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850A - Mmt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저 지연 소비 시그날링 및 동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Mmt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저 지연 소비 시그날링 및 동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850A
KR20160142850A KR1020167030454A KR20167030454A KR20160142850A KR 20160142850 A KR20160142850 A KR 20160142850A KR 1020167030454 A KR1020167030454 A KR 1020167030454A KR 20167030454 A KR20167030454 A KR 20167030454A KR 20160142850 A KR20160142850 A KR 20160142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ontrol message
packet
payload
time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031B1 (ko
Inventor
임영권
아이메드 부아지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703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95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04L65/6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 H04L65/1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및 트랜시버와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들이 제공된다. 트랜시버는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과 관련된 페이로드 및 헤더를 가진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헤더는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 식별자, 제어 메시지의 길이, 및 제어 메시지의 버전을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메시지 식별자에 기반하여,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는 또한,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 것에 반응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의 헤더들을 수신하기 전에 페이로드 및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패킷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MMT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저 지연 소비 시그날링 및 동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AND OPERATION OF LOW DELAY CONSUMPTION OF MEDIA DATA IN MMT}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전송 시스템에서의 미디어 데이터 전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MMTP(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media transport (MMT) protocol) 디캡슐화 버퍼의 시그날링 및 동작에 관한 것이다.
MMT(MPEG media transport)는 이종 IP 네트워크 환경들에 걸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코딩(coded) 미디어 데이터 전달 기술들을 특정하는 디지털 컨테이너 표준 또는 포맷이다. 전달된 코딩 미디어 데이터는 지정된 시간의 데이터, 즉 타임(timed) 데이터의 특정 유닛에 대해 동기된 디코딩 및 제공을 요하는 시청각 미디어 데이터, 및 서비스의 컨텍스트(context)나 사용자에 의한 인터랙션(interaction)에 기반하여 임의 시간에 디코딩 및 제공되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 즉, 비타임(non-timed)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
MMT는 코딩된 미디어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 등과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들을 이용하여 패킷 기반 전달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고안된 것이다. MMT는 또한 여러 전달 환경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고안된다.
본 개시는 MMTP 디캡슐화(de-capsulation) 버퍼의 시그날링 및 동작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및 트랜시버와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트랜시버는 적어도 한 기지국으로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송신하고 적어도 한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적어도 한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트랜시버는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과 관련된 페이로드 및 헤더를 가진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헤더는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 식별자, 제어 메시지의 길이, 및 제어 메시지의 버전을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메시지 식별자에 기반하여,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는 또한,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 것에 반응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의 헤더들을 수신하기 전에 페이로드 및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패킷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및 사용자 기기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과 관련된 페이로드 및 헤더를 가진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헤더는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 식별자, 제어 메시지의 길이, 및 제어 메시지의 버전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메시지 식별자에 기반하여,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 것에 반응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의 헤더들을 수신하기 전에 페이로드 및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및 트랜시버와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트랜시버는 적어도 한 기지국으로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송신하고 적어도 한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적어도 한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트랜시버는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과 관련된 페이로드 및 헤더를 가진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헤더는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 식별자, 제어 메시지의 길이, 및 제어 메시지의 버전을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메시지 식별자에 기반하여,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는 또한,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 것에 반응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의 헤더들을 수신하기 전에 페이로드 및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패킷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의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다른 기술적 특징들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개시 및 그 이점들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이하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및 3은 본 개시에 따른 통신 시스템 내 장치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MMTP 데이터 전송 환경에서의 MMTP 입출력에 대한 예시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라 수신측에서 수신기 동향을 시뮬레이션하고 버퍼 지연 및 크기 요건을 추정하기 위한 예시적 수신기 버퍼 모델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수신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라 서버에 의해 제공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수행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된 소정 단어들과 어구들의 정의를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결합)한다"는 말과 그 파생어들은 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물리적 접촉 상태에 있는지 그렇지 않든지, 그들 간의 어떤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통신을 일컫는다. "전송한다",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한다" 라는 용어들뿐 아니라 그 파생어들은 직간접적 통신 모두를 포함한다. "포함하다" 및 "구비한다"는 용어들 및 그 파생어들은 제한 없는 포함을 의미한다. "또는"이라는 말은 '및/또는'을 의미하는 포괄적인 말이다 "~와 관련된다" 및 그 파생어들은 포함한다, ~ 안에 포함된다, ~와 상호연결한다, 내포한다, ~안에 내포된다, ~에/와 연결한다, ~에/와 결합한다, ~와 통신할 수 있다, ~와 협력한다, 개재한다, 나란히 놓는다, ~에 근사하다, ~에 속박된다, 가진다, ~의 특성을 가진다, ~와 관계를 가진다는 등의 의미이다. "제어기"라는 용어는 적어도 한 동작을 제어하는 어떤 장치, 시스템,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한다. 그러한 제어기는 하드웨어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관련된 기능은 국지적이든 원격으로든 중앙 집중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라는 말은 항목들의 리스트와 함께 사용될 때, 나열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조합들이 사용될 수 있고, 그 리스트 내 오직 한 항목만이 필요로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와 B, A와 C, B와 C, 및 A와 B와 C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 기술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그 프로그램들 각각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구성되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실시된다.