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556B1 -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556B1
KR102144556B1 KR1020180138322A KR20180138322A KR102144556B1 KR 102144556 B1 KR102144556 B1 KR 102144556B1 KR 1020180138322 A KR1020180138322 A KR 1020180138322A KR 20180138322 A KR20180138322 A KR 20180138322A KR 102144556 B1 KR102144556 B1 KR 102144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heme
terminal
su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209A (ko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뎀마이크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뎀마이크로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뎀마이크로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138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5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Image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 H04N9/75Chroma ke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시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는, 테마이미지를 하나 이상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제1단말로부터 테마식별정보를 획득하며 제2단말로부터 획득된 획득이미지로부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객체이미지를 추출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객체이미지를 상기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와 합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EXPERIENCE BASED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되는 모습을 확인하면서 실시간으로 다른 이미지와 합성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휴대용 단말기, 특히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활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제작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일 예로, 사용자의 모습을 다른 이미지와 합성하여 표시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모습을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 촬영된 모습을 다른 이미지와 합성해볼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합성 이미지를 표시해주나, 합성 이미지를 스마트폰을 통해서만 제한적으로 확인할 수밖에 없으며, 촬영의 품질이 좋지 않아 합성된 이미지를 출력하면 화질이 떨어지고 합성의 정교함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정교한 이미지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는 스마트폰이 아닌 스튜디오에서 전문사진사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나, 전문사진사를 통해 촬영하는 비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촬영 장소도 제약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 10-2000-0030756 호에서는 2차원의 의류상품의 이미지를 합성하고 소비자의 체형 및 얼굴과 동일한 마네킹을 합성하여 코디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에 대해 기재하고 있을 뿐이어서 이미지 합성에 대해 제안할 뿐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실시간으로 테마와 합성된 사용자의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누구나 손쉽게 테마이미지에 자신의 모습을 합성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촬영 피사체인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는, 테마이미지를 하나 이상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제1단말로부터 테마식별정보를 획득하며 제2단말로부터 획득된 획득이미지로부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객체이미지를 추출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객체이미지를 상기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와 합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은 제1단말로부터 테마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2단말로부터 획득된 획득이미지로부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객체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객체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객체이미지를 상기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와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체험형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피사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1단말,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단말, 및 상기 제1단말로부터 테마식별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이미지부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객체이미지를 추출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객체이미지를 상기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와 합성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은 제1단말로부터 테마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2단말로부터 획득된 획득이미지로부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객체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객체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객체이미지를 상기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와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은 제1단말로부터 테마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2단말로부터 획득된 획득이미지로부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객체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객체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객체이미지를 상기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와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테마와 합성된 사용자의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누구나 손쉽게 테마이미지에 자신의 모습을 합성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촬영 피사체인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은,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체험형 콘텐츠의 프린트 출력을 요청하거나 체험형 콘텐츠의 생성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사용자가 입출력부(110)를 통해 객체이미지를 직접 보정하여 정교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제1단말로부터 테마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테마식별정보는 제1단말에 의해 생성된 제1이미지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120)는 제1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테마식별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물론 제어부(120)는 테마식별정보 만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제1단말’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말은 합성용 스크린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피사체(사용자 또는 물건 등)를 촬영하여 제1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단말은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와 통신하는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어 피사체를 촬영하여 테마이미지를 합성하여 제1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1단말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이미지를 제1단말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제1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이미지를 가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자신의 모습이 테마이미지와 합성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이 어떠한 테마이미지를 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단말을 