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568B1 - 제설차량 - Google Patents

제설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568B1
KR102148568B1 KR1020180120709A KR20180120709A KR102148568B1 KR 102148568 B1 KR102148568 B1 KR 102148568B1 KR 1020180120709 A KR1020180120709 A KR 1020180120709A KR 20180120709 A KR20180120709 A KR 20180120709A KR 102148568 B1 KR102148568 B1 KR 10214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removal
snow
vehicle
shovel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591A (ko
Inventor
백중순
정운용
김종호
김동근
강성주
김우진
Original Assignee
세화자동차주식회사
한국도로공사
아이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화자동차주식회사, 한국도로공사, 아이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화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5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제설차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은 차량과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를 따라 지면에 적설된 눈을 제설하는 제설차량으로서, 전면부에 지면에 적설된 눈을 제설하는 제1 제설삽이 형성된 차량을 포함하는 제1 제설부, 상기 제1 제설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측에 제2 제설삽이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제설부 및 상기 제1 제설부 및 상기 제2 제설부 사이에 위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제설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 제설삽을 통해 지면에 적설된 눈을 제설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설차량{SNOW REMOVAL VEHICLE}
본 발명은 제설차량에 대한 것이다.
겨울철에 차량 및 항공기가 지나가는 도로 및 활주로에 눈이 쌓이는 경우, 차량 및 항공기와 지면과의 마찰력이 낮아져 통행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도로 및 활주로에 적설된 눈을 제설하는 제설장비는 겨울철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면에 적설된 눈을 제설하기 위해서, 제설차량의 전면 또는 측면에 장착된 제설삽 또는 열풍생성장치를 사용하여 적설된 눈을 제설삽 또는 열풍으로 밀어 물리적으로 제거한다.
또는, 염이 혼합된 용액은 순수한 액체일 때보다 응고점이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염화칼슘 등의 염이 용해된 용액을 도로 또는 활주로에 분사하여 적설된 눈과 용액을 혼합시켜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방법도 쓰이고 있다.
그러나 제설삽을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은 지면에 얇게 형성된 빙판을 제거하기가 어렵고, 다차선 도로나 활주로 등 면적이 넓은 장소에서는 복수개의 제설차량을 사용하여 눈을 제거하기 때문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인력 및 자원 소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풍으로 제설하는 방식은 지면에 형성된 빙판까지 제거할 수 있지만 열에너지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자원 소모가 심하고, 이러한 열에너지를 형성하기 위해 주로 화석연료가 사용되는 바, 환경오염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용액과 눈을 혼합하여 제거하는 화학적 방법은 인력 소모가 적고 용액 분사 자체는 빠르게 시행할 수 있지만, 눈이 녹는 시간이 오래 걸려 제설에 시간이 걸리고, -10℃ 이하의 혹한기에서는 녹은 눈이 다시 얼어붙어 도로 또는 활주로에 빙판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번에 넓은 지역을 물리적 및 화학적 방법으로 제설을 시행할 수 있는 제설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과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를 따라 지면에 적설된 눈을 제설하는 제설차량으로서, 상기 제설차량은 전면부에 지면에 적설된 눈을 제설하는 제1 제설삽이 형성된 차량을 포함하는 제1 제설부; 상기 제1 제설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측에 제2 제설삽이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제설부 및 상기 제1 제설부 및 상기 제2 제설부 사이에 위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제설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 제설삽을 통해 지면에 적설된 눈을 제설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입상 또는 액상에 제설제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설제를 지면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설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와 동일하게 상기 제2 제설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진행방향을 조향할 수 있는 조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조향몸체; 일측면이 상기 조향몸체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 한 조향관절; 상기 조향관절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조향바퀴; 회전을 통해 상기 조향관절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향부재 및 상기 조향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조향부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설삽 및 제2 제설삽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지면으로부터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설삽 및 제2 제설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제설삽 및 상기 제2 제설삽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제1 제설삽 및 제2 제설삽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유압을 통해 상기 제1 제설삽 및 제2 제설삽 중 적어도 하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설삽 및 제2 제설삽 중 적어도 하나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1 제설삽 및 제2 제설삽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설삽 및 제2 제설삽 중 적어도 하나는,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제설삽 및 제2 제설삽 중 적어도 하나를 지면과의 마찰로부터 보호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제설부 및 제2 제설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압펌프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차량과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 회전부재 