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099B1 -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099B1
KR102149099B1 KR1020190041116A KR20190041116A KR102149099B1 KR 102149099 B1 KR102149099 B1 KR 102149099B1 KR 1020190041116 A KR1020190041116 A KR 1020190041116A KR 20190041116 A KR20190041116 A KR 20190041116A KR 102149099 B1 KR102149099 B1 KR 102149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xt
character
terminal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김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근 filed Critical 김봉근
Priority to KR102019004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099B1/ko
Priority to PCT/KR2019/008332 priority patent/WO2020080644A1/ko
Priority to US17/047,691 priority patent/US111324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이 개시된다. 단말기는 단말기 자체에 표시되거나 또는 외부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대해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문자 입력 방법은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될 언어 문자에 대응하는 제1 키 입력을 단말기에 입력받는 단계와, 단말기로 하여금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언어 문자의 형상이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표현되게 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모바일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면서 사용자들이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고받는 메시지의 양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메시지 작성의 편의를 위해 키보드의 키 배열을 변경하거나, 이모티콘을 키보드의 키 배열에 포함시키는 등 모바일 단말기의 키보드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SNS 어플리케이션의 유형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그런데, 대개 이러한 SNS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크기 및 모양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어느 특정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의 크기는 문자의 유형에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어느 특정한 문자를 입력하면서 해당 문자의 크기를 변경하여 강조하거나 부각시키기가 어렵다.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의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이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자체에 표시되거나 또는 외부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대해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될 언어 문자에 대응하는 제1 키 입력을 상기 단말기에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언어 문자의 형상이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표현되게 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은 문자들이 복수의 텍스트 행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는 문자 입력을 위한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은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를 기준으로 m줄 위로부터 n줄 아래에 이르는 텍스트 행들 중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m 및 n 은 각각 0 이상 및 50 이하의 정수로서, m과 n의 합이 1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 또는 n은 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은 연속되는 텍스트 행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게 하는 단계 이후에, 간격 표시에 대응하는 제2 키 입력을 상기 단말기에 더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2 키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의 각각의 텍스트 행에서 공백 유니코드 문자를 더 입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게 하는 단계 이후에, 삭제 표시에 대응하는 제3 키 입력을 상기 단말기에 더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3 키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상기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입력되었던 상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삭제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게 하는 단계 전에, 상기 언어 문자의 형상이 표현되게 하는 상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단말기에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표시부, 키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텍스트 행으로 문자들이 입력될 수 있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키 입력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될 언어 문자에 대응하는 제1 키 입력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언어 문자의 형상이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에 걸쳐 표현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은 연속되는 텍스트 행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키 입력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장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문자 입력 장치는 키 입력부, 접속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키 입력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될 언어 문자에 대응하는 제1 키 입력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될 문자를 상기 표시장치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언어 문자의 형상이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표현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표시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은 연속되는 텍스트 행들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의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 단말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의 단계 S13에서 입력될 수 있는 유니코드 문자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이 적용되어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되기 전의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이 적용되어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된 후의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단계 S13 이후에 더 포함될 수 있는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단계 S23이 수행된 이후의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단계 S13 이후에 더 포함될 수 있는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의미를 넘어서 맥락상 제안되거나 암시된 뉘앙스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 실시예에서"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등과 같은 문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지는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또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등과 같은 문구는 반드시 다른 실시예를 지칭할 수도 있고 지칭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및", "또는"이나 "및/또는"과 같은 용어는 그러한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 있는 다양한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문맥에 따라, 임의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단수의 의미로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특징,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복수의 의미로 기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 기초하여". "~에 반응하여", "~에 응답하여"라는 용어는 배타적인 요인의 집합을 전달할 의도가 아니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문맥에 따라 반드시 명시적으로 기술되지 않은 추가 요인의 존재를 허용할 수도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 단말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 단말기(100)는 키 입력부(10) 및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100)는 표시부(30),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부(40)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부(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들)에 대한 키 입력을 제공받는 부분이다.