통해 복수 개의 테마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모습이 테마이미지와 합성된 모습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확인하고, 자신이 원하는 테마이미지가 있다면 사용자는 제1단말을 통해 테마이미지가 선택될 때 제2단말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2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용 스크린(210) 앞에 사용자(200)가 위치하면, 제1단말(10)은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제1단말(10)은 촬영한 이미지를 테마이미지와 합성하여 합성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미러링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제1단말(10)이 촬영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테마식별정보’는 제2단말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와 합성될 테마이미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제1단말에서 소정의 테마이미지가 선택되었을 때의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말에서 소정의 테마이미지가 선택되었을 때 제1단말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위치정보를 테마식별정보로 포함하거나, 상기 테마이미지가 선택된 동안의 날짜와 시간에 관한 시간정보를 테마식별정보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마식별정보’는 제1단말에 대응되는 제2단말의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련하여 테마식별정보에 제2단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메모리(140)에 제1단말에 대응되는 제2단말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단말’은 제1단말과 함께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를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가 될 수 있다. 제2단말은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 카메라, 미러리스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단말에 의해 촬영된 제2이미지는 피사체의 모습이 포함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제2단말은 제1단말과 근접하여 위치함으로써 제1단말이 피사체를 촬영하는 구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도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단말의 식별정보를 제1단말은 획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2단말에 부착된 코드(바코드 또는 QR코드 등)를 촬영함으로써 제2단말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거나, RFID 또는 NFC 등을 이용하여 제2단말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거나, 제2단말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1단말로 사용자가 입력함으로써 제2단말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테마식별정보’는 테마이미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말에서 소정의 테마이미지가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테마이미지에 관한 정보와 함께 시간정보가 테마식별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20)는 소정의 날짜의 소정 시간에 어떤 테마이미지가 이용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10월 10일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제2단말을 통해 촬영이 진행되었다면 총 6시간에 해당되는 시간 로그에서 각 시간마다 어떤 테마로 촬영되었는지를 제1단말로부터 획득된 테마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테마식별정보로부터 10월 10일 오후 1시부터 1시 10분까지 테마이미지 K가 이용되었다면, 오후 1시부터 1시 10분 동안 제2단말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는 테마이미지 K에 매칭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제2단말로부터 제2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2이미지에는 제2이미지의 생성 시의 날짜와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정보가 삽입될 수 있으며, 또는 제2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단말의 위치정보가 삽입될 수 있고, 또는 제2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제2단말의 식별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단말이 카메라로 구현되면, 제2단말은 EXIF (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라는 형식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2이미지에 저장할 수 있는데, 날짜 등을 포함하는 시간정보, 카메라를 다른 카메라와 구별할 수 있는 카메라식별정보, 및 제2단말의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제2이미지로부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객체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피사체는 합성용 스크린 앞에 위치한 채로 촬영되기 때문에, 크로마키(chroma-key) 기법 등을 이용하여 제2이미지로부터 객체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제2단말에 의해 피사체가 촬영될 때 피사체의 뒤에는 합성용 스크린이 위치하여 손쉽게 피사체 이미지를 추출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가 라이트블루 스크린 앞에 위치한 채로 촬영된 제2이미지에서, 블루계통의 이미지를 제거함에 따라 객체이미지만을 남길 수 있다.
다만, 크로마키 과정에서 피사체 이외의 부분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크로마키 처리된 제2이미지를 흑백 반전시키고 그에 따라 피사체의 영역을 까만색으로, 나머지 영역을 하얀색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흑백이미지 중 소정 크기의 영역을 차지하는 오브젝트를 주(主)오브젝트로 결정하고, 결정된 주오브젝트와 연결되지 않은 흑색 이미지의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피사체 이외의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흑백이미지에서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하는 주오브젝트 이외의 흑색 영역을 모두 제거하고 남은 흑색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객체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관련하여 제어부(120)는 주오브젝트와 연결되지 않지만, 피사체의 일부를 촬영한 것일 수도 있는 흑색 영역을 제거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을 던지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한 제2이미지에서는 주오브젝트인 사용자의 이미지와 연결되지 않은 공의 이미지도 추출해내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흑백반전 처리된 제2이미지 중 주오브젝트와 연결되지 않은 흑색이미지의 형상, 경계의 스무딩 정도, 크기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흑백반전 처리된 흑색이미지 중 주오브젝트와 연결되지 않은 흑색이미지 중에서, 경계가 거친 흑색이미지의 부분은 제거하고 경계가 매끄럽다고 판단되는 흑색이미지 부분은 제거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주오브젝트와 연결되지 않은 흑색이미지 중 소정 이상의 크기를 갖는 흑색이미지는 제거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주오브젝트와 연결되지 않은 흑색이미지 중 소정의 형상이 아닌 형상을 갖는 부분은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주오브젝트와 연결되지 않은 흑색이미지 중 해상도가 주오브젝트와 상이한 부분은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최종 남은 흑색이미지에 대응되는 부분을 객체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제2이미지로부터 객체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객체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객체이미지의 크기를 스케일링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기설정된 크기로 객체이미지의 크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이때 객체이미지는 최소 1차원 내지 3차원의 이미지일 수 있는데, 객체이미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와 동일하거나 소정의 범위 내가 되도록 객체이미지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이미지의 x축의 크기와 기설정된 x축의 크기가 동일해지도록 제어부(120)는 객체이미지를 스케일링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객체이미지의 y축의 크기가 기설정된 y축의 크기와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스케일링된 객체이미지의 중심값을 기설정된 기준값에 맞도록 기준이미지에서의 객체이미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테마이미지는 둘 이상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레이어 중 어느 하나가 기준이미지 레이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이미지는 객체이미지가 합성될 테마이미지에서 배경의 역할을 하는 배경이미지일 수 있다.
