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244B1 -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244B1
KR102148244B1 KR1020200034567A KR20200034567A KR102148244B1 KR 102148244 B1 KR102148244 B1 KR 102148244B1 KR 1020200034567 A KR1020200034567 A KR 1020200034567A KR 20200034567 A KR20200034567 A KR 20200034567A KR 102148244 B1 KR102148244 B1 KR 102148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dd
configuration
subframe
serving cell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825A (ko
Inventor
박동현
윤성준
Original Assignee
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8647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4824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팬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3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3Acquisition of prim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within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6Acquisition of second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Abstract

본 발명은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이 인터밴드(inter-band)에서 서로 다른 설정을 갖고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통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Transmission/Reception Point, Timing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User Equipment, and PDSCH A/N Transmit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이 인터밴드(inter-band)에서 서로 다른 설정을 갖고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통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는 송신(Transmission, Tx)과 수신(Reception, Rx)을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되 타임 슬롯으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Uplink, UL,) 및 하향링크(Downlink, DL)를 설정하는 방식에 따라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는 타이밍이 바뀌어 질 수 있다.
한편, 하나 또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결합하는 다중 반송파 집합화(Carrier Aggregation, 또는 반송파 결합, "CA") 환경에서, 각각의 요소 반송파가 속한 밴드(band)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인터 밴드 방식으로 반송파 결합이 이루어 진 경우, 각 밴드의 TDD 설정이 상이하다면, 어떠한 타이밍에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할지가 고려되어야 한다.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할 타이밍은 단말이 전-이중(full-duplex) 모드인 경우 및 반-이중(half-duplex) 모드인 경우 모두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중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2개의 요소 반송파의 TDD 설정이 다를 때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할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2개 이상의 요소 반송파의 TDD(Time Division Duplex) 타이밍을 비교하여 공통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검색하는 단계;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A/N(Ack/Nack)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공통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으로부터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상기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2개 이상의 요소 반송파의 TDD(Time Division Duplex) 타이밍 및 아래의 표 1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으로부터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상기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표 1]
Figure 112020029763687-pat00001
상기 표 1에서 각 기준 TDD 설정은 아래의 표 2와 같은 하향링크 관련 셋 인덱스(K: {k0,k1,…kM -1})를 지시하고,
[표 2]
Figure 112020029763687-pat00002
서브프레임 (n-ki)(0≤i≤M-1)에서 전송된 PDSCH의 A/N은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2개 이상의 요소 반송파의 TDD(Time Division Duplex) 타이밍을 비교하여 공통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검색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전송에 연관된 requestA/N(Ack/Nack)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공통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을 검색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으로부터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단말로 상기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의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포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2개 이상의 요소 반송파의 TDD(Time Division Duplex) 타이밍 및 아래의 표 1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을 검색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으로부터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단말로 상기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의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포인트를 제공한다.
[표 1]
Figure 112020029763687-pat00003
상기 표 1에서 각 기준 TDD 설정에 따라 아래의 표 2와 같은 하향링크 관련 셋 인덱스(K: {k0,k1,…kM-1})를 지시하고,
[표 2]
Figure 112020029763687-pat00004
서브프레임 (n-ki)(0≤i≤M-1)에서 전송된 PDSCH의 A/N은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기준 TDD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준 TDD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A/N(Ack/Nack) 정보를 전송할 전송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각 전송 서브프레임에 대해, 수신된 PDSCH의 A/N이 상기 전송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될 관련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 서브프레임에 수신된 PDSCH의 A/N을 상기 전송 서브프레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기준 TDD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준 TDD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A/N(Ack/Nack)을 전송할 전송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각 전송 서브프레임에 대해, 수신된 PDSCH의 A/N이 상기 전송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될 관련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련 서브프레임에 수신된 PDSCH의 A/N을 상기 전송 서브프레임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2개의 요소 반송파의 TDD 설정이 다를 때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할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밴드간 CA 환경을 도시한다.
도 3은 다른 TDD 시스템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인터밴드에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이 요구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인터밴드간 CA 환경에서 단말이 반-이중 모드인 경우 서브프레임별 동작 방식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인터밴드간 CA 환경에서 단말이 전-이중 모드인 경우 서브프레임별 동작 방식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포인트의 PDSCH A/N 타이밍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을 도시한다.
도 8 내지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PDSCH A/N 타이밍에서 PDS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및 PDSCH A/N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포인트의 PDSCH A/N 타이밍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 및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PDSCH A/N 타이밍에서 PDS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및 PDSCH A/N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포인트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단말(10)과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포인트(20; Transmission/Reception Point)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10)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송수신 포인트(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송수신 포인트(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RRH(Radio Resource Head)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10)과 송수신 포인트(2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사용자 단말(10)과 송수신 포인트(20)는,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서 하나의 단말(10)과 하나의 송수신 포인트(20)가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송수신 포인트(20)가 복수의 단말(10)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하나의 단말(10)이 복수의 송수신 포인트(20)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과 송수신 포인트(20)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에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라디오프레임, radio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은 10ms의 길이를 갖고, 서브프레임은 1.0ms의 길이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신의 기본 단위는 서브프레임 단위가 되고, 서브프레임 단위로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의 스케줄링이 이루어진다.
송수신 포인트(20)은 단말(10)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 포인트(20)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로서의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포인트(20)은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PDSCH와 PDCCH의 영역을 구분하는 지시자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확인의 전송을 위한 물리 HARQ 지시자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의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단말(10)은 송수신 포인트(20)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0)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로서의 PUSCH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하향링크 전송 블록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HARQ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 채널 상태 보고 및 상향링크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 자원 할당을 요구하는 스케줄링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로서의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TDD에서는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시점이 나누어지게 되는데, 다양한 TDD 설정이 존재할 경우, 이러한 시점 역시 다양해질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TDD 설정을 보여주는 표이다. 각 TDD설정마다 다른 UL-DL subframe 전송 타이밍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TDD 설정은 셀-특정(cell-specific)으로 설정되어 있다.
[표 1]
Figure 112020029763687-pat00005
표 1에서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에 해당하는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에서 D로 표시된 영역은 하향링크며, U로 표시된 영역은 상향링크다. S는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전환되는 서브프레임(Downlink-to-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이다. 예를 들면, TDD UL-DL 설정이 "1"인 경우, 서브프레임 넘버가 0, 4, 5, 9인 경우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서브프레임 넘버가 2, 3, 7, 8인 경우는 상향링크가 서브프레임이며, 서브프레임 넘버가 1, 6인 경우는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전환되는 서브프레임이다.
