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841B1 - 관통 슬리브 구조체 - Google Patents

관통 슬리브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841B1
KR102144841B1 KR1020200044056A KR20200044056A KR102144841B1 KR 102144841 B1 KR102144841 B1 KR 102144841B1 KR 1020200044056 A KR1020200044056 A KR 1020200044056A KR 20200044056 A KR20200044056 A KR 20200044056A KR 102144841 B1 KR102144841 B1 KR 10214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frame
fixing
fixing fram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841B9 (ko
Inventor
유미순
Original Assignee
유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0502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448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미순 filed Critical 유미순
Priority to KR1020200044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841B1/ko
Publication of KR10214484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84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 슬리브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화하여 현장 시공이 편리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관통 구조를 유지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 철거가 용이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두부 테두리(110)로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20)가 지면 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22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두부(100)와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서 지면 방향으로 지면 테두리(210)까지 지면과 수직한 진행 방향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외부에는 외면(230)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230)의 내측으로 내면(240)이 상기 중공부(2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기 두부 테두리(110)와 상기 지면 테두리(210) 사이에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220)를 상부는 제 1 중공부(221)로 상기 제 1 중공부(221)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지면 테두리(210)까지는 제 2 중공부(222)로 분할되도록 상기 내면(240)을 따라서 원판 형상으로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300); 및 상기 지면 테두리(2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지면과 평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입설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저면 지지부(400);를 포함하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통 슬리브 구조체 { THROUGH SLEEVE STRUCTURE }
본 발명은 관통 슬리브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화하여 현장 시공이 편리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관통 구조를 유지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 철거가 용이하도록 두부, 베이스 프레임, 고정 프레임 및 저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아파트와 같은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할 때에는 슬래브(거푸집)층에 에어컨, 가스관, 수도관, 하수관, 전기, 통신케이블 등의 입상배관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 지점 또는 벽체의 거푸집에 슬리브(Sleeve)를 설치하며 시공하게 된다.
또한, 공공주택 등의 세면 욕조실 바닥에 배수관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층에 미리 매설되는 관통 슬리브는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이 삽입 관통되게 중공된 내통(11)과, 상기 내통(11) 외주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외통(10)과, 상기 내통(11)과 외통(10)의 이격된 사이에 단열재인 보온발포재(14)가 충진되고, 상기 내통(11)과 외통(10) 사이가 덮여지도록 하부면에 구비된 하판(13)과, 상기 내통(11)과 외통(10) 사이가 덮여지도록 상부면에 구비된 상판(12)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13)에서 연장되되 상기 외통(10) 외주면 하단에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중심에 고정홀(150)이 천공된 다수의 고정브라켓(15)이 형성되며, 보온발포재(14)는 단열재로 이루어져 상기 외통(10) 외주면에 접촉되는 외부의 온도가 상기 내통(10) 내주면에 접촉되는 배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볼트 및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물기가 많은 화장실 또는 주방의 하수구에 설치된 관통 슬리브의 경우 습기에 의해 상기 볼트 및 너트가 쉽게 부식되어 파손되거나 이에 따른 수리 및 교체해 주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 타설에서 양생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횡압에 저항하는 관통 슬리브의 횡 저항력이 약하며, 콘크리트 타설시 작업자의 실수로 관통 슬리브를 타격하는 경우에 콘크리트에서 탈거되거나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재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되는 것이다.