객체이미지의 ‘중심값’은, 객체이미지가 합성될 테마이미지에 따라 각기 상이한 좌표가 중심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이미지를 에워싸면서 객체이미지의 가장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의 x축과 객체이미지의 가장 아래에서부터 위까지의 y축으로 이루어진 바운딩박스에서 중심이 되는 값(바운딩박스의 x축의 중간값 및 y축의 중간값)을 중심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객체이미지를 구성하는 소정의 지점을 중심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3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는 스케일링된 객체이미지이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객체이미지를 에워싸면서 객체이미지의 가장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의 x축과 객체이미지의 가장 아래에서부터 위까지의 y축으로 이루어진 바운딩박스(311)의 내부 중점이 객체이미지의 중심값(310)이 될 수 있다. 또는 테마이미지에 따라 상기 객체이미지 중 소정의 지점으로 결정되는 지점을 중심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이미지를 구성하는 사람의 손가락 끝의 지점을 중심값(3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결정된 중심값이 소정의 기준값에 맞춰지도록 제어부(120)는 객체이미지를 테마이미지에 합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중심값이 소정의 기준값에 맞춰진 객체이미지 중 소정의 범위를 벗어난 부분을, 제어부(120)는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이미지의 중심값이 기준값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객체이미지 중 기준이미지의 영역을 벗어나는 부분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보정된 객체이미지를 테마이미지와 합성하기 위해 합성될 테마이미지를 선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객체이미지가 추출된 제2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식별정보를 탐색하고, 탐색된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이미지로부터 카메라 식별정보 및 시간정보가 추출되면, 제어부(120)는 카메라 식별정보 및 시간정보 모두에 대응되는 테마식별정보를 탐색할 수 있고, 탐색된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테마이미지는 둘 이상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상기 레이어 중 두 레이어 사이, 또는 한 레이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객체이미지를 삽입시켜 객체이미지를 테마이미지에 합성할 수 있다. 또는 테마이미지는 둘 이상의 레이어로 구성되되 객체이미지가 삽입될 피사체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피사체 레이어에 객체이미지를 삽입함으로써 객체이미지를 테마이미지에 합성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된 테마이미지에 객체이미지를 합성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마이미지는 배경이미지 레이어(410), 추가이미지 레이어(420), 조정레이어(430)를 포함하고 있으며, 추가이미지 레이어(42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배경이미지 레이어(410)는 테마이미지의 배경으로 설정된 레이어이며, 추가이미지 레이어(420)는 배경에 추가하여 객체이미지에 합성될 이미지를 포함하는 레이어이며, 조정레이어(430)는 합성된 이미지의 온도, 빛, 톤을 조정하기 위한 레이어이다.
또한 테마이미지는 피사체 레이어(450)를 더 포함하고 있어 제어부(120)는 객체이미지를 피사체 레이어에 위치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마이미지와 객체이미지가 결합된 합성이미지(500)를 체험형 콘텐츠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객체이미지의 중심값이 기준값과 일치하도록 객체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파일,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140)에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출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합성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140)에는 테마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고, 또한, 테마이미지에 대응되는 테마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테마이미지 A를 이용했던 제1단말로부터 수신된 테마식별정보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테마이미지 A에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테마이미지 A에는 시간정보 및 제2단말의 식별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된 바에 따른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서버로 구현되거나 서버-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되거나, 전자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6 내지 도 8은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시스템(6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체험형 콘텐츠 생성 시스템(600)은 사용자단말(10), 카메라(20),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40) 및/또는 PC(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프린터(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서버(40) 및 PC(50)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0)을 통해 사용자는 테마 별로 자신이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를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10)은 테마가 변경될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테마식별정보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테마에서 카메라(20)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면 카메라(20)는 제2이미지를 PC(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이미지를 수신한 PC(50)는 서버(40)로부터 제2이미지에 대응되는 테마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테마이미지를 선정하거나, 제2이미지에 대응되는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를 서버(40)로부터 수신하여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PC(50)는 제2이미지로부터 객체이미지를 추출하고 보정한 이후, 보정한 객체이미지를 테마이미지와 합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PC(50)를 통해 합성이미지를 다듬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PC(50)와 연결된 프린터(60)를 통해 합성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자신이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확인하였던 자신의 모습을 고화질의 사진으로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테마에서 카메라(20)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면 카메라(20)는 제2이미지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이미지를 수신한 서버(40)는 제2이미지에 대응되는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를 선정하고, 제2이미지로부터 객체이미지를 추출하고 보정한 이후, 보정한 객체이미지를 테마이미지와 합성할 수 있다. 합성이미지는 서버(40)로부터 PC(50)로 전송될 수 있고 이때 사용자는 PC(50)를 통해 합성이미지를 다듬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PC(50)와 연결된 프린터(60)를 통해 합성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자신이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확인하였던 자신의 모습을 고화질의 사진으로 얻을 수 있다.
