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886B1 -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886B1
KR102148886B1 KR1020180166637A KR20180166637A KR102148886B1 KR 102148886 B1 KR102148886 B1 KR 102148886B1 KR 1020180166637 A KR1020180166637 A KR 1020180166637A KR 20180166637 A KR20180166637 A KR 20180166637A KR 102148886 B1 KR102148886 B1 KR 102148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mming
voice
voltage
contro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277A (ko
Inventor
문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비텍
Priority to KR1020180166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8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detecting audible 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따라 디밍용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디밍 제어부, 상기 디밍용 제어전압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디밍 컨버터부, 및 상기 구동전류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LED램프부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VOICE RECOGNITION LED DIMMING CONVERTER}
본 발명은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음성을 통해 LED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불을 발견하면서 어두운 밤에도 밝은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이러한 밝은 환경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조명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전의 조명 장치는 광원으로 백열등과 형광등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기술 개발을 통해 요즈음에는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고 있다. LED는 조도가 높으면서도 소비 전력은 적고,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최근 대부분의 조명 장치는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LED를 이용한 조명 기구는 현재까지도 구조적이나 기능적으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능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기술 중 하나가 디밍 동작이다. 디밍 동작은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점멸하는 방식으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아주며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해 주는 역할이 가능하다.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은 음성 제어를 통해 디밍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디밍 컨버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LED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전압 및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따라 디밍용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디밍 제어부; 상기 디밍용 제어전압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디밍 컨버터부; 및 상기 구동전류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LED램프부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위치를 포함하며 스위칭 동작에 따라 온/오프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밍 컨버터는 상기 온/오프 제어전압과 상기 디밍용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밍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음성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디지털 정보를 기저장된 기능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음성 분석부; 및 상기 음성 분석부의 출력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펄스 폭을 가지는 상기 디밍용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분석부는, 상기 기저장된 기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 정보와 상기 디지털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밍 동작시 상기 디밍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밍 컨버터부는, 상기 온/오프 제어전압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라인 필터부; 상기 라인 필터부로 출력되는 상기 상용전원을 정류하여 맥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맥류전원을 입력받는 제1 제어회로에 의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스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맥류전원을 변압변류하여 역률이 개선된 정격전원을 출력하는 역률개선부; 상기 트랜스에서 유기되는 출력 전원을 직류화하기 위한 정전압부; 및 상기 정전압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상기 디밍용 제어전압을 변환하여 이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밍용 제어전압은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 폭을 가지는 DC 타입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음성을 통해 LED의 디밍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LED램프를 보다 스마트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정보 중 기능 정보에 해당하는 음성 정보만을 인식하여 LED를 구동함으로써 원치 않는 음성 정보에 의한 오동작 및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는 도 1 의 디밍 컨버터부와 디밍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는 스위치 제어부(100)와, 디밍 컨버터부(200)와, LED램프부(300), 및 디밍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스위치 제어부(100)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스위칭 동작에 따라 온/오프 제어전압(P_CTR)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온/오프 제어전압(P_CTR)은 디밍 컨버터부(200)로 입력되며 온/오프 제어전압(P_CTR)에 응답하여 LED램프부(300)의 온 동작 및 오프 동작이 제어된다.
디밍 컨버터부(200)는 온/오프 제어전압(P_CTR)과 이후 설명될 디밍용 제어전압(S_CTR)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오프 제어전압(P_CTR)은 LED램프부(3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압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밍용 제어전압(S_CTR)은 온/오프 동작과 함께 디밍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압이다.
LED램프부(300)는 디밍 컨버터부(200)에서 생성되는 구동전류(I_OP)에 응답하여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LED램프부(300)는 온/오프 제어전압(P_CTR)에 대응하는 구동전류(I_OP)에 응답하여 온/오프 동작이 제어되고, 디밍용 제어전압(S_CTR)에 대응하는 구동전류(I_OP)에 응답하여 온/오프 동작 및 디밍 동작이 제어된다.
이어서, 디밍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따라 디밍용 제어전압(S_CTR)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음성 수신부(410)와, 음성 분석부(420), 및 펄스 생성부(430)를 포함한다.