한편, 상기 TDD UL-DL 설정 중 하나의 설정을 사용하게 될 경우, 단말은 어느 시점에서 하향링크며 어느 시점에서 상향링크인지를 미리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단말이 미리 예측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데이터 송신에 대한 응답, 즉 PDSCH에 대한 A/N(Ack/Nack)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단말(10)로부터 송수신 포인트(20)로 전송된다. 각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어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달된 PDSCH에 대한 A/N이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관련 셋 인덱스(K: {k0,k1,…kM-1})는 다음의 표 2와 같을 수 있다.
[표 2]
Figure 112020029763687-pat00006
표 2는 각 TDD UL-DL 설정(UL-DL Configuration)의 각 상향링크 서브프레임(Subframe n)에서 몇 서브프레임 이전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PDSCH HARQ(A/N)가 전송되는지를 나타낸다. 즉,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n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n-k)(k∈K)에서 전송된 PDSCH의 A/N이 전송된다. 예를 들면, TDD UL-DL 설정이 "1"인 경우를 가정한다. 서브프레임 넘버가 2일 때 K={7,6}이고, 이 서브프레임을 통해 서브프레임 넘버가 5 및 6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 PDSCH의 A/N이 전송된다. 서브프레임 넘버가 3일 때 K={4}이고, 이 서브프레임을 통해 서브프레임 넘버가 9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 PDSCH의 A/N이 전송된다. 서브프레임 넘버가 7일 때 K={7,6}이고, 이 서브프레임을 통해 서브프레임 넘버가 0 및 1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 PDSCH의 A/N이 전송된다. 그리고, 서브프레임 넘버가 8일 때 K={4}이고, 이 서브프레임을 통해 서브프레임 넘버가 4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 PDSCH의 A/N이 전송된다.
한편, 하나 또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결합하는 다중 반송파 집합화(Carrier Aggregation, CA) 환경에서, 각각의 요소 반송파가 속한 밴드(band)가 상이할 수 있다. 인터 밴드(Inter-Band) 방식으로 반송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TDD 설정은 각각의 밴드 별로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이하게 설정된 밴드들 내에 포함된 반송파들을 하나의 단말이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밴드간 CA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시스템(210)은 두 요소 반송파가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는데, CC1(211)은 고출력(high power)으로 eNB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갖는 반송파이고, CC2(212)는 저출력(low power)으로 eNB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갖는 반송파이다. CC1(211) 및 CC2(212)는 서로 다른 밴드에 포함될 수 있다. CC1(211)의 TDD UL-DL 설정은 상기 표 1에 나타난 1로서 도 2에서 "281"로 도시되고, CC2(212)의 TDD UL-DL 설정은 2로서 도 2에서 "282"로 도시된다. 이때, CC2(212) 커버리지에 있는 단말들을 위해서 CA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핫스팟(hot-spot) 영역(215)은 CC1(211) 및 CC2(212)의 CA 환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CA 환경에서 송수신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상이한 TDD 설정을 갖는 CC(예를 들면, CC1(211) 및 CC2(21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트래픽 적응(traffic adaptation) 목적으로 인터-밴드에서 다른 TDD UL-DL 설정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3을 참조하면, 같은 밴드 내에 공존하는 다른 TDD 시스템(예를 들면, TDS-CDMA(310), LTE(32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TDD 시스템(예를 들면, LTE-A(330, 340))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가 설정되고, 따라서 TDD 시스템은 인터-밴드에서 서로 다른 TDD UL-DL 설정이 요구될 수 있다. 즉, 도 3의 예에서, 밴드 A(410)에서 LTE-A(330)는 TDS-CDMA(310)와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2"의 TDD UL-DL 설정을 갖고, 밴드 B(420)에서 LTE-A(340)는 LTE(320)와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0"의 TDD UL-DL 설정을 가지며, 따라서 서로 다른 밴드에 위치하는 LTE-A(330)와 LTE-A(340)의 TDD UL-DL 설정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낮은 주파수 밴드에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많은 TDD UL-DL 설정을 따르고, 높은 주파수 밴드에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많은 TDD UL-DL 설정을 따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커버리지 증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최대 처리량(peak throughput)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이 인터밴드간에 설정된 서로 다른 TDD 설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서브프레임 (conflicting subframe)상에서 지원 가능한 전송 모드가 반-이중(Half-Duplex) 모드인지 또는 전-이중(Full-Duplex) 모드인지에 따라, 서브프레임 별로 동작 방식이 상이하게 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인터밴드간 CA 환경에서 단말이 인터밴드간에 설정된 서로 다른 TDD 설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서브프레임상에서 반-이중 모드인 경우 서브프레임별 동작 방식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예에서, PCell(Primary Cell)은 TDD UL-DL 설정 "1"을 따르고 SCell(Secondary Cell)은 TDD UL-DL 설정 "2"를 따른다. 도 4에서, U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비된 서브프레임, D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비된 서브프레임, S는 하향링크 전송에서 상향링크 전송으로 전환되는 특수(special) 서브프레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넘버 3, 8일 때 PCell은 상향링크로 설정되고 SCell은 하향링크로 설정된다. 이하에서, CC에 따라 상향링크/하향링크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을 충돌 서브프레임(conflicting subframe)으로 부르기로 한다. 단말이 반-이중 모드이기 때문에, PCell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SCell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뮤트된 서브프레임(muted subframe)으로 동작하게 된다. 도 4의 예에서, 서브프레임 넘버가 3, 8일 때 PCell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뮤트된 서브프레임이다.
PDSCH에 대한 A/N(PDSCH A/N)을 포함하는 PCell을 통해서만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PDSCH A/N'을 'PDSCH에 대한 A/N'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그러나, PCell에서 PDSCH A/N을 전송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뮤트된 서브프레임인 경우, 이를 통해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1"이므로, 표 2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넘버 2, 3, 7, 8일 때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서브프레임 넘버가 3, 8일 때 CC1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뮤트된 서브프레임인 경우, 서브프레임 넘버 3인 서브프레임을 통해 서브프레임 넘버가 9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된 PDSCH A/N이 전송될 수 없고, 서브프레임 넘버 8인 서브프레임을 통해 서브프레임 넘버가 4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된 PDSCH A/N이 전송될 수 없다.