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은 키 입력부(10)에 대한 물리적이고 직접적인 입력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광학적 매체, 전기적 매체, 전자적 매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연결되는 별도의 중간 매개 장치를 통해 키 입력부(10)에 대한 물리적 입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키 입력이 제공되는 간접적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키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결과 값(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유니코드)을, 해당 결과 값이 입력될 인터페이스 객체(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 등)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단말기(100)가 모바일 단말기로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을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10)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키 입력에 대한 결과 값(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유니코드)을 인터페이스 객체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됨)와,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는 메모리(미도시됨) 등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단말기(100)의 제어부(20)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서버, 메인 프레임, 텔레비전, 게임 시스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카메라, 미디어 플레이어, 유선 키보드, 무선 키보드 등과 같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키 입력부(10)는 다양한 유형의 광학적 구성요소, 전기적 구성요소, 전자적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터치스크린은 상기 키 입력부(10)로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키보드 화면(115)의 키 배열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별도의 입력부(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등)(미도시됨)를 포함하거나, 도 5에서와 같이 단말기(100) 자체가 외부의 표시 장치(300)에 대해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이 가능한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의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상기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을 위한 접속부(도 1의 40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00)는 키 입력부(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키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표시하기 위한 외부의 표시 장치(300)에 대해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의 표시부(30) 또는 외부의 표시 장치(300)에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 대해,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에 따른 결과 값(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유니코드)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가 키 입력부(10), 제어부(20) 및 표시부(3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서 구현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키 입력부(10)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반응하여, 제어부(20)를 통해 표시부(30)의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 대해 소정의 결과 값(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유니코드)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가 키 입력부(10), 제어부(20) 및 무선 접속부(40)를 포함하는 무선 키보드로서 구현되고, 상기 무선 키보드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을 표시하는 외부의 표시 장치(300)에 대해 무선으로 접속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키 입력부(10)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무선 접속부(40)를 통해 상기 외부의 표시 장치(300)에(특히,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은 상기 무선 키보드의 키 배열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표시부(30) 또는 단말기(100)에 접속되는 외부의 표시 장치(300)는 소정의 화면(110)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면(110)에는 텍스트, 그림, 그래픽 객체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객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 객체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객체, 명령 라인 인터페이스(CLI) 객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객체에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00)가 유선/무선 접속부(40)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서버에 접속되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명령을 다운로드하거나 단말기(100) 상에 이를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100)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상기 인터페이스 객체를 포함하는 소정의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100)가 표시부(30)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화면(110) 상에, 텍스트가 입력될 수 있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가 접속되는 외부의 표시 장치(300)의 화면(110)에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입력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은 SNS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입력 창일 수 있다. 다만,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은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10)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텍스트 입력을 단말기(100) 또는 외부 표시 장치(300)의 화면(110) 상에 표시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인터페이스 객체일 수 있다.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는 복수의 언어 문자(language characters)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는 영어 알파벳 대문자, 영어 알파벳 소문자, 및/또는 그들의 조합이 입력될 수 있다. 그러나,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 입력될 수 있는 언어 문자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는 독일어 알파벳, 러시아어 알파벳, 스페인어 알파벳, 포르투갈어 알파벳, 네덜란드어 알파벳, 스웨덴어 알파벳, 그리스 알파벳, 태국어 알파벳, 아랍어 알파벳, 한글, 히라가나, 가타카나, 중국어 간체자, 일본어 약체자, 한자 정체자 등 다양한 언어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는 어느 한 나라의 언어 문자만 입력되거나, 2 이상 나라의 언어 문자가 혼용되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는 언어 문자가 아닌 유니코드 문자도 입력될 수 있다.
유니코드(Unicode)는 전세계의 모든 문자를 일관되게 표현하기 위해 도입된 산업 표준 코드 체계이다. 유니코드 문자(Unicode character)에는 언어 문자(letter)뿐만 아니라, 숫자, 발음기호, 심볼 등 다양한 문자(character)가 포함된다. 유니코드는 UTF-8, UTF-16, UTF-32 등 다양한 인코딩 방식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TF-16 인코딩 방식은 유니코드 문자를 최소한 16비트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시스템에서 텍스트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유니코드는 각각의 문자(character)에 대해 유일한 코드 포인트(code point), 즉, 코드 값(숫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유니코드는 어떠한 코드 포인트의 문자(character)를 나타낼 것인지에 대해 결정하고, 해당 문자(character)의 시각적 렌더링(크기, 모양, 스타일 등)은 대개, 어플리케이션(웹브라우저, 문서편집 프로그램,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SNS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코드 U+0041은 기본(basic) 라틴 알파벳 대문자 'A'를 나타낸다(여기서, U+ 뒤에 이어지는 숫자는 유니코드의 코드 포인트를 16진수 표현으로 나타낸 것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임). 이 경우, 대문자 'A'를 어떤 크기로, 어떤 모양으로, 어떤 색상으로 나타낼 것인지는 해당 유니코드가 텍스트 처리(즉, 입력되거나, 수정되는 등)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유니코드는 U+0000부터 U+10FFFF까지 범위의 1,114,112 개의 코드 포인트를 정의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유니코드는 1,114,112 개의 코드 포인트들로 구성되는 코드 공간(code space)을 정의한다. 코드 공간은 코드 포인트들의 16진수 표현에서 16의 4제곱 또는 그 이상에 해당하는 자릿수에 대응하는, 0hex(16진수)부터 10hex(16진수)까지의 총 17개의 코드 평면(code plane)을 가진다. 예를 들어, U+0000부터 U+FFFF 까지의 코드 포인트들은 첫번째 평면(plane zero)인 다국어 기본 평면(BMP, basic multilingual plane)에 속한다. 다국어 기본 평면의 코드 포인트들은 가장 자주 사용되는, 거의 대부분의 현대적인 언어 문자를 포함한다.
