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549B1 -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549B1
KR102149549B1 KR1020200048972A KR20200048972A KR102149549B1 KR 102149549 B1 KR102149549 B1 KR 102149549B1 KR 1020200048972 A KR1020200048972 A KR 1020200048972A KR 20200048972 A KR20200048972 A KR 20200048972A KR 102149549 B1 KR102149549 B1 KR 102149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ter
accessibility
new
radius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채영
이미희
김진은
김도우
이종설
이달근
김진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4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는, 임의 지역에 대한 맵 데이터, 노인인구수, 쉼터위치 및 쉼터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반경(R)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맵 데이터상에 지정 크기의 격자를 형성하고, 수신한 노인인구수, 쉼터위치 및 반경 정보를 근거로 지정 반경을 벗어나는 영역으로부터 쉼터위치의 쉼터로의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노인인구를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시각화한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Spatial Visualization Device for Designating New Shel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지자체 공무원과 같은 쉼터 관리자가 무더위 쉼터 추가 지정을 위한 지역을 시각적으로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더위 쉼터는 사람들이 여름철 무더위를 피하여 쉴 수 있게 한 장소이다. 무더위 쉼터는 주로 경로당, 마을회관, 주민센터, 아동센터, 수련관 등에 지정되어 냉방비 등 운영비가 지원되는 시설로, 이를 통해 노인, 어린이, 취약계층이 여름을 시원하게 날 수 있도록 지원해주고 있다. 물론, 정부는 본격적인 무더위에 대비해 전국에 많은 무더위 쉼터를 운영 중에 있다. 취약계층의 폭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무더위 쉼터로 지정된 전국 여러 곳에 시, 군, 구 지정 도우미가 수시로 방문, 행동요령을 설명하고 건강체크를 실시하기도 한다. 더불어 폭염특보 발령 지역에 대해서는 119 구급대가 폭염구급차에 생리식염수, 얼음조끼, 얼음팩 등 폭염 대응 구급장비를 탑재해 응급환자 발생시 신속히 대응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무더위 쉼터는 경로당이나 주민센터 등을 중심으로 설치하다 보니 어느 지역의 고령자들이 무더위 쉼터로 올 수 있고, 또 이용하고 있는지 파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가령 전국단위에서 볼 때 어느 지역에 사는 고령자들이 무더위 쉼터로 올 수 있는지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가 어렵고, 그 결과 지방자치단체별로 무더위 쉼터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관리가 어렵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6576호(2013.10.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2712호(2016.12.2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4948호(2019.07.2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14061호(2018.10.2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5441(2014.05.09)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지자체 공무원과 같은 쉼터 관리자가 무더위 쉼터 추가 지정을 위한 지역을 시각적으로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는, 임의 지역을 격자로 분할한 맵 데이터, 격자 내 노인인구수, 쉼터위치 및 상기 쉼터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반경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한 격자 내 노인인구수, 쉼터위치 및 반경 관련 데이터를 근거로 지정 반경 밖의 영역에서 상기 쉼터위치의 쉼터로의 접근성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쉼터로의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노인인구를 복수의 등급 중 하나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시각화한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반경 밖의 영역에서 신규 쉼터를 지정하기 위한 시각화 데이터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규 쉼터의 지정을 위한 기준 노인인구수가 변경될 때 상기 변경에 따라 상기 복수의 등급을 재구분하여 시각화한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격자 내 노인인구수를 상기 임의 지역의 총 노인인구수로 나누어 상기 접근성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성의 산출시 상기 임의 지역의 기후조건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접근성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등급 내 분산을 줄이고, 등급 간 분산을 최대화한 내추럴브레이크(Natural breaks) 방법을 이용해 상기 등급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가, 임의 지역을 격자로 분할한 맵 데이터, 격자 내 노인인구수, 쉼터위치 및 상기 쉼터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반경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저장한 격자 내 노인인구수, 쉼터위치 및 반경 관련 데이터를 근거로 지정 반경 밖의 영역에서 상기 쉼터위치의 쉼터로의 접근성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쉼터로의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노인인구를 복수의 등급 중 하나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시각화한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반경 밖의 영역에서 신규 쉼터를 지정하기 위한 시각화 데이터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쉼터의 지정을 위한 기준 노인인구수가 변경될 때 상기 변경에 따라 상기 복수의 등급을 재구분하여 시각화한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격자 내 노인인구수를 상기 임의 지역의 총 노인인구수로 나누어 상기 접근성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접근성의 산출시 상기 임의 지역의 기후조건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접근성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는, 등급 내 분산을 줄이고, 등급 간 분산을 최대화한 내추럴브레이크 방법을 이용해 상기 등급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시각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무료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지자체 공무원이 드래그(drag)만으로도 고령자의 접근성을 고려한 무더위쉼터나 따숨쉼터의 추가 지정이 필요한 지역을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의 공간 시각화 