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113B1 -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113B1
KR102144113B1 KR1020190106396A KR20190106396A KR102144113B1 KR 102144113 B1 KR102144113 B1 KR 102144113B1 KR 1020190106396 A KR1020190106396 A KR 1020190106396A KR 20190106396 A KR20190106396 A KR 20190106396A KR 102144113 B1 KR102144113 B1 KR 102144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a
fire
time
ac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찬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06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전 화재발생시 화재 비정상운전절차에서 현장의 운전원 수동조치가 필요할 경우, 운전원 수동조치에서의 비상조치시간의 실행가능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원전의 각 방화지역에서 OMA 대상 기기를 선정하여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OMA 대상 기기에 대한 OMA 조치가용시간(Ta)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 적합성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OMA 대상 기기에 대한 OMA 조치실행시간(Te)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을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과 대비하는 단계; (f) OMA 조치소요시간(Tr)을 결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OMA 조치소요시간(Tr)을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과 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Metho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Operator Emergency Time in Case of Fire in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이라고 함) 화재발생시 화재 비정상운전절차에서 현장의 운전원 수동조치가 필요할 경우, 운전원 수동조치에서의 비상조치시간의 실행가능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전에서는 방화지역의 화재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화재위험도분석을 수행하여 발전소 설계, 배치, 관리 등이 화재방호 규정에 부합되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원전의 화재위험도분석을 통해 특정 방화지역 화재가 발생하여도 원자로를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고 외부 환경으로의 방사성물질 누출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있다.
원전 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화지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1개 호기마다 대략 250~300개 정도의 많은 방화지역이 존재하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861118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전의 여러 방화지역의 화재 및 방사성물질 누출 등과 같은 위험인자들을 통해 종합안전위험도를 계산하여 방화지역별 관리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순위로 결정된 방화지역의 관리주기를 짧게 하여 관리자에게 표시해주는 원전 방화지역의 상대적 종합안전위험관리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또한, 원전의 각 계통에는 모터 구동밸브, 공기 구동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모터구동펌프, 저장탱크 및 배관 압력계, 배관 온도계와 탱크 수위계 등과 같은 다양한 계측기기 등을 비롯한 다양하고 많은 기기들이 설치되어 있고, 각 기기들과 연결된 케이블 및/또는 회로들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원전에서 화재로 인해 회로 또는 케이블 등이 손상을 받았을 때 한번에 하나 이상의 기기에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고, 많게는 모든 기기에서 오동작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원전에서 화재로 인한 오동작을 대비할 경우에 단일 화재에서 하나의 기기에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일오동작’ 개념은 적합하지 않고, 단일 화재로 인해 하나 이상의 기기에서 오동작이 동시에 함께 발생할 수 있다는 ‘다중오동작’ 개념을 도입하여 화재로 인한 기기의 오동작을 분석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공보 제10-1801034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전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계통 실패를 유발할 수 있는 다중오동작 기기의 조합을 누락하지 않으면서, 계통 실패 유발 다중오동작 기기의 조합만을 선별하여, 이들 조합 전체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제공하여 실제 계통 실패 유발 다중오동작 기기의 조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도 수행해 왔다.
