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953B1 -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 Google Patents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953B1
KR102149953B1 KR1020200036749A KR20200036749A KR102149953B1 KR 102149953 B1 KR102149953 B1 KR 102149953B1 KR 1020200036749 A KR1020200036749 A KR 1020200036749A KR 20200036749 A KR20200036749 A KR 20200036749A KR 102149953 B1 KR102149953 B1 KR 102149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ventilation holes
ventilation
window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미
Priority to KR102020003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물에 형성된 환기공을 여닫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창틀, 창문 또는 창호 부속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호물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환기공을 커버로 기밀시키고, 상기 환기공과 커버의 사이에는 기밀부재가 배치되어 환기공과 커버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Cover of window with ventilating hole}
본 발명은 창호물에 형성된 환기공을 여닫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창틀, 창문 또는 창호 부속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호물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환기공을 커버로 기밀시키고, 상기 환기공과 커버의 사이에는 기밀부재가 배치되어 환기공과 커버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공기는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과 사람의 호흡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및 수분에 의하여 오염되기 때문에, 실내 공기는 주기적인 환기를 요하게 된다.
즉, 환기는 생활 공간의 공기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외기 또는 조정된 공기와 실내 공기를 교환하는 것을 말하는데, 환기의 방법으로는 실내 외의 온도차나 외부의 풍력에 의한 자연환기와 동력을 사용해서 강제적으로 행하는 강제환기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자연환기 방법은 거주자가 창문을 여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강제환기 방법은 창문의 여닫음 없이 일정의 동력으로 작동되는 환기장치의 작동으로써 실내 공기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었으나, 건축물의 시공시에 환기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환기장치의 시공비용이 비싸고, 환기장치가 기설치된 경우라하더라도 환기장치의 팬 또는 덕트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의 청소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창틀과 창문 사이에 환기공이 형성된 창틀 가이드를 장착하고 상기 환기공을 통하여 환기를 시킬 수 있는, 잠금기능을 가지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8927호(2018.08.09.)),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0298호(2019.11.25.))를 선등록 받았으나, 상기 기술에 포함된 창호물은 창호물에 형성된 환기공이 환기용 공기청정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외부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단열성 및 차열성이 떨어질 우려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8927호(2018.08.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0298호(2019.11.25.)
본 발명은 창호물에 형성된 환기공을 여닫는 커버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창호물에 형성된 환기공은 항상 열린 상태를 가지거나, 슬라이딩 도어 또는 고무마개와 같은 개폐장치로 여닫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밀성이 떨어지거나 환기공 여닫음의 번거로움이 발생하였고;
또한 상기 개폐장치에 의하여 환기공이 닫힌 경우에는 슬라이딩 도어 또는 고무마개에 의하여 지져분해 보이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창틀, 창문 또는 창호 부속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호물에 하나 이상 형성된 환기공을 여닫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기공과 커버의 사이에는 환기공을 기밀시키는 기밀부재가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는 창호물에 착탈되는 커버와 환기공의 사이에 기밀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환기공에 대한 기밀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창호물에 대한 커버의 착탈에 의하여 환기공을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으며;
창호물의 일부분과 환기공을 가릴 수 있는 커버에 의하여 환기공을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심미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의 창호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의 창호물에 환기용 공기청정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의 탈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의 기밀부재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의 기밀부재를 나타내는 다른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에 압착부재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에 압착부재가 기밀부재의 기능을 가진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에 압착부재와 기밀부재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의 창호물에 홀더부재가 