반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서버(40)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0)을 통해 사용자는 테마 별로 자신이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를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10)은 테마가 변경될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테마식별정보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테마에서 카메라(20)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면 카메라(20)는 제2이미지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이미지를 수신한 서버(40)는 제2이미지에 대응되는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를 선정하고, 제2이미지로부터 객체이미지를 추출하고 보정한 이후, 보정한 객체이미지를 테마이미지와 합성할 수 있다. 합성이미지를 서버(40)는 프린터(60)로 제공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이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확인하였던 자신의 모습을 고화질의 사진으로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PC(50)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0)을 통해 사용자는 테마 별로 자신이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를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10)은 테마가 변경될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테마식별정보를 PC(5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테마에서 카메라(20)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면 카메라(20)는 제2이미지를 PC(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이미지를 수신한 PC(50)는 제2이미지에 대응되는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를 선정하고, 제2이미지로부터 객체이미지를 추출하고 보정한 이후, 보정한 객체이미지를 테마이미지와 합성할 수 있다. PC(50)는 합성이미지를 프린터(60)로 제공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이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확인하였던 자신의 모습을 고화질의 사진으로 얻을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테마식별정보를 제1단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S910).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제2단말로부터 획득된 제2이미지로부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객체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S920).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제2이미지를 크로마킹하고 흑백반전 시킨 후 흑백반전된 이미지로부터 주오브젝트를 추출하며 주오브젝트와 연결되지 않은 부분은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주오브젝트와 연결되지 않은 부분은 삭제하되 주오브젝트와 연결되지 않은 흑색이미지의 형상, 경계, 크기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남은 흑색이미지에 대응되는 부분을 객체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객체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S930).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객체이미지를 스케일링할 수 있고, 또한 스케일링한 객체이미지의 중심값을 기설정된 기준값에 위치시킴으로써 객체이미지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보정된 객체이미지를,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와 합성할 수 있다 (S940). 테마이미지는 둘 이상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피사체 레이어에 테마이미지를 위치시킴으로써 테마이미지와 객체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테마이미지는 테마식별정보에 포함되는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제2단말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9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
110: 입출력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메모리
600: 체험형 콘텐츠 생성 시스템
10: 제1단말 20: 제2단말
30: 디스플레이 장치 40: 서버
50: PC 60: 프린터

Claims (15)

  1. 테마이미지를 하나 이상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피사체가 촬영된 영상에 테마이미지를 합성하는 제1단말로부터, 상기 피사체가 촬영된 영상에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상기 테마이미지가 적용된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가 포함된 테마식별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 1 단말과 함께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제2단말로부터 획득된 획득이미지로부터, 상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객체이미지를 추출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객체이미지를 상기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와 합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마식별정보에 포함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테마이미지를 선택하되, 상기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피사체가 촬영된 영상에 합성된 테마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테마이미지를 상기 보정된 객체이미지와 합성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이미지로부터 크로마킹하여 주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상기 주오브젝트에 연결되지 않은 부분을 삭제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이미지로부터 주오브젝트와 연결되지 않은 오브젝트는 삭제하되, 상기 주오브젝트에 연결되지 않은 오브젝트의 형상, 경계, 크기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준이미지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준크기 중 하나에 기초하여 객체이미지를 스케일링하며, 스케일링된 객체이미지의 중심값을 기설정된 기준값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객체이미지를 상기 테마이미지와 합성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마이미지에 포함되는 둘 이상의 레이어 중 피사체레이어에 대응되는 레이어에 상기 객체이미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객체이미지를 상기 테마이미지와 합성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
  7. 삭제
  8.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가 체험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피사체가 촬영된 영상에 테마이미지를 합성하는 제1단말로부터 상기 피사체가 촬영된 영상에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상기 테마이미지가 적용된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가 포함된 테마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과 함께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제2단말로부터 획득된 획득이미지로부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객체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객체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객체이미지를 상기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와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마이미지와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테마식별정보에 포함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테마이미지를 선택하되, 상기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피사체가 촬영된 영상에 합성된 테마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테마이미지를 상기 보정된 객체이미지와 합성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이미지를 크로마킹하여 주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상기 주오브젝트에 연결되지 않은 부분은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이미지로부터 주오브젝트와 연결되지 않은 오브젝트는 삭제하되, 상기 주오브젝트에 연결되지 않은 오브젝트의 형상, 경계, 크기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12. 삭제
