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783B1 -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 Google Patents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783B1
KR102145783B1 KR1020180077811A KR20180077811A KR102145783B1 KR 102145783 B1 KR102145783 B1 KR 102145783B1 KR 1020180077811 A KR1020180077811 A KR 1020180077811A KR 20180077811 A KR20180077811 A KR 20180077811A KR 102145783 B1 KR102145783 B1 KR 10214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rain hole
c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661A (ko
Inventor
허평진
Original Assignee
허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평진 filed Critical 허평진
Priority to KR102018007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7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7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36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overflow or explosion control means, e.g. check or relie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하부로 배출된 우수가 다시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돌출 테두리를 구성하여 하부 중앙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 맨홀 베이스부, 상기 맨홀 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배치되어 커버와 결합될 수 있는 개구부재, 하부에 배치된 배수홀 및 집수공간을 포함하는 집수부 및 상기 바닥과 이격되게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어 상기 집수공간에 집수된 물을 배출시키고 상기 맨홀 베이스부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배출된 우수가 다시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폭우 시에도 맨홀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한 맨홀 커버 열림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에 대해 개시한다.

Description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MANHOLE FOR FLOOD PREVENTION}
본 발명은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하부로 배출된 우수가 다시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수도관, 하수관 및 지하에 매설된 전선 등의 정비를 위해 지하의 관로와 연결된 통로로, 관로의 기점, 합류점, 관의 지름·방향·구배가 변하는 곳 및 긴 관로의 중간 지점 등에 설치되어 관내의 점검, 청소, 파이프의 연결 및 접합을 위해 사람이 출입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우수용 맨홀은 공극이 있는 강철 커버를 사용하거나 스틸그레이팅 철망 커버를 사용하여 빗물을 내부로 집수한 뒤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나, 폭우 등이 발생할 시 맨홀 내에 잔존하는 우수가 하부로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케이블관로를 통해 변전실로 유입되어 누전 및 침수가 발생할 수 있고 폭우로 매몰된 토사로 인해 맨홀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맨홀 커버가 열리는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320(2008.07.02)호는 우수맨홀용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변에 매설되는 우수맨홀에 설치되어 악취역류를 차단하면서 겨울철에도 동결되지 않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판형상으로 가운데부분에 유입구가 천공되어 있으며 외곽 둘레에는 다수개의 고정브라켓이 조립체결되어 우수맨홀의 걸림턱에 고정설치되는 상부고정판과, 상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경사진 호퍼형상으로 상단부가 유입구에 부합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부착되고 하단부 전후양측에는 각각 역삼각형의 가림판이 수직하방으로 일체로 돌출형성된 유입호퍼와, 상기 유입호퍼의 하면부 전후양측에 각각 수직하방으로 용접부착되는 고정지지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지지판 사이에는 "∨"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좌우양측으로 개폐작동되면서 우수맨홀로부터의 악취역류를 차단하는 한쌍의 가동판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한쌍의 가동판은 상단부가 유입호퍼의 좌우양측면 하단부에 각각 맞닿아 있고 하단부는 각 가동판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부동액이 충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 상부에는 전후양측에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동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롤러는 고정지지판의 좌우양측에 각각 천공된 가이드홀에 끝단이 삽입개재되어 가이드홀을 따라 가이드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고정지지판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좌측 가동판의 구동롤러축과 우측 가동판의 구동롤러축은 탄성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악취차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맨홀용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2781(201.11.19)호는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정화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교량이나 맨홀에 설치되어 초기우수를 여과처리하는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우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사방측면 일부가 개방된 몸체와, 미생물 부착성과 투수성이 좋은 여재로, 