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495B1 -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495B1
KR102148495B1 KR1020200018707A KR20200018707A KR102148495B1 KR 102148495 B1 KR102148495 B1 KR 102148495B1 KR 1020200018707 A KR1020200018707 A KR 1020200018707A KR 20200018707 A KR20200018707 A KR 20200018707A KR 102148495 B1 KR102148495 B1 KR 102148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blood circulation
antibacterial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싱크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싱크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싱크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495B1/ko
Priority to PCT/KR2020/011347 priority patent/WO202116719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및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카젯풋, 티트리, 유카립투스, 프랑킨센스, 라벤더, 로즈, 안젤리카, 시나몬, 로즈우드, 만다린, 네놀리, 패출리, 벤조인, 샌달우드, 케머마일로먼, 제라늄, 사이프러스, 야로우, 팔마로사, 니아올리 및 멜리사로 이루어진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세포재생,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장기에 침입한 병원체를 박멸하고, 발생된 염증을 제어하며, 혈관속의 노폐물을 신속히 용해, 배출하고 혈액의 유동성을 높여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병원균의 침입으로부터 허약해진 세포를 활성화하며, 죽은 세포를 다시 재생시키며, 장기의 면역기능을 높이고, 장기의 본래 기능을 회복 강화한다.

Description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IRCULATION OF BLOOD, ANTIBACTERIAL, ANTIINFLAMMATION COMPRISING ESSENTIAL AROMA OIL}
본 발명은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노폐물용해, 세포활성화 및 재생,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젯풋, 티트리, 유카립투스, 프랑킨센스, 라벤더, 로즈, 안젤리카, 시나몬, 로즈우드, 만다린, 네놀리, 패출리, 벤조인, 샌달우드, 케머마일로먼, 제라늄, 사이프러스, 야로우, 팔마로사, 니아올리 및 멜리사로 이루어진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노폐물용해, 세포활성화 및 재생,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라, 현대인은 지방질 섭취량은 많아짐에도 운동량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각종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로 인해, 고혈압, 동맥경화 또는 혈액 순환 장애 등의 질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혈액 순환 장애는 기억력 감퇴, 무기력, 집중력의 약화 및 만성 피로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액 순환이란 체내의 혈액이 일정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현상을 말하고, 혈액 순환 장애는 혈관이 탄력을 잃고 내벽에 콜레스테롤 등이 침착되고 노폐물 수치가 증가하여 혈액의 유동성이 저하하고, 혈관 내부가 좁아져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으로는,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근경색 또는 뇌혈전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 있다. 심혈관계 질병 중에서도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또는 뇌졸증 등은 노령층에서는 사망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이처럼 혈액 순환 장애를 방치할 경우에는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을 주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질환으로 발전되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따라서,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질병에 대한 치료보다는 예방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생물체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기 위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들 중 일부는 각종 생물체 유래의 생리 활성 물질이다. 지금까지 수많은 생리활성 물질에 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항균 및 항진균 물질에 관한 연구는 생명과학 및 의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한편, 모든 생명체는 생존을 위하여 항균 및 항진균 물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항균 및 항진균 물질을 생산하는 생물체에 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항균 및 항진균 물질을 생산하는 생물체 또는 이들에게서 분리된 물질을 이용해 항균제 또는 항진균제를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오래전부터 시도되고 있다.
항균물질은 유해 미생물을 죽이면서 인체 또는 동물에게는 독성이 낮고 체내의 효소 등에 의해 비활성화되지 않는 선택적 독성작용(selective toxicity)을 갖는 물질로서, 이는 주로 DNA의 복제, 유전정보의 전사 및 해독, 전자에너지의 수송, 세포벽의 생합성 등을 저해함으로써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전을 통해 효과를 나타낸다.
