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658B1 -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에 있어서 확인응답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에 있어서 확인응답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658B1
KR102148658B1 KR1020187012819A KR20187012819A KR102148658B1 KR 102148658 B1 KR102148658 B1 KR 102148658B1 KR 1020187012819 A KR1020187012819 A KR 1020187012819A KR 20187012819 A KR20187012819 A KR 20187012819A KR 102148658 B1 KR102148658 B1 KR 102148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k policy
ack
acknowledgment
data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880A (ko
Inventor
천진영
류기선
조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54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85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specific request, e.g. to a poll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문서는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AP (Access Point)가 복수의 스테이션 (STA)의 MU(Multi-User) 전송 데이터에 대해 확인응답(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STA은 AP로부터 수신한 트리거(trigger) 프레임에 응답하여, AP에 다중 사용자 접속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트리거 프레임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블록확인응답 요청(Block Ack Request) 기반으로 확인응답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제 1 ACK 정책 값을 제외한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에 있어서 확인응답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하의 설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또는 다중 스테이션(STA) 데이터에 대해 ACK 정책 값을 기반으로 확인응답 신호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 및 b는 2.4. GHz 또는 5 GHz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고, IEEE 802.11b는 11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IEEE 802.11a는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g는 2.4 GHz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은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을 적용하여, 4 개의 공간적인 스트림(spatial stream)에 대해서 3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에서는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 MHz까지 지원하며, 이 경우에는 6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상술한 무선랜 표준은 최대 160MHz 대역폭을 사용하고, 8개의 공간 스트림을 지원하여 최대 1Gbit/s의 속도를 지원하는 IEEE 802.11ac 표준을 거쳐, IEEE 802.11ax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IEEE 802.11ax 표준화에서는 상향링크 OFDMA (UL OFDMA) 전송 방식 및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UL MU) 전송 방식이 이용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동일한 전송 기회에 AP는 복수의 STA으로부터 UL MU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확인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복수의 STA들에게 블록 확인응답 프레임(Block Ack Frame)을 통해 효율적으로 확인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나, 복수의 STA에 대한 MU BA 프레임 또는 M-BA 프레임은 크기가 커지게 되어 오버헤드가 문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STA 중 일부는 BA를 요청하고, 일부는 일반 ACK을 요청하는 경우 절차가 복잡해지고, 확인응답 과정이 지연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UL MU 전송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확인응답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스테이션(STA)이 AP (Access Point)에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P로부터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여 상기 AP에 다중 사용자 접속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STA은 상기 트리거 프레임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블록확인응답 요청(Block Ack Request) 기반으로 확인응답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제 1 ACK 정책 값을 제외한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응답 신호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STA은 상기 트리거 프레임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일반 확인응답 또는 즉시전송 블록확인응답을 요청하는 제 2 ACK 정책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ACK 정책 값으로 설정된 데이터 전송 후, 상기 AP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확인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인응답 신호는 상기 제 2 ACK 정책 값으로 설정된 데이터 전송 후 SIFS (short interframe space) 이후 수신될 수 있다.
상기 AP로부터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은 상기 제 1 ACK 정책 값을 포함한 복수의 ACK 정책 값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ACK 정책 값들은, 일반 확인응답 또는 즉시전송 블록확인응답을 요청하는 ‘00’, 확인응답을 요청하지 않는 ‘01’, 명시적인 확인응답을 요청하지 않거나 PSMP(power save multi-poll) 확인응답을 요청하는 ‘10’, 및 블록확인응답 요청(Block Ack Request) 기반으로 확인응답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ACK 정책 값은 ‘11’이며, 상기 제 2 ACK 정책 값은 ‘00’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AP (Access Point)에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접속하는 스테이션(STA)에 있어서, 상기 AP로부터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여 상기 AP에 다중 사용자 접속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에 연결되어, 상기 송수신기에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블록확인응답 요청(Block Ack Request) 기반으로 확인응답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제 1 ACK 정책 값을 제외한 다른 값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을 제안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일반 확인응답 또는 즉시전송 블록확인응답을 요청하는 제 2 ACK 정책 값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AP로부터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ACK 정책 값을 포함한 복수의 ACK 정책 값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AP (Access Point)가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복수의 스테이션(STA)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TA에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STA으로부터 다중 사용자 접속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 프레임 전송 후 수신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은 블록확인응답 요청(Block Ack Request) 기반으로 확인응답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제 1 ACK 정책 값을 제외한 다른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데이터 수신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트리거 프레임 전송 후 수신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은 일반 확인응답 또는 즉시전송 블록확인응답을 요청하는 제 2 ACK 정책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AP가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STA에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AP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상기 제 1 ACK 정책 값을 포함한 복수의 ACK 정책 값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복수의 스테이션(STA)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AP (Access Point)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TA에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STA으로부터 다중 사용자 접속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이 블록확인응답 요청(Block Ack Request) 기반으로 확인응답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제 1 ACK 정책 값을 제외한 다른 값으로 설정된 것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AP 장치를 제안한다.
