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054B1 - 철골추락방지망 - Google Patents

철골추락방지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054B1
KR102149054B1 KR1020200063370A KR20200063370A KR102149054B1 KR 102149054 B1 KR102149054 B1 KR 102149054B1 KR 1020200063370 A KR1020200063370 A KR 1020200063370A KR 20200063370 A KR20200063370 A KR 20200063370A KR 102149054 B1 KR102149054 B1 KR 10214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frame
n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기
Original Assignee
김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기 filed Critical 김한기
Priority to KR102020006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물방지망 및 철골추락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물건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상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작업자의 미숙으로 인한 추락사고를 방지하지 하기 위한 낙하물방지망; 및 구조물 시공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구조물 시공에 있어서 낙하되는 물건에 의해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철골추락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골추락방지망{steel fall prevention net}
본 발명은 철골추락방지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공구 또는 건설에 사용되는 물건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전을 예방하며, 작업자의 미숙으로 인한 추락사고를 방지하며, 구조물 시공시 작업자의 추락 방지와 시공시 낙하되는 물건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을 예방하기 위한 낙하물방지망 및 철골추락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공사 현장에서 물체가 떨어질 위험이 있는 경우, 낙하방지망을 설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 규정에 따르면, 낙하방지망은 건물의 벽면에서 2미터 이상 바깥으로 돌출 되어 10미터 높이마다 설치되어야 하고, 수평면과 20°~ 3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모든 고층 건물의 공사 현장에서 낙하방지망이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현재 설치되고 있는 낙하방지망의 구조와 형태는 다양하며, 가장 일반적인 낙하방지망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비계에 낙하방지망을 고정시키는 형태이다.
비계는 고공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해 파이프나 나무 등을 사용하여 건물의 벽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임시구조물로, 비계 고정형 낙하방지망은 건물의 벽면과 비계 사이로 작업자나 공구 등의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의 발코니 턱에 지지브라켓을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지지 브라켓이 작업자의 동선에 노출됨으로 인해 작업에 지장을 초래 할 수 있으며, 발코니 턱에 물려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구조적인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124583호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공구 또는 건설에 사용되는 물건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전을 예방하는 구성과, 작업자의 미숙으로 인한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구성과, 구조물 시공시 작업자의 추락 방지와 시공시 낙하되는 물건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을 예방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건물 밖으로 돌출되는 방지망이 층높이에 따라 조절되도록 하여 고층에서 공구 등이 낙하되는 거리를 넓게하여 예방폭을 넓혀주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방지망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간격을 조절하여 낙하되는 공구 또는 미숙으로 인해 추락되는 작업자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건물의 발코니 측으로 작업자가 근접하는 경우 자동으로 안전펜스가 펼쳐지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물건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상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작업자의 미숙으로 인한 추락사고를 방지하지 하기 위한 낙하물방지망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낙하물방지망은, "ㄱ"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콘크리트단 상면에 안착되며 타측은 콘크리트단 측면 측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고정플레이트를 콘크리트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플레이트 일측면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스크류; 고정스크류의 회전이동시 콘크리트단 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고정스크류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 망지지대를 일정 각도록 회전시키기 위해 고정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힌지; 고정힌지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는 망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스토퍼; 일측이 고정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일정 각도록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망지지대; 고정힌지에 삽입되어 망지지대가 결합되도록 망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힌지고정돌기; 낙하되는 작업공구에 의해 지상에서의 작업자의 안전을 예방하며, 미숙으로 인해 추락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망지지대 간의 연결 형성되는 낙하물방지망을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낙하물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는, 시공되는 건물의 층마다 건물 밖으로 돌출되는 낙하물방지망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낙하물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낙하물조절수단은, 건물 밖측으로 가변되어 돌출되도록 고정플레이트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길이조절부재; 길이조절부재를 가변시키기 위해 길이조절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길이조절실린더; 길이조절부재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이 고정플레이트 