도 5는 도 2의 인터밴드간 CA 환경에서 단말이 전-이중 모드인 경우 서브프레임별 동작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PCell은 TDD UL-DL 설정 "1"을 따르고 SCell은 TDD UL-DL 설정 "2"를 따른다. 도 5에서, U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비된 서브프레임, D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비된 서브프레임, S는 하향링크 전송에서 상향링크 전송으로 전환되는 특수 서브프레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넘버 3, 8일 때 PCell은 상향링크로 설정되고 SCell은 하향링크로 설정된다. 단말이 인터밴드간에 설정된 서로 다른 TDD 설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서브프레임상에서 전-이중 모드이기 때문에, 단말은 심지어 충돌 서브프레임 상에서도 동시에 PCell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SCell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PDSCH A/N을 포함하는 PUCCH는 PCell을 통해서만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 PDSCH A/N이 전송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1"이므로, 표 2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넘버 2, 3, 7, 8일 때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 2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넘버가 2일 때 K={7,6}이므로 서브프레임 넘버가 5, 6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 PDSCH A/N이 전송되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넘버가 3일 때 K={4}이므로 서브프레임 넘버가 9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 PDSCH A/N이 전송되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넘버가 7일 때 K={7,6}이므로 서브프레임 넘버가 0, 1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 PDSCH A/N이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넘버가 8일 때 K={4}이므로 서브프레임 넘버가 4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정리하면, 서브프레임 넘버가 2, 3, 7, 8일 때 서브프레임 넘버가 0, 1, 4, 5, 6, 9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 PDSCH A/N이 전송된다.
한편, SCell의 TDD UL-DL 설정이 "2"이므로, 표 2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넘버가 0, 1, 3, 4, 5, 6, 8, 9인 경우에 하향링크로 PDSCH가 전송될 수 있다. 이 중 서브프레임 넘버가 0, 1, 4, 5, 6, 9인 경우에 대하여는 PCell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지만, 서브프레임 넘버가 3, 8인 경우에 대하여는 PCell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PDSCH A/N이 전송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CC에서 서로 다른 TDD UL-DL 설정을 이용하는 경우, 표 2에 따른 PDSCH A/N 스케줄링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포인트의 PDSCH A/N 타이밍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포인트의 PDSCH A/N 타이밍 설정 방법은, PCell과 SCell에서 설정된 2개의 다른 TDD UL-DL 설정을 비교하는 단계(S610), 2개의 TDD UL-DL 설정에서 공통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검색하는 단계(S620), PDSCH A/N을 전송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상기 공통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을 검색하는 단계(S630),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으로부터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S640), 및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을 해당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6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송수신 포인트는 PCell과 SCell에서 설정된 개 이상의 다른 TDD UL-DL 설정을 비교한다 (S610). 이하에서는 TDD UL-DL 설정이 다른 경우를 2개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송수신 포인트는 2개의 TDD UL-DL 설정에서 공통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찾는다(S620). 예를 들면, PCell의 TDD UL-DL 설정이 "0"이고 SCell의 TDD UL-DL 설정이 "1"인 때, PCell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넘버가 2, 3, 4, 7, 8, 9이고 SCell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넘버가 2, 3, 7, 8이다. 그러므로, 공통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넘버가 2, 3, 7, 8이다.
다음으로, PDSCH A/N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공통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TDD 설정을 기준 TDD 설정으로서 표 2로부터 찾아낸다(S630).
본 명세서에서, 기준 TDD 설정은 PCell 또는 SCell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타이밍(표 1 참조)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이는 PCell과 SCell들의 PDSCH A/N 전송 타이밍(표 2 참조)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설정된 타이밍을 기반으로 PCell상에서 상향링크제어채널을 통해서 PDSCH의 A/N 정보가 해당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예를 들면, 공통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서브프레임 넘버가 2, 3, 7, 8인 경우를 가정한다. 표 2를 참조하면, TDD 설정이 1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 3, 7, 8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고, TDD 설정이 2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 7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으며, TDD 설정이 4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 3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고, TDD 설정이 5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TDD 설정 1, 2, 4, 5는 기준 TDD 설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TDD 설정이 0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 4, 7, 9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고 이 중 서브프레임 넘버 4, 9는 공통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속하지 않으며, TDD 설정이 3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 3, 4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고 이 중 서브프레임 넘버 4는 공통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속하지 않으며, TDD 설정이 6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 3, 4, 7, 8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고 이 중 서브프레임 넘버 4는 공통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속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TDD 설정 0, 3, 6은 기준 TDD 설정으로부터 제외된다.
다음의 표 3은 모든 경우에 대하여 가능한 기준 TDD 설정을 나타낸다. 표 3에서 PCell과 SCell의 TDD UL-DL 설정이 같은 경우는 본 명세서에서 논외로 한다.
[표 3]
Figure 112020029763687-pat00007
송수신 포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S610 내지 S630 단계를 통해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을 찾아낼 수 있다.
또는, 송수신 포인트는 모든 경우에 대해 S610 내지 S630 단계를 적용하여 만들어낸 표 3을 사전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송수신 포인트는 S510 내지 S530 단계를 실행하는 대신에, PCell의 TDD UL-DL 설정 및 SCell의 TDD UL-DL 설정에 기초하여 표 3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을 찾아낸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송수신 포인트는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으로부터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한다(S640).
일 예에서, 해당 단말의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단말이 셀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SNR(Signal to Noise Ratio)이 낮은 경우 등), 단말은 가능한 많은 PDSCH A/N 타이밍을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상에서 전송되는 A/N(Ack/Nack) 정보들을 가능한 적게 하여, 즉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상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PDSCH A/N의 개수를 가능한 적게 하여 PDSCH A/N 타이밍을 설정한다면 더 신뢰성 있는 A/N 전송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해당 단말의 채널 환경이 좋지 않는 경우, 송수신 포인트는 가능한 많은 PDSCH A/N 타이밍을 갖는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해당 단말의 채널 환경이 좋은 경우(단말이 셀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 SNR이 높은 경우 등), 단말은 가능한 적은 PDSCH A/N 타이밍을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채널 환경이 좋은 경우 보다 적은 전력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향링크 PUCCH가 PDSCH A/N과 다른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때 비교적 중요한 PDSCH A/N이 전송되고 비교적 덜 중요한 CSI와 같은 정보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PDSCH A/N을 전송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적은 경우 비교적 덜 중요한 CSI와 같은 정보가 전송되지 않을 확률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해당 단말의 채널 환경이 좋은 경우, 송수신 포인트는 가능한 적은 PDSCH A/N 타이밍을 갖는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이 TDD 설정 1, 2, 4, 5인 경우를 가정한다. 기준 TDD 설정이 1인 경우 PDSCH A/N 타이밍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넘버 2, 3, 7, 8이고(서브프레임 개수는 4), 기준 TDD 설정이 2인 경우 PDSCH A/N 타이밍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넘버 2, 7이며(서브프레임 개수는 2), 기준 TDD 설정이 4인 경우 PDSCH A/N 타이밍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넘버 2, 3이고(서브프레임 개수는 2), 기준 TDD 설정이 5인 경우 PDSCH A/N 타이밍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넘버 2이다(서브프레임 개수는 1). 그러므로, 채널 환경이 좋은 경우 기준 TDD 설정을 5로 선택하고, 채널환경이 나쁜 경우 기준 TDD 설정을 1로 선택하며, 채널 환경이 보통인 경우 기준 TDD 설정을 2 또는 4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송수신 포인트는 상향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다른 정보 또는 신호(예를 들면, CSI 등)와의 동시 전송 및 충돌을 고려하여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 포인트는 PUSCH A/N이 PUCCH를 통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CSI가 PUCCH를 통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PUSCH A/N 전송 타이밍(및/또는 UCI 전송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송수신 포인트는 PUSCH A/N이 PUCCH를 통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S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PUSCH A/N 전송 타이밍(및/또는 SRS 전송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송수신 포인트는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을 해당 단말로 전송한다(S650).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은, 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또는 PDCCH를 통해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는 기준 TDD 설정의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Cell의 TDD UL-DL 설정이 1, SCell의 TDD UL-DL 설정이 2, 기준 TDD 설정이 4일 때, 송수신 포인트는 기준 TDD 설정의 값인 4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는 PCell 또는 SCell의 TDD UL-DL 설정으로부터의 기준 TDD 설정의 오프셋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Cell의 TDD UL-DL 설정이 1, SCell의 TDD UL-DL 설정이 2, 기준 TDD 설정이 4일 때, 송수신 포인트는 PCell의 TDD UL-DL 설정으로부터의 기준 TDD 설정의 오프셋인 3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는 가능한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 중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의 인덱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Cell의 TDD UL-DL 설정이 1, SCell의 TDD UL-DL 설정이 2일 때, 표 3을 참조하면 가능한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은 2, 4, 5이다. 이러한 경우, TDD 설정 2에는 인덱스 1, TDD 설정 4에는 인덱스 2, TDD 설정 5에는 인덱스 3을 부여한다.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이 4일 때, 송수신 포인트는 기준 TDD 설정 4를 지시하는 인덱스 2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기준 TDD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710), 및 기준 TDD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진 서브프레임에 PDSCH A/N을 전송하는 단계(720)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에, 단말은 CA 환경에서 PCell 및 SCell이 설정되어 있고, 시스템 정보(SI)나 RRC와 같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PCell 및 SCell의 TDD UL-DL 설정을 알고 있는 상태이다.