이때, 상기 트리거 프레임 전송 후 수신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은 일반 확인응답 또는 즉시전송 블록확인응답을 요청하는 제 2 ACK 정책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UL MU 전송 상황에서 AP가 복수의 STA에 대한 확인응답 신호를 지연 없이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활용되는 블록 Ack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블록 확인응답 프레임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A 제어 필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BA 정보 필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Block Ack 시작 시퀀스 제어 서브필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압축된 Block Ack 프레임의 BA 정보 필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Multi-TID Block Ack 프레임의 BA 정보 필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Block Ack 메커니즘이 하향링크 MU-MIMO 방식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ck 정책을 활용하여 복수의 STA들에게 확인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블록확인응답 요청에 기반하는 ACK 정책 값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향링크 다중 접속 상황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AP 가 트리거 프레임 전송 시 ACK 정책값을 설명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하의 설명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넓은 대역을 가지는 채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랜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tion, STA)의 집합이다.
STA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논리 개체로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비AP STA(Non-AP Station)을 포함한다. STA 중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휴대용 단말은 Non-AP STA로써, 단순히 STA이라고 할 때는 Non-AP STA을 가리키기도 한다. Non-AP STA은 단말(terminal),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의 다른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그리고, AP는 자신에게 결합된 STA(Associated Station)에게 무선 매체를 통해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개체이다. 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BSS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BSS와 독립적인(Independent) BSS(IBSS)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BBS는 IBSS이다. IBSS는 AP를 포함하지 않는 BSS를 의미하고, AP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DS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도 2는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BSS는 인프라스트럭처 BSS이다. 인프라스트럭처 BSS는 하나 이상의 STA 및 AP를 포함한다. 인프라스트럭처 BSS에서 비AP STA들 사이의 통신은 AP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나, 비AP STA 간에 직접 링크(link)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AP STA들 사이에서 직접 통신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BSS는 D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DS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STA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비AP STA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DS는 복수의 AP들을 연결하는 메커니즘(mechanism)으로서,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DS는 메쉬(mesh)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AP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도 있다.
이상을 바탕으로 무선랜 시스템에서 블록 확인응답(Block Ack)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블록 Ack 메커니즘은 하나의 프레임에 복수의 확인응답을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채널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방식이다. 블록 Ack 메커니즘에는 즉시 응답 방식 및 지연 응답 방식과 같은 2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즉시 응답 방식은 넓은 대역폭과 낮은 지연 트래픽 전송에 유리한 반면, 지연 응답 방식은 지연에 민감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히 다른 규정이 없는 한, 블록 Ack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보내는 STA을 발신자(originator)로,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STA을 수신자(recipient)로 나타낸다.
도 3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활용되는 블록 Ack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블록 Ack 메커니즘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DDBA (add Block Acknowledgment)요청/응답 프레임의 교환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a) Setup 단계). 이와 같이 개시된 이후, QoS 데이터 프레임 블록들은 발신자로부터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들은 폴링된 TXOP 내 또는 EDCA 경쟁에서 이김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상기 블록 내 프레임의 구는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 블록 내 MPDU들은 BlockAckReq 프레임에 의한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BlockAck 프레임에 의해 수신 확인될 수 있다 ((b) Data & Block Ack 단계).
발신자가 더 이상 전송할 데이터가 없고 최종 블록 Ack 교환이 완료되는 경우, 발신자는 수신자에게 DELBA (delete Block Acknowledgment) 프레임을 전송하여 Block Ack 메커니즘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DELBA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자는 Block Ack 전송을 위해 할당된 모든 자원을 해제할 수 있다 ((c) Tear Down 단계).
도 4는 블록 확인응답 프레임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블록 확인응답 프레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C 헤더 필드, BA 제어(BA Control) 필드 및 BA 정보(BA information)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AC 헤더 필드는 프레임 제어 필드, Duration/ID 필드, RA 필드 및 TA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A 필드는 수신 STA의 주소를, TA 필드는 발신 STA의 주소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A 제어 필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BA 제어 필드 내 BA Ack 정책 서브필드의 값은 아래 표 1과 같은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Value Meaning
0 Normal Acknowledgment.The BA Ack Policy subfield is set to this value when the sender requires immediate acknowledgment. The addressee returns an Ack frame.The value 0 is not used for data sent under HT-delayed Block Ack during a PSMP sequence.The value 0 is not used in frames transmitted by DMG STAs.
