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312B1 -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312B1
KR102147312B1 KR1020160001071A KR20160001071A KR102147312B1 KR 102147312 B1 KR102147312 B1 KR 102147312B1 KR 1020160001071 A KR1020160001071 A KR 1020160001071A KR 20160001071 A KR20160001071 A KR 20160001071A KR 102147312 B1 KR102147312 B1 KR 10214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terminal device
transmission reques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983A (ko
Inventor
권경석
이병석
김부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3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주변에 같은 데이터를 받는 다른 사용자(단말)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 기인하여, 사용자(단말) 측에서 데이터 손실을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데이터 손실을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와 같이 다수 사용자(단말)에게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일대다 통신)의 경우, 다수 단말에게 같은 자원을 할당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복수의 일대일 통신을 사용하는 것보다 주파수 측면에서 효율이 매우 높다.
이러한 통신서비스(이하, MBMS라 함)는, 기본적으로 방송서비스를 주된 서비스 대상으로 하여 개발 되었지만, 최근 재난 발생을 알리는 재난 서비스에서 효율적인 측면이 인정되어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MBMS의 구조적 특징은, 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단말에서는 단지 수신만 할 수 있는 bicast connection 구조라는 점이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 각각의 단말에게 신뢰성 있게 데이터를 전송하기에는 구조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중요한 재난 서비스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헌데, 현재 MBMS에서는, 다양한 무선환경(mobility, cell-edge)에 의한 데이터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나, MBMS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 입장에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방안이 부족한 상황이다.
실제로, 현재 표준에서는, 데이터 손실 시 추가적으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서 손실 데이터를 복구 받을 수 있다는 정도의 수준을 제시할 뿐이며, 이처럼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식 역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라고 볼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단말) 측에서 데이터 손실을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방안을 새롭게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일대다 통신)를 이용함에 있어서, 데이터 손실을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통신서비스를 수신하는 중 데이터 손실 여부를 탐색하는 탐색부; 상기 데이터 손실이 탐색되면, 불특정의 단말로 상기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요청부; 및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복구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요청부는, 상기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상기 불특정 단말로의 전송 요청 및 응답을 거쳐 손실 데이터 복구까지 필요한 최소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불특정의 단말로 상기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구제어부는, 상기 전송 요청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손실 데이터를 복구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구제어부는, 상기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상기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손실 데이터 복구까지 필요한 최소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단말은, 상기 다수의 단말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전송 요청을 수신 가능한 인접범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송 요청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는, 상기 특정 단말 및 상기 단말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특정 단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을 위한 세션 연결에 관여하는 기지국에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의 데이터가 상기 단말장치로 수신될 것임을 알려,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다른 단말 및 상기 단말장치 사이에 세션이 연결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색부는, 상기 통신서비스의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패킷 시퀀스에 기초하여, 특정 패킷 시퀀스가 미확인된 상태로 상기 특정 패킷 시퀀스 이후의 패킷 시퀀스가 일정 개수 이상 확인되면, 상기 특정 패킷 시퀀스를 갖는 데이터의 손실로 탐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통신서비스를 수신하는 중 데이터 손실 여부를 탐색하는 탐색단계; 상기 데이터 손실이 탐색되면, 불특정의 단말로 상기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요청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복구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요청단계는, 상기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상기 불특정 단말로의 전송 요청 및 응답을 거쳐 손실 데이터 복구까지 필요한 최소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불특정의 단말로 상기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 요청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단말은, 상기 다수의 단말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전송 요청을 수신 가능한 인접범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송 요청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일대다 통신)를 이용함에 있어서, 데이터 손실을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포함되는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포함되는 통신시스템은, 기지국장치(10) 및 기지국장치(10)에 접속하여 기지국장치(10)로부터 제공되는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수의 단말(A,B,C...)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와 같이 다수 사용자(단말)에게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일대다 통신)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통신서비스를 이하에서는 MBMS라 통칭하겠다.
MBMS는, 다수 사용자(단말)에게 같은 자원(주파수대역)을 할당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복수의 일대일 통신을 사용하는 것보다 주파수 측면에서 효율이 매우 높다.
이러한 MBMS의 구조적 특징은, 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단말에서는 단지 수신만 할 수 있는 bicast connection 구조라는 점이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 각각의 단말에게 신뢰성 있게 데이터를 전송하기에는 구조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MBMS의 활용범위로 고려되는 재난 서비스와 같이 신뢰성이 중요한 상황을 고려한다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헌데, 현재 MBMS에서는, 다양한 무선환경(mobility, cell-edge)에 의한 데이터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나, MBMS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 입장에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방안이 부족한 상황이다.
