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445B1 -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기반의 플렉서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기반의 플렉서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445B1
KR102149445B1 KR1020177027315A KR20177027315A KR102149445B1 KR 102149445 B1 KR102149445 B1 KR 102149445B1 KR 1020177027315 A KR1020177027315 A KR 1020177027315A KR 20177027315 A KR20177027315 A KR 20177027315A KR 102149445 B1 KR102149445 B1 KR 102149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bms
content
api
server
u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405A (ko
Inventor
아이메드 부아지지
박경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34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5/407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22Intended application, e.g.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tandard
    • H03M13/65253GPP LTE including E-UT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1Operating system [OS] processes, e.g. server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Abstract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MBMS) 기반의 플렉서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콘텐트(content) 위치에 대한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MBMS가 콘텐트에 대해 사용 가능할 때, 콘텐트의 위치에 대한 MBMS 전달 설명을 수신하고, MBMS 전달 설명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운반하는 MBMS에 대한 세션에 참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MBMS가 상기 콘텐트에 사용 가능하지 않을 때 상기 콘텐트에 대한 비-MBMS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기반의 플렉서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MBMS 기반의 플렉서블(flexible)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사양(specification)은 사용자 서비스들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전달 방법들인 다운로드(download) 및 스트리밍(streaming)을 기반으로 한다. 사용자 서비스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 방법들, 파일 복구 및 수신 보고와 같은 보조 전달 절차들 및 서비스 선택 및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서비스 설명(description)으로 구성된다. 지난 몇 년 동안, MBMS는 제한된 MBMS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영역을 통한 라이브 이벤트들의 스트리밍 및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들과 같은 인기 높은 파일들의 배포와 가장 관련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다 높은 성능의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기반의 플렉서블(flexible)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MBMS 기반의 플렉서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은 콘텐트(content)의 위치에 대한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은, 또한 MBMS가 콘텐트에 대해 사용 가능할 때 구성되고, 콘텐트의 위치에 대한 MBMS 전달 설명을 수신하고, MBMS 전달 설명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운반하는 MBMS에 대한 세션에 참가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은, MBMS가 콘텐트에 사용 가능하지 않을 때, 콘텐트에 대한 비-MBMS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MBMS 기반의 플렉서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콘텐트 위치에 대한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MBMS가 콘텐트에 대해 사용 가능할 때, 콘텐트의 위치에 대한 MBMS 전달 설명을 수신하고, MBMS 전달 설명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운반하는 MBMS 세션에 참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MBMS가 콘텐트에 대해 사용 가능하지 않을 때, 콘텐트에 대한 비-MBMS URL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MBMS 기반의 플렉서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서버가 제공된다. 서버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콘텐트의 위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은 MBMS가 콘텐트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은, 콘텐트에 대한 높은 요구에 응답하여 콘텐트를 운반하는 MBMS에 대한 세션에 클라이언트 장치가 참가할 수 있도록 콘텐트의 위치에 대한 MBMS 전달 설명을 송신하고, 콘텐트에 대한 낮은 요구에 응답하여 콘텐트가 MBMS를 통해 사용 가능하지 않다는 지시자(indication)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기술적 특징들은 다음의 도면들, 설명들 및 청구범위들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명백해질 수 있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 전에, 본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된 특정 단어 및 어구의 정의를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커플(couple)”이라는 용어와 그 파생어는 둘 이상의 요소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것과 상관없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송신”, “수신” 및 “통신” 그리고 이들의 파생어들은 직접 및 간접적인 통신을 포함한다. “포함하다(include)” 및 “구성되다(comprise)” 그리고 이들의 파생어들은 제한없는 포함을 의미한다.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며, 및/또는을 의미한다. 어구 “연결되다(associated with)”와 그 파생어는 포함한다(include), 안에 포함되다(be included within), 상호 연결하다(interconnect with), 포함하다(contain), 안에 포함되다(be contained within), 연결하다(connect to or with), 연결하다(couple to or with), 와 통신할 수 있다(be communicable with), 협력하다(cooperate with), 상호 배치하다(interleave), 병치하다(juxtapose), 근접하다(be proximate to), 묶여있다(be bound to or with), 가지다(have), 속성을 가지다(have a property of), 관계가 있다(have a relationship to or with) 등을 의미한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 시스템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firmware)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제어부와 관련된 기능은 로컬(locally) 또는 원격으로 중앙집중식 또는 분산식이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는 항목 목록과 함께 사용될 때 나열된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목록의 한 항목만 필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에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그리고 A 및 B 및 C 조합 중 하나가 포함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읽기 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형성되고 컴퓨터 읽기 가능 매체에 구현된다. 용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프로그램(program)”은 적절한 컴퓨터 읽기 가능 프로그램 코드에서 구현하기 위해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명령어 세트, 과정, 기능, 객체, 클래스(classes), 사례, 관련 데이터 또는 그 일부를 나타낸다. 문구 “컴퓨터 읽기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source code), 목적 코드(object code) 및 실행 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모든 유형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문구 “컴퓨터 읽기 가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읽기 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전기적 신호 또는 다른 신호를 송신하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배제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읽기 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제거 가능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데이터가 저장되고 후에 겹쳐쓸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단어 및 문구에 대한 정의는 본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부분의 경우는 아니지만, 그러한 정의가 그러한 정의된 단어와 문구의 이전 및 이후의 사용에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서비스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disclosure)와 그 이점을 보다 완벽히 이해하기 위하여,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컴퓨팅(computing)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 내의 예시적인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서비스들, 전달 방법들 및 베어러(bearer) 서비스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예시적인 참조 모델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해석하기(resolving)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MBMS URL을 해석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베어러 전달 방법을 위한 예시적인 MBMS 프레이밍(framing)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MBMS 프레이밍 헤더(header)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도 1 내지 도 9 및 본 특허 문서에서 본 개시(disclosure) 내용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원리가 임의의 적절히 배열된 시스템 또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대규모 사용자 그룹에게 동일한 콘텐트(content)를 제공하는 직관적인 방법은 모든 단일 사용자에 대해 전용 네트워크 자원들을 할당하는 대신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것이다.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TV 채널들을 제공하고 무선으로 대규모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을 추진하는 것이 이러한 서비스들의 예이다.
