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155B1 - 반복 응답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반복 응답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155B1
KR102148155B1 KR1020157001755A KR20157001755A KR102148155B1 KR 102148155 B1 KR102148155 B1 KR 102148155B1 KR 1020157001755 A KR1020157001755 A KR 1020157001755A KR 20157001755 A KR20157001755 A KR 20157001755A KR 102148155 B1 KR102148155 B1 KR 102148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dule
value
previous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3858A (ko
Inventor
무스타파 이엘-카미
강인엽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2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45Combining techniques, e.g. code comb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은 통신 콘텐츠를 포함하는 이전 데이터에 대응하는 반복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확인 모듈; 상기 확인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이전 데이터에 기반하여 이전 통신 값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블록간 처리 모듈; 상기 블록간 처리 모듈에 연결되어, 수신기 신호로부터의 상기 반복 요청에 대응하는 반복 데이터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검출 모듈; 상기 검출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이전 데이터 및 상기 반복 데이터에 기반하여 누적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누적기 모듈; 및 상기 누적기 모듈에 연결되어, 어떤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전송 블록의 인스턴스들에 대해 상기 누적 출력 및 상기 이전 통신 값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콘텐츠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복 응답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COMMUNICATION SYSTEM WITH REPEAT-RESPONSE COMBIN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복 응답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소비 및 산업 전자기기들, 특히 셀룰라 폰, 네비게이션 시스템,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s), 및 그 결합 장치들과 같은 장치들은 모바일 통신을 포함하는 현대적 생활을 뒷받침하기 위해 점점 높아지는 수준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기존 기술들에서의 연구개발은 서로 다른 수많은 방향을 취할 수 있다.
현대 생활에서의 늘어나는 정보 수요는 사용자들이 어느 시점에서든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 정보를 액세스하는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모바일 통신에서 사용되는 전기통신 신호들은 수많은 소스들로부터 다양한 유형의 간섭뿐 아니라 전송된 정보에 대한 수많은 가능한 포맷들로부터 야기되는 계산상의 복잡도를 겪으며, 이것이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의 품질과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반복 응답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 통신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늘어나는 사용자의 기대 및 시장에서 의미 있는 제품 차별화에 대한 기회의 감소와 함께 계속 증가 중에 있는 상업적 경쟁 압력의 관점에서 볼 때, 그 문제의 해답을 찾는 것이 더욱더 중요하다. 또한 비용을 줄이고, 효율성 및 성능을 개선하며 경쟁 압력에 부응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그 문제들의 해답을 찾아야 한다는 중대한 필요성에 매우 큰 긴급성을 부가시킨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법이 오랫동안 모색되어 왔지만 이전의 기술들은 어떠한 해법도 알려주거나 제안하지 못했기 때문에, 당업자들은 이 문제에 대한 해법을 오랫동안 얻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며, 통신 시스템은 통신 콘텐츠를 포함하는 이전 데이터에 대응하는 반복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확인 모듈; 상기 확인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이전 데이터에 기반하여 이전 통신 값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블록간 처리 모듈; 상기 블록간 처리 모듈에 연결되어, 수신기 신호로부터의 상기 반복 요청에 대응하는 반복 데이터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검출 모듈; 상기 검출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이전 데이터 및 상기 반복 데이터에 기반하여 누적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누적기 모듈; 및 상기 누적기 모듈에 연결되어, 어떤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전송 블록의 인스턴스들에 대해 상기 누적 출력 및 상기 이전 통신 값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콘텐츠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통신 콘텐츠를 포함하는 이전 데이터에 대응하는 반복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전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어 유닛을 통해 이전 통신 값을 판단하는 단계; 수신기 신호로부터 상기 반복 요청에 대응하는 반복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이전 데이터 및 상기 반복 데이터에 기반하여 누적 출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어떤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전송 블록의 인스턴스들에 대해 상기 누적 출력 및 상기 이전 통신 값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들은 위에서 언급된 것들에 더해지거나 그 대신에 다른 단계들이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그 단계들 또는 구성요소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해석함에 따라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보일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복 응답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 통신 시스템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는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하의 실시예들은 이전 데이터에 대응하는 반복 요청에 따라 전송된 반복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를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전 내부 디코더 값 및 이전 전반적 디코딩 값을 포함하는 이전 통신 값, 사전 값 또는 이전 통신 값 디코딩에 기반하는 펑처링(puncturing) 출력, 이전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이전의 데이터에 대한 결과들이 반복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 처리 결과들은 전송 블록들의 인스턴스들에 대해 프로세스들의 다양한 조합들에 대한 터보 원리 메커니즘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반복 데이터 처리 시, 이전 데이터에 대한 처리 결과들을 이용하기 위한 피드백 프로파일은 통신 속도의 증가, 디코딩 주기의 감소, 전력 소비 감소, 재전송 요청들의 감소, 및 보다 낮은 에러율을 제공한다. 또한, 이전 통신 값, 펑처링 출력, 피드백 프로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은 처리율과 코딩에서의 다른 예상치 못한 이득을 제공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만들고 이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상세하게 기술된다. 본 개시사항에 기초한 다른 실시예들도 자명하게 예상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시스템, 프로세스, 또는 메커니즘의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수많은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주어진다. 그러나, 그러한 세부 사항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일부 잘 알려진 회로, 시스템, 구성, 및 프로세스 단계들은 상세히 개시되지 않을 것이다.
시스템의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들은 반 개략도로서 그 축척비율대로가 아니며, 특히 그 치수의 일부는 표현의 명료성을 위한 것으로 도면에서 과장되게 보여진다.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들의 보기는 일반적으로 비슷한 방위를 취하고 있지만, 도면의 이러한 묘사는 대부분에 있어 임의적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어떤 방위 상에서도 작동될 수 있다.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등으로 번호가 매겨졌으나, 어떤 다른 중요성이 있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제한을 부여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언급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그 용어가 사용되는 정황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나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머신 코더, 펌웨어, 임베디드 코드, 및 응용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역시 예를 들면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압력 센서, 관성 센서, 마이크로전자기 시스템(MEMS), 수동 장치,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일 수 있다.
여기 사용되는 "프로세싱(처리)"라는 용어는 신호들의 필터링, 심볼들의 디코딩, 데이터 구조들의 조립(어셈블링), 데이터 구조들의 전송, 데이터 구조들의 조작, 및 데이터 구조들의 읽고 쓰기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조들은 심볼들, 패킷들, 블록들, 파일들, 입력 데이터, 산출되거나 생성된 데이터 같은 시스템 생성 데이터, 및 프로그램 데이터로서 정렬된 정보라고 정의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복 응답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 통신 시스템(100)이 도시된다. 통신 시스템(100)은 셀룰라 폰 또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네트워크(104)에 연결되는 모바일 장치(10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04)는 장치들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유무선 통신 장치들의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04)는 무선 셀룰라 네트워크를 위한 와이어,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타워, 스테이션, 리피터, 전화망,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4)는 또한, 다양한 크기의 영역 네트워크들에 대해 라우터, 케이블, 컴퓨터, 서버, 및 클라이언트 장치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4)는 모바일 장치(102)와 직접 연결되어 통신하는 기지국(1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6)은 모바일 장치(102)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모바일 장치(102)로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를 처리하고, 혹은 그 조합을 수행한다. 기지국(106)은 다른 기지국들, 네트워크(104) 내 구성요소들, 또는 그 조합 간에 신호드를 중계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102)는 기지국(106)을 통해 네트워크(10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6)은 스마트폰이나 랩탑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장치(102)로/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셀 타워, 무선 라우터, 안테나, 처리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함께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2)는 다른 모바일 장치, 서버, 컴퓨터, 전화, 또는 그 조합과 같은 다른 장치들과 연결 및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2)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수신하거나, 신호를 처리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고, 신호들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신호들의 콘텐츠에 따른 사운드를 청각적으로 재생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거나 운영체제를 업데이트하는 것과 같이 콘텐츠에 따라 처리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수행함으로써 다른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106)은 전화 통화의 음성 신호들이나 웹페이지 및 그와 상호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용 신호들을 무선 교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106)은 또한, 참조 신호, 트레이닝 신호, 에러 검출 신호, 에러 정정 신호, 헤더 정보, 전송 포맷, 프로토콜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전송할 수 있다.
코드 분할 다중화 액세스(C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액세스(OFDMA),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4G(fourth generation) 표준들과 같은 통신 방법에 기반하여, 통신 신호들은 참조부, 헤더부, 포맷부, 에러 정정 또는 검출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신 정보 안에 내장하여 포함할 수 있다. 참조부, 헤더부, 포맷부, 에러 정정 또는 검출부, 또는 이들의 조합은 소정 비트, 펄스, 웨이브, 심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 시간 간격, 주파수,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다양한 부분들이 통신 신호 안에 내장될 수 있다.
기지국(106)은 송신기 신호(110)를 모바일 장치(102)로 보냄으로써 통신 콘텐츠(108)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콘텐츠(108)는 수신 장치에서의 재생 또는 처리에 의해 통신하도록 의도된 전송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통신 콘텐츠(108)는 이동국(102)과 같은 수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청각적 재생, 명령어 실행, 저장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기 위해 예정된 비트들의 시퀀스일 수 있다.
기지국(106)은 통신 콘텐츠(108)를 변경하여 전송기 신호(110)를 생성해 전송할 수 있다. 전송기 신호(110)는 통신할 장치에 의해 실질적으로 전송되고 전송용 포맷을 가진 데이터이다. 기지국(106)은 포맷팅 정보를 게재(인터리빙)하거나 추가하는 등, 코드워드들(112)을 생성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방법이나 표준에 따라 통신 콘텐츠(108)를 변경하여 전송기 신호(110)를 생성할 수 있다. 코드워드들(112)은 각각, 장치들 간 정보 통신을 위해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진 정보 단위들이다.
예를 들어 전송기 신호(110)는 통신 콘텐츠(108), 정보부(114) 및 패리티부(116)를 나타내는 비트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코드워드들일 수 있다. 정보부(114)는 통신 콘텐츠(108)에 대응하는 코드워드들의 부분이다. 패리티부(116)는 에러 방지, 에러 검출, 에러 정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해 통신 콘텐츠(108)에 추가 및 기반하는 정보이다. 통신 시스템(100)은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방법이나 표준, 통신 표준,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패리티부(116)를 결정하여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송기 신호(110)는 직교 진폭 변조(QAM) 또는 위상 쉬프트 키잉(PSK)에 따른 심볼(118)이나 그 시퀀스일 수 있다. 심볼(118) 또는 그 시퀀스는 통신 콘텐츠(108), 코드워드들(112)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비트들의 시퀀스에 해당할 수 있다.
전송기 신호(110)는 전송 블록(124)에 따른 코드워드들(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블록(124)은 장치들 간 전송을 위한 코드워드들(112)의 그룹이다. 예를 들어, 전송 블록(124)은 코드워드들(112)의 양, 전송 듀레이션, 정보 정렬 포맷,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한계일 수 있다. 전송기 신호(110)는 통신 콘텐츠(108)를 나타내기 위해 코드워드들(112)을 그룹짓는 전송 블록(124)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기 신호(110)는 전송기 채널(126)을 거친 후 이동국(102)에 도달할 수 있다. 전송기 채널(126)은 무선, 유선,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전송기 채널(126)은 모바일 장치(102) 및 기지국(106) 사이의 직접 링크일 수 있고, 아니면 리피터, 증폭기,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기 채널(126)은 모바일 장치(102)와 기지국(106) 사이에서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주파수, 타임 슬롯, 패킷 지정, 전송율, 채널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국(102)은 수신기 신호(128)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 신호(128)는 통신 시스템(100) 내 어느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이다. 수신기 신호(128)는 전송기 채널(126)을 지나면서 변경된 전송기 신호(1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 신호(128)는 모바일 장치(102), 기지국(106),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의 잡음, 다른 장치들로부터의 간섭 신호들 및 대응하는 채널 효과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수신기 신호(128)로부터 채널 추정치(130)를 추정할 수 있다. 채널 추정치(130)는 전송기 채널(126)에 의해 야기되는 신호 변화에 대한 내용이다. 채널 추정치(130)는 신호가 기지국(106)과 모바일 장치(102) 사이를 지나면서 경험할 수 있는 반사, 손실, 굴절, 방해, 또는 이들의 조합을 기술하고 정량화할 수 있다. 채널 추정치(130)는 전송기 채널(126)을 특징짓는 행렬 값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장치들 간 통신을 위해 다양한 구성들을 더 가질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SO) 방식(132) 또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방식(134)을 사용할 수 있다. 단일 입력 단일 출력 방식(132)은 전송기 상의 하나의 안테나와 수신기 상의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은 전송기 상의 다중 안테나와 수신기 상의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106)은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고, 모바일 장치(102)는 '2x1' 또는 '2x2' 시스템을 위해 하나 혹은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단일 입력 단일 출력 방식(132)은 통신을 위한 통신 계층(136)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계층(136)은 전송기 및 수신기 사이의 안테나들의 고유 조합이다. 예를 들어,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은 기지국(106), 모바일 장치(102), 또는 이들의 조합 상의 안테나들의 개수에 기반하여 통신 계층(136)의 여러 인스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장치는 통신 계층(136)의 이용 가능한 인스턴스들을 이용하여 전송기 신호(110)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6)은 이용 가능한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통신 계층(136)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들을 이용하여 전송기 신호(110)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기지국(106)은 베이스 계층 데이터(138) 및 추가 계층 데이터(140)를 전송할 수 있다. 베이스 계층 데이터(138) 및 추가 계층 데이터(140)는 각각 통신 콘텐츠(108)의 배타적 혹은 중복적 부분들에 해당하는 정보의 스트림일 수 있다. 베이스 계층 데이터(138)는 단일 입력 단일 출력 방식(132)을 위한 전송기 신호(110)일 수 있다. 전송기 신호(110)는 전송 장치 상의 두 안테나들을 이용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을 위한 베이스 계층 데이터(138) 및 추가 계층 데이터(140)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목적으로, 통신 시스템(100)이 기지국(106)으로부터의 전송 및 모바일 장치(102)에서의 수신에 의해 통신하는 것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통신 시스템(100)이 모바일 장치(102)로부터 전송하거나, 기지국(106)에서 수신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수신기 신호(128) 처리에 기반하여 통신을 반복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2)는 이전 데이터(144) 처리에 기반하여 반복 요청(142)을 보낼 수 있다. 반복 요청(142)은 전송을 반복하기 위해 수신 장치에서의 처리 상태를 통지하는 메시지 또는 신호일 수 있다. 이전 데이터(144)는 반복 요청(142)에 대응하는 수신기 신호(128)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복 요청(142)은 기지국(106)으로 전송된, 모바일 장치(102)에 의한 성공적 처리의 확인(ACK)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6)은 ACK의 부재에 대응하여 이전 데이터(144)와 관련된 반복 데이터(146)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반복 요청(142)은 기지국(106)으로 전송된, 모바일 장치(102)에 의한 성공하지 못한 처리 또는 에러 체크 결과에 해당하는 부정 확인(NACK)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반복 요청(142)에 대응하여 이전 데이터(144)와 관련된 반복 데이터(146)를 보낼 수 있다.