및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차량은,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은 한 번에 넓은 지역을 제설할 수 있어 제설에 드는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은 제설이 일어나는 각 구성 사이의 갭을 줄여, 보다 효율적으로 제설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은 물리적 과정 및 화학적 과정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제설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의 조향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의 상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서 볼 때, 차량(21)에서 안내부(200)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고, 안내부(200)에서 차량(21)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제1 제설부(20), 연결부(300) 및 제2 제설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제2 제설부(10) 및 제1 제설부(20)를 통해 한 번에 넓은 지역을 제설할 수 있어 제설에 드는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설부(20)는 차량(21) 및 제1 제설삽(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21)은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자율주행을 통해서 도로나 활주로 등 눈이 쌓인 곳을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된 차량의 경우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21) 내부에 작업자가 직접 탑승하는 유인 운전일 경우, 운전석 내부에는 작업자가 제설차량(1)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패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패널은 제설차량(1)의 각 구성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각 구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21)의 전면부에는 제1 제설삽(23)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설삽(23)은 후술할 제2 제설삽(710)이 설치된 방향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제설삽(23)은 차량(21)의 전방에 적설된 눈을 제2 제설삽(710)이 설치된 방향으로 1 차적으로 밀며 제설할 수 있고, 이후 제2 제설삽(710)을 통해 2 차적으로 밀며 제설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21)의 후면에는 연결부(300)가 설치됨으로써 연결부와 연결된 제2 제설부(10)를 도로나 활주로 등 눈이 쌓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연결부(300)는 연결기둥(310), 제1 회전부재(330) 및 제2 회전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기둥(310)은 차량(21)의 후방에 위치하고 차량(21)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기둥(310)은 제1 회전부재(330)를 통해 차량(21)과 연결되고 제2 회전부재(350)를 통해서 제2 제설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부재(330)는 연결기둥(3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부재(330)는 차량(21)의 후면에 형성되고 차량(21)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회전부재(330)는 차량(21)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경우, 연결기둥(310)이 차량(21)의 움직임에 대응될 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부재(350)는 연결기둥(310)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부재(350)는 연결기둥(310)의 후면에 형성되고 차량(21)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회전부재(350)는 차량(21)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경우, 제2 제설부(10)가 차량(21)의 움직임에 대응될 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부재(350)는 연결기둥(310) 및 제2 제설부(10) 사이의 각을 조정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설부(10)는 제2 회전부재(350)를 통해 차량(21)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전되고 이후 제2 회전부재(350)를 고정시켜서 제2 제설부(10)를 차량(21)의 진행방향과 비스듬하게 위치된 상태로 차량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설부(10)는 프레임(100), 안내부(200), 제설부재(700), 분사부(800) 및 조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00)은 차량(21)의 후방에서 연결부(300)와 연결되어 차량(21)에 의해 견인되며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00)은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프레임(100)은 걸림턱(150), 돌출부재(170) 및 지지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걸림턱(150)은 프레임(100)의 전방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턱(150)은 연결부(300)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21)이 좌회전하는 경우, 걸림턱(150)은 제2 회전부재(350)로 인해 회전하는 연결기둥(310)을 지지함으로써 연결기둥(310)의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걸림턱(150)을 통해서 연결기둥(310)의 회전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연결기둥(310) 및 프레임(100)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재(170)는 프레임(100)의 전면 측면부에 위치하고 프레임(100)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재(170)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재(170)의 단부에는 안내등(6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돌출부재(170)를 통해서 안내등(630)이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설 작업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지지부재(130)는 프레임(100)의 전면 측면부에 위치하고 돌출부재(17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30)는 후술할 유압펌프(110)와 연결되어, 유압펌프(110)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통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제설 작업이 끝나면, 차량(21)으로부터 제1 회전부재(330)를 분리시킴으로써 제1 제설부(20)와 제2 제설부(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차량(21)으로부터 제1 회전부재(330)를 분리하기 전, 작업자는 지지부재(130)의 길이를 늘려 지지부재(130)의 일단이 지면과 닿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30)를 통해 프레임(100) 및 연결부(300)가 차량(21)과 분리된 이후에도 앞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제설부(20)와 