우선, 음성 수신부(410)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으로, 음성 수신부(410)는 마이크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성 분석부(420)는 음성 수신부(410)를 통해 전달되는 디지털 정보와 기저장된 기능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저장부(421)와, 비교부(4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부(421)는 기저장된 기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컨대, "불꺼", "불켜", "밝게", "어둡게"에 대한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정보인 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비교부(422)는 기저장된 기능 정보와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매칭이 되는 경우 이 디지털 정보를 펄스 생성부(430)로 전달한다.
그래서, 음성 분석부(420)는 "불꺼", "불켜", "밝게", "어둡게"와 같은 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펄스 생성부(430)로 전달하고, 기능 정보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음성 정보에 대해서는 전달을 차단하여 펄스 생성부(430)는 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만을 전달받게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잘못된 음성 정보에 의한 오동작 및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펄스 생성부(430)는 음성 분석부(420)의 출력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펄스 폭을 가지는 디밍용 제어전압(S_CTR)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시 말하면, 펄스 생성부(430)는 "불꺼", "불켜", "밝게", "어둡게" 각각에 대응하는 펄스 폭을 가지는 디밍용 제어전압(S_CTR)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통해 LED램프부(300)의 온/오프 동작 및 디밍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원치 않는 음성 정보에 대하여 차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오동작을 막아주고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는 도 1 의 디밍 컨버터부(200)와 디밍 제어부(400)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디밍 컨버터부(200)는 입력부(210)와, 라인 필터부(220)와, 정류부(230)와, 역률개선부(240)와, 정전압부(250)와, 및 변환부(26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도 1 의 스위치 제어부(100)의 출력단 즉, 상용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전압단(WH, BK), 및 접지전원단(GND)을 포함한다. 참고로, 도 1 의 온/오프 제어전압(P_CTR)은 스위치 제어부(100)의 전원전압단(WH, BK)의 전원을 의미한다.
이어서, 입력부(210)의 전원전압단(BK)은 상용전원에 과전류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차단하여 후단에 연결된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퓨즈(F1)가 연결되며, 퓨즈(F1)는 상용전원에 과전압 즉, 서지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이를 클램핑하여 차단하기 위한 바리스터(MOV1)가 연결된다.
라인 필터부(220)는 전원전압단(WH)을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에 포함되어 있는 전도성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라인 필터부(220)는 입력부(210)는 스위치 제어부(100)의 출력단(BK), 즉 상용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전압단(WH, BK) 사이에 연결되는 캐패시터(C18)와, 이 캐패시터(C18)에 연결되는 라인 필터(LF1)와, 이 라인 필터(LF1)의 출력측에 바이어싱된 3개의 캐패시터(C1, C2, C10), 그 후단에 연결되는 라인 필터(LF3), 및 이 라인 필터(LF3)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C3)로 구성된다.
여기서, 직렬 연결된 2개의 캐패시터(C1, C2) 사이에는 전원 전압단(GND)이 연결되며 상용전원에 포함되어 있는 전도성 노이즈는 이 전원 전압단(GND)으로 전달되어 제거된다.
정류부(230)는 라인 필터부(220)에서 출력되는 상용전원을 정류하여 맥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정류부(230)는 라인 필터부(220)의 출력단 중 일측에 연결되는 2개의 다이오드(D1, D3)와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2개의 다이오드(D2, D4)로 구성된다.
역률개선부(240)는 정류부(230)의 맥류전원을 입력받아 역률을 개선하여 LED램프부(300)에 정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역률개선부(240)는 출력단으로 정격전원이 출력되도록 트랜스(T1)의 스위칭을 제어하며, 트랜스(T1)는 정류부(230)에서 출력되는 맥류전원을 스위칭 동작을 통해 변압변류하여 역률이 개선된 정격전원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역률개선부(240)는 트랜스(T1)를 온오프하여 스위칭시키는 스위칭소자(Q1)와, 스위칭소자(Q1)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 제어회로(U1)와, 제1 제어회로(U1)의 초기 구동을 위한 스타트 전압을 제공하는 스타트 저항(R2) 및 캐패시터(C9)와, 정류부(230)의 출력인 맥류전원의 전압 파형을 감지하여 제1 제어회로(U1)에 제공하는 전압 감지회로(R1, R3A, C6A)와, 트랜스(T1)의 1차측에 권선되어 자속 결합된 보조 코일(t1)과, 보조코일(t1)에서 유기되는 전압을 정전압화하여 구동전류로 변환하여 제1 제어회로(U1)에 제공하는 구동회로(D12, L2A, R21A, C14, ZD1, Q3, R13)와, 보조코일(t1)로부터 트랜스(T1)의 스위칭에 따라 유기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제1 제어회로(U1)에 제공하는 저항(R3)과, 스위칭에 따라 트랜스(T1)의 1차측에 유기되는 역기전력의 세기를 제한하여 보호하는 스너버(D9, R12, C11), 및 제1 제어회로(U1)의 구동을 위해 연결되는 주변 소자들을 포함한다.