장치에서의 시각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쉼터시각화처리부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 및 도 5는 시각화 결과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반경 및 시각화 등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2는 도 1의 공간 시각화 장치에서의 시각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이하, 공간 시각화 장치)(90)는 가령 무더위쉼터를 신규 지정하기 위한 컴퓨터나 서버 등의 장치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00), 제어부(110), 쉼터시각화처리부(120) 및 저장부(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공간 시각화 장치(90)가 구성되거나 쉼터시각화처리부(1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1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시각화 장치(90)는 무더위쉼터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가령 겨울철의 경우에는 따숨쉼터를 시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는 운전자 쉼터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공간 시각화 장치(9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TV 등을 포함하며, 스마트폰 등의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이의 장치들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서버에는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장치(예: 컴퓨터)도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간 시각화 장치(90)는 USB 등과 같이 저장매체가 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립 장치로서 동작하는 도 2에서와 같은 컴퓨터 등의 경우에는 USB 포트(port)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처리를 위한 데이터, 가령 특정 지자체의 노인인구 데이터 등을 가져와 이를 통해 시각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정부에서 서버의 형태로 운영하는 경우에는 지자체의 복지 관련 담당자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근거로(예: 지정된 엑셀 파일 형태 등)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여 시각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공간 시각화 장치(9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그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경우 가령 도 1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00) 등은 소프트웨어(SW) 모듈이 될 수 있다. 물론, 모듈(module)은 하드웨어모듈이나 소프트웨어모듈에 모두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00)는 시각화 및 쉼터의 신규 지정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대표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임의 지역의 맵(map) 즉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도 2의 (a)), 이외에도 도 2의 (b)에서와 같이 임의 지역의 노인인구수, 또 무더위쉼터의 위치, 무더위쉼터반경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는 USB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무더위쉼터반경 등의 정보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과 같은 터치 동작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컴퓨터의 경우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주변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00)는 임의 지역의 맵 데이터나 노인인구수와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다양한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형태란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기설정된 복수의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임의 지역의 맵 데이터를 수신할 때, 맵상에 매트릭스 형태의 격자(grid)를 형성하고, 격자마다의 노인인구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만약, 임의 지역의 맵 데이터와 노인인구수에 대한 데이터만 수신하는 경우에는 쉼터시각화처리부(120) 등에서 격자를 형성하고, 또 형성한 격자마다 노인인구수를 지정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00)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분석 결과 즉 시각화 데이터가 반영되는 임의 지역의 맵 데이터를 지자체 공무원과 같은 담당자나 쉼터의 관리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시각화 장치(90)가 서버의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에는 담당자나 관리자의 연락처로 분석 결과가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분석 결과가 제공되는 형태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제어부(110)는 도 1의 공간 시각화 장치(9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00), 쉼터시각화처리부(120) 및 저장부(1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00)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임시 저장한 후 쉼터시각화처리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음성 명령어의 형태로 수신하여 수신한 음성 명령어를 인식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가령, 반경 정보와 같은 간단한 정보는 음성 명령어를 통해 수신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 지역의 맵 데이터, 또는 격자가 형성된 맵 데이터상에서 쉼터를 기준으로 지정 반경을 벗어난 지역에서 지정 반경 내에 있는 쉼터로의 노인들의 접근성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등급을 구분하여 시각화하기 위하여 쉼터시각화처리부(120)와 연동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공무원과 같은 담당자, 혹은 사용자로부터 시각화처리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근거로 쉼터시각화처리부(120)를 제어하여 내부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쉼터시각화처리부(120)는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임의 지역의 맵데이터, 노인인구수, 무더위쉼터, 반경 정보(혹은 데이터)를 근거로 반경 밖의 노인들이 반경 내에 있는 무더위쉼터로 접근이 있는지에 대한 접근성을 산출(혹은 분석)한다. 물론 이러한 접근성의 산출시에는 무더위의 조건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임의 지역에서의 연평균 폭염특보 발효일수 등을 더 고려하여 접근성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접근성을 산출하기 위하여, 노인들의 GIS 정보를 더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GIS 정보는 국토지리정보원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는 노인들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위치추적 전용단말을 통해 이동 동향을 파악해 볼 수 있고, 이를 위하여 GIS 툴(tool)이 활용될 수 있다. 