현재까지 개발된 주된 항균물질들은 식물, 미생물 등 천연에서 유래한 것과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으로 나뉠 수 있는데, 천연 유래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많은 항균물질이 유해균에 의해 유발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항균물질에 대한 내성 증가로 인해 천연에서 유래한 항균물질을 이용한 항균제 개발에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체내 염증이란 외부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나 조직손상 세균감염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응하기 위한 생체조직에서 일어나는 방어 기전으로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신체적 반응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오히려 혈관 활성물질인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라딘, 류코트리엔, 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hydroxyeicosatetraenoic acid)에 의해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어 만성염증을 유도하거나 점막 손상을 촉진시켜 통증, 부종, 발열 등 기능장애를 일으키며 염증성 질환 및 암의 발병을 유발한다 ([BK Kang, et al., Cells in Mice. Microbiol. Biotechnol. Lett. 43, 112-119, 2015]; [BK Kang, et al., Microbiol. Biotechnol. Lett. 44, 236-245, 2016]; 및 [MJ Kim, et al.,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32, 352-360, 2017]). 체내의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세포 중 하나인 대식세포는 식균작용을 통해 염증반응과 면역기능을 조절하는 세포로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S Woo, et al., Cells. Korean J. Plant Res. 31. 466-477, 2018]; [JH Kim, et al.,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24, 1149-1157, 2018]; [TH Lee, et al., Mol. Cells. 23, 398-404, 2007] 및 [D Bishop-Bailey, et al., J. Environ. Pathol. Tox. Oncol. 21, 93-101, 2002]). 대식세포는 그람 음성균의 외막성분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의 자극으로 인해 활성화되며 감염 초기에는 생체 방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LPS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종양괴사인자-α (TNF-α), 인터루킨 (IL)-1β 및 IL-6와 같은 염증전 사이토카인, 염증성 케모카인인 GM-CSF를 과도하게 분비하여 산화질소 (NO),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등의 염증매개 물질을 다량 분비하게 된다.
염증전 사이토카인 및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은 핵인자-카파 B(nuclear factor-kappa B, NF-κB)와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제(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38 키나제 (p38), c-Jun NH2-말단 키나제 (JNK)와 같은 유사분열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MAPKs)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체내의 염증과정에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사이클로옥시제나제-2 (COX-2)에 의하여 과량의 산화질소 (NO) 및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등의 염증인자가 생성된다. NO는 반응성이 높은 물질로 NO 합성효소 (NOS)에 의해 L-아르기닌으로부터 생성되며, NOS는 구성 NOS와 유도 NOS로 나누어진다. 특히 iNOS는 외부자극이나 염증전 사이토카인 등에 의해 자극을 받게 되면 다량의 NO를 생산하며 과잉 생산된 NO는 혈관 투과성 및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 다른 주요 염증 매개인자인 COX는 세포막의 인지질로부터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유리된 후 프로스타글란딘으로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효소이며, COX-2는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및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등 다양한 자극에 의해서 마크로파지나 단핵구(monocyte) 등의 세포에서 다량 발현되고 이로 인해 발생된 프로스타글란딘은 종양의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혈관생성을 유도하여 종양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대식세포 매개의 염증반응의 조절을 위하여 NO 생성 효소인 iNOS,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의 단계효소인 COX-2와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발현조절과 이들의 주요 신호전달 분자인 MAPKs와 NF-κB의 활성 조절은 염증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면역반응이란, 외부에서 우리 몸으로 들어오는 모든 물질에 대해서 나타나는 반응으로서 특히 살아있는 생명체인 미생물들이 질병의 발생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면역반응이 숙주에게 매우 중요하다.
현대 사회가 복잡해지고 발전된 산업으로 인한 여러 돌연변이 발암 원이 생활공간 가까이 접근되어 있고, 그러한 돌연변이 발암 원으로 인해 인체의 정상 유전자나 바이러스 등의 유전자의 변형이 더욱 가속화되었다. 결국 약품은 발전하였지만 면역세포는 유전자의 변형으로 인하여 그 기능이 약화되고 바이러스는 더욱 강해져 더욱더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인의 식습관이나 환경의 오염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는 더 강해진 바이러스, 외부의 미생물 등의 침입에 의해 야기되는 홍역 및 독감과 같은 전염성 질환, 암, 선천성기형, 면역계 결함 및 많은 치명적 질병에 쉽게 노출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노폐물용해, 세포활성화 및 재생,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성분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카젯풋, 티트리, 유카립투스, 프랑킨센스, 라벤더, 로즈, 안젤리카, 시나몬, 로즈우드, 만다린, 네놀리, 패출리, 벤조인, 샌달우드, 케머마일로먼, 제라늄, 사이프러스, 야로우, 팔마로사, 니아올리, 멜리사로 이루어진 아로마 오일이 상기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노폐물용해, 세포활성화 및 재생,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카젯풋, 티트리, 유카립투스, 프랑킨센스, 라벤더, 로즈, 안젤리카, 시나몬, 로즈우드, 만다린, 네놀리, 패출리, 벤조인, 샌달우드, 케머마일로먼, 제라늄, 사이프러스, 야로우, 팔마로사, 니아올리 및 멜리사로 이루어진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노폐물용해, 세포활성화 및 