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성분, 명령어 집합, 절차, 함수,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또는 적합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의 구현에 적합한 그들의 일부를 일컫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라는 말은 소스 코드, 객체 코드, 및 실행 코드를 포함하는 모든 타입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는 말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또는 어떤 다른 유형의 메모리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전기 또는 기타 신호들을 전송하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기타 통신 링크들을 배제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재기록 가능 광학 디스크나 삭제가능 메모리 장치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덮어 씌어질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다른 소정 단어들 및 어구들에 대한 정의가 이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당업자는 대부분의 경우들은 아니어도 많은 경우, 그러한 정의들이 그렇게 정의된 단어들 및 어구들의 이전뿐 아니라 이후 사용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논의되는 도 1 내지 7 및 이 특허 문서의 본 개시의 원리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일뿐으로 어떤 식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원리들이 어떤 적절하게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MMT 코딩 및 미디어 전달이 이하의 문서 및 표준화 내용을 통해 논의된다: ISO/IEC JTC 1/SC29/WG11, 이종 환경에서의 고효율 코딩 및 매체 전달 - 파트1: 본 명세서에 모두 기술된 것처럼 본 개시 안에 포함되는 2012년 7월 MPEG 미디어 전송(MMT). 이종 IP 네트워크 환경들 상에서 코딩된 미디어 데이터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MMT는 매쉬 업(mash-up)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콘텐트를 구성하기 위한 논리적 모델; 패킷화 및 적응화와 같이 전달 계층 처리를 위해 코딩된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의 구조; 하이브리드 전달을 포함하여, TCP나 UDP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미디어 유형이나 코딩 방법과 무관한 미디어 콘텐트를 전달하기 위한 패킷화 방법 및 패킷 구조; 미디어 콘텐트의 제공 및 전달을 관리하기 위한 시그날링 메시지들의 포맷; 미디어 콘텐트의 제공 및 전달을 관리하기 위한 시그날링 메시지들의 포맷; 및 교차 계층 통신을 돕기 위해 계층들에 걸쳐 교환되어야 할 정보의 포맷을 제공한다.
MMT는 캡슐화, 전달, 및 시그날링을 포함하는 세 개의 기능 영역들을 규정한다. 캡슐화 기능 영역은 미디어 콘텐트의 논리적 구조, MMT 패키지, 및 MMT 준수 개체에 의해 처리될 데이터 유닛들의 포맷을 규정한다. MMT 패키지는 미디어 콘텐트 및 적응적 전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콘텐트 간 관계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특정한다. 데이터 유닛들의 포맷은 전달 프로토콜의 페이로드로서 저장되거나 운반되고, 저장 및 운반 사이에서 쉽게 전환되도록 코딩된 매체를 캡슐화하도록 규정된다. 전달 기능 영역은 페이로드의 포맷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을 규정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은 멀티미디어 전달을 위한 종래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들과 비교할 때, MMT 패키지의 전달을 위해 다중화를 포함한 개선된 특성들을 제공한다. 페이로드 포맷은 특정 미디어 유형이나 인코딩 방법과 무관한 코딩된 미디어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정의된다. 시그날링 기능 영역은 MMT 패키지들의 전달 및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메시지들의 포맷을 정의한다. 소비 관리를 위한 메시지들이 MMT 패키지들의 구조를 시그날링 하는데 사용되며, 전달 관리를 위한 메시지들이 페이로드 포맷의 구조 및 프로토콜의 구성을 시그날링 하는데 사용된다.
MMT는 오디오, 비디오, 및 위젯, 파일 등과 같은 기타 고정 콘텐트 같은 시간 연속적인 멀티미디어 전달을 위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규정한다. MMT는 수신 개체로의 MMT 패키지의 전달을 위한 프로토콜(즉, MMTP)를 특정한다. MMTP는 프로토콜 헤더의 일부로서 MMTP 패키지의 전송 시간을 시그날링한다. 그 시간은 수신 개체가 각각의 유입 MMT 패킷의 전송 시간 및 수신 시간을 검사함으로써 디지터링(de-jittering)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MMT 사양이 ISOBMFF(ISO base media file format) 파일들의 저 지연 전송을 가능하게 하지만 저 지연 소비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식 및 참작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의 실시예는 다만 예시를 위한 것이다. 본 개시물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통신 시스템(100)의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시스템(100) 내 다양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통신을 수월하게 하는 네트워크(1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02)는 네트워크 어드레스들 간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들, 프레임 중계 프레임들, 비동기 전송 모드(ATM) 셀들, 또는 다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102)는 또한, 케이블 및 위성 통신 링크들과 같은 브로드캐스팅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102)는 하나 이상의 LAN(local area networks); MAN(metropolitan area networks); WAN(wide area networks); 인터넷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 전체나 일부; 또는 하나 이상의 위치들에 있는 어떤 다른 통신 시스템이나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2)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104) 및 다양한 클라이언트 장치들(106-115) 간의 통신을 돕는다. 각각의 서버(104)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장치들에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어떤 적절한 컴퓨팅 또는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각각의 서버(104)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들,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및 네트워크(102)를 통한 통신을 돕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106-115)는 네트워크(102)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들)과 상호 동작하는 어떤 적절한 컴퓨팅 또는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들(106-115)에는 데스크탑 컴퓨터(106), 모바일 전화나 스마트폰(108),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110), 랩탑 컴퓨터(112), 태블릿 컴퓨터(114), 및 셋탑박스 및/또는 텔레비전(115)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다른, 혹은 추가적인 클라이언트 장치들이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일부 클라이언트 장치들(108-114)은 네트워크(102)와 간접적으로 통신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들(108-110)은 셀룰러 기지국들이나 eNodeB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16)을 통해 통신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들(112-115)은 IEEE 802.11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118)을 통해 통신한다. 이들은 다만 예시를 위한 것이며,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가 네트워크(102)와 직접 통신하거나 어떤 적절한 매개 장치(들)이나 네트워크(들)을 통해 네트워크(102)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102)는 MMTP를 이용한 서버(104)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들(106-115)로의 예컨대, 이미지,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의 통신을 돕는다. MMT 역시 다양한 전달 환경 특성들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서버(104)는 MMTP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들(106-115)로 미디어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또는 스트리밍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4)는 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혹은 별도로 MMTP 디캡슐화 버퍼 동작 및 관리 MMTP 디캡슐화 버퍼를 알리기 위해 메시지를 통해 버퍼 제거 모드 시그날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00)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1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은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임의 개를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및 통신 시스템들은 광범위한 구성들로 나타나며, 도 1은 본 개시의 범위를 어떤 특정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특허 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특성들이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동작 환경을 도시하고 있지만, 그러한 특성들은 어떤 다른 적절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 및 3은 본 개시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 내 장치들의 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2는 예시적 서버(200)를 도시하며, 도 3은 예시적 클라이언트 장치(300)를 도시한다. 서버(200)는 도 1에서 서버(104)를 나타낼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도 1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들(106-115)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210), 적어도 하나의 저장 장치(215),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220), 및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I/O) 유닛(225)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버스 시스템(205)을 포함한다.