제2 제설부(10)의 분리 과정이 끝나면, 제2 제설부(10)는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한 조향바퀴(410) 및 전방에 위치한 지지부재(130)를 통해 일측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고 안정되게 격납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설부(10)를 제설 작업에 투입할 필요가 있을 경우, 작업자는 제1 회전부재(330)를 차량(21)과 연결시킨 후 유압펌프(110)를 통하여 지지부재(130)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30)는 작업 상황이 아닌 상황의 제2 제설부(10)를 지지함으로써 제2 제설부가 안정적으로 격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00)은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재(610) 및 안내등(63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반사부재(610) 및 안내등(630)은 프레임(100)의 측면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반사부재(610)는 내부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된 판재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빛을 반사할 수 있다. 즉, 반사부재(610)는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의 차량 등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다. 또한, 안내등(630)은 차량(21) 또는 프레임(100)에 구비된 전원(미도시)과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설차량(1)은 반사부재(610) 및 안내등(630)을 통해서 빛을 반사하거나 빛을 발산함으로써, 야간 상황에서도 제2 제설부(10)의 위치를 다른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프레임(100)의 후면에는 후방연결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방연결부(102)에는 안내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방연결부(102)에는 안내부(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안내부(200)는 제설차량(1)이 주행 중일 때 제2 제설부(10)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운전자에게 빛 및 문자를 통한 안내 및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안내부(200)는 안내기둥(250), 제1 안내판(210), 제2 안내판(230) 및 제3 안내판(270)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기둥(250)은 후방연결부(102)의 상측면에 관통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안내기둥(250)은 후방연결부(102)에 관통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1 안내판(210)은 전면이 안내기둥(250)의 일단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내판(210)의 후면에는 안내 문구가 인쇄됨으로써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에게 경고 또는 주의 등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여 제설 작업을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안내판(230)은 제1 안내판(210)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안내기둥(250)의 일단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안내판(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부재(24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시부재(240)는 방향지시등(241), 제1 반사판(242), 제동등(243) 및 후미등(2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향지시등(241)은 차량(21)의 회전 방향을 후방의 다른 차량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판(242)은 후방의 다른 차량이 발산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다.
한편, 제동등(243)은 작업자가 주행 중 차량(21)의 브레이크를 밟는 경우, 차량(21)의 브레이크가 작동 중인 것을 후방의 다른 차량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후미등(244)은 우천 또는 야간 상황 시 발광하여 차량의 위치를 후방의 다른 차량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지시부재(240)를 통해서 제설차량의 움직임을 후방의 운전자에게 안내하여, 안전한 주행 및 제설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안내판(270)은 제2 안내판(230)과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안내판(270)은 전면이 안내기둥(250)의 타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3 안내판(270)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사판(28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사판(280)은 제1 반사판(242)과 동일하게 제설차량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의 차량등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후방의 운전자에게 제설차량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제2 반사판(280)은 빨간색 또는 노란색 등 인간의 시야에 명확히 들어오는 색을 선별적으로 반사하도록 구성하여, 후방의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제설차량(1)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7을 참고하면, 안내부(200)는 제2 회전부재(350)를 통해 프레임(100)이 회전되는 경우 프레임(10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00)이 제설을 위해 일측, 예를 들어, 제2 제설삽(710)이 형성된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안내부(200)는 프레임(10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안내부(200)는 프레임(100)이 회전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 후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제설 작업을 위해서 프레임(10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안내부(200)는 안내기둥(250)을 중심으로 프레임(100)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안내부(200)의 제1 안내판(210), 제2 안내판(230) 및 제3 안내판(270)이 후방의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설부재(700)는 제2 제설삽(710),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설부재(700)는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제설삽(710)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제설삽(710)은 프레임(100)의 일측 방향, 예를 들어 프레임(100)의 우측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제설삽(710)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제2 제설삽(710)의 외측면은 중심부가 절곡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설삽(710)은 제설 과정 중에 제2 제설삽의 일단부가 지면과 접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설삽(710)은 지면과 접할 수 있는 일단부에 패킹부재(7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패킹부재(711)를 통해서 제설과정 중에 제2 제설삽(710)의 일단부가 지면과 접함으로써 제2 제설삽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제2 제설삽(7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탄성력을 통해 지면과 밀착하여 제설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711)는 제2 제설삽(710)이 지면과 접하는 전체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패킹부재(711)가 직접 지면과 접할 수 있다. 