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106B1 -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 - Google Patents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106B1
KR102150106B1 KR1020200038297A KR20200038297A KR102150106B1 KR 102150106 B1 KR102150106 B1 KR 102150106B1 KR 1020200038297 A KR1020200038297 A KR 1020200038297A KR 20200038297 A KR20200038297 A KR 20200038297A KR 102150106 B1 KR102150106 B1 KR 102150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ocking case
tong key
cran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이효현
Original Assignee
신일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일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8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05Grab supports, e.g. articulations; Oscillation dampers; Ori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12Grabs actuated by two or more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키의 헤드 부위와 록킹 케이스의 접촉 부위를 각각 대응되는 제1,2경사면으로 형성시켜 크레인의 상승동작시 헤드 부위와 록킹 케이스의 접촉부위에 대한 힘모멘트를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록킹 케이스와 헤드의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되어 크레인의 승강동작시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접촉 부위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TONG KEY APPARATUS FOR TONGS CRANE}
본 발명은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레인의 상승동작시 통키의 헤드 부위와 록킹 케이스의 접촉부위에 대한 힘모멘트를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천장 기중기에 구비되어 주편(Slab) 등의 중량물을 들어서 운반하는데 픽업 크레인 통이 사용된다.
픽업 크레인 통은 와이어로프에 의해 승하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슬래브를 클램핑하는 집게 형상의 아암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의 오픈과 크로스를 제어하는 통키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일반적인 통키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톱니 형상의 상부캠과 하부캠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통키의 상단부가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통키의 하단에는 T자형 단면구조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키의 하단에는 상기 통키의 걸림턱이 일자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통키의 90°정회전시 상기 걸림턱과 십자형태로 교차하여 걸림되는 단턱을 갖는 통키 홀더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통키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통키핀이 돌출 구비되어, 상기 통키핀의 양단이 상기 상부캠과 하부캠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통키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통키도 통키핀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각도와 동일한 방향 및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즉, 와이어로프(미도시)에 의해 프레임(미도시)과 더불어 통키장치가 하강하면 상기 통키의 걸림턱이 상기 통키 홀더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통키핀은 상기 하부캠의 제1스톱부의 위치에 이르고, 상기 통키장치가 계속 하강하면 상기 통키의 걸림턱이 상기 통키 홀더의 내부 바닥면에 눌려지면서 통키핀이 상기 상부캠으로 상승한 다음 상부캠을 따라 제2스톱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통키의 걸림턱은 45°회전하게 된다. 이후, 상기 와이어로프에 의해 프레임과 더불어 통키장치가 상승하면 상기 통키의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통키핀은 상기 하부캠으로 하강한 다음 하부캠을 따라 제3스톱부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통키의 걸림턱은 90°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통키의 걸림턱은 상기 통키 홀더의 단턱에 대해 일자 형태로 배열되고, 이때 크레인이 권상되면, 통키장치의 하단에 위치된 아암(미도시)은 슬래브(미도시)의 양측을 클램핑하는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통키장치를 프레임과 함께 더 상승시킨 후 슬래브를 원하는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통키 홀더의 단턱에 십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걸릴 경우에는 슬래브와 아암의 분리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통키장치는 작업 중 외부 충격이나 설비 노후화 등 비정상적인 상황 발생시, 상기 통키가 역회전하여 상기 통키 홀더의 단턱으로부터 상기 통키의 걸림턱이 이탈되거나, 작업 중 외부충격 또는 상기 통키 홀더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에 의해, 상기 통키핀이 상기 제2스톱부의 위치에서 상기 제3스톱부로 정회전하지 못하고 상기 제1스톱부로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통키의 걸림턱이 상기 통키 홀더의 단턱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통 하부 아암의 낙하 등 안전사고를 유발하였다.
기존 통키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5439호 "슬래브통 통키 역방향 회전 제어장치"(등록일자 : 2008.12.1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상부캠과 하부캠이 체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상부캠 및 하부캠의 내측으로 통키가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하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통키와, 상기 통키의 상단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통키핀 양단이 상기 상부캠과 하부캠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통키를 회전시키는 통키핀과, 상기 통키의 걸림턱이 삽입되어 통키의 회전에 따라 걸림턱이 체결 및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단턱이 형성된 통키홀더로 구성되는 통상의 천장 크레인에 구비되는 슬래브통 통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통키의 하측으로 래치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하부캠 저면 일측으로 삽입공과 너트공이 구비되어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하부캠의 저면에 구비된 체결부에 안착 체결되어 상기 통키의 래치기어부와 연동하여 통키의 역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스톱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 통키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8528호 "통키 어셈블리"(등록일자 : 2013.08.14)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부캠과 하부캠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상부캠 및 상기 하부캠의 내부에 상하왕복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통키와; 상기 통키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래치 기어와; 상기 래치 기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통키의 정회전시 상기 래치 기어의 정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통키의 역회전시 상기 래치 기어의 역회전 걸림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 기어 및 상기 통키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스톱부를 갖는 래치 폴을 포함한 것이다.