상부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이 길이조절부재 양측으로 형성되는 각도조절부재; 길이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각도조절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각도조절모터; 길이조절실린더와 각도조절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낙하물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는, 부주위로 인해 낙하되는 낙하물의 무게를 지지하고, 낙하물방지망을 지지하는 망지지대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복수의 망지지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건물 발코니 단턱 상부로 발코니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레일; 이동레일을 따라 망지지대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일측이 이동레일에 슬라이드 되도록 안착결합되며, 타측은 망지지대가 연결 형성되는 레일부재; 망지지대의 일측이 연결되어 레일부재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레일부재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대고정힌지; 지지대고정힌지에 의해 회전되는 망지지대를 일정 각도로 고정시키기 위해 레일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부재스토퍼; 망지지대 간의 간격을 감지하기 위해 망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간격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낙하물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는, 건물의 밖 근처로 진입하는 작업자를 감지하여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근접알림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근접알림수단은, 발코니 단턱 상부로 형성되는 안전펜스함; 안전펜스함을 발코니 단턱에 고정하기 위해 안전펜스함 하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함고정대; 안전펜스함을 발코니 단턱에 고정하기 위해 함고정대를 관통하여 발코니 단턱에 고정되는 함고정앵커; 근접센서에 의해 작동되도록 안전펜스 내부로 형성되는 방지펜스; 작업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해 안전펜스함 일측으로 형성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알림수단은, 근접 신호를 제공받아 실린더 작동으로 안전펜스함 내부의 방지펜스를 승하강시키 위한 실린더수단; 및 근접 신호를 제공받아 탄성에 의해 방지펜스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수단은, 안전펜스의 승하강을 가이드 하기 위해 안전펜스함 내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가이드; 방지펜스를 승하강하기 위해 안전펜스함 내부 바닥측으로 일측이 안전펜스함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방지펜스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패널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방지펜스를 탄성력에 의해 상승시키기 위해 안전펜스함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탄성스프링;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승된 방지펜스를 눌러 안전펜스함에 위치시켜 고정되도록 안전펜스함 내부 일측 또는 안전펜스함 상부 일측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탄성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 시공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구조물 시공에 있어서 낙하되는 물건에 의해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철골추락방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철골추락방지망은, 구조물 시공에 있어서 낙하되는 물건에 의해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히기 위해 망고정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추락방지망; 추락방지망을 망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해 망고정프레임 상면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망고정핀; 추락방지망이 고정되도록 시공 구조물 간에 형성되는 망고정프레임을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철골추락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는, 롤 형태로 권취된 권취안전망이 자동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개폐수단은, 프레임이동바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철골구조물에 고정되는 개폐프레임; 일측과 타측이 바연결벨트에 연결되어 개폐프레임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프레임이동바; 바연결벨트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개폐프레임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바이동기어; 프레임이동바가 이동되도록 바이동기어 간의 연결 형성되는 바연결벨트; 바이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개폐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이동기어에 연결 형성되는 바회전모터; 프레임이동바에 권취되어 일측이 개폐프레임에 고정되어 프레임이동바의 이동시 권출되며, 초기위치로 복귀시 프레임이동바에 권취되도록 형성되는 권취안전망을 포함하며, 상기 철골추락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는, 접혀져 구비되는 텐션방지망이 양측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탄성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개폐수단은, 사각의 틀로 형성되어 철골구조물에 고정 형성되는 개폐고정틀; 개폐작동틀이 개폐고정틀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일측이 개폐고정틀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폐작동틀 일측에 고정 형성되는 개폐스프링; 개폐고정틀 측으로 접히는 개폐작동틀이 개폐스프링에 의해 자동 펼쳐지지 않도록 개폐작동틀 일측에 형성되는 안전핀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개폐고정틀 일측으로 형성되는 안전핀스토퍼; 개폐고정틀과 개폐작동틀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 개폐고정틀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접촉센서; 개폐고정틀을 기준으로 개폐작동틀이 회전됨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개폐고정틀과 개폐작동틀이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폐힌지; 개폐고정틀을 기준으로 양측 또는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개폐고정틀 일측에 개폐힌지를 통해 연결 형성되는 개폐작동틀; 안전핀스토퍼의 작동시 핀이 삽입되도록 개폐작동틀 일측으로 안전핀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안전핀홈; 개폐고정틀과 개폐작동틀 상에 각각 형성되는 텐션방지망을 포함하며, 상기 철골추락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는, 망 고정시 상호 반대측으로 당겨 일정 텐션을 갖도록 고정하기 