1 No Acknowledgment.The addressee sends no immediate response upon receipt of the frame.The BA Ack Policy is set to this value when the sender does not require immediate acknowledgment.The value 1 is not used in a Basic BlockAck frame outside a PSMP sequence.The value 1 is not used in an Multi-TID BlockAck frame.
한편, BA 제어 필드 내 Multi-TID, Compressed Bitmap 그리고 GCR 서브필드들은 가능한 BlockAck 프레임 변형을 다음과 같은 규정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Multi-TID subfield value Compressed Bitmap subfield value GCR subfield value BlockAck frame variant
0 0 0 Basic BlockAck
0 1 0 Compressed BlockAck
1 0 0 ExtendedCompressedBlockAck
1 1 0 Multi-TID BlockAck
0 0 1 Reserved
0 1 1 GCR BlockAck
1 0 1 Reserved
1 1 1 Reserved
도 6은 도 4에 도시된 BA 정보 필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Block Ack 시작 시퀀스 제어 서브필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BA 정보 필드는 Block Ack 시작 시퀀스 제어(SSC) 서브필드 및 Block Ack 비트맵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Block Ack 비트맵 서브필드는 128 옥텟 길이를 가지며, 이에 따라 64개의 MSDU의 수신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Block Ack 비트맵 필드의 비트 위치 n은, 만일 1로 설정되는 경우, (SSC + n)에 대응하는 MPDU 시퀀스 제어 값을 가지는 MPDU의 수신 성공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SSC는 Block Ack 시작 시퀀스 제어 서브필드의 값을 나타낸다. 이와 달리, Block Ack 비트맵 필드의 비트 위치 n이 0으로 설정되는 경우, (SSC + n)에 대응하는 MPDU 시퀀스 제어 값을 가지는 MPDU가 수신되지 않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 MPDU 시퀀스 제어 필드 및 Block Ack 시작 시퀀스 제어 서브필드 값들은 각각 16 비트 unsigned integer로 취급될 수 있다. MSDU의 미사용 fragment number들에 대해서, 비트맵 내 대응하는 비트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압축된 Block Ack 프레임의 BA 정보 필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압축된 Block Ack 프레임의 BS 정보 필드의 Block Ack 비트맵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 옥텟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64개의 MSDU 및 A-MSDU의 수신 상태는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의 첫번째 비트는 시작 시퀀스 번호 서브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MSDU 또는 A-MSDU에 대응하며, 각 비트는 상기 MSDU 또는 A-MSDU 이후의 MSDU 또는 A-MSDU에 순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9는 Multi-TID Block Ack 프레임의 BA 정보 필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Multi-TID BlockAck 프레임의 BA 제어 필드의 TID_INFO 서브필드는 BA 정보 필드에서 몇 개의 TID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TID_INFO 서브필드의 값은 BA 정보 필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TID의 수 -1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TID_INFO 값이 2인 경우 BA 정보 필드는 3개의 T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Multi-TID BlockAck 프레임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Block Ack 시작 시퀀스 제어 서브필드 및 Block Ack 비트맵 서브필드에 추가적으로 Per TID Info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처음에 등장하는 Per TID Info, block Ack 시작 시퀀스 제어, Block Ack 비트맵 서브필드들은 가장 낮은 TID값에 대응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이후의 반복되는 서브필드들은 다음 TID에 대응할 수 있다. 이들 서브필드들의 Triplet은 TID마다 반복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Block Ack 메커니즘이 하향링크 MU-MIMO 방식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는 복수의 STA (STA 1 내지 3)에세 MU-MIMO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MU PPDU 전송 후 SIFS 이후 프레임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정하였다. 도 10의 경우 STA 1에 대해서는 묵시적 Block Ack 요청이 Ack 정책으로 설정되고, STA 2 및 STA 3에 대해서는 Block ACK이 Ack 정책으로 설정된 것을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STA 1의 경우 BA에 대한 요청 없이도 즉시 하향링크 MU PPDU 수신 후 BA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반해 STA 2 및 STA 3에게는 AP가 BAR (BA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하여 폴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STA 2 및 STA 3은 BA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MU PPDU 후 SIFS 없이 프레임 교환이 이루어지는 예로서, 모든 STA들에게 Ack 정책이 Block Ack으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에 따라 AP는 모든 STA에게 BAR 프레임을 전송하여 폴링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802.11ax 시스템에서는 UL MU 전송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가 복수의 STA (예를 들어, STA 1 내지 STA 4)에게 트리거 프레임(Trigger Frame)을 전송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UL MU 할당 정보(예를 들어, 자원 위치 및 크기, STA ID들, MCS,MU 타입 (MIMO, OFDMA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거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는 정보의 일례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UL MU frame에 대한 durationNumber of allocation (N)Each allocation’s Information SU/MUAID (MU일 경우, STA수만큼 추가로 포함된다.)Power adjustmentTone(/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e.g., bitmap)MCSNstsSTBCCodingBeamformedEtc.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는 매체에 접속하기 위해 경쟁 과정을 거쳐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TXOP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STA들은 트리거 프레임의 SIFS 이후 AP에 의해 지시된 포맷으로 UL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AP는 BA (Block ACK) 프레임을 통해 UL MU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 확인 응답을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한편, 상향링크 다중 접속 방식에 있어서 AP가 전송하는 확인응답 신호 전송 방식을 유연하게 하기 위해 STA별 ACK 정책값을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UL MU 프레임의 QoS 제어 필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고, 특히 QoS 제어 필드는 비트 5-6에 ACK 정책을 나타내는 2비트의 필드를 가지고 있다.
