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687B1 -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687B1
KR102146687B1 KR1020180073239A KR20180073239A KR102146687B1 KR 102146687 B1 KR102146687 B1 KR 102146687B1 KR 1020180073239 A KR1020180073239 A KR 1020180073239A KR 20180073239 A KR20180073239 A KR 20180073239A KR 102146687 B1 KR102146687 B1 KR 10214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air
foreign
foreign substances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937A (ko
Inventor
김영춘
이우찬
한종규
Original Assignee
동한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한테크(주) filed Critical 동한테크(주)
Priority to KR1020180073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6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yclon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배습용 송풍기를 통해 곡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외부의 포집함으로 집진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포집이 곤란한 상층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와 포집이 비교적 쉬운 하층부의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를 구분 포집함으로서 포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배습용 송풍기를 통해 곡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외부의 포집함으로 집진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의 이물질 배출구에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하층부의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와 상층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층분리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많은 수분함량이 있어 쉽게 변질되고 가공이 곤란하므로 가공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일정수분으로 건조시켜 주는 곡물건조기(1)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곡물건조기(1)에서 건조작업 중 이물질이 다수 포함된 것은 도 1에 도시된 정선기(4)에 의하여 정선하여 별도 처리하고 있으나 배습송풍기(2)에서 배출되는 배습공기는 이물질이 적으나 풍량이 많으며 미세먼지 등이 다수 포함된 공기를 방사할 경우 주변의 민원이 발생되어 농촌 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자 일반적으로 가격 대비 비교적 집진성능이 좋은 수평형 사이클론 집진장치로 집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2 내지 3은 공기의 선회력에 의해 이물질을 분리하여 하부로 유도하여 포집통(32)으로 직접 포진하는 방식의 수평형 사이클론 집진장치(3)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포집통(32′)으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일부 공기를 배출하여 포집하는 방식의 수평형 사이클론 집진장치(3′)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중 도 2 내지 3에 도시된 직접 포집하는 방식의 집진장치는 취급이 간단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배출되는 이물질 전부를 포집통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포집이 잘 되지 않는 가벼운 미세먼지와 비교적 무거운 이물질이 포집통에 혼합되어 들어가게 된다. 집진장치에서 공기의 선회력에 의하여 포집통을 향해 배출되는 배출구의 공기흐름이 공기의 선회력에 의하여 하부로 치우쳐 흐르기 때문에 이물질 중에서 무거운 이물질은 도 3의 도면부호 33과 같이 아래쪽으로 배출되고, 미세분진이 다수 함유된 상대적으로 가벼운 공기는 도 3의 도면부호 34와 같이 윗 쪽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상부의 미세분진은 포집기로 유입될 경우 포집통 내부의 공기흐름에 따라 실질적으로 포집되지 못하고 포집통에 재투입되어 다시 혼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포집통(32′)으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일부 공기를 배출하여 포집하는 집진장치의 경우 포집통(32′) 내부에서 이물질과 혼합된 공기가 선회하는 중에 상부에서 일부 공기를 배출하기 때문에 최초 배출될 때는 층상으로 배출되어 무겁고 큰 이물질은 하부로 배출되고 미세먼지 같은 비교적 작은 이물질은 상부로 층을 이루어 배출되는 것을 다시 혼합하여 상부에서 일부 공기를 배출하는 방식으로서 도 2의 직접 포집하는 방식의 집진장치와 큰 차이가 없어 효과가 매우 적은 실정이며, 이러한 집진장치에서 이물질이 혼입된 배출공기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었다.