장착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의 홀더부재와 커버 간의 탈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의 제1걸림부와 홀더부재의 제1걸림홈부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의 제1걸림부가 경사진 상태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a, 1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의 제2걸림부와 홀더부재의 제2걸림홈부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의 제2걸림부가 경사진 상태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에 걸림턱과 걸림턱홈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4a, 1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 커버의 홀더부재에 걸이부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창호물(WG)에 형성된 환기공(WH', WH")을 여닫는 커버(10)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 창문 또는 창호 부속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호물(WG)에 하나 이상 형성된 환기공(WH', WH")을 여닫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10)는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기공(WH', WH")과 커버(10)의 사이에는 환기공(WH', WH")을 기밀시키는 기밀부재(20)가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4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이하, ‘커버(10)’라 칭함.)가 착탈되는 창호물(WG)은 창틀, 창문 또는 창틀과 창문 사이에 장착되는 별도의 부속물(창호 부속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이 될 수 있고, 상기 창호물(WG)은 건축물에 기설치된 창호(창틀과 창문)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기설치된 창호에 창호 부속물이 고정 또는 착탈방식으로 더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상기 환기공(WH', WH")이 창틀과 창문 사이에 배치되는 창틀 가이드에 형성된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또한 상기 환기공(WH', WH")은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의 연통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환기공(WH', WH")은 창틀 가이드의 일정부분에 형성되어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구성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환기공(WH', WH")은 창틀 가이드에 복수 개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환기공(WH')으로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가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환기공(WH")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환기공(WH', WH")에는 실내공간 쪽 또는 실외공간 쪽에 송풍팬이 구비된 급기팬, 배기팬, 전열교환기, 에어컨 냉각팬 또는 환기용 공기청정기(Ac, Ac) 등과 같은 장치의 흡기구 또는 배기구가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환기공(WH', WH")은 창틀 가이드에 형성되고, 상기 창틀 가이드에는 환기용 공기청정기(Ac)가 착탈방식으로 분리 및 장착되며, 상기 환기공(WH', WH")에는 환기용 공기청정기(Ac)의 흡입구 및/또는 배기구가 연통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아울러 상기 커버(10)는 환기공(WH', WH")을 이용하여 급기 또는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환기공(WH', WH")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창호물(WG) 또는 환기공(WH', WH")에 착탈되며 환기공(WH', WH")을 여닫는 구성이다.
즉, 상기 커버(10)는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의 연통시킬 수 있는 환기공(WH', WH")을 여닫는 구성으로서, 급기 또는 배기가 이루어질 때에는 창호물(WG) 또는 환기공(WH', WH")에서 분리되어 환기공(WH', WH")이 열린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급기 또는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환기공(WH', WH")을 막아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을 차단시키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커버(10)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일정부분이 창호물(WG)에 걸이방식, 끼움방식 또는 힌지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공(WH', WH")과 커버(10)의 사이에는 환기공(WH', WH")을 기밀시킬 수 있는 기밀부재(20)가 배치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기밀부재(20)는 커버(10)에 구비되거나 환기공(WH', WH")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4a, 4b와 같이 상기 기밀부재(20)는 상기 환기공(WH', WH") 쪽에 위치되는 상기 커버(10)의 일측에 환기공(WH', WH")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버(10)가 창호물(WG)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밀부재(20)가 환기공(WH', WH")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커버(10)에 구비된 기밀부재(20)는 커버(10)의 일측에 환기공(WH', WH") 쪽으로 높이를 가지며 돌출형성되어, 커버(10)가 창호물(WG)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밀부재(20)의 말단 일부분이 환기공(WH', WH")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밀부재(20)의 말단 일부분은 환기공(WH', WH")에 내입되며 환기공(WH', WH")을 막을 수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환기공(WH', WH")이 형성된 창호물(WG)의 일부분에 맞닿으며 환기공(WH', WH")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환기공(WH', WH")의 형성된 창호물(WG) 일부분 또는 부속물(하기의 압착부재(30))을 감싸며 환기공(WH', WH")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밀부재(20)가 커버(10)의 일측에 환기공(WH', WH") 쪽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경우, 도 4a, 4b와 같이 상기 커버(10)는 흡입공 쪽에 흡입공을 내입시킬 수 있을 정도의 빈공간(이하, ‘내부공간(13)’이라 칭함.)