반복 데이터(146)는 반복 요청(142)에 따라 재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반복 데이터(146)는 반복 요청(142)에 대응하는 이전 데이터(144)의 전부 혹은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100)은 장치들 간 통신을 위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모바일 장치(102)에서의 채널 추정치(130)의 부정확도, 채널 추정치(130)에 기반한 정보를 기지국(106)으로 피드백할 때의 시간 딜레이로 인한 부정확도, 또는 통신 및 반복 전송에 있어서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부정확도들이 패리티부(116)를 이용하는 순환 반복 체크(CRC)를 포함하는 에러 검출 프로세스들과 같은 것을 통해 수신기 신호(128) 처리 시의 에러들에 대한 검출을 야기할 수 있다.
이 예를 계속 들자면, 모바일 장치(102)는 CRC의 상태에 기반하여 반복 요청(142)을 보낼 수 있다. 기지국(106)은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 데이터(146)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조합 또는 추적(chase) 조합(CC)을 하는 타입 I HARQ, 타입 II HARQ 또는 점증적 반복(IR), 또는 하이브리드 CC/IR 또는 부분 IR이라 불리는 타입 III HARQ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예를 계속 들면, 기지국(106)은 이전 데이터(144) 내 소정 패킷의 최초 전송의 동일 심볼들을 타입 I HARQ에 대한 동일 패킷의 반복 데이터(146)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06)은 반복 데이터(146) 안에, 이전 데이터(144)의 동일 패킷에 대한 이전 전송들의 것들과 상이하고 타입 II HARQ에 대한 코딩된 비트들의 상이한 파티션들에 대응하는 심볼(118)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복 데이터(146)의 초기 전송은 이전 데이터(144)의 정보부(114)에 대응할 수 있고, 나머지 전송들은 그 패리티부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예를 계속 들면, 기지국(106)은 네 개의 반복(redundancy) 버전들에 기반하여 반복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그 버전들 각각은 타입 III HARQ에 대해 순환 버퍼에 정렬된 코딩된 비트들의 판독 위치를 판단한다. 이전 데이터(144)에 대응하는 반복 데이터(146) 내 동일 패킷의 후속 전송들은 같은 정보 패킷에 대응하는 이전에 전송되고 새로 코딩된 심볼들 모두를 구성할 수 있다.
반복 데이터(146)는 반복 컨트롤(148)을 포함할 수 있다. 반복 컨트롤(148)은 반복 데이터(146)에 대한 포맷팅의 표시이다. 반복 컨트롤(148)은 사용된 HARQ의 타입, 순환 버퍼로부터 읽기 위한 시작 위치와 같이, 재전송되는 데이터의 위치나 자리, 데이터의 시퀀스나 순서, 또는 반복 데이터(146)에 대한 이들의 조합을 가리킬 수 있다. 반복 컨트롤(148)은 반복 데이터(1465)의 포맷부, 헤더부, 또는 이들의 조합 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이전 데이터(144) 및 반복 데이터(146) 사이에 수신기 신호(128)의 다른 인스턴스들을 가질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2)는 이전 데이터(144) 및 반복 데이터(146) 사이에서 후속 데이터(150)를 수신할 수 있다. 후속 데이터(150)는 반복 요청(142) 전이나 후에 있을 수 있다. 후속 데이터(150)는 반복 요청(142)과 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데이터(144)는 통신에 대한 유의(noting) 시간 또는 인덱스를 위한 't-1'이라는 초기 표지에서 모바일 장치(102)에서 수신되는 전송 블록(124)의 인스턴스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이전 데이터를 처리하고, 반복 요청(142)를 보내고, 't'로 표현되는 시간이나 인덱스에 대한 반복 표지에서 반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예를 계속 들면, 통신 시스템(100)은 초기 표지 및 반복 표지 사이에서 후속 데이터(150)를 수신할 수 있다. 후속 데이터(150)는 이전 데이터(144)로부터의 전송 블록(124)의 다른 인스턴스일 수 있고, 반복 데이터(146)는 이전 데이터(144)와 비교하여 전송 블록(124)의 관련 인스턴스일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의 예시적 블록도가 도시된다. 통신 시스템(100)은 제1장치(102), 네트워크(104), 및 제2장치(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치(102)는 네트워크(104)를 통해 제2장치(106)로 제1장치 전송(208)을 통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제2장치(106)는 네트워크(104)를 통해 제1장치(102)로 제2장치 전송(210)을 통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예시적 목적으로, 통신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 장치로서의 제1장치(102)를 가진 것으로 보여지지만, 통신 시스템(100)이 제1장치(102)를 다른 유형의 장치로서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1장치(102)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가진 서버일 수 있다.
역시 예시적 목적으로, 통신 시스템(100)은 서버로서의 제2장치(106)를 가진 것으로 보여지지만, 통신 시스템(100)이 제2장치(106)를 다른 유형의 장치로서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2장치(106)는 클라이언트 장치일 수 있다.
설명의 간결성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장치(102)는 클라이언트 장치로 기술될 것이고, 제2장치(106)는 서버 장치로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장치 유형의 선택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 선택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일 뿐이다.
제1장치(102)는 제1제어 유닛(212), 제1저장 유닛(214), 제1통신 유닛(216), 및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2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 유닛(212)은 제1제어 인터페이스(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 유닛(212)은 통신 시스템(100)의 지능을 제공하기 위해 제1소프트웨어(226)를 실행할 수 있다.
제1제어 유닛(212)은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 유닛(212)은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드웨어 제어 로직, 하드웨어 유한 상태 머신(FSM),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 인터페이스(222)는 제1제어 유닛(212) 및 제1장치(102) 내 다른 동작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1제어 인터페이스(222)는 제1장치(102) 외부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제어 인터페이스(222)는 다른 동작 유닛들이나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동작 유닛들이나 외부 목적지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 및 외부 목적지들은 제1장치(102) 외부의 소스들과 목적지들을 의미한다.
제1제어 인터페이스(222)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떤 동작 유닛들이나 외부 유닛들이 제1제어 인터페이스(222)와 인터페이스되어 있는지에 좌우되는 다양한 구현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 인터페이스(222)는 압력 센서, 관성 센서, 마이크로전자기 시스템(MEMS), 광학 회로, 도파로, 무선 회로, 유선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1저장 유닛(214)은 제1소프트웨어(226)를 저장할 수 있다. 제1저장 유닛(214)은 입력 메시지들을 나타내는 데이터, 이전에 제공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사운드 파일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1저장 유닛(214)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내부 메모리, 외부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저장 유닛(214)은 비휘발성 램(NVRAM),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스토리지 같은 비휘발성 스토리지, 또는 고정 램(SRAM) 같은 휘발성 스토리지일 수 있다.
제1저장 유닛(214)은 제1저장 인터페이스(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저장 인터페이스(224)는 제1장치(102) 내 다른 동작 유닛들 사이에서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1저장 인터페이스(224)는 제1장치(102) 외부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저장 인터페이스(224)는 다른 동작 유닛들이나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동작 유닛들이나 외부 목적지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 및 외부 목적지들은 제1장치(102) 외부의 소스들과 목적지들을 의미한다.
제1저장 인터페이스(224)는 어떤 동작 유닛들이나 외부 유닛들이 제1저장 유닛(214)과 인터페이스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이한 구현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저장 인터페이스(224)는 제1제어 인터페이스(222)의 구현예와 유사한 기술 및 기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제1통신 유닛(216)은 제1장치(102)와의 외부 통신을 이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통신 유닛(216)은 제1장치(102)가 도 1의 제2장치(106), 주변 기기나 컴퓨터 데스크탑과 같은 부가장치, 및 네트워크(104)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제1통신 유닛(216)은 또한 제1장치(102)가 네트워크(104)에 대한 엔드 포인트나 단말 유닛에 국한되지 않고 네트워크(104)의 일부로서 기능하게 하는 통신 허브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제1통신 유닛(216)은 네트워크(104)와의 상호 동작을 위해 마이크로전자회로나 안테나 같은 능동 및 수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 유닛(216)은 제1통신 인터페이스(2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 인터페이스(228)는 제1통신 유닛(216) 및 제1장치(102) 내 다른 동작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1통신 인터페이스(228)는 다른 동작 유닛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동작 유닛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통신 인터페이스(228)는 어떤 동작 유닛들이 제1통신 유닛(216)과 인터페이스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이한 구현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 인터페이스(228)는 제1제어 인터페이스(222)의 구현예와 유사한 기술 및 기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218)는 사용자(미도시)가 제1장치(102)와 인터페이스 및 상호동작할 수 있게 한다.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218)는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218)의 입력 장치의 예는 키패드, 터치 패드, 소프트 키, 키보드, 마이크로폰, 원격 신호 수신을 위한 적외선 센서, 또는 데이터 및 통신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이들의 어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218)는 제1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30)는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비디오 스크린, 스피커,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 유닛(212)은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218)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제어 유닛(212)은 통신 시스템(100)의 다른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제1소프트웨어(226)를 실행할 수도 있다. 제1제어 유닛(212)은 제1통신 유닛(216)을 통한 네트워크(104)와의 상호동작을 위해 제1소프트웨어(226)를 더 실행할 수 있다.
제2장치(106)는 제1장치(102)를 가진 다중 장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제2장치(106)는 제1장치(102)와 비교할 때 부가적, 혹은 보다 높은 성능 처리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장치(106)는 제2제어 유닛(234), 제2제어 유닛(334), 제2통신 유닛(236), 및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2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238)는 사용자(미도시)가 제2장치(106)와 인터페이스 및 상호동작할 수 있게 한다.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238)는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238)의 입력 장치의 예는 키패드, 터치 패드, 소프트 키, 키보드, 마이크로폰, 또는 데이터 및 통신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이들의 어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238)의 출력 장치의 예들이 제2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40)는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비디오 스크린, 스피커,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제어 유닛(234)은 통신 시스템(100)의 제2장치(106)의 지능을 제공하기 위해 제2소프트웨어(242)를 실행할 수 있다. 제2소프트웨어(242)는 제1소프트웨어(226)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2제어 유닛(234)는 제1제어 유닛(212)에 비해 부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제어 유닛(234)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238)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2제어 유닛(234)은 또한, 네트워크(104)를 통해 제1장치(102)와 통신하기 위해 제2통신 유닛(236)을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의 다른 동작들에 대한 제2소프트웨어(242)를 실행할 수도 있다.
제2제어 유닛(234)은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제어 유닛(234)은 프로세서,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드웨어 제어 로직, 하드웨어 유한 상태 머신(FSM),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제어 유닛(234)은 제2제어 인터페이스(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제어 인터페이스(244)는 제2제어 유닛(234) 및 제2장치(106) 내 다른 동작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2제어 인터페이스(244)는 제2장치(106) 외부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제2제어 인터페이스(244)는 다른 동작 유닛들이나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동작 유닛들이나 외부 목적지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 및 외부 목적지들은 제2장치(106) 외부의 소스들과 목적지들을 의미한다.