접근성을 산출하기 위하여 맵상에서 가령 500mm 격자 내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한다. 또한, 무더위쉼터 위치와 무더위쉼터로부터 660m 반경을 기준으로 접근성을 측정할 수 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접근성은 고령자의 보행속도(예: 0.73m/s)와, 도보로 이용할시 이용자가 가깝다고 느끼는 물리적 거리의 정도(예: 15분)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쉼터시각화처리부(120)는 임의 지역의 맵상에 격자 내 노인인구수를 매칭하고, 무더위쉼터의 위치를 근거로 반경 660m 설정한 후 반경을 벗어나는 지역에서 노인들의 무더위쉼터에 대한 접근성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반경 660m는 고령자의 접근성 판단 기준이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기준은 얼마든지 변경이 될 수 있는 것이며, 그 변경값을 반영하여 새로운 시각화 화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쉼터시각화처리부(120)는 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격자마다 접근성 지수가 산출되는 경우, 해당 산출된 접근성 지수를 근거로 등급을 구분하여 각 격자를 시각화하여 표시하고, 신규 쉼터를 지정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그러한 시각화를 위하여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쉼터시각화처리부(120)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기준 노인인구수를 입력받는 경우, 해당 정보를 근거로 등급을 재분류하여 시각화 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경우에는 노인인구 기준이 적을 수 있지만, 지방의 경우에는 노인인구 기준이 높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시골보다는 대도시의 노인들이 무더위에 더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쉼터가 필요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통신 인터페이스부(10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나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임의 지역의 맵 데이터, 여기에는 격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임의 지역의 노인인구수, 무더위쉼터의 위치정보, 반경 정보 등을 저장한 후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반경 정보의 경우에는 쉼터시각화처리부(120)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내 레지스트리에 저장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살펴보면, 도 2는 도 1의 공간 시각화 장치(90)로서 컴퓨터 등을 통해 시각화 화면을 볼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컴퓨터상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담당자는 도 2의 (a) 및 (b)에서와 같은 데이터를 마우스를 통해 드래그하여 도 2의 (c)에 보여지는 레이어 영역(200)으로 옮겨 놓음으로써 도 2의 (c)에서와 같은 시각화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담당자는 반경값을 변경하기 위한 동작이나,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해 기준 노인인구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추가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값의 변경에 따라 시각화 화면은 등급이 재분류되어 그에 따라 시각화되는 시각화 화면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의 제어부(1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 동작을,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처리를,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입력된 2진 비트정보가 어떠한 동작의 수행에 관련되는지를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해석은 룩업테이블(LUT)상의 좌측과 우측에 데이터를 매칭한 후 제어회로가 좌측 데이터를 근거로 우측의 데이터를 찾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공간 시각화 장치(90)의 초기 구동시 쉼터시각화처리부(120)의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켜 데이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쉼터시각화처리부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4 및 도 5는 시각화 화면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쉼터시각화처리부(120)는 쉼터접근성산출부(300) 및 시각화부(3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쉼터접근성산출부(300) 및 시각화부(31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쉼터접근성산출부(300)는 임의 지역에 대한 맵상에 격자(예: 500m 격자)를 형성한 격자 내의 노인인구수를 판단한다. 그리고, 무더위쉼터의 위치를 근거로 가령 660m의 반경을 설정하여 반경을 벗어나는 영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반경 내 무더위쉼터로의 접근성을 측정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여기서 660m는 해당 지역에서 실제 거리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맵의 축적을 감안하여 측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접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의 지역의 노인인구수를 고려하여 복수(예를 들어 5개)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반경 660m 밖이면서 노인인구수가 상위 등급으로 나타난(많게 나타난) 격자일 경우 접근성이 취약하다고(무더위쉼터가 추가 지정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시각화부(310)는 쉼터접근성산출부(300)의 산출 결과를 근거로 등급을 분류하고, 분류한 등급에 따른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신규 지정되는 쉼터의 위치를 시각화할 수도 있다. 