유니코드의 코드 공간을 구성하는 코드 평면은 블록(block)으로 더 세분될 수 있다. 블록(block)은 코드 평면 내에서 연속되는 코드 포인트들의 그룹으로 정의된다. 어떤 블록들은 이름이 명명될 수 있고, 어떤 블록들은 아직 이름이 명명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0000부터 U+007F까지의 코드 포인트들은 기본 라틴어(Basic Latin) 블록으로 그룹지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U+2580부터 U+259F까지의 코드 포인트들은 블록 형상을 가진 요소들(Block Elements)의 블록(block)으로 그룹지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U+25A0부터 U+25FF까지의 코드 포인트들은 기하학적 형상(Geometric Shapes)의 블록으로 그룹지어질 수 있다. 단말기(100) 또는 외부의 표시 장치(300)의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는 이처럼 다양한 유니코드 블록에 속하는 유니코드 문자들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은 2 이상의 텍스트 행이 입력될 수 있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 개행(new line) 문자(carriage return, line feed 등과 같은, 텍스트 행 구분자)가 입력되는 경우, 텍스트 줄 바꿈이 표시될 수 있다. 텍스트 줄 바꿈이 표시되는 경우, 개행 문자 전에 입력된 문자는 개행 문자 후에 입력된 문자와 서로 다른 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또는 이와 달리,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 입력되는 문자의 개수가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의 수평 방향 길이 내에서 표현 가능한 문자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텍스트 줄 바꿈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단말기(100)는 화면(110) 상에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과 구분되는, 키보드 영역(115)을 더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키보드 영역(115)에는 여러 언어들의 문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115k)들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 영역(115)에는 영어 알파벳에 대응하는 키들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 영역(115)에는 한글 자음이나 모음에 대응하는 키들이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키보드 영역(115)에 표시될 수 있는 키(115k)들이 대응하는 언어 문자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키보드 영역(115)에는 영어 알파벳, 독일어 알파벳, 러시아어 알파벳, 스페인어 알파벳, 포르투갈어 알파벳, 네덜란드어 알파벳, 스웨덴어 알파벳, 그리스 알파벳, 태국어 알파벳, 아랍어 알파벳, 한글, 히라가나, 가타카나, 중국어 간체자, 일본어 약체자, 한자 정체자 등 여러 언어들의 문자(language character)에 대응하는 키(115k)들이 표시될 수 있다.
키보드 영역(115)에 표시되는, 언어 문자에 대응하는 키(115k)들은, 기본(primary) 키 배열(115p)에 포함되거나, 보조(supplementary) 키 배열(115s)에 포함될 수 있다. 기본 키 배열(115p)은 사용자의 키 입력에 상관없이 키보드 영역(115)에 먼저 나타나는 키 배열을 의미하고, 보조 키 배열(115s)은 기본 키 배열의 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나타나는 키 배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영역(115)에 로마자 표기 방식의 일본어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배열이 표시되는 경우, 기본 키 배열(115p)에는 영어 알파벳 문자들이 표시되고, 보조 키 배열(115s)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어 알파벳 문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일본어 히라가나, 가타카나, 일본어 약체자 등(점선으로 도시됨)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 영역(115)에 로마자 표기 방식의 중국어 간체자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배열이 표시되는 경우, 기본 키 배열(115p)에는 영어 알파벳 문자들이 표시되고, 보조 키 배열(115s)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어 알파벳 문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중국어 간체자(미도시됨)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 영역(115)에는 기본 키 배열(115p)만 표시되거나, 기본 키 배열(115p)과 보조 키 배열(115s)이 동시에 표시되거나, 기본 키 배열(115p)이 먼저 표시되고나서 보조 키 배열(115s)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이상, 키 배열은 이러한 경우들(즉, 보조 키 배열(115s)이 더 표시되는 경우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키보드 영역(115)은 언어 문자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115k)들의 배열을 표시하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언어 문자를 더 표시하는 프리뷰(preview)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뷰 영역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입력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어 대문자 알파벳 'A', 영어 소문자 알파벳 'p', 영어 소문자 알파벳 'p'를 입력한 경우, 프리뷰 영역에는 입력된 키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들이 순차적으로 나열된 결과인 'App'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또는 이와 달리, 프리뷰 영역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에 대응하는 문자들의 조합된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글 자음 'ㅇ', 한글 모음 'ㅏ', 한글 자음 'ㄴ'에 각각 대응하는 키들을 입력한 경우, 프리뷰 영역에는 이들이 조합된 한글 문자인 '안'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리뷰 영역은 보조 키 배열(115s)의 키와 동일한 영역을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키보드 영역(115)에 로마자 표기 방식의 일본어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배열이 표시된 경우, 기본 키 배열(115p)의 키 입력에 따라 보조 키 배열(115s)에 나타나는 키들(점선으로 