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225B1 -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9225B1 KR102149225B1 KR1020190175950A KR20190175950A KR102149225B1 KR 102149225 B1 KR102149225 B1 KR 102149225B1 KR 1020190175950 A KR1020190175950 A KR 1020190175950A KR 20190175950 A KR20190175950 A KR 20190175950A KR 102149225 B1 KR102149225 B1 KR 1021492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coupled
- groove
- cutting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함, 배전반, 분전함 등에 연결되는 전선을 삽입을 통해 절연제의 피복을 벗겨내어 전기적으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함, 배전반, 분전함 등에 연결되는 전선을 삽입을 통해 절연제의 피복을 벗겨내어 전기적으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다른 전선과 연결하거나 단자함, 배전반, 분전함 등과 같은 소정의 장치에 다수개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 전선의 피복을 벗긴 후 노출된 심선을 삽입하여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이용하여 필요한 부분의 피복을 벗긴 후 노출된 심선을 연결하고 있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숙련자들도 심선의 손상 없이 얇은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기 위해 집중이 필요하며, 초심자들은 전선을 절단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전선 이음 커넥터"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단락된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도 공구 없이 전선이 통전될 수 있도록 신속하고 간편하며 견고하게 한 가닥 또는 복수 가닥 이상의 전선을 이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터미널은 커팅부의 경사각이 심선의 중심선과 직각을 이루지 못하여 절단력이 극대화되지 못하였고, 심선접속부도 일자 직립구조로 되어 있어 심선과의 접속면적이 최대화되지 못하였으며, 외측직립편의 폭넓이가 넓지 않아 심선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밀려 직립편이 벌어져 접소력을 약화시킴으로서 접촉저항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복이 절단된 위치에 그대로 위치함에 따라 심선의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접촉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복이 탈피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에 연결시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여 심선을 노출시켜 연결할 수 있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선을 삽입시 피복을 절단한 후 이동시켜 심선이 노출되는 면적을 확장하여 통신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된 전선이 외부의 힘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자함에 설치되어 통신배선이 접속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단자함의 내부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1연결부가 형성된 블록; 상기 블록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이 함몰된 삽입홈이 형성된 커넥터모듈;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에 연결되는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커팅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부의 양측 하단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팅모듈이 삽입되며, 상기 커팅모듈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을 가지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의 상단에서 상부를 향해 삼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재와, 상기 삽입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의 중앙부분을 상기 삽입부의 폭에 맞춰 개방되어 상기 전선이 유입되는 유입홈과, 상기 유입홈이 형성된 상기 돌출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상기 전선의 피복을 절단하는 커팅날과, 상기 유입홈이 형성된 상기 삽입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절단된 피복을 이동시키는 이동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함에 설치되어 통신배선이 접속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단자함의 내부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1연결부가 형성된 블록; 상기 블록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이 함몰된 삽입홈이 형성된 커넥터모듈;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에 연결되는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커팅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부의 일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커팅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커팅모듈은,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며, 상단부분에 제1힌지부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기 제1힌지부에 결합되는 제2힌지부가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상단과 측면 상단부분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상기 전선의 피복을 절단하는 커팅날과, 상기 이동판에 측면에서 상기 커팅날이 형성된 하단부분에 형성되어 절단된 상기 피복을 이동시키는 이동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함에 설치되어 통신배선이 접속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단자함의 내부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1연결부가 형성된 블록; 상기 블록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이 함몰된 삽입홈이 형성된 커넥터모듈;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에 연결되는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커팅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부의 타면 하단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커팅모듈이 삽입되며, 상기 커팅모듈은, 상기 삽입부의 일면에 밀착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 반호형상을 통해 탄성력이 발생하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의 타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판이 "R"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판의 중앙 하단에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반호형상의 홈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복을 절단하는 커팅날과, 상기 절곡판의 중앙하단에 형성되어 절단된 상기 피복을 이동시키는 이동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모듈은, 상기 블록의 다수개의 제1연결부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이 연결되는 상기 삽입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제2연결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삽입된 전선을 연결하는 연결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함에 설치되어 통신배선이 접속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단자함의 내부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1연결부가 형성된 블록; 상기 블록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이 함몰된 삽입홈이 형성된 커넥터모듈;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에 연결되는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커팅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부의 일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커팅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커팅모듈은,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며, 상단부분에 제1힌지부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기 제1힌지부에 결합되는 제2힌지부가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상단과 측면 상단부분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상기 전선의 피복을 절단하는 커팅날과, 