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499B1 - 전자선을 이용하여 펜던트를 제거하는 필러 시술용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선을 이용하여 펜던트를 제거하는 필러 시술용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499B1
KR102146499B1 KR1020200011477A KR20200011477A KR102146499B1 KR 102146499 B1 KR102146499 B1 KR 102146499B1 KR 1020200011477 A KR1020200011477 A KR 1020200011477A KR 20200011477 A KR20200011477 A KR 20200011477A KR 102146499 B1 KR102146499 B1 KR 10214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pouch
electron beam
pendant
hyalur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희
Original Assignee
장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희 filed Critical 장진희
Priority to KR1020200011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2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8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01/00 or C08J2303/00
    • C08J230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Abstract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은 히알루론산 수용액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소정 시간동안 반응시켜 상기 히알루론산의 적어도 일부분이 가교된 제1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을 플라스틱 재질의 제1 파우치에 밀봉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우치에 밀봉된 제1 하이드로겔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하이드로겔의 점도(viscosity) 및 탄성도(elasticity)가 증가된 제2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파우치를 개방하여 상기 제2 하이드로겔의 기포를 제거하고, 상기 제1 파우치와 상이한 재질의 제2 파우치에 재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선을 이용하여 펜던트를 제거하는 필러 시술용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METHOD OF PREPARING HYALURONIC ACID HYDROGEL REMOVING PENDANT GROUP FOR FILLER PROCEDURE USING ELECTRON-BEAM}
본 발명은 전자선을 이용하여 펜던트를 제거하는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히알루론산을 가교시켜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하이드로겔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펜던트의 제거를 유도하는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은 복잡한 음전하성 다당류의 하나로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이다. 히알루론산은 주로 생체내의 연결조직, 피하조직, 신경조직 또는 관절 활액에 존재한다. 히알루론산은 스트렙토코커스속 등의 미생물 발효 또는 닭 벼슬 등에서 추출되어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은 매우 뛰어난 생체 적합성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 첨가제뿐만 아니라 관절강 주사제, 유착 방지제, 안과용 의약품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 겔은 조직수복생체재료 의료기기인 성형필러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히알루론산 그 자체로는 효소와 활성산소에 의한 분해에 의해 체내에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는 난제가 보고됨에 따라 체내에서의 분해 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화학적으로 가교시켜 안정화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다.
즉, 히알루론산의 화학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 생체 내에서의 분해 작용을 늦춰 물성 유지 기간을 길게 유지시키고자 1,4-부탄다이올 디글리시딜 에테르(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BDDE) 등의 가교제를 첨가하여 히알루론산을 안정화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며, 그 가운데 현존하는 히알루론산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가교물의 생체 내 최대 유지 기간은 약 6개월 내지 24개월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히알루론산을 안정화시키고자 가교제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미반응된 잔류 가교제는 독성을 유발하여 체내 염증 반응을 야기할 수 있고, 특히 가교제의 일부 관능기가 미반응되어 형성되는 펜던트 가교체 등은 독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약하게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ablik J, Monheit GD, Yu LP, Chang G and Gershkovich J. Dermatol Surg 2009, 35(S1): 302-312 (비특허문헌 2) Sungchul C, et al. Journal of Biomedical Materials Research Part A, 2014-11-16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는 펜던트 가교체를 갖는 하이드로겔 고분자가 물성을 저하시킴을 보고하고 있다. 반면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원하는 수준으로 제어하기 위해 추가 가교제를 투입할 경우 인체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독성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다. 특히 FDA는 2ppm 이하의 미반응 가교제 농도를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가교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은 히알루론산 수용액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소정 시간동안 반응시켜 상기 히알루론산의 적어도 일부분이 가교된 제1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을 플라스틱 재질의 제1 파우치에 밀봉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우치에 밀봉된 제1 하이드로겔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하이드로겔의 점도(viscosity) 및 탄성도(elasticity)가 증가된 제2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파우치를 개방하여 상기 제2 하이드로겔의 기포를 제거하고, 상기 제1 파우치와 상이한 재질의 제2 파우치에 재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테르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는 1,4-비스(2,3-에폭시프로폭시)부탄, 1,4-비스글리시딜옥시부탄, 1,2-비스(2,3-에폭시프로폭시)에틸렌, 1-(2,3-에폭시프로필)-2,3-에폭시사이클로헥산, 및 1,3-부타디엔디에폭시드를 실질적으로 불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이드로겔은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의 펜던트 그룹(pendant group)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이드로겔은 상기 제1 하이드로겔 보다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가 낮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는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식 1]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 = (펜던트 가교체 양) / (가교체 양)
나아가 상기 제2 하이드로겔의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는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의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의 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전자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a)상기 제1 파우치에 밀봉된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을 무빙 테이블 상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턴 테이블 또는 컨베이어 테이블을 포함하는 무빙 테이블 상에 배치하는 단계, b)상기 제1 하이드로겔의 위치 변화와 무관하게 상기 전자선이 동일 위치에 조사되도록 전자선 조사기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및 c)상기 무빙 테이블을 무빙시켜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전자선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무빙에 의해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이 소정의 주기와 휴지기를 가지고 전자선에 노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선은 0.1 kW 내지 1.0 kW의 세기로 조사될 수 있다.