제2제어 인터페이스(244)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떤 동작 유닛들이나 외부 유닛들이 제2제어 인터페이스(244)와 인터페이스되어 있는지에 좌우되는 다양한 구현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제어 인터페이스(244)는 압력 센서, 관성 센서, 마이크로전자기 시스템(MEMS), 광학 회로, 도파로, 무선 회로, 유선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2저장 유닛(246)은 제2소프트웨어(242)를 저장할 수 있다. 제2저장 유닛(246)은 입력 메시지들을 나타내는 데이터, 이전에 제공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사운드 파일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2저장 유닛(246)은 제1저장 유닛(214)을 보충하기 위해 추가 저장 용량을 제공하는 크기일 수 있다.
예시적 목적으로 제2저장 유닛(246)은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보여지고 있으나, 제2저장 유닛(246)이 분산된 저장 요소들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역시 예시적 목적으로, 통신 시스템(100)은 제2저장 유닛(246)을 하나의 계층구조 저장 시스템으로서 보여주고 있지만, 통신 시스템(100)이 제2저장 유닛(346)을 상이한 구성으로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2저장 유닛(246)은 상이한 레벨의 캐싱, 메인 메모리, 회전 매체, 또는 오프라인 저장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계층구조적 시스템을 형성하는 여러 저장 기술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저장 유닛(246)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내부 메모리, 외부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저장 유닛(246)은 비휘발성 램(NVRAM),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스토리지 같은 비휘발성 스토리지, 또는 고정 램(SRAM) 같은 휘발성 스토리지일 수 있다.
제2저장 유닛(246)은 제2저장 인터페이스(2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저장 인터페이스(248)는 제2장치(106) 내 다른 동작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2저장 인터페이스(248)는 제2장치(106) 외부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제2저장 인터페이스(248)는 다른 동작 유닛들이나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동작 유닛들이나 외부 목적지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소스들 및 외부 목적지들은 제2장치(106) 외부의 소스들과 목적지들을 의미한다.
제2저장 인터페이스(248)는 어떤 동작 유닛들이나 외부 유닛들이 제2저장 유닛(246)과 인터페이스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이한 구현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저장 인터페이스(248)는 제2제어 인터페이스(244)의 구현예와 유사한 기술 및 기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제2통신 유닛(236)은 제2장치(106)와의 외부 통신을 이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통신 유닛(236)은 제2장치(106)가 네트워크(104)를 통해 제1장치(102)와 통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2통신 유닛(236)은 또한 제2장치(106)가 네트워크(104)에 대한 엔드 포인트나 단말 유닛에 국한되지 않고 네트워크(104)의 일부로서 기능하게 하는 통신 허브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제2통신 유닛(236)은 네트워크(104)와의 상호 동작을 위해 마이크로전자회로나 안테나 같은 능동 및 수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신 유닛(236)은 제2통신 인터페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신 인터페이스(250)는 제2통신 유닛(236) 및 제2장치(106) 내 다른 동작 유닛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2통신 인터페이스(250)는 다른 동작 유닛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동작 유닛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2통신 인터페이스(250)는 어떤 동작 유닛들이 제2통신 유닛(236)과 인터페이스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이한 구현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신 인터페이스(250)는 제2제어 인터페이스(244)의 구현예와 유사한 기술 및 기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제1통신 유닛(216)은 네트워크(104)와 연결되어, 제1장치 전송(308)을 통해 제2장치(106)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제2장치(106)는 네트워크(104)의 제1장치 전송(208)으로부터의 정보를 제1통신 유닛(236)에서 수신할 수 있다.
제2통신 유닛(236)은 네트워크(104)와 연결되어, 제2장치 전송(210)을 통해 제1장치(102)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제1장치(102)는 네트워크(104)의 제2장치 전송(210)으로부터의 정보를 제1통신 유닛(216)에서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제1제어 유닛(212), 제2제어 유닛(234),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예시적 목적으로, 제2장치(106)가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238), 제2저장 유닛(246), 제2제어 유닛(234), 및 제2통신 유닛(236)을 가진 파티션과 함께 보여지고 있으나, 제2장치(106)가 다른 파티션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2소프트웨어(242)가 그 성능의 일부나 전부가 제2제어 유닛(234) 및 제2통신 유닛(236) 안에 있을 수 있도록 다르게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제2장치(106)는 명료성을 위해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동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치(102) 내 동작 유닛들은 다른 동작 유닛들과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1장치(102)는 제2장치(106) 및 네트워크(104)와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2장치(106) 내 동작 유닛들은 다른 동작 유닛들과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2장치(106)는 제1장치(102) 및 네트워크(104)와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예시적 목적으로, 통신 시스템(100)이 제1장치(102) 및 제2장치(106)의 동작을 통해 기술된다. 제1장치(102) 및 제2장치(106)는 통신 시스템(100)의 모듈들 및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의 제어 흐름도가 도시된다. 통신 시스템(100)은 검출 모듈(302), 조정 모듈(304), 디코딩 모듈(306), 및 확인 모듈(308)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누적기 모듈(310) 및 블록간 처리 모듈(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조정 모듈(304)에 연결될 수 있고, 조정 모듈(304)은 디코딩 모듈(306)에 연결될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누적기 모듈(310)에도 연결될 수 있고, 누적기 모듈(310)은 블록간 처리 모듈(312) 및 디코딩 모듈(306)에 연결될 수 있다.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디코딩 모듈(306)에도 연결될 수 있고, 디코딩 모듈(306)은 확인 모듈(308)에 연결될 수 있다. 확인 모듈(308)은 검출 모듈(302)에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듈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모듈(302)이나 디코딩 모듈(306)과 같은 하나의 모듈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출력들이 조정 모듈(304), 확인 모듈(308), 블록간 처리 모듈(312), 누적기 모듈(310),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른 모듈의 하나 이상의 입력들에 연결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검출 모듈(302)은 수신 안테나들을 통해 검출된 변화들을 기록함으로써 도 1의 수신기 신호(128)를 수신하거나, 도 1의 전송기 채널(126)을 분석하거나, 도 1의 심볼(118)의 시퀀스들에 대해 수신기 신호(128)를 분석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도 1의 채널 추정치(130)를 판단함으로써 전송기 채널(126)을 분석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수신기 신호(128)의 참조부를 분석함으로써 채널 추정치(130)를 판단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수신기 신호(128)의 참조부를 전송된 참조부의 인스턴스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모듈(302)은 채널 추정치(130)를 수신기 신호(128)의 참조부와 전송된 참조부의 인스턴스 사이의 진폭, 위상, 주파수, 신호 형태, 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있어서의 차이로서 판단할 수 있다. 전송된 참조부의 인스턴스는 통신 시스템(100)이나 통신 표준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우도(likelihood) 값들을 계산함으로써 심볼(118)의 시퀀스에 대해 수신기 신호(128)를 분석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그 우도 값들을 이용하여 검출기 출력(314)을 생성할 수 있다. 검출기 출력(314)은 도 1의 변조 방식(120)에서의 심볼(118)의 특정 값 또는 인스턴스에 대응하는 수신기 신호(128) 내 하나 이상의 부분들에 대한 우도 값 또는 우도 값들의 집합이다.
검출 모듈(302)은 수신기 신호(128)의 일부가 심볼(118)의 특정 값이나 인스턴스로서 전송되었던 우도 또는 우도들의 집합을 나타내기 위한 검출기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수신기 신호(128)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에 대한 로그 우도비(log-likelihood ratio)를 산출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변조 방식(120)에 따라 심볼(118)의 모든 가능한 인스턴스들에 대해 변조 방식(120)에서 각각의 심볼에 해당하는 우도 값을 가지는 우도 값들의 집합을 산출할 수 있다.
수신기 신호(128)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01
'rt'는 t ≤ T 전송에서 수신된 복합 채널 심볼들의 벡터를 가진 수신기 신호(128)일 수 있다. 'rt , k'는 k번째 심볼에 대한 것일 수 있다. 'at , k' 및 'nt , k'는 각기, k 번째의 평균이 0인 복합 가우스 페이딩(fading) 채널 계수 및 분산
Figure 112015006828778-pct00002
을 가진 복합 가우스 잡음일 수 있다. 'at , k' 및 'nt,k'는 채널 추정치(130), 잡음 측정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식 (1)은 도 1의 단일 입력 단일 출력 방식(132)에 대한 수신기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검출기 출력(314)을 생성하기 위해 log-MAP(logarithmic maximum a-posteriori)을 이용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검출기 출력(314)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03
'Xt ,k, n'는 k 번째 심볼의 n 번째 비트의 로그 공산비를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04
Figure 112015006828778-pct00005
는 각기, n 번째 위치에서 0과 1을 가진 변조 방식(120)과 관련된 변조 컨스텔레이션(성좌도)으로부터의 심볼들의 집합일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06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07
검출 모듈(302)은 검출기 출력(314)을 생성하기 위해 MLM(maximum logarithmic MAP)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검출 모듈(302)은 식 (2)를 이용하여 검출기 출력(314)을 생성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다음과 같은 근사치를 더 이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08
수신기 신호(128)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09
'Xt , k'는 d=1, 2,...Nt에 대해
Figure 112015006828778-pct00010
로 이루어진 Nt x 1 전송 벡터일 수 있다. 'Ht , k'는 채널 추정치(130)에 대한 Nr x Nt 복합 채널 행렬이고, 'nt , k'는 평균이 0이고
Figure 112015006828778-pct00011
의 공분산을 가진 순환 대칭 가우스 분포를 통해 독립적이고 동일하게 분포된(iid) 잡음 벡터이다. 수신기 신호(128)는 Nt x Nr의 크기('Nt' 개의 공간적 스트림들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가짐)를 가진 통신 시스템(100)을 위한 도 1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수신기 신호(128)의 독립적 연출력(soft-output) 검출의 경우, 검출 모듈(302)은 다차원 컨스텔레이션 집합
Figure 112015006828778-pct00012
으로부터 도출된 Nt x 1 벡터 'ξ'이 주어질 때 수신기 신호(128)의 로그 공산으로서 검출기 출력(314)을 생성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검출기 출력(314)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13
MAP 방식을 이용하는 검출 모듈(302)은 t 번째 전송의 d 번째 전송 스트림 내 k 번째 심볼의 n 번째 비트에 대응하는 검출기 출력(314)을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14
수학식 7에 있어서,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15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16
'ξ(n,d)'는 수신기 신호(128)에 대한 d 번째 차원 또는 스트림의 n 번째 비트 좌표에서의 비트 값을 나타낼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검출기 출력(314)을 생성하기 위해 MLM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검출 모듈(302)은 식 (4)에 표현된 근사치를 이용하여 검출기 출력(314)을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 목적으로 검출 모듈(302)이 수신기 신호(128)를 수신하거나 채널 추정치(130)를 추정하는 것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그러한 기능들은 별도의 모듈 안에서 개별화될 수 있고 검출 모듈(302)은 심볼(118)의 시퀀스를 분석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도 2의 제1통신 유닛(216), 도 2의 제2통신 유닛(236), 도 2의 제1제어 유닛(212), 도 2의 제2제어 유닛(23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검출기 출력(314)을 생성하거나, 수신기 신호(128)를 수신하거나, 채널 추정치(130)를 판단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도 2의 제1저장 유닛(224), 도 2의 제2저장 유닛(246), 또는 이들의 조합에, 수신기 신호(128), 채널 추정치(130), 검출기 출력(31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검출기 출력(314)을 생성한 후, 제어 플로우는 검출 모듈(302)에서 조정 모듈(304)로 넘어갈 수 있다. 제어 플로우는 수신기 신호(128), 채널 추정치(130), 검출기 출력(314),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검출 모듈(302)의 처리 결과들을 가짐으로써 넘어가거나, 그 처리 결과들을 조정 모듈(304)에 알려진 액세스 가능한 위치에 저장하고, 플래그, 인터럽트, 상태 신호, 또는 어떤 조합 등을 이용하여 조정 모듈(304)에 통지하거나, 이 프로세스들의 조합을 수행함으로써 검출 모듈(302)로부터 조정 모듈(304)로의 입력으로서 넘어갈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수신기 신호(128), 검출기 출력(31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코딩 방식에 따라 재정렬하도록 구성된다. 조정 모듈(304)은 수신기 신호(128), 검출기 출력(314),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 심볼들, 그 심볼들에 대응하는 비트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디인터리빙할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방법, 순서, 시퀀스,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수신기 신호(128), 검출기 출력(314), 또는 이들의 조합을 디인터리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모듈(304)은 터보 코딩 또는 폴라 코딩에 기반하여 수신기 신호(128), 검출기 출력(314), 또는 이들의 조합을 디인터리빙할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t 번째 전송 Xt에 대해 검출기 출력(314)에 기반하여 벡터를 다중화 해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17
'로서 나타낼 수 있는 t 번째 전송 Xt에 대해 복조기 APP(a posteriori) LLR들의 벡터를 디인터리빙할 수 있다. 디인터리빙된 조정 모듈(304)의 출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18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에 있어서, 디인터리빙된 조정 모듈(304)의 출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19
조정 모듈(304)은 제1통신 유닛(216), 제2통신 유닛(236), 제1제어 유닛(212), 제2제어 유닛(23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수신기 신호(128), 검출기 출력(314), 또는 이들의 조합을 디인터리빙할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제1저장 유닛(224), 제2저장 유닛(246), 또는 이들의 조합에, 수신기 신호(128), 검출기 출력(314),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재정렬되거나 디인터리빙된 인스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재정렬 또는 디인터리빙 후, 제어 플로우는 조정 모듈(304)에서 누적기 모듈(310), 디코딩 모듈(306),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건너갈 수 있다. 제어 플로우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검출 모듈(302)과 조정 모듈(304)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으나, 검출 모듈(302)의 결과들 대신 조정 모듈(304)의 처리 결과들을 이용한다.