위한 망텐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망텐션고정수단은, 철골 구조물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텐션고정부재; 텐션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텐션고정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고정회전핀; 고정회전핀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망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회전핀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회전핀구동모터; 고정회전핀의 회전이 완료되는 경우 작업자에게 완료상태를 알려주도록 텐션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료램프; 고정회전핀의 회전으로 인해 고정되는 망의 텐션을 감지하기 위해 고정회전핀 일측으로 형성되는 텐션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공구 또는 건설에 사용되는 물건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전을 예방하며, 작업자의 미숙으로 인한 추락사고를 방지하며, 구조물 시공시 작업자의 추락 방지와 시공시 낙하되는 물건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건물 밖으로 돌출되는 방지망이 층높이에 따라 조절되도록 하여 고층에서 공구 등이 낙하되는 거리를 넓게하여 예방폭을 넓혀줌으로 작업자가 안심하고 지상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심리적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방지망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간격을 조절하여 낙하되는 공구 또는 미숙으로 인해 추락되는 작업자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건물의 발코니 측으로 작업자가 근접하는 경우 자동으로 안전펜스가 펼쳐지도록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 및 철골추락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낙하물방지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낙하물조절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간격조절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근접알림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 및 철골추락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철골추락방지망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개폐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탄성개폐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망텐션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100) 및 철골추락방지망(500)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10)에 대한 낙하물방지망(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낙하물방지망(100)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물건이 시공중인 건물 밖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여 지상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에게 낙하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함이며, 또한, 작업자의 미숙으로 인한 건물밖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낙하물방지망(100)은 고정플레이트(110), 고정스크류(111), 밀착부재(112), 고정힌지(120), 회전스토퍼(121), 망지지대(130), 힌지고정돌기(131), 낙하물방지망(1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0)는 "ㄱ"형태로 형성되어 콘크리트단 측면 즉, 콘크리트의 발코니 측의 단턱에 고정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는 단턱 상면에 접촉되어 일측에서 밀착부재(112)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스크류(111)는 고정플레이트(110)를 콘크리트 단턱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스크류(111)는 고정플레이트(110) 일측면에서 나사결합방식으로 관통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스크류(111)는 콘크리트 단턱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며, 고정스크류(111)의 회전으로 밀착부재(112)가 콘크리트 단턱 측으로 밀착되어 고정플레이트(110)가 콘크리트 단턱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112)는 고정스크류(111)의 회전이동시 콘크리트 단턱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부재(112)는 고정스크류(111) 일측에 형성되어 고정스크류(111)가 고정플레이트(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나사부위에 결합되어 회전됨으로 고정스크류(111)가 고정플레이트(110)를 기준으로 콘크리트 단턱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스크류(111) 일측에 형성되는 밀착부재(112)가 콘크리트 단턱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힌지(120)는 망지지대(130)를 고정플레이트(110)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힌지(120)는 고정플레이트(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힌지(120)는 일측이 고정플레이트(110) 상면 일측에 고정 형성되며, 고정힌지(120) 상에 망지지대(130)가 결합되어 망지지대(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스토퍼(121)는 회전되는 망지지대(13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스토퍼(121)는 고정플레이트(1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스토퍼(121)는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망지지대(130)가 설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스토퍼(121)는 망지지대(130)가 회전스토퍼(121)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회전스토퍼(121)가 작동되어 스토퍼핀이 돌출되어 망지지대(13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지지대(130)는 낙하물방지망(140)을 고정하며, 낙하되는 낙하물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망지지대(130)는 일측이 고정힌지(120)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지지대(130)는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바와 사이에 연결을 위한 연결바가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고정돌기(131)는 고정힌지(120)에 삽입되어 망지지대(13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고정돌기(131)는 망지지대(130) 일측에서 관통삽입되어 고정힌지(120)에 결합된 망지지대(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낙하물방지망(140)은 그물형태로 형성되어 일정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낙하물방지망(140)은 