제어기(210)는 메모리(230) 안에 로딩될 수 있는 명령어들을 실행한다. 제어기(210)는 어떤 적절한 구성으로 임의의 적절한 개수 및 유형의 프로세서들이나 기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들(210)의 유형들의 예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microcontroller), 디지털 시그날 프로세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및 디스크릿(discreet) 회로를 포함한다.
메모리(230) 및 영구 저장부(235)가 저장 장치들(215)의 예들로서, (데이터,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임시 또는 지속적인 다른 적절한 정보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그 검색을 도울 수 있는 임의의 구조(들)을 나타낸다. 메모리(230)는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다른 적절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들)을 나타낼 수 있다. 영구 저장부(235)는 ROM(read-only memory),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이 데이터의 장기적 저장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나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른 시스템들이나 장치들과의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네트워크(102)를 통한 통신을 돕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또는 무선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220)는 어떤 적절한 물리적 및/또는 무선 통신 링크(들)을 통해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I/O 유닛(225)은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I/O 유닛(225)은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다른 적절한 입력 장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위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I/O 유닛(225)은 또한 디스플레이, 프린터, 또는 다른 적절한 출력 장치로 출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서버(104)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술되지만,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가 클라이언트 장치들(106-115) 중 하나 이상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랩탑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서버(200)는 미디어 데이터 및/또는 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혹은 별도로, MMTP 디캡슐화 버퍼 동작 및 관리 MMTP 디캡슐화 버퍼를 알리기 위해 메시지를 통해 버퍼 제거 모드 시그날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서버(20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트 개체(broadcast entity)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안테나(305), 트랜시버(310), 송신(TX; transmit) 처리 회로(315), 마이크로폰(320), 및 수신(RX; receive) 처리 회로(325)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또한 스피커(330), 제어기(340), 입출력(I/O) 인터페이스(IF)(345), 키패드(350), 디스플레이(355), 및 메모리(360)를 포함한다. 메모리(360)는 운영체제(OS)(361)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363)을 포함한다.
트랜시버(310)는 안테나(305)로부터, 시스템 내 다른 구성요소가 전송한 유입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한다. 트랜시버(310)는 유입 RF 신호를 하향 변환하여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나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생성한다.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는 RX 처리 회로(325)로 보내지고, RX 처리 회로(225)는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이진화(digitizing)함으로써,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RX 처리 회로(325)는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스피커(330)(음성 데이터 등의 경우)로, 혹은 제어기(340)(웹 브라우징 데이터와 같은 경우)로 전송한다.
TX 처리 회로(315)는 마이크로폰(320)으로부터 아날로그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또는 제어기(340)로부터 다른 유출(outgoing) 기저대역 데이터(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인터랙티브 비디오 게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TX 처리 회로(315)는 유출 기저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멀티플렉싱 및/또는 이진화하여,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생성한다. 트랜시버(310)는 처리된 유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TX 처리 회로(315)로부터 수신하고, 안테나(305)를 통해 전송되는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RF 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제어기(34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는 다른 처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360)에 저장된 기본 운영 체제(361)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340)는 잘 알려진 원리들에 따라 트랜시버(310), RX 처리 회로(325), 및 TX 처리 회로(315)에 의해 포워드 채널 신호들의 수신 및 리버스 채널 신호들의 송신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34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마이크로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340)는 메모리(360)에 상주하는 다른 프로세스들 및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제어기(340)는 실행 프로세스에 의해 요구될 때, 메모리(360) 안이나 밖으로 데이터를 옮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340)는 운영 체제(361)에 기반하거나 외부 장치들이나 운영자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응하여 애플리케이션들(363)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340)는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300)에 랩탑 컴퓨터들 및 핸드헬드 컴퓨터들과 같은 다른 장치들로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I/O 인터페이스(345)와 결합된다. I/O 인터페이스(345)는 이러한 액세서리들 및 제어기(340) 사이의 통신 경로이다.