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3)에 기밀부재(20)가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10)의 내부공간(13)에 기밀부재(20)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커버(10)를 이용하여 환기공(WH', WH")을 막은 상태에서 기밀부재(20) 및 환기공(WH', WH")이 외부에 노출되어 않도록 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1차적으로는 기밀부재(20)에 의하여 환기공(WH', WH")을 차단하고, 기밀부재(20)에 의한 환기공(WH', WH")의 기밀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환기공(WH', WH")을 통하여 유입된 실외공기 또는 실외로 유출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내부공간(13)과 내부공간(13)을 형성시키는 커버(10)의 테두리(14)에 의하여 2차적으로 차단될 수 있어서, 단연성 및 차열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환기공(WH', WH")에는 상기 커버(10) 쪽으로 향하는 탄성 재질의 압착부재(3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착부재(30)는 ⅰ) 상기 기밀부재(2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ⅱ) 상기 기밀부재(20)와 병행하며 환기공(WH', WH")에 대한 커버(10)의 기밀성을 확보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ⅰ)의 경우, 압착부재(30)는 도 6a와 같이 내부에 환기공(WH', WH")과 연통되는 중공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환기공(WH', WH")에 체결되며, 타측은 커버(10)의 환기공(WH', WH") 쪽 면에 맞닿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압착부재(30)는 일정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커버(10)가 창호물(WG)에 장착된 상태에서 압착부재(30)를 가압하면, 압착부재(30)는 환기공(WH', WH") 방향으로 눌리며 압착되고, 그 결과 커버(10)와 압착부재(30) 간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압착부재(30)는 커버(10)가 탈거된 상태에서는 환기용 공기청정기(Ac)의 흡입구 또는 배기구와 연결되어, 흡입구 또는 배기구와 환기공(WH', WH")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착부재(30)는 주름진 형태로 구성되어, 탄성력과 복원력이 발생되더라도 환기공(WH', WH")에서 커버(10)방향 또는 커버(10)에서 환기공(WH', WH") 방향으로 압착부재(30)의 두께가 조절되어, 커버(10)가 환기공(WH', WH", 압착부재(30))에 비틀어지게 장착되더라도 커버(10)에 대한 환기공(WH', WH", 압착부재(30))의 기밀성은 긴밀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ⅱ)의 경우, 압착부재(30)는 도 6b와 같이 상기 기밀부재(20)와 병행하며 환기공(WH', WH")에 대한 커버(10)의 기밀성을 확보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압착부재(30)는 상기 ⅰ)의 경우와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커버(10)와 기밀성을 유지시키되, 기밀성의 형성시키는 구성이 커버(10)에 구비된 기밀부재(20)로 달라진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기밀부재(20)는 커버(10)의 일측에 환기공(WH', WH") 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커버(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부재(30)는 돌출된 기밀부재(20)의 일측명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착부재(30)는 일정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커버(10)가 창호물(WG)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밀부재(20)가 압착부재(30)를 가압하면, 압착부재(30)는 환기공(WH', WH") 방향으로 눌리며 압착되고, 그 결과 커버(10)의 기밀부재(20)와 압착부재(30) 간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 ⅱ)의 경우와 같이 압착부재(30)와 기밀부재(20)가 병행하며 환기공(WH', WH")에 대한 커버(10)의 기밀성을 확보시키면, 커버(10)방향으로 향하는 압착부재(30)의 돌출길이를 보다 짧게 형성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커버(10)가 탈거된 상태에서 환기용 공기청정기(Ac)의 흡입구 또는 배기구를 보다 환기구에 가깝게 위치시킬 때, 압착부재(30)의 휨이 작아져 압착부재(3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환기용 공기청정기(Ac)의 흡입구 또는 배기구에 보다 정확하고 쉽게 맞출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물(WG)에는 환기공(WH', WH")과 연통되는 환기용 공기청정기(Ac)를 탈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홀더부재(40', 4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부재(40', 40")는 도 7과 같이 환기용 공기청정기(Ac)를 창호물(WG)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일측은 창호물(WG)에 고정된 상태를 가지고, 타측, 상부, 측부 또는 하부에는 환기용 공기청정기(Ac)가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환기용 공기청정기(Ac)는 홀더부재(40', 40")에 장착된 상태에서 환기용 공기청정기(Ac)의 흡입구 또는 배출구가 환기공(WH', WH")과 연통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홀더부재(40', 40")는 단수 개로 구성되어 환기용 공기청정기(Ac)의 한 부분이 홀더부재(40', 40")에 장착된 상태로 창호물(WG)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지만, 도 7과 같이 한 쌍의 홀더부재(40', 40")가 환기용 공기청정기(Ac)의 상부와 하부 또는 일측부와 타측부를 지지시키며 환기용 공기청정기(Ac)가 