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834B1 -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834B1
KR102147834B1 KR1020200016601A KR20200016601A KR102147834B1 KR 102147834 B1 KR102147834 B1 KR 102147834B1 KR 1020200016601 A KR1020200016601 A KR 1020200016601A KR 20200016601 A KR20200016601 A KR 20200016601A KR 102147834 B1 KR102147834 B1 KR 102147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connection
rod
hol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화종
Original Assignee
조화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화종 filed Critical 조화종
Priority to KR1020200016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하고 있는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하나의 충전케이블에 다른 하나의 충전케이블이 막히거나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데 있어 충전 편리성이 도모될 수 있도록 개선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이동로(11) 하부에 이동개구공(13)이 있고, 상기 이동개구공(13) 양측에 바퀴받침부(12)가 있고 받침다리(16)에 지지되는 기다란 이동가이드부재(10)과, 상기 이동가이드부재(10) 일측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접속공(14)이 있는 기다란 전기공급가이드부재(10')와, 상기 이동개구공(13)과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이동가이드부재(10)와 전기공급가이드부재(10') 하부에 뚫리도록 구비하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접속이동홈공(15a~15e)이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재(10)를 따라 이동로드(20a~20e)가 이동하다가 접속이동홈공(15a~15e)을 통해서 이동로드(20a~20e)가 전기공급가이드부재(10') 쪽으로 이동되어 전기가 공급되고, 이 상태에서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에서 결재가 완료되면 충전이 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좌우이동부재(63) 및 직진로드(70)가 이동되어 로드잡음수단(73)이 이동로드(20a~20e)를 잡아서 전기공급가이드부재(10')쪽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서 전기가 공급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에서 결재가 완료되면 충전이 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Electric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주차장에 설치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하고 있는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하나의 충전케이블에 다른 하나의 충전케이블이 막히거나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데 있어 충전 편리성이 도모될 수 있도록 개선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충전시간이 비교적 오래 소요되기 때문에 충전시켜 놓은 상태에서 차량 운전자가 오랜시간 동안 자리를 비우거나 할 때에는 다른 차량이 전혀 충전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충전기나 충전모듈을 이동시켜 충전 가능한 선행기술들이 개시되었으나, 이들은 주차된 차량까지 충전기나 충전모듈을 이동되는 것은 가능하지만 충전중인 충전기나 충전모듈을 다른 충전기나 충전모듈이 통과할 수 없어서 다른 차량을 충전시키지 못하거나 또는 통과되게 하려면 매우 복잡한 시설이나 설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KR 10-1957835 B1 2019.03.14 KR 10-2020-0002165 A 2020.01.30
본 발명은 충전하고 있는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하나의 충전케이블에 다른 하나의 충전케이블이 막히거나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데 있어 충전 편리성이 도모될 수 있도록 개선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충전이 가능할 수 있게 하고, 시설비가 예전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소요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이동로 하부에 이동개구공이 있고, 상기 이동개구공 양측에 바퀴받침부가 있고 받침다리에 지지되는 기다란 이동가이드부재과, 상기 이동가이드부재 일측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접속공이 있는 기다란 전기공급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개구공과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이동가이드부재와 전기공급가이드부재 하부에 뚫리도록 구비하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접속이동홈공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내의 바퀴받침부에서 구름운동하는 한쌍의 바퀴와, 상기 바퀴 상부쪽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전기접속링을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이동로드 및 상기 이동개구공을 하부방향으로 관통하는 이동로드 하단부에 전기접속링과 전기공급선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이 있고, 상기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 하부에는 충전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공급가이드부재의 접속공에는 메인충전제어모듈과 연결되는 한쌍의 전원공급선이 배선되고, 다수의 접속이동홈공이 있는 부분마다 전원공급선과 접속되고 한쌍의 전기접속링이 각각 삽입되는 출입구와 링홈이 구비되는 접속탄편이 있는 한쌍의 전기접속구를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로드 상단에 구비되는 걸림구가 걸림되는 받침구를 