여기에, 다수의 보울트 및 너트 고정으로 인한 형장 시공 시간이 길어지며 이는 곧 시공비의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5174호(2007년01월10일 등록)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화하여 현장 시공이 편리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관통 구조를 유지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 철거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두부 테두리(110)로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20)가 지면 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22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두부(100)와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서 지면 방향으로 지면 테두리(210)까지 지면과 수직한 진행 방향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외부에는 외면(230)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230)의 내측으로 내면(240)이 상기 중공부(2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200)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두부 테두리(110)와 상기 지면 테두리(210) 사이에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220)를 상부는 제 1 중공부(221)로 상기 제 1 중공부(221)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지면 테두리(210)까지는 제 2 중공부(222)로 분할되도록 상기 내면(240)을 따라서 원판 형상으로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300)과 상기 지면 테두리(2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지면과 평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입설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저면 지지부(400)로 콘트리트의 하중을 용이하게 버틸 수 있도록 하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중심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중심 고정홀(310)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 고정홀(310) 주위에는 고정부재수용홈(311)이 더 구비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300)으로 내부 공간을 용이하게 비울 수 있도록 하는 슬리브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기 내면(24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이 만나는 위치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서 사전칼선(330)이 구비되며, 상기 사전칼선(330)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두께의 1/3 내지 1/2로 두께로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 전체 또는 일부에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교대로 구비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을 제거할 시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고정부재수용홈(311)에 치합되어 삽입되도록 원판형상의 고정두부(510)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 치합되어 삽입되는 고정미부(520)로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재수용홈(311)의 직경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 직경의 1/10 내지 1/5보다 더 크게 구비하여, 상기 고정두부(510)의 직경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 직경의 1/10 내지 1/5보다 더 크게 구비하여 작업시 필요한 고정부재의 개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두께가 감소하도록 구비되어 단면이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진 경사면(320)으로 구비하여 슬리브 구조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견디되, 필요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제거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돌기(340)가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하나나 양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면(230)에는 콘크리트 접착돌기(231)이 복수 개 불규칙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면(240)은 매끄럽게 구비되며, 상기 두부 테두리(110)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 내입되는 형상으로 상기 개구부(120)를 커버하도록 측면이 원통 형상인 커버재(130)로 내부에 불필요한 물질의 수용을 방지하고 표면적을 넓혀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관통 슬리브 구조체는 먼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두부 테두리(110)로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20)가 지면 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22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두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서 지면 방향으로 지면 테두리(210)까지 지면과 수직한 진행 방향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외부에는 외면(230)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230)의 내측으로 내면(240)이 상기 중공부(2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부 테두리(110)와 상기 지면 테두리(210) 사이에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220)를 상부는 제 1 중공부(221)로 상기 제 1 중공부(221)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지면 테두리(210)까지는 제 2 중공부(222)로 분할되도록 상기 내면(240)을 따라서 원판 형상으로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지면 테두리(2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지면과 평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입설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저면 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중심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중심 고정홀(310)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 고정홀(310) 주위에는 고정부재수용홈(3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기 내면(24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이 만나는 위치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서 사전칼선(3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전칼선(330)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두께의 1/3 내지 1/2로 두께로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 전체 또는 일부에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교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고정부재수용홈(311)에 치합되어 삽입되도록 원판형상의 고정두부(510)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 치합되어 삽입되는 고정미부(520)로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재수용홈(311)의 직경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 직경의 1/10 내지 1/5보다 더 크게 구비하여, 상기 고정두부(510)의 직경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 직경의 1/10 내지 1/5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300)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두께가 감소하도록 구비되어 단면이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진 경사면(320)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300)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돌기(340)가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하나나 양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면(230)에는 콘크리트 접착돌기(231)이 복수 개 불규칙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면(240)은 매끄럽게 구비되며, 상기 두부 테두리(110)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 내입되는 형상으로 상기 개구부(120)를 커버하도록 측면이 원통 형상인 커버재(1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관통 슬리브 구조체를 제공하여,