도시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프리뷰 영역과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키보드 영역(115)에 한글 자음 및 모음의 키 배열이 표시된 경우, 기본 키 배열(115p)의 키 입력에 따라 보조 키 배열(115s)에 나타나는 키들(점선으로 도시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프리뷰 영역과 일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언어 문자에 대응하는 제1 키 입력을 단말기에 입력받는 단계(S11), 및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언어 문자의 형상이 복수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표현되게 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단말기로 하여금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게 하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단계(S11)에서는 언어 문자에 대응하는 제1 키 입력을 단말기에 입력받을 수 있다. 언어 문자에 대응하는 제1 키 입력은, 하나의 키 입력이거나, 2 이상의 키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언어 문자가 영어 알파벳 문자인 경우, 상기 제1 키 입력은 영어 알파벳 문자에 대응하는 하나의 키에 대한 키 입력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예를 들어, 상기 언어 문자가 한글 '가'인 경우, 상기 제1 키 입력은 'ㄱ' 및 'ㅏ'를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들에 대한 키 입력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의 단계 S13에서 입력될 수 있는 유니코드 문자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S13)에서는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언어 문자의 형상이 복수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표현되게 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단말기로 하여금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언어 문자의 형상이 복수의 텍스트 행에 걸쳐 표현되게 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들은, 그 일부 또는 전체로서 상기 언어 문자의 형상이 여러 텍스트 행에 걸쳐 표현되게 하는 유니코드 문자들이다. 예를 들어, 제1 키 입력에 대응하는 언어 문자가 예컨대, 알파벳 'L'인 경우, 언어 문자 'L'에 대하여 미리 매칭된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 U+2588(즉, 속이 꽉 찬 사각 블록 형상에 대응하는 코드 포인트)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다수의 U+2588의 문자들이 적절한 개행 문자 및/또는 간격 문자와 함께 입력되면, 그 일부 또는 전체로서 알파벳 'L'이라는 형상을 갖도록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 입력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3개의 텍스트 행에 걸쳐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 U+2588의 문자들이 알파벳 'L'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이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 8에서와 같이, 얼마든지 다른 유니코드 문자들이 복수의 텍스트 행에 걸쳐 입력되게 설정함으로써, 알파벳 'L'의 형상을 음각(hollow), 양각(embossed), 3차원(3D) 등 다양한 형태로 복수의 텍스트 행에 걸쳐 나타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는 문자 입력이 가능한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가 표시될 수 있다.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는 예를 들어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점멸하는 바(bar)(도 9의 111c 참조)로 표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언어 문자의 형상이 복수의 텍스트 행에 걸쳐 표현되게 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는,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를 기준으로 m줄 위 내지 n줄 아래에 이르는 텍스트 행들 중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m 및 n 은 각각 0 이상 및 예컨대 50 이하의 정수로서, m과 n의 합이 1 이상인 정수들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m줄 위 내지 n줄 아래"의 표현에서, m 또는 n이 0인 경우 0(zero)줄 위 또는 아래라 함은,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가 위치되는 텍스트 행(도 9의 153 참조)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m이 0이고, n이 2인 경우, 도 7의 'L'을 나타내는 유니코드 문자들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 입력되기 전 및 후의 예시적인 구현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이 적용되어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되기 전의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이 적용되어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된 후의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계(S13)에서는,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 내에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가 위치한 텍스트 행(153)을 포함하여 그로부터 2줄 아래에 위치한 텍스트 행(155)까지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 U+2588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는 적절한 개행 문자 및/또는 간격 문자와 함께 입력되어, 알파벳 'L'의 형상을 표현하도록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텍스트 행(153)의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에서 유니코드 문자 U+2588 및 그 뒤에 개행 문자 U+000A가 입력되고, 그 뒤에 적절한 개수의 간격 문자 U+0020이 입력되며, 그 뒤에는 U+2588이 입력되고, 다시 개행 문자 U+000A가 입력되며, 그 뒤에는 다시 적절한 개수의 간격 문자 U+0020이 입력되고 그 뒤에 다시 3개의 U+2588 문자들이 입력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들이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에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유니코드 