물론, 시각화부(310)에서의 시각화 동작은 모니터 화면에 특정 컬러로 보여지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며, 이를 위하여 그래픽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화부(310)는 맵 데이터상의 격자마다 노인인구수에 해당하는 등급을 시각화하고, 또 현재 쉼터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신규 지정이 필요한 위치에 표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는 등급별 시각화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가령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노인인구수 파일(만)을 열었을 때에는 도 4에서와 같은 형태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임의 지역의 맵 데이터상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00m로 구획되는 격자가 표시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각 격자의 숫자가 높은 격자의 색상을 진하게 하기 위해서는 노인인구수 파일을 우클릭하여 레이어 속성 클릭-단계구분 클릭-열에 노인인구수 열 클릭-내추럴브레이크 클릭-색상표 클릭-분류에 5로 입력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본 발열의 실시예에 따라 qml파일(QGIS Layer Style File)이 추가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미리 지정된 색상표와 등급 개수, 등급화 방법들이 지정되어 파일을 배포받은(예를 들어 지자체 공무원)들은 배포된 파일의 shp확장자를 드래그 하는 것만으로 임의 지역의 노인인구 수를 시각화하여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더위 쉼터 추가 지정을 위한 분석을 위해 무더위쉼터 자료를 따로 다운받고 반경 지역을 몇 미터로 할지 선정하고, 노인인구 몇 명 이상인 지역에 선정하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시각화 화면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시각화부(310)는 각 지자체별로 내추럴브레이크(Jenks Natural Breaks) 방법으로 5개 등급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지자체별로 구간별 수치는 물론 상이하다. 시각화부(310)는 등급 내 분산을 줄이고 등급 간 분산은 최대화하기 위해 내추럴브레이크 방법을 통해 자동으로 5개 등급으로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a)는 무더위쉼터 위치로부터 660m 반경을 설정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6의 (b)는 500m 격자내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인구수를 5등급으로 나타내기 위한 등급별 시각화 정보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 결과, 행정안전부의 경우 전국 지자체에 폭염 취약지역 분석 지도를 배포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무더위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기술이 적용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시각화 장치(90)는 임의 지역을 격자로 분할한 맵 데이터, 격자 내 노인인구수, 쉼터위치, 쉼터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반경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S700). 물론 저장 이전에 임의 지역의 맵 데이터상에 격자를 형성하고, 또 임의 지역의 노인인구수를 격자마다 매칭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공간 시각화 장치(90)는 저장한 격자 내 노인인구수, 쉼터위치 및 반경 관련 데이터를 근거로 지정 반경 밖의 영역에서 쉼터위치의 쉼터로의 접근성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근거로 쉼터로의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노인인구를 복수의 등급 중 하나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시각화한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한다(S710).
공간 시각화 장치(90)는 접근성 지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임의 지역의 총 노인인구수(예: 65세 이상 고령자)로 격자 내 노인인구수를 나누어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추가로 기후조건이 반영되어 접근성이 산출될 수도 있다. 기후조건으로는 무더위 조건으로서 폭염특보 발효일수가 변영될 수 있다.
또한, 공간 시각화 장치(90)는 등급을 시각화하여 쉼터 담당자가 추가 쉼터를 지정할 수 있는 곳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쉼터의 추가 지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위치에는 쉼터의 추가 지정을 위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쉼터의 추가 지정과 관련한 시각화 데이터는 기준 노인인구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노인인구수를 100명으로 할 때와 200명으로 할 때는 그 결과가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공간 시각화 장치(90)는 쉼터의 추가 지정시에도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가령 인접하는 격자가 적어도 3개 이상에서 등급이 높게 나타날 때 쉼터를 추가 지정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 기타 공간 시각화 장치(90)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통신 인터페이스부 110: 제어부
120: 쉼터시각화처리부 130: 저장부
300: 쉼터접근성산출부 310: 시각화부

Claims (12)

  1. 임의 지역을 격자로 분할한 맵 데이터, 격자 내 노인인구수, 쉼터위치 및 상기 쉼터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반경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한 격자 내 노인인구수, 쉼터위치 및 반경 관련 데이터를 근거로 지정 반경 밖의 영역에서 상기 쉼터위치의 쉼터로의 접근성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쉼터로의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노인인구를 복수의 등급 중 하나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시각화한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반경 밖의 영역에서 신규 쉼터를 지정하기 위한 시각화 데이터를 더 제공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규 쉼터의 지정을 위한 기준 노인인구수가 변경될 때 상기 변경에 따라 상기 복수의 등급을 재구분하여 시각화한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격자 내 노인인구수를 상기 임의 지역의 총 노인인구수로 나누어 상기 접근성을 산출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성의 산출시 상기 임의 지역의 기후조건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접근성을 산출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등급 내 분산을 줄이고, 등급 간 분산을 최대화한 내추럴브레이크(Natural breaks) 방법을 이용해 상기 등급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시각화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7. 저장부가, 임의 지역을 격자로 분할한 맵 데이터, 격자 내 노인인구수, 쉼터위치 및 상기 쉼터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반경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저장한 격자 내 노인인구수, 쉼터위치 및 반경 관련 데이터를 근거로 지정 반경 밖의 영역에서 상기 쉼터위치의 쉼터로의 접근성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쉼터로의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노인인구를 복수의 등급 중 하나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시각화한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의 구동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반경 밖의 영역에서 신규 쉼터를 지정하기 위한 시각화 데이터를 더 제공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쉼터의 지정을 위한 기준 노인인구수가 변경될 때 상기 변경에 따라 상기 복수의 등급을 재구분하여 시각화한 시각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의 