기존 통스크레인과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3754호 "통스 크레인의 통 키 오작동 감지장치"(등록일자 : 2001.03.0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 장치가 슬라브(Slab)를 집거나 놓기 위해 개,폐 동작을 하는 과정에서 통 키(Tong Key) 자체의 구조적 문제점과 작업 현장의 조건 변화에 따라 비정상적인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오작동 감지센서에 의해 사전 감지하여 설비의 파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 키의 오작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 키 몸체에 내부 통 키 핀의 오작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회전 키 몸체 외피를 관통하는 홀을 가공한 후 오작동 감지센서를 장착하고, 오작동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를 응용한 2차적 안전 인터 록(Inter Lock) 기능을 추가 적용함으로써 통 키 오작동의 원인을 극명하게 검토 및 규명하여 현장 특성에 맞는 정확한 대안 모색으로 대형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천정크레인의 가동을 극대화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크레인 통 및 통키장치는 슬래브 주편의 운반 이송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 통장치에서 통키의 헤드가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통키 케이스에 걸리거나 이탈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통키의 헤드가 통키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통키 케이스 내에 진입되거나 외부로 인출가능한 제1포지션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통키의 헤드가 상승동작되어 통키 케이스로부터 분리될 경우, 통스의 그립퍼가 슬래브를 파지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통키의 헤드가 통키 케이스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제2포지션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통스의 그립퍼가 벌어짐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통키의 헤드가 제2포지션 위치에 위치하도록 90°의 각도로 회전된 후에 상기 통키의 헤드를 들어 올리도록 상승시켜 통키 케이스의 내측면과 면접촉방식으로 간섭되도록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키의 헤드와 통키 케이스의 접촉 부위가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헤드와 통키 케이스의 접촉 힘모멘트가 상기 통키의 헤드와 통키 케이스의 특정 접촉 부위에 집중되고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됨에 따라 특정 접촉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게 되고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5439호 "슬래브통 통키 역방향 회전 제어장치"(등록일자 : 2008.12.1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8528호 "통키 어셈블리"(등록일자 : 2013.08.14)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3754호 "통스 크레인의 통 키 오작동 감지장치"(등록일자 : 2001.03.02)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통키의 헤드 부위와 록킹 케이스의 접촉 부위를 각각 대응되는 제1,2경사면으로 형성시켜 크레인의 상승동작시 헤드 부위와 록킹 케이스의 접촉부위에 대한 힘모멘트를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록킹 케이스와 헤드의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되어 크레인의 승강동작시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접촉 부위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크레인용 통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레인의 권상 및 권하동작에 의해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좌,우측 그립퍼와; 상기 좌,우측 그립퍼의 개폐동작을 록킹 및 언록킹동작시키는 통키 및 록킹 케이스와, 상기 통키와 록킹 케이스를 연결하며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하부 안내링크로 구성된 통키어셈블리;를 구비한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키어셈블리는 중간에 내부와 외부가 개구되고, 일측과 타측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록킹 케이스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록킹 케이스 내에 진입 및 인출동작이 가능한 제1포지션 위치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크레인의 권상 동작에 따른 상승동작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록킹 케이스의 내측면과 서로 간섭되는 제2포지션 위치를 갖는 헤드가 구비된 통키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의 상면 부위에는 제2포지션 위치에서 헤드의 상승시 상기 록킹 케이스와 접촉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케이스의 좌,우측 몸체 상부 내측면 부위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 케이스는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좌,우측 몸체가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2경사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의 상승동작시 접촉되는 완충재를 구비하여, 상기 완충재가 상기 헤드와의 접촉시 접촉충격력을 분산 및 완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경사면은 서로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경사면의 경사각은 10~70°인 것이다.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헤드의 좌,우 상면에 형성되고 중간에서 양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통키의 제1포지션 위치로부터 제2포지션 위치로의 회전 각은 90°인 것이다.