낙하되는 작업공구가 지상 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며, 미숙으로 인한 작업자의 추락시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낙하물방지망(140)은 건물의 외벽 측인 콘크리트 단턱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망지지대(13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낙하물방지망(140)이 망지지대(130)에 안착시 고정끈이나 고정핀 등으로 망지지대(130)에 낙하물방지망(140)이 고정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100)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1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낙하물조절수단(20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낙하물조절수단(200)은 시공되는 건물의 층마다 건물 밖으로 돌출되는 낙하물방지망(140)의 길이와 낙하물방지망(140)의 펼쳐진 상태에서의 층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낙하물조절수단(200)은 길이조절부재(210), 길이조절실린더(211), 각도조절부재(220), 각도조절모터(221), 조절제어수단(230)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210)는 건물 밖으로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길이조절부재(210)는 낙하물방지망(140)이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망지지대(130)를 대체하는 것으로, 규격이 지정된 망지지대(130)를 대체하여 낙하물방지망(140)의 설치 폭과 넓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키기 위해 가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재(210)는 1단, 2단, 3단 등 가변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고정플레이트(110) 상부 일측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조절실린더(211)는 길이조절부재(210)를 가변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길이조절실린더(211)는 길이조절부재(210) 내부로 형성되며, 길이조절실린더(211)의 일측이 고정플레이트(110) 상부에 고정 형성되며, 길이조절실린더(211)의 실린더 축은 가변되는 길이조절부재(210)의 최종 가변측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220)는 길이조절부재(21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수동으로 각도를 조절하는 망지지대(130)를 대체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조절제어수단(230)에 입력되는 조절각도에 따라 각도조절부재(220)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220)는 일측이 고정플레이트(110) 상면에 고정 형성되며, 타측은 길이조절부재(210) 양측으로 형성되도록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모터(221)는 길이조절부재(210)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도조절모터(221)는 길이조절부재(210) 양측으로 형성되는 각도조절부재(2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절제어수단(230)에 입력되는 각도의 값에 따라 각도조절모터(221)가 작동되어 설정되는 각도만큼 길이조절부재(21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제어수단(230)은 길이조절실린더(211)와 각도조절모터(221)를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제어수단(230)은 고정플레이트(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제어수단(230)은 길이조절부재(210)의 가변정보를 입력하며, 길이조절부재(210)의 회전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며, 입력되는 각 정보에 따라 길이조절부재(210)가 길이와 각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100)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1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간격조절수단(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은 부주위로 인해 낙하되는 낙하물의 무게를 지지하고, 낙하물방지망(140)을 지지하는 망지지대(130)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은 이동레일(310), 레일부재(320), 지지대고정힌지(321)(120), 부재스토퍼(330), 간격센서(34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레일(310)은 복수의 망지지대(130)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레일(310)은 콘크리트의 단턱 즉, 발코니 단턱 상부로 발코니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레일(310)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발코니 단턱에 밀착되어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부재(320)는 이동레일(310)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부재(320)는 일측으로 고정되는 망지지대(1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부재(320)는 일측이 레일부재(320) 상에 안착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재(320)의 타측은 레일부재(320) 일측에 망지지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고정힌지(321)(120)는 망지지대(130)가 레일부재(320)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고정힌지(321)(120) 일측은 레일부재(320) 상면에 고정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망지지대(130)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고정힌지(321)(120)는 망지지대(130)가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되며, 부재스토퍼(330)에 의해 망지지대(13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스토퍼(330)는 회전되는 망지지대(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부재스토퍼(330)는 회전되는 망지지대(130)가 부재스토퍼(330)에 접촉됨에 따라 부재스토퍼(330)가 작동되어 스토퍼핀이 돌출되어 망지지대(130)를 고정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스토퍼(330)는 레일부재(3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센서(340)는 망지지대(130) 간의 간격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간격센서(340)는 망지지대(130) 일측으로 형성되어 타측의 망지지대(130)를 센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센서(340)로부터 감지되는 감지정보를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빛으로 알려줌으로 망지지대(130) 간의 간격이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100)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1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근접알림수단(40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근접알림수단(400)은 