상기 이동판에 측면에서 상기 커팅날이 형성된 하단부분에 형성되어 절단된 상기 피복을 이동시키는 이동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함에 설치되어 통신배선이 접속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단자함의 내부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1연결부가 형성된 블록; 상기 블록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이 함몰된 삽입홈이 형성된 커넥터모듈;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에 연결되는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커팅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부의 타면 하단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커팅모듈이 삽입되며, 상기 커팅모듈은, 상기 삽입부의 일면에 밀착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 반호형상을 통해 탄성력이 발생하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의 타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판이 "R"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판의 중앙 하단에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반호형상의 홈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복을 절단하는 커팅날과, 상기 절곡판의 중앙하단에 형성되어 절단된 상기 피복을 이동시키는 이동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모듈은, 상기 블록의 다수개의 제1연결부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이 연결되는 상기 삽입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제2연결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삽입된 전선을 연결하는 연결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피복이 탈피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에 연결시 커팅날을 통해 전선의 피복을 절단한 후 피복을 벗겨내어 심선의 연결핀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을 삽입시 피복을 절단한 후 이동시켜 심선이 노출되는 면적을 확장하여 통신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된 전선이 외부의 힘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팅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팅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팅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팅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팅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팅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팅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함, 배전반, 분전함 등에 연결되는 전선을 삽입을 통해 절연제의 피복을 벗겨내어 전기적으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단자함에 설치되어 통신배선이 접속시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여 심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블록(100), 커넥터모듈(200) 및 커팅모듈(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100)은 단자함(400)의 내부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1연결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모듈(200)은 상기 블록(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삽입부(201)와 상기 삽입부(201)의 내측면이 함몰된 삽입홈(202)이 형성된다.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202)에 연결되는 전선의 피복(510)을 제거한다.
이를 통해 상기 커넥터모듈(200)로 삽입되는 상기 전선(500)은 상기 커팅모듈(300)로 삽입 시 상기 커팅모듈(300)에 의해 상기 피복(510)을 제거한 후 심선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블록(100)의 양측단에는 단자함(400)의 내부에 구비된 패널(41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120)의 사이에 다수개의 제1연결부(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110)는 돌기(111)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돌기 사이에 연결홈(122)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연결홈(122)에 상기 전선(50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모듈(200)은 상기 블록(100)에 결합되어 상기 블록(100)에 결합된 상기 전선(500)과 상단에 결합된 전선(500)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본체(210), 제2연결부(220) 및 연결핀(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10)는 상기 블록(100)의 다수개의 제1연결부(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본체(210)는 하단에 상기 제1연결부(110)를 4~5개소에 결합되며, 상단에 제2연결부(220)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에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230)이 상기 제1연결부(110) 및 상기 제2연결부(220)의 갯수에 맞춰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220)는 상기 본체(210)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500)이 연결되는 상기 삽입부(201)가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연결부(220)는 상기 전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제1돌기(221), 제2돌기(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돌기(221)는 상기 본체(2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500)의 좌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500)이 밀착되는 일면에 상기 삽입부(20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돌기(221)의 상면에는 스티커, 도색 등을 통해 다양한 색상을 표시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돌기(222)는 상기 본체(2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500)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돌기(221)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되고 상기 전선(500)이 밀착되는 타면에 상기 삽입부(20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연결부(220)는 상기 제1돌기(221)와 상기 제2돌기(222) 사이에 "+"형상의 상기 삽입부(201)가 형성되어 하나의 전선을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돌기(221)와 상기 제2돌기(222)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부(201)에 상기 삽입홈(202)이 형성되어 상기 커팅모듈(300)을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돌기(221) 및 상기 제2돌기(222)의 상부면에는 상기 전선(5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 개방된 경사면(223)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삽입부(201)가 확장되어 상기 전선(50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핀(230)은 상기 본체(2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부(110) 및 상기 제2연결부(220)에 삽입된 상기 전선(500)을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핀(230)은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양끝단에 상기 전선이 접촉되는 접촉부(2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231)는 상기 전선이 중앙부분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230)은 상기 본체(2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연결부(110)에 연결된 상기 전선(500)과 상기 제2연결부(220)에 연결된 상기 전선(500)의 심선을 연결하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제2연결부(220)에 삽입된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제거하여 심선이 상기 연결핀(23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삽입부재(310), 돌출부재(311), 유입홈(312), 커팅날(320) 및 이동날(3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홈(202)은 상기 삽입부(201)의 양측 하단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팅모듈(300)이 삽입된다.