본 발명은 통키의 헤드 부위가 상승동작되어 록킹 케이스에 접촉될 때 제1,2경사면이 서로 면접촉됨에 따라 상기 헤드의 상승동작에 따른 충격 하중이 록킹 케이스의 제2경사면을 통해 분산되어 충격 하중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예방하여 부품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의 상승동작시 헤드의 상면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제1경사면이 록킹 케이스의 좌,우측 몸체에 형성된 제2경사면에 면 접촉되면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권상동작하는 과정에서 헤드의 중심이 상기 록킹 케이스의 개구부 중심에 일치하도록 중심을 유지하게 되어 상기 권상동작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통키의 록킹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통키의 헤드 부위와 록킹 케이스의 접촉 부위를 각각 대응되는 제1,2경사면으로 형성시켜 크레인의 상승동작시 헤드 부위와 록킹 케이스의 접촉부위에 대한 힘모멘트를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록킹 케이스와 헤드의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되어 크레인의 승강동작시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접촉 부위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키어셈블리가 적용된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통키어셈블리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통키어셈블리가 언록킹상태일 때 헤드의 승강전,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통키어셈블리가 록킹상태일 때 헤드의 승강 동작 전,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록킹 케이스의 변형 예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기존 통키어셈블리의 헤드와 록킹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보인 정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는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크레인(10)의 권상 및 권하동작에 의해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좌,우측 그립퍼(42,44)와; 상기 좌,우측 그립퍼(42,44)의 개폐동작을 록킹 및 언록킹동작시키는 통키(150) 및 록킹 케이스(110)와, 상기 통키(150)와 록킹 케이스(110)를 연결하며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하부 안내링크(120,130)로 구성된 통키어셈블리(100);를 구비한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키어셈블리(100)는 중간에 내부와 외부가 개구되고, 일측과 타측이 개구된 개구부(115)가 형성된 록킹 케이스(110)와, 상기 개구부(115)를 통해 록킹 케이스(110) 내에 진입 및 인출동작이 가능한 제1포지션 위치(P1)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크레인(10)의 권상 동작에 따른 상승동작시 상기 개구부(115)가 형성된 록킹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서로 간섭되는 제2포지션 위치(P2)를 갖는 헤드(155)가 구비된 통키(150)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155)의 상면 부위에는 제2포지션 위치(P2)에서 헤드(155)의 상승시 상기 록킹 케이스(110)와 접촉되는 제1경사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케이스(110)의 좌,우측 몸체(112,114) 상부 내측면 부위에는 상기 제1경사면(210)과 접촉되는 제2경사면(220)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 케이스(110)는 상기 개구부(115)를 기준으로 좌,우측 몸체가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2경사면(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155)의 상승동작시 접촉되는 완충재(400)를 구비하여, 상기 완충재(400)가 상기 헤드(155)와의 접촉시 접촉충격력을 분산 및 완충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통키어셈블리(100)는 상기 제2포지션 위치(P2)에서 헤드(155)의 상승시 상기 록킹 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부위이며, 상기 헤드(155)의 상면에 형성된 제1경사면(210)과; 상기 제1경사면(210)과 접촉되는 부위인 상기 록킹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경사면(220);이 형성된다.
상기 통키(150)는 상부의 통키 몸체(152)와 하부의 헤드(155) 및 상기 통키 몸체(152)와 헤드(155)를 연결하는 회전 키 몸체(154)로 대별되며, 상기 통키 몸체(152)의 상부가 상기 상부 안내링크(120)와 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 안내링크(130)는 상기 록킹 케이스(110)가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록킹 케이스(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5)의 중간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는 좌,우측 몸체(112,114)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210)은 상기 헤드(155)의 중간 부위로부터 좌,우 외측단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220)은 상기 제1경사면(210)에 대응하도록 좌,우측 몸체(112,114)의 상부 내측면에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제1,2경사면(210,220)은 서로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경사면(210,220)의 경사각은 10~70°인 것이다.
상기 제1,2경사면(210,220)의 경사각이 10°미만일 경우 스스로 중심을 잡기 어렵고, 제1,2경사면(210,220)의 경사각이 70°를 초과할 경우에는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접촉 충격이 더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미설명 부호 "20"은 크레인(10)의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상,하측 안내링크(120,130)를 들어올리는 권상동작과 권하동작의 승강력을 좌,우측 그립퍼(42,44)에 전달하는 연결블록(20)을 나타낸 것이다.