한편, 도 1의 곡물건조기(1)에 부착된 배습송풍기(2)의 중심선 상의 높이는 지상에서 1.5m 내외로 수평형사이클론 집진장치(3)를 설치할 때 배습송풍기의 배출구와 집진장치의 입구가 평행을 유지해야 집진효율이 높으므로 집진장치 하부에 설치하는 포집통은 하부로 배출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라 높이의 한계로 인하여 포집통을 크게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곡물건조기의 배습송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포집통으로 배출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원심력에 의해 상층부와 하층부로 분리된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와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를 별도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층분리부재가 이물질 배출구에 구비되어 미세먼지가 포함된 비교적 가볍고 직접 포집이 곤란한 상층부의 혼합공기와 무거운 이물질이 포함된 하층부의 혼합공기가 분리되어 배출할 수 있으며, 하층부의 혼합공기가 투입되는 포집함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면서 포집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층부의 혼합공기는 사이클론 집진방식을 통해 2차 집진한 후 배출하여 집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배습용 송풍기를 통해 곡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외부의 포집함으로 집진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의 이물질 배출구에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하층부의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와 상층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층분리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층분리부재는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며 원심력에 의하여 무거워 가라앉은 하층부의 이물질을 외부의 포집함으로 가이드하는 소정길이의 메인배출관과; 상기 메인배출관으로부터 상측으로 분기되어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가 별도로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분기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배출관과 이물질 배출구의 결합은, 상기 메인배출관의 단부에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끼움부가 돌출형성되고 이물질 배출구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메인배출관과 이물질 배출구가 소켓 형식으로 끼움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배출관과 이물질 배출구 사이에 대응되는 직경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끼움홈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렌지를 상기 메인배출관의 배출구의 단부와 메인배출관의 단부에 끼움결합하여 볼트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집진장치는 사이클론 효과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물질이 혼입된 오염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전방에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1차 집진장치로서, 상기 공기유입구 내부에는 흡입구경을 확산시키면서 원심력을 발생시켜 오염공기가 원주방향으로 방사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함유된 이물질이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확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분기배출관에는 2차 집진장치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2차 집진장치는 상기 분기배출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를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원심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편향되어 연결되는 원심분리통과, 상기 원심분리통의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과, 상기 원심분리통의 하부에 구비되는 소정길이의 관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부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이물질 배출관과,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포집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배습용 송풍기를 통해 곡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외부의 포집함으로 집진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포집이 곤란한 상층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와 포집이 비교적 쉬운 하층부의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를 구분 포집함으로서 포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집진효율을 향상시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을 통해 농촌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곡물건조기와 수평형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설치 개략도.
도 2 내지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의 예시도.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에 따른 층분리부재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집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재의 예시도.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집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의 공기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배습용 송풍기를 통해 곡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외부의 포집함으로 집진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포집이 곤란한 상층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와 포집이 비교적 쉬운 하층부의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를 구분 포집함으로서 포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하층부의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와 상층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가 이물질 배출구를 통과할 때 서로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층분리부재(100)가 상기 이물질 배출구(23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분리부재(100)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상기 층분리부재는 소정길이의 메인배출관(110)과, 상기 메인배출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소정길이의 분기배출관(12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배출관(110)은 상기 집진장치에 구비되는 이물질 배출구(230)의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외부의 포집함(40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원심력에 의하여 무거워 가라앉은 하층부의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가 상기 포집함으로 분리 배출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메인배출관(110)은 도 5a 내지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 배출구(230)는 메인배출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 6 및 도 11에서는 상기 메인배출관(110)과 이물질 배출구(230)를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메인배출관(110)이 이물질 배출구(230)에 결합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메인배출관(110)의 단부에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끼움부가 돌출형성되고 이물질 배출구(23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메인배출관(110)과 이물질 배출구(230)가 소켓 형식으로 끼움결합하거나 또는 중앙에 상기 메인배출관 또는 이물질 배출구와 대응되는 직경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끼움홈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렌지를 상기 메인배출관의 배출구의 단부와 메인배출관의 단부에 끼움결합하여 볼트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분기배출관(120)은 상기 메인배출관(110)으로부터 연통되게 상측으로 분기되는 소정길이의 관으로써, 단부가 이후 설명할 2차 집진장치(50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배습용 송풍기를 통해 집진장치 내부로 투입된 오염공기 중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상층부로 부유된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로부터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여 배출한다.