단말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기준 TDD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S710). 기준 TDD 설정 정보는 RRC 또는 PDCCH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기준 TDD 설정 정보는 기준 TDD 설정의 값, PCell 또는 SCell의 UL-DL TDD 설정으로부터의 기준 TDD 설정의 오프셋, 또는 기준 TDD 설정의 인덱스일 수 있다.
단말은 기준 TDD 설정 정보 및 표 2에 기초하여, PDSCH A/N을 전송하는 PCell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타이밍)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PCell 및/또는 SCell의 어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 PDSCH의 A/N이 전송되는지를 결정하며, 이에 따라 PDSCH A/N을 전송한다(S720).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은 기준 TDD 설정 정보 및 표 2에 기초하여, PDSCH A/N을 전송하는 PCell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한다. 표 2의 하향링크 관련 셋 인덱스(K)를 이용하여, 결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어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 PDSCH A/N이 전송되는지를 결정한다. 결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일 때, 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서는 (n-k)(k∈K)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 PDSCH A/N이 전송된다. (n-k)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전송이 실행되는 서브프레임(하향링크 서브프레임(D) 또는 특수 서브프레임(S))이 아닌 경우(단말이 반-이중 모드 또는 전-이중 모드일 때), 또는 (n-k) 서브프레임이 뮤팅된 경우(단말이 반-이중 모드일 때), 그 서브프레임을 통해서는 PDSCH가 전송되지 않았고, 따라서 표 2의 설정에도 불구하고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한 PDSCH A/N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0이고 SCell의 TDD UL-DL 설정이 1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PCell의 UL-DL 구성은 DSUUUDSUUU이고, SCell의 UL-DL 구성은 DSUUDDSUUD이며, 서브프레임 4 및 9는 충돌 서브프레임이다. 표 3을 참조하면, 이러한 경우 기준 TDD 설정은 1, 2, 4, 5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8은 일 예로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0, SCell의 TDD UL-DL 설정이 1, 기준 TDD 설정이 1인 경우를 도시한다. 기준 TDD 설정이 1인 경우, 표 2를 참조하면, n=2일 때 K={7,6}이고, n=3일 때 K={4}이며, n=7일 때 K={7,6}이고, n=8일 때 K={4}이다.
PCell에서, 각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PCell 및 SCell의 서브프레임 5, 6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PCell에서, 각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3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9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PCell의 서브프레임 9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PCell의 서브프레임 9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는다. 단말이 반-이중 모드이고 SCell의 서브프레임 9가 뮤팅되는 경우, SCell의 서브프레임 9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PCell의 서브프레임 7에서는 PCell 및 SCell의 서브프레임 0, 1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PCell의 서브프레임 8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4에서 전송된 PDSCH에 대한 A/N이 전송될 수 있다. PCell의 서브프레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PCell의 서브프레임 4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는다. 단말이 반-이중 모드이고 SCell의 서브프레임 4가 뮤팅되는 경우, SCell의 서브프레임 4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다른 예로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0, SCell의 TDD UL-DL 설정이 1, 기준 TDD 설정이 2인 경우를 도시한다. 기준 TDD 설정이 2인 경우, 표 2를 참조하면, n=2일 때 K={8,7,4,6}이고, n=7일 때 K={8,7,4,6}이다.
PCell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5, 6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PCell의 서브프레임 4, 8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PCell의 서브프레임 4, 8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PCell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4, 5, 6의 PDSCH A/N은 전송될 수 있다. SCell의 서브프레임 8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SCell의 서브프레임 8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는다. 단말이 반-이중 모드이고 SCell의 서브프레임 4가 뮤팅되는 경우, SCell의 서브프레임 4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PCell의 서브프레임 7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0, 1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PCell의 서브프레임 9, 3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PCell의 서브프레임 9, 3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PCell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9, 0, 1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SCell의 서브프레임 3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SCell의 서브프레임 3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는다. 단말이 반-이중 모드이고 SCell의 서브프레임 9가 뮤팅되는 경우, SCell의 서브프레임 9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예로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0, SCell의 TDD UL-DL 설정이 1, 기준 TDD 설정이 4인 경우를 도시한다. 기준 TDD 설정이 4인 경우, 표 2를 참조하면, n=2일 때 K={12,8,7,11}이고, n=3일 때 K={6,5,4,7}이다.
PCell에서, 각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0, 1, 5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PCell의 서브프레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PCell의 서브프레임 4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PCell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0, 1, 4, 5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이 반-이중 모드이고 SCell의 서브프레임 4가 뮤팅되는 경우, SCell의 서브프레임 4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PCell의 서브프레임 3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6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PCell의 서브프레임 7, 8, 9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PCell의 서브프레임 7, 8, 9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PCell의 서브프레임 3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6, 9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SCell의 서브프레임 7, 8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SCell의 서브프레임 7, 8의 PDSCH A/N이 전송되지 않는다. 단말이 반-이중 모드이고 SCell의 서브프레임 9가 뮤팅되는 경우, SCell의 서브프레임 9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예로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0, SCell의 TDD UL-DL 설정이 1, 기준 TDD 설정이 5인 경우를 도시한다. 기준 TDD 설정이 5인 경우, 표 2를 참조하면, n=2일 때 K={13,12,9,8,7,5,4,11,6}이다.