LTE(Long Term Evolution)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를 정의하여 비용적인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러한 서비스의 요구 사항을 해결했다. 이 것은 처음에는 두 가지 모드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multicast)를 정의했다. 그러나 멀티캐스트 모드는 사용자 공간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터널링의 사용으로 비용 절감이 되지 않아 중단되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컴퓨팅(computing) 시스템 100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시스템 100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 100의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100은 네트워크 102를 포함하며, 네트워크 102는 시스템 100 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components)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102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패킷들, 프레임 릴레이 프레임들(frame relay frames), 비동기 전송 모드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셀들 또는 네트워크 주소 사이의 다른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102는 적어도 하나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 들(local area networks, LANs), 도시권 통신망들(metropolitan area networks, MANs), 광역 네트워크들(wide area networks, WANs),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의 전부 또는 일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들에서의 임의의 다른 통신 시스템 또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102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104와 다양한 클라이언트 장치 106-114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각각의 서버 104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들에 컴퓨팅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컴퓨팅 또는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 서버 104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들, 명령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들, 및 네트워크 102 기반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 106-114는 네트워크 102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들)과 상호 작용하는 임의의 적절한 컴퓨팅 또는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들 106-114는 데스크탑 컴퓨터 106, 휴대 전화 또는 스마트 폰 108,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110, 랩탑 컴퓨터 112 및 태블릿 컴퓨터 114를 포함한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또는 추가 클라이언트 장치들이 컴퓨팅 시스템 10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일부 클라이언트 장치들 108-114는 네트워크 102와 간접적으로 통신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들 108-110은 셀룰러(cellular) 기지국들 또는 eNodeB들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들 116을 통해 통신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들 112-114는 IEEE 802.11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access points)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118을 통해 통신한다. 이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는 네트워크 102와 직접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중간 장치(들) 또는 네트워크(들)을 통해 네트워크 102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컴퓨팅 시스템 100의 일 예를 도시하지만, 다양한 변경이 도 1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100은 임의의 적절한 구성(arrangement)으로 임의의 수의 각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및 통신 시스템들은 다양한 구성들을 가지며, 도 1은 본 개시의 범위를 임의의 특정 구성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특허 문헌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들이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동작 환경을 도시하지만, 이들 특징들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 내의 예시적인 장치를 나타낸다. 특히, 도 2는 예시적인 서버 200을 도시하고, 도 3은 예시적인 클라이언트 장치 300을 도시한다. 서버 200은 도 1의 서버 104를 나타낼 수 있고, 클라이언트 장치 300은 도 1의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들 106-114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2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210, 적어도 하나의 기억 장치 215,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 220 및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부 225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버스 시스템 20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들) 210은 메모리 230에 저장(load)될 수 있는 명령들을 실행한다. 처리 장치 210은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임의의 적절한 수 및 유형(들)의 프로세서들 또는 다른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유형의 처리 장치들 210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마이크로컨트롤러들(microcontrollers),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주문형 반도체들 및 디스크리트 회로(discrete circuitry)를 포함한다. 처리 장치 210은 인증된 웨어러블(wearable) 장치로 전자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 230 및 영구 기억 장치(persistent storage) 235는 정보(예: 데이터,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 기본의 다른 적절한 정보)의 검색을 저장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들)을 나타내는 기억 장치들 215의 예들이다. 메모리 230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들)을 나타낼 수 있다. 영구 기억 장치 235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이 데이터의 장기 저장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들 또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220은 다른 시스템들 또는 장치들과의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220은 네트워크 102를 통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또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220은 임의의 적절한 물리적 또는 무선 통신 링크(들)을 통해 통신을 지원할 것이다.
입출력부(input/output(I/O) unit) 225는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 225는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다른 적절한 입력 장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위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 225는 출력을 디스플레이, 프린터 또는 다른 적절한 출력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도 2가 도 1의 서버 104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가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들 106-114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랩톱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 300은, 안테나 305,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송수신부 310, 송신(transmit, TX) 처리회로 315, 마이크로폰 320 및 수신(receive, RX) 처리회로 325를 포함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 300은, 스피커 330, 메인 프로세서 340, 입/출력(I/O) 인터페이스(interface, IF) 345, 터치스크린(touchscreen) 350, 디스플레이(display) 355 및 메모리(memory) 360을 포함한다. 메모리 360은 기본적인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프로그램 361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 362를 포함한다.
RF 송수신부 310은 안테나 305로부터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 RF 신호를 수신한다. RF 송수신부 310은 수신 RF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하향 변환(down-converts)한다.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는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filtering), 디코딩(decoding) 및/또는 디지털화(digitizing) 함으로써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수신 처리회로 325로 송신된다. 수신 처리 회로 325는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음성 데이터와 동일한)를 스피커 330 또는 추가 처리(웹 브라우징 데이터와 동일한)를 위해 메인 프로세서 340으로 송신한다.
송신 처리회로 315는 마이크로폰 320으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며, 메인 프로세서 340으로부터 다른 발신 기저대역 데이터(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양방향 비디오 게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신 처리회로 315는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발신 기저대역 데이터를 인코딩(encodes), 다중화(multiplexes), 및/또는 디지털화 한다. RF 송수신부 310은 발신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송신 처리회로 315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안테나 305를 통해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송신되는 RF 신호로 상향 변환(up-converts)한다.