실제로, 현재 표준에서는, 데이터 손실 시 추가적으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서 손실 데이터를 복구 받을 수 있다는 정도의 수준을 제시할 뿐이며, 이처럼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식 역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라고 볼 수 없다.
한편, MBMS는, 다수의 사용자(단말)를 대상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자(단말) 입장에서 볼 때 주변에 같은 데이터를 받는 다른 사용자(단말)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처럼, MBMS는, 사용자(단말) 입장에서 볼 때 주변에 같은 데이터를 받는 다른 사용자(단말)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 기인하여, 사용자(단말)이 다른 사용자(단말)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면, 기존의 서버와의 통신 기반의 손실 데이터 복구 방식에 비해 더욱 효율적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 즉 MBMS를 이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단말) 입장에서 볼 때 주변에 같은 데이터를 받는 다른 사용자(단말)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 기인하여, 사용자(단말) 측에서 데이터 손실을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방안을 새롭게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안을 달성하는 단말장치에 대해 설명하겠다.
설명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단말(A,B,C...)은, 기지국장치(10)을 기반으로 MBMS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MBMS를 이용하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따라서, 동일하게 제공되는 MBMS를 이용하는 다수의 단말(A,B,C...)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단말A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단말A는, MBMS를 수신하는 중 데이터 손실 여부를 지속적으로 탐색한다.
이에 단말A는, 지속적인 탐색 결과 데이터 손실이 탐색되면, 불특정의 단말로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A는,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비콘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주변에 있는 불특정의 단말로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손실 데이터 전송 요청은, MBMS는 다수의 사용자 즉 단말A,B,C...를 대상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단말A 입장에서 볼 때 주변에 같은 데이터를 받는 다른 사용자(단말)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에, 단말A의 주변에 위치하고 동일하게 MBMS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예: B,C...) 중에서 단말A가 전송 요청한 (손실)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예: B)이 있다면, 해당 단말B는 해당 (손실) 데이터를 단말A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단말A는,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B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말B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한편, 단말A는, 전술과 같이 전송 요청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어떠한 단말로부터도 전송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그때에는 MBMS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통신서비스를 수신하는 중 데이터 손실 여부를 탐색하는 탐색부(110)와, 상기 데이터 손실이 탐색되면, 불특정의 단말로 상기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요청부(120)와,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복구제어부(130)을 포함한다.
탐색부(110)는,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 즉 전술의 MBMS와 관련하여, MBMS를 수신하는 중 데이터 손실 여부를 탐색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다수의 단말로서 단말A,B,C...를 언급하고,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가 다수의 단말 A,B,C... 중 어느 하나(예: A)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러한 가정 하에, 탐색부(110)는, MBMS를 수신하는 중 데이터 손실 여부를 탐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부(110)는, MBMS의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패킷 시퀀스에 기초하여, 특정 패킷 시퀀스가 미확인된 상태로 상기 특정 패킷 시퀀스 이후의 패킷 시퀀스가 일정 개수 이상 확인되면, 상기 특정 패킷 시퀀스를 갖는 데이터의 손실로 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패킷 시퀀스란, 수신하기를 기대하고 있는 데이터(패킷)의 패킷 시퀀스를 의미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기지국장치(10)을 기반으로 MBMS의 데이터(패킷)을 수신함으로써, MBMS를 수신(이용)하게 된다.
이때, 탐색부(110)는, 수신되는 MBMS의 데이터(패킷)에서 각각의 패킷 시퀀스를 확인한다.
이에, 탐색부(110)는, 확인되는 패킷 시퀀스에 기초하여, 수신하기를 기대하고 있는 데이터(패킷)의 특정 패킷 시퀀스가 미확인된 상태로 특정 패킷 시퀀스 이후의 패킷 시퀀스가 일정 개수(N) 이상 확인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탐색부(110)는, 특정 패킷 시퀀스가 미확인된 상태로 특정 패킷 시퀀스 이후의 패킷 시퀀스가 일정 개수(N) 이상 확인되면, 특정 패킷 시퀀스를 갖는 데이터(패킷)의 손실로 탐색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손실 여부 탐색에 이용되는 일정 개수(N)는, 네트워크의 상황이나 손실 데이터 복구 정책(이하의 복구제어부(130)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물론, 탐색부(110)는, 전술과 같이 패킷 시퀀스의 갭(gap)을 이용해 데이터 손실을 탐색하는 방식 외에도, 수신 단에서 데이터(패킷)의 손실을 탐색(인지)할 수 있는 기존의 다양한 방식 중 어느 것을 채택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전송요청부(120)는, 탐색부(110)의 탐색 결과 데이터 손실이 탐색되면, 불특정의 단말로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송요청부(120)는,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비콘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주변에 있는 불특정의 단말로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손실 데이터 전송 요청은, MBMS는 다수의 사용자 즉 단말A,B,C...를 대상으로 동일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단말장치(100, 단말A) 입장에서 볼 때 주변에 같은 데이터를 받는 다른 사용자(단말B,C...)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 기인한다.