상기 몸체 중앙 사방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위치에 설치되어, 초기우수를 배출처리 하거나, 초기우수에 섞인 부유물이 걸러져 배출될 수 있도록 수개의 여과공이 타공된 필터형 스크린 망과, 상기 몸체 내의 중앙에는 우수량이 많을 시, 이차적으로 우수를 원활히 배출하기 위해 설치된 오버플로우 파이프와, 상기 오버플로우 파이프 외주연에 형성되어, 물이 수직 낙하시, 미세한 오염물이 떠오르지 않게 방지하는 부유물 역류방지부재와, 상기 몸체 하부에는 몸체의 높이와 수평조절이 가능하며, 우수안내공간을 형성하는 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320(2008.07.02)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2781(2013.11.1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맨홀 하부에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배출된 우수가 다시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폭우 시에도 맨홀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한 맨홀 커버 열림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돌출 테두리를 구성하여 하부 중앙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여유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토사에 의한 매몰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힌지구조에 의해 개폐되며 집수된 우수의 압력으로 인해 배출방향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를 이용해 맨홀 하부로 배출된 우수가 다시 집수공간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집수부의 내벽 중단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는 케이블 관로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실링 개스킷을 포함하여 누전 및 침수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은 돌출 테두리를 구성하여 하부 중앙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 맨홀 베이스부, 상기 맨홀 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배치되어 커버와 결합될 수 있는 개구부재, 하부에 배치된 배수홀 및 집수공간을 포함하는 집수부 및 상기 바닥과 이격되게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어 상기 집수공간에 집수된 물을 배출시키고 상기 맨홀 베이스부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45cm ~ 55cm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집수공간의 바닥면을 5°~ 10°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배수홀을 경사면의 최하단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집수공간의 바닥면을 계단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배수홀을 상기 계단구조의 최하층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는 케이블의 관통을 위해 내벽의 중단에 적어도 2 개의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는 상기 관통공들 각각에 상기 케이블을 밀폐시키기 위해 실리콘 재질의 실링 개스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배수홀에 밀착되게 삽입되고 힌지구조에 의해 개폐되며 집수된 우수의 압력으로 인해 배출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은 상기 집수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가 배출구보다 더 넓을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은 맨홀 하부에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배출된 우수가 다시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폭우 시에도 맨홀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한 맨홀 커버 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은 돌출 테두리를 구성하여 하부 중앙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여유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토사에 의한 매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은 힌지구조에 의해 개폐되며 집수된 우수의 압력으로 인해 배출방향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를 이용해 맨홀 하부로 배출된 우수가 다시 집수공간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은 집수부의 내벽 중단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는 케이블 관로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실링 개스킷을 포함하여 누전 및 침수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을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의 개구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의 관통공 및 실링 개스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의 체크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의 체크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는 2016년 9월 이후 20개월 동안 월간 강수일 및 강수일 평균 강수량을 나타낸 표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을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100)은 맨홀 베이스부(110), 집수부(120) 및 체크밸브(1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맨홀은 수도관, 하수관 및 지하에 매설된 전선 등의 정비를 위해 지하의 관로와 연결된 통로로, 관로의 기점, 합류점, 관의 지름·방향·구배가 변하는 곳 및 긴 관로의 중간 지점 등에 설치되어 관내의 점검, 청소, 파이프의 연결 및 접합을 위해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에 해당한다. 