그래서 제1 제어회로(U1)는 스위칭소자(Q1)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트랜스(T1)에서 유기되는 전류의 파형을 정류부(2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파형과 일치하도록 하여 역률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제1 제어회로(U1)는 전압 감지회로(R1, R3A, C6A)가 감지하는 정류부(230)의 맥류전원의 전압 파형에서 전압의 세기가 큰 중간시점에서는 상대적으로 저주파로 스위칭소자(Q1)를 온오프 스위칭시키고, 전압의 세기가 약한 시종시점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주파로 스위칭소자(Q1)를 온오프 스위칭시켜 스위칭에 따라 트랜스(T1)에서 매순간 유기되는 전류들을 연결하는 평균치의 전류파형이 전압 파형과 주기가 같고 모양이 일치하도록 하여 역률을 개선한다.
다음으로, 정전압부(250)는 트랜스(T1)의 2차측에 유기되는 출력전원을 직류화하여 이후 설명할 변환부(260)로 전달한다. 정전압부(250)는 트랜스(T1)의 출력전원을 정류하는 다이오드(D7, D10)와, 트랜스(T1)의 2차측에 과전압이 유기되는 것을 제한하여 보호하는 스너버로서의 저항(R23) 및 캐패시터(C19)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전압부(250)는 트랜스(T1)의 2차측 DC 전압을 피드백받아 정전압을 형성하여 제3 제어회로(U3)에 공급하기 위한 주변 소자들을 포함한다.
특히, 정전압부(250)의 출력단은 직렬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저항(R18, R4, R17)로 구성되며, 이후 설명될 디밍용 제어전압(S_CTR)은 제2 저항(R4)과 제3 저항(R17) 사이의 PWM 입력단(12)을 통해 입력된다.
다음으로, 변환부(260)는 정전압부(25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PWM 입력단(12)으로 입력되는 디밍용 제어전압(S_CTR)을 변환하여 이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입력되는 신호의 펄스 폭에 따라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제3 제어회로(U3)와, 제3 제어회로(U3)를 구동하기 위한 주변 회로들을 포함하며, 구동전류는 출력단(OT1, OT2, OT3, OT4)을 통해 LED램프부(300)로 전달된다.
여기서, PWM 입력단(12)으로 입력되는 전압은 도 1 의 디밍용 제어전압(S_CTR)에 해당하며, 디밍용 제어전압(S_CTR)은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예정된 펄스 폭을 가지는 DC 전압을 가진다. 따라서, 제3 제어회로(U3)는 예정된 펄스폭을 가지는 DC 전압에 응답하여 LED램프부(300)의 디밍 동작이 제어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의 제어 방법을 통해 디밍 동작에 따른 플리커 현상을 제거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디밍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따라 디밍용 제어전압(S_CTR)을 생성하여 PWM 입력단(12)으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 제어회로(U2)와, 제2 제어회로(U2)를 구동하기 위한 주변 회로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제어회로(U2)는 도 1의 음성 수신부(410)와 송수신(TXD, RXD)을 위한 핀과, 전원전압단(VDD) 및 접지전압단(GND)에 연결되는 핀, 및 디밍용 제어전압(S_CTR)을 출력하기 위한 핀을 포함한다.