메인 프로세서 3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 또는 다른 처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장치 3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 360에 저장된 기본적인 OS 프로그램 361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 340은 잘 알려진 원리들에 따라, RF 송수신부 310, 수신 처리 회로 325 및 송신 처리 회로 315에 의한 순방향 채널 신호들의 수신 및 역방향 채널 신호들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메인 프로세서 340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 340은 MBMS 기반의 플렉서블(flexible)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동작들과 같이, 다른 프로세서들 및 메모리 360에 상주하는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 340은 실행 프로세서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를 메모리 360의 내외로 옮길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메인 프로세서 340은, OS 프로그램 361에 기초하여 또는 외부 장치들 또는 오퍼레이터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들 362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 340은, 클라이언트 장치 300에 노트북들 및 휴대용 컴퓨터들과 같은 다른 장치들과 연결되도록 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I/O 인터페이스 345에 결합되어 있다. I/O 인터페이스 345는 이러한 액세서리들 및 주 제어부 340 사이의 통신 경로이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 340은 터치스크린 350 및 디스플레이 유닛 355에 결합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 300의 오퍼레이터는 클라이언트 장치 300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 350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355는 액정디스플레이 또는 웹사이트로부터의 문자 및/또는 적어도 제한된 그래픽을 렌더링(rendering)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일 것이다.
메모리 360은 메인 프로세서 340에 결합되어 있다. 메모리 360의 일부는 RAM을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 360의 다른 부분은 플래시 메모리 또는 RO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컴퓨팅 시스템 내의 장치들의 예를 도시하지만, 도 2 및 도 3에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의 다양한 구성들은 조합되고, 세분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구성들이 특정 필요들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메인 프로세서 340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들 및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들과 같은 다중 프로세서들로 나눠질 수 있다. 또한, 도 3는 휴대전화 및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클라이언트 장치 300을 도시하지만, 클라이언트 장치들은 다른 유형의 이동 또는 고정 장치들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및 통신 네트워크들과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 장치들 및 서버들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은 임의의 특정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서버에 대해 본 개시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사용자 서비스 405, 전달 방법 410 및 베어러(bearer) 서비스들 415 사이의 관계에 대한 예시적인 참조 모델 400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 5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참조 모델 400 및 도 5의 프로토콜 스택 500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전자 장치의 임의의 특정 구현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LTE를 위한 MBMS(eMBMS)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브로드캐스트 지원, 게이트웨이와 기지국들간 IP 패킷 송신을 위한 IP 멀티캐스트의 사용 및 MBMS 세션들을 설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특정 절차들에 의존한다. MBMS 솔루션들의 핵심 구성요소들은 MBMS 사용자 서비스 405 및 MBMS 베어러 서비스들 415이다. MBMS 베어러 서비스 415는 모바일 네트워크 및 사용자 장비들(user equipments, UEs)에서 특정 기능 세트를 제공하는 포인트-투-멀티-포인팅 콘텐트 배포 채널(point-to-multi-pointing content distribution channel)이다. MBMS 구조(architecture)의 핵심 네트워크 요소는, MBMS 사용자 서비스들을 구축하고, MBMS 사용자 베어러들을 생성하며, MBMS 및 다른 기능들(보안, 서비스 공지(announcement), 관련 전달 과정 등)을 통해 미디어 전달을 수행하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센터(broadcast multicast-service center, BM-SC)이다.
MBMS 사용자 서비스 405는 UE들에 콘텐트를 전달하기 위한 도구 세트의 인스턴스화(instantiation)이다. 이 것은 적어도 하나의 전달 방법들, 서비스 설명(description) 및 서비스 공지 절차, 관련 전달 절차들, 보안 및 보고 도구들로 구성된다.
현재, 스트리밍(streaming) 420, 다운로드(download) 425 및 그룹 통신(group communication) 430으로 정의된 세 가지 다른 전달 방법 410이 존재한다. 스트리밍 420은 모바일 TV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MBMS Release 6의 일부로 설계되었다. 스트리밍 420은, 미디어 데이터 전달을 위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RTCP(RTP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 505에 의존하며, 다수의 미디어 스트림들(streams)의 보호를 함께 지원하는 순방향 에러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FEC)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정의한다. 다운로드 425 전달 방법은 파일들을 UE들에 신뢰성 있게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UE는 FEC 빌딩 블록(building block) 뿐만 아니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통한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프로토콜 510 기반의 파일 전달을 사용하여 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HTTP를 통한 스트리밍 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스트리밍 420 전달 방법의 가치는 RTP/RTCP 505를 사용하는 스트리밍 서버 유지의 높은 복잡성으로 인해 현저하게 감소했다. 대신, 다운로드 425 전달 방법이 FLUTE 510을 통한 HTTP 스트리밍 콘텐트 전달을 지원하기 위해 약간 향상되었다.
MBMS의 전달 방법들에 대한 세 번째 및 최근의 추가된 것은 그룹 통신(group communication, GC) 430 전달 방법이다. 다른 두 가지 방법들로 제공되는 것보다 높은 유연성을 요구하는 공공 안전 서비스들 및 기타 서비스들의 요구들을 해결하기 위해 GC 430 전달 방법이 추가되었다. 예를 들어, 서비스들은 다운로드 425 및 스트리밍 420 전달 방법들에 의해 정의된 것과 다른 프로토콜들, 포맷들 및 서비스 공지 절차들을 사용하기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420 서비스 제공자는 FCAST(file multicasting) 프로토콜을 통해 HLS(Hypertext Transfer Protocol Live Streaming) 포맷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운로드 425 전달 방법은 포맷 및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다운로드 425 전달 방법은 사용될 수 없다. 또 다른 예는 매우 낮은 지연 채널을 통해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공공 안전 서비스들이다. BM-SC가 서비스 제공자를 대신하여 암호화를 수행해야 하고, 예를 들어, FEC 프레임워크가 유발(enforce)하는 지연이 서비스 제공자에게 받아 들여지지 않기 때문에, 스트리밍 방법은 이 경우에 적합하지 않다.