한편, MBMS는 스트리밍 방식의 통신서비스이기 때문에, 단말에서 MBMS의 데이터를 출력(표시)함에 있어서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출력(표시) 시간이 이미 경과하는 등의 이유로,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필요가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감안하여, 전송요청부(120)는, 탐색부(110)의 탐색 결과 데이터 손실이 탐색되면,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기에 앞서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요청부(120)는, 데이터 손실이 탐색되면,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불특정 단말로의 전송 요청 및 응답을 거쳐 손실 데이터 복구까지 필요한 최소시간(이하, 최소시간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란, 단말장치(100)에서 출력(표시)하고 있는 MBMS의 현재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손실 데이터가 재생될 시점까지 남아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전송요청부(120)는, 데이터 손실이 탐색되면,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 다시 말해 MBMS의 현재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손실 데이터가 재생될 시점까지 남아있는 시간이 기 설정된 최소시간1 이상이면,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반면, 전송요청부(120)는,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최소시간1 이상이 아니면,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필요가 없는 상황으로 보고,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지 않는다. 손실 데이터의 복구를 포기하는 것이다.
복구제어부(130)는, 전송요청부(120)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특정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한다.
여기서 특정 단말은, MBMS를 동일하게 수신하고 있는 다수의 단말A,B,C... 중에서, 단말장치(100, 단말A)로부터 전송 요청(예: 비콘신호)을 수신 가능한 인접범위 내에 위치하며 전송 요청된 (손실)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이다.
다시 말해, 특정 단말은, 단말장치(100, 단말A)로부터 인접범위 내에, 즉 단말장치(100, 단말A)의 전송 요청(예: 비콘신호)을 수신할 수 있을 만큼 가까운 주변에 위치하고, 단말장치(100, 단말A)와 동일하게 MBMS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예: B,C...) 중에서도, 단말장치(100, 단말A)가 전송 요청한 (손실)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인 것이다.
전송요청부(120)가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면(비콘신호 브로드캐스팅), 단말장치(100, 단말A)의 전송 요청(예: 비콘신호)을 수신할 수 있을 만큼 가까운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예: B,C)이라면, 이를 수신할 것이다.
이처럼, 단말장치(100, 단말A)의 전송 요청(예: 비콘신호)을 수신한 단말(예: B,C) 중에서, 단말장치(100, 단말A)와 동일하게 MBMS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이라면, 단말장치(100, 단말A)가 전송 요청한 (손실) 데이터를 똑같이 손실하지 않는 한, 단말장치(100, 단말A)가 전송 요청한 (손실)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을 것이다.
즉, 단말장치(100, 단말A)의 전송 요청(예: 비콘신호)을 수신한 단말(예: B,C) 중에서, 단말장치(100, 단말A)와 동일하게 MBMS를 수신하고 있고 단말장치(100, 단말A)가 전송 요청한 (손실)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특정 단말 예컨대 단말B은, 해당하는 (손실) 데이터를 단말장치(100, 단말A)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정 단말로서 단말B를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이렇게 되면, 복구제어부(130)는, 전송요청부(120)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단말 즉 단말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특정 단말(예: 단말B)로부터의 데이터는, 단말B 및 단말장치(100, 단말A) 사이에 연결되는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예: D2D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정 단말 즉 단말B는, (손실) 데이터를 단말장치(100, 단말A)로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장치(10)에 단말장치(100, 단말A)와의 D2D 통신을 위한 세션(이하, D2D bearer)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단말B의 요청에 의해, 단말B 및 단말장치(100, 단말A) 사이에는 기지국장치(10)의 관여 하에 D2D 통신을 위한 D2D bearer가 연결될 것이다.