즉, 상기 삽입홈(202)은 상기 커팅모듈(300)의 삽입부재(310)가 삽입될 수 있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재(310)는 상기 삽입홈(202)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재(310)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핀(230)이 삽입되어 상기 전선(500)이 접촉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재(311)는 상기 삽입부재(310)의 상단에서 상부를 향해 삼각형상으로 돌출된다.
상기 유입홈(312)은 상기 삽입부재(310) 및 상기 돌출부재(311)의 중앙부분을 상기 삽입부(201)의 폭에 맞춰 개방되어 상기 전선(500)이 유입된다.
상기 커팅날(320)은 상기 유입홈(312)이 형성된 상기 돌출부재(311)의 끝단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절단한다.
상기 이동날(330)은 상기 유입홈(312)이 형성된 상기 삽입부재(3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절단된 상기 피복(510)을 이동시키는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제1연결부(110)의 상기 삽입홈(202)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모듈(300)에 의해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제거하는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블록(100)은 상기 단자함(400) 내에 설치된 상기 패널(410)에 결합되며, 용도에 맞춰 상기 전선(500)을 상기 제1연결부(110)에 연결한다.
이 후, 상기 연결핀(230) 및 상기 커팅모듈(300)이 결합된 상기 커넥터모듈(200)을 상기 전선(500)이 결합된 상기 블록(100)에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모듈(200)은 상기 블록(100)의 상기 제1연결부(110)를 4개소, 5개소에 맞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모듈(200)에 상기 전선(500)을 삽입하여 상기 제1연결부(110)의 상기 전선(500)과 상기 제2연결부(220)의 상기 전선(500)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110)에 상기 전선(500)을 삽입하면, 상기 유입홈(312)에 상기 전선(500)이 유입되며, 상기 돌출부재(311)가 상기 전선(500)과 먼저 접촉되어 상기 커팅날(320)에 의해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피복(510)이 절단된 상기 전선(500)은 상기 삽입부재(310)로 유입되면서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부재(310)가 수축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날(330)은 상기 피복(510)의 절단부분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부재(310)의 탄성에 의해 확장되어 상기 피복(510)을 이동시켜 상기 전선(500)의 심선이 노출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선(500)은 상기 제1연결부(110)에 삽입 시 상기 커팅모듈(300)에 의해 상기 피복(510)을 제거하여 심선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렇게 노출된 상기 전선(500)의 심선은 상기 연결핀(230)에 접촉되어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전선(500)을 상기 삽입부(201)에 삽입 시 상기 삽입홈(202)에 결합된 상기 커팅모듈(300)을 상기 피복(510)을 제거하여 상기 연결핀(230)에 심선을 간편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팅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홈(202) 및 상기 커팅모듈(300)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홈(202)은 상기 삽입부(201)의 일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커팅모듈(300)이 결합된다.
즉, 상기 삽입홈(202)은 상기 제1돌기(221) 및 상기 제2돌기(222)에 상기 삽입부(201)의 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삽입홈(202)에 결합되어 삽입되는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절단할 수 있도록 고정판(340), 이동판(3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340)은 상기 삽입홈(202)에 결합되며, 상단부분에 제1힌지부(341)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판(342)은 상기 고정판(340)의 제1힌지부(341)에 결합되는 제2힌지부(343)가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02)의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다.