건물의 밖 근처로 작업시 진입하는 작업자를 감지하여 방지펜스(413)가 작동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접알림수단(400)은 안전펜스함, 함고정대(411), 함고정앵커(412), 방지펜스(413), 근접센서(420)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펜스함은 발코니 단턱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발코니 단턱에 함고정앵커(412)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고정대(411)는 안전펜스함이 발코니 단턱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함고정대(411)는 안전펜스함 하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 양측 사이에 발코니 단턱이 삽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고정앵커(412)는 발코니 단턱에 안착된 안전펜스함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함고정앵커(412)는 함고정대(411) 일측에서 발코니 단턱 측면 측으로 관통삽입하여 안전펜스함이 발코니 단턱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지펜스(413)는 근접센서(420)에 의해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지펜스(413)는 안전펜스함 내부에서 실린더수단(440) 또는 탄성수단(450) 중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접센서(420)는 작업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실린더수단(440) 측 또는 탄성수단(450) 측 중 어느 하나의 수단 측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근접센서(420)는 안전펜스함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접센서(420)에 의해 작업자 접근감지시 소리를 통해 경고하도록 알람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접알림수단(400)은 실린더수단(440), 탄성수단(450)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수단(440)은 방지펜스(413)를 실린더를 통해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수단(440)은 승하강가이드(441), 패널실린더(422)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가이드(441)는 방지펜스(413)가 흔들림없이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가이드(441)는 안전펜스함 내부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실린더(422)는 방지펜스(413)를 승하강가이드(441)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실린더(422)는 일측이 안전펜스함 내부 바닥측에 고정되며 패널실린더(422)의 실린더 축은 방지펜스(413)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450)은 탄성스프링(45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방지펜스(413)가 상승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450)은 탄성스프링(451), 탄성스토퍼(45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스프링(451)은 방지펜스(413)를 탄성력에 의해 상승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스프링(451)은 안전펜스함 내부 바닥면에 복수개 형성되며, 방지펜스(413)에 의해 눌려진 탄성스프링(451)이 탄성스토퍼(452)의 작동으로 핀이 제거됨과 동시에 압축된 탄성스프링(451)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방지펜스(413)를 밀어 상승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스토퍼(452)는 방지펜스(413)를 탄성스프링(451) 측으로 눌러 탄성스프링(451)이 압축될때, 방지펜스(413)가 안전펜스함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탄성스토퍼(452)의 작동시 핀이 방지펜스(413) 측으로 돌출되어 방지펜스(413)가 고정됨에 따라 탄성스프링(451)이 압축상태가 되며, 탄성스토퍼(452)의 재작동시 핀이 탄성스토퍼(452) 내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탄성스프링(451)의 탄성력에 의해 방지펜스(413)가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스토퍼(452)는 안전펜스함 상부 일측 또는 안전펜스함 내부 일측 중 어느 한 곳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접알림수단은 방지펜스를 승하강시키는 패널실린더와 탄성스토퍼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수단(미도시)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수단은 사용자가 발코니 단턱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근접센서로 감지하여 감지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감지정보를 제공받는 시점부터 촬영이 진행되도록 하여 방지펜스가 적절한 시점에서 작동되었는지와 실시간 상태를 확인 및 기록이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은 저장되거나, 실시간으로 상황실 즉, 관리자 측으로 제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100) 및 철골추락방지망(500)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10)에 대한 철골추락방지망(500)의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철골추락방지망(500)은 구조물의 시공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며, 구조물 시공시 낙하되는 물건 즉, 시공에 사용되는 공구가 지상에서 작업중인 작업자 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골추락방지망(500)은 추락방지망(510), 망고정핀(520), 망고정프레임(530)을 포함한다.
상기 추락방지망(510)은 낙하되는 공구 또는 작업자가 지상으로 추락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추락방지망(510)은 망고정프레임(530)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락방지망(510)은 격자의 그물형태로 형성되며 일정 탄성을 갖도록 하여 일정 텐션을 통해 무게가 가해지는 경우 쉽게 끈어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고정핀(520)은 추락방지망(510)을 망고정프레임(53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망고정핀(520)은 망고정프레임(530) 상면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고정프레임(530)은 추락방지망(5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망고정프레임(530)은 시공되는 구조물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조물 간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100)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1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개폐수단(6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개폐수단(600)은 롤 형태로 권취 형성되는 