이때, 단말B 및 단말장치(100, 단말A) 사이에 연결되는 세션 즉 D2D bearer는, MBMS에서 사용되는 자원이 아닌 다른 자원을 이용해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지국장치(10)의 관여 하에 디바이스(단말A, 단말B) 간 D2D bearer를 연결하는 것은, 기존의 D2D 통신의 D2D bearer 연결 절차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겠다.
이때, 단말B는, 기지국장치(10)에 단말장치(100, 단말A)와의 D2D bearer 연결 요청 시, 특정 단말 즉 단말B로부터의 데이터가 단말장치(100, 단말A)로 수신될 것임을 알려, 기지국장치(10)로 하여금 단말장치(100, 단말A)의 손실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한 다른 단말 및 단말장치(100, 단말A) 사이에 세션 즉 D2D bearer가 추가로 연결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단말B는, 기지국장치(10)에 단말장치(100, 단말A)와의 D2D bearer 연결 요청 시, 단말장치(100, 단말A) 및 전송 요청된 (손실)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장치(10)에 알림으로써 단말B로부터의 데이터가 단말장치(100, 단말A)로 수신될 것임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단말B 이후에 다른 단말(예: 단말C)이 단말장치(100, 단말A)와의 D2D bearer 연결을 기지국장치(10)에 요청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기지국장치(10)는, 단말B로부터 앞서 알려왔던 정보(단말장치(100, 단말A) 및 전송 요청된 (손실)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금번의 단말C의 연결 요청을 무시함으로써, 다른 단말C 및 단말장치(100, 단말A) 사이에 D2D bearer가 추가로 연결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에, 단말B 및 단말장치(100, 단말A) 사이에는 D2D 통신을 위한 D2D bearer가 연결되고, 단말B는, D2D bearer를 통해서 (손실) 데이터를 단말장치(100, 단말A)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과 같이, 복구제어부(130)는, 전송요청부(120)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단말 즉 단말B로부터 D2D bearer를 통해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말B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한다.
여기서, 손실 데이터 복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기존 기술에 준하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복구제어부(130)는, 전송요청부(120)의 전송 요청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전송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MBMS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복구제어부(130)는, 전술과 같이 손실 데이터 전송 요청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어떠한 단말로부터도 전송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그때에는 MBMS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이다.
이때 역시, 복구제어부(130)는, 서버(미도시)와의 연동에 앞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즉, 복구제어부(130)는, 손실 데이터 전송 요청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어떠한 단말로부터도 전송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 다시 말해 MBMS의 현재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손실 데이터가 재생될 시점까지 남아있는 시간이, 기 설정된 최소시간2 이상인지 판단한다.
이에, 복구제어부(130)는,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최소시간2 이상이면,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MBMS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손실 데이터를 복구한다.
반면, 복구제어부(130)는,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최소시간2 이상이 아니면,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필요가 없는 상황으로 보고, 서버(미도시)와 연동 없이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복구를 포기할 수 있다.
전술에서 언급된 최소시간1, 2는, 각각 변경 설정될 수 있는 변수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 즉 MBMS를 이용함에 있어서, 주변에 같은 데이터를 받는 다른 사용자(단말)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 기인하여, 다른 사용자(단말)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사용자(단말) 측에서 데이터 손실을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한편, 전술한 특정 단말로서의 단말B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부가,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에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 즉 전술의 MBMS를 수신한다(S100).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다수의 단말로서 단말A,B,C...를 언급하고,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가 다수의 단말 A,B,C... 중 어느 하나(예: A)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러한 가정 하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MBMS를 수신하는 중 데이터 손실 여부를 탐색한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수신되는 MBMS의 데이터(패킷)에서 각각의 패킷 시퀀스를 확인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확인되는 패킷 시퀀스에 기초하여, 수신하기를 기대하고 있는 데이터(패킷)의 특정 패킷 시퀀스가 미확인된 상태로 특정 패킷 시퀀스 이후의 패킷 시퀀스가 일정 개수(N) 이상 확인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패킷 시퀀스가 미확인된 상태로 특정 패킷 시퀀스 이후의 패킷 시퀀스가 일정 개수(N) 이상 확인되면, 특정 패킷 시퀀스를 갖는 데이터(패킷)의 손실로 탐색할 수 있다(S110 Yes).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의 탐색 결과 데이터 손실이 탐색되면(S110 Yes),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 다시 말해 MBMS의 현재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손실 데이터가 재생될 시점까지 남아있는 시간이 기 설정된 최소시간1 이상인지 판단한다(S120).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최소시간1 이상이 아니면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필요가 없는 상황으로 보고(S120 No),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지 않는다. 손실 데이터의 복구를 포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최소시간1 이상이면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S120 Yes),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13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비콘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주변에 있는 불특정의 단말로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130).