또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이 상기 전자선에 노출되는 주기는 0.5초 내지 2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이 상기 전자선에 노출되지 않는 휴지기는 50초 이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이 상기 전자선에 노출되는 주기는 총 30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우치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우치의 두께는 0.1mm 내지 0.5mm일 수 있다.
상기 제2 파우치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이 상기 히알루론산 수용액 대비 0.1 wt% 이하이거나 상기 히알루론산 수용액과 가교제의 반응시간이 1시간 이하일 때, 상기 제2 하이드로겔의 점도가 400 Pa·s 이상이거나 탄성도가 100 Pa 이상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하이드로겔에 전자선(electron-beam)을 조사하여 펜던트 내지는 펜던트기의 제거를 유도하는 것으로서, 특히 펜던트 가교체와 같은 미반응 가교제의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방법보다 가교제를 소량으로 사용하거나 가교제와의 반응시간을 짧게 하더라도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동등 이상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독성 또한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적어도 일부가 미반응된 가교제 특히, 펜던트 가교체의 추가적인 반응을 유도할 수 있어 종래의 방법보다 가교제를 소량으로 사용하거나 가교제와의 반응시간을 짧게 하더라도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동등 이상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원하는 물성을 얻기 위한 가교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펜던트 가교체와 같이 독성을 유발하는 미반응 가교제를 반응시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하이드로겔의 독성 또한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BDDE가 히알루론산의 가교제로 사용된 경우 형성될 수 있는 구조체들을 나타낸 화학식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선 조사에 의해 BDDE의 펜던트 가교체가 반응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학식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선의 출력 단위는 와트(W)를 사용하며, 단위시간 당 에너지(J/sec)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단위를 상기 단위와 호환이 가능한 차원(dimension)을 가진 다른 단위로 변환하여 이해하는 것도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펜던트(pendant)' 또는 '펜던트 기(pendant group)'는 부속기를 의미한다. 상기 펜던트는 잠재적인 반응성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을 수 있다. 또, 용어 '펜던트 가교체'는 펜던트기를 가진 상태의 가교체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단계들은 영문자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a) 히알루론산 수용액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상기 히알루론산의 적어도 일부분이 가교된 하이드로겔(제1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하이드로겔을 플라스틱 재질의 제1 파우치에 밀봉하는 단계
(c) 상기 파우치에 밀봉된 하이드로겔에 전자선(electron-beam)을 조사하여 변형된 하이드로겔(제2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파우치를 개방하여 상기 하이드로겔의 기포를 제거하고 제2 파우치에 재포장하는 단계
이하, 각 단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 (a)
가교제는 히알루론산의 고분자 사슬들을 화학 결합을 통해 가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알킬디엑폭시류, 디글리시딜에테르류, 디비닐설폰류 및 에피클로르히드린류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가교제는 히알루론산과 반응할 수 있는 한쌍의 관능기를 가진 이관능성 화합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테르(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BDDE), 1,2,7,8-디에폭시옥탄(1,2,7,8-Diepoxyoctane), 1,5-헥사디엔디에폭시드(1,5-Hexadiene diepoxide) 및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Bisphenol A diglycidyl eth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테르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테르 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가교제는 1,4-비스(2,3-에폭시프로폭시)부탄(1,4-Bis(2,3-epoxypropoxy)butane), 1,4-비스글리시딜옥시부탄(1,4-Bisglycidyloxybutane), 1,2-비스(2,3-에폭시프로폭시)에틸렌(1,2-Bis(2,3-epoxypropoxy)ethylene), 1-(2,3-에폭시프로필)-2,3-에폭시사이클로헥산(1-(2,3-Epoxypropyl)-2,3-epoxycyclohexane) 및 1,3-부타디엔 디에폭시드(1,3-Butadiene diepoxide)을 불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가교제들은 전자선 조사를 통해 펜던트기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이와 같은 가교제를 첨가하여 히알루론산과 반응시키면 가교체를 형성하며 히알루론산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교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의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일부 가교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반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BDDE가 가교제로 사용될 경우, BDDE는 양쪽 말단의 에폭시드기(epoxide group)가 모두 히알루론산과 반응하여 양 히알루론산 사슬을 연결하는 가교체를 형성할 수 있으나(도 1의 A), 일부 BDDE는 양쪽 말단의 에폭시드기가 모두 반응하지 않아 완전 미반응된 가교제로서 잔류할 수 있다(도 1의 B). 특히, 또 다른 일부의 BDDE는 한쪽 말단의 에폭시드기만이 히알루론산과 반응하고 다른 말단의 에폭시드기는 반응하지 않은, 마치 펜던트(pendant) 기와 같은 형상의 불완전한 가교체를 형성할 수 있다(도 1의 C). 한편, 도 1의 히알루론산 주쇄와 가교제의 화학 구조 및 결합 구조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불완전 가교체, 즉 펜던트기를 갖는 가교체를 '펜던트 가교체'라는 용어로 지칭한다.
펜던트 가교체는 가교제의 양이나 반응시간을 조절하여 그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종래의 기술에 따를 때 히알루론산의 가교시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특히 하이드로겔을 인체 주입용 필러로 사용할 경우 요구되는 물성이 매우 제한적이나 펜던트 가교체를 감소시키기 위해 반응 조건을 제어할 경우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가교제의 양이나 반응시간을 증가시킬 경우 펜던트 가교체의 형성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점도 및 탄성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로 적용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필러 하이드로겔 시장의 세계 1위 기업인 주비던(Juvidon) 社의 제품의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는 약 10% 내외인 실정이다.