디밍 제어부(400)는 도 1에서 이미 설명하였듯이,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따라 디밍용 제어전압(S_CTR)을 생성하는데, 예컨대, "불꺼", "불켜", "밝게", "어둡게"라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기저장된 기능 정보와 비교하고 만약 예정된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해당 펄스 폭을 가지는 DC 타입의 디밍용 제어전압(S_CTR)으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디밍용 제어전압(S_CTR)은 "불꺼"에 응답하여 논리 하이에서 논리 로우로 천이하는 펄스 신호가 될 수 있으며, "불켜"에 응답하여 논리 로우에서 논리 하이로 천이하는 신호가 될 수 있으며, "밝게", "어둡게"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펄스 폭을 가지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조 전원부(500)는 디밍 동작시 디밍 제어부(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4 제어회로(U4)와, 제4 제어회로(U4)를 구동하기 위한 주변 회로들을 포함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예정된 기능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하는 음성 정보를 서로 다른 펄스 폭을 가지는 DC 타입의 디밍용 제어전압(S_CTR)으로 생성하고 이를 통해 LED램프부(300)의 온/오프 동작 및 디밍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LED램프부(300)의 스마트한 제어 및 원치 않는 음성 정보에 의한 오동작 및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위치 제어부 200 : 디밍 컨버터부
300 : LED램프부 400 : 디밍 제어부

Claims (7)

  1.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따라 디밍용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디밍 제어부;
    상기 디밍용 제어전압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디밍 컨버터부; 및
    상기 구동전류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LED램프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밍용 제어전압은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 폭을 가지는 DC 타입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를 포함하며 스위칭 동작에 따라 온/오프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밍 컨버터부는 상기 온/오프 제어전압과 상기 디밍용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음성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디지털 정보를 기저장된 기능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음성 분석부; 및
    상기 음성 분석부의 출력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펄스 폭을 가지는 상기 디밍용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펄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분석부는,
    상기 기저장된 기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 정보와 상기 디지털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5. 제3항에 있어서,
    디밍 동작시 상기 디밍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 컨버터부는,
    상기 온/오프 제어전압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라인 필터부;
    상기 라인 필터부로 출력되는 상기 상용전원을 정류하여 맥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맥류전원을 입력받는 제1 제어회로에 의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스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맥류전원을 변압변류하여 역률이 개선된 정격전원을 출력하는 역률개선부;
    상기 트랜스에서 유기되는 출력 전원을 직류화하기 위한 정전압부; 및
    상기 정전압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상기 디밍용 제어전압을 변환하여 이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7. 삭제
KR1020180166637A 2018-12-20 2018-12-20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KR102148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637A KR102148886B1 (ko) 2018-12-20 2018-12-20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637A KR102148886B1 (ko) 2018-12-20 2018-12-20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277A KR20200077277A (ko) 2020-06-30
KR102148886B1 true KR102148886B1 (ko) 2020-08-27

Family

ID=7112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637A KR102148886B1 (ko) 2018-12-20 2018-12-20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085B1 (ko) * 2022-10-20 2023-05-10 엘젠테크 (주) 디밍과 색온도 및 모니터링 기능이 통합된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120B1 (ko) * 2016-12-16 2018-11-15 인성 엔프라 주식회사 음성인식 구동 led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277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0986B2 (ja) 点灯制御回路及びその点灯制御回路を用いた照明灯及びその照明灯を用いた照明器具
US9713206B2 (en) LED (light-emitting diode) string derived controller power supply
US8436548B2 (en) Dimmer conduction angle detection circuit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KR101455146B1 (ko) 고효율 led 디밍 컨버터
US92713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rent to solid state lighting circuit
JP6087960B2 (ja) Led光源
TW201342987A (zh) 照明驅動電路
EP2658345A2 (en)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luminaire
JP2010287372A (ja) 点灯装置、照明器具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US20150256091A1 (en) Dimmer output emulation with non-zero glue voltage
JP6145980B2 (ja) 照明装置
KR102148886B1 (ko) 음성인식 led 디밍컨버터
JP3231207U (ja) スリープとフェイドアウト機能を有する照明器具制御回路及び照明器具
EP3346803B1 (en) Light-emitting diode dimming drive circuit
JP6108143B2 (ja) 過電流防止式電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11602021B2 (en) Linear drive circuit and led light having the same
JP2011171042A (ja) 発光ダイオード点灯装置
KR102148885B1 (ko) 스위치를 포함하는 디밍용 플리커 프리 컨버터
TWI477189B (zh) 發光二極體調光裝置
KR102048542B1 (ko) 스위치를 포함하는 고효율 고신뢰성의 플리커 프리 디밍 컨버터로 구동되는 led 조명기구
TW201513733A (zh) 用於向高強度氣體放電燈提供功率的系統和方法
US20160057821A1 (en) Illumination Module
KR102287080B1 (ko) Led 조명용 전원 장치
WO2011149866A2 (en) Dimmer conduction angle detection circuit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KR20240008166A (ko) 복수의 led조명부하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디밍 컨버터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