권취안전망(630)이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자동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개폐수단(600)은 개폐프레임(610), 프레임이동바(620), 바이동기어(621), 바연결벨트(622), 바회전모터(623), 권취안전망(630)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프레임(610)은 프레임이동바(620)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프레임(610)은 철골구조물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프레임(610)은 철골구조물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프레임이동바(620)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수평을 이루도록 한쌍으로 형성되거나,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이동바(620)는 개폐프레임(610)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이동바(620)는 일측과 타측이 개폐프레임(610)에 형성되는 바연결벨트(62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이동바(620)는 체인방식 또는 벨트방식 또는 기어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되며 이에 맞는 바연결벨트(6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동기어(621)는 바연결벨트(622)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이동기어(621)는 개폐프레임(610)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바이동기어(621) 간에 바연결벨트(622)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연결벨트(622)는 프레임이동바(620)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바이동기어(621) 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연결벨트(622)는 바이동기어(621)의 회전으로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회전모터(623)는 바이동기어(621)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회전모터(623)는 개폐프레임(610)의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바이동기어(621) 중 어느 하나의 바이동기어(621)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안전망(630)은 프레임이동바(620)에 권취되도록 형성되며, 프레임이동바(620)의 이동시 권취안전망(630)이 권출되어 개폐프레임(610) 상에 권취안전망(630)이 펼쳐지도록 형성되며, 권취됨으로 개폐프레임(610) 상에서 권취안전망(630)이 제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100)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1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탄성개폐수단(7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개폐수단(700)은 2단 또는 3단 등으로 접혀진 상태로 구비되는 텐션방지망(730)이 양측 또는 일측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개폐수단(700)은 개폐고정틀(710), 개폐스프링(711), 안전핀스토퍼(712), 접촉센서(713), 개폐힌지(714), 개폐작동틀(720), 안전핀홈(721), 텐션방지망(730)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고정틀(710)은 사각의 틀로 형성되어 철골구조물에서 탈부차 가능하도록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스프링(711)은 개폐작동틀(720)이 개폐고정틀(710) 상에서 일측 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스프링(711)은 일측이 개폐고정틀(710)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폐작동틀(7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개폐스프링(711)은 힌지방식으로 형성되어 스프링에 의해 접혀진 개폐작동틀(720)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는 것이다.
상기 안전핀스토퍼(712)는 개폐고정틀(710) 측으로 접히는 개폐작동틀(720)이 개폐스프링(711)에 의해 자동 펼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전핀스토퍼(712)는 개폐고정틀(7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핀스토퍼(712)는 개폐작동틀(720) 일측으로 형성되는 안전핀홈(721)에 핀이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개폐작동틀(720)이 개폐고정틀(710)에 접혀진 상태에서는 안전핀홈(721)에 핀이 삽입되도록 안전핀스토퍼(712)가 작동되며, 개폐고정틀(710)에서 개폐작동틀(720)이 펼쳐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안전핀스토퍼(712)가 작동되어 안전핀홈(721)에서 핀이 제거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센서(713)는 개폐고정틀(710)과 개폐작동틀(720)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것으로, 상기 접촉센서(713)는 개폐고정틀(7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며, 접촉센서(713)로부터 감지되는 감지정보는 안전핀스토퍼(712) 측으로 제공하여 핀이 안전핀홈(721)에 삽입되도록 돌출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힌지(714)는 개폐고정틀(710)을 기준으로 개폐작동틀(7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힌지(714)는 일측이 개폐고정틀(710)에 고정되며, 타측이 개폐작동틀(72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작동틀(720)은 개폐고정틀(710)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측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작동틀(720)은 개폐힌지(714)에 의해 개폐고정틀(710)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핀홈(721)은 개폐작동틀(720)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개폐작동틀(720)이 개폐고정틀(710)에 접힘시 개폐고정틀(710)에 형성되는 안전핀스토퍼(7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핀홈(721)은 개폐작동틀(720)이 개폐고정틀(710) 측으로 접힘시 안전핀스토퍼(712)에서 핀이 삽입수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방지망(730)은 개폐고정틀(710)과 개폐작동틀(72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방지망(730)은 일정 텐션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그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 낙하물방지망(100)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1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망텐션고정수단(8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망텐션고정수단(800)은 망 고정시 상호 반대측으로 망을 당겨 망이 일정 텐션을 갖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텐션고정수단(800), 텐션고정부재(810), 고정회전핀(820), 회전핀구동모터(830), 완료램프(840), 텐션감지센서(850)을 포함한다.