한편 펜던트 가교체의 형성비가 높을 경우 히알루론산의 하이드로겔을 무르게 하여 점도 및 탄성도 등의 물성과 안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고, 미반응된 잔류 가교제처럼 세포 독성이나 염증 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Kablik J, Monheit GD, Yu LP, Chang G and Gershkovich J. Dermatol Surg 2009, 35(S1): 302-312; Sungchul C, et al. Journal of Biomedical Materials Research Part A, 2014-11-16).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펜던트 가교체의 추가 반응을 유도하여 펜던트 가교체를 제어하는 것은 하이드로겔의 물성 향상과 독성 감소 등을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물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펜던트 가교체의 형성비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제조 방법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히알루론산은 100 kDa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히알루론산 수용액의 농도는 5 내지 30 mg/mL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가교제의 첨가량은 히알루론산 수용액 대비 0.01 내지 10 wt%일 수 있고, 가교제 첨가 후 반응시간은 0.5 내지 8시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 가교제의 첨가량, 반응 조건 등은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가교제와 반응시켜 얻은 히알루론산의 하이드로겔을 의료용 파우치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제1 파우치에 담고 밀봉한다. 본 명세서에서 '밀봉'이란 파우치가 완전히 밀봉되어 하이드로겔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것뿐만 아니라 일부분이 개방된 파우치 내에 하이드로겔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수용된 상태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파우치에 밀봉된 하이드로겔이 차지하는 부피는 파우치가 제공하는 내부 부피의 약 97% 이상, 또는 약 98% 이상, 또는 약 99% 이상일 수 있다.
제1 파우치가 제공하는 내부 부피는 약 100ml 내지 200ml, 또는 약 150ml일 수 있다. 제1 파우치의 내부 부피는 후술할 단계 (c)에서 전자선의 에너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선을 투과시켜 내부의 하이드로겔의 추가 가교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1 파우치의 색깔은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투명도가 높은 폴리염화비닐(PVC)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파우치는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필름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폴리염화비닐과 마찬가지로 우수한 투명도를 나타낼 수 있으나, 전자선이 지속적으로, 반복적으로 투과하기에 내구성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제1 파우치의 재질로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이용할 경우 후술할 단계 (c)에서 전자선을 충분한 에너지로 조사하여 펜던트기 내지는 펜던트 가교체를 제거할 수 있다. 반면, 제1 파우치의 재질로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할 경우 후술할 단계 (c)에서 제1 파우치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한 두께를 충분하게 할 경우 내구성 문제가 다소 해결될 수 있으나, 제1 파우치의 필름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선의 투과율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하이드로겔이 부분적으로 탄화되거나, 단계 (c)에 수행되는 공정과 시간이 복잡화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폴리염화비닐 재질로 이루어진 제1 파우치의 두께는 약 0.1mm 내지 0.5 mm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염화비닐 파우치는 전자선이 투과되기에 용이하여 상대적으로 박형의 파우치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계 (b)에서 제1 하이드로겔을 제1 파우치에 밀봉한 후에, 밀봉된 제1 하이드로겔을 에이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에서 준비된 제1 하이드로겔은 반응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고온 상태를 유지하며 에너지가 잔존할 수 있다. 제1 하이드로겔을 충분히 에이징하지 않고 후술할 단계 (c)를 통해 전자선이 조사될 경우 펜던트기의 제거가 진행되기 보다는 하이드로겔의 탄화 내지는 경화가 진행되고 하이드로겔의 투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에이징은 약 10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에이징 시간이 10분에 미달할 경우 에이징의 효과가 미미하며 전술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에이징은 25℃ 내지 3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에이징의 온도가 25℃ 미만이면 제1 하이드로겔의 점도와 탄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며 전자선 조사 시에 펜던트 제거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에이징의 온도가 약 30℃ 이상, 또는 약 35℃ 이상이면 에이징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단계 (c)
하이드로겔이 밀봉된 파우치에 전자선을 조사하면 전자선이 파우치를 투과하여 하이드로겔 내 미반응된 가교제의 반응을 유도할 수 있고, 특히 펜던트 가교체의 미반응된 관능기의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펜던트 그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BDDE가 가교제로 사용된 경우, 펜던트 가교체(도 1의 A)의 미반응된 한쪽 말단의 에폭시드기가 전자선 조사에 의해 다른 히알루론산 사슬과 반응함으로써 양 히알루론산 사슬을 연결하는 가교체(도 2의 B)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전자선 조사를 통해 펜던트 가교체를 제어함으로써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향상시키고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펜던트 가교체의 제어 정도는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되는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로 나타낼 수 있다.