재생,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노폐물용해, 세포활성화 및 재생,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장기에 침입한 병원체를 박멸하고, 발생된 염증을 제어하며, 혈관속의 노폐물을 신속히 용해, 배출하고 혈액의 유동성을 높여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병원균의 침입으로부터 허약해진 세포를 활성화하며, 죽은 세포를 다시 재생시키며, 장기의 면역기능을 높이고, 장기의 본래 기능을 회복 강화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례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혈액 순환 개선용일 수 있으며, 혈관 질환의 예방, 증상의 경감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전생성 방지, 혈관수축 억제 및/또는 콜레스테롤 억제 효능이 인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성물은, 항혈전 효능에 기인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일 수 있으며, 비만, 당뇨 및 고지혈증 등을 포함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증상의 완화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혈관 질환은, 예를 들어, 비만, 당뇨, 뇌졸증, 뇌출혈, 동맥경화, 협심증, 심근경색, 고혈압, 빈혈, 편두통 또는 고지혈증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고,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켜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적이며, 비만, 당뇨, 뇌졸증, 뇌출혈, 동맥경화, 고혈압, 빈혈, 편두통 또는 고지혈증 등의 혈관 질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에센셜 오일은 인간 각질세포주(HaCaT cell)에서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6, IL-8, IL-1β, IL-4 및 IL-13의 생성을 억제하고, MAPKs의 활성을 억제하며, 염증반응 중 생성되는 케모카인의 일종인 TARC와 MDC의 발현을 억제하고, NF-κB 및 IκBα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i) 본 발명은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고, (ii) 다른 측면에 있어서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체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iii)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신적 스트레스는 집중력을 저하시키고, 아래의 실험예에서 정신적 스트레스의 대표적 지표물질인 코티졸의 농도가 에센셜 오일의 투여에 의해 회복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iv)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집중력 향상용 조성물로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카젯풋 2 내지 6 중량%, 티트리 2 내지 6 중량%, 유카립투스 2 내지 6 중량%, 프랑킨센스 2 내지 6 중량%, 라벤더 2 내지 6 중량%, 로즈 2 내지 6 중량%, 안젤리카 2 내지 6 중량%, 시나몬 2 내지 6 중량%, 로즈우드 2 내지 6 중량%, 만다린 2 내지 6 중량%, 네놀리 2 내지 6 중량%, 패출리 2 내지 6 중량%, 벤조인 2 내지 6 중량%, 샌달우드 2 내지 6 중량%, 케머마일로먼 2 내지 6 중량%, 제라늄 6 내지 10 중량%, 사이프러스 6 내지 10 중량%, 야로우 6 내지 10 중량%, 팔마로사 6 내지 10 중량%, 니아올리 2 내지 6 중량% 및 멜리사 2 내지 6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카젯풋 4 중량%, 티트리 4 중량%, 유카립투스 4 중량%, 프랑킨센스 4 중량%, 라벤더 4 중량%, 로즈 4 중량%, 안젤리카 4 중량%, 시나몬 4 중량%, 로즈우드 4 중량%, 만다린 4중량%, 네놀리 4 중량%, 패출리 4 중량%, 벤조인 4 중량%, 샌달우드 4 중량%, 케머마일로먼 4 중량%, 제라늄 8 중량%, 사이프러스 8 중량%, 야로우 8 중량%, 팔마로사 8 중량%, 니아올리 4 중량% 및 멜리사 4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카젯풋, 티트리, 유카립투스, 프랑킨센스는 병원균 박멸 역할을 하며, 라벤더, 로즈, 안젤리카, 시나몬은 혈액순환 촉진 기능을 하며, 로즈우드, 만다린, 네놀리, 패출리는 세포재생 및 활성화 역할을 하며, 벤조인, 샌달우드, 케머마일로먼은 염증 제어 기능이 있으며, 제라늄, 사이프러스는 노폐물 용해 기능을 가지며, 야로우, 팔마로사는 장기 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며, 니아올리, 멜리사는 면역기능 강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에센셜 오일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에센셜 오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목적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케리어 오일에 희석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에센셜 오일 대 케리어 오일을 1:9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노폐물용해, 세포활성화 및 재생,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를 보다 증대시키기 위하여 추가의 아로마 오일을 선별하여 첨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병원균 박멸 효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갈릭, 올리브, 라벤자라, 레몬, 파인, 크로브버드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혈액순환 촉진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그래이프푸릍, 로즈마리, 마조람, 엘레미, 주니퍼배리,시너먼, 벤조인, 베버티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세포재생 활성화 효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오랜지스윗, 프랑킨센스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염증제어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머틀, 멀, 베이, 스윗아몬드, 히솝, 클라리세이지, 클로브버드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장기기능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하여 페널, 라임, 바질, 버가못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노폐물용해, 세포활성화 및 재생,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물질로서 세포독성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경구 또는 비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1.0-2.0 ml/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錠劑), 환제 (丸劑), 과립제 (顆粒劑), 연·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乳濁濟),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坐劑)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01 mg/kg/일 내지 2000 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mg/kg/일 내지 1500 mg/kg/일이다.