Applicable frame (sub) types Bits 0-3 Bit 4 Bits5-6 Bit 7 Bit 8 Bit 9 Bit 10 Bits 11-15
QoS CF-Poll and QoS CF-Ack+CF-Poll frames sent by HC TID EOSP Ack Policy Reserved TXOP Limit
QoS Data + CF-Poll and QoS Data + CF-Ack+CF-Poll frames sent by HC TID EOSP Ack Policy A-MSDU Present TXOP Limit
QoS Data and QoS Data + CF-Ack frames sent by HC TID EOSP Ack Policy A-MSDU Present AP PS Buffer State
QoS Null frames sent by HC TID EOSP Ack Policy Reserved AP PS Buffer State
QoS Data and QoS Data + CF-Ack frames sent by non-AP STAs that are not a TPC buffer STA or a TPU sleep STA in nonmesh BSS TID 0 Ack Policy A-MSDU Present TXOP Duration Requested
TID 1 Ack Policy A-MSDU Present Queue Size
QoS Null frames sent by non-AP STAs that are not a TPU buffer STA or a TPU sleep STA in a nonmesh BSS TID 0 Ack Policy Reserved TXOP Duration Requested
TID 1 Ack Policy Reserved Queue Size
Applicable frame (sub) types Bits 0-3 Bit 4 Bits5-6 Bit 7 Bit 8 Bit 9 Bit 10 Bits 11-15
QoS Data and QoS Data+CF-Ack frames sent by TPU buffer STAs in a nonmesh BSS TID EOSP Ack Policy A-MSDU Present Reserved
QoS Null frames sent by TPU buffer STAs in a nonmesh BSS TID EOSP Ack Policy Reserved Reserved
QoS Data and QoS Data + CF-Ack frames sent by TPU sleep STAs in a nonmesh BSS TID Reserved Ack Policy A-MSDU Present Reserved
QoS Null frames sent by TPU sleep STAs in a nonmesh BSS TID Reserved Ack Policy Reserved Reserved
All frames sent by mesh STAs in a mesh BSS TID EOSP Ack Policy A-MSDU Present Mesh Control Present Mesh Power Save Level RSPI Reserved
상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ACK 정책 필드의 값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Ack Policy ==00 Normal Ack or Implicit Block Ack Request.In a frame that is a non-A-MPDU frame or VHT single MPDU:The addressed recipient returns an Ack or QoS +CF-Ack frame after a short interframe space (SIFS) perio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defined in Ack procedure and HCCA transfer rules. A non-DMG STA sets the Ack Policy subfield for individually addressed QoS Null (no data) frames to this value.Otherwise:The addressed recipient returns a BlockAck frame, either individually or as part of an A-MPDU starting a SIFS after the PPDU carrying the frame, according to theprocedures defined in Block ack procedur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BlockAck frames by an HT STA or DMG STA, Operation of HT-delayed block ack, Rules for RD initiator, Rules for RD responder, and Explicit feedback beamforming.
Ack Policy ==01No AckThe addressed recipient takes no action upon receipt of the frame. The Ack Policy subfield is set to this value in all individually addressed frames inwhich the sender does not require acknowledgment. The Ack Policy subfield is alsoset to this value in all group addressed frames that use the QoS frame format exceptwith a TID for which a block ack agreement exists.This value of the Ack Policy subfield is not used for QoS Data frames with a TID forwhich a block ack agreement exists.The Ack Policy subfield for group addressed QoS Null (no data) frames is set to thisvalue.