[식 1]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 = (펜던트 가교체 양) / (가교체 양)
상기 식 1에서 가교체란 양쪽 말단 모두 히알루론산에 연결된 완전한 가교체를 의미하고, 펜던트 가교체와 가교체의 양은 각 구조체의 수 또는 질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전자선이 조사된 하이드로겔은 펜던트 가교체의 미반응 말단이 반응함에 따라 펜던트 가교체의 양은 감소하고 가교체의 양은 증가하기 때문에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가 감소한다. 즉, 단계 (c)에서 제조된 하이드로겔(제2 하이드로겔)은 단계 (a)에서 제조된 하이드로겔(제1 하이드로겔)보다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가 낮다. 바람직하게는, 제2 하이드로겔의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는 제1 하이드로겔의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의 약 60% 이하, 또는 약 50% 이하, 또는 약 40%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구체적인 제조 조건에 따라 상기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의 바람직한 범위도 달라질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인체를 상대로 한 필러 시술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펜던트 형성비를 현격하게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에 대해 부각하고자 함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자선을 조사하는 단계(단계 (c))는 하기 세부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상기 제1 파우치에 밀봉된 제1 하이드겔을 무빙 테이블 상에 배치하는 단계
b)전자선 조사기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c)무빙 테이블을 무빙시켜 제1 하이드로겔이 소정의 주기와 휴지기를 갖도록 전자선에 노출시키는 단계
무빙 테이블은 턴 테이블 또는 컨베이어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놓여진 제1 하이드로겔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주기적으로, 또는 계획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전자선 조사기는 특정 위치에 고정되고 전자선은 해당 지점에만 조사될 수 있다. 즉, 무빙 테이블에 놓여진 제1 하이드로겔의 위치 변화와 무관하게 동일한 지점에 조사되도록 전자선 조사기를 고정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선은 0.1 kW 내지 1.0 kW의 세기와 출력을 가지고 조사될 수 있다. 전자선이 상기의 세기를 가지고 일정 지점에 조사되는 동안, 제1 하이드로겔은 무빙 테이블 상에 놓여 상기 전자선이 조사되는 지점을 지나가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하이드로겔이 전자선에 조사되는 구간을 '주기'로, 제1 하이드로겔이 전자선에 노출되지 않는 구간을 '휴지기'로 표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범위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선을 이용하는 경우에, 제1 하이드로겔이 전자선에 조사되는(또는 노출되는) 주기는 약 0.5초 내지 2초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주기가 0.5초에 미달하면 전자선이 펜던트 가교체의 제거에 기여하기에 필요한 문턱 에너지를 넘지 못해 추가 가교 내지는 펜던트기의 제거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주기가 2초를 초과하면 추가 가교 내지는 펜던트기의 제거가 이루어지기 보다, 하이드로겔의 탄화가 진행되고 하이드로겔의 색이 불투명해질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범위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선을 이용하는 경우에, 제1 하이드로겔에 전자선이 조사되지 않는(또는 노출되지 않는) 휴지기는 약 50초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지기는 약 50초 이상 120초 이하, 또는 약 50초 이상 90초 이하, 또는 약 50초 이상 60초 이하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휴지기가 50초에 미달하면 추가 가교 내지는 펜던트기의 제거가 이루어지기 보다, 하이드로겔의 탄화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휴지기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공정의 신속성 측면에서 약 120초 이하, 또는 약 90초 이하, 또는 약 60초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주기와 휴지기의 시간은 무빙 테이블의 무빙 속도 또는 회전 속도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또, 무빙 테이블 상에는 복수개의 밀봉된 제1 하이드로겔이 놓여질 수 있다.
즉, 전술한 세부 단계 c)는 상기 주기와 상기 휴지기가 교번적으로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전체 주기의 횟수는 총 30회 이상 40회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휴지기는 총 29회 내지 39회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세부 단계 c)가 30회에 미달하여 수행될 경우 펜던트 가교체의 충분한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물성 향상과 독성 저하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반면, 세부 단계 c)가 40회를 초과하여 수행될 경우 공정의 신속성 내지는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선의 조사시간과 출력을 치밀하게 제어하여 펜던트 가교체의 반응만을 선택적으로 유도함으로써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단계를 통해 제2 하이드로겔은 제1 하이드로겔에 비해 점도와 탄성이 증가할 수 있다. 상세한 예를 들어, 제2 하이드로겔의 점도는 400 Pa·s 내지 1600 Pa·s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또, 제2 하이드로겔의 탄성도는 100 Pa 내지 300 Pa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선 조사는 주로 펜던트 가교체의 반응을 유도하지만 완전 미반응된 가교제의 반응 또한 유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전자선을 조사한 제2 하이드로겔이 밀봉된 제1 파우치를 개방하고 하이드로겔의 기포를 제거한다. 탈포 공정은 공지의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탈포된 제2 하이드로겔은 제2 파우치에 옮겨 담아 재포장되어 최종 제품으로서 취급되거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필러 시술용으로 사용되기 위해 공지의 첨가 공정이나 멸균 공정 등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파우치는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PP)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파우치에 밀봉된 제2 하이드로겔은 상대적으로 장시간 동안 보존될 수 있다. 