맨홀의 내부는 관로를 지면방향으로 연장한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정육면체, 직육면체 등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고 맨홀의 커버는 정폭도형의 형태로 구현되어 맨홀 내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우수용 맨홀은 도로 내 우수를 모아서 공공하수도로 유입시키는 시설로서 도로 옆의 물이 모이기 쉬운 장소나 L형 측구의 유하방향 하단부에 10m ~ 30m 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집수된 우수를 근처의 하수관이나 하부에 설치된 개방형 자연 배수구로 유하시킬 수 있다. 우수용 맨홀은 보도, 차도 구분이 없는 경우에는 도로와 사유지 경계에 설치될 수 있다. 우수용 맨홀은 협잡물의 과도한 유입, 인근상가 등지에서 쓰레기 불법투입 등으로 인한 악취발산을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맨홀 베이스부(110)는 맨홀 내부의 최하단부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하부 플레이트에 해당한다. 맨홀 베이스부(110)는 관로와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관로의 형태와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구조적인 안전성을 위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설치장소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의 치수는 다른 지하매설물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사람이 들어가 원활한 유지관리 활동을 할 수 있는 정도의 1m ~ 3m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맨홀 베이스부(110)는 유입되는 우수를 원활히 유하시키고 침전물이 퇴적되지 않도록 하기위해 인버트(Invert)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인버트(Invert)는 우수를 유도해 근처의 하수관이나 하부에 설치된 배수홀로 흐르게 하기 위한 반원형의 홈에 해당하고 하수유입관과 인버트(Invert)의 재질에 따라 생기는 손실수두를 줄이기 위해 몰탈 또는 콘크리트로 마감 처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맨홀 베이스부(110)는 하단의 모서리에 돌출면(111)을 형성하여 중앙부를 매몰된 지면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 형태로 구현된다. 따라서, 맨홀 베이스부(110)는 하부 중앙과 바닥 사이에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집수된 우수를 하부에 설치된 배수홀로 빠른 시간내에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유입된 우수량 증가로 인해 우수가 케이블 관로를 통해 인접 맨홀 또는 인접 전기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전, 감전 및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맨홀 베이스부(110)는 중앙부를 매몰된 지면의 바닥으로부터 45cm ~ 55cm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맨홀 베이스부(110)는 하부 중앙이 직접적으로 지면과 밀착하지 않도록 50cm 정도의 여유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유입된 우수의 원활한 배출 및 역유입 현상을 원천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맨홀 베이스부(110)는 돌출면(111)의 하단에 격벽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맨홀 베이스부(110)는 바닥면을 5°~ 10°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배수홀을 경사면의 최하단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된 우수는 수위차이에 의한 압력에 상관없이 하부에 설치된 배수홀로 유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속적인 우수 유입으로 인한 수위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경사도에 의한 중력에 의해 유입된 유수가 모두 하부에 설치된 배수홀로 유하되어 잔여 우수에 의한 악취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맨홀 베이스부(110)는 바닥면을 계단구조로 형성하고 배수홀을 상기 계단구조의 최하층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된 우수는 계단구조에 의한 낙차로 인해 하부에 설치된 배수홀로 보다 빠른 시간내에 배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내의 점검, 청소, 파이프의 연결 및 접합을 위해 출입하여 원활한 유지관리 활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집수부(120)는 맨홀 베이스부(110) 상의 테두리에 형성된 외벽으로 둘러싸여 유입된 우수가 근처의 하수관이나 하부에 설치된 배수홀로 유하되는 동안 집수되는 집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맨홀 베이스부(110)는 관로와 연결성을 고려하여 관로를 지면방향으로 연장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정육면체, 직육면체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가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출입하여 원활한 유지관리 활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의 개구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집수부(120)는 개구부재(140)을 포함하여 커버(320)에 의해 상부가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현된다. 집수부(120)는 상부에 커버(320)를 지지하는 지지단(310)이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매몰된 지면 밖으로 출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320)는 공극이 있는 강철 커버 또는 스틸그레이팅 철망 커버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우수 유입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커버(320)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부재(140)는 집수부(120)의 내부에 침하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부재(140)는 집수부(120)의 개구에서 커버(320)의 높이만큼 낮은 지점에 형성된 프레임을 통해 지지되어 집수부(120)의 외부 상단이 평탄한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커버(320)는 사용자가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를 