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921B1 - 도전성 도료로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도전성 도료로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921B1
KR102144921B1 KR1020160070290A KR20160070290A KR102144921B1 KR 102144921 B1 KR102144921 B1 KR 102144921B1 KR 1020160070290 A KR1020160070290 A KR 1020160070290A KR 20160070290 A KR20160070290 A KR 20160070290A KR 102144921 B1 KR102144921 B1 KR 102144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antenna
case
electronic devic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197A (ko
Inventor
김유식
김영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7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92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8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05K1/092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부품들을 내장하고 있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전자기기는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 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안테나는 전자기기에 내장된 기재 상에 도전성 도료의 패턴화 코팅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전성 도료로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Made of Conductive Paint}
본 발명은 도전성 도료로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며,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원자력,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력저장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또한,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또한,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이 적층된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는 바,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형(권취형) 전극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스택형 전극조립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인 진일보한 구조의 전극조립체로서,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단위셀들을 분리필름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가 개발되었다.
한편, 이러한 이차전지는 최근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및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같은 모바일용 전자기기의 발달과 함께, 상기 전자기기의 주요 전원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전자 부품들을 내장하고 있는 구조로서, 상기 전자 부품들이 전자기기 내에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됨으로써, 소망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상기 전자기기는 점차적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되는 추세에 있는 반면에, 상기 전자기기에 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전자기기 내에서 다른 전자 부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다른 전자 부품들의 탑재 공간에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이차전지는, 전자기기의 전원으로서, 상기 전자기기에 대해 안정적인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최소 요구량 이상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소형화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는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또 다른 전자 부품으로서,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안테나 역시, 나머지 전자 부품들과의 전기적 간섭을 없애거나 최소화하는 동시에, 안정적인 위치에 고정 및 유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용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로 적용 및 내장되므로, 전자기기 내에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이는 전자기기 내에 전자 부품들이 탑재되는 공간에 대한 제약을 더욱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가 전자기기에 내장된 기재 상에 도전성 도료의 패턴화 코팅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안테나의 형성을 위한 별도의 지지용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전자기기 내에 탑재되기 위해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기기 내에 나머지 전자 부품들이 탑재되기 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전자기기 내에 내장되는 전자 부품들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보다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전자기기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부품들을 내장하고 있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전자기기는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 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안테나는 전자기기에 내장된 기재 상에 도전성 도료의 패턴화 코팅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의 형성을 위한 별도의 지지용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전자기기 내에 탑재되기 위해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기기 내에 나머지 전자 부품들이 탑재되기 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전자기기 내에 내장되는 전자 부품들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보다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전자기기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자기기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셀을 전원으로서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안테나는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안테나는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에 걸쳐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전자기기 내에 전원으로서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은 전자기기 내에서 나머지 전자 부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가 형성되기에 충분한 넓이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기기의 안테나는 상대적으로 큰 구조를 갖는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부위에 형성됨으로써, 외부 장치외의 전기적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가 형성되기 위한 별도의 지지용 구조물을 포함할 필요가 없어,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전지셀의 케이스는 절연성의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테나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 하는 과정에서, 상기 안테나에 인접하여 위치한 다른 전자 부품들과 전기적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자기기는 소망하는 성능을 발휘하지 못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가 형성되는 전지셀의 케이스는 절연성의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케이스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전지 요소와의 전기적 신호의 간섭을 예방해, 전자기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셀의 케이스는 안테나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두께가 1mm 내지 10mm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안테나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케이스 부위의 두께가 1mm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져, 