따라서 염소(Cl) 성분을 불포함한 파우치를 이용하는 것이 인체에 대한 무해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제2 파우치의 두께는 제1 파우치의 두께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파우치는 전자선 조사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서, 전자선의 조사 세기 등을 고려하여 두께가 선택되어야 하나, 제2 파우치는 포장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통상적인 두께를 갖는 파우치를 이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은 일반적으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유체, 예컨대 등장 완충액, 특히 바람직하게는 완충된 생리학적 식염수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본 발명의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은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히알루론산의 체내 지속성 향상용 조성물을 1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은 바람직하게는 미용적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예컨대 피부의 주름살 또는 주름(예를 들어, 안면 주름 및 안면 주름살), 미간 주름, 비구순 주름, 턱 주름, 마리오네트 주름, 구강 교련, 입주위 주름살, 눈가 잔주름, 피부 함몰부, 흉터, 관자, 눈썹의 진피하 지지부, 광대 및 볼 지방 패드, 눈물 도랑, 코, 입술, 뺨, 입주위 영역, 안와하 영역, 안면 비대칭, 아래턱선 및 턱의 치료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또는, 치료적 적응증, 예컨대 복압성 요실금, 방광-요관 역류, 성대 주름 부전, 성대 주름 내측화를 치료하기 위해 투여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은 전자선 조사를 통해 펜던트 가교체와 같은 불완전 가교체를 완전한 가교체로 변환하기 때문에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해 가교제를 소량으로 사용하거나 가교제와의 반응시간을 짧게 하더라도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동등 이상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원하는 물성을 얻기 위한 가교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펜던트 가교체와 같이 독성을 유발하는 미반응 가교제를 반응시켜 제거할 수 있어 하이드로겔의 독성 또한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제2 하이드로겔의 물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단계 (a)에서 사용된 가교제의 첨가량이 히알루론산 수용액 대비 0.1 wt% 이하이거나 히알루론산 수용액과 가교제의 반응시간이 1시간 이하인 경우를 기준으로, 제2 하이드로겔은 점도가 400 Pa·s 이상, 또는 약 600 Pa·s 이상, 또는 약 700 Pa·s 이상, 또는 약 900 Pa·s 이상, 또는 약 1,000 Pa·s 이상일 수 있다. 또, 제2 하이드로겔은 탄성도가 100 Pa 이상, 또는 약 300 Pa 이상, 또는 약 400 Pa 이상, 또는 약 500 Pa 이상, 또는 약 600 Pa 이상일 수 있다. 즉, 종래에 알려진 제품 수준의 점도와 탄성도를 나타내어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동시에, 현저하게 적은 수준의 펜던트 가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제조예 및 실험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제1 하이드로겔 제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4)
약 400 kDa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15 mg/mL를 증류수 1 L에 녹인 후 가교제로서 BDDE(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테르) 0.1 wt%를 첨가하여 40℃에서 500 rpm으로 교반하며 4시간 동안 반응시켜,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하이드로겔(hydrogel)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1).
또한, BDDE의 첨가량 또는 반응시간을 하기 표 1과 같이 달리하여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4의 하이드로겔도 제조하였다.
실시예 히알루론산 BDDE (wt%) 반응시간(h)
실시예 1-1 약 400 kDa
15 mg/mL
0.1 1
실시예 1-2 0.1 4
실시예 1-3 2.0 1
실시예 1-4 2.0 4
제조예 2: 제2 하이드로겔 제조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4)
상기 BDDE로 가교되어 제조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4의 하이드로겔을 0.3 mm 두께의 투명한 PVC 필름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파우치에 각각 옮겨 담아 밀봉하였다. 파우치의 용량은 150ml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30℃로 유지되는 암실에서 15분 동안 보관하였다.
제1 하이드로겔이 담긴 파우치를 터닝 테이블위에 고정시킨 후 터닝 테이블을 회전시켰다. 회전 속도는 1rpm으로 설정하였다. 터닝 테이블의 회전속도가 일정해졌을 때, 직류형 전자선 가속기(electron-beam accelerator)로 0.1 kW의 전자선을 터닝 테이블의 일부분에 조사하였다. 제1 하이드로겔이 담긴 파우치가 터닝 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면서 1분에 1회씩 간헐적으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총 30바퀴 회전한 후 전자선 조사를 중단하였다.
그 다음 파우치를 개방하고 하이드로겔의 기포를 제거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4의 히알루론산의 제2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추가 가교 대상 전자선 조사
실시예 2-1 실시예 1-1 회전속도: 1rpm
출력(kW): 0.1
PVC 필름(0.3 mm) 사용
실시예 2-2 실시예 1-2
실시예 2-3 실시예 1-3
실시예 2-4 실시예 1-4
실험예 1: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2-4의 물성 측정
제조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2-4의 점도(shear viscosity), 탄성도(elasticity) 및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를 측정하였다.
점도는 Shear rate 0.05 s-1, 35℃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고, 탄성도는 Frequency 1 Hz, 35℃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다.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Kablik J, Monheit GD, Yu LP, Chang G and Gershkovich J. Dermatol Surg 2009; 35(S1): 302-312).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2-4의 각 샘플을 37℃ 및 pH 5.0의 아세테이트 버퍼에서 72시간 동안 Streptomyces 유래의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VWR Scientific, Bridgeport, NJ)로 분해시켜 올리고당(oligosaccharide)을 얻었다. 올리고당을 고성능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HPLC는 음이온 교환 컬럼(Anionic exchange Column, 4x250mm, CarboPac PA 100, Dionex Corporation, Sunnyvale, CA)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HPLC는 각 올리고당 단편을 음전하에 따라 분리하는데, 히알루로니다아제의 불완전 분해는 올리고당의 사이즈에 따른 용출 패턴을 야기한다. 히알루로니다아제는 가교체를 분해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옥타사카라이드(octasaccharide) 이상의 계류시간에서 용출되는 피크를 관측하는 것은 가교된 특정 올리고당의 존재를 나타낸다. 따라서, 가교된 비율은 지연 용출된 피크의 합계로서 결정되는데, 전체 피크 면적은 각 단편의 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가교된 부분 또는 펜던트 가교체 부분의 상대적인 비율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얻은 데이터를 하기 식 2 및 식 3에 대입하여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를 구하였다.