크레인(10)의 와이어 로프(15)를 이용하여 권상 및 권하동작할 경우 좌,우측 그립퍼(42,44)가 벌려짐과 오므라지는 동작(개폐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상기 좌,우측 그립퍼(42,44)의 개폐동작은 통키(150)의 기구적 동작(록킹과 언록킹)과 와이어 로프(15)를 이용한 크레인(10)의 권상 및 권하동작과 연계되어 동작된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통키(150)의 록킹 상태일 경우 좌,우측 그립퍼(42,44)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통키(150)의 언록킹 상태이고 크레인(10)의 권상동작될 때 좌,우측 그립퍼(42,44)가 슬라브(50)를 파지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통키(150)의 언록킹 상태[제1포지션 위치(P1)의 상태]일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55)가 록킹 케이스(110)의 개구부(115)를 통해 외부로 진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155)가 개구부(115)의 상부 개구와 동일직선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헤드(155)가 개구부(115)의 상부 개구를 통해 록킹 케이스(110)로부터 이탈될 경우에는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헤드(155)가 록킹 케이스(110)의 좌,우측 몸체(112,114)의 간섭없이 외부로 분리되도록 상승동작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 그립퍼(42,44)는 크레인(10)의 권상동작시 서로 마주보는 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오므라들면서 상기 슬라브(50)의 좌,우측에 밀착되어 상기 슬라브(5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슬라브(50)를 클램핑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통키(150)의 록킹 상태[제2포지션 위치(P2)의 상태]일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55)가 록킹 케이스(110)의 개구부(115) 내에서 90°의 각도로 회전동작되고, 이어서 헤드(155)가 상승동작될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55)의 상면 좌,우측 부위가 상기 록킹 케이스(110)에 간섭되어 개구부(115)의 상측 개구를 향해 인출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는 상기한 통키(150)의 헤드(155) 부위가 상승동작되어 록킹 케이스(110)에 접촉될 때 제1,2경사면(210,220)이 서로 면접촉되며, 상기 제1,2경사면(210,220)이 면접촉됨에 따라 상기 헤드(155)의 상승동작에 따른 충격력이 록킹 케이스(110)의 제2경사면(220)을 통해 도 5b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분산되어 충격 하중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예방하여 부품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헤드(155)의 상승동작시 상기 헤드(155)의 상면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제1경사면(210)이 록킹 케이스(110)의 좌,우측 몸체(112,114)에 형성된 제2경사면(220)에 면 접촉되면서 크레인(10)을 이용하여 권상동작하는 과정에서 헤드(155)의 중심이 상기 록킹 케이스(110)의 개구부(115) 중심에 일치하도록 중심을 유지하게 되어 상기 권상동작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통키(150)의 록킹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은 통키(150)의 헤드(155) 부위와 록킹 케이스(110)의 접촉 부위를 각각 대응되는 제1,2경사면(210,220)으로 형성시켜 통스크레인(10)의 상승동작시 헤드(155) 부위와 록킹 케이스(110)의 접촉부위에 대한 힘모멘트를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록킹 케이스(110)와 헤드(155)의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되어 크레인(10)의 승강동작시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접촉 부위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 록킹 케이스(110)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록킹 케이스(110)는 상기 개구부(115)를 기준으로 좌,우측 몸체(112,114)가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2경사면(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155)의 상승동작시 접촉되는 완충재(400)를 각각 구비한 것이다.