상기 전지셀 케이스 내부의 전지 요소로 인해, 안테나가 외부 장치와 송수신 하는 전기적 신호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안테나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케이스 부위의 두께가 10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의 두께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져, 전자기기 내부의 탑재 공간에 제약이 발생하거나, 상기 전자기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케이스 부위의 두께는 안테나에 의해 송수신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안테나는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에 직접 패턴화 코팅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지셀의 케이스는 전기적 신호에 대한 간섭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절연성의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는 절연성의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 상에 도전성 도료로 직접 패턴화 코팅됨으로써 형성되어, 전자기기 내에서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에는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이 부가되어 있고, 상기 안테나는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의 외면에 패턴화 코팅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안테나는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에 부가될 수 있는 별도의 박막형 필름 또는 라별의 외면에 패턴화 코팅됨으로써, 상기 안테나가 형성되기 위한 전지셀과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가 형성된 전지셀을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새로운 전지셀을 제조하기 위해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과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 사이에는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점착성 또는 접착성 물질이 부가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는 전자기기의 운용간 발생하는 유동 및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등의 자극에 대해, 안정적인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은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셀은 소모성 전자 부품으로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명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후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안테나가 형성되어 있는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은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전의 전지셀로부터 분리되어, 새롭게 교체되는 전지셀에 다시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상적인 안테나의 불필요한 교체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안테나가 손상되었을 경우에도, 상기 안테나가 위치한 전지셀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자기기의 유지 및 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전성 도료는 구리, 청동, 황동, 철, 니켈, 알루미늄, 금, 은 및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액상의 조성물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전성 도료는 전지셀과 같이 전자기기에 내장된 기재, 또는 상기 기재 상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의 외면 상에 용이하게 패턴화 코팅되어 안테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을 통해 외부 장치와 전기적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면, 그 조성 내지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하게는, 상기 도전성 도료는 이엠아이(EMI) 도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에서 도전성 도료가 패턴화 코팅된 부위 중의 적어도 일부는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평면 구조를 가진 부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면 구조를 갖는 기재 상의 부위에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도록, 도전성 도료가 패턴화 코팅됨으로써, 상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안테나는, 관통 형상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 코팅용 부재를 기재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전성 도료를 상기 패턴 코팅용 부재 상에 부가하여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를 형성하는 도전성 도료는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턴 부위에만 부가되므로, 보다 정밀한 형태 및 치수로 부가될 수 있는 동시에, 각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안테나를 모두 동일한 형태 및 치수로 용이하게 표준화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으므로, 이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도료가 부가되는 방식은 스프레이 코팅 방식, 잉크젯 인쇄 방식, 슬릿 코팅 방식, 다이 코팅 방식, 스핀 코팅, 및 스퍼터링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를 형성하는 도전성 도료는 보다 균일한 두께로 패턴화 코팅될 수 있으며, 국부적인 코팅 두께의 차이에 따른 송수신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안테나를 형성하기 위한 도전성 도료의 형성 방식 내지 부가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전성 도료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소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방식이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안테나는 패턴이 시작 및/또는 종료되는 단부에 안테나 접지용 단자부가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안테나 접지용 단자부는 패턴이 시작 및/또는 종료되는 단부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안테나 접지용 단자부에 대한 연결을 위해, 패턴화 코팅된 안테나로부터 별도의 연결부를 취출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시스템을 보다 간소화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도전성 도료의 패턴화 코팅에 의해 형성된 안테나가 포함됨으로써, 소망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하게는, 상기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파워 툴, 웨어러블 전자기기, 및 전력저장 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 내지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내지 구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전자기기에 안테나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방법은,
a)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부재들 중에서 외면이 전기 절연성인 부재를 선택하고, 상기 부재에서 평면 구조를 가진 부위를 포함하는 기재의 외면에 패턴 코팅용 부재를 위치시키는 과정;
b) 상기 패턴 코팅용 부재 상에 도전성 도료를 부가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 및
c) 상기 안테나 패턴이 시작 및/또는 종료되는 단부에 안테나 접지용 단자부를 연결하는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안테나는, 안테나가 형성되는 전기 절연성 부재의 평면 부위 상에 패턴 코팅용 부재가 위치한 상태에서, 도전성 도료가 부가됨으로써, 상기 전기 절연성 부재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방법은,
a)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 상에 패턴 코팅용 부재를 위치시키는 과정;
b) 상기 패턴 코팅용 부재 상에 도전성 도료를 부가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
c)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부재들 중에서 하나의 부재를 선택하고, 상기 부재에서 평면 구조를 가진 부위를 포함하는 기재의 외면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필름 또는 라벨을 부착하는 과정;