누적기 모듈(310)은 반복된 정보를 모으도록 구성된다. 누적기 모듈(310)은 도 1의 반복 요청(142)이 전송될 때 도 1의 이전 데이터(144) 및 도 1의 반복 데이터(146)를 모을 수 있다. 초기에, 반복 요청(142)을 결정하거나 전송하기 전에, 누적기 모듈(310)은 블록간 처리 모듈(312)을 이용하여 수신기 신호(128)를 이전 데이터(144)로서 저장할 수 있다.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이전에 전송된 정보를 반복된 정보와 함께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추후 시점에 그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해 이전 데이터(144)를 처리할 수 있다.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 및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을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을 이하에서 상세히 논의할 것이다.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은 반복 요청(142)이 필요할 때 반복 데이터(146)와 함께 추후 처리하기 위해 이전 데이터(144), 그에 대응하는 검출기 출력(314), 또는 그 조합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은 수신기 신호(128)에 대해 도 1의 전송 블록(124)을 처리함에 따른 값들을 저장하기 위해 추가 메모리,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역시 예로서,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은 수신기 신호(128)의 비반복 인스턴스를 인식하고 그것을 이전 데이터(144)로서 저장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그 안의 일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은 수신기 신호(128)의 헤더나 포맷팅부를 체크할 수 있다.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은 반복 데이터(146)에 대한 지시, 반복 요청(142)이나 이전 데이터(144)에 대한 참조, 도 1의 반복 제어(148) 또는 이들의 조합 없이, 수신기 신호(128)를 이전 데이터(144)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전 데이터(144)를 저장한 후, 제어 플로우는 블록간 처리 모듈(312) 또는 누적기 모듈(310)로부터 디코딩 모듈(306)로 건너갈 수 있다. 제어 플로우는 또한, 조정 모듈(304)에서 디코딩 모듈(306)로 바로 건너갈 수 있다. 제어 플로우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검출 모듈(302)과 조정 모듈(304)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으나, 검출 모듈(302)의 결과들 대신 누적기 모듈(310), 블록간 처리 모듈(312), 조정 모듈(304), 또는 그들의 조합의 처리 결과들을 이용한다.
디코딩 모듈(306)은 수신기 신호(128)나 그 파생 신호 안에 있는 개별 심볼들이나 비트들에 대해 추가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디코딩 모듈(306)은 수신기 신호(128)에 대한 우도들을 더 산출하거나, 도 1의 통신 콘텐츠(108)가 될 가능성이 있는 심볼(118) 또는 비트에 대한 값들이나 인스턴스들의 시퀀스를 선택하거나, 그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수신기 신호(128)에 대해 도 1의 코드워드들(112)의 도 1의 정보부(114)에 대한 우도들을 산출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수신기 신호(128)를 더 분석하기 위해 반복 카운트(320)를 이용할 수 있다. 반복 카운트(320)는 0 또는 1과 같은 최초 반복(322)에서 시작하여 최종 반복(324)(을 포함)까지 증가할 수 있다. 최종 반복(324)은 정보부(114), 도 1의 패리티부(116), 코드워드들(112), 전송 블록(124), 또는 이들의 조합의 크기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 모듈(306)은 최초 반복(322)이나 최종 반복(324)을 통해 반복 카운트(320)를 사용하여 코드워드들(112)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들에 대하여 정보부(114), 패리티부(116), 또는 이들의 조합을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코딩 모듈(306)은 최종 반복(324)을 통해 반복 카운트(320)를 사용하여 전송 블록(124)에 대하여 정보부(114), 패리티부(116), 또는 이들의 조합을 디코딩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기본 디코더 모듈(326), 추가 디코더 모듈(328), 정렬 모듈(330), 및 위치 모듈(332)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디코더 모듈(326) 및 추가 디코더 모듈(328)은 서로 다른 구성 코드에 기반하여 수신기 신호(128)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송 신호는 두 개의 구성성분(13, 15) RSC(Recursive Systematic Convolutional) 인코더들을 이용하여, 정보부(114)가 패리티부(116) 사이즈의 1/3 사이즈를 가지는 경우와 같이 공칭율(nominal rate) 1/3을 이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다. 기본 디코더 모듈(326) 및 추가 디코더 모듈(328)은 두 구성요소의 RSC 인코딩 각각에 대응하는 수신기 신호(128)로부터 코드워드들(112)을 디코딩할 수 있다.
베이스 디코더 모듈(326) 및 추가 디코더 모듈(328)은 수신기 신호(128)의 일부가 통신 콘텐츠(108)와 관련된 특정 심볼이나 특정 비트에 해당할 공산, 또는 공산들의 집합을 산출하고 이용함으로써 수신기 신호(128)를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디코더 모듈(326)은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 기본 디코더 사후 값(336), 기본 디코더 외재(extrinsic) 값(338),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 산출, 이용,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추가 디코더 모듈(328)은 추가 디코더 사전 값(340), 추가 디코더 사후 값(342), 추가 디코더 외재(extrinsic) 값(344),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 산출, 이용,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은 통신 콘텐츠(108), 도 1의 전송기 신호(110), 수신기 신호(128), 그 안의 심볼, 그 안의 비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기본 디코더 모듈(326)의 사전 지식이다. 추가 디코더 사전 값(340)은 통신 콘텐츠(108), 전송기 신호(110), 수신기 신호(128), 그 안의 심볼, 그 안의 비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추가 디코더 모듈(328)의 사전 지식이다.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 및 추가 디코더 사전 값(340)은 각각, 수신기 신호(128) 내 분석된 부분에 대응하는 전송 가능한 심볼이나 모든 가능한 심볼들의 우도들과 관련된 신뢰수준들, 또는 관련 비트 값들의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일 수 있다.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 및 추가 디코더 사전 값(340)은 각각 LLR 값들일 수 있다.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 및 추가 디코더 사전 값(340)은 각각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20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 및 추가 디코더 사전 값(340)은 수신기 신호(128) 안의 소정 비트나 심볼이 +1의 전송 값을 가졌던 확률과 같은 비트나 심볼이 1 또는 0의 전송 값을 가졌을 다른 확률 사이의 비율에 대한 로그함수의 결과일 수 있다.
기본 디코더 모듈(326)은 추가 디코더 모듈(328), 위치 모듈(332), 누적기 모듈(310), 블록간 처리 모듈(312),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이 기본 디코더 모듈(326) 밖에 있는 모듈에서 나온 값을 기본 디코더 시전 값(334)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기본 디코더 모듈(326)은 또한, 통신 콘텐츠(108) 결정 시 이전 반복에서 나온 값을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추가 디코더 모듈(328)은 추가 디코더 모듈(328) 바깥의 모듈, 이전 반복,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나온 값을 추가 디코더 사전 값(340)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6)은 통신 콘텐츠(108), 전송기 신호(110), 수신기 신호(128), 그 안의 심볼, 그 안의 비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기본 디코더 모듈(326)의 추후 또는 계산된 지식이다. 추가 디코더 사전 값(342)은 통신 콘텐츠(108), 전송기 신호(110), 수신기 신호(128), 그 안의 심볼, 그 안의 비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추가 디코더 모듈(328)의 추후 또는 계산된 지식이다.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은 수신된 정보로부터 도출된 것이 아닌 기본 디코더 모듈(326)에 대한 새로운 정보이다.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은 수신된 정보로부터 도출된 것이 아닌 추가 디코더 모듈(328)에 대한 새로운 정보이다.
기본 디코더 모듈(326)은 기본 디코더 사후 값(336) 및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여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을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추가 디코더 모듈(328)은 추가 디코더 사후 값(342) 및 추가 디코더 사전 값(340)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여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을 산출할 수 있다. 기본 디코더 모듈(326) 및 추가 디코더 모듈(328)은 Log-MAP 방식이나 MLM 방식을 이용하여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 및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을 산출할 수 있다.
기본 디코더 모듈(326) 및 추가 디코더 모듈(328)은 타입 조정(346)을 이용하여 Log-MAP(LM) 방식이나 스케일링된 MLM(S-MLM)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타입 조정(346)은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조정하기 위한 스칼라 값일 수 있다. 타입 조정(346)은 LM 방식이나 S-MLM 방식 사용을 기반으로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입 조정(346)은 LM 방식이 사용될 때 1이고, S-MLM 방식이 사용될 때 0.7일 수 있다.
정렬 모듈(330) 및 위치 모듈(332)은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 및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을 수신할 수 있다. 정렬 모듈(330)은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을 수신할 수 있고, 위치 모듈(332)은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을 수신할 수 있다. 정렬 모듈(330) 및 위치 모듈(332)은 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인터리빙하거나 디인터리빙할 수 있고, 그 결과를 기본 디코더 모듈(326) 및 추가 디코더 모듈(328)로 보내 반복 카운트(320)의 1/2 인스턴스를 이행하도록 할 수 있다.
기본 디코더 모듈(326)은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과 관련된 위치 모듈(332)로부터의 데이터를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으로 설정할 수 있고, 반복 카운트(320)의 한(one) 인스턴스를 이행하기 위해 상술한 산출 프로세스를 반복할 수 있다. 추가 디코더 모듈(328)은 마찬가지로,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과 관련된 정렬 모듈(330)로부터의 데이터를 추가 디코더 사전 값(340)으로 설정할 수 있고, 반복 카운트(320) 이행 시 상기 산출을 반복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기본 디코더 모듈(326), 추가 디코더 모듈(328), 정렬 모듈(330), 위치 모듈(332),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처리를, 반복 카운트(320)가 수신기 신호(128)의 끝과 관련된 최종 반복(324)에 도달하거나 초과할 때까지, 혹은 디코딩 결과가 확인 모듈(308), 전송 블록(124)의 크기, 코드워드들(112) 각각의 사이즈, 정보부(114)의 사이즈, 또는 그 조합을 통해 확인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터보 원리 메커니즘(348)을 이용할 수 있다. 터보 원리 메커니즘(348)은 어떤 모듈의 이전 출력을 이용하지 않고 그 모듈에서의 출력들의 산출에 기반하여 사전, 사후, 및 외재 값들을 이용하기 위한 원리 또는 방법이다. 통신 시스템(100)은 출력 값 또는 사후 값에 기반하여, 외재 값들을 산출하거나 데이터를 인터리빙 또는 디인터리빙하거나, 그 조합을 수행하여 터보 원리 메커니즘(348)을 구현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검출 모듈(302), 디코딩 모듈(306), 블록간 처리 모듈(312), 누적기 모듈(310), 추가 디코딩 모듈(328), 또는 이들의 조합을 연결함으로써 터보 원리 메커니즘을 더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100)은 기본 디코더 모듈(326)과 추가 디코더 모듈(328), 검출 모듈(302)과 디코딩 모듈(306), 또는 그 조합을 짝지음으로써 터보 원리 메커니즘(348)을 구현할 수 있다. 짝지어진 모듈들은 전선들 외에는 어떤 게재 모듈들이나 회로도 없이 연결되는 것처럼,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짝지어진 모듈들은 또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이나 회로를 그 사이에 두는 것과 같이, 서로 비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통신 콘텐츠(108)를 결정하도록 추가 구성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기본 디코더 모듈(326) 및 추가 디코더 모듈(328)의 사후 또는 외재 값들과 같은 디코딩 결과에 기반하여 정보 비트에 대한 경판정(hard desision)을 수행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통신 콘텐츠(108)의 후보 인스턴스를 수신기 신호(128)의 일부분들과의 높은 결부 가능성을 가진 심볼들이나 비트들에 대한 값들의 시퀀스로서 결정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제1통신 유닛(216), 제2통신 유닛(236), 제1제어 유닛(212), 제2제어 유닛(23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수신기 신호(128)를 디코딩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 또는 그 조합을 블록간 처리 모듈(312)로 보낼 수 있다.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을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반복 요청(142)이 필요할 때 반복 데이터(146)와의 추후 처리를 위해 디코딩 결과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을 포함하는 이전 통신 값(350)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전 통신 값(350)은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한 이전 데이터(144)의 처리에 기반하는 값이다.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은 이전 데이터(144)에 대한 디코딩 결과에 기반하는 이전 통신 값(350)의 일종이다.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이전 데이터(144)나 그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수신기 신호(128)에 기반하여 이전 통신 값(350)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이전 데이터(144)에 대응하는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에 기반하여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 모듈(306)은 각각의 반복 후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 또는 그 조합을 넘길 수 있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차례로,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각각의 반복 후에 덮어쓰고,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의 최근 디코딩 결과만을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수신기 신호(128)에 대해 전송 블록(124)에 대한 처리 결과들을 저장하기 위해 추가 메모리,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로서,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을 포함하여, 이전 통신 값(350)을 체계화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그 일부일 수 있다.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제1통신 유닛(216), 제2통신 유닛(236), 제1제어 유닛(212), 제2제어 유닛(23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이전 데이터(144) 처리를 위해 정렬, 인식, 관리, 또는 그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제1저장 유닛(224), 제2저장 유닛(246),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이전 데이터(144), 이전 통신 값(350),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이전 통신 값(350)을 결정한 후, 제어 플로우는 디코딩 모듈(306)에서 확인 모듈(308)로 넘어갈 수 있다. 제어 플로우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검출 모듈(302)과 조정 모듈(304)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으나, 검출 모듈(302)의 결과들 대신 디코딩 모듈(306)의 처리 결과들을 이용한다.