이때, 패킹부재(711)는 스티렌 - 부타디엔 고무(SBR)나 아크릴로니트릴 - 부타디엔 고무(NBR) 등 화학적으로 합성된 합성 고무 또는 라텍스 등 천연 고무 등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설삽(710)은 구동부(500)를 통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500)는 프레임(100) 및 제2 제설삽(7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500)는 유압펌프(110), 컨트롤박스(900), 충격흡수부재(510) 및 유압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프레임(100)의 일측면에는 유압펌프(110) 및 컨트롤박스(9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압펌프(110)는 제설차량(1)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유압을 통해 각 구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힘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박스(900)는 유압펌프(110)와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형성하여 유압펌프(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박스(900)는 차량(21)의 운전석에 형성된 제어패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량(21)에 탑승한 작업자는 제어패널을 조작하는 것으로 컨트롤박스(900)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제어패널로부터 신호를 받은 컨트롤박스(900)는 유압펌프(110)에 작동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유압펌프(110)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제2 제설부(10) 각각의 구성을 유압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컨트롤박스(900) 및 제어패널을 통해서 작업자가 차량(21)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제설차량(1)의 각 구성을 작동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격흡수부재(51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충격흡수부재(510) 각각은 일단부가 제2 제설삽(710)의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부재(510)는 내부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 등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어, 제설 과정에서 제2 제설삽(7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충격흡수부재(510)는 제1 흡수부재(512) 및 제2 흡수부재(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수부재(512) 및 제2 흡수부재(513)는 프레임(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구동부재(511)와 제1 구동관절(515)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흡수부재(512) 및 제2 흡수부재(513)는 제1 구동관절(515)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흡수부재(512)는 제1 흡수기둥(514) 및 제1 제설관절(5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수기둥(514)은 제1 구동관절(515)을 통해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제설관절(516)의 일단은 제2 제설삽(710)의 하부쪽 내측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1 흡수기둥(514)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제2 흡수부재(513)는 제2 흡수기둥(517) 및 제2 제설관절(5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수기둥(517)은 제1 구동관절(515)을 통해 제1 흡수기둥(514)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제설관절(519)의 일단은 제1 제설관절(516)과 이격되어 제2 제설삽(710)의 상부쪽 내측면과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제2 흡수기둥(517)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유압부재(530)는 일단부가 제2 제설삽(710)의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유압부재(530)는 복수개의 충격흡수부재(5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압부재(530)는 유압펌프(110)와 연결되어, 유압펌프(110)가 가하는 유압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유압부재(530)는 유압기둥(535) 및 제3 제설관절(53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압기둥(535)의 일단은 프레임(100)의 일측면에 비스듬하게 형성된 제2 구동부재(53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구동부재(531)와 유압기둥(535)은 제2 구동관절(533)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유압기둥(535)은 제2 구동관절(533)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3 제설관절(537)은 제2 제설삽(710)의 상부 내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제설관절(537)은 유압기둥(535)의 연장 및 축소에 대응되도록 구동되어 유압기둥(535)과 제2 제설삽(710) 간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압기둥(535)은 유압펌프(110)와 연결될 수 있다. 유압펌프(110)는 유압기둥(535)으로 유압을 공급하여, 유압기둥(535)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설삽(710)이 상방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유압펌프(110)가 유압기둥(535)으로 유체를 주입하면, 유압기둥(535)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유압기둥(535)은 길이가 늘어나면 제2 제설삽(710) 상부에 연결된 제3 제설관절(537)을 통해 제2 제설삽(710) 상부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유압기둥(535)이 제2 제설삽(710)의 상부쪽 내측면에 가한 힘은 제2 제설삽(710)을 회전하게 되는 토크(Torque)가 될 수 있다. 즉, 제2 제설삽(710)은 유압기둥(535)의 압력으로 인해 유압기둥(535)이 연결된 제2 구동관절(53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상방에서 하방으로 내려올 수 있다.