d) 상기 안테나 패턴이 시작 및/또는 종료되는 단부에 안테나 접지용 단자부를 연결하는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안테나는, 안테나가 형성되는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 상에 패턴 코팅용 부재가 위치한 상태에서, 도전성 도료가 부가됨으로써, 상기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 상에 형성되며, 상기 라벨을 안테나가 형성되기 위한 부재의 평면 부위 상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 따라 형성된 안테나는, 종래의 안테나와 달리, 별도의 지지용 구조물이 필요 없으므로, 보다 콤팩트한 구조로 전자기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도료는 상기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패턴화 코팅되어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리, 청동, 황동, 철, 니켈, 알루미늄, 금, 은 및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액상의 조성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전성 도료가 부가되는 방식은, 상기 도전성 도료가 보다 균일한 두께로 패턴화 코팅되어, 국부적인 코팅 두께의 차이에 따른 송수신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상세하게는, 스프레이 코팅 방식, 잉크젯 인쇄 방식, 슬릿 코팅 방식, 다이 코팅 방식, 스핀 코팅, 및 스퍼터링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안테나가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 상에 형성되어 기재 상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과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 사이에는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점착성 또는 접착성 물질이 부가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은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가 형성되어 있는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은 이전에 부착되어 있던 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새롭게 교체되는 부재에 다시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상적인 안테나의 불필요한 교체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안테나가 손상되었을 경우에도, 상기 안테나가 위치한 부재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자기기의 유지 및 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안테나가 전자기기에 내장된 기재 상에 도전성 도료의 패턴화 코팅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안테나의 형성을 위한 별도의 지지용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전자기기 내에 탑재되기 위해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기기 내에 나머지 전자 부품들이 탑재되기 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전자기기 내에 내장되는 전자 부품들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보다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전자기기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지셀 케이스 외면에 형성된 안테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테나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지셀 케이스 외면에 형성된 안테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안테나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지셀 케이스 외면에 형성된 안테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지셀 케이스 외면에 형성된 안테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셀(100)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면(101)과 하면(102)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진 케이스(110) 내에 전지요소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안테나(120)는 전지셀(100)의 케이스(110) 외면들(101, 102, 103) 중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상면(101)과 이에 인접한 전면(103)에 걸쳐, 도전성 도료가 직접 패턴화 코팅됨으로써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지셀(100)의 케이스(110)는 절연성의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스(110) 내의 전지요소로 인하여, 케이스(110)에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12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기적 신호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안테나(120)는 케이스(110)의 전면(103)에 위치한 제 1 단부(121) 및 제 2 단부(122)에 안테나 접지용 단자부(130)가 연결됨으로써,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의 안테나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전지셀 케이스(110)의 상면(101)에 패턴 코팅용 부재(210)를 위치시킨다.
패턴 코팅용 부재(210)는 판상 구조로서, 안테나(120) 패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턴(211)이 관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패턴 코팅용 부재(210)는 전지셀 케이스(110)의 상면(101)과 전면(103)에 걸쳐 안테나(120)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전면(103)에 대응하는 부위(212)가 절곡되어 위치한다.
이후에, 도전성 도료(221)가 노즐(220)을 통해 분사되어 케이스(110)의 상면(101)과 전면(103)에 걸쳐 부가된다.
이후에, 도전성 도료(221)에 의해 형성된 안테나(120) 패턴을 건조시키고, 안테나(120) 패턴의 제 1 단부(121)와 제 2 단부(122)에 안테나 접지용 단자부(130)를 연결함으로써, 케이스(110) 상에 안테나(120)가 형성된 전지셀(100)을 완성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지셀 케이스 외면에 형성된 안테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지셀(300)의 케이스(310) 외면들(301, 302, 303) 중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상면(301)과 이에 인접한 전면(303)에 걸쳐, 박막형 필름(340)이 부가되어 있고, 안테나(320)는 도전성 도료가 박막형 필름(340)의 외면에 패턴화 코팅됨으로써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박막형 필름(340)과 전지셀(300)의 케이스(310) 외면 사이에는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점착성 물질이 부가되어 있다.
박막형 필름(340)은 전지셀(300)의 케이스(310) 외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부가되어 있어, 전지셀(300)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전지셀에 부착함으로써,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도 1의 전지셀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는 도 3의 안테나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박막형 필름(340) 상에 패턴 코팅용 부재(410)를 위치시킨다.
패턴 코팅용 부재(410)는 판상 구조로서, 안테나(320) 패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턴(411)이 관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후에, 도전성 도료(421)가 노즐(420)을 통해 분사되어 박막형 필름(340)의 외면에 부가된다.
이후에, 도전성 도료(421)에 의해 형성된 안테나(320) 패턴을 건조시키고, 전지셀 케이스(310)의 상면(301)과 전면(303)에 걸쳐 안테나(320)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박막형 필름(340)은 전지셀 케이스(310)의 전면(303)에 대응하는 부위(323)가 절곡되어, 전지셀 케이스(310)의 상면(301)과 전면(303)에 걸쳐 부착된다.
안테나(320) 패턴의 제 1 단부(321)와 제 2 단부(322)에 안테나 접지용 단자부(330)를 연결함으로써, 케이스(310) 상에 안테나(320)가 형성된 전지셀(300)을 완성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지셀 케이스 외면에 형성된 안테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안테나(520)는 전지셀(500)의 케이스(510) 외면들(501, 502, 503) 중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상면(101)과 이에 인접한 전면(503) 및 일 측면(502)에 걸쳐, 도전성 도료가 직접 패턴화 코팅됨으로써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520)는 케이스(510)의 상면 부위에서 절곡된 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 부위 및 일 측면 부위에서 중공형의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접지용 단자부(530)가 연결되는 안테나(520)의 제 1 단부(521) 및 제 2 단부(522)는 케이스(510)의 전면(503)에서 일측 모서리 부위에 위치해 있다.