상기 텐션고정부재(810)는 철골구조물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고정부재(810)는 고정회전핀(820)이 결합되어 고정회전핀(820)이 텐션고정부재(81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고정부재(810)는 철골구조물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볼트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회전핀(820)은 망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회전핀(820)은 텐션고정부재(810)에 결합되어 일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상세하게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고정회전핀(820)에 망이 걸치도록 형성되며, 고정회전핀(820)이 망의 반대측으로 90도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핀구동모터(830)는 고정회전핀(820)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핀구동모터(830)는 텐션고정부재(810) 일측에 형성되어 모터축이 텐션고정부재(810)를 관통하여 고정회전핀(820)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회전핀구동모터(830)의 회전시 고정회전핀(820)이 일측방향으로 9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핀구동모터(830)의 작동은 텐션감지센서(850)로부터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료램프(840)는 고정회전핀(820)의 회전이 완료되는 경우 작업자에게 완료상태를 알려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료램프(840)는 텐션고정부재(8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각각의 텐션고정부재(810)에서 완료램프(840)에 완료가 점등되는 경우 망의 설치가 완벽하게 설치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감지센서(850)는 망의 텐션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감지센서(850)는 고정회전핀(8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정회전핀(820)이 일측으로 회전됨으로 망을 당김에 있어 당겨지는 망의 압력을 감지하여 텐션이 생성됨을 알수 있도록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텐션감지센서(850)를 통해 감지되는 감지정보는 회전핀구동모터(830) 측으로 제공하여 고정회전핀(8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추락방지장치 P : 단턱
M : 철골구조물
100 : 낙하물방지망 110 : 고정플레이트
111 : 고정스크류 112 : 밀착부재
120 : 고정힌지 121 : 회전스토퍼
130 : 망지지대 131 : 힌지고정돌기
140 : 낙하물방지망
200 : 낙하물조절수단 210 : 길이조절부재
211 : 길이조절실린더 220 : 각도조절부재
221 : 각도조절모터 230 : 조절제어수단
300 : 간격조절수단 310 : 이동레일
320 : 레일부재 321 : 지지대고정힌지
330 : 부재스토퍼 340 : 간격센서
400 : 근접알림수단 410 : 안전펜스함
411 : 함고정대 412 : 함고정앵커
413 : 방지펜스
420 : 근접센서 430 : 알람
440 : 실린더수단 441 : 승하강가이드
442 : 패널실린더 450 : 탄성수단
451 : 탄성스프링 452 : 탄성스토퍼
500 : 철골추락방지망 510 : 추락방지망
520 : 망고정핀 530 : 망고정프레임
600 : 자동개폐수단 610 : 개폐프레임
620 : 프레임이동바 621 : 바이동기어
622 : 바연결벨트 623 : 바회전모터
630 : 권취안전망
700 : 탄성개폐수단 710 : 개폐고정틀
711 : 개폐스프링 712 : 안전핀스토퍼
713 : 접촉센서 714 : 개폐힌지
720 : 개폐작동틀 721 : 안전핀홈
730 : 텐션방지망
800 : 망텐션고정수단 810 : 텐션고정부재
820 : 고정회전핀 830 : 회전핀구동모터
840 : 완료램프 850 : 텐션감지센서

Claims (2)

  1. 구조물 시공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구조물 시공에 있어서 낙하되는 물건에 의해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철골추락방지부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골추락방지망은,
    구조물 시공에 있어서 낙하되는 물건에 의해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히기 위해 망고정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추락방지망;
    추락방지망을 망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해 망고정프레임 상면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망고정핀;
    추락방지망이 고정되도록 시공 구조물 간에 형성되는 망고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철골추락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는,
    롤 형태로 권취된 권취안전망이 자동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개폐수단은,
    프레임이동바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철골구조물에 고정되는 개폐프레임;
    일측과 타측이 바연결벨트에 연결되어 개폐프레임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프레임이동바;
    바연결벨트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개폐프레임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바이동기어;
    프레임이동바가 이동되도록 바이동기어 간의 연결 형성되는 바연결벨트;
    바이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개폐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이동기어에 연결 형성되는 바회전모터;
    프레임이동바에 권취되어 일측이 개폐프레임에 고정되어 프레임이동바의 이동시 권출되며, 초기위치로 복귀시 프레임이동바에 권취되도록 형성되는 권취안전망을 포함하며,
    상기 철골추락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는,
    접혀져 구비되는 텐션방지망이 양측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탄성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개폐수단은,
    사각의 틀로 형성되어 철골구조물에 고정 형성되는 개폐고정틀;
    개폐작동틀이 개폐고정틀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일측이 개폐고정틀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폐작동틀 일측에 고정 형성되는 개폐스프링;
    개폐고정틀 측으로 접히는 개폐작동틀이 개폐스프링에 의해 자동 펼쳐지지 않도록 개폐작동틀 일측에 형성되는 안전핀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개폐고정틀 일측으로 형성되는 안전핀스토퍼;