포함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가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된 힌지구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재(140)는 커버(320)의 동작과 별개로 동작되면서 커버(320)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집수부(120)의 개구 일부를 차폐하는 개구 개폐용 보조 안전유닛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구 개폐용 보조 안전유닛은 가드레일과 같은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커버(320)가 개방되더라도 집수부(120)의 개구가 그대로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의 관통공 및 실링 개스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 집수부(120)는 내벽의 중단에 관로에 해당하는 케이블의 관통을 위한 적어도 2 개의 관통공(210)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케이블은 전력 공급을 위한 전기 케이블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케이블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포설된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집수부(120)는 복수의 케이블들을 제1 관통공으로 인입하여 제2 관통공으로 함께 인출할 수 있고 또는, 제1 케이블은 제1 관통공으로 인입하여 제2 관통공으로 인출하고 제2 케이블은 제3 관통공으로 인입하여 제4 관통공으로 인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집수부(120)는 복수의 케이블들을 다양한 조합으로 인입 및 인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관통공의 위치와 개수를 달리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관통공으로 인입된 케이블은 집수부(120)의 내벽에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집수부 중앙을 회피하여 제2 관통공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집수부(120)는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 사이의 내벽에 일정 간격으로 L-type 브라킷과 같은 케이블 지지 수단을 마련하여 제1 관통공으로 인입된 케이블을 집수부(120) 내벽에 밀착시킨 채 제2 관통공으로 인출하여 집수부(120) 중앙에 형성된 케이블 선로에 의해 우수의 유하가 더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집수부(120)는 복수의 관통공들 각각에 케이블을 밀폐시키기 위해 실리콘 재질의 실링 개스킷(41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링 개스킷(410)은 관통공과 케이블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을 이용해 관로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관로는 실링 개스킷(410)을 삽입하기 전에 콘크리트(420) 마감 처리되어 방수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 개스킷(410)은 케이블이 수용된 관로의 관로구를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관로의 내면에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외형은 원통형이고, 내부에는 케이블이 포설된 내관이 통과하거나 직접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된 탄성이 있는 폐쇄 플러그에 해당할 수 있다. 폐쇄 플러그는 양측에 케이블 관통공과 연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압축판을 맞댄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수단을 결합하여 너트를 조이면 고무재질의 폐쇄 플러그가 압축되면서 관로의 내면에 밀착되어 관로의 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링 개스킷(410) 및 실링 개스킷(410)이 삽입되는 관통공은 집수부(120) 내벽에 형성된 개구가 관로보다 낮도록 5°~ 10°의 경사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로로 유입된 우수가 있더라도 인접 맨홀 또는 인접 전기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지연하여 우수의 전기실 내부 유입으로 인한 누전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전기실내 장비 손상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의 체크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의 체크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서, 체크밸브(130)는 배수홀에 삽입되어 집수공간에 집수된 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배출된 물이 다시 집수공간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한다. 체크밸브(13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2 포트 밸브로,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2 개의 개구를 각각 포함하는 관의 형태로 구현된다. 체크밸브(130)는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의 크래킹 압력에 의해서 개방된다. 여기에서, 크래킹 압력은 체크밸브(130)가 개방될 수 있는 최소 압력에 해당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체크밸브(130)는 관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디스크(510)가 형성되고 디스크(510)와 인접한 관 내벽에 설치된 힌지구조(520)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유입방향의 압력에 의해서 유출방향으로 밀려 개방된다. 디스크(510)와 인접한 힌지구조(520)의 반대편 관 내벽에는 걸림단(630)이 형성되어 디스크가 유입방향으로 밀려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크밸브(130) 및 체크밸브(130)가 삽입된 배수홀은 집수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입구가 배출구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우수 유입으로 인한 수위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경사도에 의한 중력에 의해 유입된 유수가 모두 하부의 여유공간으로 배출되어 잔여 우수에 의한 악취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2016년 9월 이후 20개월 동안 월간 강수일 및 강수일 평균 강수량을 나타낸 표이다.