PCell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0, 1, 5, 6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PCell의 서브프레임 9, 3, 4, 7, 8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PCell의 서브프레임 9. 3, 4, 7, 8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PCell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9. 0, 1, 4, 5, 6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SCell의 서브프레임 3, 7, 8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SCell의 서브프레임 3, 7, 8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는다. 단말이 반-이중 모드이고 SCell의 서브프레임 4 또는 9가 뮤팅되는 경우, SCell의 서브프레임 4 또는 9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Cell 및 SCell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HARQ 타이밍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포인트의 PDSCH A/N 타이밍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포인트의 PDSCH A/N 타이밍 설정 방법은, PCell과 SCell의 TDD UL-DL 설정을 비교하는 단계(S1210), PDSCH A/N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이 PCell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SCell 기준 TDD 설정을 검색하는 단계(S1220), 하나의 이상의 SCell 기준 TDD 설정으로부터 단말에 특정된 SCell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S1230), 및 단말에 특정된 SCell 기준 TDD 설정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1240)를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송수신 포인트는 PCell과 SCell에서 설정된 2개 이상의 다른 TDD UL-DL 설정을 비교한다(S1210). 이하에서는 TDD UL-DL 설정이 다른 경우를 2개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송수신 포인트는 PDSCH A/N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이 PCell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SCell 기준 TDD 설정을 찾아낸다(S1220).
일 예를 들면, PCell의 TDD UL-DL 설정이 "1"이고 SCell의 TDD UL-DL 설정이 "2"인 때, PCell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넘버가 2, 3, 7, 8이다. 표 2를 참조하면, TDD UL-DL 설정이 "1"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 3, 7, 8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고, TDD UL-DL 설정이 "2"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 7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으며, TDD UL-DL 설정이 "4"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 3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고, TDD UL-DL 설정이 "5"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TDD UL-DL 설정 1, 2, 4, 5는 SCell 기준 TDD 설정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PCell의 TDD UL-DL 설정이 "2"이고 SCell의 TDD UL-DL 설정이 "1"인 때, PCell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넘버가 2, 7이다. 표 2를 참조하면, TDD UL-DL 설정이 "2"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 7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고, TDD UL-DL 설정이 "5"인 때 서브프레임 넘버 2에서 PDSCH A/N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TDD UL-DL 설정 2, 5는 SCell 기준 TDD 설정이 될 수 있다.
송수신 포인트는 하나 이상의 SCell 기준 TDD 설정으로부터 단말에 특정된 SCell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한다(S1230).
S1220 단계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SCell 기준 TDD 설정이 SCell의 TDD UL-DL 설정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에 특정된 SCell 기준 TDD 설정은 SCell의 TDD UL-DL 설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Cell의 TDD UL-DL 설정이 "1"이고 SCell의 TDD UL-DL 설정이 "2"인 때 SCell 기준 TDD 설정은 TDD UL-DL 설정 1, 2, 4, 5일 수 있고, 단말에 특정된 SCell 기준 TDD 설정은 SCell의 TDD UL-DL 설정인 2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PCell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SCell의 PDSCH A/N 전송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에 특정된 SCell 기준 TDD 설정은 SCell의 TDD UL-DL 설정이 될 수 있다.
S1220 단계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SCell 기준 TDD 설정이 SCell의 TDD UL-DL 설정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송수신 포인트는 소정의 정책에 따라 단말에 특정된 SCell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단말의 채널 환경이 좋지 않는 경우 송수신 포인트는 가능한 많은 PDSCH A/N 타이밍을 갖는 SCell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하고, 해당 단말의 채널 환경이 좋은 경우 송수신 포인트는 가능한 적은 PDSCH A/N 타이밍을 갖는 SCell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PCell의 TDD UL-DL 설정이 "2"이고 SCell의 TDD UL-DL 설정이 "1"인 때 SCell 기준 TDD 설정은 TDD UL-DL 설정 2, 5일 수 있고, 송수신 포인트는 이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 포인트는 단말에 특정된 SCell 기준 TDD 설정을 단말로 전송한다(S1240).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는 SCell 기준 TDD 설정의 값일 수 있다. 또는,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는 PCell 또는 SCell의 TDD UL-DL 설정으로부터 SCell 기준 TDD 설정의 오프셋일 수 있다. 또는,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는 가능한 하나 이상의 SCell 기준 TDD 설정 중 단말에 특정된 SCell 기준 TDD 설정의 인덱스일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SCell 기준 TDD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310), 및 PCell의 경우 PCell의 TDD UL-DL 설정에 따라서, 그리고 SCell의 경우 SCell의 기준 TDD 설정에 따라서 정해진 서브프레임에 PDSCH A/N을 전송하는 단계(S1320)를 포함한다.
초기에, 단말은 CA 환경에서 PCell 및 SCell이 설정되어 있고, 시스템 정보(SI) 또는 RRC와 같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PCell 및 SCell의 TDD UL-DL 설정을 알고 있는 상태이다.
단말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SCell 기준 TDD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S1310). SCell 기준 TDD 설정 정보는 RRC 또는 PDCCH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PCell의 경우, 단말은 PCell의 TDD UL-DL 설정 및 표 2에 기초하여 PDSCH A/N을 전송하는 PCell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타이밍)을 결정하고 그 서브프레임에 PCell의 PDSCH A/N을 전송한다. 그리고, SCell의 경우, 단말은 SCell 기준 TDD UL-DL 설정 및 표 2에 기초하여 PDSCH A/N을 전송하는 PCell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타이밍)을 결정하고 그 서브프레임에 SCell의 PDSCH A/N을 전송한다(S1320).
일 예로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0이고 SCell의 TDD UL-DL 설정이 1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PCell의 UL-DL 구성은 DSUUUDSUUU이고, SCell의 UL-DL 구성은 DSUUDDSUUD이며, 서브프레임 4 및 9는 충돌 서브프레임이다. 이러한 경우, SCell 기준 TDD 설정은 0, 1, 2, 3, 4, 5, 6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SCell 기준 TDD 설정은 SCell의 UL-DL 설정과 같은 1일 수 있다.
도 14는 일 예로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0, SCell의 TDD UL-DL 설정이 1, SCell 기준 TDD 설정이 1인 경우를 도시한다.