창호물(WG)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상기 홀더부재(40', 40")는 환기용 공기청정기(Ac)의 상부를 지지시키는 상부홀더(40')와; 환기용 공기청정기(Ac)의 하부를 지지시키는 하부홀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홀더(40')와 하부홀더(40")의 사이에 해당하는 창호물(WG)에는 하나 이상의 환기공(WH', WH")이 형성되는 경우를 일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홀더부재(40', 40")가 창호물(WG)에 더 구비된 경우, 상기 커버(10)는 환기공(WH', WH")만을 가리며 여닫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8a, 8b와 같이 상기 환기공(WH', WH")과 홀더부재(40', 40")를 모두 덮으며, 환기공(WH', WH")은 닫고 홀더부재(40', 40")는 가리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커버(10)는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환기공(WH', WH")을 막는 것이 주된 목적이지만 환기공(WH', WH")을 막으며 홀더부재(40', 40")를 덮으며 가림으로써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10)는 창호물(WG) 또는 환기공(WH', WH")을 대신하여 홀더부재(40', 40")의 일정부분이 탈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10)는 상기 홀더부재(40', 40")에 커버(1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이 걸이, 끼움 또는 힌지 방식으로 탈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홀더부재(40', 40")는 창호물(WG)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환기용 공기청정기(Ac)를 창호물(WG)에 고정시키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며, 환기용 공기청정기(Ac)가 탈거된 상태에서는 환기공(WH', WH")을 막는 커버(10)가 장착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홀더부재(40', 40")에 대한 커버(10)의 탈착 방식은 걸이, 끼움 또는 힌지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이 될 수 있고, 이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커버(10)는 상기 홀더부재(40', 40")에 더 형성된 제1걸림홈부(41)에 내입될 수 있는 제1걸림부(11)가 더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커버(10)에는 길이방향 일측에 하향 돌출된 제1걸림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재(40', 4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1걸림부(11)가 걸릴 수 있는 제1걸림홈부(41)가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걸림부(11)는 커버(10)의 외부에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커버(10)의 내부공간(13) 상부에 하향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커버(10)의 내부공간(13)에 내입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면, 도 9a, 9b와 같이 사용자는 커버(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커버(10)의 길이방향 일측을 홀더부재(40', 40")의 길이방향 일측보다 더 일측에 위치되도록 위치시키고, 홀더부재(40', 40")의 길이방향으로 커버(10)를 이동시켜, 커버(10)의 제1걸림부(11)가 홀더부재(40', 40")의 제1걸림홈부(41)에 내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10)를 홀더부재(40', 4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때 홀더부재(40', 40")에 대한 커버(10)의 장착력으로 커버(10)는 창호물(WG)에 대한 고정력이 형성되고, 창호물(WG)에 형성된 환기공(WH', WH")은 커버(10) 또는 환기공(WH', WH")에 구비된 기밀부재(20)에 의하여 기밀성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걸림부(11)는 도 10과 같이 커버(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환기공(WH', WH")의 반대쪽 면이 제1걸림홈부(41)에 대한 끼움방향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제1걸림부(11)의 환기공(WH', WH") 반대쪽 면이 끼움방향(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면, 제1걸림부(11)가 제1걸림홈부(41)에 깊게 내입될수록 제1걸림부(11)와 커버(10)가 환기공(WH', WH") 쪽으로 밀착됨과 동시에 제1걸림홈부(41)에 대한 제1걸림부(11)의 체결력이 증대되고, 그 결과 커버(10)가 창호물(WG) 쪽으로 더 밀착되어 커버(10), 기밀부재(20) 및 환기공(WH', WH") 간의 기밀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걸림부(11) 두께의 경사 정도(경사면(15')의 기울기)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40', 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환기공(WH', WH")을 기준하여 환기공(WH', WH")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11)는 한 쌍의 홀더부재(40', 40") 중 어느 하나의 홀더부재(40')에 형성된 제1걸림홈부(41)에 내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10)는 상기 한 쌍의 홀더부재(40', 40") 중 다른 하나의 홀더부재(40")에 더 형성된 제2걸림홈부(42)에 내입될 수 있는 제2걸림부(12)가 더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홀더부재(40', 40")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10)는 한 쌍의 홀더부재(40', 40")에 일정부분씩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과 같이 한 쌍의 홀더부재(40', 40")는 환기공(WH', WH")을 기준으로 환기공(WH', WH")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구성을 하고, 커버(10)의 길이방향 일측은 복수 개의 홀더부재(40', 40") 중 어느 하나의 홀더부재(40', 이하, ‘상부홀더(40')’라 칭함.)에 장착되며, 다른 하나의 홀더부재(40", 이하, ‘하부홀더(40")’라 칭함.)