    개폐고정틀과 개폐작동틀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 개폐고정틀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접촉센서;
    개폐고정틀을 기준으로 개폐작동틀이 회전됨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개폐고정틀과 개폐작동틀이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폐힌지;
    개폐고정틀을 기준으로 양측 또는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개폐고정틀 일측에 개폐힌지를 통해 연결 형성되는 개폐작동틀;
    안전핀스토퍼의 작동시 핀이 삽입되도록 개폐작동틀 일측으로 안전핀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안전핀홈;
    개폐고정틀과 개폐작동틀 상에 각각 형성되는 텐션방지망을 포함하며,
    상기 철골추락방지망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는,
    망 고정시 상호 반대측으로 당겨 일정 텐션을 갖도록 고정하기 위한 망텐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망텐션고정수단은,
    철골 구조물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텐션고정부재;
    텐션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텐션고정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고정회전핀;
    고정회전핀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망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회전핀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회전핀구동모터;
    고정회전핀의 회전이 완료되는 경우 작업자에게 완료상태를 알려주도록 텐션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료램프;
    고정회전핀의 회전으로 인해 고정되는 망의 텐션을 감지하기 위해 고정회전핀 일측으로 형성되는 텐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철골추락방지부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
  2. 삭제
KR1020200063370A 2020-05-27 2020-05-27 철골추락방지망 KR102149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370A KR102149054B1 (ko) 2020-05-27 2020-05-27 철골추락방지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370A KR102149054B1 (ko) 2020-05-27 2020-05-27 철골추락방지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054B1 true KR102149054B1 (ko) 2020-08-27

Family

ID=7223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370A KR102149054B1 (ko) 2020-05-27 2020-05-27 철골추락방지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0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2416A (zh) * 2022-03-30 2022-08-19 中铁广州工程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爬模上用于防止物体掉落的防掉装置
KR102503087B1 (ko) * 2022-08-09 2023-02-23 (주)네오이앤씨 타워크레인용 추락방지 안전 네트장치 및 그 설치구조
CN117889809A (zh) * 2024-03-18 2024-04-16 山西省财政税务专科学校 一种计算机用辅助轮廓扫描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10A (ko) * 1996-07-09 1998-04-30 이동만 안전망 개폐장치
KR0124583Y1 (ko) 1994-12-23 1998-10-15 박광수 커튼형 개폐식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583Y1 (ko) 1994-12-23 1998-10-15 박광수 커튼형 개폐식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막
KR980009710A (ko) * 1996-07-09 1998-04-30 이동만 안전망 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2416A (zh) * 2022-03-30 2022-08-19 中铁广州工程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爬模上用于防止物体掉落的防掉装置
KR102503087B1 (ko) * 2022-08-09 2023-02-23 (주)네오이앤씨 타워크레인용 추락방지 안전 네트장치 및 그 설치구조
CN117889809A (zh) * 2024-03-18 2024-04-16 山西省财政税务专科学校 一种计算机用辅助轮廓扫描系统
CN117889809B (zh) * 2024-03-18 2024-05-17 山西省财政税务专科学校 一种计算机用辅助轮廓扫描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257B1 (ko) 낙하물방지망
KR102149054B1 (ko) 철골추락방지망
US4856615A (en) Safety net arrangement for multi-floor buildings under construction, and method
CA2838259C (en) Scaffold system
KR101457578B1 (ko) 보일러용 공중 비계 및 그 조립방법
AU2016306542B2 (en) Deck for scaffold
KR102165298B1 (ko) 고소 작업용 사다리의 안전난간
KR102560658B1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AU2012243421A1 (en) Adjustable safety barrier system
GB2427433A (en) Climbing guardrail protection system for scaffolding towers
KR101982334B1 (ko) 고소작업대용 입식 천막장치
KR102468707B1 (ko) 실시간 작업자 안전장치
KR20220048897A (ko)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
EP1795671A1 (en) Scaffolding platform with folding hooks
KR20050090795A (ko) 수직 구조물 안전진단 촬영 시스템
KR102186318B1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KR102024881B1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KR102498807B1 (ko) 작업자 안전구조물
KR102446293B1 (ko) 사다리차 탑승장치
KR101796138B1 (ko)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 승강장치
KR102446299B1 (ko) 고소작업대탑승장치
AU2014101174A4 (en) Safety Barrier
US5749438A (en) Safety device for emergency exits
US20240060319A1 (en) Temporary perimeter containmen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