제어기(340)는 또한, 키패드(350) 및 디스플레이(355)와 결합된다.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운영자는 키패드(350)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300)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5)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웹 사이트들 등으로부터의 텍스트 및/또는 적어도 제한된 그래픽을 렌더링할 수 있는 다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메모리(360)는 제어기(340)와 결합된다. 메모리(360)의 일부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360)의 다른 일부는 플래쉬 메모리나 다른 ROM(read-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저 지연 소비(low delay consumption: LDC) 메시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LDC에 따라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도 2 및 3은 컴퓨팅 시스템 내 장치들의 예들을 도시하지만, 도 2 및 3에 대해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3 내 여러 구성요소들이 특정 수요에 따라 결합되거나, 더 세부 분할되거나, 생략될 수 있고, 추가 구성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제어기(340)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PU)들 및 하나 이상의 그래픽 처리 유닛(GPU; graphics processing units)들과 같은 여러 프로세서들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모바일 전화나 스마트폰으로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 장치(300)를 도시하고 있지만, 클라이언트 장치들은 예컨대, 비한정적으로 셋탑 박스, 텔레비전, 및 미디어 스트리밍 장치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모바일 또는 고정 장치들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및 통신 네트워크들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들 및 서버들은 광범위한 구성들로 나타날 수 있으며, 도 2 및 3은 본 개시를 어떤 특정한 클라이언트 장치나 서버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MMTP 데이터 전송 환경(400)에서의 MMTP 입출력에 대한 예시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송신 개체(405), 예컨대 도 2의 서버(200)와 같은 서버가 MMTP에 따라, 전송 매체를 통해 수신 개체(410), 예컨대 도 3의 클라이언트 장치(300)와 같은 클라이언트 장치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미디어 데이터(415)는 송신 개체(405)에서 MMTP에 따라 처리된다. 예를 들어 송신 개체(405)는 MMT 프로세싱 유닛들(MPUs; MMT processing units) 및 MMT 분할 유닛들(MFUs; MMT fragmentation units)(가령, MPU의 프래그먼트들)인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MMT 패키지 캡슐화, 코딩, 전달, 및 시그날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그 처리된 미디어 데이터가 MMTP에 따른 처리(가령, 디캡슐화, 디코딩 등)를 위해 수신 개체(410)에게 (가령, 패킷들로써) 전송된다. 수신 개체(410)에서 처리된 미디어 데이터는 그 다음으로, 미디어 데이터의 전달을 완료하는 시각 및/또는 청각적 디스플레이 장치 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위해 MPU들 및/또는 MFU들로서 상위 계층 프로그래밍(가령,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그램)으로 보내진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라 수신측에서 수신기 동향을 시뮬레이션하고 버퍼 지연 및 크기 요건을 추정하기 위한 예시적 수신기 버퍼 모델(5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미디어 전달 서버(또는 다른 MMT 인지 노드(MMT aware node))와 같은 송신 개체(405)가 일대다(point-to-multipoint) 전송 시스템에서의 미디어 데이터 전달을 위한 고정된 엔드 투 엔드 지연(delay)을 산출, 판단 및/또는 식별한다. 예를 들어 송신 개체(405)는 모델(500)을 활용하여, 수신 개체(410)의 수신기에서의 수신 제약들 상에서 패킷 스트림에 대해 수행되는 미디어 데이터 처리의 영향들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개체(405)는 상기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된 버퍼링 지연 및 요구된 버퍼 사이즈를 판단하고 그 정보를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개체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도시 예에서, FEC(Forward Error Correction) 디코딩 버퍼(505)는 FEC 디코딩과 관련된 지연 및/또는 버퍼 사이즈 요건을 추정하기 위한 모델이다. FEC 디코딩은 하위 계층 전송이 채널 에러들로부터 복구하는데 충분치 않을 수 있는 많은 애플리케이션 계층들에서 네트워크 혼잡이 패킷 누락이나 과도한 지연을 일으킬 수 있을 때 일반적이다. FEC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 개체(410)는 충분한 소스(source) 데이터("S") 및 복구(repair) 데이터("P" 패리티 데이터)가 FEC 디코딩을 수행하는데 사용 가능하게 될 때까지 유입 패킷들이 저장되는 버퍼를 이용한다.
이 도시 예에서, 송신 개체(405)는 FEC 디코딩과 관련된 지연을 추정하기 위해 FEC 디코딩에 관해 수신 개체(410)가 취할 액션들을 결정하기 위해 FEC 디코딩 버퍼(505)의 모델을 이용한다. 즉, 송신 개체(405)는 FEC 디코딩 버퍼(505)의 모델을 이용하여, FEC 디코딩 지연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 개체(410가 취하는 액션들을 예측한다. 이러한 송신 개체(405)에 의한 FEC 디코딩 버퍼(505)의 모델링은 FEC 디코딩 버퍼(505)가 초기에는 비어 있다는 추정으로 시작한다. 이어서, 전송 타임스탬프 ts를 가진 각각의 유입 패킷 i에 대해, 수신 개체(410)는 buffer_occupancy (버퍼 점유) + packet_size (패킷 사이즈) < max_buffer_size (최대 버퍼 사이즈)인 경우 FEC 디코딩 버퍼(505)를 사용하여 패킷 i를 버퍼링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수신 개체(410)는 패킷 i를 버퍼 모델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서 버린다. 수신 개체(410)는 그런 다음, FEC가 패킷 i에 적용되는지를 판단한다. FEC가 패킷 i에 적용되면, 수신 개체(410)는 패킷 i가 속하는 소스 블록 j를 결정하고, time t+FEC_buffer_time에서 소스 블록 j의 제1 패킷의 삽입 시간 t가 소스 블록 j의 모든 패킷을 (필요시 FEC 정정 후) 디지터 버퍼(de-jitter buffer)로 옮기는 것을 결정하고, 복구 패킷들을 버린다. 송신 개체(405)는 소스 블록의 최초 패킷의 수신부터 FEC 디코딩이 시도될 때까지 FEC 디코딩에 필요한 버퍼 시간으로서 FEC_buffer_time을 이용한다. 이 시간은 통상적으로 FEC 블록 사이즈에 기반하여 산출된다.