[식 2]
총 개질 정도 (%) = 가교체 비율 (%) + 펜던트 가교체 비율 (%)
[식 3]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 = 펜던트 가교체 비율 (%) / 가교체 비율 (%)
측정된 점도, 탄성도 및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는 하기 표 3과 같았다.
실시예 점도(Pa·s) 탄성도(Pa)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
실시예 1-1 409.1 103.5 1.9
실시예 1-2 498.3 154.2 1.6
실시예 1-3 741.0 210.3 2.1
실시예 1-4 888.9 339.8 1.7
실시예 2-1 701.2 306.3 0.9
실시예 2-2 930.2 439.1 0.5
실시예 2-3 1243.7 590.7 0.8
실시예 2-4 1397.6 686.0 0.6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BDDE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반응시간이 길수록 점도 및 탄성도는 높고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는 낮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4를 전자선 조사로 추가 가교하여 얻은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4는 점도 및 탄성도가 추가 가교 전보다 현저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4의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가 추가 가교 전보다 현저히 낮아진 점을 고려하면 이와 같은 점도 및 탄성도의 향상은 전자선 조사에 의한 펜던트 가교체의 반응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히알루론산의 가교시 BDDE와 같은 가교제를 상대적으로 소량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가교제와의 반응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하더라도 추가적인 전자선 조사를 통해 펜던트 가교체의 반응을 유도하여 히알루론산을 추가적으로 가교함으로써 필요한 수준 또는 우수한 수준의 물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조예 3: 전자선의 조사 시간 및 출력 변경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12)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여 0.3 mm 두께의 투명한 PVC 필름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파우치에 각각 옮겨 담아 밀봉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터닝 테이블을 이용하여 하이드로겔이 담긴 파우치를 전자선에 간헐적으로 노출시키되, 하기 표 4와 같이 총 조사시간 및 출력을 달리하도록 회전 속도를 제어하였다. 전자선 조사가 끝난 후 파우치를 개방하고 하이드로겔의 기포를 제거하여 하기 표 4와 같은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12의 추가 가교된 히알루론산의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조사시간(sec) 출력(kW) 파우치
실시예 3-1 약 0.3 0.01 PVC 필름(0.3 mm) 사용
실시예 3-2 약 0.3 0.1
실시예 3-3 약 0.3 1.0
실시예 3-4 약 1 0.01
실시예 3-5 (실시예 2-2) 약 1 0.1
실시예 3-6 약 1 1.0
실시예 3-7 약 2 0.01
실시예 3-8 약 2 0.1
실시예 3-9 약 2 1.0
실시예 3-10 약 10 0.01
실시예 3-11 약 10 0.1
실시예 3-12 약 10 1.0
실험예 2: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12의 물성 측정
제조된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12의 점도, 탄성도 및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았다.
실시예 점도(Pa·s) 탄성도(Pa)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
실시예 3-1 512.6 151.1 0.8
실시예 3-2 527.0 154.9 0.8
실시예 3-3 683.5 176.4 0.7
실시예 3-4 885.0 427.2 0.4
실시예 3-5 (실시예 2-2) 930.2 439.1 0.5
실시예 3-6 1132.3 636.0 0.2
실시예 3-7 1026.7 551.8 0.4
실시예 3-8 1073.0 605.1 0.4
실시예 3-9 1273.0 725.1 0.2
실시예 3-10 N/A(하이드로겔 연소로 물성 측정 불가)
실시예 3-11 N/A(하이드로겔 연소로 물성 측정 불가)
실시예 3-12 N/A(하이드로겔 연소로 물성 측정 불가)
상기 표 5를 참고하면, 전자선의 조사시간이 길수록, 출력이 높을수록 점도 및 탄성도와 같은 물성이 대체로 향상되었으나, 조사시간이 약 0.3초일 때는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 및 이에 따른 물성 향상이 미미했고, 출력이 0.1 kW 미만일 때는 출력 상승에 따른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의 변화가 작아 이에 따른 물성 증가 효율 또한 좋지 않았다. 한편, 조사시간이 10초일 때는 하이드로겔이 전자선에 의해 일부 연소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제조예 4: 파우치의 재질 변경 (실시예 4-1 내지 실시예 4-4)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여 하기 표 6과 같은 다양한 재질의 0.3 mm 두께의 투명한 필름으로 구성된 의료용 파우치에 각각 옮겨 담아 밀봉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파우치 재질(0.5 mm) 전자선 조사
실시예 4-1 (실시예 2-2) PVC 필름 양호
실시예 4-2 PE 필름 파우치 터짐
실시예 4-3 PET 필름 파우치 터짐
실시예 4-4 PP 필름 파우치 터짐
제조예 5: 파우치의 두께 변경 (실시예 5-1 내지 실시예 5-4)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여 하기 표 7과 같은 다양한 재질 및 두께의 필름으로 구성된 의료용 파우치에 각각 옮겨 담아 밀봉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파우치 재질 파우치 두께(mm) 전자선 조사
실시예 5-1(실시예 2-2) PVC 0.3 회전속도: 1rpm
출력(kW): 0.1
PVC 필름(0.3 mm) 사용
실시예 5-2 PVC 0.7
실시예 5-3 PE 필름 1.0
실시예 5-4 PET 필름 1.0
실시예 5-5 PP 필름 1.0
실험예 4: 실시예 5-1 내지 실시예 5-5의 물성 측정
제조된 실시예 5-1 내지 실시예 5-5의 점도, 탄성도 및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았다.