일반적으로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을 분리하여 하부로 유도하여 포집통으로 직접 포진하는 수평형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장치는 공기의 선회력에 의하여 배출구의 공기흐름이 하부로 치우쳐 흐르기 때문에 이물질 중에서 무거운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는 아래로 배출되고, 미세분진과 같은 가벼운 이물질이 다수 함유된 상대적으로 가벼운 공기는 윗 쪽으로 배출되는 작동원리를 갖는데, 이러한 종래의 수평형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장치는 상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와 하부의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 모두가 포집함으로 투입되기 때문에 포집함 내부가 부풀어 오르면서 가벼운 이물질 일부가 포집함 내부의 공기흐름에 따라 실질적으로 포집되지 못하고 집진장치로 다시 산포되어 포집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배출구의 단부에 상기 층분리부재를 결합하여 하층부의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와 상층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가 각각 메인배출관과 분기배출관을 통해 분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원심력을 통해 이물질을 포집하는 수평형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장치의 작동원리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포집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층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가 분리되어 이후 설명할 2차 집진장치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포집함 내부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포집함(400)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포집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물질 배출구(230)에 상기의 층분리부재(100)가 구비되어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와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를 선별하여 배출하는 집진장치(200)와, 상기 집진장치 내부의 원심력을 향상시켜 이물질의 분리를 촉진시키는 확산부재(300)와, 상기 집진장치를 통해 분리 배출되는 무거운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함(400)과, 상기 집진장치를 통해 분리 배출되는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집진장치(500)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집진장치(200)를 '1차 집진장치'로 칭하도록 한다.
상기 1차 집진장치(200)는 사이클론 효과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소정길이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물질이 혼입된 오염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전방에는 공기유입구(21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공기배출구(220)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걸러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 배출구(23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유입구(210)는 집진원통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구성하여 오염공기의 유입을 위한 덕트(6)와 연결이 용이하고, 오염공기를 내부로 더욱 골고루 확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물질의 분리에 적합하게 입구의 풍속을 감소시켜 상기 확산부를 통한 회전수의 증대를 유도하여 원심력을 높여 줌으로써 짧은 거리에서의 분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확산부재(300)는 상기 1차 집진장치 내부의 흡입 구경을 확산시키면서 선회력을 발생시켜 원주방향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상기 1차 집진장치(200)의 공기유입구(210) 측에 구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확산부재(300)는 원뿔형상의 허브(310)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선회날개(320)와, 상기 허브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이드(330)와,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선회날개(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허브(310)는 흡입 구경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집진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되는 원뿔형태로서, 원뿔의 꼭지점 일부분이 공기유입구(210)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330)는 상기 허브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집진원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어 원통체로서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직진성을 부여한다.
상기 제1선회날개(320)는 곡물건조기로부터 들어오는 오염공기를 1차 집진장치(200)의 내주면 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방사하되 오염공기가 선회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허브(31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소정의 각을 갖고서 기울어진 형태로 부착되며, 상기 제2선회날개(340) 또한 곡물건조기로부터 들어오는 오염공기를 1차 집진장치(200)의 내주면 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방사하되 오염 공기가 선회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이드(33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소정의 각을 갖고서 기울어진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확산부재(300)는 통과하는 오염공기가 선회하고 배습기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중심부의 풍량이 약함에 따라 분리원통의 원주방향으로 쏠려 분리력이 향상되도록 후방은 소정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가이드로 이루어지고, 전방은 오염공기의 마찰을 최소로 하기 위한 원뿔형의 허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구(210)를 통과한 오염공기가 중심부에 위치한 원뿔형의 허브(310)에 의해 확산되면서 풍속이 감속되도록 하여 정압의 상승으로 인해 제1선회날개(320) 및 제2선회날개(340)를 통과하면서 강한 선회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가이드(330)를 통과할 때에는 직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선회기류를 유지하면서 함유된 이물질 입자가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벽면 쪽으로 쏠리면서 기류에서 분리된 후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정화된 공기는 공기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2차 집진장치(500)는 이송관(510)과, 원심분리통(520)과, 배기관(530)과, 이물질 배출관(540)과, 보조포집함(55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510)은 일측 단부가 상기 분기배출관(12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원심분리통(31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소정길이의 관이다.