디지터 버퍼(510)는 패킷들의 디지터링, 즉 패킷들의 지연 지터의 제거와 관련된 지연 및/또는 버퍼 사이즈 요건을 추정하기 위해 송신 개체에 의해 사용되는 모델이다. 디지터 버퍼는 궁극적으로, 최대 전송 지연을 전제하여, MMTP 패킷들이 소스부터 MMTP 프로토콜 스택(stack)의 출력까지 고정된 전송 지연을 경험하는 것을 확실시 한다. 수신 개체(410)는 최대 전송 지연보다 큰 전송 지연을 경험하는 데이터 유닛들을 매우 늦었다는(being very late) 이유로 버릴(discard) 수 있다.
이러한 송신 개체(405)에 의한 디지터 버퍼(510)의 모델링은 디지터 버퍼(305)가 초기에는 비어 있다는 추정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수신 개체(410)는 MMTP 패킷이 도착할 때 그 패킷을 디지터 버퍼(510) 안에 삽입한다. 수신 개체(410)는 그런 다음 시간 ts+Δ에서 MMTP 패킷을 제거하며, 이때 ts는 MMTP 패킷의 전송 타임스탬프이고, Δ는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시그날링되는 고정된 엔드 투 엔드(end-to-end) 지연이다. 디지터링이 적용된 후, 정확히 도착된(또는 FEC/재전송들을 통해 복구된) 모든 MMTP 패킷들은 동일한 엔드 투 엔드 지연을 경험했을 것이다.
MMTP 디캡슐화 버퍼(515)는 MMTP 처리와 관련하여 그 출력을 상위 계층들로 보내기 전에 지연 및/또는 버퍼 사이즈 요건을 추정하기 위해 송신 개체에 의해 사용되는 모델이다. MMTP 프로세서의 출력은 MFU 페이로드(낮은 지연 동작 시), 완전한 무비 프래그먼트(movie fragment), 또는 완전한 MPU일 수 있다. MPU들은 그들의 사이즈에 따라, 보다 작은 패킷들로 분할되거나 보다 큰 패킷들로 집합될 수 있다. 디캡슐화(MMTP 패킷 및 페이로드 헤더들의 제거) 및 그 패킷들의 어떤 요구된 디프래그멘테이션(de-fragmentation)/집합해제(de-aggregation)가 이제, MMTP 프로세싱의 일부로서 수행된다. 그 절차는 MPU가 여러 개의 MMTP 패킷들로 분할될 때 조립을 수행하기 위해 디캡슐화 지연이라 불리는 어떤 버퍼링 지연을 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디캡슐화 지연은 고정된 엔드 투 엔드 지연의 일환으로 간주되지 않을 것이며, 코딩된 미디어 계층에 의해 소비될 MPU의 가용성은 개체가 디캡슐화 지연과 무관하게 그 MPU를 여러 MMTP 패킷들로 분할함에 따라 보장될 수 있다. 송신 개체(405)에 의한 모델로서 사용될 때, 버퍼들(505, 510, 및 515) 각각은 가령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메모리(360)와 같은 수신 개체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MMTP 디캡슐화 버퍼(515)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MMTP 디캡슐화 버퍼(515)는 초기에 비어 있을 때, 디지터 버퍼(510)에 의해 디지터링이 수행된 후 MMTP를 수신한다. 집합된 페이로드를 운반하는 MMTP 패킷들에 대해, 수신 개체(410)는 패킷 및 페이로드 헤더를 제거하고 각각의 단일 데이터 유닛을 추출한다. 분할된 페이로드를 운반하는 MMTP 패킷들에 대해, 모든 해당 프래그먼트들이 정확히 수신될 때까지 혹은 동일 분할된 데이터 유닛에 속하지 않는 패킷이 수신될 때까지, 패킷이 버퍼 안에 보유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의 동작 모드에 따라, 온전한 MPU, 무비 프래그먼트, 또는 단일 MFU가 복구되면, 송신 개체(405)는 재구성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프레젠테이션 계층과 같은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DC는 무비 프래그먼트 헤더들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다수의 샘플들에 대한 제공 순서를 규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MMTP 디캡슐화 버퍼(515)로부터의 데이터 제거를 시작하기 전에, 각각의 샘플의 제공 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 및/또는 요구되는 정보를 시그날링하기 위한 메시지를 더 제공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무비 프래그먼트 헤더들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클라이언트에 의해 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 및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저 지연 소비(LDC) 메시지들을 제공한다. 이 메시지는 각각의 샘플의 듀레이션(duration: 기간)이 트랙 확장 박스(Track Extends Box) 내 디폴트 샘플 듀레이션(default_sample_duration)에 의해 시그날링되는 것과 같이 고정되어 있고, 코딩 의존 구조가 한 애셋(asset)에 걸쳐 고정되어 있음을 가리킨다. 이 메시지가 사용될 때, MPU의 제1 샘플의 디코딩 시간 값은 MPU의 제1 샘플의 제공 시간보다 fixed_presentation_time_offset의 합만큼 적고, sample_composition time_offset_value 쌍의 sample_composition_time_offset_sign의 최대 값은 ‘1’이다.