구비하고 탄발스프링의 탄력이 부여되는 이동구가 왕복이동되는 이동로가 있는 고정프레임이 있고 상기 이동로 하부에 받침구가 관통되는 이동홈공이 있고 상기 이동홈공 양측에 이탈방지턱이 있는 로드처짐방지수단이 다수의 접속이동홈공이 있는 부분의 상부쪽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접속이동홈공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바퀴받침부재와, 상기 바퀴받침부재 일측에 고정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양측을 각각 관통하고 양측 지지대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로드와, 상기 고정로드에 설치되어 바퀴받침부재 방향으로 탄력을 부여하는 탄발스프링을 갖는 바퀴처짐방지수단이 다수의 접속이동홈공이 있는 부분마다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공급가이드부재 일측에 고정되는 기다란 받침가이드부재의 내부공에는 감속모터 동력이 전달되는 한쌍의 타이밍풀리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운동하는 타이밍벨트가 있고, 상기 타이밍벨트 상단부에 연결부재로 고정되어 받침가이드부재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고 한쌍의 롤러가 받침부재에서 구름운동되는 좌우이동부재 및 상기 좌우이동부재 내부에서 감속모터 동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있는 직진로드가 이동가이드부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진로드 끝단부에는 이동가이드부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고정되는 L자형로드가 고정되고, 상기 L자형로드에는 고정힌지축과 각각의 연결링크축으로 연결되 외측단부에 반원형 형태의 잡음부를 각각 구비한 한쌍의 X자형링크와, 상기 고정힌지축 일측의 X자형링크중에 어느 하나의 X자형링크 끝단부에 전자솔레노이드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로드잡음수단을 갖는 로드자동이동수단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충전하고 있는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하나의 충전케이블에 다른 하나의 충전케이블이 막히거나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데 있어 충전 편리성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차장 크기에 따라 수동이나 또는 자동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설치 할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시설비가 예전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소요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이드부재와 전기공급가이드부재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V-V'선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W-W'선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4의 X-X'선 단면 구성도,
도 7은 도 4의 Y-Y'선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결재접속접속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평면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이동수단을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이동수단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 개략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로드잡음수단을 나타낸 평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이동로(11) 하부에 이동개구공(13)이 있고, 상기 이동개구공(13) 양측에 바퀴받침부(12)가 있고 받침다리(16)에 지지되는 기다란 이동가이드부재(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동가이드부재(10) 일측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접속공(14)이 있는 기다란 전기공급가이드부재(10')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개구공(13)과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이동가이드부재(10)와 전기공급가이드부재(10') 하부에 뚫리도록 구비하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접속이동홈공(15a~15e)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이동로드(20a~20e)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이동로드(20a~20e)는, 이동가이드부재(10)의 이동로(11)내에 있는 바퀴받침부(12)에서 구름운동하는 한쌍의 바퀴(25)와, 상기 바퀴(25) 상부쪽에는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전기접속링(26)을 각각 구비한다. 부호 29는 부도체를 나타낸다.
또한, 다수의 이동로드(20a~20e) 상부에는 결재신호접속부(27)를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이후에 다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이동로드(20a~20e) 하부쪽에는 이동개구공(13)을 하부방향으로 관통하는 이동로드(20a~20e) 하단부에 전기접속링(26)과 전기공급선(26a)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 하부에는 충전케이블(22)을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전케이블(22)의 끝단부에는 전기자동차(C1~C3)의 전기충전부(미도시됨)와 접속되는 충전아답터(부호없음)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전기공급가이드부재(10')의 접속공(14)에는 메인충전제어모듈(30)과 연결케이블(32)로 연결되는 한쌍의 전원공급선(33)이 배선되고, 상기 한쌍의 전원공급선(33) 중에 하나의 전원공급선(33)은 플러스전류선이고, 다른 하나의 전원선은 마이너스전류선이다. 상기 메인충전제어모듈(30)은 외부입력케이블(31)을 통해서 전기 공급이 되는 것이므로 한쌍의 전원공급선(33)에는 전류가 항상 공급되는 상태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접속이동홈공(15a~15e)이 있는 부분마다 전원공급선(33)과 접속되고 도체로 된 한쌍의 전기접속구(34)를 구비한다.