문자들은 예를 들어, 개별 유니코드 문자(character)가 적어도 하나씩 순차적으로 입력되거나, 또는 개별 유니코드 문자들의 연속된 문자열(string)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입력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계(S13)에서는,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 내에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가 위치한 텍스트 행(153)을 포함하여 그로부터 2줄 위에 위치한 텍스트 행(152a)까지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 U+2588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는 적절한 개행 문자 및/또는 간격 문자와 함께 입력되어, 알파벳 'L'의 형상을 표현하도록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는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가 위치한 텍스트 행(153)의 가장 앞에 위치한 문자(153f)의 앞에, 개행 문자, 간격 문자 등 적절한 유니코드 문자들을 함께 입력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에는 3개의 연속되는 유니코드 문자 U+2588이 입력되고,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가 위치한 텍스트 행(153)의 맨 앞에 위치한 문자(153f)의 앞에는, 적절한 개수의 간격 문자 U+0020, 유니코드 문자 U+2588, 줄바꿈 문자 U+000A, 적절한 개수의 간격 문자 U+0020, 유니코드 문자 U+2588, 및 줄바꿈 문자 U+000A가 더 입력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들이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에 또는 그 뒤에 소정의 유니코드 문자들을 입력시킬 뿐만 아니라,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의 앞에서 적절한 위치(예컨대, 해당 줄의 가장 앞 문자의 직전 위치)에 소정의 유니코드 문자들을 더 입력시킴으로써,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를 기준으로 m줄 위(m 및 n은 각각 0 이상 및 예컨대 50이하의 정수이고, m+n은 1 이상인 정수)에 걸쳐서도 언어 문자의 형상이 표현되게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계(S13)에서는,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 내에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가 위치한 텍스트 행(153)을 포함하여 그로부터 1줄 아래에 위치한 텍스트 행(154)까지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 U+2588, U+25E2, U+25E3, U+25E4, U+25E5 등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는 적절한 개행 문자 및/또는 간격 문자와 함께 입력되어, 알파벳 'u'의 형상을 표현하도록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에 순차적으로, 유니코드 문자 U+2588, 적절한 개수의 간격 문자 U+0020, 유니코드 문자 U+2588, 개행 문자 U+000A, 적절한 개수의 간격 문자 U+0020, 유니코드 문자 U+25E5, 및 2개의 유니코드 문자 U+2588이 입력되게 함으로써, 2개의 텍스트 행(153 내지 154)에 걸쳐 알파벳 'u'의 형상이 표현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언어 문자의 형상을 표현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된 후의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는 얼마든지 다양한 위치에 놓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서, 알파벳 'u'의 형상을 표현하게 하는 유니코드 문자들이 입력된 후,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는 텍스트 행(153)의 맨 끝 위치에 놓이거나, 텍스트 행(154)의 맨 끝 위치에 놓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가 다양한 위치에 놓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1 키 입력에 대응한 언어 문자의 형상이,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를 기준으로 m줄 위 내지 n줄 아래(m 및 n은 각각 0 이상 및 예컨대 50 이하의 정수이고, m과 n의 합이 1 이상인 정수)에 걸쳐 표현되게 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단계(S13) 또는 단계(S11) 전에는, 언어 문자의 형상을 표현하게 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의 유니코드 문자를, 단말기에 입력받는 단계(S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단계(S10)에서 단말기에 대한 입력은 단말기(100) 또는 외부의 표시 장치(300)에 표시되는 여러 후보 유니코드 문자들 중 하나 이상을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선택하는 방식과 같은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어 문자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한 유니코드로서 사용자로부터 U+2588을 선택 입력받는 경우, 제1 키 입력으로서 예컨대 알파벳 'L'을 단말기에 입력받으면, 도 7에서와 같은 유니코드 문자들에 의해 알파벳 'L'의 형상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언어 문자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한 유니코드로서 사용자로부터 U+1F604을 선택 입력 받는 경우, 제1 키 입력으로서 예컨대 알파벳 'L'을 단말기에 입력받으면, 도 8에서와 같은 유니코드 문자들에 의해 알파벳 'L'의 형상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계(S13)에서는,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 내에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가 위치한 텍스트 행(153)의 1줄 아래의 텍스트 행(154)으로부터 3줄 아래의 텍스트 행(156)까지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 U+1F604이 적절한 개수의 개행 문자 및/또는 간격 문자와 함께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에 순차적으로, 개행 문자 U+000A, 유니코드 문자 U+1F604, 개행 문자 U+000A, 유니코드 문자 U+1F604, 개행 문자 U+000A, 3개의 연속된 유니코드 문자 U+1F604가 입력되게 함으로써, 3개의 텍스트 행(154 내지 156)에 걸쳐 알파벳 'L'의 형상이 표현되게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계(S13)에서는,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 