이하의 표 1은 LDC 메시지의 예시적 신택스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이 도시 예에서, “message_id”는 LDC 메시지의 식별자를 나타내고, “version”은 LDC 메시지의 버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MMT 수신 개체(가령,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이 필드를 사용하여 수신된 LDC 메시지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length”는 LDC 메시지들의 바이트 단위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음 필드의 최초 바이트에서 LDC 메시지의 마지막 바이트까지를 카운트한 것이다. 값‘0’는 이 필드에 있어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계속해서, “base_presentation_time_offset”는 디코딩 시간 및 제공 시간 간의 시차에 대한 마이크로 초 단위의 정보를 제공한다. 각각의 샘플의 제공 시간은 이 값만큼 디코딩 시간보다 클 수 있다. 이것은 디코딩된 미디어 데이터의 재정렬로 인해 초래된 샘플들의 디코딩 시간 및 제공 시간 간의 차이는 포함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coding_dependency_structure_flag”는 샘플들의 디코딩 순서 및 제공 순서가 서로 상이하다는 지시를 제공한다. 이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면, 디코딩 순서가 샘플들의 제공 순서와 동일해야 한다. 이 플래그가 ‘1’로 설정되면, 디코딩 순서는 샘플들의 제공 순서와 상이해야 하고, 클라이언트가 샘플들의 적절한 디코딩 시간 및 제공 시간을 산출할 수 있도록, 이 메시지를 통해 상세 구성(composition) 시간 오프셋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period_of_intra_coded_sample”은 독립적으로 코딩된 두 개의 샘플들 사이에 있는 샘플들의 개수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수신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60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도 4의 수신 개체(4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도 3의 클라이언트 장치(3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 프로세스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버퍼로부터 복수의 데이터 샘플들의 각각의 샘플의 제공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시작된다(동작 610). 예를 들어, 동작 610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에 있는 버퍼로부터 복수의 데이터 샘플들의 각각의 샘플의 제공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메시지는 LDC 메시지일 수 있고, 다른 MMT 시그날링 메시지들과 함께 포함될 수 있으며/있거나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미디어 콘텐트 스트리밍 시작 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이 버퍼는 도 5의 MMTP 디캡슐화 버퍼(515)이다. 메시지 수신 시간 근처에서, 예컨대 메시지 수신 후에, 클라이언트 장치는 메시지와 관련된 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미디어 데이터 전송이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수신되기 시작한 후에 수신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복수의 샘플들 각각의 샘플에 대한 제공 시간을 산출한다(동작 620). 예를 들어 동작 620에서, LDC 메시지는 제공 시간 오프셋 값, 제공 시간 오프셋의 부호, 기본 제공 시간 오프셋, 독자 코딩된 샘플들 사이의 샘플들의 개수, 코딩 의존 구조 플래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코딩 의존 구조 플래그는 샘플들의 코딩이 제공 순서와 같은 순서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가리킨다. 제공 순서는 샘플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공되는 순서이다. 코딩 순서가 제공 순서와 동일하면, 샘플들은 그들이 디코딩된 것과 같은 순서로 제거될 수 있다. 데이터의 샘플은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 시간은 기본 제공 시간 오프셋을 양이나 음의 제공 시간 오프셋에 더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부호는 제공 시간 오프셋이 양인지 음인지 여부를 나타내며, 그 값은 제공 시간 오프셋의 값을 나타낸다. 상기 값은 마이크로 초, 밀리 초, 또는 다른 유형의 시간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제공 시간 오프셋이 t+40이고, 샘플의 제공 시간 오프셋이 t+10이면, 그 샘플의 제공 시간은 t+50이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는 제공 시간에 기초하여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제거하며, 재구성된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보낸다(동작 630). 예를 들어, 동작 630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제공 시간(가령, 제공 시간 오프셋 + 기본 제공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재구성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프레젠테이션 계층과 같은 상위 계층으로 보낸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서버의 제공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프로세스(70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도 4의 송신 개체(40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도 2의 서버(2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 프로세스는 서버가 수신 데이터의 제공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시작된다(동작 710). 예를 들어 동작 710에서, 상기 메시지는 각각의 샘플의 제공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예컨대, 데이터의 각각의 샘플과 관련된 값 및 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또한, 기본 제공 시간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메시지 안에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그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장치로 보낸다(동작 720). 예를 들어 동작 720에서, 서버는 그 메시지를 클라이언트로 보내, 클라이언트 장치의 MMTP 디캡슐화 버퍼로부터의 데이터 제거 동작 및 관리를 시그날링한다. 이 예들에서, 서버는 미디어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장치로 보내는 서버와 같은 서버이거나 다른 서버일 수 있다.
도 6 및 7은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관리하고 서버에 의해 제공 순서를 나타내는 예시적 프로세스들을 각각 도시하고 있으나, 도 6과 7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들이 도시되었지만, 각각의 도면에서 다양한 단계들이 중복되거나 나란히 발생하거나, 상이한 순서로 일어나거나 여러 번 발생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예시적 실시예와 함께 기술되었지만, 당업자에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안이 제안될 수 있다. 본 개시는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드는 것으로 포괄하도록 되어 있다.
