1991-05-02 | 1992-11-18 | Murata Mach Ltd | 複写ボード |
KR20010113178A (ko) * | 2000-06-16 | 2001-12-28 | 추두련 | 창틀용 샤시의 코너 피스 |
KR20040052613A (ko) * | 2004-04-09 | 2004-06-23 | 김민자 | 롤러가 장착된 칠판의 모서리 결합재 |
KR200444460Y1 (ko) * | 2009-01-05 | 2009-05-14 | (주)씨피아이솔루션 | 디지털교과서 보관용 멀티미디어 교구 수납장 |
KR20120097627A (ko) * | 2011-02-25 | 2012-09-05 | 이근천 | 창틀 방풍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틀 |
KR20190030447A (ko) * | 2017-09-14 | 2019-03-22 | 우은심 | 붙박이장 |
-
2019
- 2019-11-11 KR KR1020190143610A patent/KR1021506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30846A (ja) * | 1991-05-02 | 1992-11-18 | Murata Mach Ltd | 複写ボード |
KR20010113178A (ko) * | 2000-06-16 | 2001-12-28 | 추두련 | 창틀용 샤시의 코너 피스 |
KR20040052613A (ko) * | 2004-04-09 | 2004-06-23 | 김민자 | 롤러가 장착된 칠판의 모서리 결합재 |
KR200444460Y1 (ko) * | 2009-01-05 | 2009-05-14 | (주)씨피아이솔루션 | 디지털교과서 보관용 멀티미디어 교구 수납장 |
KR20120097627A (ko) * | 2011-02-25 | 2012-09-05 | 이근천 | 창틀 방풍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틀 |
KR20190030447A (ko) * | 2017-09-14 | 2019-03-22 | 우은심 | 붙박이장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2408B1 (ko) * | 2022-01-12 | 2022-05-02 | (주)휴코스 | 서랍형 테블릿 pc 보관함 및 인출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세트형 수납장 유닛을 포함하는 칠판 보조장 |
KR102493408B1 (ko) * | 2022-10-17 | 2023-01-31 | 위드팀버 주식회사 | 칠판보조장과 판서용 스크린 보드 시스템 설치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0667B1 (ko) | 수납 장치 | |
US6545863B2 (en) | Compact configurable computer and mixed media workstation and enclosure | |
US8480188B2 (en) | Computer desk assembly | |
CN210295465U (zh) | 基于互联网的智能教学装置 | |
KR20110027262A (ko) | 이동식 화면부를 구비한 칠판 | |
US20090308997A1 (en) | Flat screen display device | |
CN208971603U (zh) | 一种创新创业的文件显示装置 | |
KR100529795B1 (ko) | 전자칠판의 좌우 이동이 용이한 데이터 트랙 레일장치를탑재한 전자칠판시스템 | |
US6944014B2 (en) | Detachable personal computer | |
CN108013595B (zh) | 一种教室多媒体综合多功能电子讲台 | |
US9081768B2 (en) | Electronic holder for reading books | |
CN211269149U (zh) | 一种图书馆用节省空间的阅读桌子 | |
CN210777255U (zh) | 多媒体互联黑板 | |
CN210402769U (zh) | 一种基于计算机的多媒体教学仪 | |
CN212847214U (zh) | 一种多媒体教室移动式可升降辅教装置 | |
CN210777271U (zh) | 一种大学英语教学用的多模态英语教学装置 | |
CN211063657U (zh) | 一种书籍高拍仪 | |
CN204499862U (zh) | 一种思想政治教学使用的多媒体讲桌 | |
US10867524B1 (en) | Classroom presentation and recording system | |
CN216494088U (zh) | 一种一体式计算机主控台 | |
CN210920638U (zh) | 一种双面屏角度调整机构及双面屏 | |
CN215416487U (zh) | 一种指纹识别的交互平板 | |
CN219225692U (zh) | 一种基于物联网的vr电力安全训练台 | |
CN215117865U (zh) | 一种思想政治教育管理用的演示教具 | |
CN113777871B (zh) | 一种室内装饰用背景墙及施工工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