한쌍의 전기접속구(34)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전기접속링(26)이 각각 삽입되는 출입구(343)와 링홈(342)이 구비되는 접속탄편(341)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전기접속링(26)이 출입구(343)로 강제적으로 끼워지는 상태가 되면 접속탄편(341)이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전기접속링(26)이 링홈(342)에 완전히 삽입되면 접속탄편(341)이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밀착됨에 따라 전기접속구(34)에서 전기접속링(26)으로 전기가 통전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반대로 도 5에서 실선도시 상태에서 가상선 상태로 이동로드(20a~20e)가 이동되게 하면 접속탄편(341)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전기접속링(26)이 가상선 상태와 같이 링홈(342)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전기접속링(26)으로 흐르던 전기 흐름이 차단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9에 나타낸 다수의 이동로드(20a~20e) 중에 어느 하나의 이동로드(20e)의 손잡이(23)를 잡고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3에 나타낸 바퀴(25)가 구름운동되면서 바퀴받침부(12)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이동하는 도중에 도 1에 나타낸 어느 하나의 위치표시점(24')에 선택적으로 위치식별부재(24)가 위치하면 정지시킨다. 그러면 그 위치표시점(24') 지점에 있는 접속이동홈공(15d)에 이동로드(20e)가 정지되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이동로드(20e)를 전기접속구(34)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게 되면 도 5와 같이 전기접속링(26)이 링홈(342)에 강제적으로 삽입되어서 전기접속구(34)에서 전기접속링(26)으로 전기가 공급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도 1에 나타낸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에서 운전자는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에 신용카드와 같은 결재카드를 삽입하고 충전하려는 전기량에 해당되는 결재금액을 선택적으로 선정하고 충전개시가 되면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 내부에서 전원이 충전케이블(22)로 공급됨에 따라 전기자동차(C1)에 전기가 충전되는 것이고, 충전이 완료되면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에서 충전케이블(22)로 공급되던 전기가 자동으로 차단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작용되는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의 전원공급과 차단 및 결재시스템 및 제어기술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의 결재신호가 메인충전제어모듈(30)로 인가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이동로드(20a~20e) 마다 상단부에 결재신호접속부(27)를 각각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결재신호접속부(27)에는 인가접속돌기(27b)를 구비하여 신호인가선(27a)에 의해서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로드(20a)가 접속이동홈공(15a)에 삽입되어 이동되어서 도 4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접속링(26)이 전기접속구(34)와 접속되는 상태가 되면 결재신호접속부(27)도 이동되어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인가접속돌기(27b)가 전기공급가이드부재(10')의 접속공(14)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인가접속부(27c)에 어느 하나의 인가접속부(27c)에 접속되는 상태가 되어서 인가케이블(27d)을 통해서 메인충전제어모듈(20)의 결재제어부(미도시됨)에 인가되는 상태가 되어서 외부입력케이블(31)을 통해서 외부 결재시스템에 인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이동로드(20a~20e) 마다 상단부에 구비되는 결재신호접속부(27)에 설치되는 인가접속돌기(27b)의 설치위치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로드(20a~20e)에 각각 설치되는 다른 결재신호접속부(27',27") 마다 인가접속돌기(27b)가 설치되는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지지부(28)에 설치되는 각각의 인가접속부(27c)에 각각 접속되게 함에 따라 각각의 이동로드(20a~20e) 마다 각각 구비되는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 마다 결재되는 각각의 결재신호가 이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인가접속부(27c)에서 인가케이블(27d)을 통해 유선상으로 메인충전제어모듈(30)로 각각 인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결재신호접속부(27,27',27")와 인가접속돌기(27b) 및 인가접속부(27c)를 배제하고 무선방식에 의해서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의 결재신호가 메인충전제어모듈(30)로 인가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무선방식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로드(20a~20b)가 이동로(11)를 따라 이동된 다음에 접속이동홈공(15a~15e)으로 직각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접속이동홈공(15a~15e) 상,하부 마다 도 3에 나타낸 각각의 로드처짐방지수단(40) 및 