본 출원의 내용은 어떤 특정 요소, 단계, 또는 기능이 청구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고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오직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사용자 기기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통신하고,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과 관련된 페이로드 및 헤더를 가진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헤더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 식별자, 상기 제어 메시지의 길이, 및 상기 제어기 메시지의 버전을 포함하는, 트랜시버; 및
    상기 메시지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 것에 반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의 헤더들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페이로드 및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패킷의 디코딩 순서가 제공 순서와 동일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코딩 종속 구조 플래그;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프래그먼트들을 제공하기 위한 기본 오프셋을 나타내는 기본 제공 시간 오프셋;
    두 인터 코딩된 샘플들 사이의 기간;
    각각의 프래그먼트에 대한 샘플 제공 시간 오프셋의 부호; 및
    각각의 프래그먼트에 대한 상기 샘플 제공 시간 오프셋의 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코딩 종속 구조 플래그가 상기 패킷의 디코딩 순서가 상기 제공 순서와 동일하다는 것을 지시함에 따라, 기본 제공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을 구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코딩 종속 구조 플래그가 상기 패킷의 디코딩 순서가 상기 제공 순서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지시함에 따라, 각각의 프래그먼트에 대한 상기 샘플 제공 시간 오프셋, 상기 부호, 및 상기 값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을 구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저 지연 소비 메시지가 아님에 따라, 상기 패킷을 순차적 순서로 구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제어 메시지 페이로드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확장 정보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각각의 프래그먼트에 대한 상기 샘플 제공 시간 오프셋, 상기 부호, 및 상기 버전에 기반하는 상기 값에 기반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기기.
  8.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과 관련된 페이로드 및 헤더를 가진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되, 상기 헤더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 식별자, 상기 제어 메시지의 길이, 및 상기 제어 메시지의 버전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 것에 반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의 헤더들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페이로드 및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패킷의 디코딩 순서가 제공 순서와 동일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코딩 종속 구조 플래그;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프래그먼트들을 제공하기 위한 기본 오프셋을 나타내는 기본 제공 시간 오프셋;
    두 인터 코딩된 샘플들 사이의 기간;
    각각의 프래그먼트에 대한 샘플 제공 시간 오프셋의 부호; 및
    각각의 프래그먼트에 대한 상기 샘플 제공 시간 오프셋의 값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종속 구조 플래그가 상기 패킷의 디코딩 순서가 상기 제공 순서와 동일하다는 것을 지시함에 따라, 기본 제공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종속 구조 플래그가 상기 패킷의 디코딩 순서가 상기 제공 순서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지시함에 따라, 각각의 프래그먼트에 대한 상기 샘플 제공 시간 오프셋, 상기 부호, 및 상기 값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저 지연 소비 메시지가 아님에 따라, 상기 패킷을 순차적 순서로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제어 메시지 페이로드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확장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각각의 프래그먼트에 대한 상기 샘플 제공 시간 오프셋, 상기 부호, 및 상기 버전에 기반하는 상기 값에 기반하여 구성되는 방법.
  15.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통신하고,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과 관련된 페이로드 및 헤더를 가진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헤더는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 식별자, 상기 제어 메시지의 길이, 및 상기 제어기 메시지의 버전을 포함하는, 트랜시버, 및
    상기 메시지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가 상기 저 지연 소비 메시지인 것에 반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프래그먼트들의 헤더들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페이로드 및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67030454A 2014-03-31 2015-03-30 Mmt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저 지연 소비 시그날링 및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310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1518A KR102356956B1 (ko) 2014-03-31 2015-03-30 Mmt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저 지연 소비 시그날링 및 동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73097P 2014-03-31 2014-03-31
US61/973,097 2014-03-31
US201462005678P 2014-05-30 2014-05-30
US62/005,678 2014-05-30
US14/616,432 US10530828B2 (en) 2014-03-31 2015-02-06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and operation of low delay consumption of media data in MMT
US14/616,432 2015-02-06
PCT/KR2015/003116 WO2015152587A2 (en) 2014-03-31 2015-03-30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and operation of low delay consumption of media data in mm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518A Division KR102356956B1 (ko) 2014-03-31 2015-03-30 Mmt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저 지연 소비 시그날링 및 동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850A true KR20160142850A (ko) 2016-12-13
KR102310031B1 KR102310031B1 (ko) 2021-10-12

Family

ID=541918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684A KR102480751B1 (ko) 2014-03-31 2015-03-30 Mmt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저 지연 소비 시그날링 및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0167030454A KR102310031B1 (ko) 2014-03-31 2015-03-30 Mmt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저 지연 소비 시그날링 및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0217031518A KR102356956B1 (ko) 2014-03-31 2015-03-30 Mmt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저 지연 소비 시그날링 및 동작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684A KR102480751B1 (ko) 2014-03-31 2015-03-30 Mmt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저 지연 소비 시그날링 및 동작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518A KR102356956B1 (ko) 2014-03-31 2015-03-30 Mmt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저 지연 소비 시그날링 및 동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30828B2 (ko)