내에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가 위치한 텍스트 행(153)으로부터 4줄 아래의 텍스트 행(157)까지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 U+2588이 적절한 개수의 개행 문자 및/또는 간격 문자와 함께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유니코드 문자들에 의해 표현되는 언어 문자의 형상은 불연속적인 행들에서의 유니코드 문자들의 입력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텍스트 행(153)의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에서 순차적으로, 유니코드 문자 U+2588, 개행 문자 U+000A, 개행 문자 U+000A, 적절한 개수의 간격 문자 U+0020, 유니코드 문자 U+2588, 개행 문자 U+000A, 개행 문자 U+000A, 적절한 개수의 간격 문자 U+0020, 3개의 유니코드 문자 U+2588이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에 입력되게 함으로써, 5개의 텍스트 행(153 내지 157)에 걸쳐 알파벳 'L'의 형상이 표현되게 할 수 있다.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단계 S13 이후에 더 포함될 수 있는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도 6의 단계(S13) 이후에, 간격 표시에 대응하는 제2 키 입력을 단말기에 입력받는 단계(S21), 및 제2 키 입력에 반응하여,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되는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의 각각의 행에 대해, 단말기로 하여금 적어도 1개의 공백 유니코드 문자를 입력하게 하는 단계(S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1)에서는 예를 들어, 도 2의 간격 표시에 대응하는 키(space key)(115w)에 대한 키 입력이 단말기에 입력될 수 있다. 이때, 간격 표시에 대응하는 키 입력은,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표시된 키 배열(115) 중의 어느 특정한 키(예를 들어, 스페이스 키)에 대한 키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가 키보드 등의 별도의 키 입력부(10)를 포함하거나 단말기(100) 자체가 키보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간격 표시에 대응하는 키 입력은 이러한 키보드에 포함된 어느 특정한 키(예를 들어, 스페이스 키)에 대한 키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3)에서는 간격 키(115w)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반응하여, 단계(S13)에서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되었던 텍스트 행들의 각 행에 대해, 단말기(100)로 하여금 1개 이상의 공백 유니코드 문자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백 유니코드 문자는 간격 문자 U+0009, U+0020, U+2000 등과 같이, 공백(whitespace)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유니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23)에서는 공백 유니코드 문자가 하나씩 상기 텍스트 행들(단계(S13)에서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된 텍스트 행들)의 각 행에 입력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공백 유니코드 문자가 상기 텍스트 행들의 각 행에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둘 이상의 공백 유니코드 문자는 여러 번 반복되는 단일한 공백 유니코드 문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코드 포인트를 갖는 여러 개의 공백 유니코드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백 유니코드 문자는 예를 들어, 단계(S13)에서 입력된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 중 개행 문자(예컨대, U+000A)의 직전 위치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13)에서 도 10과 같이 알파벳 'L'을 표현하는 유니코드 문자들이 입력된 경우, 단계(S23)에서는 텍스트 행(153 및 154)에서 개행 문자가 입력된 위치의 직전 위치와, 현재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에 공백 유니코드 문자가 더 삽입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공백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다만, 통상의 기술자는 이때 삽입되는 공백 유니코드 문자가 반드시 개행 문자의 바로 직전에 삽입될 필요는 없으며, 개행 문자의 앞에서 공백을 표시하기 위해 삽입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얼마든지 적절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공백 유니코드 문자의 삽입을 위해, 단말기(100)는 단계(S23) 또는 단계(S21) 이전에,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의 전체 문자열 또는 적어도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 주변(앞 및/또는 뒤)의 문자열에서 어떤 문자들이 위치하는지 또는 몇 개의 문자들이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 내에서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111c)를 기준으로 그보다 앞선 또는 뒤따르는 문자들을 확인하여, 개행 문자(U+000A 등)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판단함으로써, 공백 유니코드 문자가 삽입될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단계 S23이 수행된 이후의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 내에 단계(S13)에서 알파벳 'L'을 나타내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된 다음, 단계(S23)에서 공백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되어 소정의 간격(160)이 표현되며, 다시 알파벳 'L'을 나타내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들이 입력된,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이 도시되었다. 이때, 간격(160)은 적어도 둘 이상의 텍스트 행에서 하나 이상의 공백 유니코드 문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160)에 의해, 단일한 텍스트 행에서 문자와 문자 사이의 공백이 입력되는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복수의 텍스트 행에 걸쳐 표현되는 언어 문자들(즉,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들) 사이의 공백이 입력될 수 있다.