이때, 제1 제설관절(516) 및 제2 제설관절(519)과 연결된 제1 흡수부재(512) 및 제2 흡수부재(513)는 제2 제설삽(710)의 회전에 대응되도록 제1 구동관절(515)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흡수부재(512) 및 제2 흡수부재(513)는 회전하는 제2 제설삽(710)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제2 제설삽(710)이 급격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지면과 맞닿은 제2 제설삽(710)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제2 제설삽(710)이 지면에 밀리며 유압부재(5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구동부(500)를 통해서 제2 제설삽(710)을 상하로 회전하도록 하여, 제설이 필요한 상황에서만 제2 제설삽(710)을 내리는 방식으로 제2 제설삽(7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분사부(800)는 프레임(100)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분사부(800)는 저장탱크(810), 분사배관(830) 및 분사노즐(8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탱크(810)는 프레임(100)의 상부측에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810)는 내부에 염화칼슘(CaCl₂)이 물에 용해된 염수 또는 염화칼슘 알갱이 등 제설에 사용하는 제설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탱크(810)는 내부에 제설제가 저장됨으로써, 제설제의 무게로 프레임(100)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저장탱크(810)를 통해서 조향바퀴(410)와 지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미끄러운 지면에서도 제2 제설부(10)가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810)는 측면에 반사부재(6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저장탱크(810)는 반사부재(610)를 통해서 다른 차량의 차량등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야간 작업 상황에서도 다른 차량이 용이하게 제2 제설부(10)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저장탱크(810)는 제2 제설삽(710)과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8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811)는 일측 방향으로 만곡된 갈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출발 전 밧줄 또는 쇠사슬 등 선재를 사용하여 제2 제설삽(710)과 고정부재(811)를 체결함으로써 제2 제설삽(710)이 의도치 않은 움직임 및 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설차량(1)은 고정부재(811)를 통해서 장거리 이동 시 제2 제설삽(710)이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 등으로 인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사배관(830)은 저장탱크(810)와 분사노즐(8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850)은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850)은 분사배관(830) 내부에서 연통되는 제설제를 지면으로 분사하여 제설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제설을 실시할 수 있어 제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설부(10)는 하부측에 조향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향부(400)는 조향몸체(430), 고정축(413), 조향관절(411), 조향축(412), 조향바퀴(410), 제1, 제2 조향부재(450, 460) 및 동력실린더(4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향몸체(430)는 프레임(100)의 하면에 결합되어 조향부(400)의 각 구성들을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조향몸체(430)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축(413)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축(413)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축(413)의 양단에는 조향축(412) 및 조향관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조향축(412)은 고정축(413)의 양단에서 상하 "?향으?* 연장 형성되어, 조향관절(411)이 좌우로 회전될 때 회전축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향관절(411)은 고정축(413)과 조향축(412)을 매개로 연결되고, 외측면에 조향바퀴(4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향관절(411)은 조향축(412)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향관절(411)은 주행 과정에서 차량(21)의 진행 방향에 따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조향관절(411)은 차량(21)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향바퀴(4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조향바퀴(410)를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조향관절(411)의 내측면에는 타이로드(41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타이로드(415)는 바 형상으로서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타이로드(415)는 조향관절(411)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조향관절(411)의 좌우 회전에 따라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00)의 좌우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조향바퀴(410)가 위치될 수 있다. 조향바퀴(410)는 차량(21)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며 프레임(100)이 차량(21)에 의해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 조향부재(450, 46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조향몸체(4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조향부재(450)의 전면부에는 프레임(100)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된 제1 조향턱(451)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조향부재(460)의 전면부에는 프레임(100)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된 제2 조향턱(46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조향부재(450)의 외측에는 전면 조향바퀴(410a)에 형성된 타이로드(415)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조향부재(460)의 외측에는 후면 조향바퀴(410b)에 형성된 타이로드(415)와 연결될 수 있다.
전면 조향바퀴(410a) 및 후면 조향바퀴(410b)와 각각 연결된 조향관절(411)이 차량(21)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회전되는 경우, 조향관절(411)과 연결된 타이로드(415)도 이에 맞추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향부재(450) 및 제2 조향부재(460) 또한 타이로드(415)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조향부재(450) 및 제2 조향부재(460)는 차량(21)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2 조향부재(460)는 한 쌍의 조향바(440)를 통해서 제1 조향부재(450)와 연결될 수 있다. 조향바(440)는 바 형상으로서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향바(440)의 일단은 제2 조향부재(460)의 제2 조향턱(461)과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제1 조향부재(450)의 제1 조향턱(451)과 연결될 수 있다.