에는 커버(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착되는 구성을 함으로써, 한 쌍의 홀더부재(40', 40") 사이에 위치된 환기공(WH', WH")이 커버(10)에 의하여 닫힌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홀더(40')에는 상기 제1걸림홈부(41)가 형성되고, 상부홀더(40')에 장착되는 커버(1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1걸림부(1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제1걸림부(11)와 제1걸림홈부(41)에 의하여 커버(10)는 상부홀더(40')에 지지되며 장착되고, 제1걸림부(11)와 제1걸림홈부(41)에 의한 단일의 걸림 형성으로써 커버(10)를 홀더부재(40', 40")에 장착시킬 수 있는 편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부홀더(40")에는 커버(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더 구비되는 제2걸림부(12)가 내입되는 제2걸림홈부(42)가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걸림부(12)는 도 11a, 11b와 같이 커버(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돌출 형성되고(커버(1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돌출), 하부홀더(40")에는 커버(10)의 길이방향으로 깊이를 가지고 상기 제2걸림부(12)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파여진 제2걸림홈부(42)가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구성의 커버(10)는 길이방향 일측의 제1걸림부(11)가 상부홀더(40')의 제1걸림홈부(41)에 걸림으로써 커버(10)의 길이방향 일측이 위치고정되고, 길이방향 타측의 제2걸림부(12)가 하부홀더(40")의 제2걸림홈부(42)에 걸림으로써 위치고정됨으로써, 커버(10)의 길이방향 양쪽이 홀더부재(40', 40")에 견고히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부홀더(40')와 하부홀더(40") 사이에 위치되는 환기공(WH', WH")은 커버(10)에 의하여 긴밀하게 닫히는 구성을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2걸림부(12)는 도 12와 같이 커버(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환기공(WH', WH")의 반대쪽 면이 제2걸림홈부(42)에 대한 끼움방향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제2걸림부(12)의 환기공(WH', WH") 반대쪽 면이 끼움방향(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면, 제2걸림부(12)가 제2걸림홈부(42)에 깊게 내입될수록 제2걸림부(12)와 커버(10)의 길이방향 타측이 환기공(WH', WH") 쪽으로 밀착됨과 동시에 제2걸림홈부(42)에 대한 제2걸림부(12)의 체결력이 증대되고, 그 결과 커버(10)의 길이방향 타측이 창호물(WG) 쪽으로 더 밀착되어 커버(10)의 길이방향 타측, 기밀부재(20) 및 환기공(WH', WH") 간의 기밀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걸림부(12) 두께의 경사 정도(경사면(15")의 기울기)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걸림부(12)에는 환기공(WH', WH") 방향 또는 환기공(WH', WH") 반대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2-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걸림홈부(42)에는 상기 걸림턱이 내입되는 걸림턱홈(42-2)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도 13과 같이 커버(10)가 홀더부재(40', 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된 제2걸림부(12)가 다른 하나의 홀더부재(40")의 제2걸림홈부(42)에서 쉽게 이탈되면 커버(10) 전체가 홀더부재(40', 40")에서 쉽게 탈거되고, 그 결과 환기공(WH', WH")이 열릴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에, 상기 걸림턱(12-2)과 걸림턱홈(42-2)은 제2걸림홈부(42)에 내입된 제2걸림부(12)가 커버(10)의 길이방향으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걸림을 형성하는 효과를 실현시킨다.
더불어 상기 홀더부재(40', 40")의 일정부분에는 상기 커버(10)를 걸 수 있는 걸이부(43)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10)는 환기공(WH', WH")을 닫을 필요가 있을 때에는 창호물(WG)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홀더부재(40', 40")와 커버(10) 간의 장착방식이 힌지 방식과 같이 계속적으로 홀더부재(40', 4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이상 홀더부재(40', 40")에서 탈거된 상태를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은 도 14a과 같이 홀더부재(40', 40")의 일정부분에 커버(10)를 걸 수 있는 걸이부(43)가 더 구비되고, 커버(10)를 창호물(WG)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탈거된 커버(10)를 걸이부(43)에 걸어 보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도 14a, 14b와 같이 홀더부재(40', 40")에 하부홀더(40")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하부홀더(4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걸이부(43)가 구비되고, 커버(1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걸이부(43)에 걸어서 커버(10)를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0)에 제1걸림부(11)가 더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걸이부(43)에는 하부홀더(4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길이연장되며 형성되고, 제1걸림부(11)가 내입될 수 있는 걸이홈(44)이 더 형성되어, 제1걸림부(11)가 걸이홈(44)에 끼워짐으로써 커버(10)가 하부홀더(40")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커버 11 : 제1걸림부
12 : 제2걸림부 13 : 내부공간
14 : 테두리 15', 15" : 경사면
20 : 기밀부재 30 : 압착부재
40 : 홀더부재 40' : 상부홀더
40" : 하부홀더 41 : 제1걸림홈부
42 : 제2걸림홈부 43 : 걸이부
44 : 걸이홈 WH', WH" : 환기공
WG : 창호물 Ac : 환기용 공기청정기

Claims (9)