확인 모듈(308)은 처리 결과에 기반하여 통신 콘텐츠(108)를 검증하도록 구성된다. 확인 모듈(308)은 디코딩 모듈(306)로부터의 디코딩 결과에 대해 에러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 모듈(308)은 CRC(cyclic redundancy check) 또는 LDPC(low-density parity-check)를 수행할 수 있다.
확인 모듈(308)은 통신 콘텐츠(108)를 디코딩 모듈(306)로부터 그것이 에러 체크를 통과할 때의 디코딩 결과로서 검증할 수 있다. 확인 모듈(308)은 에러 체크를 통과하는 디코딩 결과로서 통신 콘텐츠(108)를 검증할 수 있다. 확인 모듈(308)은 반복 요청(142)에 대해 ACK를 전송할 수 있다. 디코딩 결과가 에러 체크를 통과하지 못할 때, 확인 모듈(308)은 안에 통신 콘텐츠(108)를 포함하는 이전 데이터(144)에 대응하는 반복 요청(142)에 대해 NACK를 전송할 수 있다.
확인 모듈(308)은 제1통신 유닛(216), 제2통신 유닛(236), 제1제어 유닛(212), 제2제어 유닛(23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에러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확인 모듈(308)은 제1통신 유닛(216), 제2통신 유닛(236),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반복 요청(142)을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 목적으로, 통신 시스템(100)은 수신기 신호(128) 처리 시 실패한 에러 체크를 포함하여 반복 요청(142)에 대해 NACK를 전송한 것으로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통신 시스템(100)이 반복 요청(142)이나 ACK, 또는 그 조합을 전송하지 않고 성공적 에러 체크의 인스턴스들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예시적 목적으로, 통신 시스템(100)은 검출기 출력(314)이나 이전 통신 값(350)과 같은 처리 결과들을 그 결과들에 대한 처리 후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통신 시스템(100)이 디코딩 결과가 에러 체크를 통과하지 못할 때 이전 데이터(144)에 대응하는 수신기 신호(128)에 대한 처리 결과들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이전 데이터(144)에 대한 반복 요청(142)에 대응하는 반복 데이터(146)를 수신할 때까지 다른 통신 콘텐츠를 상술한 것과 같이 계속 처리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수신기 신호(128)로부터 반복 요청(142)에 대응하는 반복 데이터(146)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모듈(302)은 반복 제어(148)를 위해 수신기 신호(128)의 헤더 또는 포맷팅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검출 모듈(302)은 반복 요청(142), 이전 데이터(144),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어떤 참조(레퍼런스)들에 대해 헤더나 포매팅부를 체크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상술한 방법과 유사하게 반복 데이터(146)에 대한 검출기 출력(314)을 생성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이전 데이터(144)를 검출 및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검출기 출력(314)을 이전 검출 결과(354)로서 생성할 수 있고, 검출기 출력(314)을 반복 데이터(146)에 대응하는 반복 검출 결과(356)로서 생성할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마찬가지로, 반복 데이터(146), 검출기 출력(31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상술한 바와 같이 재정렬할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반복 데이터(146), 검출기 출력(31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디펑처링(de-puncture)할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반복 제어(148)를 이용하여 비전송 비트, 또는 반복 데이터(146)에서 반복되지 않았던 이전 데이터(144) 내 비트들을 판단함으로써 반복 데이터(146), 검출기 출력(314), 또는 그 조합을 디펑처링할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반복 데이터(146), 검출기 출력(314), 또는 그 조합에서 펑처링된 비트들이 제로 LLR 값들을 가질 수 있도록, 반복 데이터(146), 검출기 출력(314), 또는 그 조합을 조정해 추가로 디펑처링할 수 있다.
누적기 모듈(310)은 반복 데이터(146) 및 이전 데이터(144), 반복 검출 결과(356) 및 이전 검출 결과(354), 또는 이들의 조합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정 모듈(310)은 누적 출력(358)을 생성하기 위해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와 디펑처링으로부터 나온 데이터를 결합할 수 있다. 누적기 모듈(310)은 이전 데이터(144) 및 반복 데이터(146) 결합에 기반하여 누적 출력(358)을 생성할 수 있다.
누적 출력(358)은 반복 데이터(146) 및 이전 데이터(144), 반복 검출 결과(356) 및 이전 검출 결과(354),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누적 출력(358)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이전 데이터(144)에 대한 전송 블록(124)의 이전 인스턴스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누적 출력(358)을 디코딩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누적 출력(358)을 디코딩할 수 있지만 이전 통신 값(350)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t 번째 전송의 i 번째 디코딩 반복 후 기본 디코더 모듈(326)로부터의 정보부(114)에 대한 기본 디코더 사후 값(336)이나 디코더 출력 값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21
'Lt(s)'는 누적 출력(358)을 디코딩 모듈(306)에 대한 시스템 채널 LLR들의 벡터로서 나타낼 수 있다. 누적 출력(358)은 이전 데이터(144) 및 반복 데이터(146)에 대응하는 검출기 출력(314)에 대한 디인터리빙 프로세스, 디펑처링 프로세스, 또는 이들의 조합의 결과를 결합한 누적기 모듈(310)로부터의 정보부(114)에 대한 비트 결합 LLR들일 수 있다.
이 예를 계속 들면,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22
' 는 t 번째 전송의 i 번째 반복 시작 시, 기본 디코더 모듈(326)로의 정보부(114)에 대한 사전 입력에 대응하는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을 나타낼 수 있다.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23
'는 j∈{1,2,..,Im}(Im은 전송별 반복 카운트(320)에 대한 최종 반복(324))일 경우, i 번째 디코딩 반복 후, j∈{1,2}에 대한 j 번째 구성요소 디코더로부터의 외재 LLR 출력에 대응하는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을 나타낼 수 있다. 't'는 전송을 나타낼 수 있고, 이때 t∈{1,2,..,T}이고 T는 최대 전송 횟수이다.
이 예를 계속 들면, 디코딩 모듈(306),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 또는 이들의 조합이 이전 통신 값(350)에 기반하여 정보부(114)에 대한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디코딩 모듈(306),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 또는 이들의 조합은 아래의 식에 기반하여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24
이 예를 계속 들면,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25
'는 초기 반복(322) 시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을 나타낼 수 있다. 'S'는 타입 조정(346)을 나타낼 수 있고, 'Π2' 는 터보 원리 메커니즘(348)에 대한 것과 같은 내부 코딩 인터리빙 프로세스를 나타낼 수 있다.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26
' 는 이전 통신 값(350) 또는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면, t 번째 전송의 최초 구성요소 디코더의 i 번째 디코딩 반복 시 기본 디코더 모듈(326)로부터의 정보부(114)에 대한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에 대응하는 기본 디코더 사후 값(336)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27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28
'는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의 대응 인스턴스를 나타낼 수 있고,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29
'는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의 대응 인스턴스를 나타낼 수 있다.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30
'는 이전 데이터(144) 및 반복 데이터(146)에 대해 누적된 해당 검출기 출력일 수 있는 d 번째 스트림의 시스템 비트들에 대한 디코더 채널 입력에 대응하는 누적 출력(358)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예를 계속 들면, 디코딩 모듈(306),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 또는 이들의 조합이 이전 통신 값(350)에 기반하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에 대응하는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디코딩 모듈(306),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 또는 이들의 조합은 아래의 식에 기반하여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31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32
'는 이전 통신 값 또는 이전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 또는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을 나타낼 수 있다.
단일 입력 단일 출력 방식(132),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 또는 다중 입력 단일 출력 방식이나 단일 입력 다중 출력 방식과 같은 이들의 조합에 대해, 디코딩 모듈(306)은 전송 블록(124)의 이전 인스턴스로부터의 이전 통신 값(350) 및 전송 블록(124)의 현재 인스턴스로부터의 누적 출력(358)을 이용하여 통신 콘텐츠(108)를 결정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이전 데이터(144)로부터 도출된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에 기반하여 반복 데이터(146)에 대응하는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을 결정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 블록간 처리 모듈(312)이나 이들의 조합은 전송 블록(124)의 인스턴스들에 대한 처리 결과들을 저장 및 사용함으로써 이전 통신 값(350)을 처리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 블록간 처리 모듈(312)이나 이들의 조합은 이전 데이터(144)를 처리하기 위한 최종 반복(324)에 대응하는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을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 블록간 처리 모듈(312)이나 이들의 조합은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을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한 최초 반복(322)에 대응하는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 블록간 처리 모듈(312), 또는 이들의 조합은 한 모듈의 출력이 같은 모듈로 피드백되지 않도록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을 이용하여 터보 원리 메커니즘(348)을 준수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 블록간 처리 모듈(312), 또는 이들의 조합은 이전 통신 값(350)에 대한 처리를 추가로 제한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 블록간 처리 모듈(312), 또는 이들의 조합은 통신 콘텐츠(108)의 특정 인스턴스에 대한 여러 반복들을 위해 반복 카운트를 결정할 수 있다. 반복 카운트는 통신 콘텐츠(108)에 대응하는 반복 요청(142)에 대한 인스턴스들의 횟수, 통신 콘텐츠(108)나 반복 요청(142)에 대응하는 반복 데이터(146)에 대한 인스턴스들의 횟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 및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피드백 프로파일(360)을 사용하여 이전 통신 값(350)을 처리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이전에 결정된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명령어들,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플로우 또는 경로, 또는 이들의 조합의 순차적 그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전송 블록(124)의 나중 인스턴스에 대해 기본 디코더 모듈(326)의 입력으로서 전송 블록(124)의 이전 인스턴스로부터의 추가 디코더 모듈(328)의 출력을 이용하기 위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전송 블록(124)의 인스턴스들에 대한 이전 통신 값(350)을 저장하고 그것을 전송 블록(124)의 새 인스턴스를 위한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을 결정하기 위한 토대로서 사용하기 위해, 유선, 버퍼, 메모리,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의 집합일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이전 통신 값(350)을 결정하기 위해 추가 디코더 모듈(328)이나 위치 모듈(332)을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로, 또는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을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으로 직접 결합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통신 값(108)을 결정하기 위해 이전 통신 값들 처리 하도록,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 및 기본 디코더 모듈(326) 또는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을 기본 디코더 외재 값(338)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 블록간 처리 모듈(312), 또는 이들의 조합은 반복 카운트에 기반하여 이전 통신 값(350)과 관련된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 모듈(306), 블록간 처리 모듈(322), 또는 이들의 조합은 반복 카운트가 반복 한계치에 도달할 때 이전 통신 값을 업데이트하거나 결정하는 것을 보류하거나, 이전 통신 값(350)을 삭제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반복 한계치는 통신 시스템(100)이나 통신 표준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같은 전송들의 반복을 위한 상한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전송 총 횟수가 4로 제한되면, 디코딩 모듈(306), 블록간 처리 모듈(312), 또는 이들의 조합은 마지막 재전송에 대한 반복 데이터(146)에 대응하는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을 결정한 후 이전 통신 값(350)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디코딩 모듈(306), 블록간 처리 모듈(312), 또는 이들의 조합은 마지막 재전송에 대한 반복 데이터(146)의 디코딩 끝에서 이전 통신 값(350)의 결정을 유보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에 있어 수신기 신호(128)에 포함된 도 1의 통신 계층(136)의 모든 인스턴스들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모듈(302)은 도 1의 기본 계층 데이터(138) 및 추가 계층 데이터(140)를 포함하는 이전 데이터(144) 내 모든 스트림들이나 계층들을 검출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 및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계층들이나 스트림들 모두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0)은 반복 데이터(146)를 검출 및 처리하기 전이나 반복 데이터(146)를 검출 및 처리하는 동안 이전 데이터(144) 내 모든 스트림들이나 계층들을 처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검출 모듈(306) 및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기본 계층 데이터(138) 및 추가 계층 데이터(140)를 포함하는 이전 데이터(144) 내 모든 스트림들이나 계층들에 기반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이전 통신 값(350)을 가질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반복 데이터(146)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전 데이터(144)의 모든 계층들에 대해 포괄적인 이전 통신 값(350)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디코딩 모듈(306)은 반복 데이터(146)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전 데이터(144) 내 코드워드들(112) 각각과 관련된 이전 통신 값(350)을 이용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반복 데이터(146) 내에서 코드워드들(112)의 대응 인스턴스들, 코드워드들(112)의 반복 인스턴스들, 코드워드들(112)의 비반복 인스턴스들, 또는 그 조합을 디코딩하기 위해 이전 통신 값(350)을 사용할 수 있다.