조향바(440)를 매개로 연결된 제1 조향부재(450) 및 제2 조향부재(460)는 차량(21)의 움직임에 따라 동일한 회전각도를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조향부재(450)와 연결된 전면 조향바퀴(410a)와 제2 조향부재(460)와 연결된 후면 조향바퀴(410b)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설차량(1)은 복수개의 조향바퀴(410)가 동일한 회전각도를 가지며 좌우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향몸체(430)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실린더(431)가 형성될 수 있다. 동력실린더(431)의 일단은 조향몸체(430)와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제2 조향부재(460)의 제2 조향턱(461)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동력실린더(431)는 유압펌프(110)와 연결될 수 있다. 유압펌프(110)는 동력실린더(431)에 유압을 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력실린더(43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력실린더(431)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실린더(431)는 조향몸체(430)를 기준으로 좌우로 두 개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동력실린더(431)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동력실린더(431)와 연결된 제2 조향부재(460)는 동력실린더(431)의 움직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에 따라 타이로드(415) 및 조향관절(411)의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동력실린더(431) 중 일측의 동력실린더(431)의 길이를 축소하고 타측의 동력실린더(431)의 길이를 연장하게 되면, 각 동력실린더(431)의 길이 차이로 인해 동력실린더(431)와 연결된 제2 조향부재(46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조향부재(460)와 연결된 조향바(440) 또한 구동하게 된다. 즉, 길이가 줄어든 일측 방향의 동력실린더(431)와 대응되는 일측 방향의 조향축(412)은 전진하게 되고, 반대로 타측 방향의 동력실린더(431)와 대응되는 타측 방향의 조향축(412)은 뒤로 후퇴하게 된다.
조향바(440)가 전진하거나 후퇴하면서 조향바(440)와 연결된 제1 조향부재(450) 또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제1 조향부재(450) 및 제2 조향부재(460)는 복수개의 동력실린더(431)의 축소 및 연장을 통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동력실린더(431)는 조향부(400)의 각 구성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 뒤 고정시켜서 조향바퀴(410)의 회전방향을 한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한 연결부(300)를 통해 프레임(10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조향부(400)는 동력실린더(431)를 통해 조향부(400)의 각 구성이 회전되도록 하여, 차량(21)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향바퀴(410)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조향부(400)를 통해 제1 제설부(20)의 진행방향에 따라 제2 제설부(10)의 진행 방향을 제1 제설부(20)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조향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제2 제설부(10)를 일측 방향, 예를 들어 제2 제설삽(710)이 형성된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제설 작업을 시작하기 전, 작업자는 제설을 용하는 장소로 제1 제설부(20) 및 제2 제설부(10)를 운전하여 이송할 수 있다. 이후 제설을 요하는 장소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도 3에 도시한 고정부재(811)로부터 제2 제설삽(710)의 결속을 해제하여 제2 제설삽(710)이 구동부(500)로 인해 용이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운전석의 제어패널을 통해 제2 제설부(10)의 각 구성을 조작할 수 있다. 제어패널로부터 전달된 신호는 컨트롤박스(900)로 전달되게 되고, 컨트롤박스(900)는 전달된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를 유압펌프(110)로 보내 제2 회전부재(350) 및 조향부(40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제2 회전부재(350)는 프레임(100)이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연결기둥(310)과 비스듬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향부(400)는 프레임(10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 즉 좌측 방향으로 조향바퀴(410)의 축을 회전하도록 하여, 조향바퀴(410)의 회전 방향이 차량(21)의 진행방향과 일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구동부(500)를 통해 프레임의 우측면에 위치한 제2 제설삽(710)을 회전시켜 지면에 접하도록 한 뒤, 차량(21)을 조종하여 제설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100) 및 조향바퀴(410)가 회전하는 각도는 제설을 요하는 지면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령, 단일 차량만이 통행할 수 있는 1차선을 제설하기 위해서는 차량(21)의 전면부에 형성된 제1 제설삽(730)으로 충분히 제설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 대의 차가 통행하는 다차선 도로 또는 항공기의 이착륙이 일어나는 활주로 등 넓은 지역을 제설하기 위해서는 조향부(400) 및 연결부(300)의 회전폭을 크게 구성하여, 차량(21)의 주행 한 번으로 넓은 지역(W)을 제설하게 된다.