PCell의 경우 PCell의 TDD UL-DL 설정을 따르므로, PCell에서, 각 라디오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6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 4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0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7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1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 9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5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SCell의 경우 SCell 기준 TDD 설정을 따르므로, PCell에서, 각 라디오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5, 6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 3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9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7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0, 1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 8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4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1이고 SCell의 TDD UL-DL 설정이 0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PCell의 UL-DL 구성은 DSUUDDSUUD이고, SCell의 UL-DL 구성은 DSUUUDSUUU이며, 서브프레임 4 및 9는 충돌 서브프레임이다. 이러한 경우, SCell 기준 TDD 설정은 1, 2, 4, 5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15는 일 예로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1, SCell의 TDD UL-DL 설정이 0, SCell 기준 TDD 설정이 2인 경우를 도시한다.
PCell의 경우 PCell의 TDD UL-DL 설정을 따르므로, PCell에서, 각 라디오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5, 6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 3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9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7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0, 1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 8에서는 PCell의 서브프레임 4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SCell의 경우 SCell 기준 TDD 설정을 따른다. PCell에서, 각 라디오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5, 6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SCell의 서브프레임 4, 8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SCell의 서브프레임 4, 8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는다. 서브프레임 7에서는 SCell의 서브프레임 0, 1의 PDSCH A/N이 전송될 수 있다. SCell의 서브프레임 9, 3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SCell의 서브프레임 9, 3의 PDSCH A/N은 전송되지 않는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포인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송수신 포인트(1600)는 제어부(1610), 송신부(1620) 및 수신부(1630)를 포함한다.
제어부(1610)는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한다. 단말과 송수신 포인트는 PCell 및 SCell을 포함하는 복수의 CC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CA 기술을 이용하고, PCell의 TDD UL-DL 설정과 SCell의 TDD UL-DL 설정이 서로 다를 때, 제어부(1210)는 그 단말이 PCell을 통해 PDSCH A/N을 전송할 타이밍을 결정하는 기준 TDD 설정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한다.
제어부(1610)는 PCell의 TDD UL-DL 설정 및 SCell의 TDD UL-DL 설정과 표 3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을 찾아낸다.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S610 내지 S630 단계를 통해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을 찾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제어부(1610)는 PCell의 TDD UL-DL 설정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SCell 기준 TDD 설정을 찾아낸다.
그리고, 제어부(1610)는 단말의 채널 환경, 지리적인 위치, 다른 정보 또는 신호의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 등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 중에서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한다.
송신부(1620)는 제어부(1610)에 의해 선택된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로의 전송은 RRC 또는 PDCCH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1230)는 단말로부터 PDSCH A/N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말(1700)은 제어부(1710), 송신부(1720) 및 수신부(1730)를 포함한다.
도 17에서, 단말(1700)은 송수신 포인트와 PCell 및 SCell을 포함하는 복수의 CC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CA 기술을 이용하고, PCell의 TDD UL-DL 설정과 SCell의 TDD UL-DL 설정은 서로 다르다.
수신부(1730)는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RRC 또는 PDCCH를 통해 기준 TDD 설정 정보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710)는 수신된 기준 TDD 설정 정보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 정보로부터 PDSCH A/N을 전송할 서브프레임(타이밍) 및 각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PDSCH A/N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러한 정보는 수신한 기준 TDD 설정 정보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 정보 및 표 2를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수신부(1730)가 PDSCH를 수신할 때, 제어부(1710)는 PDSCH의 수신 성공/실패(ACK/NACK)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부(1720)가 생성된 PDSCH의 A/N이 전송될 것으로 예정된 서브프레임(타이밍)에 ACK/NACK 신호를 PCell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송수신 포인트가 하나 이상의 가능한 기준 TDD 설정 중에서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하고 선택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것으로 기재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송수신 포인트 및 단말 각각이 사전에 공통으로 정의된 규칙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가능한 기준 TDD 설정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 중에서 단말에 특정된 기준 TDD 설정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기준 TDD 설정 정보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정보는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 사이에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능한 기준 TDD 설정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 중에서 하나만이 포함된 테이블을 사전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나 이상의 가능한 기준 TDD 설정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 중 어느 것이 사용될지는 사전에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표 3에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0이고 SCell의 TDD UL-DL 설정이 1인 경우 기준 TDD 설정으로는 1, 2, 4, 5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지만, 송수신 포인트 및 단말이 구비하는 테이블에는 가능한 값 중 사전에 구성된 하나의 값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준 TDD 설정 정보는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 사이에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PCell의 TDD UL-DL 설정과 SCell의 TDD UL-DL 설정이 서로 다른 경우, 기준 TDD 설정 또는 SCell 기준 TDD 설정으로는 특정 값(예를 들면, TDD UL-DL 설정 5)이 사용되는 것으로 약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준 TDD 설정 정보는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 사이에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PCell의 TDD UL-DL 설정 및 하나의 SCell의 UL-DL 설정, 즉 2개의 TDD UL-DL 설정이 서로 다른 경우에 대하여 기재하였다.