원전의 화재발생시의 대응을 위하여, 모든 방화지역에 대하여 화재에 따른 오동작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근본적으로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재포설 또는 화재방호체 설치 등을 수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원전의 모든 방화지역에 대하여 화재 대비를 위한 재포설 또는 화재방호체 설치는 많은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운행 중인 원전에 실제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장의 운전원 수동조치(OMA)가 가능한 OMA 대상기기를 구분해 내고, 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화재위험도 및 다중오동작 등을 분석을 한 후 현장의 운전원 수동조치(Operator Manual Action, OMA) 등과 같은 적합한 추가조치 및 이를 반영한 화재에 의한 비정상운전절차(Fire Abnormal Operating Procedure, FAOP)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장의 운전원 수동조치(OMA)를 포함한 비정상운전절차(FAOP)의 이행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OMA가 원전 안전정지 등을 위하여 요구되는 시간 내에 실행할 수 있는 실행가능성 및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등록특허 제10-1861118호(2018.05.28. 공고) 국내등록특허 제10-1801034호(2017.11.24. 공고)
본 발명은 원전 각 방화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원전의 안전정지를 위하여 원전의 운전원 수동조치(OMA)가 가능한 대상기기를 구분하고 이에 대한 원전의 운전원 수동조치(OMA)의 실행가능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에 대한 적합성 평가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은, (a) 원전의 각 방화지역에서 운전원 수동조치(OMA) 대상 기기를 선정하여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OMA 대상 기기에 대한 OMA 조치가용시간(Ta)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의 적합성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OMA 대상 기기에 대한 OMA 조치실행시간(Te)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와, (e)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을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과 대비하는 단계;와, (f) OMA 조치소요시간(Tr)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g)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OMA 조치소요시간(Tr)을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과 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은 기본 조치실행시간(Teb)×(1+가중치(W))로부터 결정되고, 상기 가중치(W)는 환경적 요인 가중치(We)와 절차서-훈련도 가중치(Wt)와 가용인원 가중치(Ws) 및 OMA 지역 접근성 가중치(Wa)를 포함하며, 상기 환경적 요인 가중치(We)는 방사선 가중치와 온도 가중치 및 연기 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절차서-훈련도 가중치(Wt)는 절차서 가중치와 훈련도 가중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용인원 가중치(Ws)는 상주하는 가용인원으로 OMA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을 때의 가중치를 포함하며, 상기 OMA 지역 접근성 가중치(Wa)는 조명등 가중치 및 장비 접근성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는 잠김지역 가중치를 포함하며,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OMA 조치소요시간(Tr)은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과 OMA 조치분석시간(Td)과 OMA 조치여유시간(Ts)의 합으로 결정되며, 상기 OMA 조치여유시간(Ts)은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의 10% 내지 20% 사이의 값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선 가중치는 OMA를 수행하는 방화지역을 i) 고방사선 관리구역, ii) 방사선 관리구역 및 iii) 방사선 관리구역과 인접한 구역으로 구분하여 가중치에 차이를 두고, 온도에 의한 가중치는 i) OMA를 수행하는 위치 및 OMA를 위해 이동하는 경로가 화재 발생 방화지역과 인접한 경우, ii) OMA를 수행하는 방화지역의 위치가 화재 발생 방화지역과 인접한 경우, 및 iii) OMA를 위해 이동하는 경로가 화재 발생 방화지역과 인접한 경우로 구분하여 가중치에 차이를 두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전 화재발생시 현장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을 통하여 각 방화지역마다 운전원의 비상조치에 대한 실행가능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을 통하여, 현장 운전원의 비상조치가 가능한 방화지역마다 적합한 절차 및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을 통하여 원전 방화지역의 화재에 대응하여 적합한 비상운전절차(FAOP)를 개발함에 있어서도 실행가능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을 통해 OMA가 가능한 방화지역 화재를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OMA를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을 통해 OMA가 불가능한 OMA 대상기기들을 파악하고, 이들에 대해서만 재포설 또는 화재방호체 설치 등과 같은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원전의 모든 방화지역에 대하여 화재에 근본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원전 내의 방화지역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전 방화지역의 화재 비상대응절차 적합성 판단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전 방화지역의 화재 비상대응절차 적합성 판단방법에 대한 세부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 단계 분석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는 그 이전에 본 발명자가 발명한 원전 방화지역의 화재 비상대응절차 적합성 판단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먼저, 본 발명자가 발명한 원전 방화지역의 화재 비상대응절차 적합성 판단 방법을 살펴본다.
원전에서는 종래기술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재위험도분석을 수행하여 특정 방화지역 화재가 발생하여도 원자로를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고 외부 환경으로의 방사성물질 누출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 원전에서는 화재위험도 분석시 OMA까지 포함하는 화재 비정상운전절차(FAOP)의 필요성을 분석하고, 필요시 화재 비정상운전절차를 마련하여 이행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화재 비정상운전절차(FAOP)는 원전에 화재에 의해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수행하는 운전절차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정상운전으로 복귀하기 위해 수행한다.