한편, 제2 제설삽(710)의 반대편, 즉 프레임(100)의 좌측에 형성된 분사부(800)의 분사배관(830)은 도 1에 도시한 분사노즐(850)을 통해 저장탱크(810)에 저장된 염수 등의 제설제를 분사하여 제설을 실시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한 번에 넓은 지역을 제설할 수 있어, 용이하게 제설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제설 과정에서 제2 제설삽(710) 및 제1 제설삽(730)을 사용한 물리적 방법은 물론, 분사부(800)를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을 동시에 실시하여, 제설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제2 회전부재(350)로 인해 제2 제설부(10)가 회전된 각도보다 조향부(400)로 인한 조향바퀴(410)의 축이 회전된 정도를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회전부재(350)만 회전할 때보다 더욱 넓은 지역(W)을 한 번에 제설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부재(330)를 매개로 차량(21)과 연결된 연결기둥(310) 또한 일측 방향,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대로 차량(21)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제2 제설부(10)는 제1 회전부재(330) 및 제2 회전부재(350)를 통해 이중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한 번 주행을 통해 제설할 수 있는 지역(W)이 넓어짐을 의미함과 동시에 복수 개의 회전부재를 통해 제1 제설삽(730)과 제2 제설삽(71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줄여 효율적으로 제설을 실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량(1)은 회전부재를 제1 회전부재(330) 및 제2 회전부재(350)로 복수개로 구성하여, 단일 회전부재보다 더욱 넓은 지역을 제설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2 제설삽(710) 및 제1 제설삽(730) 사이의 간격을 줄여 효율적으로 제설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제설차량 10 : 제2 제설부
20 : 제1 제설부 21 : 차량
23 : 제1 제설삽 100 : 프레임
101 : 회전축 102 : 후방연결부
110 : 유압펌프 130 : 지지부재
150 : 걸림턱 170 : 돌출부재
200 : 안내부 210 : 제1 안내판
230 : 제2 안내판 240 : 지시부재
241 : 방향지시등 242 : 제1 반사판
243 : 제동등 244 : 안내등
250 : 안내기둥 270 : 제3 안내판
280 : 제2 반사판 300 : 연결부
310 : 연결기둥 330 : 제1 회전부재
350 : 제2 회전부재 400 : 조향부
410 : 조향바퀴 410a : 전면 조향바퀴
410b : 후면 조향바퀴 411 : 조향관절
412 : 조향축 413: 고정축
415 : 타이로드 430 : 조향몸체
431 : 동력실린더 440 : 조향바
450 : 제1 조향부재 451 : 제1 조향턱
460 : 제2 조향부재 461 : 제2 조향턱
500 : 구동부 510 : 충격흡수부재
511 : 제1 구동부재 512 : 제1 흡수부재
513 : 제2 흡수부재 514 : 제1 흡수기둥
515 : 제1 구동관절 516 : 제1 제설관절
517 : 제2 흡수기둥 519 : 제2 제설관절
530 : 유압부재 531 : 제2 구동부재
533 : 제2 구동관절 535 : 유압기둥
537 : 제3 제설관절 610 : 반사부재
630 : 안내등 700 : 제설부재
710 : 제2 제설삽 711 : 패킹부재
800 : 분사부 810 : 저장탱크
811 : 고정부재 830 : 분사배관
850 : 분사노즐 900 : 컨트롤박스

Claims (11)

  1. 차량과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를 따라 지면에 적설된 눈을 제설하는 제설차량으로서,
    전면부에 상기 지면에 적설된 눈을 제설하는 제1 제설삽이 형성된 차량을 포함하는 제1 제설부;
    상기 제1 제설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측에 제2 제설삽이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제설부 및
    상기 제1 제설부 및 상기 제2 제설부 사이에 위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제설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 제설삽을 통해 상기 지면에 적설된 눈을 제설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설삽을 상기 지면으로부터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제설삽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제설삽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제2 제설삽과 연결되며 유압을 통해 상기 제2 제설삽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제설부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압펌프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구동부재와 제1 구동관절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는 제1 구동관절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 흡수부재는 제1 흡수기둥 및 제1 제설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기둥은 상기 제1 구동관절을 통해 상하로 회전되며,
    상기 제1 제설관절의 일단은 상기 제2 제설삽의 하부쪽 내측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1 흡수기둥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흡수부재는 제2 흡수기둥 및 제2 제설관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흡수기둥은 상기 제1 구동관절을 통해 상기 제1 흡수기둥과 동시에 상하로 회전되고,
    상기 제2 제설관절의 일단은 상기 제1 제설관절과 이격되어 상기 제2 제설삽의 상부쪽 내측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흡수기둥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흡수부재 및 제2 흡수부재는 상기 제2 제설삽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제2 제설삽이 급격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제설삽이 상기 지면에 밀리며 상기 유압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차량과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 회전부재 및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후면의 형성된 후방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후방연결부의 상측면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안내기둥과, 전면이 상기 안내기둥의 일단부와 결합되고 후면에 안내 문구가 인쇄되어 상기 제2 제설부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에게 경고 또는 주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1 안내판과, 상기 제1 안내판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기둥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시부재가 형성된 제2 안내판과, 상기 제2 안내판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전면이 상기 안내기둥에 결합되는 제3 안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안내판의 지시부재는, 상기 차량의 회전 방향을 상기 제2 제설부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에게 