수신기 신호(128)로부터 통신 콘텐츠(108)를 결정 및 확인한 후, 통신 시스템(100)은 통신 콘텐츠(108)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의 기지국(106), 도 1의 모바일 장치(102), 또는 이들의 조합은 통신 콘텐츠(108)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사운드 생성, 데이터 처리,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것을 통해 통신 콘텐츠(108)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이전 데이터(144) 및 반복 데이터(146) 사이에서 도 1의 다음 데이터(150)를 계속해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다음 데이터(150)가 성공적으로 검출 및 디코딩될 때, 다음 데이터(150)의 처리를 제외하고 이전 통신 값(350)을 저장할 수 있다.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다음 데이터(15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성공적으로 처리될 때, 다음 데이터(150)에 대한 이전 통신 값(350)의 다른 인스턴스를 더 처리할 수 있다. 블록간 처리 모듈(312)은 수신기 신호(128)의 여러 인스턴스들에 기반하여 이전 통신 값(350)에 대한 다수의 인스턴스들이나 값들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 및 이전 디코더 값(352)을 포함한 이전 통신 값(350)을 이용하는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 및 디코딩 모듈(306)이 통신 속도 증가를 제공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피드백 프로파일(360) 및 이전 통신 값(350)은 반복 정보의 처리를 정교화하기 위해 이전 디코딩 프로세스의 결과들을 활용함으로써 반복 데이터(146)에 대한 디코딩 프로세스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전 데이터(144) 디코딩의 최종 반복(324)에 대응하는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 및 반복 데이터(146) 디코딩의 최초 반복(322)에 대응하는 기본 디코더 사전 값(334)에 대한 기초로서 설정되는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을 포함하는 이전 통신 값(350)은 디코딩 주기의 감소를 제공한다. 전송 블록(124)의 인스턴스들에 대한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의 사용은 반복된 전송들에 대한 데이터 처리의 관련된 연속 사용을 제공하며, 이것이 임의의 시작 지점이 아닌 반복 데이터(146)의 좀더 연관되고 정확한 시작 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의 또 다른 제어 플로우가 보여진다. 통신 시스템(100)은 도 3의 피드백 프로파일(360)의 다른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의 다른 인스턴스는 통신 시스템(100)에 대해 앞서 논의된 예시적 실시예의 제어 플로우의 다른 예 또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의 검출 모듈(302), 조정 모듈(304), 누적기 모듈(310), 디코딩 모듈(306), 블록간 처리 모듈(312), 및 확인 모듈(308)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의 이전 데이터(144)를 처리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디코딩 사전 값(404) 및 디코딩 출력(406)을 결정하거나 산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디코딩 사전 값(404)은 도 1의 통신 콘텐츠(108), 도 1의 전송기 신호(110), 도 1의 수신기 신호(128), 그 안의 심볼, 그 안의 비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디코딩 모듈(306)의 사전 지식이다. 디코딩 모듈(306)은 디코딩 사전 값(404)을 도 3의 검출기 출력, 도 3의 누적 출력(358), 그 파생치,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디코딩 출력(406)은 디코딩 프로세스의 전반적 결과이다. 디코딩 출력(406)은 수신기 신호(128)에 대응하는 우도 값들의 시퀀스일 수 있다. 디코딩 출력(406)은 또한 디코딩 프로세스에 의해 산출 및 결정된 LLR 값들에 기반하는 통신 콘텐츠(108)의 후보 인스턴스일 수 있다. 디코딩 출력(406)은 도 1의 정보부(114)와 도 1의 패리티부 모두와 관련된 값들이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정보부(114) 및 패리티부(116)에 대응하는 정보를 결합하는 것과 같이, 디코딩 결과들을 검출 결과들과 결함함으로써, 디코딩 출력(406)을 결정할 수 있다. 디코딩 모듈(306)은 수신기 신호(128)에 대응하는 시퀀스로 우도 값들을 정렬하거나, 우도 값들에 기반한 경판정을 내리거나, 이들의 조합을 수행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디코딩 출력(406)을 더 결정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누적기 모듈(310), 디코딩 모듈(306), 또는 이들의 조합을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을 사용하여, 디코딩 모듈(306)은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로 디코딩 출력(406)을 보낼 수 있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도 1의 전송 블록(124)의 인스턴스들에 대한 디코딩 출력(406)을 처리할 수 있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전송 블록(124)의 인스턴스들에 대한 디코딩 출력(406)을 처리하기 위해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 및 피드백 조정치(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은 도 3의 이전 데이터(144)에 대응하는 검출 프로세스, 디코딩 프로세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전반적 표현이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디코딩 출력(406)의 값을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 도 3의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 누적 출력(358),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지정하는 것과 같이, 디코딩 출력(406)에 기반하여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결정할 수 있다.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은 이전 데이터(144)에 대한 전반적 처리의 포괄적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은 정보부(114) 및 패리티부(116)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은 도 1의 전송 블록(124) 내 도 1의 코드워드들(112)의 모든 인스턴스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은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과 대조를 이룰 수 있다.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은 코드워드들의 한 인스턴스나 전송 블록(124), 정보부(114),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한 인스턴스 내 내부 디코딩 프로세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은 전송 블록(124), 패리티부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들에 대한 코드워드들(112)의 모든 인스턴스들에 대한 상관들을 배제할 수 있다.
피드백 조정치(410)는 도 1의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해 디코딩 출력(406)을 조정하기 위한 값이다. 피드백 조정치(410)는 0과 1을 포함한 그 사이의 값일 수 있다. 피드백 조정치(410)는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누적 출력(358), 디코딩 사전 값(404), 디코딩 출력(406), 피드백 조정치(410),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더 결정할 수 있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더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33
'Lt'은 누적 출력(358), 디코딩 사전 값(404),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Λt'는 디코딩 출력(406)을 나타낼 수 있고, 'α'는 피드백 조정치(410)를 나타낼 수 있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피드백 조정치(410)를 설정할 수 있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에서 디코딩 사전 값(404)로부터의 효과들을 제거하고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이용하여 디코딩 모듈(306)의 사후 값을 피드백하기 위해 피드백 조정치(410)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또한,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에서 디코딩 사전 값(404)을 충분히 활용하여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이용하여 디코딩 모듈(306)의 외재 값을 피드백하기 위해 피드백 조정치(410)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에서 디코딩 사전 값(404)의 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피드백 조정치(410)를 0과 1 사이의 어떤 값으로 더 설정할 수 있다.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도 1의 채널 추정치(130), 에러율, 프로세싱 계층의 수, 전송율, 도 1의 변조 방식(120),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팩터들에 기반하여 피드백 조정치(410)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누적 출력(358), 디코딩 사전 값(404), 디코딩 출력(406),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또한, 변경 모듈(412)을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 검출 모듈(302), 조정 모듈(304), 또는 이들의 조합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변경 모듈(412)은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해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펑처링하도록 구성된다. 펑처링 프로세스는 상술한 디펑처링 프로세스의 반대일 수 있다. 변경 모듈(412)은 반복 데이터(146) 안에서 반복되지 않았던 이전 데이터(144) 내 비전송 정보, 비트들 또는 심볼들에 대한 판단에 기반하여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펑처링할 수 있다.
변경 모듈(412)은 비반복 비트들이나 심볼들을 0으로 설정하거나, 비전송 비트들이나 심볼들에 대응하는 LLR 값들을 0으로 설정하거나, LLR 값들을 0 비트에 해당하는 값들이나 특정 심볼 값으로 설정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여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더 펑처링할 수 있다. 변경 모듈(412)은 또한, 반복 데이터(146) 안에서 반복된 정보에 대한 부분집합 또는 시작 지점을 선택함으로써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펑처링할 수도 있다.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의 펑처링된 인스턴스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34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해 피드백되는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의 펑처링된 인스턴스는 'Γt'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펑처링되어 피드백된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의 인스턴스는 't-1'로 나타낸 것과 같은 이전 데이터(144)에 기반할 수 있다.
변경 모듈(412)은 도 2의 제1통신 유닛(216), 도 2의 제2통신 유닛(236), 도 2의 제1제어 유닛(212), 도 2의 제2제어 유닛(234),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펑처링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변경 모듈(412)은 그 프로세싱 결과들을 도 2의 제1저장 유닛(224), 도 2의 제2저장 유닛(246),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저장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펑처링된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의 인스턴스를 검출 모듈(302), 조정 모듈(304),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 이전의 누적 출력(358)의 인스턴스,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한 반복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 3의 반복 검출 결과와 같은 검출기 출력(314)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반복 데이터(146)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모듈(302)의 사전 타입의 값으로서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정 모듈(304)은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 검출기 출력(314),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검출기 외재 값(414)을 산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검출기 외재 값(414)은 검출 모듈(302), 조정 모듈(304),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새로운 정보이며, 그러한 모듈로 수신된 정보로부터 도출된 것이 아니다.
조정 모듈(304)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검출기 외재 값(414)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35
'Yt'는 검출기 외재 값(414)을 나타낼 수 있다. 'Xt'는 반복 검출 결과(356)를 포함하는 검출기 출력(314)을 나타낼 수 있고, 'Γt'는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이나 그것의 펑처링되거나 파생된 인스턴스들을 나타낼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검출기 외재 값(414)을 직접 산출할 수도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36
수학식 19는 수학식 2와 유사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37
'Yt ,k, n'는 t 번째 전송 후 k 번째 심볼의 n 번째 비트에 대한 검출 모듈(302)로부터의 외재 LLR 값을 나타낼 수 있고, Γt,k= [Γt,k,1, ..., Γt,k,m] 는 이전 데이터(144)로부터 결정된 바와 같은 k 번째 심볼에 대응하는 m=log2M 검출기 사전 LLR 값들의 벡터일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근사값들이나 보다 낮은 복잡도를 위해 수학식 4를 더 이용할 수 있다.
조정 모듈(304)은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도 1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에 대한 검출기 외재 값(414)을 직접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38
수학식 21은 수학식 7과 유사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39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40
'는 이전 데이터(144)에 대해 생성된 모든 Nt 개의 스트림들에 대한 사전 정보 타입을 이용함으로써 도 1의 통신 계층(136)이나 d 번째 스트림 내 k 번째 심볼의 n 번째 비트에 대한 검출 모듈(302)로부터의 외재 LLR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15006828778-pct00041
Figure 112015006828778-pct00042
는 k 번째 전송 심볼 x의 m 비트들에 대응하는 t 번째 전송에서의 검출기 사전 타입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 목적 상, 조정 모듈(304)은 검출기 외재 값(414)을 산출하는 것으로서 기술된다. 그러나, 검출기 모듈(302)이 검출기 외재 값(414)을 산출할 수 있고 조정 모듈(304)이 도 에 기술된 것과 같이 디펑처링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조정 모듈(304)은 이전 데이터(144) 및 반복 데이터(146)를 결합하여 통신 콘텐츠(108)를 결정하기 위해, 검출기 외재 값(414)을 누적기 모듈(310)로 보낼 수 있다. 누적기 모듈(310)은 반복 데이터(146)에 대응하는 검출기 외재 값(414)을,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전 데이터(144)에 대응하는 도 3의 이전 검출 결과(354)와 같은 검출기 출력(314)의 저장된 인스턴스와 결합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 및 디코딩 모듈(306)은 도 3의 터보 원리 메커니즘(348)을 활용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검출 모듈(302) 및 디코딩 모듈(306)과 관련하여 출력 값 또는 사후 값에 기반하여, 외재 값들을 산출하거나 데이터를 인터리빙 또는 디인터리빙하거나, 그 조합을 수행하여 터보 원리 메커니즘(348)을 구현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검출 모듈(302) 및 디코딩 모듈(306)을 짝지음으로써 터보 원리 메커니즘(348)을 더 구현할 수 있다. 짝지어진 모듈들은 반복 검출 디코딩(IDD) 방식(416)에 있어서, 전선들 외에는 어떤 게재 모듈들이나 회로도 없이 연결되는 것처럼,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짝지어진 모듈들은 또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이나 회로를 그 사이에 두는 것과 같이, 서로 비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은 검출 프로세스 및 디코딩 프로세스 사이에서 반복된 프로세싱 및 인터랙션(상호동작)을 통해 수신기 신호(128)로부터 통신 콘텐츠(108)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또는 프로세스이다.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은 검출 모듈(302) 및 디코딩 모듈(306), 검출기 출력(314) 및 디코딩 출력(406), 또는 그 조합 간의 직접적인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과 별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별도의 프로세싱 시퀀스들이나 병렬 회로들에 대한 것과 같은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을 제외한 회로, 연결, 프로세스 단계,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 및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은 서로 병합되거나, 동시에 사용되거나, 또는 그 조합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 신호(128) 수신 후, 검출 및 디코딩의 여러 번의 반복들이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디코더로의 채널 입력으로서 반복 데이터(146)를 위해 사용될 외재 검출기 LLR들의 누적값은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에 이어서 마지막 반복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3의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을 포함하는 도 3의 추가 디코더 모듈(328)로부터의 외재 값이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에서의 최종 반복 디코딩 프로세스에 대한 도 3의 최종 반복(324)에 대한 것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디코딩 출력(406)은 마지막 전송의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에 있어서의 최종 반복 시의 디코딩 반복 완료 후 이용가능한 LLR 값들일 수 있다.