상기 원심분리통(520)은 상기 이송관(510)을 통해 투입된 상층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공기 내의 이물질만을 골라 하측의 이물질 배출관(540)으로 떨어뜨린다. 상기 이송관(510)은 내부에 투입된 오염공기에 원심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원심분리통(520)의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원심분리통(520)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관(510)과 결합되는 체결부(5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관(530)은 상기 원심분리통의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2차 집진 후 이물질이 걸러진 정화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이물질 배출관(540)은 상기 원심분리통(5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부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보조포집함(550)은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물질 배출관(540)이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이유는 원심력을 갖고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던 오염공기가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관에 의해 계속해서 하강하지 못하고 거꾸로 올라오는 반발력이 발생하면서 중량이 있는 이물질들은 그대로 추락하여 보조포집함(550)으로 투입되도록 하고, 정화된 공기만이 상승하여 배기관(53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물질 배출관(540)과 포집마대(550)는 축적된 이물질의 수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추가적인 노동력이 소모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의 수평형 집진장치는 가로방향의 길이가 확보될수록 오염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집진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평형 집진장치를 설치하는 공간은 가로방향의 길이가 약 1.7~2m 내외로서 설치공간의 한계가 있다. 또한, 집진 후 여과된 정화공기를 전방으로 배출해야 하므로 집진장치의 후면에도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만 했다. 뿐만 아니라, 가로방향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더라도 후단으로 갈수록 송풍기의 송풍에너지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송풍기의 송풍에너지를 증대시키기 위해 단순히 기존의 송풍기를 마력이 더 높은 송풍기로 대체할 경우 오염공기가 집진장치 내부에서 이물질과 분리되지 못하고 그대로 배출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직형 집진장치는 집진 후 여과된 정화공기를 상부로 배출하므로 수평형 집진장치에 비해 가로방향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좁아질 수는 있으나 집진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집진장치를 구성하는 원통형 본체의 직경이 늘어나면 결국 높이가 상승할 수 밖에 없으므로 수평형 집진장치와 마찬가지로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정화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 건물의 외벽을 관통하는 배기관을 시공하여 덕트로 연결해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롭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층분리부재(100)가 구비되는 1차 집진장치(200)와 2차 집진장치(500)가 분기배출관(120)을 매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오염공기가 집진되는 시간을 증대시켜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수평형 집진장치 및 수직형 집진장치 시공시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과, 설치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집진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그리고 기존의 수직형 집진장치가 정화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기관과 덕트를 시공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혼입된 오염공기가 원심력에 의해 상층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와 하층부의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로 분리되어 이물질 배출구로 배출될 때 상기 층분리부재(100)를 통해 분리 배출되도록 하며, 하층부의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만이 포집함으로 투입되도록 하여 포집함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포집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층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는 2차 집진장치를 통해 2차 집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집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 6에 도시된 포집함(400)은 함체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예를 들어 작업자가 메인배출관으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포집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마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곡물건조기 2 : 배습용 송풍기
3 : 집진장치 31 : 배출구
32 : 포집통 33 : 하층부
34 : 상층부
4 : 정선기
5 : 정선기용 집진장치
6 : 덕트
100 : 층분리부재
110 : 메인배출관 120 : 분기배출관
200 : 1차 집진장치
210 : 공기유입구 220 : 공기배출구
230 : 이물질 배출구
300 : 확산부재
310 : 허브 320 : 제1선회날개
330 : 가이드 340 : 제2선회날개
400 : 포집함
500 : 2차 집진장치
510 : 이송관
520 : 원심분리통 521 : 체결부
530 : 배기관 540 : 이물질 배출관
550 : 보조포집함

Claims (3)