첫째, 구조가 단순화하여 현장 시공이 편리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관통 구조를 유지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 철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두부 테두리(110)로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20)가 지면 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22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두부(100)와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서 지면 방향으로 지면 테두리(210)까지 지면과 수직한 진행 방향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외부에는 외면(230)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230)의 내측으로 내면(240)이 상기 중공부(2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200)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두부 테두리(110)와 상기 지면 테두리(210) 사이에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220)를 상부는 제 1 중공부(221)로 상기 제 1 중공부(221)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지면 테두리(210)까지는 제 2 중공부(222)로 분할되도록 상기 내면(240)을 따라서 원판 형상으로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300)과 상기 지면 테두리(2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지면과 평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입설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저면 지지부(400)로 콘트리트의 하중을 용이하게 버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중심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중심 고정홀(310)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 고정홀(310) 주위에는 고정부재수용홈(311)이 더 구비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300)으로 내부 공간을 비워둘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기 내면(24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이 만나는 위치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서 사전칼선(330)이 구비되며, 상기 사전칼선(330)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두께의 1/3 내지 1/2로 두께로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 전체 또는 일부에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교대로 구비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을 제거할 시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고정부재수용홈(311)에 치합되어 삽입되도록 원판형상의 고정두부(510)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 치합되어 삽입되는 고정미부(520)로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재수용홈(311)의 직경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 직경의 1/10 내지 1/5보다 더 크게 구비하여, 상기 고정두부(510)의 직경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 직경의 1/10 내지 1/5보다 더 크게 구비하여 작업시 필요한 고정부재의 개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두께가 감소하도록 구비되어 단면이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진 경사면(320)으로 구비하여 슬리브 구조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견디되, 필요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여덟째,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돌기(340)가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하나나 양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면(230)에는 콘크리트 접착돌기(231)이 복수 개 불규칙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면(240)은 매끄럽게 구비되며, 상기 두부 테두리(110)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 내입되는 형상으로 상기 개구부(120)를 커버하도록 측면이 원통 형상인 커버재(130)로 내부에 불필요한 물질의 수용을 방지하고 표면적을 넓혀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구조체의 구성과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7 내지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구조체의 고정 프레임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3 내지 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구조체의 고정 프레임이 고정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6 및 17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구조체의 뚜껑과 하부 지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구조체와 선출원 문헌의 관통 슬리브를 비교하기 위한 선출원 문헌의 발췌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구조체의 구성과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7 내지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구조체의 고정 프레임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13 내지 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구조체의 고정 프레임이 고정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6 및 17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구조체의 뚜껑과 하부 지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1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구조체와 선출원 문헌의 관통 슬리브를 비교하기 위한 선출원 문헌의 발췌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통 슬리브 구조체는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두부 테두리(110)로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20)가 지면 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220)와 연결되도록 두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두부(100)를 통하여 작업자가 콘크리트 타설전에 관통 슬리브 구조체를 고정 부재로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두부(100)는 콘크리트 타설시 뚜껑 부재로 커버되는 것이며, 콘크리트 양생 이후에는 뚜껑을 개방하고 고정 부재를 제거하거나 탈거하는 개방된 작업 공간이 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서 지면 방향으로 지면 테두리(210)까지 지면과 수직한 진행 방향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외부에는 외면(230)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230)의 내측으로 내면(240)이 상기 중공부(220)를 형성하도록 베이스 프레임(200)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두부 테두리(110)와 상기 지면 테두리(210) 사이에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220)를 상부는 제 1 중공부(221)로 상기 제 1 중공부(221)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지면 테두리(210)까지는 제 2 중공부(222)로 분할되도록 상기 내면(240)을 따라서 원판 형상으로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300)이 구비된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300)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로 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가해지는 황 압력을 견디도록 하는 동시에, 콘크리트 양생시후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가해지는 타격으로 탈거되어 원통 형상의 중공이 형성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면 테두리(2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지면과 평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입설 고정하도록 저면 지지부(400)로 지지 능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중심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중심 고정홀(310)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가설된 지지체에 부착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중심 고정홀(310) 주위에는 고정부재수용홈(311)이 더 구비되어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결착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기 내면(24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이 만나는 위치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서 사전칼선(3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사전칼선(330)을 통하여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가해지는 작업자의 타격력이나, 하부에서 잡아당기는 인장력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300)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으로 부터 간편하게 탈거되는 동시에 탈거 후 매끈한 중공부가 형성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전칼선(330)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두께의 1/3 내지 1/2로 두께로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 전체 또는 일부에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교대로 구비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된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고정부재수용홈(311)에 치합되어 삽입되도록 원판형상의 고정두부(510)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 치합되어 삽입되는 고정미부(520)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수용홈(311)의 직경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 직경의 1/10 내지 1/5보다 더 크게 구비하고 이에 부합되는 직경 크기를 갖도록 상기 고정두부(510)의 직경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 직경의 1/10 내지 1/5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타격하는 경우에 타격 면적을 넓히는 동시에, 상기 고정 프레임(300)에 가해지는 타격력이 골고루 전달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300)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으로 부터 손쉽게 탈거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300)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두께가 감소하도록 구비되어 단면이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진 경사면(320)으로 구비되어 콘크리트로 인한 횡 압력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동시에 타격으로 인한 탈거는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300)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돌기(340)가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하나나 양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횡 압력에 저항성을 높이도록 한다.