또한, OMA는 원전의 화재 발생시 원전의 안전정지를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원전의 주제어실(Main Control Room, MCR) 이외의 장소에서 취하는 운전원의 행위를 의미하며, 운전원이 수동으로 밸브, 스위치 또는 차단기 등을 현장에서 조작하는 조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원전의 방화지역에 화재가 발생하면 원자로를 안전하게 정지하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원자로 안전정지가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원자로 안전정지는 따라 고온정지 또는 저온정지가 요구될 수 있는데, 원자로가 운영기술지침서에서 명시하고 있는 충분한 정지여유도를 가진 미임계 상태에 있고, 원자로냉각재계통의 평균온도가 200℉(93.3℃) 이상, 350℉(176.7℃)이하를 유지하는 상태를 고온 정지라고 하고, 원자로냉각재계통의 평균온도가 210℉(93.3℃)미만을 유지하는 상태를 저온 정지라고 한다.
원전에서는 안전정지에 필요한 기기는 물리적 격리 또는 내화방벽 등을 통해 물리적 방호를 하고 있지만, 원전 화재 발생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운전원이 수동조치(OMA)를 취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원전 방화지역의 화재 발생시에 비상대응절차에는 이와 같이 운전원의 수동 조치(OMA)까지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원전에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수 백개의 방화지역이 있고, 또한, 화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중오동작 분석까지 하여야 하므로, 모든 방화지역에 대하여 통상적인 화재 비정상운전절차(FAOP)를 개발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을 뿐 아니라, 신속하고 적절하게 화재로 인한 비정상 상황에서의 대응을 수행할 수 없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는 각 방화지역별 화재비정상운전절차(FAOP)의 개발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화재비정상운전절차(FAOP) 개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전 방화지역의 화재 비상대응절차 적합성 판단 방법을 개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자가 개발한 원전 방화지역의 화재 비상대응절차 적합성 판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며, (A) 원전의 방화지역의 화재 발생 경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화재 발생 경보가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C) 상기 화재 발생 경보가 실제 화재이고, 화재가 발생한 방화지역이 주제어실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D) 상기 화재가 발생한 방화지역이 주제어실이 아니고, 상기 화재가 발생한 방화지역이 원전의 안전정지와 관련된 지역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화재가 발생한 방화지역이 원전의 안전정지와 관련된 지역인 경우, 비정상운전이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A) 단계는 원전의 방화지역의 화재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는 각 방화지역별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어떠한 비정상운전절차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이다.
다음으로 (B) 단계는 화재 경보가 실제 화재 발생에 따른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원자력 발전설비에서는 감지기 오동작 또는 일부 방화지역 내의 압력, 온도 오지시에 따라 화재 경보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전을 안전정지시켜야 하는 상황은 아니지만, 화재 경보와 함께 소화수 등이 비정상적으로 살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화재 경보가 실제 화재인지 확인하고,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감지기 또는 센서의 오동작을 정지시키고, 이로 인한 비정상적인 소화수의 살수 등과 같은 오동작을 정지시키는 조치를 취하는 경보 오동작에 의한 비상대응절차를 따르도록 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다음으로 (C) 단계는 상기 화재 발생 경보가 실제 화재이고, 화재가 발생한 방화지역이 주제어실(Main Control Room, MCR)인지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원전의 제어실(MCR)은 원전을 제어하고 상태 확인 및 모니터링을 하는 구역이며, 이를 위한 주제어실 근무 운전원이 상주하고 있는 구역이다.
이처럼, 주제어실(MCR)은 중요한 구역이고, 화재 발생시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구역이므로, 화재에 대비하여 별도의 비정상 상태의 조치를 취하는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화재가 주제어실(MCR)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어실 화재 비상대응절차를 별도로 개발하여 이에 따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어실(MCR)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충분히 진화가능한 화재로 주제어실 근무 운전원이 주제어실에 상주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주제어실에서 정해진 화재진압절차에 따라 화재를 진압하는 주제어실의 비상대응절차를 따를 수 있다.