파일 다운로드 프로파일(profile)은 오프라인 유형 전달 모드를 사용하여 파일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파일들은 대개 예약된 시간에 BM-SC(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에 의해 넣어지고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어플리케이션들에서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로컬로 캐시(cache)에 저장된다. 파일 다운로드 프로파일은 아래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n:3gpp:mbms:download:2015"로 식별된다. URI는 MBMS 사용자 서비스 설명 메타데이터(metadata) 조각(fragment)을 운반하는 MBMS 메타데이터 엔빌로프(envelope)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다운로드 세션 공지의 사용은 다음 중 한 가지 방법으로 제공된다:
1. OTA(over the air) HTTP 푸시(push) 베어러는 MBMS USD(user service description) 메타데이터 조각을 포함하는 단일 메타데이터 항목(item)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엔빌로프만을 전달해야 한다. 사용자 서비스에 관심이 있는 UE는 HTTP를 사용하여 모든 참조된 조각들을 요청해야 한다.
2. MBMS 베어러 서비스들의 설정(setup)을 필요에 따라 미리 구성된 서비스 영역을 통해 트리거하는 사전 구성된 MBMS 사용자 서비스.
3. MBMS는 오퍼레이터가 MBMS를 통해 서비스하기로 결정한 인기있는 콘텐트에 대한 요청의 응답으로서 주문식(on-demand)으로 활성화된다.
USD에는 다음과 같은 메타데이터 조각이 포함된다:
1. 정확히 하나의 associatedProcedureDescriptionURI를 포함하는 정확히 하나의 전달 방법을 포함해야 하는 사용자 서비스 설명 메타데이터 조각.
2. associatedProcedureDescription 조각은 바이트범위(byte range)의 수리를 지원하는 하나의 postFileRepair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3. 전송-레벨 보안을 위한 protectionDescription은 제공되지 않아야 하며, 콘텐트는 OMA(Open Mobile Alliance)-DRM(digital rights media)와 같은 콘텐트 보호 솔루션을 사용하여 보호되어야 한다.
4. 스케줄 조각은 각 자원에 대한 전송 시간(들)을 나타내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스케줄 조각은 OTA-PUSH를 통해 공지된 MBMS 서비스에 대해 존재해야 한다.
전달 기능은 전송 프로토콜로 FLUTE 610을 사용한다. 프로토콜에는 단 하나의 FLUTE 세션이 있어야 한다.
또한 유니캐스트를 통한 세션 콘텐트 전달은 이 프로파일에서 지원되지 않는다. 업데이트된 서비스 유지가 지원되어야 한다.
이 프로파일과 호환되는 UE는 요구에 따라 MBMS를 지원해야 한다. 유니 캐스트를 통한 파일의 수신은 요청된 자원의 수신을 위해 MBMS로 재지정(redirect)될 수 있다. UE는 전달 지연을 고려해야 한다.
HTTP 동적 적응 스트리밍(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프로파일 515
DASH 프로파일 515는 하이브리드(hybrid) 유니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들을 통한 DASH 콘텐트 전달을 위해 특별히 정의된 프로파일이다. DASH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은 표현들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이 중 일부 표현들은 브로드캐스트(주로 주 오디오 및 비디오 표현)을 통해 전달되며 기타 보완 또는 대체 표현들은 유니캐스트를 통해 전달된다. DASH 프로파일은 URI: "urn:3gpp:mbms:dash:2015"로 식별된다.
MBMS를 통한 DASH에 대한 서비스 공지는 다음 중 한 가지 방법으로 제공된다: MBMS 메타데이터 엔빌로프들을 운반하는 전용 사전 구성된 MBMS 채널. 실제 MBMS 사용자 서비스의 위치를 설명하는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및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파일들은 동일한 공지 채널을 통해 전달되어야 한다. 다른 메타데이터 조각들은 DASH 콘텐트를 운반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달되거나 유니캐스트를 통해 가져올 수 있다.
서비스 공지에는 다음과 같은 메타데이터 조각들이 포함된다:
적어도 하나의 deliveryMethod를 포함하는 USD 메타데이터 조각. associated-DeliveryProcedureURI 또는 protectionDescriptionURI는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조각은 appServiceDescriptionURI의 MPD를 참조하는 하나의 appService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개시 부분들은 상응하는 표현을 수반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분배되어야 한다.
전달 기능은 전송 프로토콜로 FLUTE 610을 사용한다. 다수의 FLUTE 세션들이 콘텐트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 표현의 콘텐츠는 오직 하나의 FLUTE 세션을 통해 전달된다. 유니캐스트 대체 서비스가 지원된다.
베어러 프로파일 415
베어러 415 프로파일은, 최소한의 데이터 및 제어 평면 구성요소들로 MBMS 베어러 서비스의 사용을 허용하는 최소한의 사용자 서비스를 정의하며, 따라서 MBMS 전달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베어러 415 프로파일은 UE가 MBMS 미들웨어(middleware)에서 임의의 부가적인 처리 지연을 도입하지 않고 주어진 멀티캐스트 주소로 전송된 UDP(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그램(datagram)들을 수신할 수 있게 한다.
베어러 프로파일의 서비스 공지는 다음과 같이 제한된다:
서비스 공지는 USD 메타데이터 조각과 SDP 조각만 있는 두 개의 메타 데이터 조각들로 구성된다. SDP 조각은 USD 조각에 의해 참조되어야 하며 삽입되지 않아야 한다. deliveryMethod 요소는 sessionDescriptionURI 요소만 포함해야 한다.
서비스 공지는 다음 중 한 가지 방법으로 전달된다: MBMS 주소 해석(resolution)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UE에 직접 제공된다. 베어러 프로파일에 의해 사용된 전달 기능은 멀티캐스트 주소로 전달된 UDP 데이터그램에 대한 접속을 제공해야 한다. 멀티캐스트 스트림의 수신은, 예를 들어, 그룹 통신 호환기(enabler)의 GC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UE에 의해 수신된 외부 시그널링을 통해 트리거될 수 있다.