상기 완충재(400)는 상기 헤드(155)와의 접촉시 접촉충격력을 분산 및 완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완충재(400)는 제2경사면(220)을 포함하는 상기 록킹 케이스(110)의 개구부(115) 내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탄력적인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155)의 접촉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고무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완충재(400)는 상기 헤드(155)의 상승동작시 제1경사면(210)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헤드(155)와의 접촉 충격력을 완충시킨 후에 록킹 케이스(110)의 제2경사면(220)측에 전달하게 되어 헤드(155)와 록킹 케이스(110)의 부품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크레인 15 : 와이어 로프
20 : 연결블록 42,44 : 좌,우측 그립퍼
50 : 슬라브 100 : 통키어셈블리
110 : 록킹 케이스 112,114 : 좌,우측 몸체
115 : 개구부 120,130 : 상,하부 안내링크
150 : 통키 152 : 통키 몸체
154 : 회전 키 몸체 155 : 헤드
210 : 제1경사면 220 : 제2경사면
400 : 완충재

Claims (4)

  1. 크레인(10)의 권상 및 권하동작에 의해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좌,우측 그립퍼(42,44)와; 상기 좌,우측 그립퍼(42,44)의 개폐동작을 록킹 및 언록킹동작시키는 통키(150) 및 록킹 케이스(110)와, 상기 통키(150)와 록킹 케이스(110)를 연결하며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하부 안내링크(120,130)로 구성된 통키어셈블리(100);를 구비한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키어셈블리(100)는 중간에 내부와 외부가 개구되고, 일측과 타측이 개구된 개구부(115)가 형성된 록킹 케이스(110)와, 상기 개구부(115)를 통해 록킹 케이스(110) 내에 진입 및 인출동작이 가능한 제1포지션 위치(P1)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크레인(10)의 권상 동작에 따른 상승동작시 상기 개구부(115)가 형성된 록킹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서로 간섭되는 제2포지션 위치(P2)를 갖는 헤드(155)가 구비된 통키(150)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155)의 상면 부위에는 제2포지션 위치(P2)에서 헤드(155)의 상승시 상기 록킹 케이스(110)와 접촉되는 제1경사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케이스(110)의 좌,우측 몸체(112,114) 상부 내측면 부위에는 상기 제1경사면(210)과 접촉되는 제2경사면(220)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 케이스(110)는 상기 개구부(115)를 기준으로 좌,우측 몸체가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2경사면(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155)의 상승동작시 접촉되는 완충재(400)를 구비하여, 상기 완충재(400)가 상기 헤드(155)와의 접촉시 접촉충격력을 분산 및 완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경사면(210,220)은 서로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경사면(210,220)의 경사각은 1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210)은 상기 헤드(155)의 좌,우 상면에 형성되고 중간에서 양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키(150)의 제1포지션 위치(P1)로부터 제2포지션 위치(P2)로의 회전 각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
KR1020200038297A 2020-03-30 2020-03-30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 KR102150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97A KR102150106B1 (ko) 2020-03-30 2020-03-30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97A KR102150106B1 (ko) 2020-03-30 2020-03-30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106B1 true KR102150106B1 (ko) 2020-09-01

Family

ID=7245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297A KR102150106B1 (ko) 2020-03-30 2020-03-30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1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754Y1 (ko) 2000-12-15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통스 크레인의 통 키 오작동 감지장치
KR100875439B1 (ko) 2007-06-08 2008-12-22 윤인중 슬래브통 통키 역방향 회전 제어장치
KR101298528B1 (ko) 2011-07-08 2013-08-22 주식회사 포스코 통키 어셈블리
KR101798482B1 (ko) * 2015-12-02 2017-11-16 (주)한성중공업 통키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통스크레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754Y1 (ko) 2000-12-15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통스 크레인의 통 키 오작동 감지장치
KR100875439B1 (ko) 2007-06-08 2008-12-22 윤인중 슬래브통 통키 역방향 회전 제어장치
KR101298528B1 (ko) 2011-07-08 2013-08-22 주식회사 포스코 통키 어셈블리
KR101798482B1 (ko) * 2015-12-02 2017-11-16 (주)한성중공업 통키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통스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3595A (en) Coupler for hanging precast concrete panels from a hoist
CN101410321B (zh) 自锁安全钩
US5797639A (en) Lock box
WO2014108604A1 (en) Lifting hook, safety latch of lifting hook and locking and releasing device of safety latch
KR102150106B1 (ko) 통스크레인용 통키장치
KR101798482B1 (ko) 통키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통스크레인
CN101730655A (zh) 提升吊钩
KR102150105B1 (ko) 통스용 그립퍼 죠오 구조체
USRE28709E (en) Safety hook
KR101019024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후크
CN109607373B (zh) 一种吊装夹具、吊装装置及拱架台车
KR100440350B1 (ko) 바닥 개방식 컨테이너
CN100408453C (zh) 底部开放式集装箱
US2452452A (en) Grapple
KR20080107732A (ko) 슬래브통 통키 역방향 회전 제어장치
US4206940A (en) Handling hook assembly
CA1312641C (en) Plate lifting clamp
CN211008505U (zh) 用于油田钻井作业的套管安全吊卡
CN205152260U (zh) 一种废钢料篮
CN205061383U (zh) 一种小直径管道的起吊装置
JP4036704B2 (ja) シリンダ吊り具
CN212315290U (zh) 一种单轨吊用可翻转卸料物料箱
CN215592461U (zh) 一种姿态可控底部卸料系统
CN210366661U (zh) 一种行车吊钩闭锁器
CN212024547U (zh) 一种发动机缸体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