하지만, 주제어실(MCR) 화재로 인해 주제어실 근무 운전원이 주제어실에 상주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대피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주제어실에서 운전원을 대피시키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소를 정지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운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원격정지패널(Remote Shutdown Panel, RSP)에서 발전소를 정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원격정지패널(RSP)은 주제어실에서 운전원을 대피시켜야 할 정도의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작동할 수 있어야 하므로, 주제어실과 격리되어 있는 방화지역 내에 설치되고, 주제어실과 다른 층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D) 단계는 상기 화재가 발생한 방화지역이 주제어실이 아니고, 상기 화재가 발생한 방화지역이 원전의 안전정지와 관련된 지역인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때, 화재가 발생한 방화지역이 원전의 안정정지와 관련된 지역이 아닌 경우에는, 원전의 안전정지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고, 원전에서 정해진 표준화재진압절차에 따라 화재를 진압하도록 한다.
여기서, 원전의 안전정지와 관련이 없는 방화지역이라는 것은 화재가 발생한 방화지역이 완전히 기능을 상실하고, 화재로 인하여 케이블 등도 완전히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원전의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이 없는 방화지역을 의미하고, 이에 대응한 표준화재진압절차는 화재 피해를 최소화하고 주위의 다른 방화지역으로 화재가 더 번져가지 않도록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는 절차를 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D) 단계에서, 화재가 발생한 방화지역이 원전의 안정정지와 관련된 지역인 경우에는 다음의 (E) 단계의 절차를 따른다.
즉, (E) 단계는 주제어실 이외의 방화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였고, 화재가 발생한 방화지역이 원전의 안전정지와 관련된 지역이어서 원전의 비정상운전이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 때, 원전의 주제어실 이외의 방화지역에서 안전정지와 관련된 방화지역은 배경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주 많고, 그 구성도 다양하고, 다중오동작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원전의 안전정지는 적합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진행되어야 하므로, 각 방화지역에서의 화재에 따른 적합한 비정상운전절차(FAOP)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E) 단계에서, 원전의 비정상운전이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한 후, 상기 화재에 따른 적합한 비정상운전절차(FAOP)를 마련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E1) 내지 (E5) 절차 중의 하나로 구분한다.
(E1) 절차는, 안전정지와 관련된 방화지역의 화재이지만, 주제어실 내부조치를 통하여 원전의 정상운전이 가능하고 안전정지가 불필요한 경우의 절차일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비정상운전절차(FAOP)의 ‘유형 1’로 나타낸다.
[도 1]에서 방화지역[R01]은 원전의 안전정지와 관련된 방화지역에 해당하며, 방화지역[R01]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방화지역[R01]은 주위의 다른 방화지역과는 차단이 되고 완전히 기능을 상실하므로, 기본적으로는 원전의 안정정지가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방화지역[R02]가 화재가 발생한 방화지역[R01]과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케이블 등에서부터 방화지역[R01]과 완전히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정상적인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방화지역[R01] 대신에 방화지역[R02]를 작동시켜 원전의 정상운전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원전안전정지와 관련된 방화지역[R01]에서의 화재에 해당하지만, 원전 안전정지를 시키지 않아도 될 것이다.
물론, 이 경우는 정상운전을 하기는 하지만, 많은 비용 등이 발생하는 비상으로 원전 안전정지를 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추후에 적절한 시기를 선정하여 화재로 인하여 기능이 상실된 방화지역[R01]을 정상화시키는 수리를 해야만 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E2) 내지 (E5) 절차는 원전의 정상운전이 불가능하여 안전정지가 필요한 경우의 절차로써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E2) 절차는, 원전의 정상운전이 불가능하여 안전정지가 필요하지만, 원자로 트립을 수행함으로써 안전정지가 가능한 경우의 절차가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를 비정상운전절차(FAOP)의 ‘유형 2’로 나타낸다.
(E3) 절차는, 원전의 정상운전이 불가능하여 안전정지가 필요하고, 원자로 트립을 수행한 후, 주제어실 내부에서의 추가조치가 필요한 경우의 절차가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를 비정상운전절차(FAOP)의 ‘유형 3’으로 나타낸다.