바퀴처짐방지수단(50)을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로드처짐방지수단(40) 및 바퀴처짐방지수단(50)은 하나의 접속이동홈공(15a) 마다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로드처짐방지수단(4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로드(20a~20e) 상단에 걸림구(4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걸림구(41)가 걸림되는 받침구(45)를 구비하고 탄발스프링(46)의 탄력이 부여되는 이동구(44)가 왕복이동되는 이동로(43)가 있는 고정프레임(42)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구(44)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탈방지턱(47)에 의해 이동로(43)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받침구(45)는 이동홈공(48)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이동로드(20a)가 이동로(11)를 다라 이동하다가 하나의 접속이동홈공(14a)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로드(20a) 상단부에 있는 걸림구(41)가 받침구(45) 상부쪽에 위치하여 포개지는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에서 이동로드(20a)가 도 4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접속구(3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구(41)도 이동됨에 따라 이동구(44)가 도 4에서 왼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걸림구(41)가 받침구(45)에 받쳐져 있으므로 이동로드(20a)가 하부방향으로 처짐이 방지되는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전기접속구(34) 쪽에서 다시 이동로(11) 방향으로 이동로드(20a)가 이동하는 과정에는 압축되어 있던 탄발스프링(46)의 탄력에 의해서 이동구(44)가 이동로(1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므로 이동로드(20a)가 접속이동홈공(15a)에서 이동하는 과정에 걸림구(41)가 받침구(45)에 얹혀져서 이동함에 따라 이동로드(20a)가 하부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퀴처짐방지수단(50)은, 도 3 및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이동홈공(15a~15e)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바퀴받침부재(55)와, 상기 바퀴받침부재(55) 일측에 고정되는 이동부재(53)와, 상기 이동부재(53) 양측을 각각 관통하고 양측 지지대(51)에 각각 고정된 한쌍의 고정로드(52)와, 상기 고정로드(52)에 설치되어 바퀴받침부재(55) 방향으로 탄력을 부여하는 탄발스프링(54)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퀴받침부재(55)는 탄발스프링(54)의 탄력을 항상 받는 상태이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도 4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로(11)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하나의 이동로드(20a)가 이동되어서 하나의 접속이동홈공(15a)이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면 하나의 바퀴(25)가 도 4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받침부재(55)에 놓여지는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에서 이동로드(20a)가 도 4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접속구(3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바퀴받침부재(55)도 도 4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이동하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는 전기접속링(26)이 전기접속구(34)에 물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탄발스프링(54)이 압축되어 탄력이 증가된 상태이더라도 전기접속링(26)이 전기접속구(34)에서 이탈되기 전까지는 바퀴받침부재(55)가 도 4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로드(20a)가 다시 도 4에서 가상선 상테에서 실선도시와 같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이때에는 탄발스프링(54)의 탄력이 이동부재(53)에 작용됨에 따라 바튀받침부재(55)가 도 4에서 실선 도시와 같이 이동하는 상태가 되어서 이동로(11)에 있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바퀴(25)는 바퀴받침부재(55)에 받치되는 상태에서 이동되고 다른 하나의 바퀴(25)는 이동로드(20a) 상단부의 걸림구(41)가 받침구(45)에 받침되는 상태에서 이동로드(20a)가 이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동로드(20a)가 접속이동홈공(15a)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과정에 바퀴(25)들이 처지지 않게 되므로 접속이동홈공(15a)이나 이동개구공(13)에 바퀴(25)들이 빠지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이동로드(20a)가 접속이동홈공(15a)을 왕복 이동할 때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수동으로 충전하는 상태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서 하나의 전기자동차(C1)가 주차된 상태인 경우에는 이동개구공(13)에서 우측에 대기하고 있던 하나의 이동로드(20c)를 이동개구공(13)을 따라 이동시킨 후에 충전하고자 하는 전기자동차(C1) 위치에 있는 하나의 접속이동홈공(15b)쪽으로 밀어서 이동시켜서 전기가 충전되게 한다.