단말장치(100, 단말A)가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면(비콘신호 브로드캐스팅), 단말장치(100, 단말A)의 전송 요청(예: 비콘신호)을 수신할 수 있을 만큼 가까운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예: B,C)이라면, 이를 수신할 것이다(S140).
이처럼, 단말장치(100, 단말A)의 전송 요청(예: 비콘신호)을 수신한 단말(예: B,C) 중에서, 단말장치(100, 단말A)와 동일하게 MBMS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이라면, 단말장치(100, 단말A)가 전송 요청한 (손실) 데이터를 똑같이 손실하지 않는 한, 단말장치(100, 단말A)가 전송 요청한 (손실)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을 것이다.
즉, 단말장치(100, 단말A)의 전송 요청(예: 비콘신호)을 수신한 단말(예: B,C) 중에서, 단말장치(100, 단말A)와 동일하게 MBMS를 수신하고 있고 단말장치(100, 단말A)가 전송 요청한 (손실)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특정 단말 예컨대 단말B는(S140), 기지국장치(10)에 단말장치(100, 단말A)와의 D2D 통신을 위한 세션(이하, D2D bearer)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S150).
이하에서는, 특정 단말로서 단말B를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이때, 단말B는, 기지국장치(10)에 단말장치(100, 단말A)와의 D2D bearer 연결 요청 시, 특정 단말 즉 단말B로부터의 데이터가 단말장치(100, 단말A)로 수신될 것임을 알려(S150), 기지국장치(10)로 하여금 단말장치(100, 단말A)의 손실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한 다른 단말 및 단말장치(100, 단말A) 사이에 세션 즉 D2D bearer가 추가로 연결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단말B는, 기지국장치(10)에 단말장치(100, 단말A)와의 D2D bearer 연결 요청 시, 단말장치(100, 단말A) 및 전송 요청된 (손실)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장치(10)에 알림으로써 단말B로부터의 데이터가 단말장치(100, 단말A)로 수신될 것임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단말B 이후에 다른 단말(예: 단말C)이 단말장치(100, 단말A)와의 D2D bearer 연결을 기지국장치(10)에 요청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기지국장치(10)는, 단말B로부터 앞서 알려왔던 정보(단말장치(100, 단말A) 및 전송 요청된 (손실)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금번의 단말C의 연결 요청을 무시함으로써, 다른 단말C 및 단말장치(100, 단말A) 사이에 D2D bearer가 추가로 연결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에, 단말B 및 단말장치(100, 단말A) 사이에는 D2D 통신을 위한 D2D bearer가 연결되고, 단말B는, D2D bearer를 통해서 (손실) 데이터를 단말장치(100, 단말A)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30단계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단말 즉 단말B로부터 D2D bearer를 통해서 데이터가 수신되면(S160 Yes), 단말B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를 복구한다(S170).
여기서, 손실 데이터 복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기존 기술에 준하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30단계의 전송 요청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전송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160 No),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 다시 말해 MBMS의 현재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손실 데이터가 재생될 시점까지 남아있는 시간이, 기 설정된 최소시간2 이상인지 판단한다(S180).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최소시간2 이상이면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S180 Yes), MBMS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손실 데이터를 복구한다(S190).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최소시간2 이상이 아니면 손실 데이터를 복구할 필요가 없는 상황으로 보고(S180 No), 서버(미도시)와 연동 없이 금번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복구를 포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통신서비스 즉 MBMS 수신이 종료되지 않는 한(S200 No), 데이터 손실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와 그 이후 과정을 반복 수행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 즉 MBMS를 이용함에 있어서, 주변에 같은 데이터를 받는 다른 사용자(단말)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 기인하여, 사용자(단말) 측에서 데이터 손실을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주변에 같은 데이터를 받는 다른 사용자(단말)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 기인하여, 사용자(단말) 측에서 데이터 손실을 효율적으로 복구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기지국장치
100 : 단말장치
110 : 탐색부 120 :전송요청부
130 : 복구제어부

Claims (12)

  1.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통신서비스를 수신하는 중 데이터 손실 여부를 탐색하는 탐색부;
    상기 데이터 손실이 탐색되면, 불특정의 단말로 상기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요청부; 및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복구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요청부는,
    상기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상기 불특정 단말로의 전송 요청 및 응답을 거쳐 손실 데이터 복구까지 필요한 최소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불특정의 단말로 상기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제어부는,
    상기 전송 요청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제어부는,
    상기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상기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손실 데이터 복구까지 필요한 최소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은,
    상기 다수의 단말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전송 요청을 수신 가능한 인접범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송 요청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는,