도 17은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단계 S13 이후에 더 포함될 수 있는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도 6의 단계(S13) 이후에, 삭제 표시에 대응하는 제3 키 입력을 단말기에 입력받는 단계(S31), 및 제3 키 입력에 반응하여, 복수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제1 키 입력에 따른 언어 문자를 표현하도록 입력된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단말기로 하여금 삭제하게 하는 단계(S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1)에서는, 단말기(100)가 예를 들어, 도 2의 삭제 표시에 대응하는 키(backspace key)(115b)에 대한 키 입력을 단말기에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삭제 표시에 대응하는 키 입력은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화면 상에 표시된 키 배열(115) 중의 어느 특정한 키(예를 들어, 백스페이스 키)에 대한 키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가 별도의 키보드 등의 키 입력부를 포함하거나 단말기(100) 자체가 키보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삭제 표시에 대응하는 키 입력은 상기 키보드에 포함된 어느 특정한 키(예를 들어, 백스페이스 키)에 대한 키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3)에서는 삭제 키(115b)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반응하여, 단계(S13)에서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되었던 텍스트 행들의 각 행에 대해, 단말기(100)로 하여금 직전 키 입력에 의해 입력되었던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삭제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31) 직전에 도 10에서와 같이 알파벳 'L'을 표현하는 유니코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경우, 단계(S33)에서는 이처럼 알파벳 'L'을 표현하는 유니코드 문자들이 삭제될 수 있고, 그 결과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는 도 9와 같은 텍스트 문자들이 남아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31) 직전에 도 16에서와 같이 알파벳 'L'을 표현하는 유니코드 문자들이 소정의 간격(160)을 두고 두 번 입력된 경우, 단계(S33)에서는 직전에 입력된 알파벳 'L'을 표현하는 유니코드 문자들이 삭제될 수 있고, 삭제 키(115b)에 대한 키 입력이 한 번 더 입력되는 경우, 간격(160)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백 유니코드 문자들이 삭제되어, 도 10에서와 같은 문자들이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 남아있을 수 있다.
이러한 직전 유니코드 문자들의 삭제는, 예를 들어, 각각의 텍스트 행에서 알파벳 'L'을 표현하는 유니코드 문자들의 시작 위치 및 끝 위치를 소정의 변수(들)(예를 들어, 문자열 인덱스 저장 변수)에 미리 저장해둔 다음, 상기 변수(들)를 참조하여 각 텍스트 행에서 상기 끝 위치로부터 상기 시작 위치까지 '직전 한 글자 삭제(통상적인 키보드 또는 터치스크린의 키 배열에서 수행되는 백스페이스 키 또는 딜리트 키의 삭제 기능)'를 반복 실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전 유니코드 문자를 삭제하는 함수의 의사코드(pseudo-code)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Function deleteUnicodes
Variable startIndexAtTextLines = [startIndexAtTextLine1, startIndexAtTextLine2, ...]
Variable endIndexAtTextLines = [endIndexAtTextLine1, endIndexAtTextLine2, ...]
Loop startIndexAtTextLines[eachLine] to endIndexAtTextLines[eachLine]
deleteOneCharacter()
End Loop
End Function
여기서, startIndexAtTextLines 및 endIndexAtTextLines는 각각의 텍스트 행에서 직전에 입력된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들의 시작 위치 및 끝 위치를 각각 저장하는 변수들로서, 어레이 타입(array type)을 가질 수 있다. 한편, deleteOneCharacter()는 통상적인 키보드 또는 터치스크린의 키 배열에서 수행되는 백스페이스(backspace) 또는 딜리트(delete) 키의 삭제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의 호출을 나타낸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직전 유니코드 문자들의 삭제 방식이 이러한 의사코드에 한정되지 않고, 얼마든지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111)에 입력된 모든 텍스트 문자들을 삭제한 후, 삭제될 유니코드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텍스트 문자들만을 재입력하는 방식 등과 같이, 직전 입력된 유니코드 문자들의 삭제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각각의 유니코드 문자가 하나의 문자 타입(character typ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복수의 유니코드들은 문자 타입들의 배열(array)이나, 문자열 타입(string type)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의 구현이 배열 또는 문자열의 타입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문자 타입으로 구현되는 유니코드를 여러 개 포함하여 저장 및/또는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타입 등과 같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기를 이용하여,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되는 글자의 형상을, 유니코드 문자들의 그룹을 통해 2 이상의 텍스트 행에 걸쳐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되는 글자의 스타일, 모양 등을 유니코드 문자들의 그룹을 통해 2 이상의 텍스트 행에 걸쳐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다양하게 언어 문자의 형상을 표현하는 유니코드 문자들의 그룹을 입력하는 방법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만 적용되도록 구성되거나, 이와 함께 또는 이와 별도로, 유니코드 문자 그룹에 포함된 유니코드가 입력될 수 있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인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의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확장 프로그램(application extension)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 상에서 작동하는 호스트(host)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확장 프로그램에 대해 단말기(100)의 운영체제 또는 커널 등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의 요청(request)(예를 들어, 키 입력 등)이 전달되면, 해당 요청에 대한 처리를 상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확장 프로그램이 수행하고, 수행된 결과를 다시 호스트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방식 등으로 문자 입력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확장 프로그램이 적용(conform)될 수 있는 임의의 호스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인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의 운영체제 상에서 작동하는 시스템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의 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운영체제 상에서 작동하는 통상적인 키보드 인터페이스 모듈에 부가되는, 선택적인 키보드 인터페이스 모듈의 일 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표시 장치를 갖는 외부의 컴퓨팅 장치(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등)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 가능한 키보드인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키보드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된 결과(예를 들어, 키 입력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니코드)를 상기 외부의 컴퓨팅 장치에 전달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현 예들은 예시적인 것일뿐,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의 구현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이상에 설명된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PC 전용 또는 모바일 단말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어플리케이션 확장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미도시됨)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 배포 시스템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이 포함된 파일을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단말기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드웨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프로그래머블 로직 유닛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장치는 운영체제(OS)를 실행시키고, 상기 운영체제 상에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장치는 상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프로세싱 장치가 복수의 프로세싱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싱 장치를 구성시키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상기 프로세싱 장치에 명령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상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해석되거나, 상기 프로세싱 장치에 명령하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싱 장치에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한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 또는 저장 매체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10: 키 입력부