그리고 하나의 전기자동차(C1)가 충전중인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전기자동차(C2)를 충전하고자 할시에는 먼저 충전중에 있는 전기자동차(C1)에 해당되는 하나의 이동로드(20c)가 접속이동홈공(15b)에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먼저 충전중에 있는 전기자동차(C1) 우측에 대기하고 있던 다른 하나의 이동로드(20d)를 이동개구공(13)를 따라 이동할 때 접속이동홈공(15b)이 있는 부분을 그대로 통과하여 충전 대기중에 있는 다른 하나의 전기자동차(C2)가 있는 위치에 있는 다른 하나의 접속이동홈공(15c)까지 이동시켜서 그 접속이동홈공(15c)으로 이동로드(20d)를 밀어서 끼워서 다른 하나의 전기자동차(C2)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2대의 전기자동차(C1,C2)가 충전중에 또다른 하나의 전기자동차(C3)를 충전하고자 할 시에도 이동개구공(13)에 대기하고 있던 또다른 하나의 이동로드(20b)를 충전하고자 하는 또다른 전기자동차(C3)가 있는 부분의 접속이동홈공(15e)까지 이동시켜서 그 접속이동홈공(15e)으로 이동로드(20b)를 밀어서 끼워서 다른 하나의 전기자동차(C2)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C1~C3)들이 먼저 주차하여 먼저 충전하는 상태이더라도 이동로드(20a~20e)들이 이동개구공(13)이 항상 개방된 상태가 됨으로써 언제든지 이동로드(20a~20e)들이 이동개구공(13)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상태가 됨으로서 나중에 주차하여 충전하려는 전기자동차(C1~C3)가 어느 위치에 주차하더라도 언제든지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충전하고 있는 하나의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하나의 충전케이블에 다른 하나의 충전케이블이 막히거나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데 있어 충전 편리성이 크게 도모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로드(20a~20e)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서, 로드자동이동수단(60)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10과 도 11를 참조하면, 로드자동이동수단(60)은 전기공급가이드부재(10') 일측에 고정되는 기다란 받침가이드부재(10")의 내부공(17)에는 감속모터(65) 동력이 전달되는 한쌍의 타이밍풀리(66)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운동하는 타이밍벨트(67)를 구비한다.
또한, 타이밍벨트(67) 상단부에 연결부재(64)로 고정되어 받침가이드부재(10")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고 한쌍의 롤러(62)가 받침부재(61)에서 구름운동되는 좌우이동부재(63)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이동부재(63) 내부에서 감속모터(65') 동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68)와 맞물리는 랙기어(69)가 있는 직진로드(70)가 이동가이드부재(10)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부호 71은 처짐방지구로서 직진로드(70)가 중앙(부호없음)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직진로드(70) 끝단부에는 이동가이드부재(1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고정되는 L자형로드(7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L자형로드(72)에 하부에는 로드잡음수단(73)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로드잡음수단(73)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힌지축(74)과 각각의 연결링크축(76)으로 연결되 외측단부에 반원형 형태의 잡음부(77)를 각각 구비한 한쌍의 X자형링크(75,75')와, 상기 고정힌지축(74) 일측의 X자형링크(75,75')중에 어느 하나의 X자형링크(75') 끝단부에 전자솔레노이드실린더(78)의 피스톤로드(79)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잡음수단(73)은, 전자솔레노이드실린더(78)의 피스톤로드(79)가 돌출되게 이동되면 한쌍의 X자형링크(75,75')는 상호 내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오므라드는 연동동작을 하게 됨에 따라 잡음부(77)가 이동로드(20a)를 잡는 상태로 동작되는 것이고, 반대로 전자솔레노이드실린더(78)의 피스톤로드(79)가 본체 방향으로 들어가는 상태로 동작되면 한쌍의 X자형링크(75,75')는 상호 외측방향으로 회동되어 벌어지게 되는 연동동작을 하게 됨에 따라 잡음부(77)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 되어서 잡았던 이동로드(20a)를 놓아주는 상태로 동작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상기와 같이 잡음부(77)가 이동로드(20a)를 놓아주는 동작을 이하 설명에서는 "해지동작" 이라고 하고 반대로 이동로드(20a)를 잡음부(77)가 잡아주는 동작을 "잡음동작"이라고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한쌍의 X자형링크(75,75')가 동작하여 잡음부(77)가 오므라들고 벌어지는 구체적인 동작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감속모터(65)의 구동에 의해서 타이밍풀리(66)가 회전되어 타이밍벨트(67)가 궤도형태로 회전되는 상태가 되어서 이동시키려는 어느 하나의 이동로드(20a)가 있는 위치까지 좌우이동부재(63)가 이동되게 되면 감속모터(65)가 정지됨으로써 좌우이동부재(63)의 이동이 정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되는 과정에는 L자형로드(72)가 도 10에서 오른쪽에 나타낸 가상선 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좌우이동부재(63)가 이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로드잡음수단(73)이 이동로드(20a)에 걸림되지 않게 되는 상태로서 이동되는 것이다.