더 높은 유연성을 위해 이 프로파일에는 추가 전송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MBMS상에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및 RTP를 사용하여 그룹 통신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SDP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프로토콜 및 구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MBMS URL을 해석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 600 및 70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도 2의 서버 200 또는 도 3의 클라이언트 장치 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과정 605에서, UE 601은 이름 서버 602와의 MBMS URL을 해석한다. UE 601은 서버로 콘텐트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 300 상에서 시청할 비디오를 선택하고 클라이언트 장치 300은 비디오에 대한 요청을 서버 200에 송신한다. 서버 200은 요청을 수신하고 비디오에 대한 요구를 결정한다. 서버 200은 비디오에 대한 요청이 임계값보다 클 때 비디오에 대한 높은 요구를 결정하고, 비디오에 대한 요청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낮은 요구를 결정한다. 임계값은 서버의 용량, 요청들의 미리 결정된 수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비디오에 대한 요구는 유사한 제작자들이 제작한 시리즈물의 이전 비디오들의 이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과정 610에서, 이름 서버 602는 MBMS 설명을 UE 601로 전달하거나 UE 601을 HTTP URL로 재지정한다. 콘텐트가 높은 요구를 가질 때, 서버 200은 MBMS 전달 설명을 클라이언트 장치 300으로 송신한다. 서버 200이 콘텐트에 대한 요구가 낮다고 판단하면, 서버 200은 HTTP URL로 클라이언트 장치 300을 재지정한다. MBMS 전달 설명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에 따라 BM-SC로부터 콘텐트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파일 전달 API가 MBMS 전달 설명을 제공할 때, 수신 MBMS 전달 설명은 파일이 UE 601에 사용 가능하게 될 시간 프레임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파일을 포함한다. DASH API가 전달 설명을 제공할 때, 수신된 MBMS 전달 설명은 콘텐트에 대한 초기화 부분을 갖는 객체 흐름의 객체 및 콘텐트의 부분들을 일치시키는 규칙을 포함한다. 소켓 API가 MBMS 전달 설명을 제공할 때, 수신된 MBMS 전달 설명은 특정 멀티캐스트 목적지를 포함하는 세션 설명 프로토콜을 갖는 소켓 객체를 포함한다. 과정 615에서, UE 601은 MBMS 세션에 참가한다.
과정 620에서, UE 601은 BM-SC 603으로부터 MBMS를 통한 자원을 수신한다. 클라이언트 장치 300은 소스로부터 BM-SC를 통해 자원을 수신한다. 자원들은 BM-SC 생성 데이터 없이 BM-SC를 통과한다.
과정 705에서, UE 701은 프록시(proxy) 서버 702로 HTTP URL을 요청한다. 클라이언트 장치 300은 서버 200에 콘텐트를 요청한다. 서버 200은 MBMS가 클라이언트 장치 300에 의해 요청된 콘텐트에 사용 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서버 200이 MBMS가 사용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면, 서버 200은 클라이언트 장치가 콘텐트를 수신하기 위한 HTTP URL을 송신한다(도시되지 않음).
과정 710에서, 프록시 서버 702는 UE 701을 MBMS URL로 재지정한다. 서버 200이 MBMS가 사용 가능하다고 결정하면, 서버 200은 클라이언트 장치 300을 MBMS URL로 재지정한다.
과정 715에서, UE 701은 이름 서버 703와의 MBMS URL을 해석한다. 클라이언트 장치 300은 MBMS URL을 서버 200으로 송신한다. 서버 200은 MBMS URL을 기반으로 MBMS 전달 설명을 결정한다.
과정 720에서, 이름 서버 703은 MBMS 설명을 UE 701로 전달한다. 서버 200은 콘텐트를 수신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장치 300에 MBMS 전달 설명을 송신한다. MBMS 전달 설명은 API에 따라 BM-SC로부터 콘텐트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파일 전달 API가 MBMS 전달 설명을 제공할 때, 수신 MBMS 전달 설명은 파일이 UE 601에 사용 가능하게 될 시간 프레임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파일을 포함한다. DASH API가 전달 설명을 제공할 때, 수신된 MBMS 전달 설명은 콘텐트에 대한 초기화 부분을 갖는 객체 흐름의 객체 및 콘텐트의 부분들을 일치시키는 규칙을 포함한다. 소켓 API가 MBMS 전달 설명을 제공할 때, 수신된 MBMS 전달 설명은 특정 멀티캐스트 목적지를 포함하는 세션 설명 프로토콜을 갖는 소켓 객체를 포함한다. 과정 725에서, UE 701은 MBMS 세션에 참가한다.
과정 730에서, UE 701은 BM-SC 704로부터 MBMS를 통한 자원을 수신한다. 클라이언트 장치 300은 소스로부터 BM-SC를 통해 자원들을 수신한다. 자원들은 BM-SC 생성 데이터 없이 BM-SC를 통과한다.
MBMS URI 체계(scheme)는 MBMS를 통해 전달되거나 MBMS를 통해 잠재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될 수 있는 자원들 및 스트림들에 대한 접속을 단순화하기 위해 이 사양에서 정의된다. UE 601은 MBMS URI 체계를 사용하는 모든 자원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MBMS 미들웨어를 MBMS 프로토콜 핸들러(handler)로 등록한다.
"MBMS" URI들은 다음과 같은 ABNF(augmented backus-naur form) 구문을 갖는다:
scheme = “mbms” “:” host [“:” port] “/” path
<host> 및 <port>는 RFC3986에 지정되어 있다.
"MBMS" URI 체계는 MBMS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자원 또는 데이터 스트림을 참조하는데 사용된다. MBMS URI는 도 6 및 도 7에서 정의된 절차를 사용하여 MBMS 프로토콜 핸들러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자원 또는 스트림이 MBMS를 통해 전달되지 않으면, UE 601은 유니캐스트 전달 대안으로 재지정된다.
