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024B1 - 골반근 재활운동기기 - Google Patents

골반근 재활운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024B1
KR102148024B1 KR1020180162039A KR20180162039A KR102148024B1 KR 102148024 B1 KR102148024 B1 KR 102148024B1 KR 1020180162039 A KR1020180162039 A KR 1020180162039A KR 20180162039 A KR20180162039 A KR 20180162039A KR 102148024 B1 KR102148024 B1 KR 102148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woman
pelvic
body cavity
con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645A (ko
Inventor
영 김
민세동
란 김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0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7Measuring contraction of parts of the body, e.g. organ, mus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7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constricting muscles, i.e. sphinc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9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근 재활운동기기에 관한 것으로, 여성의 체강 내에 삽입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여성의 체강 내벽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홀더 및 상기 본체의 외측부에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여성의 체강으로의 삽탈이 용이한 타원체 형상이며, 내부를 관통하는 절구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골반근 재활운동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성의 체강 내에 기구를 삽입하고, 골반근이 압축되어 일정정도로 수축된 때 압력센서를 통해 압력을 측정하여 골반근 수축력의 정도 및 수축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시각화하는 것을 통해 정확하게 골반근의 근력과 지구력의 진보정도를 알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반근 재활운동기기{Pelvic Floor Muscle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출산전후 골반근 강화 및 요실금 예방을 위한 골반근 재활운동기기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의 체강 내에 삽입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여성의 체강 내벽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홀더 및 상기 본체의 외측부에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여성의 체강으로의 삽탈이 용이한 타원체 형상이며, 내부를 관통하는 절구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골반근 재활운동기기에 관한 것이다.
여성은 출산 등으로 인하여 자궁, 방광, 요도를 지탱하고 있는 골반근육이 약해짐으로 인하여 자궁 및 방광이 본래의 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처지거나, 요도의 닫히는 힘이 약해지는 신체변화를 겪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서 탈장(헤르니아)이나 요실금을 들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방광탈출증 및 요실금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성의 골반근을 강화시키는 방법(케겔운동 등)이 종래부터 행하여져 왔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327313호의 골반근육 강화운동구에 의하면 인체에 유익한 광물질로 형성되며 여성 사용자들의 신체 일부위로의 삽탈이 용이하게 곡면을 갖도록 한 타원체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그 몸체에는 연질 재의 인출용 끈이 길게 연장되는 상태로 결합된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된 중량체로 형성되며, 상기 인출용 끈의 상기 몸체와의 반대 단부에 분리되게 결합할 수 있게 하여 몸체에 미치는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중량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여성용 골반근육 강화 운동구가 기재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골반근의 수축이 항상 올바르게 수행되는지 수치화하는 등의 정확한 시각화 방법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성과가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7313호(2002.02.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체강 삽입형 본체의 외측부에 3중(상단, 중간, 하단)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수축력의 크기 및 수축 위치(수축 중인 근육의 종류와 위치)를 확인, 측정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수단, 예컨대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시각화된 피드백을 통해 골반근의 재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골반근 재활운동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여성의 체강 내에 삽입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여성의 체강 내벽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홀더 및 상기 본체의 외측부에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여성의 체강으로의 삽탈이 용이한 타원체 형상이며, 내부를 관통하는 절구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골반근 재활운동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압력센서는 본체의 외측 표면에 가해지는 수축력의 크기 및 수축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정된 수축력의 크기 및 수축 위치를 시각화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여성의 체강 내에 기구를 삽입하고, 골반근이 압축되어 일정 정도로 수축된 때 압력센서를 통해 압력을 측정하여 골반근 수축력의 정도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내부를 관통하는 절구형상의 공간을 통해 여성의 생리기간 중에도 탬폰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계속적인 재활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축력의 크기 및 수축 위치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시각화하는 것을 통해 정확하게 골반근의 근력과 지구력의 진보정도를 알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근 재활운동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시된 골반근 재활운동기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근 재활운동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근 재활운동기기는 본체(10), 홀더(20) 및 압력센서(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성의 체강 내에 삽입 가능한 본체(10), 상기 본체에서 상기 여성의 체강 내벽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홀더(20) 및 상기 본체의 외측부에 압력센서(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여성의 체강으로의 삽탈이 용이한 타원체 형상이며, 내부를 관통하는 절구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골반근 재활운동기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강은 여성의 질 또는 항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는 여성의 체강 내에 삽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측면이 곡면인 타원체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절구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관통하는 절구형상의 공간을 통해 여성의 생리기간 중에는 탬폰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절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직경이 작은 중앙부에서 탬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의료용 실리콘, 라텍스 등의 연질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삽탈에 이물감을 주지 않으며 세척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여성의 체강 내벽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고정 및 인출용 홀더(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근 수축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체강내의 본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체강으로부터 인출하고자 할 때 잡아 당겨 본체를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외측부에는 압력센서(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상기 압력센서(30)는 힘 센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힘-저항 센서이다.
상기 압력센서(30)는 본체가 체강 내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 골반근의 수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30)는 골반부의 해부학적 근육 층을 고려하여 복수개로 구성되어 개별적으로 측정지점에서 해당 근육의 수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30)는 본체의 외측부에 일정한 구간을 나누어 센서유닛을 형성 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를 높이별로 구간을 하단, 중간, 상단으로 나누어 센서유닛이 구성되어 각 구간별로 수축력의 정도 및 수축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력센서(30)는 본체의 외측부에 가해지는 수축력의 특정 위치(수출 중인 근육의 종류와 위치)를 검출하기에 적절하다.
상기 압력센서(30)는 방수센서로 구성되어 기기를 세척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측정된 수축력의 크기 및 수축 위치를 시각화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블루투스 연동이 가능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태블릿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골반근의 수축력의 크기 및 수축 위치를 시각화하는 방법은 수치화하거나, 1차원, 2차원, 3차원 및/또는 다차원으로 그림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골반근 재활운동기기는 압력센서로 부터 외부 디스플레이수단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모듈은 외부 디스플레이수단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압력센서(3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정보로부터 골반근 재활운동의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피드백은 골반근이 수축하는 동안 올바르게 수축되었는지 여부, 수축 중인 근육의 종류 및 위치, 골반근 강화 운동시간 및 골반근 강화하는 데 필요한 시간 등 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더 높은 품질의 골반근 강화 운동을 할 수 있다.
10 : 본체 20 : 홀더 30 : 압력센서