한편, PCell의 TDD UL-DL 설정 및 복수의 SCell의 UL-DL 설정, 즉 3개 이상의 TDD UL-DL 설정이 서로 다른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송수신 포인트는 전술한 도 6의 S610 단계에서 3개 이상의 TDD UL-DL 설정을 비교하고, S620 단계에서 3개 이상의 TDD UL-DL 설정에서 공통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검색하며, S630 단계에서 PDSCH A/N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이 상기 공통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 TDD 설정을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송수신 포인트 및/또는 단말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사전에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기준 TDD 설정에 기초하여 3개 이상의 CC에서의 PDSCH A/N을 PCell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상이한 TDD(time division duplex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L-DL configuration)을 가지는 주서빙셀(primary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cell :SCell)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서빙셀들로 구성된 단말로서,
    상기 부서빙셀을 위한 기준 TDD 구성에 의해 결정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제1 A/N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A/N은 상기 부서빙셀상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전송에 대응하고,
    상기 부서빙셀을 위한 기준 TDD 구성은 표 1에서의 상기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 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준 TDD 구성들 중에서 상기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상기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및 상기 단말의 채널 환경을 기초로 선택되고,
    [표 1]
    Figure 112020029763687-pat00008

    상기 표 1에서 각 기준 TDD 구성은 표 2에서 정의되는 서브프레임 ‘n’에 관한 하향링크 연관(association) 집합 인덱스 (K : {k0, k1, …, kM-1})을 지시하며,
    [표 2]
    Figure 112020029763687-pat00009

    서브프레임 (n-ki) (여기서, 0≤i≤M-1)에서 전송되는 PDSCH에 대응하는 A/N은 상기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주서빙셀에 관한 기준 TDD 구성에 의해 결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제2 A/N을 전송하되,
    상기 제2 A/N은 상기 주서빙셀상의 PDSCH 전송에 대응하고,
    상기 주서빙셀에 관한 기준 TDD 구성은 상기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준 TDD 구성이 상기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부서빙셀에 관한 상기 기준 TDD 구성은 상기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상이한 TDD(time division duplex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L-DL configuration)을 가지는 주서빙셀(primary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cell :SCell)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서빙셀들로 구성된 단말에 의한 A/N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부서빙셀을 위한 기준 TDD 구성에 의해 결정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제1 A/N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A/N은 상기 부서빙셀상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전송에 대응하고,
    상기 부서빙셀을 위한 기준 TDD 구성은 표 3에서의 상기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 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준 TDD 구성들 중에서 상기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상기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및 상기 단말의 채널 환경을 기초로 선택되고,
    [표 3]
    Figure 112020029763687-pat00010

    상기 표 3에서 각 기준 TDD 구성은 표 4에서 정의되는 서브프레임 ‘n’에 관한 하향링크 연관(association) 집합 인덱스 (K : {k0, k1, …, kM-1})을 지시하며,
    [표 4]
    Figure 112020029763687-pat00011

    서브프레임 (n-ki) (여기서, 0≤i≤M-1)에서 전송되는 PDSCH에 대응하는 A/N은 상기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빙셀에 관한 기준 TDD 구성에 의해 결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제2 A/N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A/N은 상기 주서빙셀상의 PDSCH 전송에 대응하고,
    상기 주서빙셀에 관한 기준 TDD 구성은 상기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준 TDD 구성이 상기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부서빙셀에 관한 상기 기준 TDD 구성은 상기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상이한 TDD(time division duplex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L-DL configuration)을 가지는 주서빙셀(primary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cell :SCell)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서빙셀들로 구성된 단말과 통신하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서,
    상기 부서빙셀을 위한 기준 TDD 구성에 의해 결정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제1 A/N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A/N은 상기 부서빙셀상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전송에 대응하고,
    상기 부서빙셀을 위한 기준 TDD 구성은 표 5에서의 상기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 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준 TDD 구성들 중에서 상기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상기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및 상기 단말의 채널 환경을 기초로 선택되고,
    [표 5]
    Figure 112020029763687-pat00012

    상기 표 5에서 각 기준 TDD 구성은 표 6에서 정의되는 서브프레임 ‘n’에 관한 하향링크 연관(association) 집합 인덱스 (K : {k0, k1, …, kM-1})을 지시하며,
    [표 6]
    Figure 112020029763687-pat00013

    서브프레임 (n-ki) (여기서, 0≤i≤M-1)에서 전송되는 PDSCH에 대응하는 A/N은 상기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포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주서빙셀에 관한 기준 TDD 구성에 의해 결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제2 A/N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2 A/N은 상기 주서빙셀상의 PDSCH 전송에 대응하고,
    상기 주서빙셀에 관한 기준 TDD 구성은 상기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포인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준 TDD 구성이 상기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부서빙셀에 관한 상기 기준 TDD 구성은 상기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포인트.
  10. 상이한 TDD(time division duplex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L-DL configuration)을 가지는 주서빙셀(primary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cell :SCell)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서빙셀들로 구성된 단말과 통신하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에 의한 A/N(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부서빙셀을 위한 기준 TDD 구성에 의해 결정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제1 A/N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A/N은 상기 부서빙셀상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전송에 대응하고,
    상기 부서빙셀을 위한 기준 TDD 구성은 표 7에서의 상기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 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준 TDD 구성들 중에서 상기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상기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및 상기 단말의 채널 환경을 기초로 선택되고,
    [표 7]
    Figure 112020029763687-pat00014

    상기 표 7에서 각 기준 TDD 구성은 표 8에서 정의되는 서브프레임 ‘n’에 관한 하향링크 연관(association) 집합 인덱스 (K : {k0, k1, …, kM-1})을 지시하며,
    [표 8]
    Figure 112020029763687-pat00015

    서브프레임 (n-ki) (여기서, 0≤i≤M-1)에서 전송되는 PDSCH에 대응하는 A/N은 상기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빙셀에 관한 기준 TDD 구성에 의해 결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제2 A/N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A/N은 상기 주서빙셀상의 PDSCH 전송에 대응하고,
    상기 주서빙셀에 관한 기준 TDD 구성은 상기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준 TDD 구성이 상기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부서빙셀에 관한 상기 기준 TDD 구성은 상기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00034567A 2011-12-16 2020-03-20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KR102148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6662 2011-12-16
KR1020110136662 2011-12-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275A Division KR20130069284A (ko) 2011-12-16 2012-01-30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825A KR20200036825A (ko) 2020-04-07
KR102148244B1 true KR102148244B1 (ko) 2020-08-26

Family

ID=488647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275A KR20130069284A (ko) 2011-12-16 2012-01-30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KR1020200034567A KR102148244B1 (ko) 2011-12-16 2020-03-20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275A KR20130069284A (ko) 2011-12-16 2012-01-30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8873519B2 (ko)
EP (1) EP2792093B1 (ko)
JP (1) JP6212048B2 (ko)
KR (2) KR20130069284A (ko)
CN (1) CN104040921B (ko)
WO (1) WO2013089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8544A2 (ko) * 2011-03-21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과, 사용자기기 및 기지국
KR20130069284A (ko)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팬택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US9838194B2 (en) * 2011-12-16 2017-12-05 Goldpeak Innovations Inc User equipment, PDSCH A/N transmitting method thereof, transmission/reception point, and PDSCH A/N receiving method thereof
KR102217646B1 (ko) 2012-05-24 2021-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송수신 방법
DK2847911T3 (en) * 2012-05-10 2016-04-18 Ericsson Telefon Ab L M A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signaling
US9066273B2 (en) 2012-07-30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Cell selection based on favorable ULDL configuration in LTE/TDD networks
IN2015DN03180A (ko) * 2012-12-19 2015-10-02 Ericsson Telefon Ab L M
US9794803B2 (en) * 2013-01-18 2017-10-17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s of dynamic TDD configurations