다음, 좌우이동부재(63)가 이동로드(20a)가 있는 위치에까지 이동되어 정지하게 되면, 좌우이동부재(63)내에 있는 감속모터(65')가 구동되어 피니언기어(68)를 회전시켜서 랙기어(69)가 있는 직진로드(70)가 도 10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에 따라 도 10에서 L자형로드(72)가 실선도시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이동되게 한다음 감속모터(65')의 정지에 의해 직진로드(70) 이동이 정지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잡로드잡음수단(73)이 해지동작된 상태이므로 도 12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잡음부(77)가 벌어진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잡로드잡음수단(73)이 잡음동작을 실행함에 따라 도 12에서 실선 도시와 같이 잡음부(77)가 이동로드(20a)를 잡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잡음부(77)가 이동로드(20a)를 잡은 상태에서 도 11에 나타낸 감속모터(65)가 다시 구동되어 타이밍벨트(67)의 회동에 의해서 충전시키려고 하는 위치에 있는 하나의 접속이동홈공(15a)이 있는 위치까지 좌우이동부재(63)가 이동되게 한 다음 정지되게 한다.
다음, 도 10에 나타낸 좌우이동부재(63)에 있는 감속모터(65')의 구동에 의해서 피니언기어(68)과 랙기어(69)가 구동되게 하여 도 10에서 직진로드(70)가 왼쪽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에 따라 로드잡음수단(73)에 의해 잡혀져 있는 이동로드(20a)도 도 10에서 왼쪽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기접속링(26)이 도 10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전기접속구(34)에 접속되게 됨으로써 충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 10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전기접속링(26)이 전기접속구(34)에 접속되어 충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그 즉시 로드잡음수단(73)이 해지동작을 하여 잡음부(77)가 이동로드(20a)를 놓아주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직진로드(70)가 도 10에서 오른쪽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는데, 이때 로드잡음수단(73)이 이동개구공(13)에 있는 다른 이동로드(20b)에 걸림되지 않게 되는 상태로까지 도 10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신속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구동 설명은 생략하고 좌우이동부재(63)와 직진로드(70) 및 로드잡음수단(73)에 대한 이동 및 정지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로드잡음수단(73)이 이동개구공(13)에 있는 다른 이동로드(20b)에 걸림되지 않게 되는 상태로까지 도 10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된 후에 정지한 다음에는 좌우이동부재(63)가 받침가이드부재(10")의 어느 일측 끝부분 까지 이동하여 정지하고 대기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로드(20a)의 전기접속링(26)이 전기접속구(34)에 접속되어 충전이 완료된 상태가 되면 대기상태에 있던 좌우이동부재(63)가 다시 충전이 완료된 접속이동홈공(15a)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직진로드(70)와 로드잡음수단(73)이 연차적으로 동작하여서 다시 로드잡음수단(73)이 이동로드(20a)을 잡아서 전기접속구(34)로부터 전기접속링(26)이 이탈되도록 한 후에 이동로드(20a)가 다시 이동개구공(13)까지 이동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다시 좌우이동부재(63)가 이동되어서 충전이 완료된 이동로드(20a)가 대기하는 장소까지 이동한 다음 잡음부(77)가 해지동작하여 이동로드(20a)를 그 대기 장소에 놓아 둔 다음에 좌우이동부재(6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이동부재(63)의 대기장소로 이동하여 대기하는 상태가 되도록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메인충전제어모듈(30)에 자동조작터치패널(미도시됨)을 구비하고, 충전을 하려는 운전자는 도 9에서 충전하려는 전기자동차(C1)가 주차된 위치의 접속이동홈공(15b)과 동일한 위치부호가 적혀진 자동조작터치패널에서 식별하고 그 위치부호를 터치하게 되면 로드자동이동수단(60)이 자동으로 동작하여서 하나의 이동로드(20c)를 전기자동차(C1)가 주차된 위치의 접속이동홈공(15b)으로 이동시켜 전기공급겸용 결재모듈(21)로 전기 공급이 가능하게 하여 결재 및 충전이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충전이 완료되면 다시 로드자동이동수단(60)이 자동으로 동작하여서 접속이동홈공(15b)으로부터 이동로드(20c)를 빼내어서 그 이동로드(20c)의 대기장소로 이동시킨 후에 좌우이동부재(63)도 그 대기장소로 이동하여 대기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로드자동이동수단(60)이 자동으로 동작되게 하는 자동제어기술과 자동제어회로 및 동작에 필요로 되는 위치감지센서와 각종 센서기술도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 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이동가이드부재 10':전기공급가이드부재