전송 블록(124)의 인스턴스들에 대한 검출 및 조정 프로세스에 대해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포함하는 도 3의 이전 통신 값(350)을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 프로파일(360)이 통신 시스템(100)에서 보다 낮은 전력 소비를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피드백 프로파일(360) 및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한 이전 데이터(144)로부터의 이전 통신 값(350)의 사용은 정확성의 증가 및 지속되는 이전 프로세싱 결과들의 관련 사용으로 인해, 같은 자원들을 가지고 처리율과 코딩 이득들을 높일 수 있다.
이전 데이터(144) 및 피드백 조정치(410)에 대한 디코딩 출력(406)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은 보다 낮은 재전송 요청들을 제공한다는 것이 더 밝혀졌다.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전 데이터(144)에 대응하는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은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 시 정확한 관련 시작 지점을 제공하기 위해 연판정 파라미터를 활용할 수 있다.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 검출기 외재 값(414), 디코딩 사전 값(404), 및 디코딩 출력(406)이 보다 낮은 에러율을 제공한다는 것 역시 밝혀졌다.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 검출기 외재 값(414), 디코딩 사전 값(404), 및 디코딩 출력(406)은 통신 시스템(100)이 전송 블록(124)의 인스턴스들에 걸쳐, 그리고 그들 안에서 터보 원리 메커니즘(348)을 활용하게 할 수 있다.
디코딩 프로세스의 최종 반복(324) 및 마지막 IDD 반복에 기반하여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을 따라 피드백 프로파일(360)을 가진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피드백하는 것이 예기치 않은 처리율 및 코딩 이득의 증가 정도를 제공한다는 것 역시 밝혀졌다. 교차(cross) 전송 블록 프로세싱에 대한 피드백 프로파일(360)의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과의 결합은 피드백 프로파일(360) 및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을 각각 구현한 것에서 나온 결과들의 합을 초과하는 처리율의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 목적 상, 통신 시스템(100)은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을 결정하는 것과 별도로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결정한다고 기술되었다. 그러나, 디코딩 모듈(306) 및 이전 통신 값(350)이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과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반복 데이터(146) 처리 시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검출 모듈(302), 조정 모듈(304), 또는 그 조합으로 제공하기 위한 커넥션들과 함께,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을 기본 디코더 모듈(326)로 보내기 위한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 및 기본 디코더 모듈(326) 사이의 커넥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검출 프로세스를 위해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전달하고, 디코딩 프로세스를 위해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을 디코딩 모듈(306)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100)은 피드백 프로파일(360)과 함께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을 더 활용하여, 도 3 및 도 4의 조합으로서 피드백 프로파일(360)을 가질 수 있다.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해 전송 블록(124)의 인스턴스들에 대해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과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 모두를 이용하는 것은 예기치 않은 처리율 및 코딩 이득의 증가 정도를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 및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으로부터의 성능 이득들은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 및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을 각각 구현하는 것에서 나온 결과들의 합을 초과하는 처리율의 증가를 제공하는 가중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의 또 다른 제어 플로우가 보여진다. 통신 시스템(100)은 도 3의 피드백 프로파일(360)의 다른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의 다른 인스턴스는 통신 시스템(100)에 대해 앞서 논의된 예시적 실시예의 제어 플로우의 다른 예 또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낼 수 있다.
검출 모듈(302), 조정 모듈(304), 누적기 모듈(310), 디코딩 모듈(306), 및 확인 모듈(308)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의 이전 데이터(144)를 처리할 수 있다. 도 3의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 및 변경 모듈(412) 사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직접 연결 또는 비직접 연결과 같은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변경 모듈(412) 및 검출 모듈(302), 조정 모듈(304), 또는 이들의 조합 간에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것과 같은 연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전 데이터(144)에 대한 처리 중에,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은 이전 데이터(144), 도 3의 이전 검출 결과(354), 그 파생값,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누적기 모듈(310)은 도 3의 반복 데이터(146) 처리를 위해, 이전 데이터(144), 이전 검출 결과(354), 그 파생값, 또는 이들의 조합을 변경 모듈(412)로 보낼 수 있다. 누적기 모듈(310)은 반복 데이터(146) 수신에 기반하여 저장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변경 모듈(412)은 이전 데이터(144), 이전 검출 결과(354), 도 4의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 도 3의 누적 출력(358), 또는 그 조합에 기반한 조정을 통해 반복 데이터(146)에 따른 펑처링 출력(502)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펑처링 출력(502)은 펑처링 출력(502), 도 3의 반복 검출 결과(356), 누적 출력(358), 또는 이들의 조합을 누적 모듈(310)과 결함하는 것과 같은 것에 의해 이전 데이터(144)와 반복 데이터(146)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변경 모듈(4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전 데이터(144), 이전 검출 결과(354), 또는 이들의 조합을 펑처링함으로써 펑처링 출력(502)을 생성할 수 있다.
펑처링 출력(502)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43
도 1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에 있어서, 펑처링 출력(502)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44
예를 들어 펑처링 출력(502)은 이전 데이터(144), 이전 검출 결과(354), 누적 출력(358),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도 4의 디코딩 사전 값(404)에 기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펑처링 출력(502)은 디코딩 사전 값(404)의 펑처링된 인스턴스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펑처링 출력(502)은 상술한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과 유사한 도 4의 피드백 조정치(410) 및 디코딩 사전 값(404)에 기반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도 1의 전송 블록(124)의 이전 발생 인스턴스로부터의 도 3의 이전 통신 값(350)에 기반하여 반복 데이터(146)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출 모듈은 이전 데이터(144)에 대한 처리 결과들에 대응하는 펑처링 출력(502)에 기반하여 반복 검출 결과(356)를 생성함으로써 반복 데이터(146)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 모듈(302)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일 이용하기 위해 반복 검출 결과(356)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정 모듈(30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검출기 출력(314)을 디펑처링하거나, 도 4의 검출기 외재 값(414)을 산출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모듈(304)은 식 (18)을 이용하여 검출기 외재 값(414)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Γt'은 변경 모듈(412)로부터의 펑처링 출력(502)을 나타낼 수 있다.
누적기 모듈(310)은 반복 데이터(146)와 이전 데이터(144)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누적기 모듈(310)은 검출기 외재 값(414)에 기반하여 전송 블록(124)의 인스턴스에 대해 결합할 수 있다. 누적기 모듈(310)은 반복 데이터(146) 및 이전 데이터(144)를 결합하기 위해 펑처링 출력(502)과 반복 검출 결과(356)를 결합할 수 있다.
누적기 모듈(310)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펑처링 출력(502)과 반복 검출 결과(356)를 결합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45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에 있어서, 결합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46
'Lt'은 누적 출력(358) 또는 디코딩 사전 값(404)을 나타낼 수 있다. 't-1'은 이전 데이터(144) 같은 데이터와 관련되거나 그를 기초로 나타낼 수 있다.
전송 블록(124)의 인스턴스들에 대한 검출 및 조정 프로세스에 대해 펑처링 출력(502)을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 프로파일(360)이 통신 시스템(100)에서 보다 낮은 전력 소비를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피드백 프로파일(360) 및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한 이전 데이터(144)로부터의 펑처링 출력(502)의 사용은 정확성의 증가 및 지속되는 이전 프로세싱 결과들의 관련 사용으로 인해, 같은 자원들을 가지고 처리율과 코딩 이득들을 높일 수 있다.
이전 데이터(144), 이전 검출 결과(354), 누적 출력(358),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이전 데이터(144)에 대한 디코딩 사전 값(404)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펑처링 출력(502)이 보다 낮은 전송 요청들을 제공한다는 것 역시 밝혀졌다. 펑처링 출력(502)은 반복 데이터(146) 처리 시 정확한 관련 시작 지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연판정 파라미터를 활용할 수 있다.
이전 데이터(144)에 기반하고 반복 데이터(146) 처리에 사용되는 펑처링 출력(502)은 하드웨어 필요요건의 증가 없이 처리율과 코딩 이득들에 있어서의 예기치 않은 증가 정도를 제공한다는 것이 추가로 밝혀졌다. 펑처링 출력(502)은 누적 프로세스에 이미 요구되는 이전 데이터(144)에 대응하는 누적 출력(358), 검출기 출력(314), 그 파생값,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는 추가 디코더 외재 정보를 획득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시적 목적 상, 통신 시스템(100)은 도 3의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을 결정하는 것과 별도로 디코딩 사전 값(404)에 기반하여 펑처링 출력(502)을 결정한다고 기술되었다. 그러나, 통신 시스템(100)이 디코딩 사전 값(404)과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 모두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펑처링 출력(502)을 결정하여 검출 모듈(302), 조정 모듈(304), 또는 그 조합으로 제공하기 위한 커넥션들과 함께,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을 기본 디코더 모듈(326)로 보내기 위한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 및 기본 디코더 모듈(326) 사이의 커넥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 및 변경 모듈(412)은 검출 프로세스를 위해 펑처링 출력(502)을 결정 및 전달할 수 있고,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은 디코딩 프로세스를 위해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을 디코딩 모듈(306)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100)은 피드백 프로파일(360)과 함께 도 4의 반복 검출 디코딩 방식(416)을 더 활용하여, 도 3 및 도 5의 조합으로서 피드백 프로파일(360)을 가질 수 있다.
반복 데이터(146)를 처리하기 위해 전송 블록(124)의 인스턴스들에 대해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 및 펑처링 출력(502) 모두를 이용하는 것은 예기치 않은 처리율 및 코딩 이득의 증가 정도를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펑처링 출력(502)으로부터의 성능 이득들은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과 함께 구현될 때 가중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그것은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과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을 각각 구현한 것으로부터의 결합을 초과하는 처리율의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6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의 또 다른 제어 흐름이 보여진다. 통신 시스템(100)은 도 3의 피드백 프로파일(360)의 다른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의 다른 인스턴스는 통신 시스템(100)에 대해 앞서 논의된 예시적 실시예의 제어 플로우의 다른 예 또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낼 수 있다.
검출 모듈(302), 조정 모듈(304), 누적기 모듈(310), 디코딩 모듈(306), 및 확인 모듈(308)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의 이전 데이터(144)를 처리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은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과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 사이의 인터랙션을 제외하면 도 3 및 도 5가 결합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과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적이거나 비직접적인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프로파일(360)은 디코더 블록간 모듈(318)이 도 3의 추가 디코더 모듈(328)에서의 외재 값들로부터의 출력을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로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은 도 3의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에 기반하여 도 5의 펑처링 출력(502)을 결정할 수 있다. 누적기 블록간 모듈(316)은 펑처링 출력(502)을 결정하기 위해 도 3의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에 기반하여 도 4의 디코딩 사전 값(404)과 내부 디코더 값(352)을 결합할 수 있다.
펑처링 출력(502)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47
도 1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134)에 있어서, 펑처링 출력(502)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06828778-pct00048
펑처링 출력(502)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49
'은 시스템 파트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50
(들)'와 중복 패리티 파트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51
(p)'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52
' 및 '
Figure 112015006828778-pct00053
'은 이전 데이터(144)를 처리하기 위해 도 3의 최종 반복(324) 시의 추가 디코더 외재 값(344)에 대응하는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을 나타낼 수 있다.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을 이용하여 결정된 펑처링 출력(502)은 처리율과 코딩 이득들에서의 예기치 않은 증가 정도를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으로부터의 성능 이득들은 펑처링 출력(502)의 결정 중에 증폭될 수 있으며, 이것은 다음 전송에서의 시스템 비트들에 대한 보다 정확한 검출기 우도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성능 이득은 펑처링 출력(502) 및 이전의 내부 디코더 값(352)의 개별 구현예들에 있어서의 합을 초과한다.