본 발명은 아로마 오일은 그 분자구조가 안정되어서 상호간 화학적인 반응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다수의 서로 다른 오일을 혼합 브랜딩 하여도 각 오일들이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발하게 되는 것이므로 ①장기에 침입한 병원체를 박멸하고, ②발생된 염증을 제어하며, ③혈관속의 노폐물을 신속히 용해, 배출하고 ④혈액의 유동성을 높여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⑤병원균의 침입으로부터 허약해진 세포를 활성화하며, 죽은 세포를 다시 재생시키며, ⑥장기의 면역기능을 높이고, ⑦장기의 본래 기능을 회복 강화하는 각 기능이 동시에 발하여 위 기능들이 총합하여 신체 내부의 각 장기들의 기능이 정상화 되도록 촉발하여 우리 몸의 건강화를 촉진하는 효능을 갖는 조성물이며,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필수 성분인 아로마 오일들은 모두 식물성이므로 4상 체질로 분류되는 우리 신체에 위 오일들의 효능이 체질에 따라 효능이 발생될 수도 있고, 발생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를 떠나서 모든 체질에 그 효능이 적용될 수 있도록 각 효능별로 서로 다른 4가지의 아로마 오일을 브랜딩하여 모든 체질에 그 효능이 각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으며, 혈관의 수축을 억제하여 혈관 이완을 유도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인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효능을 통해,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적이며, 혈관 건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비만, 당뇨 및 고지혈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노폐물 용해를 통해서 혈관내의 노폐물을 손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신부전증 환자들이 시행해야 하는 투석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간 각질세포주(HaCaT cell)에서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6, IL-8, IL-1β, IL-4 및 IL-13의 생성을 억제하고, MAPKs의 활성을 억제하며, 염증반응 중 생성되는 케모카인의 일종인 TARC와 MDC의 발현을 억제하고, NF-κB 및 IκBα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으며,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육체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집중력 향상용 조성물 및 운동 능력 향상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염의 경우와 같이 항생제를 투여할 수 없는 경우에도 위 오일의 경우 신장, 간, 폐 등의 내부 장기에 대하여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병원균을 박멸하는 기능을 가지며, 병원균에 의하여 고사한 조직세포들을 활성화하거나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
카젯풋 4 중량%, 티트리 4 중량%, 유카립투스 4 중량%, 프랑킨센스 4 중량%, 라벤더 4 중량%, 로즈 4 중량%, 안젤리카 4 중량%, 시나몬 4 중량%, 로즈우드 4 중량%, 만다린 4중량%, 네놀리 4 중량%, 패출리 4 중량%, 벤조인 4 중량%, 샌달우드 4 중량%, 케머마일로먼 4 중량%, 제라늄 8 중량%, 사이프러스 8 중량%, 야로우 8 중량%, 팔마로사 8 중량%, 니아올리 4 중량% 및 멜리사 4 중량%로 포함하는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센셜 아로마 오일 대 케리어 오일을 1:9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에센셜 오일의 혈관 이완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에센셜 오일의 혈관 이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돼지 심장의 관상동맥의 이완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도축장에서 도살 직후의 돼지 심장을 구입한 후 관상동맥을 적출하여 18 mM NaCl, 47 mM KCl, 11 mM MgSO4, 12 mM KH2PO4, 15 mM CaCl2, 25 mM NaHCO3, 10 mM glucose가 들어있는 크렙스(Krebs) 용액(pH 7.4)에 넣고 연결조직과 지방을 제거한 후 약 3 mm의 길이의 절편으로 만들었다.
그 다음 상기 관상동맥을 95% O2 및 5% CO2 기체로 포화시킨 37℃의 크렙스 용액에 고정시킨 후, 트롬복산 유도체인 U46619(1-60 nM)로 혈관최고수축의 80%로 10분 동안 수축시켰다. 그 다음 300 nM의 브레드키닌(Bradykinin)으로 이완 반응시켜 혈관 내피세포의 안정성을 측정한 후, 크렙스 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그 다음 상기 안정성을 측정한 관상동맥에 U45519로 수축시킨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100 ㎍/ml 농도로 처리하여 등척성 장력(isometric tension)을 힘-변위 변환기(force-displacement transducer, HugoSachs, Germany)가 장착된 생리기록계(Grass physiograph, HugoSachs, Germany)를 이용하여 혈관이완효과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종래 혈관보호제로 사용되는 은행잎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혈관이완효과 변화 측정은 매 시료마다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과 표준 변차로 표기하였으며, ED50 값은 수축된 혈관이 시료처리에 의해 50%의 혈관 이완을 나타내는 시료의 농도(㎍/ml)를 의미한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ED50(㎍/ml)
대조군(은행잎 추출물) 288
실시예 1의 에센셜 오일 5.8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대조군(은행잎 추출물)에 비하여 약 50배 정도의 혈관 이완 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높은 혈과 이완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사람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사람의 혈소판 농축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를 분리하기 위하여, 32% 구연산 나트륨(sodium citrate)을 항응고제로 사용하였으며, 2주일 이상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건강한 남성의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혈된 혈액 150 g을 15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PRP)을 얻고 잔사를 다시 원심분리하여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을 분리하여 분리된 PRP의 혈소판 수는 세포 카운터를 사용하여 세고, PRP를 PPP로 희석하여 1ml 3x108개의 혈소판이 포함되도록 희석한 뒤에 실험에 사용하였다.