즉, 상기 고정판(340)은 상기 삽입홈(202)에 결합되며, 상기 제1힌지부(341)에 상기 제2힌지부(343)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판(34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340)과 상기 이동판(342)은 상기 제1돌기(221) 및 상기 제2돌기(222)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선(500)의 양측에서 상기 피복(510)을 절단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판(342)은 상기 고정판(340)에 회전가능하며, 삽입된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절단한 후 이동시켜 심선이 노출될 수 있도록 커팅날(320)과 이동날(330)이 구비된다.
상기 커팅날(320)은 상기 이동판(342)의 상단과 측면 상단부분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절단한다.
상기 이동날(330)은 상기 이동판(342)의 측면에서 상기 커팅날(320)이 형성된 하단부분에 형성되어 절단된 상기 피복(510)을 이동시킨다.
즉, 상기 이동판(342)은 상기 삽입부(201)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전선(500)이 상기 이동판(342)의 상기 커팅날(320)에 접촉되어 상기 피복(510)이 절단한 후 상기 이동날(330)을 통해 이동시켜 상기 전선(500)의 심선을 노출시킨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제거한다.
먼저, 상기 블록(100)에 상기 전선(500)을 삽입한 후 상기 연결핀(230) 및 상기 커팅모듈(300)이 결합된 상기 커넥터모듈(200)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고정판(340)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동판(342)이 결합되어 상기 삽입홈(202)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모듈(200)의 제1돌기(221) 및 상기 제2돌기(222)의 상기 삽입홈(202)에 각각 상기 커팅모듈(300)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500)을 상기 삽입부(201)에 삽입시, 상기 이동판(342)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커팅날(320)에 의해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500)을 더 삽입하면, 상기 이동날(330)이 절단된 피복사이에 삽입되면서 상기 이동판(342)이 회전하여 상기 피복(510)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전선(500)에서 노출된 심선은 상기 연결핀(230)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선(500)을 상기 삽입부(201)에 삽입 시 상기 삽입홈(202)에 결합된 상기 커팅모듈(300)을 통해 상기 피복(510)을 제거하여 상기 연결핀(230)에 심선을 간편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모듈(300)에 의해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고정하여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전선(500)이 상기 삽입부(201)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팅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홈(202) 및 상기 커팅모듈(300)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홈(202)은 상기 삽입부(201)의 타면 하단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커팅모듈(3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삽입부(201)의 일면에 밀착되는 수직판(350)과, 상기 수직판(350)의 상단에 반호형상을 통해 탄성력이 발생하는 절곡판(351)과, 상기 절곡판(351)의 타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홈(202)에 삽입되는 삽입판(352)이 "R"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판(350)의 중앙 하단에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반호형상의 홈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복(510)을 절단하는 커팅날(320)과, 상기 절곡판(351)의 중앙하단에 형성되어 절단된 상기 피복(510)을 이동시키는 이동홈(33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판(350)에 형성된 상기 커팅날(320)을 통해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판(351)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는 상기 삽입판(352)에 형성된 상기 이동홈(331)이 상기 전선(500)의 절단된 상기 피복(510)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판(352)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상기 피복(510)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전선(500)이 상기 삽입부(201)에 삽입된 이후 상기 삽입부(201)에 삽입되어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절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선(500)이 상기 삽입부(201)에 삽입시킨 후 상기 수직판(350)이 상기 삽입부(201)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삽입한다.
이때, 상기 삽입판(352)은 상기 삽입부(201)의 타면에 밀착되어 상기 절곡판(351)의 탄성에 의해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201)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삽입부(201)에 삽입되면서 상기 수직판(350)에 형성된 커팅날(320)에 의해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절단과 동시에 상기 이동홈(331)이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고정한다.