JP6507454B2 (ja) * 2013-03-05 2019-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4039017A (zh) * 2013-03-06 2014-09-10 夏普株式会社 发送调度信息的方法和基站
US10862658B2 (en) * 2013-03-22 2020-12-08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9179445B2 (en) * 2013-04-02 2015-11-03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 in the presence of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change
US9692582B2 (en) * 2013-05-09 2017-06-27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reference configurations
KR20140135331A (ko) * 2013-05-15 201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
WO2015016575A1 (ko) * 2013-07-29 201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포인트 선택에 기반하여 다중 전송포인트 협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131458B1 (ko) * 2013-08-08 2020-07-07 애플 인크. Tdd 환경에서 다운링크 harq 타이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BR112016002425A2 (pt) 2013-08-09 2017-08-01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para tratar o agendamento de subquadros e agendamento de subquadros, e, primeira e segunda estação base
KR102204049B1 (ko) * 2013-08-09 2021-01-19 팬텍 주식회사 Tdd 시스템에서 dl harq 수행방법 및 장치
US20150085834A1 (en) * 2013-09-26 2015-03-26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long term evolution (td-lte) frame structure modification
WO2015046358A1 (ja) * 2013-09-26 2015-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基地局、および通信方法
US9473289B2 (en) 2013-09-27 2016-10-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UCCH resource allocation and use
JP2016533658A (ja) * 2013-09-27 2016-10-27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eIMTA用のHARQ−ACKリソースの割当及び使用
US9974057B2 (en) * 2013-10-30 2018-05-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HARQ ACK/NACK from user equipment simultaneously accessing multiple cells
US20160380742A1 (en) * 2013-11-29 2016-12-29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5940624A (zh) * 2014-01-09 2016-09-14 Lg电子株式会社 在支持fdr传输的无线接入系统中构造帧结构的方法和装置
CA2942934C (en) * 2014-03-21 2019-02-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riving secondary cell hybrid-automatic-repeat-request timing
US11019620B2 (en) * 2014-05-19 2021-05-2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band pairing of carriers for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 and receive-switching and its application to multiplexing of different transmission time intervals
US11452121B2 (en) 2014-05-19 2022-09-2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ous multiplexing and multiple access for different latency targets utilizing thin control
WO2016025638A1 (en) 2014-08-15 2016-02-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verage enhancement for time division duplex and enhanced interference mitigation and traffic adaptation in long term evolution systems
US9538523B2 (en) * 2014-08-28 2017-0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receiving radi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related network nodes and base stations
US9681448B2 (en) 2014-08-28 2017-06-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communicating radi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related network nodes and base stations
JP6542238B2 (ja) * 2014-09-10 2019-07-1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7135031B (zh) * 2016-02-29 202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网络设备、帧格式配置方法和系统
WO2020092260A1 (en) * 2018-10-31 2020-05-07 Intel Corporation Enhanc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transmission for high reliability
WO2020092264A1 (en) * 2018-11-01 2020-05-07 Intel Corporation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multiplexing for multi-transmit and receive point (trp) system
KR20200111553A (ko) * 2019-03-19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을 위한 단말의 상향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83511B (zh) * 2008-01-09 2013-09-18 三星电子株式会社 适用于多tdd系统共存的方法
KR20090109046A (ko) * 2008-04-14 2009-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방식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
EP2355567B1 (en) * 2008-11-04 2016-05-18 China Academy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Method and device for enabling multi-carriers aggregation transmission
KR101670517B1 (ko) * 2009-11-26 201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상향링크의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및 단말
US8934421B2 (en) * 2010-05-12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ment transmissions under cross-subframe resource allocation in LTE-A
CN105227277B (zh) * 2010-10-28 2018-07-06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CN103283170B (zh) * 2010-11-02 2016-05-0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射/接收上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899820B1 (ko) * 2010-11-11 2018-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873425B2 (en) * 2010-11-12 2020-12-22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ment / negative acknowledgement feedback for TDD
KR101497850B1 (ko) * 2010-12-02 2015-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5391528B (zh) * 2010-12-15 2019-07-30 Lg电子株式会社 在基于tdd的无线通信系统中发射ack/nack的方法和装置
CN102098148B (zh) * 2011-02-12 2013-07-3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载波聚合系统下的数据处理方法和设备
CN102651680B (zh) * 2011-02-24 2015-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载波聚合系统的通信方法和装置
CN106209327B (zh) * 2011-03-13 2019-09-10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接收信号的方法及其装置
KR20140018977A (ko) * 2011-04-29 2014-02-1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서브프레임 제한을 갖는 반송파들의 반송파 집성
US9137804B2 (en) * 2011-06-21 2015-09-15 Media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fferent TDD configurations in carrier aggregation
CN103024820B (zh) * 2011-09-20 2018-03-2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软缓存处理的方法及设备
US8897187B2 (en) * 2011-09-23 2014-11-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same
KR101560392B1 (ko) * 2011-09-23 201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650392B (zh) * 2011-09-23 2016-11-16 Lg电子株式会社 发送控制信息的方法及用于该方法的设备
CA2853239C (en) * 2011-11-04 2017-08-15 Intel Corporation Selection of acknowledgment ti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838194B2 (en) * 2011-12-16 2017-12-05 Goldpeak Innovations Inc User equipment, PDSCH A/N transmitting method thereof, transmission/reception point, and PDSCH A/N receiving method thereof
KR20130069284A (ko)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팬택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12349
3gpp R1-112944*
3GPP R1-113674
3gpp R1-113803*
3gpp R1-11395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12048B2 (ja) 2017-10-11
CN104040921B (zh) 2017-09-01
EP2792093B1 (en) 2018-07-11
EP2792093A4 (en) 2015-09-02
US20130155915A1 (en) 2013-06-20
WO2013089507A1 (en) 2013-06-20
JP2015505200A (ja) 2015-02-16
CN104040921A (zh) 2014-09-10
KR20130069284A (ko) 2013-06-26
US20220399985A1 (en) 2022-12-15
KR20200036825A (ko) 2020-04-07
US20150029912A1 (en) 2015-01-29
US8873519B2 (en) 2014-10-28
US9270365B2 (en) 2016-02-23
US11888789B2 (en) 2024-01-30
EP2792093A1 (en)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244B1 (ko)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US10805060B2 (en) User equipment, PDSCH A/N transmitting method thereof, transmission/reception point, and PDSCH A/N receiving method thereof
KR101920496B1 (ko) 인터밴드 tdd 전송 방식에서 사용자 단말의 전송 모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8022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downlink HARQ timing
KR20150074494A (ko) Tdd-fdd 반송파 집성을 위한 소프트버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92369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traffic in a TDD system that uses multi-component carriers
US10034256B2 (en) Wireless device for which plurality of serving cells is configured,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same
KR20130121605A (ko) 단말 및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자원 설정 방법
US93387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using extension carrier in wireless access system
CN107888333B (zh) 经由用于覆盖扩展的上行链路信道收发数据的方法及其装置
US9237579B2 (en) Data transmitting method using power detection, and device thereof
US101778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HARQ for multi cells
US100752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HARQ
KR20180046445A (ko) Short TTI 프레임 구조에서 legacy PDCCH를 고려한 DCI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31807A (ko) Short TTI 프레임 구조에서 PUSCH와 short PUSCH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18547A (ko) 인터밴드 tdd 전송 방식에서 수신 데이터의 응답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30073666A (ko)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단말, 기지국의 pdsch a/n 수신 방법, 및 기지국
KR20150060114A (ko) 하향링크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