혈소판의 응집 활성은 혈소판 응집계(lumi-aggregometer, Chrono-Log Co,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 변화를 통해 측정하였다.
2분간 37℃가 되도록 열혼합기(thermomixer)에서 선 배양한 PRP에 울타리콩 추출물을 200mg/ml 농도가 되도록 가하고 7분간 배양하여 배양된 PRP 500 ㎕를 실리콘이 코팅된 혈소판 응집계용 큐벳에 넣고 3분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혈소판 응집 유발 시료인 콜라겐을 최대 응집을 일으키는 최소 농도인 1~3 ㎍/ml를 가하고, 이 후 6분간 반응을 관찰하여, 관찰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의 혈소판 응집 억제율(%)은, 콜라겐만 처리한 대조군의 혈소판 응집 억제율을 0%로 했을 때의 비교값을 나타낸 것이다.
혈소판 응집 억제율(%)
대조군(은행잎 추출물) 64.5
실시예 1의 에센셜 오일 12.7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인 은행잎 추출물에 비하여 혈소판 응집 억제율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은 4배 정도 우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항혈전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마우스 비장 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능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에센셜 오일이 비장 내 면역세포인 T-림프구와 B-림프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7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오리엔트 바이오, 경기도 가평군, 대한민국)를 사용하였으며, 각 시험군당 6마리씩 총 42마리를 사용하였다. 구입한 동물은 온도 21±3℃, 상대습도 50±5%, 조도 200-300 룩스(Lux) 조건의 실험실에서 일주일 간 적응기간을 거친 후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시험에 사용된 동물들 모두에서 심한 체중변화나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시료는 생리식염수(중외제약,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현탁하였으며, 시료의 투여는 100 mg/kg씩 하루 1회, 총 7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대조군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투여가 끝난 실험동물로부터 비장을 적출하여 비장세포를 분리한 다음,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5X105 cells/well로 접종하였다. 이 후 T-림프구 증식능 측정을 위해서 각 웰에 5 ㎍/ml 농도의 concanavalin A (Con A;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을, B-림프구 증식능 측정을 위해서 15 ㎍/ml 농도의 LPS(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을 각각 10 ㎕씩 첨가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7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세포 배양액에 Cell titer 용액 (Promega, USA)을 20 ㎕씩 첨가하여 4시간 추가 배양한 다음, fluorescence Multi-Detection Reader ((BIO-TEK Instruments Inc., Power wave X340,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 정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아로마 에센셜 오일 조성물 투여군에서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대조군 에센셜 오일
T 림프구 13 55
B 림프구 9 52
<시험예 4> 면역기능 증강 활성 실험
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구입한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s를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은 RPMI 1640 배지에 sodium bicarbonate (NaHCO3, 2 ㎍/l), 항생제(10,000 units/ml penicillin G sodium, 10,000 units/ml streptomycin sulfate, 25 ㎕/ml amphotericin B), 2-ME (2-mercaptoethanol, 50 μM),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첨가한 것을 이용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를 96 well plate에 5 X104cells/well의 세포 수로 분주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LPS(1㎍/㎖)를 처리하여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다음 실시예 1의 에센셜 오일 시료를 0.05㎎/㎖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산화질소의 생성 정도를 ELISA 리더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시료 무처리군(LPS만의 처리군)과 비교하여 NO 생성 촉진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NO 생성 촉진 활성(%)은 132.6±4.7%로 에센셜 오일 시료가 NO 생성을 촉진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에센셜 오일의 항균 테스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에센셜 오일이 갖는 항균 활성 탐색은 유해 미생물을 이용하여 미생물 생장 최소억제농도(MIC)를 평가하였다.
유해 세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KCTC 2571),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KCTC 2513),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TC 3881) 균주, 진균류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7965), 및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KCTC 6317)를 사용하였다(KCTC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Figure 112020016181609-pat00001
대장균(E. coli)의 배양에 사용된 배지는 LB 배지를 사용하였고,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 aeruginosa)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균주의 배양은 NA 배지, 그리고 칸디다 알비칸스(C. albicans)와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균주는 각각 YM 배지 및 PDA 배지를 사용하였다. 각 세균은 2~3개의 집락(1X107 CFU/mL)을 얻어 접종하였다. 비교예 1은 1% 메틸파라벤을 사용하였고, 비교예 2는 타사제품 A를 1% 농도(w/w)로 사용하였다.