주소 해석 절차는 다음 단계로 구성됩니다:
수신된 MBMS URL로 MBMS 프로토콜 핸들러를 시작한다. MBMS 프로토콜 핸들러는 "URL"이름을 갖는 NVP(network voice protocol)의 값으로서 MBMS URL을 갖는 사전 구성된 MBMS 주소 해석 서버(address resolution server, ARS)에 POST 요청을 송신한다. MBMS ARS는 MBMS 메타데이터 엔빌로프로 응답한다. 대안으로, MBMS ARS는 UE 601을 요청된 자원의 유니캐스트 위치로 재지정한다.
URL이 단일 자원을 참조하는 경우, MBMS URL과 FLUTE URL 간의 매핑(mapping)은 함축적(즉, MBMS 체계를 http 체계로 대체)이거나 주소 해석 응답의 일부로서 명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관련 자원들도 MBMS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ARS의 지시자(indication)가 응답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SDP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시간에 제공된 전송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또한, 스케줄 메타데이터 조각은 특정 자원의 전달 시간을 지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파일 전달 API는 MBMS를 통해 파일들을 요청하고 수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제공하는 API를 정의한다. API는 자원을 요청하고, 요청된 파일들의 상태에 대한 이벤트들을 수신하고, MBMS를 통해 전달된 파일들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BroadcastFile 객체를 정의한다.
BroadcastFile 객체는 자원의 MBMS URL을 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BroadcastFile 객체는 다음과 같은 작업들을 수행한다:
BroadcastFile 객체는 MBMS URL을 해석하고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전달이 유니캐스트를 통해 수행되면, 응답에는 유니캐스트 주소로의 재지정이 포함해야 한다. 전달이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수행되는 경우, 응답은 파일이 UE 601에서 사용 가능하게 될 시간 프레임의 지시자를 포함해야 한다. 파일이 이미 수신 되었다면, 응답은 UE 601상의 파일의 로컬 위치에 대한 URL을 포함해야 한다.
BroadcastFile은 다음 이벤트를 정의한다:
파일 수신이 진행 중일 때 진행 이벤트가 발생한다. 부분 이벤트(partial event)는 파일 수신이 중단되고 사용 가능한 부분 파일 콘텐트가 있을 때 발생한다. 수신된 바이트 범위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다. 수신된 이벤트는 요청된 파일이 완전히 수신되고 패치(fetch)될 준비가 되었을 때 발생한다. 제거 이벤트는 요청된 파일이 지정된 시간까지 로컬 캐시에서 제거되도록 스케줄된 경우 발생한다.
DASH API는 MBMS를 통한 DASH 프리젠테이션의 Representations의 콘텐트에 접속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제공하는 API를 정의한다. ObjectFlow의 객체는 DASH API에 의해 정의되어 관련 파일들의 세트를 검색한다. ObjectFlow는 관심있는 Representation에 대한 초기화 부분의 URL과 해당 Representation의 부분들을 일치시키는 규칙을 취하는 초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규칙은 RepresentationID, URL 템플릿(template) 또는 기본 URL이 될 수 있다.
ObjectFlow는 다음 이벤트들을 정의합니다:
수신된 이벤트는 객체 흐름의 객체가 수신될 때 발생한다. 수신된 첫 번째 객체는 시작 부분이어야 한다. 부분 이벤트는 객체 흐름의 부분 객체가 수신되었을 때 발생한다. 사라진 이벤트는 MBMS 수신이 더 이상 사용 가능하지 않고 유니캐스트 수신이 대신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발생했다.
일반 소켓 API는 MBMS를 통해 전달되는 UDP 데이터그램 스트림에 접속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기능을 제공하는 API를 정의한다. 소켓 객체는 특정 멀티캐스트 목적지(destination) 주소로 전송된 UDP 데이터그램들을 열고 수신하기 위해 소켓 API에 의해 정의된다. 소켓 API는 MBMS URL을 인수(argument)로 취하고 세션의 SDP를 반환하는 해석 함수(resolve function)를 제공한다. 소켓 API는 멀티캐스트 대상 주소 및 UDP 포트를 인수들로 취하는 연결 함수(connect function)를 제공한다. 소켓 API는 MBMS를 통해 수신된 UDP 데이터그램 페이로드(payload)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수신 함수(receive function)를 제공한다. 패킷들은 수신된 것과 동일한 순서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 소켓 API는 또한 다음 이벤트들을 정의한다:
준비 이벤트는 수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패킷들이 수신 준비가 되었음을 통지 받을 때 발생한다. 사라진 이벤트는 수신기가 MBMS 수신이 더 이상 사용 가능하지 않다는 통지를 받으면 발생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MBMS URL을 해석하기 위한 흐름도 600 및 700의 예를 도시하지만, 도 6 및 도 7에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들로서 도시되었지만, 각 도면의 다양한 단계들은 중첩되거나, 병렬로 발생하거나, 다른 순서로 발생하거나, 또는 여러 번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베어러 전달 방법 800에 대한 예시적인 MBMS 프레이밍(framing)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MBMS 프레이밍 헤더(header) 900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베어러 전달 방법 800 및 도 9에 도시된 MBMS 프레이밍 헤더 900에 대한 MBMS 프레이밍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전자 장치의 임의의 특정 구현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구성 가능한 프레이밍 프로토콜, FEC 프레임워크 및 버퍼링(buffering) 모델은 서비스에 의한 지연 및 에러 요건들에 기초하여 전송의 품질을 조정하기 위해 개시된다. MBMS 프레이밍 프로토콜 910은 MBMS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평면 UDP 패킷들 905를 캡슐화(encapsulation)하도록 정의된다. MBMS 프레이밍 프로토콜 910은 UDP 데이터그램들의 어드레싱(addressing) 및 손실된 패킷들의 검출을 허용한다. FEC를 사용하면, FEC 복구 데이터가 별도의 미디어 세션을 통해 전달된다.