  1. 원심력을 이용하여 배습용 송풍기를 통해 곡물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외부의 포집함으로 집진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의 이물질 배출구에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 하층부의 무거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와 상층부의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층분리부재(100)가 결합되되,
    상기 층분리부재(100)는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며 원심력에 의하여 무거워 가라앉은 하층부의 이물질을 외부의 포집함으로 가이드하는 소정길이의 메인배출관(110)과; 상기 메인배출관으로부터 상측으로 분기되어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가 별도로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분기배출관(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출관과 이물질 배출구의 결합은,
    상기 메인배출관의 단부에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끼움부가 돌출형성되고 이물질 배출구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메인배출관과 이물질 배출구가 소켓 형식으로 끼움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배출관과 이물질 배출구 사이에 대응되는 직경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끼움홈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렌지를 상기 메인배출관의 배출구의 단부와 메인배출관의 단부에 끼움결합하여 볼트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사이클론 효과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물질이 혼입된 오염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전방에는 공기유입구(21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공기배출구(220)가 형성되는 1차 집진장치(200)로서, 상기 공기유입구 내부에는 흡입구경을 확산시키면서 원심력을 발생시켜 오염공기가 원주방향으로 방사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함유된 이물질이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확산부재(300)가 구비되고,
    상기 분기배출관에는 2차 집진장치(500)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2차 집진장치(500)는 분기배출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가벼운 이물질이 혼합된 공기를 이송하는 이송관(510)과, 상기 이송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원심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편향되어 연결되는 원심분리통(520)과, 상기 원심분리통의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530)과, 상기 원심분리통의 하부에 구비되는 소정길이의 관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부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이물질 배출관(540)과,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포집함(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KR1020180073239A 2018-06-26 2018-06-26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KR10214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239A KR102146687B1 (ko) 2018-06-26 2018-06-26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239A KR102146687B1 (ko) 2018-06-26 2018-06-26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37A KR20200000937A (ko) 2020-01-06
KR102146687B1 true KR102146687B1 (ko) 2020-08-21

Family

ID=6915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239A KR102146687B1 (ko) 2018-06-26 2018-06-26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4107A (zh) * 2021-06-18 2021-09-21 王敢闯 一种原粮物料用空壳料去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77B1 (ko) * 2006-11-08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1175545B1 (ko) * 2010-06-14 2012-08-22 유한회사 호남산업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37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96205A (en) Coal mine dus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9879692B2 (en) Froth pump and method
KR102146687B1 (ko)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CN205324173U (zh) 高分散型涡流选粉机
KR101963322B1 (ko)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CN202962880U (zh) 分离机及风力分选系统
CN103008239B (zh) 分离机及风力分选系统
CN202962877U (zh) 分离机及风力分选系统
CN207770008U (zh) 一种粉磨设备
CN105750203A (zh) 多级鼓风筛料设备
CN206613189U (zh) 动物蛋白离心喷雾干燥装置
CN210346220U (zh) 一种可处理杂质的谷物烘干机
CN103008237B (zh) 风力分选系统
CN210238217U (zh) 一种用于公路养护的碎石撒布装置
KR200479874Y1 (ko) 유량 자동 조절형 사이클론 집진장치
CN207119551U (zh) 一种辊式风选分类设备
CN111908193A (zh) 一种粮仓清仓转运装置与方法
CN219368161U (zh) 一种不锈钢脱水机
CN103008238A (zh) 分离机及风力分选系统
CN202962881U (zh) 风力分选系统
CN202962884U (zh) 风选机及风力分选系统
CN202962883U (zh) 分离机及风力分选系统
CN202962878U (zh) 分离机及风力分选系统
CN202962879U (zh) 分离机及风力分选系统
CN103008241B (zh) 分离机及风力分选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