MIC 측정은 고형 한천 배지에서 각 세균과 진균을 배양한 후 1X105~6 CFU/mL에 준하여 5개의 집락을 얻고 배지에 희석하여 접종한 후 37℃에서 2~3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에센셜 오일은 2% 농도(w/w)로 적정하여 각각 2배 계열로 희석하였다. 각 유해 세균들과 시료가 함유된 배지를 96 well plate에 옮기고 37℃에서 16~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600nm에서 Multi label Counter(1420, Perkin Elmer)로 측정하여 각 유해 세균들에 대한 에센셜 오일의 최소저해농도 값을 구하고,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16181609-pat00002
그 결과, 본 발명의 에센셜 오일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항균제인 메틸파라벤과 비교하여 유사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시중에서 판매되는 타사의 천연항균 제품과 비교할 때 월등하게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5> 대식세포주 (RAW264.7)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억제 측정
대식세포에서는 LPS와 같은 외부 자극 등에 의해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NO를 분비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생성하고,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다양한 병리적인 반응이 일어난다.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에센셜 오일을 처리하여 항염증 효능을 조사하였다.
안정화된 NO 산화물인 NO2 (Nitrite)는 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마우스의 대식세포주(RAW264.7)를 96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4 cells/100 μl씩 분주한 뒤, 24 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LPS (lipopolysaccharide)를 1μg/ml 농도로 처리하고 1시간 CO₂ 배양한 뒤 준비한 에센셜 오일 시료를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CO₂배양하였다. 그 다음 각 배양 상층액을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여기에 동량의 Griess 시약 (0.1% N-1-naphtyl-ethylendiamine in H2O : 1% sulfanilamide in 5% H3PO4 = 1 : 1)을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2 (Nitrite)의 농도는 NaNO2 (sodium nitrite)를 100 μM에서부터 0.7 μM 까지 2배씩 희석하여 얻은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LPS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Control LPS DMSO 에센셜 오일
N.D 9.57±0.0 10.20±0.5 8.07±0.2
그 결과, 에센셜 오일 조성물이 48% NO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대식세포주 (RAW 264.7)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Cytokine)에 미치는 영향 측정
RAW264.7 대식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5 cells/1ml이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CO₂배양하였다. 이후 well에 LPS (lipopolysaccharide)를 1μg/ml 농도, 에센셜 오일을 처리하여 24시간 CO₂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세포배양 상층액을 수거하였다. 상층액에 포함된 사이토카인 (cytokine)인 IL-6, TNF-α, GM-CSF, IL-1β를 효소항체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ELISA) 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즉, plate-bottom micro-well에 1차 항체 (capture antibody)를 코팅액(0.1 M sodium carbonate, pH 9.5)에 희석하여 100 μl/well로 분주하고 4℃에서 밤새 배양한 후, 세척용액 (0.05% Tween 20/PBS)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마이크로웰은 10% FBS가 첨가된 PBS로 블로킹(blocking)하였으며, 실험에서 채취한 배양 상층액을 적당한 비율로 희석한 후 각 well에 분주하여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그 다음, 바이오틴이 부착된 2차 항체 100㎕/well와 일정시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아비딘-퍼옥시다제 (enzyme reagent) 100 μl/well을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질 (3,3′,5,5′-Tetramethylbenzidine Liquid Substrate, H2O2) 을 첨가하여 발색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IL-6, TNF-α, GM-CSF, IL-1β의 농도는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Cytokine Control LPS) DMSO 에센셜 오일
IL-1β N.D 513.44±4.4 507.19±4.4 88.44±4.4
GM-CSF N.D 1801.65±58.4 1723.14±64.3 161.16±5.8
IL-6 N.D 18.98±0.5 18.19±0.1 0.98±0.1
TNF-α N.D 8.28±0.1 9.47±0.2 3.05±1.8
결과에서 보듯이, 에센셜 오일이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IL-6, IL-1β, TNF-α, GM-CSF 3종류의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염증전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7> 에센셜 오일의 활성탄 식이 이동에 대한 효과
장기능 개선 및 변비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활성탄 식이(charcoal meal) 이동 실험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은 평균 체중 24 내지 27g의 발브씨 (Balb/C) 웅성 마우스(대한바이오링크, 음성)를 사용하여 대조군과 시험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8마리로 구성하여 실험하였다. 즉, 시험군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에센셜 오일을 3.2mg/㎖ 농도로 식수에 녹여 3일간 투여한 후, 4일째 18시에 절식을 실시하였다. 절식중에도 생약 조성물은 계속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으나 에센셜 오일이 함유되지 않은 식수만을 투여하였다. 5일째 9시에 각 생약 조성물을 마리당 8mg (0.2㎖) 경구투여하고 60분 후 활성탄(Sigma사, 미국)과 아라비아검(Sigma사, 미국)을 각 5% 및 10%의 중량비로 혼합된 활성탄 식이(charcoal meal) 0.2 ㎖를 경구투여한 후, 30분 뒤 희생시켜 위장관을 적출하였다. 활성탄 식이가 십이지장에서부터 회장(回腸)까지의 장관거리중 이동율(Rf)을 조사하였으며, 이하 동일 실험방법을 활성탄 식이 이동 측정 방법(charcoal meal transit)이라 한다.