소스 패킷들은 UDP 헤더 직후의 패킷 시퀀스 번호 915를 포함하도록 수정된다. UDP 체크섬 920은 MBMS 프레이밍이 수행된 후에 재계산되어야 한다. 베어러 전달 방법에 대한 SDP는 콘텐트 취합 시 콘텐트 원점에 의해 제공되며 BM-SC 603에 투명하다. SDP는 UE 601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MBMS 클라이언트에 직접 제공된다. SDP는 적어도 다음의 SDP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목적지 IP 주소 및 포트 번호, 각 미디어 세션에 대한 프로토콜 ID, MBMS 베어러의 임시 모바일 그룹 식별정도(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 TMGI), 최대 지연 허용 특성, 및 미디어 레벨 속성으로서 8.3.2.1 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요청된 QoE(quality of experience) 보고.
"최대-허용-지연(max-allowed-delay)"은 UDP 데이터그램을 수신한 시간부터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시간까지 허용되는 최대 허용 지연을 수신기에게 알리는 미디어 레벨 SDP 속성이다. 이 시간은 FEC 디코딩과 같은 모든 연산들에 소모되는 시간에 상위 경계를 설정한다. 이 값은 밀리세컨드(millisecond) 단위로 표시된다.
MBMS 프레이밍 프로토콜의 식별은 프로토콜 ID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MBMS 프레이밍 프로토콜의 식별은 MBMS 프레이밍 프로토콜 및 UDP를 통해 전달되는 RTP 트래픽을 위한 UDP/MBMS/RTP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 예들에서, MBMS 프레이밍은 UDP 데이터그램들을 MBMS/UDP/IP 패킷들로 캡슐화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 예들에서, 측정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에 관한 정보는 서버에 다시 보고된다.
측정 항목(metric) "UDP_Datagram_Loss"는 MBMS 프레이밍 패킷 시퀀스 번호의 차이를 통해 검출된 연속적인 UDP 데이터그램 손실의 수를 나타낸다. 이 측정 항목은 베어러 전달 방법에만 적용된다.
또 다른 측정 항목 "UDP_Datagram_Jitter"는 예를 들어 평균 전송 지연으로부터의 편차로 측정된 측정 지연 지터(jitter)를 제공한다. 이 측정을 위해 프레이밍 프로토콜은 UDP 데이터그램을 송신할 때 BM-SC가 설정한 전달 타임스탬프(timestamp)를 가져야 한다.
본 개시는 예시적인 실시 예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예 및 수정 예가 당업자에게 제안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이러한 변경 예 및 수정 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출원의 설명은 특정 요소, 단계 또는 기능이 청구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 요소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허된 주제의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 콘텐트(content)의 위치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트를 위해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s)가 사용 가능한 경우, 상기 콘텐트의 위치에 대한 MBMS 전달 설명(delivery description)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트를 위해 상기 MBMS가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콘텐트에 대한 비(non)-MBMS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MBMS 전달 설명은, BM-SC (broadcast multicast-service center)로부터 상기 콘텐트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MBMS 전달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의 유형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API의 유형은, 파일 API,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ypertext transfer protocol) API, 소켓 AP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BMS 전달 설명을 수신하는 과정은,
    MBMS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콘텐트를 수신하기 위해 파일 전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BMS 전달 설명을 수신하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 흐름들을 수신하기 위해 DASH API를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흐름들의 각각은, 선택된 DASH 표현(Representation)에 대응하는 동일한 객체 흐름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의 각각은, DASH 부분(segment)에 속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BMS 전달 설명을 수신하는 과정은,
    요청된 콘텐트를 운반하는 멀티캐스트 스트림의 멀티캐스트 IP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해 소켓 API를 사용하는 과정과,
    상기 소켓 API를 사용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스트림의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해 MBMS 세션 설명을 MBMS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에 대한 상기 MBMS 전달 설명을 수신하는 과정은,
    MBMS 세션을 통해 상기 콘텐트에 대한 자원들을 수신하기 위해 순방향 에러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FEC)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사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MBMS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 MBMS URL을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콘텐트에 대한 MBMS URL이 해석(resolution)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 HTTP URL을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트에 대한 상기 MBMS 전달 설명은, 상기 MBMS URL이 해석된(resolved) 후 수신되는 방법.
  8. 삭제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서버로 콘텐트(content)의 위치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콘텐트를 위해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s)가 사용 가능한 경우, 상기 콘텐트의 위치에 대한 MBMS 전달 설명(delivery description)을 수신하고,
    상기 콘텐트를 위해 상기 MBMS가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콘텐트에 대한 비(non)-MBMS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수신하며,
    상기 MBMS 전달 설명은, BM-SC (broadcast multicast-service center)로부터 상기 콘텐트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MBMS 전달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의 유형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API의 유형은, 파일 API,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ypertext transfer protocol) API, 소켓 AP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MBMS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콘텐트를 수신하기 위해 파일 전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MBMS 전달 설명을 수신하는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흐름들을 수신하기 위해 DASH API를 사용하여 상기 MBMS 전달 설명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흐름들의 각각은, 선택된 DASH 표현(Representation)에 대응하는 동일한 객체 흐름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의 각각은, DASH 부분(segment)에 속하는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은, 요청된 콘텐트를 운반하는 멀티캐스트 스트림의 멀티캐스트 IP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해 소켓 API를 사용하고,
    상기 소켓 API를 사용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스트림의 수신을 트리거하기 위해 MBMS 세션 설명을 MBMS 클라이언트에 전달하여 상기 MBMS 전달 설명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MBMS 세션을 통해 상기 콘텐트에 대한 자원들을 수신하기 위해 순방향 에러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FEC)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사용하여 상기 콘텐트에 대한 상기 MBMS 전달 설명을 수신하는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서버가 상기 MBMS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 MBMS URL을 송신하여 콘텐트 요청을 송신하는 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서버가 상기 콘텐트에 대한 MBMS URL이 해석(resolution)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 HTTP URL을 송신하여 콘텐트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MBMS URL이 해석된(resolved) 후 상기 콘텐트에 대한 상기 MBMS 전달 설명을 수신하는 장치.