(E4) 절차는, 원전의 정상운전이 불가능하여 안전정지가 필요하고, 원자로 트립을 수행한 후, 주제어실 내부에서의 추가조치와 화재 방화지역 현장의 운전원 수동조치가 함께 필요한 경우의 절차가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를 비정상운전절차(FAOP)의 ‘유형 4’로 나타낸다.
(E5) 절차는, 원전의 정상운전이 불가능하여 안전정지가 필요하고, 원자로 트립을 수행한 후, 화재 방화지역 현장의 운전원 수동조치가 필요한 경우의 절차가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를 비정상운전절차(FAOP)의 ‘유형 5’로 나타낸다.
상기 ‘유형 2’ 내지 ‘유형 5’는 상기 [도 1]에 나타난 방화지역[R03]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화재로 인하여 방화지역[R03]을 지나는 케이블이나 배관 또는 밸브 등의 기능 상실로 인하여 주위의 장비들, 예를 들면 방화지역[R04], [R05] 등에 형성된 밸브 또는 차단기 등의 오동작을 유발하여 원전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로 설명할 수 있다.
원전의 안전정지를 위해서는 먼저, 제어봉을 노심으로 떨어지도록 제어하여 핵분열에 의한 열발생을 중지시키는 원자로 트립을 수행한다.
상기 원자로 트립을 통해 핵분열에 의한 새로운 열발생을 중지시킬 수 있다.
원자로 트립을 수행한 후에는 냉각수 등이 순환 가능하도록 하여 원자로냉각재계동의 평균온도가 일정범위에서 유지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원전 안전정지를 수행해야만 한다.
이 때, ‘유형 2’는 원자로를 비상 정지시키는 ‘원자로 트립’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충분히 원전 안정정지를 구현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를 비정상운전절차(FAOP)의 ‘유형 2’로 나타낸다.
한편, 원자로 트립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원자로 안전정지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화지역[R03]에서의 화재에 따른 기능 상실로 인하여, 주위의 방화지역[R04], [R05] 등에 형성된 밸브 또는 차단기에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오동작으로 인하여 원자로 트립 이후에도 원자로냉각재계동의 평균온도가 일정온도 범위로 유지되지 못하고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방화지역[R04], [R05] 등에서 오동작된 밸브 또는 차단기가 정상동작이 되어야만 원전 안전정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원자로 트립 이후에 추가조치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원자로 트립 이후에, 주제어실에서 상기 오동작된 밸브 또는 차단기 등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추가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절차를 본 발명에서는 비정상운전절차(FAOP)의 ‘유형 3’으로 나타낸다.
다음으로, 원자로 트립 이후에, 주제어실에서 추가조치와 함께, 현장의 운전원이 직접 방화지역[R04], [R05]에 직접 가서 오동작된 밸브 또는 차단기의 정상화 조치를 하는 OMA가 함께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절차를 본 발명에서는 비정상운전절차(FAOP)의 ‘유형 4’로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원자로 트립 이후에, 주제어실에서는 추가조치를 할 수 없고, 현장의 운전원이 직접 방화지역[R04], [R05]에 직접 가서 오동작된 밸브 또는 차단기의 정상화 조치를 하는 OMA가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절차를 본 발명에서는 비정상운전절차(FAOP)의 ‘유형 5’로 나타낸다.
이처럼, 원전의 안전정지가 필요한 방화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 각 방화지역의 상황에 따라 5개의 유형을 가진 비정상운전절차(FAOP)로 대응을 할 경우에는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전의 화재에 대응할 수 있고, 원전의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유형 4’와 ‘유형 5’에서는 OMA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OMA는 현장의 운전원이 직접 화재가 발생한 현장에 투입되어 밸브, 스위치 또는 차단기 등의 수동조치 대상기기를 현장에서 수동으로 조작하는 조치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OMA는 가용 시간 이내에 조치를 취해야만 하고, 원전의 특성상 수동 조치 중에 인명 피해의 우려도 크므로, OMA의 실행가능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OMA의 실행가능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에는 OMA를 실행할 수 없는 대상기기를 구분해 내는 것도 중요하고, 이처럼, 방화지역에서 OMA를 실행할 수 없는 대상기기에 대해서는 재포설 또는 화재방호체 설치와 같은 OMA가 아닌 근본적인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원전의 각 방화지역에서 OMA 대상 기기를 선정하여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와, (b) 각 OMA 대상 기기에 대한 OMA 조치가용시간(Ta)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 의 적합성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OMA 대상 기기에 대한 OMA 조치실행시간(Te)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와, (e)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을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과 대비하는 단계;와, (f) OMA 조치소요시간(Tr)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g)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OMA 조치소요시간(Tr)을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과 대비하는 단계; 및 (h)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 OMA 대상 기기에 대한 OMA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a) 단계는 원전의 각 방화지역에서 OMA를 할 수 있는 대상 기기를 선정하여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각 방화지역에 구비된 OMA를 할 수 있는 대상 기기로는 원전 안전정지와 관련된 다양한 밸브, 스위치 또는 차단기 등과 같이 수동 조치가 필요할 수 있는 기기들이 될 수 있다.