실험 결과, 식수만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에센셜 오일 조성물을 투여시 전체적으로 활성탄 식이의 장 이동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로서, 에센셜 오일이 현저한 배변 촉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동 증가율(%)
대조군(은행잎 추출물) 100
실시예 1의 에센셜 오일 148
<시험예 8> 에센셜 오일의 장기능 개선효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에센셜 오일의 장기능 개선 및 변비 개선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여 실시하였다.
배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동물모델로 웅성의 평균 체중 220-240g 정도의 스프라그 도울리(Sprague Dawley) 랫트 (대한바이오링크, 음성)를 1군당 8 내지 10 마리를 사용하여 대사 케이지에서 3일간 순화 적응시키고, 4일째부터 변비를 유발시키기 위해 로페라마이드 (Sigma사, 미국)를 사료 3g당 1mg 함유하는 사료를 공급하였다. 대조군(로페라마이드군 처리군)는 식수만을 공급하였으며, 생약 조성물은 3.2㎎/㎖ 농도로 식수에 녹여 공급하여 실험 종료시까지 투여하였다. 변은 매일 채취하여 무게를 측량하였다.
에센셜 오일의 변비 개선 효과를 실험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변비유발 기간동안에 배변량을 증가시켜 변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조군 대비 변량 증가 (%)
시료 투여 경과 일수
D+1 D+1 D+1 D+1 D+1 D+1 D+1
에센셜 오일 47 61 35 17 35 21 32
<시험예 9> 세포독성 시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TCC)에서 분양받아 10% FBS(fetalbovine serum), 1% 항생제, 2-ME(2-mercaptoethanol)를 함유한 RPMI 1640 배지를 이용하여 37℃, 4% CO2에서 조절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마우스의 대식세포주 RAW264.7를 96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4 cells/100 μl씩 분주한 뒤, 24 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LPS (lipopolysaccharide)를 1 μg/ml 농도로 처리한 후 1시간 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에센셜 오일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 상층액을 각각 100 μl씩 제거하고, CCK-8 시약을 10 μl씩 처리하여 3시간 CO2 배양한 뒤에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Control LPS 에센셜 오일
100.00±0.2 97.64±0.9 99.76±5.1
결과에서 보듯이, 시료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지 실험시료를 LPS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주 (RAW264.7)에 처리하여 확인한 결과, 에센셜 오일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카젯풋, 티트리, 유카립투스, 프랑킨센스, 라벤더, 로즈, 안젤리카, 시나몬, 로즈우드, 만다린, 네놀리, 패출리, 벤조인, 샌달우드, 케머마일로먼, 제라늄, 사이프러스, 야로우, 팔마로사, 니아올리 및 멜리사로 이루어진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아로마 오일이 카젯풋 2 내지 6 중량%, 티트리 2 내지 6 중량%, 유카립투스 2 내지 6 중량%, 프랑킨센스 2 내지 6 중량%, 라벤더 2 내지 6 중량%, 로즈 2 내지 6 중량%, 안젤리카 2 내지 6 중량%, 시나몬 2 내지 6 중량%, 로즈우드 2 내지 6 중량%, 만다린 2 내지 6 중량%, 네놀리 2 내지 6 중량%, 패출리 2 내지 6 중량%, 벤조인 2 내지 6 중량%, 샌달우드 2 내지 6 중량%, 케머마일로먼 2 내지 6 중량%, 제라늄 6 내지 10 중량%, 사이프러스 6 내지 10 중량%, 야로우 6 내지 10 중량%, 팔마로사 6 내지 10 중량%, 니아올리 2 내지 6 중량% 및 멜리사 2 내지 6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아로마 오일이 카젯풋 4 중량%, 티트리 4 중량%, 유카립투스 4 중량%, 프랑킨센스 4 중량%, 라벤더 4 중량%, 로즈 4 중량%, 안젤리카 4 중량%, 시나몬 4 중량%, 로즈우드 4 중량%, 만다린 4중량%, 네놀리 4 중량%, 패출리 4 중량%, 벤조인 4 중량%, 샌달우드 4 중량%, 케머마일로먼 4 중량%, 제라늄 8 중량%, 사이프러스 8 중량%, 야로우 8 중량%, 팔마로사 8 중량%, 니아올리 4 중량% 및 멜리사 4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순환 개선이 조성물은 혈전 생성, 혈관 수축 또는 콜레스테롤 생성에 의한 혈액순환 장애 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에센셜 아로마 오일 대 케리어 오일을 1:9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KR1020200018707A 2020-02-17 2020-02-17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KR102148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707A KR102148495B1 (ko) 2020-02-17 2020-02-17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PCT/KR2020/011347 WO2021167192A1 (ko) 2020-02-17 2020-08-25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노폐물용해, 세포활성화 및 재생,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707A KR102148495B1 (ko) 2020-02-17 2020-02-17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495B1 true KR102148495B1 (ko) 2020-08-27

Family

ID=7223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707A KR102148495B1 (ko) 2020-02-17 2020-02-17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8495B1 (ko)
WO (1) WO20211671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250B1 (ko) * 2021-01-15 2021-07-27 (주) 보종 림프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림프 아로마 오일