Ack Policy ==10No explicit acknowledgment or PSMP Ack or MU Ack.When bit 6 of the Frame Control field (see 9.2.4.1.3 (Type and Subtype subfields)) is set to 1:There might be a response frame to the frame that is received, but it is neither the Ack frame nor any Data frame of subtype +CF-Ack.The Ack Policy subfield for QoS CF-Poll and QoS CF-Ack +CF-Poll Data frames is set to this value.When bit 6 of the Frame Control field (see 9.2.4.1.3 (Type and Subtype subfields)) is set to 0:The acknowledgment for a frame indicating PSMP Ack when it appears in a PSMP downlink transmission time (PSMP-DTT) is to be received in a later PSMP uplink transmission time (PSMP-UTT).The acknowledgment for a frame indicating PSMP Ack when it appears in a PSMPUTT is to be received in a later PSMP-DTT.For a frame that is carried in a DL HE MU PPDU:The Ack Policy subfield for the frame that solicits an immediate response in a HE Trigger-based PPDU is set to this value (MU Ack).The addressed recipient returns an Ack, BlockAck, or Multi-STA BlockAck frame in the HE trigger-based PPDU format after a SIFS perio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defined in 10.3.2.11.2 (Acknowledgement procedure for HE MU PPDU in MU format) and 25.5.2 (UL MU operation). (#2445)NOTE?Bit 6 of the Frame Control field (see 9.2.4.1.3 (Type and Subtype subfields)) indicates the absence of a data Frame Body field. When equal to 1, the QoS Data frame contains no Frame Body field, and any response is generated in response to a QoS CF-Poll or QoS CF-Ack +CF-Poll frame, but does not signify an acknowledgment of data. When set to 0, the QoS Data frame contains a Frame Body field, which is acknowledged as described in 10.29.2.7 (PSMP acknowledgment rules)..
Ack Policy ==11Block AckThe addressed recipient takes no action upon the receipt of the frame except for recording the state. The recipient can expect a BlockAckReq frame in the future to which it responds using the procedure described in Block acknowledgment (block ack).
즉, 상술한 Ack 정책 필드는 2비트 정보를 이용하여 4가지 다른 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각각의 값에 대한 정의는 상기 표 6 내지 표 9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은 Ack 정책 필드를 상향링크 MU 상황에도 적용하여 AP가 보다 유연하게 복수의 STA에 대해 확인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ACK 정책 값은 상기 표 6 내지 표 9에 나타낸 의미 이외에도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으나, 특별히 다르게 규정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 6 내지 표 9의 정의를 차용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ck 정책을 활용하여 복수의 STA들에게 확인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예와 같이 AP는 STA 1 내지 4에게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여 UL MU 프레임 전송을 유도할 수 있다. STA 1 내지 4는 이에 따라 UL MU 프레임을 전송할 때, MPDU에 ACK 정책을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STA 1 및 3은 ACK 정책 값을 00으로 설정하고, STA 2 및 4는 ACK 정책 값을 11로 설정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UL MU 프레임의 ACK 정책 값이 00인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일 MPDU에 대한 묵시적 BA/ACK을 요청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AP는 해당 STA의 UL MU 프레임 수신 이후 SIFS 시간 이후에 ACK 정책 == 00(묵시적 BA/ACK)를 가리키는 UL MU 프레임을 전송한 STA들에게 BA를 동시에 바로 전송(즉, M-BA전송)할 수 있다. M-BA는 복수의 STA에 대한 ACK/BA를 포함하는 것을 가정한다. 즉, ACK 정책==00를 가진 UL MU 프레임을 하나 이상 받으면, SIFS 후 M-BA를 전송하고, 이후, Ack 정책이 BA(11)로 설정된 UL MU 프레임을 전송한 STA들로부터는 BAR를 수신한 후, Block ACK을 BAR를 전송한 STA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3에서 STA1, STA3의 ACK 정책이 00 (묵시적 BA 또는 ACK for single MPDU) 이기 때문에, AP는 UL MU 프레임 수신 SIFS후, STA1, STA3에게 BA/ACK를 한 번에 전송(즉, M-BA를 통해 전송)한다. 이 때, Multiple STA에 대한 BA/ACK정보를 포함한 Block ACK (Multi-STA BA)을 AP가 전송할 수도 있다.