상기 외면(230)에는 콘크리트 접착돌기(231)이 복수 개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콘크리트 접착력을 높이며, 상기 내면(240)은 매끄럽게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두부 테두리(110)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 내입되는 형상으로 상기 개구부(120)를 커버하도록 측면이 원통 형상인 커버재(130)로 콘크리트 타설에서부터 양생까지 중공부의 오염을 방지 및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를 이용하면, 구조가 단순화하여 현장 시공이 편리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관통 구조를 유지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 철거가 용이하며,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두부 테두리(110)로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20)가 지면 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22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두부(100)와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서 지면 방향으로 지면 테두리(210)까지 지면과 수직한 진행 방향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외부에는 외면(230)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230)의 내측으로 내면(240)이 상기 중공부(2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200)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두부 테두리(110)와 상기 지면 테두리(210) 사이에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220)를 상부는 제 1 중공부(221)로 상기 제 1 중공부(221)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지면 테두리(210)까지는 제 2 중공부(222)로 분할되도록 상기 내면(240)을 따라서 원판 형상으로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300)과 상기 지면 테두리(2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지면과 평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입설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저면 지지부(400)로 콘트리트의 하중을 용이하게 버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중심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중심 고정홀(310)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 고정홀(310) 주위에는 고정부재수용홈(311)이 더 구비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300)으로 내부 공간을 비워둘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기 내면(24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이 만나는 위치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서 사전칼선(330)이 구비되며, 상기 사전칼선(330)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두께의 1/3 내지 1/2로 두께로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 전체 또는 일부에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교대로 구비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을 제거할 시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고정부재수용홈(311)에 치합되어 삽입되도록 원판형상의 고정두부(510)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 치합되어 삽입되는 고정미부(520)로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재수용홈(311)의 직경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 직경의 1/10 내지 1/5보다 더 크게 구비하여, 상기 고정두부(510)의 직경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 직경의 1/10 내지 1/5보다 더 크게 구비하여 작업시 필요한 고정부재의 개수를 최소화 하며,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두께가 감소하도록 구비되어 단면이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진 경사면(320)으로 구비하여 슬리브 구조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견디되, 필요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제거가 용이하며,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돌기(340)가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하나나 양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면(230)에는 콘크리트 접착돌기(231)이 복수 개 불규칙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면(240)은 매끄럽게 구비되며, 상기 두부 테두리(110)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 내입되는 형상으로 상기 개구부(120)를 커버하도록 측면이 원통 형상인 커버재(130)로 내부에 불필요한 물질의 오염을 방지하고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두부
110 ... 두부 테두리
120 ... 개구부
130 ... 커버재
200 ... 베이스 프레임
210 ... 지면 테두리
220 ... 중공부
221 ... 제 1 중공부
222 ... 제 2 중공부
230 ... 외면
240 ... 내면
300 ... 고정 프레임
310 ... 중심 고정홀
311 ... 고정부재수용홈
320 ... 경사면
330 ... 사전칼선
340 ... 지지돌기
400 ... 저면 지지부
500 ... 고정부재
510 ... 고정두부
520 ... 고정미부

Claims (6)

  1.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두부 테두리(110)로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20)가 지면 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22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두부(100);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서 지면 방향으로 지면 테두리(210)까지 지면과 수직한 진행 방향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외부에는 외면(230)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230)의 내측으로 내면(240)이 상기 중공부(2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200);
    상기 두부 테두리(110)와 상기 지면 테두리(210) 사이에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220)를 상부는 제 1 중공부(221)로 상기 제 1 중공부(221)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지면 테두리(210)까지는 제 2 중공부(222)로 분할되도록 상기 내면(240)을 따라서 원판 형상으로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300); 및
    상기 지면 테두리(2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지면과 평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입설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저면 지지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중심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30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중심 고정홀(310)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 고정홀(310) 주위에는 고정부재수용홈(311)이 더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기 내면(240)과 상기 고정 프레임(300)이 만나는 위치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서 사전칼선(3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칼선(330)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두께의 1/3 내지 1/2로 두께로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 전체 또는 일부에 상기 고정 프레임(3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교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고정부재수용홈(311)에 치합되어 삽입되도록 원판형상의 고정두부(510)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 치합되어 삽입되는 고정미부(520)로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재수용홈(311)의 직경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 직경의 1/10 내지 1/5보다 더 크게 구비하여 상기 고정두부(510)의 직경은 상기 고정 프레임(300) 직경의 1/10 내지 1/5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300)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두께가 감소하도록 구비되어 단면이 중심에서 외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진 경사면(320)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300)은,
    상기 중심 고정홀(3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돌기(340)가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하나나 양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면(230)에는 콘크리트 접착돌기(231)이 복수 개 불규칙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면(240)은 매끄럽게 구비되며 상기 두부 테두리(110)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상기 두부 테두리(110)에 내입되는 형상으로 상기 개구부(120)를 커버하도록 측면이 원통 형상인 커버재(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슬리브 구조체.