EP (1) EP3127289B1 (ko)
JP (3) JP6561067B2 (ko)
KR (3) KR102480751B1 (ko)
CN (2) CN107005497B (ko)
ES (1) ES2898632T3 (ko)
WO (1) WO201515258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6364B2 (en) 2012-10-15 2016-01-26 Regal Beloit America, Inc. Radially embedded permanent magnet rotor and methods thereof
JP6538324B2 (ja) * 2013-10-18 2019-07-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CN106572062B (zh) * 2015-10-10 2019-08-09 上海交通大学 一种异构媒体传输网络下的资源动态请求方法
CN109417515A (zh) * 2016-07-04 2019-03-0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处理互联网协议分组的方法、装置和系统
US10979784B1 (en) * 2019-12-02 2021-04-13 CodeShop, B.V. Track format for carriage of event message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5656B2 (en) * 2006-02-07 2012-1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rrangement and method for extended control plane signalling in a high speed packet data communication
WO2008129516A2 (en) * 2007-04-24 2008-10-30 Nokia Corporation Signaling of multiple decoding times in media files
US8155090B2 (en) 2007-11-01 2012-04-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multimedia delivery in a wireless packet network
US20110090851A1 (en) 2008-05-15 2011-04-2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Fragmented Packets on a Packet-Based Communication Network
CN107634961B (zh) * 2011-01-19 2021-09-0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广播系统中配置控制消息的装置及方法
WO2013042999A1 (ko) 2011-09-23 2013-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mt 시스템을 위한 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CN103947215B (zh) * 2011-09-23 2018-07-27 韩国电子通信研究院 传送媒体数据的方法和设备、接收媒体数据的设备和方法
WO2013055149A2 (ko) 2011-10-13 2013-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엠엠티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및 패킷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40132A (ko) * 2011-10-13 2013-04-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ip 네트워크를 통한 미디어 코덱에 독립적인 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995221B1 (ko) 2011-11-24 2019-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40369222A1 (en) * 2012-01-26 2014-1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estimating network jitter in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ded media data
KR20130108198A (ko) * 2012-03-23 2013-10-02 (주)휴맥스 Mmt 패키지화된 svc 비디오 콘텐츠의 하이브리드 전송 방법 및 수신 방법
ES2955327T3 (es) * 2012-04-25 2023-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dimiento de transmisión de datos en un sistema de transmisión multimedia
KR101501344B1 (ko) * 2012-05-02 201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08237A (ko) * 2012-07-10 2014-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엠엠티의 하이브리드 전송 서비스에서 패킷 전송 및 수신 장치 및 방법
JP5987517B2 (ja) * 2012-07-13 2016-09-07 株式会社大林組 耐火構造
KR102048480B1 (ko) * 2012-10-11 2020-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징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5641090B2 (ja) * 2013-03-14 2014-12-17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WO2014196336A1 (ja) * 2013-06-07 2014-12-11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伝送ストリームの送信方法および処理装置
EP3007450B1 (en) * 2013-06-07 2018-11-28 Saturn Licensing LLC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WO2014203871A1 (ja) * 2013-06-21 2014-12-24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受信装置
US20160373789A1 (en) * 2013-07-05 2016-12-22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JP6538324B2 (ja) * 2013-10-18 2019-07-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US9641831B2 (en) * 2013-10-28 2017-05-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media transport (MMT) signaling message for measurement configuration (MC) processing
JP6652320B2 (ja) * 2013-12-16 2020-02-1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102105567B1 (ko) * 2014-01-09 2020-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mt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9560421B2 (en) * 2014-03-27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and broadband hybrid service with MMT and DASH
JP6325122B2 (ja) * 2014-04-18 2018-05-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放送信号送信装置、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送信方法、及び放送信号受信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rk Kyungmo et al.,"Text of ISO/IEC 2nd CD 23008-1 MPEG Media Transport", MPEG 103 meeting (2013.02.07.)* *
Seo Kwang-deok et al., "A new timing model design for MPEG Media Transport (MMT)"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Broadband Multimedia Systems and Broadcasting, IEEE (2012.06.2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44458B2 (ja) 2020-08-19
US20150280874A1 (en) 2015-10-01
JP2017517919A (ja) 2017-06-29
EP3127289A4 (en) 2018-05-02
KR102480751B1 (ko) 2022-12-23
JP2019186964A (ja) 2019-10-24
KR20210125099A (ko) 2021-10-15
KR102356956B1 (ko) 2022-02-08
CN112637144B (zh) 2023-05-12
KR20220017000A (ko) 2022-02-10
CN107005497B (zh) 2020-12-25
EP3127289B1 (en) 2021-09-15
US10530828B2 (en) 2020-01-07
ES2898632T3 (es) 2022-03-08
WO2015152587A2 (en) 2015-10-08
WO2015152587A3 (en) 2017-05-04
CN112637144A (zh) 2021-04-09
KR102310031B1 (ko) 2021-10-12
JP2019186963A (ja) 2019-10-24
EP3127289A2 (en) 2017-02-08
CN107005497A (zh) 2017-08-01
JP6561067B2 (ja) 2019-08-14
JP6744459B2 (ja)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16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data delivery control
KR102306352B1 (ko) Mmtp 디캡슐화 버퍼의 시그날링 및 동작
JP6744458B2 (ja) メディアデータ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方法
KR20160139020A (ko) Mmt 및 dash를 이용한 브로드캐스트 및 브로드밴드 하이브리드 서비스
CN107223334B (zh) 用于将mmtp流转换为mpeg-2ts的方法和装置
JP6976276B2 (ja) レートペーシングのためにバッファを管理する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