상기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도 1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2)

  1. 전자기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한 안테나를 수용하는 전지 셀에 있어서,
    상기 전지 셀은,
    절연성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져 셀을 수용하는 전지 셀 케이스;
    상기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
    접지용 단자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은,
    그 외면에 도전성 도료의 패턴화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을구비하고,
    절곡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패턴화 코팅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포함하되, 전지셀 케이스의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상면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인접한 전면에 대응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은 상기 전지 셀 케이스 외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절곡부에 의해 구분되는 제2 영역은 안테나 패턴의 단부를 포함하되, 절곡되어 상기 전지셀 케이스 외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부위가 아닌 전지셀 케이스의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접지용 단자부는,
    상기 전지셀 케이스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안테나 패턴의 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외부장치와의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과 전지셀의 케이스 외면 사이에는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점착성 또는 접착성 물질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은,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더하여, 전지셀 케이스의 측면에 대응하는 제3 영역과 제3 영역을 구분하여 절곡하는 제2 절곡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패턴화 코팅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지셀 케이스의 측면으로 절곡되어 부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관통 형상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 코팅용 부재를 상기 박막형 필름 또는 라벨 상에 위치 시킨 상태에서, 도전성 도료를 상기 패턴 코팅용 부재 상에 부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도료는 구리, 청동, 황동, 철, 니켈, 알루미늄, 금, 은 및 카본으로 이루어 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액상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도료가 부가되는 방식은 스프레이 코팅 방식, 잉크젯 인쇄 방식, 슬릿 코팅 방식, 다이 코팅 방식, 스핀 코팅, 및 스퍼터링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13. 삭제
  14. 청구항 1항에 따른 전지 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60070290A 2016-06-07 2016-06-07 도전성 도료로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144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290A KR102144921B1 (ko) 2016-06-07 2016-06-07 도전성 도료로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290A KR102144921B1 (ko) 2016-06-07 2016-06-07 도전성 도료로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197A KR20170138197A (ko) 2017-12-15
KR102144921B1 true KR102144921B1 (ko) 2020-08-14

Family

ID=6095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290A KR102144921B1 (ko) 2016-06-07 2016-06-07 도전성 도료로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187A (ko) * 2021-03-26 2022-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도금층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그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350B1 (ko) * 2008-11-17 2009-06-05 (주)애니쿼터스 스티커 부착형 루프안테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89B1 (ko) * 2004-12-16 2010-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테나가 장착되어 있는 이차전지
KR20100080109A (ko) * 2008-12-31 2010-07-08 동남산업주식회사 루프안테나 형성방법
KR101297195B1 (ko) * 2011-08-04 2013-08-16 이기수 안테나 일체형 케이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350B1 (ko) * 2008-11-17 2009-06-05 (주)애니쿼터스 스티커 부착형 루프안테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197A (ko)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788B1 (ko) 결합부에서 전극 탭들의 크기가 동일한 전극조립체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전기화학 셀
KR101693916B1 (ko) 전기 화학 디바이스
CN101312244B (zh) 电极组件及使用该电极组件的二次电池
US20110165444A1 (en) sort of li-ion power cell
US20100261049A1 (en) high power, high energy and large area energy storage devices
US8187343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ell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ell
US8369095B2 (en) Protection circuit board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US10547086B2 (en) Secondary battery
CN108604667B (zh) 包括电极保护层的用于二次电池的电极
KR101741412B1 (ko) 이차 전지용 집전체와 전극 및 이를 포함한 이차 전지
JP2017199662A (ja) 電池、および、電池製造方法、および、電池製造装置
KR102144921B1 (ko) 도전성 도료로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106463698B (zh) 二次电池和用于制造其的方法
CN101930852A (zh) 双电层电容器及其电极和电极的制造方法
KR102265846B1 (ko) 전극단자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KR102437089B1 (ko) 라벨 필름을 갖는 이차 전지,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차 전지용 라벨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751005B1 (ko) 탄성 복원력을 갖는 휘어진 형상의 전극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63265B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트리밍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US20110170234A1 (e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N113853709B (zh) 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KR102257298B1 (ko) 접지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장치
KR20160013688A (ko) 결합력의 향상을 위한 구조의 전극리드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US20130143099A1 (en) Lithium ion battery
CN102568832B (zh) 电化学装置
KR102398572B1 (ko) 압전 소자 및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