  1. 창틀, 창문 또는 창호 부속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창호물(WG)에 하나 이상 형성된 환기공(WH', WH")을 여닫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10)는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기공(WH', WH")과 커버(10)의 사이에는 환기공(WH', WH")을 기밀시키는 기밀부재(20)가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창호물(WG)에는 상기 환기공(WH', WH")과 연통되는 환기용 공기청정기(Ac)를 탈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홀더부재(40', 4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10)는 상기 홀더부재(40', 40")에 더 형성된 제1걸림홈부(41)에 내입될 수 있는 제1걸림부(11)가 길이방향 일측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20)는,
    상기 환기공(WH', WH") 쪽에 위치되는 상기 커버(10)의 일측에 환기공(WH', WH") 쪽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공(WH', WH")에는,
    상기 커버(10) 쪽으로 향하는 탄성 재질의 압착부재(3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는,
    상기 환기공(WH', WH")과 홀더부재(40', 40")를 모두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40', 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환기공(WH', WH")을 기준하여 환기공(WH', WH")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11)는 한 쌍의 홀더부재(40', 40") 중 어느 하나의 홀더부재(40')에 형성된 제1걸림홈부(41)에 내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는,
    상기 한 쌍의 홀더부재(40', 40") 중 다른 하나의 홀더부재(40")에 더 형성된 제2걸림홈부(42)에 내입될 수 있는 제2걸림부(1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40', 40")는,
    일정부분에 상기 커버(10)를 걸 수 있는 걸이부(4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KR1020200036749A 2020-03-26 2020-03-26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KR102149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49A KR102149953B1 (ko) 2020-03-26 2020-03-26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49A KR102149953B1 (ko) 2020-03-26 2020-03-26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953B1 true KR102149953B1 (ko) 2020-08-31

Family

ID=7223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749A KR102149953B1 (ko) 2020-03-26 2020-03-26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9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6900A1 (en) * 2004-02-24 2005-08-25 Janesky Lawrence M. Crawlspace foundation vent covers
KR101888927B1 (ko) 2018-05-31 2018-08-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잠금기능을 가지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
KR20190012094A (ko) * 2017-07-26 2019-02-08 원승희 창문형 공기청정기
KR20190066517A (ko) * 2017-12-05 2019-06-13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KR102050298B1 (ko) 2019-07-25 2019-12-02 주식회사 이루미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6900A1 (en) * 2004-02-24 2005-08-25 Janesky Lawrence M. Crawlspace foundation vent covers
KR20190012094A (ko) * 2017-07-26 2019-02-08 원승희 창문형 공기청정기
KR20190066517A (ko) * 2017-12-05 2019-06-13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KR101888927B1 (ko) 2018-05-31 2018-08-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잠금기능을 가지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
KR102050298B1 (ko) 2019-07-25 2019-12-02 주식회사 이루미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8895B2 (en) Door sealing system
KR20170046117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KR102149953B1 (ko) 환기공이 형성된 창호물의 커버
KR101470317B1 (ko) 냉난방장치가 장착되는 옥외 부스
KR100980199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장착연결구조
KR20090027055A (ko) 슬라이딩 시스템-창호용 자연환기 장치
KR100964362B1 (ko) 공기조화기
KR20210064778A (ko) 공기 조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배관 설치 장치
KR20190002823A (ko) 창호 일체형 기계환기 장치
JP2019011878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4775022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3866064B2 (ja) 換気装置
KR20060121053A (ko)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설치방법
JP4096460B2 (ja) 集合住宅用換気装置
KR100548927B1 (ko) 환기시스템의 점검도어 장착구조
KR101745870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레버
JP3039442B2 (ja) 熱交換器への仕切板取付構造
WO2003104582A3 (en) MODULAR WALL PANEL WITH HEATED FAN
KR20090019049A (ko) 천장 카세트형 환기유닛의 프론트 커버
JPH09250281A (ja) 窓枠用換気装置
JPH05203186A (ja) 空気調和機
JP2846828B2 (ja) アルミサッシ用換気装置
KR20170019634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KR0113543Y1 (ko) 창틀용 환기 장치
JPS5856316Y2 (ja) 換気装置付窓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