KR20230166333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바이옵트 아로마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854A (ko) * 2003-06-14 2004-12-23 이경록 통합적 향기 요법을 위한 정유 혼합 조성물
KR20140060424A (ko) * 2012-11-09 2014-05-20 이래마케팅(주) 아로마테라피용 솔루션오일 안티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40068710A (ko) * 2012-11-28 2014-06-09 한종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
KR20160129199A (ko) * 2015-04-29 2016-11-09 주식회사 불스원 혼합 오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854A (ko) * 2003-06-14 2004-12-23 이경록 통합적 향기 요법을 위한 정유 혼합 조성물
KR20140060424A (ko) * 2012-11-09 2014-05-20 이래마케팅(주) 아로마테라피용 솔루션오일 안티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40068710A (ko) * 2012-11-28 2014-06-09 한종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
KR20160129199A (ko) * 2015-04-29 2016-11-09 주식회사 불스원 혼합 오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250B1 (ko) * 2021-01-15 2021-07-27 (주) 보종 림프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림프 아로마 오일
KR20230166333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바이옵트 아로마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192A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893B1 (ko) Akkermansia muciniphila 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Henriques et al. The anti-neuroinflammatory role of anthocyanins and their metabolit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rain disorders
Ohgami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ronia extract on rat endotoxin-induced uveitis
US10471114B2 (en) Composition from Sphaeranthus indicus and Garcinia mangostana for the control of metabolic syndrome
Yakubu et al. Antidiarrhoeal activity of aqueous extract of Mangifera indica L. leaves in female albino rats
Lu et al. Effect of Lactobacillus reuteri GMNL-263 treatment on renal fibrosis in diabetic rats
KR102148495B1 (ko) 에센셜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균, 항염증 조성물
Lietava et al. Effects of cornelian cherry on atherosclerosis and its risk factors
Khan et 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n Citrus limetta (Mosambi)
Jin et al. EtOAc extract of H. attenuatum Choisy inhibits inflammation by suppressing the NF-κB and MAPK pathways and modulating the gut microbiota
Zhao et al. Intervention with the crude polysaccharides of Physalis pubescens L. mitigates colitis by preventing oxidative damage, aberrant immune responses, and dysbacteriosis
CA2587126C (en) Method of treating inflammation disorders using extracts of passion fruit
Vivian Barak et al. PADMA-28, a Tibetan herbal preparation is an inhibitor of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Singh et al. An in vivo acute toxicity and anti-shigellosis effect of designed formulation on rat
US1028602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contain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0791420B1 (ko) 쑥에서 분리된 산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 간균과아토피 황색 포도상 구균의 인체 세포결합 저해용 조성물
CN102481327A (zh) 一种龙眼核萃取物的制备方法与应用
Khongrum et al. Antidyslipidemic,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Jelly Drink Containing Polyphenol-Rich Roselle Calyces Extract and Passion Fruit Juice with Pulp in Adults with Dyslipidemia: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Lu et al. Potential therapeutic effect of Citronellal on diabetic cardiomyopathy in experimental rats
US7862837B2 (en) Herbal composition
KR102650558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pl6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US11590191B2 (en) A.C.C. extract having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effect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Alisha et al. Pharmacognostical overview on Terminalia arjuna: A justification of folkloric belief
KR101906208B1 (ko) 맥문동 추출물, 감초 및 계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103012A (ko) 블라우티아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