안내하는 방향지시등과, 제1 반사판과,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가 작동 중인 것을 상기 제2 제설부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에게 안내하는 제동등과, 우천 또는 야간 상황 시 발광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를 상기 제2 제설부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에게 안내하는 후미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안내판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사판 및 제2반사판은 상기 제2 제설부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의 차량등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2 제설부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에게 빛 및 문자를 통한 안내 및 신호를 전달하는 제설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입상 또는 액상에 제설제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설제를 지면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제설차량.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설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와 동일하게 상기 제2 제설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진행방향을 조향할 수 있는 조향부를 포함하는 제설차량.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조향몸체;
    일측면이 상기 조향몸체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 한 조향관절;
    상기 조향관절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조향바퀴;
    회전을 통해 상기 조향관절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향부재 및
    상기 조향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조향부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실린더를 포함하는 제설차량.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설삽 및 제2 제설삽 중 적어도 하나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1 제설삽 및 제2 제설삽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설차량.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설삽 및 제2 제설삽 중 적어도 하나는,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제설삽 및 제2 제설삽 중 적어도 하나를 지면과의 마찰로부터 보호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설차량.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20709A 2018-10-10 2018-10-10 제설차량 KR10214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709A KR102148568B1 (ko) 2018-10-10 2018-10-10 제설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709A KR102148568B1 (ko) 2018-10-10 2018-10-10 제설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91A KR20200040591A (ko) 2020-04-20
KR102148568B1 true KR102148568B1 (ko) 2020-08-26

Family

ID=7046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709A KR102148568B1 (ko) 2018-10-10 2018-10-10 제설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7290B (zh) * 2020-10-08 2021-07-30 杨钧元 一种公路路面除冰雪及回收装置
FR3134123A1 (fr) * 2022-03-31 2023-10-06 Euro Investissement Remorque de deneigement et vehicule equipe d’une telle remorqu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393A (ja) 2003-07-22 2005-02-17 Fuso Engineering Corp セミトレーラ式除雪車
US20060143952A1 (en) * 2005-01-06 2006-07-06 Cives Corporation Towed snowplow and method of plowing
KR101008575B1 (ko) 2010-09-27 2011-01-17 한상섭 제설삽용 완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677B1 (ko) * 2012-12-12 2015-03-03 (주)송현 제설장치
FR3046803B1 (fr) * 2016-01-19 2018-01-19 Benedetti-Guelpa Remorque de denei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393A (ja) 2003-07-22 2005-02-17 Fuso Engineering Corp セミトレーラ式除雪車
US20060143952A1 (en) * 2005-01-06 2006-07-06 Cives Corporation Towed snowplow and method of plowing
KR101008575B1 (ko) 2010-09-27 2011-01-17 한상섭 제설삽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91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568B1 (ko) 제설차량
JP2530137B2 (ja) 無限軌道車
US7367407B2 (en) Towed snowplow and method of plowing
JP4939314B2 (ja) 道路の雪氷の除去方法と雪氷除去装置
CN103496410B (zh) 一种汽车横向移动装置及一种汽车移动装置
US20080030064A1 (en) Ice-removing device
WO2000026475A1 (en) Homeowner's method of snow removal with a motor vehicle
CN202574174U (zh) 一种紧急刹车装置
CN103088782A (zh) 设置在汽车中的除冰装置
US3606467A (en) Machines for cutting grooves in concrete and similar roadway surfaces
US3546887A (en) Railroad cable laying apparatus
CN106274614A (zh) 轨道除草车
US3067697A (en) Controlled high-speed highway
CN201439594U (zh) 电液伺服控制前推式道路破冰车
CN201329832Y (zh) 多功能清障车
CN100587162C (zh) 水性和常温道路标线机
CN206256418U (zh) 除雪车及其除雪装置
CN208501609U (zh) 一种用于高速公路的除雪装置
DE20301709U1 (de) Vorrichtung für Fahrzeuge, die Aquaplaning-Gefahr während der Fahrt verringert
WO20111027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raction on wet road surfaces
CN108995581B (zh) 用于车辆的警示方法和警示装置
CN110422243A (zh) 特种矿用全地形防爆牵引运输车
KR102091911B1 (ko) 파빙이 가능한 유동부재 및 그를 이용한 파빙 도로의 시공방법
ES2646752B1 (es) Método para descarga, transporte e instalación de carril de vía de ferrocarril
CN104670187A (zh) 一种适用于山地果园的轻简化轮式运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