구동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격자 내 노인인구수를 상기 임의 지역의 총 노인인구수로 나누어 상기 접근성을 산출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의 구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접근성의 산출시 상기 임의 지역의 기후조건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접근성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의 구동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는, 등급 내 분산을 줄이고, 등급 간 분산을 최대화한 내추럴브레이크 방법을 이용해 상기 등급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시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048972A 2020-04-22 2020-04-22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49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972A KR102149549B1 (ko) 2020-04-22 2020-04-22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972A KR102149549B1 (ko) 2020-04-22 2020-04-22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549B1 true KR102149549B1 (ko) 2020-09-01

Family

ID=7245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972A KR102149549B1 (ko) 2020-04-22 2020-04-22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115B1 (ko) * 2021-02-16 2022-01-20 대한민국 열분포지도를 이용한 연구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576B1 (ko) 2011-05-26 2013-10-15 대한민국 풍력발전소 적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5441A (ko) 2012-10-31 2014-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지리 정보 기반 대용량 데이터를 위한 시각화 방법 및 장치
KR101692712B1 (ko) 2014-10-29 2017-01-04 조두영 업종 맞춤형 입지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914061B1 (ko) 2018-03-29 2018-11-02 대한민국 인공위성에 의한 열섬특성 분석방법
KR102004948B1 (ko) 2018-12-18 2019-07-29 이지지아이에스 주식회사 빅데이터 기계 학습을 활용한 위치기반 입지 예측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576B1 (ko) 2011-05-26 2013-10-15 대한민국 풍력발전소 적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5441A (ko) 2012-10-31 2014-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지리 정보 기반 대용량 데이터를 위한 시각화 방법 및 장치
KR101692712B1 (ko) 2014-10-29 2017-01-04 조두영 업종 맞춤형 입지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914061B1 (ko) 2018-03-29 2018-11-02 대한민국 인공위성에 의한 열섬특성 분석방법
KR102004948B1 (ko) 2018-12-18 2019-07-29 이지지아이에스 주식회사 빅데이터 기계 학습을 활용한 위치기반 입지 예측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115B1 (ko) * 2021-02-16 2022-01-20 대한민국 열분포지도를 이용한 연구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edikt To take hold of space: isovists and isovist fields
Shi Selection of bandwidth type and adjustment side in kernel density estimation over inhomogeneous backgrounds
US10971255B2 (en) Multimodal learning framework for analysis of clinical trials
Jenson et al. Innovation system problems: Causal configurations of innovation failure
CN105144179A (zh) 用于临床决策支持的系统和方法
Park et al. Examining context-specific perceptions of risk: exploring the utility of “human-in-the-loop” simulation models for criminology
Bhatia et al. Wayfinding: a method for the empirical evaluation of structural saliency using 3d isovists
KR102149549B1 (ko) 쉼터 신규 지정을 위한 공간 시각화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Griffith et al. Uncertainty-related research issues in spatial analysis
JPWO2018073895A1 (ja) 類似症例検索プログラム、類似症例検索装置および類似症例検索方法
Maudlin et al. Website usability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An eye-tracking evaluation of a climate decision support system
Yin et al. Spatial analysis of primary and secondary syphilis incidence in China, 2004-2010
Acharya et al.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geospatial diffusion patterns of 2013 dengue outbreak in Jhapa District, Nepal
He et al. A geospatial image based eye movement dataset for cartography and GIS
Cybulski et al. The effect of map label language on the visual search of cartographic point symbols
Casper et al. Population health, place, and space: spatial perspectives in chronic disease research and practice
US11430076B1 (en) View scores
RU2636906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рганизации в кластеры точек интерес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етки
CN109471573B (zh) 医疗数据的分类展示方法、设备以及介质
Mungrue et al. Prostate cancer survival in Trinidad: Is PSA a prognostic factor?
WO2015066656A1 (en) Claims data anonymization and aliasing analytics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KR102388816B1 (ko) 인지 능력 훈련 프로세스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09331A (ko) 방향성 및 중립성 콘텐츠로 결과 리포트가 생성되는 유전자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Mobaied A new method for identifying and mapping areas vulnerable to Covid-19 in an armed conflict zone: Case study north-west Syria
Colston et al. Using Geospatial Analysis to Inform Decision Making In Targeting Health Facility-Based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