20: 제어부
30: 표시부
40: 유선/무선 접속부
100: 단말기
110: 화면
111: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
115: 키보드 영역
115p: 기본 키 배열
115k: 키
115s: 보조 키 배열

Claims (15)

  1.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자체에 표시되거나 또는 외부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대해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될 언어 문자에 대응하는 제1 키 입력을 상기 단말기에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언어 문자의 형상이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표현되게 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은 문자들이 복수의 텍스트 행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는 문자 입력을 위한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은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위치를 기준으로 m줄 위로부터 n줄 아래에 이르는 텍스트 행들 중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을 포함하고,
    m 및 n 은 각각 0 이상 및 50 이하의 정수로서, m과 n의 합이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m 또는 n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은 연속되는 텍스트 행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게 하는 단계 이후에,
    간격 표시에 대응하는 제2 키 입력을 상기 단말기에 더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2 키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가 입력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의 각각의 텍스트 행에서 공백 유니코드 문자를 더 입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게 하는 단계 이후에,
    삭제 표시에 대응하는 제3 키 입력을 상기 단말기에 더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3 키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상기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입력되었던 상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삭제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게 하는 단계 전에,
    상기 언어 문자의 형상이 표현되게 하는 상기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단말기에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문자 입력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복수의 텍스트 행으로 문자들이 입력될 수 있는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부;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될 언어 문자에 대응하는 제1 키 입력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언어 문자의 형상이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에 걸쳐 표현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은 연속되는 텍스트 행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키 입력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4.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장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문자 입력 장치로서,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될 언어 문자에 대응하는 제1 키 입력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키 입력부;
    상기 텍스트 입력 가능 영역에 입력될 문자를 상기 표시장치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제1 키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언어 문자의 형상이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에 걸쳐 표현되는 복수의 유니코드 문자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표시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텍스트 행들은 연속되는 텍스트 행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KR1020190041116A 2018-10-14 2019-04-09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149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116A KR102149099B1 (ko) 2019-04-09 2019-04-09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PCT/KR2019/008332 WO2020080644A1 (ko) 2018-10-14 2019-07-08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17/047,691 US11132497B2 (en) 2018-10-14 2019-07-08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116A KR102149099B1 (ko) 2019-04-09 2019-04-09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099B1 true KR102149099B1 (ko) 2020-08-27

Family

ID=7223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116A KR102149099B1 (ko) 2018-10-14 2019-04-09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306B1 (ko) * 2022-07-06 2022-11-25 김봉근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538A (ko) * 2004-09-21 2006-03-24 주식회사 디앤에코 서체패턴 구성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43711A (ko) * 2013-05-20 2015-12-2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538A (ko) * 2004-09-21 2006-03-24 주식회사 디앤에코 서체패턴 구성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43711A (ko) * 2013-05-20 2015-12-2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306B1 (ko) * 2022-07-06 2022-11-25 김봉근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17763A1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 device
JPH05134797A (ja) ダイナミツク予測キーボード及びそのキーボードを操作する方法
CN112965781A (zh) 一种处理页面的方法和装置
KR102149099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11132497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KR102126831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9909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CN106168880B (zh) 一种输入控制的方法及终端
KR101319948B1 (ko)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2138434B1 (ko) 문자 입력 방법
CN111670426B (zh) 具有多语言支持的触摸屏用户界面
JP2014165920A (ja) 日本語入力装置
KR102670162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471306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EP2894547B1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of character input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H0785027A (ja) 文書編集装置
KR100862242B1 (ko) 단어 검색 방법
KR101653102B1 (ko) 단순화된 쿼티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기호 문자 입력 방법
CN105373235B (zh) 一种输入变音符号字母的方法
CN117666815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英文输入法
CN107643915A (zh) 一种智能终端的界面切换方法及界面切换系统
JP6467732B1 (ja) 鍵盤入力電子機器の入力方式
US20200019307A1 (en) Symbol input device and symbol input control method
KR20240064404A (ko) 멀티 키보드를 표시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20160069292A (ko) 패턴을 이용한 슬라이딩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