10":받침가이드부재 11:이동로
12:바퀴받침부 13:이동개구공
14:접속공 15a~15e:접속이동홈공
16:받침다리 17:내부공
20a~20e:이동로드 21: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
22:충전케이블 23:손잡이
24:위치식별부재 24':위치표시점
25:바퀴 26:전기접속링
26a;전기공급선 27,27',27":결재신호접속부
27a:신호인가선 27b:인가접속돌기
27c:인가접속부 27d:인가케이블
28:지지부 29:부도체
30:메인충전제어모듈 31:외부입력케이블
32:연결케이블 33:전원공급선
34:전기접속구 341:접속탄편
342:링홈 343:출입구
40:로드처짐방지수단 41:걸림구
42:고정프레임 43:이동로
44:이동구 45:받침구
46:탄발스프링 47:이탈방지턱
48:이동홈공 50:바퀴처짐방지수단
51:지지대 52:고정로드
53:이동부재 54:탄발스프링
55:바퀴받침부재 60:로드자동이동수단
61:받침부재 62:롤러
63:좌우이동부재 64:연결부재
65,65':감속모터 66:타이밀풀리
67:타이밀벨트 68:피니언기어
69:랙기어 70:직진로드
71:처짐방지구 72:L자형로드
73:로드잡음수단 74:고정힌지축
72,72':X자형링크 76:연결링크축
77:잡음부 79:피스톤로드
78:전자솔레노이드실린더 C1~C3:전기자동차

Claims (3)

  1. 삭제
  2.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이동로(11) 하부에 이동개구공(13)이 있고, 상기 이동개구공(13) 양측에 바퀴받침부(12)가 있고 받침다리(16)에 지지되는 기다란 이동가이드부재(10)과, 상기 이동가이드부재(10) 일측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접속공(14)이 있는 기다란 전기공급가이드부재(10')와, 상기 이동개구공(13)과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이동가이드부재(10)와 전기공급가이드부재(10') 하부에 뚫리도록 구비하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접속이동홈공(15a~15e)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11)내의 바퀴받침부(12)에서 구름운동하는 한쌍의 바퀴(25)와, 상기 바퀴(25) 상부쪽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전기접속링(26)을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이동로드(20a~20e)와;
    상기 이동개구공(13)을 하부방향으로 관통하는 이동로드(20a~20e) 하단부에 전기접속링(26)과 전기공급선(26a)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이 있고, 상기 전원공급겸용 결재모듈(21) 하부에는 충전케이블(22)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공급가이드부재(10')의 접속공(14)에는 메인충전제어모듈(30)과 연결되는 한쌍의 전원공급선(33)이 배선되고, 다수의 접속이동홈공(15a~15e)이 있는 부분마다 전원공급선(33)과 접속되고 한쌍의 전기접속링(26)이 각각 삽입되는 출입구(343)와 링홈(342)이 구비되는 접속탄편(341)이 있는 한쌍의 전기접속구(34)를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로드(20a~20e) 상단에 구비되는 걸림구(41)가 걸림되는 받침구(45)를 구비하고 탄발스프링(46)의 탄력이 부여되는 이동구(44)가 왕복이동되는 이동로(43)가 있는 고정프레임(42)이 있고 상기 이동로(43) 하부에 받침구(45)가 관통되는 이동홈공(48)이 있고 상기 이동홈공(48) 양측에 이탈방지턱(47)이 있는 로드처짐방지수단(40)이 다수의 접속이동홈공(15a~15e)이 있는 부분의 상부쪽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접속이동홈공(15a~15e)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바퀴받침부재(55)와, 상기 바퀴받침부재(55) 일측에 고정되는 이동부재(53)와, 상기 이동부재(53) 양측을 각각 관통하고 양측 지지대(51)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로드(52)와, 상기 고정로드(52)에 설치되어 바퀴받침부재(55) 방향으로 탄력을 부여하는 탄발스프링(54)을 갖는 바퀴처짐방지수단(50)이 다수의 접속이동홈공(15a~15e)이 있는 부분마다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3. 삭제
KR1020200016601A 2020-02-11 2020-02-11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KR102147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01A KR102147834B1 (ko) 2020-02-11 2020-02-11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01A KR102147834B1 (ko) 2020-02-11 2020-02-11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834B1 true KR102147834B1 (ko) 2020-08-25

Family

ID=7229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601A KR102147834B1 (ko) 2020-02-11 2020-02-11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8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0037A (zh) * 2021-01-14 2021-03-26 广州火苗科技有限公司 一种能自动感应回收充电线的防潮充电桩