실시예 점도(Pa·s) 탄성도(Pa)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
실시예 5-1(실시예 2-2) 930.2 439.1 0.5
실시예 5-2 895.7 490.1 0.4
실시예 5-3 719.3 368.2 0.7
실시예 5-4 604.6 298.1 0.5
실시예 5-5 749.1 327.4 0.4
상기 표 8을 참고하면, 실시예 5-1의 물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1과 동일하게 PVC 필름을 이용하되 두께를 증가시킨 실시예 5-2 또한 물성이 증가하나, 실시예 5-1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 파우치 필름이 터지지 않도록 두께를 보강한 실시예 5-3 내지 실시예 5-5의 경우 물성 상승 효과가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6: 가교제 종류 변경 (실시예 6-1 내지 실시예 6-4)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양한 가교제를 이용하여 하이드로겔을 0.3 mm 두께의 투명한 PVC 필름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파우치에 각각 옮겨 담아 밀봉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가교제
실시예 6-1(실시예 2-2) BDDE
실시예 6-2 1,4-Bis(2,3-epoxypropoxy)butane
실시예 6-3 1-(2,3-Epoxypropyl)-2,3-epoxycyclohexane
실시예 6-4 1,3-Butadiene diepoxide
실험예 5: 실시예 6-1 내지 실시예 6-4의 물성 측정
제조된 실시예 5-1 내지 실시예 5-5의 점도 및 탄성도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0과 같았다.
실시예 점도(Pa·s) 탄성도(Pa)
실시예 6-1(실시예 2-2) 930.2 439.1
실시예 6-2 610.6 307.0
실시예 6-3 678.4 316.4
실시예 6-4 712.5 310.5
상기 표 10을 참고하면, 실시예 6-1의 물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 실시예 6-2 내지 실시예 6-4의 경우 물성 상승 효과가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어떠한 이론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적어도 본 발명에서 사용한 펜던트 제거 공정 조건에 의할 경우 해당 가교제의 추가 반응이 진행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히알루론산 등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에 BDDE 등의 가교제를 첨가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BDDE와 같은 가교제는 적어도 일부분이 미반응되어 하이드로겔 물성의 악화와 세포 독성을 유발하는 펜던트 가교체 등을 형성하는 한계가 있으며, 본 발명자는 미반응된 가교제를 추가적으로 반응시키기 위한 시도를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반응된 가교제 특히, 펜던트 가교체와 같은 불완전 가교체를 완전한 가교체로 변환하여 히알루론산의 추가적인 가교를 유도하기 때문에,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해 가교제를 소량으로 사용하거나 가교제와의 반응시간을 짧게 하더라도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동등 이상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원하는 물성을 얻기 위한 가교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펜던트 가교체와 같이 독성을 유발하는 미반응 가교제를 반응시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하이드로겔의 독성 또한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히알루론산 수용액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소정 시간동안 반응시켜 상기 히알루론산의 적어도 일부분이 가교된 제1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을 플라스틱 재질의 제1 파우치에 밀봉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우치에 밀봉된 제1 하이드로겔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하이드로겔의 점도(viscosity) 및 탄성도(elasticity)가 증가된 제2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파우치를 개방하여 상기 제2 하이드로겔의 기포를 제거하고, 상기 제1 파우치와 상이한 재질의 제2 파우치에 재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a)상기 제1 파우치에 밀봉된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을 무빙 테이블 상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턴 테이블 또는 컨베이어 테이블을 포함하는 무빙 테이블 상에 배치하는 단계,
    b)상기 제1 하이드로겔의 위치 변화와 무관하게 상기 전자선이 동일 위치에 조사되도록 전자선 조사기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및
    c)상기 무빙 테이블을 무빙시켜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전자선에 노출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무빙에 의해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이 소정의 주기와 휴지기를 가지고 전자선에 노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하는,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이드로겔은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의 펜던트 그룹(pendant group)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이드로겔은 상기 제1 하이드로겔 보다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가 낮으며,
    상기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는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식 1]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 = (펜던트 가교체 양) / (가교체 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이드로겔의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는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의 펜던트 가교체 형성비의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선은 0.1 kW 내지 1.0 kW의 세기로 조사되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이 상기 전자선에 노출되는 주기는 0.5초 내지 2초이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이 상기 전자선에 노출되지 않는 휴지기는 50초 이상이고,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이 상기 전자선에 노출되는 주기는 총 30회 이상 수행되는,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7. 히알루론산 수용액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소정 시간동안 반응시켜 상기 히알루론산의 적어도 일부분이 가교된 제1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하이드로겔을 플라스틱 재질의 제1 파우치에 밀봉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우치에 밀봉된 제1 하이드로겔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하이드로겔의 점도(viscosity) 및 탄성도(elasticity)가 증가된 제2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파우치를 개방하여 상기 제2 하이드로겔의 기포를 제거하고, 상기 제1 파우치와 상이한 재질의 제2 파우치에 재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파우치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파우치의 두께는 0.1mm 내지 0.5mm이고,