  13.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피사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1단말;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단말; 및
    상기 제1단말로부터 테마식별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이미지로부터 상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객체이미지를 추출하여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객체이미지를 상기 테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테마이미지와 합성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는,
    상기 테마식별정보에 포함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테마이미지를 선택하되, 상기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피사체가 촬영된 영상에 합성된 테마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테마이미지를 상기 보정된 객체이미지와 합성하는, 체험형 콘텐츠 생성 시스템.
  14. 제 8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5. 체험형 콘텐츠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8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38322A 2018-11-12 2018-11-12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44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22A KR102144556B1 (ko) 2018-11-12 2018-11-12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22A KR102144556B1 (ko) 2018-11-12 2018-11-12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209A KR20200055209A (ko) 2020-05-21
KR102144556B1 true KR102144556B1 (ko) 2020-08-14

Family

ID=7091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322A KR102144556B1 (ko) 2018-11-12 2018-11-12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5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32031A1 (en) 2016-08-01 2018-02-01 Intege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hotorealistic human holographic augmented reality communication with interactive control in real-ti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822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실 인자를 반영하는 혼합 세계 생성 시스템 및 구현 방법
KR101227255B1 (ko) * 2010-03-17 2013-01-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마커 크기 기반 인터렉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증강 현실 시스템
KR102077108B1 (ko) * 2013-09-13 2020-0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 체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58607A (ko) * 2013-11-18 2015-05-29 인포뱅크 주식회사 이미지 출력 방법, 그를 이용한 단말기 및 서버 장치
KR101582651B1 (ko) * 2014-04-29 2016-01-06 주식회사 두드림 체험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9633A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플렉싱크 증강현실을 이용한 체험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1544A (ko) * 2016-01-04 2017-07-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체험 아이템 3d 복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32031A1 (en) 2016-08-01 2018-02-01 Intege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hotorealistic human holographic augmented reality communication with interactive control in real-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209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1894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200055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multimedia resource
JP6079297B2 (ja) 編集装置、編集方法、及び編集プログラム
US852096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generation images and editing of multiframe images
JP5757592B2 (ja) 超解像画像を生成する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10783702B2 (en) Imaging processing methods and systems using a target 3D model by performing 3D reconstruction on a target image
US2022016498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librating Surface Data Capture Devices
US9437026B2 (en) Image creating device, image cre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220385808A1 (en) Selfie setup and stock videos creation
JP6101661B2 (ja) 画像合成装置および画像合成方法ならびに画像合成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合成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CN103945116A (zh) 用于在具有相机的移动终端中处理图像的设备和方法
JP559684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0072813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2409103B1 (ko) 이미지 변형 방법
US10360943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diting video
KR102144556B1 (ko) 체험형 콘텐츠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2604279A (zh) 一种特效显示方法及装置
JP2017188787A (ja) 撮像装置、画像合成方法、および画像合成プログラム
US10297063B2 (en) Personalized game pieces
KR101738896B1 (ko) 패턴 복사를 이용한 가상 피팅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7750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104498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20200019361A (ko) 3차원 얼굴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823434B1 (en) Techniques for adaptive frame-based clip matching and fingerprinting
KR20190137386A (ko) 듀얼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형 디바이스를 이용한 포커스 콘텍스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