이 출원서에서 기술되는 모듈들은 도 2의 제1제어 유닛(216)이나 도 2의 제2제어 유닛(238) 안에서의 수동 회로, 능동 회로, 또는 그 둘 모두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현예나 하드웨어 액셀러레이터들일 수 있다. 상기 모듈들은 또한, 도 1의 제1장치(102)나 도 1의 제2장치(106) 안에 있지만 제1제어 유닛(216)이나 제2제어 유닛(238) 각각의 외부에 있는, 수동 회로, 능동 회로, 또는 그 둘 모두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현예이거나 하드웨어 액셀러레이터들일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이전 데이터(144)로부터의 도 3의 검출기 출력(314), 도 3의 누적 출력(358), 이전 통신 값 또는 그 결합 값의 변경을 통한 도 1의 수신기 신호(128)로부터의 물리적 변환은 모바일 장치(102) 상에서 사용자를 위해 디스플레이되거나 재생되는 콘텐츠와 같은 물리적 세계에서의 움직임을 가져온다. 제1장치(102) 상에서 재생되는 네비게이션 정보나 통화자의 음성 신호와 같은 콘텐츠가 네비게이션 정보를 추적하거나 통화자에게 응답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물리적 세계에서의 움직임은 도 1의 통신 콘텐츠(108)를 전송하기 위해 수신기 신호(128)를 처리하도록 통신 시스템(100)으로 피드백될 수 있는 도 1의 전송기 채널(126)에 대한 변화를 가져온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한 방법(700)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상기 방법(700)은, 통신 콘텐츠를 포함하는 이전 데이터에 대응하는 반복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블록 702); 상기 이전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어 유닛을 통해 이전 통신 값을 판단하는 단계(블록 704); 수신기 신호로부터 상기 반복 요청에 대응하는 반복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블록 706); 상기 이전 데이터 및 상기 반복 데이터에 기반하여 누적 출력을 생성하는 단계(블록 708); 및 어떤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전송 블록의 인스턴스들에 대해 상기 누적 출력 및 상기 이전 통신 값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710)를 포함한다.
도 3의 이전 내부 디코더 값(352)이나 도 4의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408)을 포함하는 도 3의 이전 통신 값(350), 도 4의 디코딩 사전 값(404) 또는 이전 통신 값(350)에 기반하는 도 5의 펑처링 출력(502), 도 1의 이전 데이터(144), 또는 이들의 조합은 통신 속도의 증가, 디코딩 주기의 감소, 전력 소비 감소, 재전송 요청 감소, 및 에러율 감소를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이전 통신 값, 펑처링 출력, 도 3의 피드백 프로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은 처리율과 코딩에서의 다른 예상치 못한 이득을 제공한다는 것 또한 밝혀졌다.
그에 따른 방법, 프로세스, 장치, 기기, 제품 및/또는 시스템은 단순하고,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고, 복잡하지 않고, 매우 용도가 많고, 정확하고, 감각적이며 효과적이고, 준비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제조, 적용, 및 활용을 위해 기존의 구성요소들을 변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중요한 양태는 그것이 비용 감소, 시스템 단순화, 및 성능 향상이라는 시대적 추세를 가치있게 지원하고 서비스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러한 것 및 기타 귀중한 양태들은 결과적으로 기술의 상태를 최소한 한 단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최선의 실시예와 연계해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상기 내용에 비춰 여러 대안과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치환, 수정 및 변형은 포함된 청구범위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보여지거나 여기 개시된 모든 사항들은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맥락으로 해서되어야 한다.

Claims (22)

  1.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블록 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전 검출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이전의 디코딩 값을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전송 블록의 제1 인스턴스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한 에러 체크를 수행하되, 상기 에러 체크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에러 체크 값이 결정되고,
    상기 에러 체크 값이 NACK인 경우,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재전송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재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재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재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이전의 디코딩 값에 기반하여 상기 재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반복 검출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재전송 데이터는 상기 전송 블록의 제2 인스턴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 검출 결과와 상기 이전의 디코딩 값의 차이로 상기 재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출기 외재 값을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 상기 재전송 데이터, 상기 반복 검출 결과 및 상기 이전 검출 결과에 대한 디인터리빙 (de-interleaving), 상기 재전송 데이터 또는 상기 반복 검출 결과에 대한 디펑처링 (de-puncturing), 및 상기 검출기 외재 값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상기 재전송 데이터, 상기 반복 검출 결과 및 상기 이전 검출 결과를 결합하여 LLR (log-likelihood ratio) 값들을 포함하는 누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누적 데이터 및 상기 에러 체크 값에 기초하여 상기 누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복원하는 단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LLR값 및 상기 재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LLR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LLR 값에 기반하여, 디펑처링 (de-puncturing) 출력을 생성하고,
    상기 상기 디펑처링 출력 및 상기 재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LLR 값을 상기 누적 데이터에 결합하는 단말.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LLR 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LLR 값 및 상기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에 기반하여 상기 재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LLR 값을 생성하는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단일 입력 단일 출력 방식,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상기 콘텐츠를 복원하는 단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반복 검출 디코딩 (iterative-detective-decoding)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복원하는 단말.
  11.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이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전 검출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이전의 디코딩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 대한 에러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
    에러 체크 값이 NACK인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재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재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재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전의 디코딩 값에 기반하여 상기 재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반복 검출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복 검출 결과와 상기 이전의 디코딩 값의 차이로 상기 재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출기 외재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상기 재전송 데이터, 상기 반복 검출 결과 및 상기 이전 검출 결과에 대한 디인터리빙 (de-interleaving), 상기 재전송 데이터 또는 상기 반복 검출 결과에 대한 디펑처링 (de-puncturing), 및 상기 검출기 외재 값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상기 재전송 데이터, 상기 반복 검출 결과 및 상기 이전 검출 결과를 결합하여 LLR (log-likelihood ratio) 값들을 포함하는 누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 데이터 및 상기 에러 체크 값에 기초하여 상기 누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복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전송 블록의 제1 인스턴스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재전송 데이터는 상기 전송 블록의 제2 인스턴스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 체크 값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상기 에러 체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말이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LLR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재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LLR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누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LLR값에 기반하여 디펑처링 (de-puncturing) 출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펑처링 출력 및 상기 재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LLR값을 상기 누적 데이터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 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LLR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LLR값 및 상기 이전의 전반적 디코딩 값에 기반하여 상기 재전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LLR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복원하는 단계는 단일 입력 단일 출력 방식,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상기 콘텐츠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복원하는 단계는 반복 검출 디코딩 (iterative-detective-decoding)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삭제
  22. 삭제
KR1020157001755A 2012-06-22 2013-06-18 반복 응답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148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63459P 2012-06-22 2012-06-22
US201261663465P 2012-06-22 2012-06-22
US61/663,459 2012-06-22
US61/663,465 2012-06-22
US201361752285P 2013-01-14 2013-01-14
US61/752,285 2013-01-14
US13/908,765 2013-06-03
US13/908,765 US9954643B2 (en) 2012-06-22 2013-06-03 Communication system with repeat-response combin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PCT/KR2013/005348 WO2013191435A1 (en) 2012-06-22 2013-06-18 Communication system with repeat-response combin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858A KR20150023858A (ko) 2015-03-05
KR102148155B1 true KR102148155B1 (ko) 2020-08-27

Family

ID=4976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755A KR102148155B1 (ko) 2012-06-22 2013-06-18 반복 응답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54643B2 (ko)
KR (1) KR102148155B1 (ko)
WO (1) WO2013191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1983B2 (en) * 2012-08-28 2015-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repeat-response process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4219019B (zh) 2013-05-31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编码方法及编码设备
AU2015211019B2 (en) 2014-01-28 2018-11-01 SA Photonics, Inc. Data retransmission for atmospheric Free Spac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6363721B2 (ja) * 2014-02-21 2018-07-25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ポーラ符号のためのレートマッチング方法および装置
WO2015149225A1 (zh) * 2014-03-31 2015-10-08 华为技术有限公司 极化码的混合自动重传方法及装置、无线通信装置
KR101909549B1 (ko) * 2014-11-27 2018-10-1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폴라 코드 레이트 매칭 방법과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
RU2685034C2 (ru) * 2014-12-22 2019-04-16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кодир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полярным кодом
US9742440B2 (en) * 2015-03-25 2017-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RQ rate-compatible polar codes for wireless channels
WO2017067595A1 (en) * 2015-10-21 2017-04-2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mproving communication efficiency
WO2017127973A1 (en) * 2016-01-25 2017-08-03 Qualcomm Incorporated Generation of polar codes with a variable block length utilizing puncturing
WO2017156792A1 (en) 2016-03-18 2017-09-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new data in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retransmission with polar coded transmissions
CN108400844B (zh) 2017-02-04 2021-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的方法、装置、通信设备和通信系统
CN113872735B (zh) * 2020-06-30 2023-10-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5257A (en) 1994-10-11 1998-02-0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System for re-transmission in data communication
US20100017674A1 (en) 2007-01-25 2010-01-21 Panasonic Corporation Retransmission control technique
US20110041023A1 (en) * 2008-04-22 2011-02-17 Kazuyuki Shimezawa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8820A (en) * 1995-01-23 1997-09-16 Ericsson Inc.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punctured convolutional coding system and method
FI103540B1 (fi) 1997-04-28 1999-07-1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pakettikytkentäisen datan siirtoon matkapuhelinjärjestelmässä
US6418549B1 (en) * 1998-10-30 2002-07-09 Merunetworks, Inc. Data transmission using arithmetic coding based continuous error detection
US6591390B1 (en) * 2000-04-11 2003-07-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RC-based adaptive halting turbo decoder and method of use
JP3464649B2 (ja) * 2000-12-27 2003-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6987778B2 (en) * 2001-05-22 2006-01-1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channel interleaving for optimized data throughput
FR2838584A1 (fr) 2002-04-16 2003-10-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e de transmission avec controle de congestion au niveau du recepteur pour decider d'eventuelles demandes de retransmission
US7020109B2 (en) * 2002-08-21 2006-03-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content on a broadcast services communication system
US7616698B2 (en) * 2003-11-04 2009-11-10 Atheros Communications, Inc.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system and method
KR100754727B1 (ko) * 2003-11-14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자동반복 요구 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을통한 제어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0507628C (zh) 2003-11-14 2009-07-01 埃里克·贝尔 多层聚合物梯度折射率(grin)透镜
EP1667353A1 (en) * 2004-12-03 2006-06-07 STMicro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packets of data within an hybrid ARQ scheme
US8050203B2 (en) 2004-12-22 2011-11-01 Eleven Engineering Inc. Multi-channel digital wireless audio system
US7562278B2 (en) * 2005-12-29 2009-07-14 Intel Corporation Incremental forward error correction redundancy
US20080233966A1 (en) * 2007-03-22 2008-09-25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Resource al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301964B2 (en) * 2007-11-19 2012-10-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cremental redundancy with resegmentation
US8725083B2 (en) * 2008-05-13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Self calibration of downlink transmit power
JPWO2010005037A1 (ja) * 2008-07-09 2012-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通信方法
KR20100029520A (ko) 2008-09-08 2010-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555557B1 (ko) * 2008-12-29 2015-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의 아이들 상태 동작 방법
KR101622965B1 (ko) 2009-02-06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을 위한 llr 결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1193434A (ja) * 2009-10-28 2011-09-29 Panasonic Corp パリティパケットを用いた通信方法、通信装置及び中継器
KR20110090521A (ko) * 2010-02-04 2011-08-10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및 제어정보의 전송 방법 및 그 송신장치, 그 수신장치
US8724742B2 (en) * 2010-10-06 2014-05-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buffer management for carrier aggreg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5257A (en) 1994-10-11 1998-02-0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System for re-transmission in data communication
US20100017674A1 (en) 2007-01-25 2010-01-21 Panasonic Corporation Retransmission control technique
US20110041023A1 (en) * 2008-04-22 2011-02-17 Kazuyuki Shimezawa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858A (ko) 2015-03-05
US9954643B2 (en) 2018-04-24
WO2013191435A1 (en) 2013-12-27
US20130343271A1 (en)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155B1 (ko) 반복 응답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9083387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compound cod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0153811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communication-layer maximiz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11017933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2842240B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blind decod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8942323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signal-to-noise ratio adjustment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2862293B1 (en) Iterative detection and decoding for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9071983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repeat-response process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276461B1 (ko) 에러 핸들링 메커니즘을 갖는 컴퓨팅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20140362958A1 (en) Computing system with interference classific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177755B1 (ko) 플렉서블 반복 응답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CN116015535A (zh) 对码字执行检测操作和解调操作的通信设备及其操作方法
US9143372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receiver optimiz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5186324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EP3231117B1 (en) Enhanced performance hybrid-arq
JP4773487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CN111917510A (zh) 数据处理、指示数据处理的方法、终端及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