이 후, 상기 삽입판(352)은 탄성에 의해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202)에 삽입되면 상기 절곡판(351)의 탄성에 의해 확장되면서 상기 이동홈(331)에 고정된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이동시켜 심선을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삽입부(201)에 상기 전선(500)이 삽입된 이후 삽입하며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절단 및 이동을 통해 심선을 노출시켜 상기 연결핀(230)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선(500)을 상기 삽입부(201)에 삽입 시 상기 삽입홈(202)에 결합된 상기 커팅모듈(300)을 통해 상기 피복(510)을 제거하여 상기 연결핀(230)에 심선을 간편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모듈(300)이 상기 삽입부(201)에 결합되어 상기 전선(500)이 외부의 힘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블록 110: 제1연결부 121: 돌기
122: 연결홈 120: 결합부재
200: 커넥터모듈 201: 삽입부 202: 삽입홈
210: 본체 220: 제2연결부
221: 제1돌기 222: 제2돌기
223: 경사면 230: 연결핀
231: 접촉부
300: 커팅모듈 310: 삽입부재 311: 돌출부재
312: 유입홈 320: 커팅날
330: 이동날 331: 이동홈
340: 고정판 341: 제1힌지부
342: 이동부재 343: 제2힌지부
350: 수직판 351: 절곡판
352: 삽입판
400: 단자함 410: 패널
500: 전선 510: 피복
122: 연결홈 120: 결합부재
200: 커넥터모듈 201: 삽입부 202: 삽입홈
210: 본체 220: 제2연결부
221: 제1돌기 222: 제2돌기
223: 경사면 230: 연결핀
231: 접촉부
300: 커팅모듈 310: 삽입부재 311: 돌출부재
312: 유입홈 320: 커팅날
330: 이동날 331: 이동홈
340: 고정판 341: 제1힌지부
342: 이동부재 343: 제2힌지부
350: 수직판 351: 절곡판
352: 삽입판
400: 단자함 410: 패널
500: 전선 510: 피복
Claims (5)
- 단자함에 설치되어 통신배선이 접속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400)의 내부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1연결부(110)가 형성된 블록(100);
상기 블록(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전선(500)이 연결되는 삽입부(201)와 상기 삽입부(201)의 내측면이 함몰된 삽입홈(202)이 형성된 커넥터모듈(200);
상기 삽입부(201)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202)에 연결되는 상기 전선(500)의 피복(510)을 제거하는 커팅모듈(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홈(202)은 상기 삽입부(201)의 양측 하단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팅모듈(300)이 삽입되며,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삽입홈(202)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을 가지는 삽입부재(310)와, 상기 삽입부재(310)의 상단에서 상부를 향해 삼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재(311)와, 상기 삽입부재(310) 및 상기 돌출부재(311)의 중앙부분을 상기 삽입부(201)의 폭에 맞춰 개방되어 상기 전선(500)이 유입되는 유입홈(312)과, 상기 유입홈(312)이 형성된 상기 돌출부재(311)의 끝단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절단하는 커팅날(320)과, 상기 유입홈(312)이 형성된 상기 삽입부재(3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절단된 상기 피복(510)을 이동시키는 이동날(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 - 단자함에 설치되어 통신배선이 접속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400)의 내부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1연결부(110)가 형성된 블록(100);
상기 블록(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전선(500)이 연결되는 삽입부(201)와 상기 삽입부(201)의 내측면이 함몰된 삽입홈(202)이 형성된 커넥터모듈(200);
상기 삽입부(201)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202)에 연결되는 상기 전선(500)의 피복(510)을 제거하는 커팅모듈(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홈(202)은 상기 삽입부(201)의 일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커팅모듈(300)이 결합되며,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삽입홈(202)에 결합되며, 상단부분에 제1힌지부(341)가 형성된 고정판(340)과, 상기 고정판(340)의 상기 제1힌지부(341)에 결합되는 제2힌지부(343)가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02)의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이동판(342)과, 상기 이동판(342)의 상단과 측면 상단부분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상기 전선(500)의 상기 피복(510)을 절단하는 커팅날(320)과, 상기 이동판(342)에 측면에서 상기 커팅날(320)이 형성된 하단부분에 형성되어 절단된 상기 피복(510)을 이동시키는 이동날(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 - 단자함에 설치되어 통신배선이 접속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400)의 내부에 결합되며, 전선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1연결부(110)가 형성된 블록(100);