이 후, AP는 ACK 정책이 BA(11)인 UL 프레임을 전송한 STA2와 STA4로부터 BAR를 받기를 기다릴 수 있다. 이 후, STA2가 BAR를 경쟁 기반으로 전송하고, AP는 응답으로 STA2에게 BA를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STA4가 BAR를 경쟁 기반으로 전송하고, AP는 응답으로 STA4에게 BA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도 13과 같이 복수의 STA별로 ACK 정책 값을 유연하게 운용하는 경우 UL MU 동작이 복잡해 질 수 있으며, 특히 ACK 정책 값 ‘11’을 사용하는 STA의 경우 AP는 해당 STA으로부터의 BAR 수신을 기다린 후 ACK을 전송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절차가 지연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UL MU 상황에서 ACK 정책값 ‘11’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STA은 UL MU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ACK 정책 값은 ‘11’이외에 값(e.g. ‘00’, ‘01’ 및 ‘10’)으로 설정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에 따라 STA은 확인응답을 요청하는 경우 ACK 정책 값을 ‘00’으로 설정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UL MU의 상황은 상술한 DL MU의 상황과 다를 수 있다. DL MU의 경우 AP가 복수의 STA에 대한 ACK 정책 값을 일괄적으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AP의 상황에 따라 일부 STA에 BAR 기반으로 동작하는 ACK 정책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블록확인응답 요청에 기반하는 ACK 정책 값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여 복수의 STA의 UL MU 방식 프레임 전송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STA은 UL MU 프레임을 전송하되, 도 14의 예에서 STA 1 내지 STA 4는 해당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의 수신을 요구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에 따라 STA 1 내지 4는 모두 ACK 정책 값을 ‘00’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며, 이에 따라 SIFS 이후에 AP로부터 확인응답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도 14의 예에서는 AP가 M-BA를 통해 확인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AP는 M-BA를 통해 STA 1 내지 STA 4에 대한 확인응답 신호를 모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향링크 다중 접속 상황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상술한 설명과 같이 AP가 전송한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여 STA 1내지 STA 4가 UL MU PPDU를 전송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서 STA 1 내지 STA 3은 전송한 UL MU PPDU에 대한 확인응답 신호를 요청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ACK 정책 값을 ‘00’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15에서 STA 4는 전송한 UL MU PPDU에 대해 확인응답 신호를 요청하지 않고, 이에 따라 ACK 정책값을 ‘01’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P는 ACK 정책 값을 ‘00’으로 설정한 STA 1 내지 STA 3에 대해 DL OFDMA BA 또는 M-BA를 통해 확인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가 DL MU PPDU를 전송할 때 Trigger frame을 함께 전송하고 그에 따라 STA들이 UL MU PPDU 또는 UL Ack을 전송한 후에 Ack이 필요한 UL MU PPDU에 대해 DL Ack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DL MU PPDU에 대한 Ack을 전송하기 위한 Trigger 정보는 포함될 수도 있고 implicit하게 할 수도 있다.
이 때 DL Ack frame은 OFDMA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고, M-BA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각 STA에게 전송되는 Ack 정보가 각 OFDMA frame으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도 있고, 모든 STA에게 전송되는 Ack 정보가 한 Frame내에 Aggregation되어 하나의 Frame으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20MHz 내에서만 M-BA 를 사용하고 그 이상의 BW에 대해서는 OFDMA 형태로 전송하는 등의 두 방식의 Hybrid 방식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UL MU 상황에서는 DL MU 상황과 달리 ACK 정책 값을 STA별로 상이하게 설정하는 경우 절차가 복잡해 지고, 불필요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ACK 정책 값 ‘11’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UL MU 상황에서 STA별로 다른 ACK 정책 값을 선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STA별 상황에 따라 ACK 정책을 유연하게 운용하기 위해 AP가 트리거 프레임을 통해 STA별 ACK 정책을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AP 가 트리거 프레임 전송 시 ACK 정책값을 설명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AP는 Trigger 프레임에서 ACK 정책을 전체 STA에 대한 동일하게 또는 STA별로 다르게 정할 수 있다. 도 17은 전체 STA들에 대해서 동일한 ACK 정책 == 00 (묵시적 BA)을 정한 예를 나타내며, 도 18은 STA별로 ACK 정책을 정한 예를 나타낸다.
도 18의 예에서, STA1, STA3의 ACK 정책(A_P)는 00(묵시적 BA/ACK for single MPDU)로 설정하고, STA2, STA4에 대한 ACK 정책 (A_P)는 11 (Block ACK)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AP는 UL MU 프레임을 수신하고, M-BA에서 STA1, STA3에 대한 BA/ACK을 전송하고, 이 후에 STA2, STA4에 대한 MU BAR 전송을 위한 자원을 Trigger 프레임을 통해서 할당할 수 있다.
도 19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의 무선 장치(800)은 상술한 설명의 특정 STA, 그리고 무선 장치(850)은 상술한 설명의 AP에 대응할 수 있다.