도 7에서,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을 처음 설치하여 실험하기 시작한 2016년 9월 이후 20개월 동안 매월 1회 잔존수 여부를 확인하였으나 한차례도 잔존수가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2018년 8월의 경우 강수일 18일 동안 평균 410mm의 폭우가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잔존수가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100)은 돌출 테두리를 구성하여 하부 중앙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 맨홀 베이스부(110), 맨홀 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배치되어 커버와 결합될 수 있는 개구부재(140), 하부에 배치된 배수홀 및 집수공간을 포함하는 집수부(120) 및 바닥과 이격되게 배수홀에 삽입되어 집수공간에 집수된 물을 배출시키고 맨홀 베이스부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전기실 내부 우수 유입으로 인한 전력공백을 방지하고 맨홀 커버 열림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110: 맨홀 베이스부 120: 집수부
130: 체크밸브 140: 개구부재
210: 관통공 310: 지지단
320: 커버 410: 실링 개스킷
420: 콘크리트 510: 디스크
520: 힌지구조 630: 걸림단

Claims (8)

  1. 돌출 테두리를 구성하여 하부 중앙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 맨홀 베이스부;
    상기 맨홀 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배치되어 손잡이를 포함한 형태의 커버와 결합될 수 있는 개구부재, 하부에 배치된 배수홀 및 집수공간을 포함하는 집수부; 및
    상기 바닥과 이격되게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어 상기 집수공간에 집수된 물을 배출시키고 상기 맨홀 베이스부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부는
    케이블의 관통을 위해 내벽의 중단에 적어도 2 개의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들 각각에 상기 케이블을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관통공 및 케이블 사이에 삽입되는 실리콘 재질의 실링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 개스킷을 방수 처리하기 위해 상기 실링 개스킷 주변이 콘크리트로 마감 처리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배수홀에 밀착되게 삽입되고 힌지구조에 의해 개폐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의 크래킹 압력으로 인해 배출방향으로 개방되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가 유입방향으로 밀려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힌지구조의 반대편 관 내벽에 형성된 걸림막을 포함하고 2포트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45cm ~ 55cm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집수공간의 바닥면을 5°~ 10°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배수홀을 경사면의 최하단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집수공간의 바닥면을 계단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배수홀을 상기 계단구조의 최하층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집수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가 배출구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KR1020180077811A 2018-07-04 2018-07-04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Active KR10214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811A KR102145783B1 (ko) 2018-07-04 2018-07-04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811A KR102145783B1 (ko) 2018-07-04 2018-07-04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61A KR20200004661A (ko) 2020-01-14
KR102145783B1 true KR102145783B1 (ko) 2020-08-19

Family

ID=6915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811A Active KR102145783B1 (ko) 2018-07-04 2018-07-04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92719A (zh) * 2022-06-22 2022-08-12 山西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防坠落、防倒灌井盖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656Y1 (ko) * 2001-03-02 2001-09-28 정희창 맨홀
KR101143759B1 (ko) * 2012-02-08 2012-05-11 이희근 전력맨홀 배수장치
KR200470846Y1 (ko) * 2012-09-13 2014-01-16 최종력 하수관용 역류방지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2522A (ja) * 1996-01-12 1997-09-22 Oike:Kk 地下配線用ボックス
KR200443083Y1 (ko) 2008-05-19 2009-01-08 차창식 우수맨홀용 악취차단장치
KR20110133208A (ko) * 2010-06-04 2011-12-12 (주)정대 배수장치를 구비한 방수형 맨홀
KR101332781B1 (ko) 2011-08-23 2013-11-25 씨앤씨주식회사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656Y1 (ko) * 2001-03-02 2001-09-28 정희창 맨홀
KR101143759B1 (ko) * 2012-02-08 2012-05-11 이희근 전력맨홀 배수장치
KR200470846Y1 (ko) * 2012-09-13 2014-01-16 최종력 하수관용 역류방지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61A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76665B2 (en) Partitioned water treatment systems with vertical filtration units
KR100718719B1 (ko)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US20110147303A1 (en) Bioretention System With High Internal High Flow Bypass
US20090279954A1 (en)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US20160024778A1 (en) Retrofit catch basin for use in storm water management practice
US10968616B1 (en) Water drainage system
KR100437075B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방법 및 장치
US5595457A (en) Storm drainage underflow dam unit
KR20200110142A (ko)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145783B1 (ko)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US9328499B2 (en) Device for settlement of particles from a liquid
KR101301042B1 (ko) 하수관거를 이용한 초기우수 저류장치
US9903105B2 (en) Flow shield
KR101533943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EP2781666B1 (en) A method for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US20140042103A1 (en) Storm Water Filtration System Using Box Culverts
JP2004052269A (ja) マンホールおよび下水管路
KR101653556B1 (ko) 차집관로의 이중 차단 물막이 장치
CN210713144U (zh) 道路雨水净化系统
US20210131078A1 (en) Integrated utility distribution system
RU2694189C2 (ru)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приема воды из горных и предгорных рек для малых ГЭС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08372B1 (ko) 오수 차집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36279B1 (ko) 집배수시설용 침투식 비점오염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