  16. 삭제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에 있어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콘텐트의 위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가 상기 콘텐트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MBMS가 상기 콘텐트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트의 위치에 대한 MBMS 전달 설명을 송신하고,
    상기 MBMS가 상기 콘텐트에 대해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트에 대한 비(non)-MBMS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송신하고,
    상기 MBMS 전달 설명은, BM-SC (broadcast multicast-service center)로부터 상기 콘텐트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MBMS 전달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의 유형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API의 유형은, 파일 API,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ypertext transfer protocol) API, 소켓 AP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콘텐트에 대한 요구 및 임계값에 기반하여 상기 MBMS가 상기 콘텐트에 대해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서버.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전달 설명은, 통과되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센터(broadcast multicast-service center, BM-SC)를 통해 상기 콘텐트를 전달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서버.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들은, MBMS 세션을 통해 상기 콘텐트에 대한 자원들을 송신하기 위해 순방향 에러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FEC)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사용하도록 더 구성되는 서버.
KR1020177027315A 2015-04-07 2016-04-07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기반의 플렉서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49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44020P 2015-04-07 2015-04-07
US62/144,020 2015-04-07
US201662280450P 2016-01-19 2016-01-19
US62/280,450 2016-01-19
PCT/KR2016/003649 WO2016163774A1 (en) 2015-04-07 2016-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broadcast service over mbms
US15/093,439 2016-04-07
US15/093,439 US10079868B2 (en) 2015-04-07 2016-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broadcast service over MB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405A KR20170134405A (ko) 2017-12-06
KR102149445B1 true KR102149445B1 (ko) 2020-08-28

Family

ID=5707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315A KR102149445B1 (ko) 2015-04-07 2016-04-07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기반의 플렉서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79868B2 (ko)
JP (1) JP6774957B2 (ko)
KR (1) KR102149445B1 (ko)
WO (1) WO2016163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702A1 (en) * 2014-03-10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s to a dash client
US11606670B2 (en) * 2016-09-13 2023-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pagating data in a wireless cellular network
US10542409B2 (en) * 2016-10-07 2020-01-21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for group call services through a broadcast channel
US20180213294A1 (en) * 2017-01-23 2018-07-26 Ramp Holdings, Inc. Recovering from gaps in video transmission for web browser-based players
WO2021231760A1 (en) * 2020-05-14 2021-11-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arent switching of service function identifiers
JP2022107993A (ja) * 2021-01-12 2022-07-25 ヤマハ株式会社 信号処理方法、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プログラム
CN113630439B (zh) * 2021-06-30 2023-05-05 网宿科技股份有限公司 实时通信rtc连接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2624A1 (en) * 2013-06-17 2014-12-18 Qualcomm Incorporated Mediating content delivery via one or more servic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5568B2 (en) * 2003-12-31 2007-11-1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cision making to support network selection for datascasting in hybrid networks
US8296436B2 (en) 2004-03-22 2012-10-23 Nokia Corporation Conveying parameters for broadcast/multicast sessions via a communication protocol
JP4552736B2 (ja) 2004-05-07 2010-09-29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データ配信サービスの制御方法
US20050281270A1 (en) * 2004-06-16 2005-12-22 Jouni Kossi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cision making to support network selection for multicast streams in hybrid networks
US20080267152A1 (en) * 2007-03-05 2008-10-30 Svante Alnas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 discovery
GB2485237A (en) * 2010-11-08 2012-05-09 Nec Corp MBMS provided by unicast or broadcast/multicast in dependence on the number of interested users.
US9826502B2 (en) * 2011-07-25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handoff triggering between unicast and multicast services
US9438883B2 (en) 2012-04-09 2016-09-06 Intel Corporation Quality of experience reporting for combined unicast-multicast/broadcast streaming of media content
US8923880B2 (en) * 2012-09-28 2014-12-30 Intel Corporation Selective joinder of user equipment with wireless cell
US9807188B2 (en) * 2013-04-09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ynamic content offloading
US9609629B2 (en) * 2013-07-25 2017-03-28 Imvision Software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unmanaged over-the-top streams over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US9544097B1 (en) * 2013-08-20 2017-01-10 Sprint Spectrum L.P. System and method for retransmission of MBMS data fl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2624A1 (en) * 2013-06-17 2014-12-18 Qualcomm Incorporated Mediating content delivery via one or more servi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MBMS), Enhanced MBMS operation (Release 12)", 3GPP TR 26.848 V12.0.0 (2014.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01725A1 (en) 2016-10-13
JP2018515960A (ja) 2018-06-14
US10079868B2 (en) 2018-09-18
WO2016163774A1 (en) 2016-10-13
JP6774957B2 (ja) 2020-10-28
KR20170134405A (ko)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445B1 (ko)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기반의 플렉서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433327B2 (en) Presence service using IMS based DASH service
US9432978B2 (en) Multicast broadcast multimedia service-assisted content distribution
US1047000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MBMS content provisioning and content ingestion
US100448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s to a dash client
JP2014220840A (ja) マルチキャスト通信またはブロードキャスト通信において拡張したファイル配信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WO2017000720A1 (zh) Ott媒体的组播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7431700B (zh) 用于对于部分段的指示的方法和装置
KR102434958B1 (ko) 부분 세그먼트에 대한 표시
CN107409130B (zh) 对于部分段的指示
KR20160142850A (ko) Mmt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저 지연 소비 시그날링 및 동작 방법 및 장치
JP6976276B2 (ja) レートペーシングのためにバッファを管理する装置及び方法
CN107438991B (zh) 经由多媒体广播多播服务的灵活广播服务的方法和装置
US105307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 resolution of multicast/broadcast resources using domain name systems
KR102663564B1 (ko) 강화된 mens 컨텐츠 프로비저닝 및 컨텐츠 인제스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