STA (800)은 프로세서(810), 메모리(820), 송수신부(830)를 포함할 수 있고, AP (850)는 프로세서(860), 메모리(870) 및 송수신부(88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830 및 880)은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하고, IEEE 802.11/3GPP 등의 물리적 계층에서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810 및 860)은 물리 계층 및/또는 MAC 계층에서 실행되고, 송수신부(830 및 880)와 연결되어 있다. 프로세서(810 및 860)는 상기 언급된 UL MU 스케줄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 및 860) 및/또는 송수신부(830 및 880)는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20 및 870)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기술한 방법은 상기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를 들어, 프로세스, 기능)로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메모리(820, 870)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810, 8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820, 870)는 상기 프로세스(810, 86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잘 알려진 수단으로 상기 프로세스(810, 8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IEEE 802.11 기반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AP가 복수의 STA에 대해 Block Ack 메커니즘을 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시스템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스테이션(STA)이 AP (Access Point)에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P로부터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여 상기 AP에 다중 사용자 접속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STA은 상기 트리거 프레임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블록확인응답 요청(Block Ack Request) 기반으로 확인응답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제 1 ACK 정책 값을 제외한 다른 값으로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응답 신호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TA은 상기 트리거 프레임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일반 확인응답 또는 즉시전송 블록확인응답을 요청하는 제 2 ACK 정책 값으로 설정하는, 확인응답 신호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ACK 정책 값으로 설정된 데이터 전송 후, 상기 AP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확인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확인응답 신호 전송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신호는 상기 제 2 ACK 정책 값으로 설정된 데이터 전송 후 SIFS (short interframe space) 이후 수신되는, 확인응답 신호 전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P로부터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은 상기 제 1 ACK 정책 값을 포함한 복수의 ACK 정책 값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확인응답 신호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ACK 정책 값들은,
    일반 확인응답 또는 즉시전송 블록확인응답을 요청하는 ‘00’,
    확인응답을 요청하지 않는 ‘01’,
    명시적인 확인응답을 요청하지 않거나 PSMP(power save multi-poll) 확인응답을 요청하는 ‘10’, 및
    블록확인응답 요청(Block Ack Request) 기반으로 확인응답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11’을 포함하는, 확인응답 신호 전송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CK 정책 값은 ‘11’이며, 상기 제 2 ACK 정책 값은 ‘00’인, 확인응답 신호 전송 방법.
  8.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AP (Access Point)에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접속하는 스테이션(STA)에 있어서,
    상기 AP로부터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여 상기 AP에 다중 사용자 접속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에 연결되어, 상기 송수신기에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블록확인응답 요청(Block Ack Request) 기반으로 확인응답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제 1 ACK 정책 값을 제외한 다른 값으로만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일반 확인응답 또는 즉시전송 블록확인응답을 요청하는 제 2 ACK 정책 값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AP로부터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ACK 정책 값을 포함한 복수의 ACK 정책 값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션.
  11.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AP (Access Point)가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복수의 스테이션(STA)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TA에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STA으로부터 다중 사용자 접속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 프레임 전송 후 수신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은 블록확인응답 요청(Block Ack Request) 기반으로 확인응답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제 1 ACK 정책 값을 제외한 다른 값으로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데이터 수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 전송 후 수신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은 일반 확인응답 또는 즉시전송 블록확인응답을 요청하는 제 2 ACK 정책 값으로 설정되는, 다중 사용자 데이터 수신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P가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STA에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AP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을 상기 제 1 ACK 정책 값을 포함한 복수의 ACK 정책 값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다중 사용자 데이터 수신 방법.
  14.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방식으로 복수의 스테이션(STA)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AP (Access Point)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TA에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STA으로부터 다중 사용자 접속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이 블록확인응답 요청(Block Ack Request) 기반으로 확인응답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제 1 ACK 정책 값을 제외한 다른 값으로만 설정된 것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AP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 전송 후 수신되는 데이터의 ACK 정책 값은 일반 확인응답 또는 즉시전송 블록확인응답을 요청하는 제 2 ACK 정책 값으로 설정되는, AP 장치.