상기 블록(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전선(500)이 연결되는 삽입부(201)와 상기 삽입부(201)의 내측면이 함몰된 삽입홈(202)이 형성된 커넥터모듈(200);
상기 삽입부(201)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202)에 연결되는 상기 전선(500)의 피복(510)을 제거하는 커팅모듈(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홈(202)은 상기 삽입부(201)의 타면 하단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커팅모듈(300)이 삽입되며,
상기 커팅모듈(300)은,
상기 삽입부(201)의 일면에 밀착되는 수직판(350)과, 상기 수직판(350)의 상단에 반호형상을 통해 탄성력이 발생하는 절곡판(351)과, 상기 절곡판(351)의 타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홈(202)에 삽입되는 삽입판(352)이 "R"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판(350)의 중앙 하단에 상기 전선(500)이 삽입되는 반호형상의 홈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복(510)을 절단하는 커팅날(320)과, 상기 절곡판(351)의 중앙하단에 형성되어 절단된 상기 피복(510)을 이동시키는 이동홈(33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 -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모듈(200)은,
상기 블록(100)의 다수개의 제1연결부(110)에 결합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500)이 연결되는 상기 삽입부(201)가 형성된 다수개의 제2연결부(220)와,
상기 본체(2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부(110) 및 상기 제2연결부(220)에 삽입된 상기 전선(500)을 연결하는 연결핀(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5950A KR102149225B1 (ko) | 2019-12-27 | 2019-12-27 |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5950A KR102149225B1 (ko) | 2019-12-27 | 2019-12-27 |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9225B1 true KR102149225B1 (ko) | 2020-08-28 |
Family
ID=72265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5950A KR102149225B1 (ko) | 2019-12-27 | 2019-12-27 |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922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5285A (ko) * | 1999-06-30 | 2001-01-15 | 이계철 | 터미날 블럭 |
KR100943203B1 (ko) | 2008-03-21 | 2010-02-25 | 이영환 | 전선 이음 커넥터 |
-
2019
- 2019-12-27 KR KR1020190175950A patent/KR1021492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5285A (ko) * | 1999-06-30 | 2001-01-15 | 이계철 | 터미날 블럭 |
KR100943203B1 (ko) | 2008-03-21 | 2010-02-25 | 이영환 | 전선 이음 커넥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88195B2 (en) | Transparent insulating enclosure | |
US11367985B2 (en) |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 |
US9627870B2 (en) | Electrical housing for electrical equipment | |
JPH10134862A (ja) | 2本の電気ケーブルを迅速に相互接続する方法及び装置 | |
GB2242080A (en) | Electrical connectors | |
US9768528B2 (en) | Power cable in-line power outlet | |
KR910006166B1 (ko) | 통신케이블와이어 접속장치 | |
JPS6326972A (ja) | 電線保持装置 | |
JPS6342385B2 (ko) | ||
US3393397A (en) | Terminal block | |
US4037906A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 | |
US6213808B1 (en) | Method of joining electrical conductors and an apparatus for practicing this method | |
KR102149225B1 (ko) | 피복 탈피가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접속단자 | |
JP3796516B2 (ja) | フレキシブルな電気コンダクタ | |
KR0113849Y1 (ko) | 슬롯형 단자 및 슬롯형 단자를 구비한 단자 블록 | |
KR101962621B1 (ko) |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 |
JPH07130409A (ja) | コネクタ装置並びにハウジング及び接続子 | |
EP2960699A1 (en) | Installation box having movable support member, and support member for use in installation box | |
US5725390A (en) | Electrical splice box | |
JP3156041B2 (ja) | コネクタ | |
EP0465098B1 (en) | A current supply device for a cable duct | |
KR200209880Y1 (ko) | 패치 플러그 | |
JP4364071B2 (ja) | 屋内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 | |
JP2963922B1 (ja) | コネクタ | |
JP2000277206A (ja) | ハーネスプラ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