KR1020200044056A 2020-04-10 2020-04-10 관통 슬리브 구조체 KR10214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56A KR102144841B1 (ko) 2020-04-10 2020-04-10 관통 슬리브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56A KR102144841B1 (ko) 2020-04-10 2020-04-10 관통 슬리브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841B1 true KR102144841B1 (ko) 2020-08-14
KR102144841B9 KR102144841B9 (ko) 2022-12-15

Family

ID=7205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056A KR102144841B1 (ko) 2020-04-10 2020-04-10 관통 슬리브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8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174Y1 (ko) 2006-08-14 2007-01-10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배관보온기능을 갖는 바닥관통 슬리브
KR20100013100U (ko) * 2009-06-25 2010-12-31 강원구 체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관통 슬리브 고정대
KR20140000051U (ko) * 2012-06-22 2014-01-07 하철상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174Y1 (ko) 2006-08-14 2007-01-10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배관보온기능을 갖는 바닥관통 슬리브
KR20100013100U (ko) * 2009-06-25 2010-12-31 강원구 체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관통 슬리브 고정대
KR20140000051U (ko) * 2012-06-22 2014-01-07 하철상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841B9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47772U (zh) 一种厨卫间排水主立管预埋套管
KR102144841B1 (ko) 관통 슬리브 구조체
CN111719582A (zh) 一种lng储罐隔震垫螺柱预留孔结构、储罐及预留方法
CA2752360C (en) Tub box for plumbing installation
KR20160000702A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에 사용되는 체결부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브라켓의 설치구조와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구조물 구축구조와 방법
US20040231742A1 (en) Sleeve for toilet flanges and drains
CN110552378A (zh) 地下空间顶板沉降后浇带提前封闭结构
CN212294723U (zh) 一种lng储罐隔震垫螺柱预留孔结构及储罐
CN107905351B (zh) 一种超长地下车库外墙结构及其施工方法
JP4403506B2 (ja) マンホール蓋の交換方法、交換用合成樹脂製蓋およびマンホール
GB2030203A (en) Forming drainage passages
JPH0244967B2 (ja) Haisuishoriso
CN211817667U (zh) 一种装配式架空回填结构及其卫生间
WO2014134700A1 (en) Tub box for plumbing installation
EP0434725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laying waste pipes in hollow flooring blocks
CN218952684U (zh) 自渗水卫浴间地面营造系统
CN111771804B (zh) 一种下沉式养殖桶的安装结构及安装方法
JP3232903U (ja) 床スリーブ
CN218292533U (zh) 一种一体化高层建筑屋面防水结构
CN216640814U (zh) 一种井室渗漏快速止水装置
JPH0130505Y2 (ko)
CN215977527U (zh) 卫生间双重节能排水结构
CN220226068U (zh) 一种预制烟气管道安装用的支撑装置
KR200350364Y1 (ko) 제수변용 맨홀
CN212153458U (zh) 一种市政工程用装配式燃气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70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913

Effective date: 2022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