    상기 제2 파우치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이 상기 히알루론산 수용액 대비 0.1 wt% 이하이거나 상기 히알루론산 수용액과 가교제의 반응시간이 1시간 이하일 때,
    상기 제2 하이드로겔의 점도가 400 Pa·s 이상이거나 탄성도가 100 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KR1020200011477A 2020-01-31 2020-01-31 전자선을 이용하여 펜던트를 제거하는 필러 시술용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KR10214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477A KR102146499B1 (ko) 2020-01-31 2020-01-31 전자선을 이용하여 펜던트를 제거하는 필러 시술용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477A KR102146499B1 (ko) 2020-01-31 2020-01-31 전자선을 이용하여 펜던트를 제거하는 필러 시술용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499B1 true KR102146499B1 (ko) 2020-08-20

Family

ID=72242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477A KR102146499B1 (ko) 2020-01-31 2020-01-31 전자선을 이용하여 펜던트를 제거하는 필러 시술용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4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1924B1 (en) * 2007-10-09 2011-12-07 Allergan, Inc. Crossed-linked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and uses thereof
JP2012526889A (ja) * 2009-05-11 2012-11-01 テオクサン 架橋されたゲルを製造する方法
KR102070878B1 (ko) * 2019-11-29 2020-01-29 장진희 가교제 없이 전자선을 이용하여 히알루론산을 가교시키는 필러 시술용 머크겔의 제조 방법
KR102070881B1 (ko) * 2019-11-29 2020-01-29 장진희 전자선 가교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마이크로겔의 제조 방법 및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로서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1924B1 (en) * 2007-10-09 2011-12-07 Allergan, Inc. Crossed-linked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and uses thereof
JP2012526889A (ja) * 2009-05-11 2012-11-01 テオクサン 架橋されたゲルを製造する方法
KR102070878B1 (ko) * 2019-11-29 2020-01-29 장진희 가교제 없이 전자선을 이용하여 히알루론산을 가교시키는 필러 시술용 머크겔의 제조 방법
KR102070881B1 (ko) * 2019-11-29 2020-01-29 장진희 전자선 가교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마이크로겔의 제조 방법 및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로서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blik J, Monheit GD, Yu LP, Chang G and Gershkovich J. Dermatol Surg 2009, 35(S1): 302-312 (비특허문헌 2) Sungchul C, et al. Journal of Biomedical Materials Research Part A, 201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0469B2 (ja) ヒアルロン酸誘導体およびdna分画物が含まれているヒアルロン酸注射用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KR101868183B1 (ko) 가교된 겔의 제조 공정
RU2377260C2 (ru) Загущенный сшитым полимером биологически совместимый гель
AU2004261752B2 (en) Complex matrix for biomedical use
ES2250441T7 (es) Preparación de ácido hialurónico entrecruzadoy de su hidrogel, los productos obtenidos y sus utilizaciones
US20210322636A1 (en) Biodegradable single-phase cohesive hydrogels
RU2639136C2 (ru) Стерилизован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у гиалуроновую кислоту и аскорбилфосфат магния
EP2199308B1 (en) Swellabl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7522881B (zh) 制备单相修饰透明质酸钠凝胶的方法
EP3107587B1 (en) Dermocosmetic filler and uses thereof for aesthetic purposes
EP1418188B1 (en) Polyacrylamide hydrogel and its use as an endoprosthesis
TW202041221A (zh) 修飾透明質酸衍生物及其製備方法、其應用、其用途、交聯的水凝膠及其製備方法、用於原位形成其之套組
EP4038105A1 (en) A hyperbranched 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and its use as crosslinker for polysaccharides
US20220233745A1 (en) Resorbable implantable device based on crosslinked glycosaminoglycan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2146499B1 (ko) 전자선을 이용하여 펜던트를 제거하는 필러 시술용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KR20200018793A (ko) 전자선을 이용하여 히알루론산 고분자의 펜던트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의 용도
KR102070878B1 (ko) 가교제 없이 전자선을 이용하여 히알루론산을 가교시키는 필러 시술용 머크겔의 제조 방법
BR112020024654A2 (pt) composição de hidrogel compreendendo um polímero reticulado
KR102070881B1 (ko) 전자선 가교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마이크로겔의 제조 방법 및 필러 시술용 하이드로겔로서의 용도
CN111686664B (zh) 一种注射用乳化交联透明质酸钠凝胶微球及制备方法
KR20210137345A (ko) 고탄성, 고점도 및 고유효 가교율을 갖는 히알루론산 가교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0588922B2 (en) Method for preparing an injectable cross-linked hydrogel, hydrogel obtained; and use of the obtained hydrogel
RU2778332C2 (ru) Рассасывающиеся имплантируемые устройства на основе сшитых гликозаминогликанов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KR20210097388A (ko) 점도와 탄성도가 향상된 히알루론산 수화겔
RU2804641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й гиалуроновой кислоты и ее со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