KR1020187012819A 2015-10-07 2016-10-06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에 있어서 확인응답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48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38146P 2015-10-07 2015-10-07
US62/238,146 2015-10-07
PCT/KR2016/011204 WO2017061797A1 (ko) 2015-10-07 2016-10-06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에 있어서 확인응답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880A KR20180054880A (ko) 2018-05-24
KR102148658B1 true KR102148658B1 (ko) 2020-08-28

Family

ID=5848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819A KR102148658B1 (ko) 2015-10-07 2016-10-06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에 있어서 확인응답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171757B2 (ko)
EP (2) EP3361664B1 (ko)
JP (1) JP6518009B2 (ko)
KR (1) KR102148658B1 (ko)
CN (1) CN108141325B (ko)
WO (1) WO2017061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6582A1 (en) * 2015-06-02 2016-12-08 Newracom, Inc. Ack policy for uplink and downlink mu ppdu
WO2019066853A1 (en) * 2017-09-28 2019-04-0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AND POWER REDUCTION FOR ACCESS POINT TRIGGERS
US11127214B2 (en) * 2018-09-17 2021-09-21 Qualcomm Incorporated Cross layer traffic optimization for split XR
CN110958084B (zh) * 2018-09-27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确认报文的方法和通信设备
US11483887B2 (en) * 2019-07-31 2022-10-25 Mediatek Singapore Pte. Ltd. Enhanced high-throughput multi-link operation management
US11109393B2 (en) * 2019-09-26 2021-08-31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ing an uplink transmission in a trigger-based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CN113207189B (zh) * 2020-01-31 2023-08-25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
CN116941280A (zh) * 2021-04-23 2023-10-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无线局域网中时延敏感流量的受限目标唤醒时间操作的方法和设备
JPWO2023053452A1 (ko) * 2021-10-01 2023-04-06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5596A1 (en) 2009-09-23 2011-09-2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dma transmit opportunity scheduling
US20110261742A1 (en) * 2010-04-23 2011-10-27 Qualcomm Incorporated Sequential ack for multi-user transmissions
US20130142099A1 (en) 2011-03-30 2013-06-06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4232B2 (en) * 2005-08-17 2013-10-08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multi-hop relay network
TW200726168A (en) * 2005-12-07 2007-07-01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fragmentation and defragmentation in a WLAN
US20070153760A1 (en) * 2005-12-29 2007-07-05 Nir Shapir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670435B2 (en) * 2009-01-30 2014-03-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ccess and power management for centralized networks
JP5633048B2 (ja) 2009-08-12 2014-12-03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Sdmaマルチデバイス無線通信
KR101758909B1 (ko) 2010-02-18 2017-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수신 확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179476B2 (en) * 2011-10-11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transmission during reverse direction grant
CN103095425A (zh) 2011-10-31 2013-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传输确认帧的方法和装置
US9608789B2 (en) * 2012-05-11 2017-03-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owledgements in response to received frames
CN104365156B (zh) * 2012-06-13 2018-06-15 韩国电子通信研究院 无线局域网系统的操作模式改变方法及无线局域网系统
US9680626B2 (en) 2013-05-03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frequency multiplexed communication in dense wireless environments
US10212086B2 (en) * 2013-08-28 2019-02-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arget transmission duration in multiple user uplink
KR20160083868A (ko) * 2013-11-07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멀티 유저 상향링크 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5194732A1 (ko) * 2014-06-19 2015-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08971A (ko) * 2014-07-15 2016-01-25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하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에 응답하는 상향링크 확인응답
US20180034595A1 (en) * 2015-02-03 2018-0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licy indicator-based 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 signal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5596A1 (en) 2009-09-23 2011-09-2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dma transmit opportunity scheduling
US20110261742A1 (en) * 2010-04-23 2011-10-27 Qualcomm Incorporated Sequential ack for multi-user transmissions
US20130142099A1 (en) 2011-03-30 2013-06-06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802.11-15/0626r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83897A3 (en) 2024-02-28
JP6518009B2 (ja) 2019-05-22
EP3361664B1 (en) 2023-10-04
EP3361664A1 (en) 2018-08-15
US11171757B2 (en) 2021-11-09
KR20180054880A (ko) 2018-05-24
EP4283897A2 (en) 2023-11-29
JP2018534841A (ja) 2018-11-22
CN108141325B (zh) 2021-01-01
US11677530B2 (en) 2023-06-13
WO2017061797A1 (ko) 2017-04-13
US20180262315A1 (en) 2018-09-13
US20220029770A1 (en) 2022-01-27
CN108141325A (zh) 2018-06-08
EP3361664A4 (en)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658B1 (ko)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에 있어서 확인응답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214788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ple user block acknowledgement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548154B2 (en) Uplink multi-user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7113112B (zh) 发送和接收肯定应答/否定应答信号的方法及其装置
US2018003459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licy indicator-based 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 signal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31308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cknowledgment/negative-acknowledgment signal for uplink multi-user data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17035915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cknowledgment signal for uplink multi-user data in wla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205578B2 (en) Acknowledgement procedure in WLAN
US10582449B2 (en) Intra-PDDU power saving in WLAN
US1034105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station block ACK frame of expanded capacity and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