CN112606723A (zh) * 2021-01-08 2021-04-06 赣州然心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充电桩
KR102338866B1 (ko) * 2021-05-04 2021-12-10 서성일 천장형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944B1 (ko) * 2010-10-19 2011-10-21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 자동차용 자동 충전 시스템
KR101807268B1 (ko) * 2017-05-16 2018-01-18 대영채비(주) 반경 내 이동제약이 없는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장치
KR101895550B1 (ko) * 2018-03-15 2018-10-24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스마트 무빙 장치
KR101957835B1 (ko) 2018-06-15 2019-03-14 주식회사 케프리 전기자동차용 이동식 충전장치
KR20200002165A (ko)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전기자동차 충전기기용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944B1 (ko) * 2010-10-19 2011-10-21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 자동차용 자동 충전 시스템
KR101807268B1 (ko) * 2017-05-16 2018-01-18 대영채비(주) 반경 내 이동제약이 없는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장치
KR101895550B1 (ko) * 2018-03-15 2018-10-24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스마트 무빙 장치
KR101957835B1 (ko) 2018-06-15 2019-03-14 주식회사 케프리 전기자동차용 이동식 충전장치
KR20200002165A (ko)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전기자동차 충전기기용 이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6723A (zh) * 2021-01-08 2021-04-06 赣州然心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充电桩
CN112550037A (zh) * 2021-01-14 2021-03-26 广州火苗科技有限公司 一种能自动感应回收充电线的防潮充电桩
KR102338866B1 (ko) * 2021-05-04 2021-12-10 서성일 천장형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834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US7740438B2 (en) Trolley and parking system using the same
EP3578411B1 (de) Mobile ladevorrichtung für ein elektrofahrzeug
DE102010011585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gabe eines Gegenstandes
EP2542443B1 (de) Verfahren zum laden einer 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CN109624620A (zh) 智能agv的拖车及挂接系统
DE102011108386A1 (de) Verfahren zum Aufladen einer Traktionsbatterie,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Energie an ein Elektrofahrzeug und Kraftwagen
KR101957835B1 (ko) 전기자동차용 이동식 충전장치
CN206568908U (zh) Agv小车自动充电设备
KR20120011130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CN106049938A (zh) 一种立体车库及入库存车方法、出库取车方法
CN102099540A (zh) 用于门的驱动系统
CN106088749A (zh) 一种车库用待机车辆房
CN112756784B (zh) 组焊生产系统
CN208291277U (zh) 一种新型自动对接转运台车
KR102521120B1 (ko) 교통약자를 위한 반자동 전기 자동차 충전기 및 그 운용방법
DE202010009055U1 (de) Tor
CN107358665A (zh) 一种用于高速公路的自动取卡安防系统
DE202011105359U1 (de) Vorrichtung zum drahtlosen Übertragen elektrischer Energie auf Fahrzeuge in der Art "mobiler Zapfsäulen"
CN106424165B (zh) 用于加工钢带的活套系统及其运行方法
CN204489863U (zh) 一种用于自行小车输送系统的工件滑撬
CN104648927A (zh) 一种用于自行小车输送系统中电泳的取电装置
WO2021151542A1 (de) Laderoboter zur induktiven aufladung von fahrzeugen
WO2021074293A1 (de) Türsicherheitssystem, verfahren zum betrieb eines türsicherheitssystems und transportmittel
CN106296836A (zh) 移动终端、手机及不停车收费系统et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