    상기 특정 단말 및 상기 단말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특정 단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을 위한 세션 연결에 관여하는 기지국에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의 데이터가 상기 단말장치로 수신될 것임을 알려,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다른 단말 및 상기 단말장치 사이에 세션이 연결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는,
    상기 통신서비스의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패킷 시퀀스에 기초하여, 특정 패킷 시퀀스가 미확인된 상태로 상기 특정 패킷 시퀀스 이후의 패킷 시퀀스가 일정 개수 이상 확인되면, 상기 특정 패킷 시퀀스를 갖는 데이터의 손실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다수의 단말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통신서비스를 수신하는 중 데이터 손실 여부를 탐색하는 탐색단계;
    상기 데이터 손실이 탐색되면, 불특정의 단말로 상기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요청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복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요청단계는,
    상기 손실 데이터의 유용시간이, 상기 불특정 단말로의 전송 요청 및 응답을 거쳐 손실 데이터 복구까지 필요한 최소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불특정의 단말로 상기 탐색된 손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손실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은,
    상기 다수의 단말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전송 요청을 수신 가능한 인접범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송 요청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60001071A 2016-01-05 2016-01-05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4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71A KR102147312B1 (ko) 2016-01-05 2016-01-05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71A KR102147312B1 (ko) 2016-01-05 2016-01-05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983A KR20170081983A (ko) 2017-07-13
KR102147312B1 true KR102147312B1 (ko) 2020-08-24

Family

ID=5935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071A KR102147312B1 (ko) 2016-01-05 2016-01-05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3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9953A1 (en) 2012-02-10 2013-08-1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communicating over multiple subscriptions
US20140105083A1 (en) 2012-10-15 2014-04-17 Qualcomm Incorporated Cooperative data mules
WO2014163335A1 (ko) * 2013-04-01 2014-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9953A1 (en) 2012-02-10 2013-08-1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communicating over multiple subscriptions
US20140105083A1 (en) 2012-10-15 2014-04-17 Qualcomm Incorporated Cooperative data mules
WO2014163335A1 (ko) * 2013-04-01 2014-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arry L. Peterson 외 1명, "Computer Networks", Elsevier, (2012.12.31) 1부.*
Ranveer Chandra 외 2명, "Anonymous Gossip: Improving Multicast Reliability in Mobile Ad-Hoc Networks", IEEE, (2001.04.16.) 1부.*
Yousri Daldoul, "Reliable Multicast transport of the video over the WiFi network", Universite Sciences et Technologies, (2013.12.1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983A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05566B (zh) 5g无线网络系统中超可靠服务冗余传输的方法和装置
KR101147067B1 (ko) 키 파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10212146A1 (en) Devices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Beamforming
KR10174901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US20190037461A1 (en) Bearer Handover Method, Base Station Device, and Network Node
JP2018504859A5 (ko)
JPWO2017077976A1 (ja) ユーザ装置、基地局、信号送信方法及びリソース割当て方法
US201303326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data streaming
JP2013146102A (ja) 多重経路管理方法、多重経路を利用した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その装置
WO2015043470A1 (zh) 一种组通信方法、设备及系统
PH1201950263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rc stat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160010520A (ko) 네트워크 노드 및 방법
JP5360195B2 (ja) マルチキャストデータ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20180022896A (ko) 근접 서비스들 사용자 장비-네트워크 릴레이 시나리오에서 멀티캐스트 트래픽에 대한 근접 서비스들 우선순위 제어
EP2705614B1 (en) Network accessing method
US9781582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hort data during a call hang time hold off period
WO2016019522A1 (zh) 定位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CN102651894B (zh) 小区切换的方法、终端设备、基站设备和通信系统
CN113163445A (zh) 用于用户设备间通信的方法和装置
KR20110116554A (ko) 가십 기반의 p2p 서비스의 파트너쉽 형성 방법 및 장치
KR102147312B1 (ko)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0586588B1 (ko) 애드 혹 망에서의 애드 혹 라우팅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연결 설정 방법
WO2017201689A1 (zh) 数据传输方法、设备及系统
EP3065500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layer-2 status control method
JP2021513231A (ja) ネットワークのリダイレクト方法、端末、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移動管理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