Claims (3)

  1. 여성의 체강 내에 삽입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여성의 체강 내벽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홀더 및 상기 본체의 외측부에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여성의 체강으로의 삽탈이 용이한 타원체 형상이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상기 본체의 중앙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본체의 상단 및 하단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절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력센서는 하단, 중간 및 상단으로 구분된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본체의 직경이 가장 큰 상기 중간에서 제1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직경이 가장 작은 상기 하단 및 상기 상단에는 상기 제1 개수보다 적은 제2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생리에 사용되는 탬폰이 삽입되는 사이즈로 형성되며, 상기 탬폰은 상기 공간의 직경이 가장 작은 상기 중앙부에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골반근 재활운동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본체의 외측 표면에 가해지는 수축력의 크기 및 수축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근 재활운동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수축력의 크기 및 수축 위치를 시각화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근 재활운동기기.
KR1020180162039A 2018-12-14 2018-12-14 골반근 재활운동기기 KR102148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039A KR102148024B1 (ko) 2018-12-14 2018-12-14 골반근 재활운동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039A KR102148024B1 (ko) 2018-12-14 2018-12-14 골반근 재활운동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645A KR20200073645A (ko) 2020-06-24
KR102148024B1 true KR102148024B1 (ko) 2020-08-26

Family

ID=7140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039A KR102148024B1 (ko) 2018-12-14 2018-12-14 골반근 재활운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8897B (zh) * 2018-11-03 2021-06-11 厦门波耐模型设计有限责任公司 盆底肌肉功能训练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313B1 (ko) 1999-11-09 2002-03-07 명 섭 장 골반근육 강화운동구
KR100876012B1 (ko) * 2007-05-11 2008-12-24 전지용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US20200093413A1 (en) * 2015-12-28 2020-03-26 Novipel Holding Aps A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and profiling apparatus for inserting into a body cavity of a human and a method for visualizing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645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171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guiding, and/or tracking pelvic exercise
AU2022204795B2 (en) Treatment of pelvic organ prolapse
US2016000866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nsing, guiding, and/or tracking pelvic exercise
JP6069297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及び測定するのに役立つ膣内器具
US10413722B2 (en) Pelvic muscle exerciser
US9855462B2 (en) Kegel health system
US11266343B2 (en) Treatment of fecal incontinence
EP35394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elvic floor muscle ascent
US20080032273A1 (en) Anatomical model
JP2018509188A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及び測定するのに役立つ膣内器具
AU2016384215A1 (en) A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and profiling apparatus for inserting into a body cavity of a human and a method for visualizing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s
CA2515915A1 (en) Device for measuring elastic properties of tissue
JP2003514608A (ja) 骨盤床筋トレーニ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6154747A1 (en) Measurement ring and monitoring
KR102148024B1 (ko) 골반근 재활운동기기
CN204815550U (zh) 一种女性盆底肌训练器
US20220287623A1 (en) Intra-Vaginal Ring with Pressure Sensor
KR102121222B1 (ko) 여성 질근력 측정 및 맞춤형 운동 안내 시스템
CN110786873A (zh) 一种检测盆底器官位移和临床特征的装置
KR102149870B1 (ko) 여성 질근력 측정 및 치료 게임 시스템
CN214671387U (zh) 一种产程中宫颈检查仿真实训模型
CN203634139U (zh) 双节拼接式子宫探针
KR200230933Y1 (ko) 요실금 치료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