(b) 단계는 각 OMA 대상 기기에 대하여 OMA의 조치가용시간(Ta)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이다.
OMA의 조치가용시간(Ta)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화지역에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 시간(T0)부터 원전의 안전정지를 위해 주어진 시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방화지역[R03]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원자로 트립 이후에, 안전정지를 위하여 방화지역[R04], [R05]에 오동작된 밸브 또는 차단기의 정상화 조치를 하는 OMA가 필요한 경우이다.
이 때, 오동작된 밸브 또는 차단기를 일정시간 이내에 정상화를 시키지 않으면 높아지는 온도를 제어할 수 없어 사이 오동작된 밸브 또는 차단기를 정상화시킬 수 없거나 안전정지를 시킬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OMA의 조치가용시간(Ta)은 방화지역 및 오동작된 밸브 또는 차단기가 연결된 설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는 원전 각 설비의 열수력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원전의 안전정지는 각 설비마다 OMA의 조치가용시간(Ta)이 있으므로, OMA는 조치가용시간(Ta) 이내에서 완전히 완료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를 감지하는 시간(T0)은 화재 발생부터 감지할 때까지의 시간이 되는데, 화재 감지 시간(T0)이 길수록, 즉, 화재를 늦게 감지하여 화재가 발전된 상태일수록 OMA 조치가용시간(Ta)은 감소할 수 있고, 화재 감지 시간(T0)이 짧을수록, 즉, 화재를 빨리 감지하여 화재가 발전되기 전의 상태일수록 OMA 조치가용시간(Ta)은 증가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시간(T0)은 보다 실행가능하고 신뢰성 있는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를 위하여 OMA 조치가용시간(Ta)을 엄격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화재 감지 시간(T0)은 각 원전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 화재를 가장 늦게 감지하는 경우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각 원전에서 최종안전성분석에 기초하여 화재 감지 시간(T0)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A 원전에서 발생한 사고해석 중 ‘B 밸브의 오동작 개방’에 대한 분석에서 운전원의 초기 개입 지연시간이 가장 길고, 이를 30분으로 가정하고 있다면, 화재 감지 시간(T0)을 30분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c) 단계는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의 적합성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는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OMA 조치가용시간(Ta)이 OMA를 수행하기에 적합한가를 판단하는 단계로써, 대상 기기의 OMA 조치가용시간(Ta)을 소정의 기준시간, 예를 들면, 20분 또는 10분과 비교하여 물리적으로 OMA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OMA 조치가용시간(Ta)이 소정의 기준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d), (e) 단계로 진행하며 OMA가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거치고, OMA 조치가용시간(Ta)이 소정의 기준시간보다 작은 경우에는 후술하는 OMA가 불가능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OMA가 불가능한 것으로 구분된 대상 기기는, OMA를 할 수 없는 기기라는 의미이다.
즉, 안전정지를 위해서 OMA를 할 수 없으므로, 이는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더라도 미리 화재방호체를 설치하거나 재포설과 같은 다른 방법으로 화재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OMA가 불가한 것으로 판단되는 모든 기기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c) 단계에서 OMA 조치가용시간(Ta)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으로, (d) 단계에서는 상기 OMA 대상 기기에 대한 OMA 조치실행시간(Te)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이 때,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은 대상기기에 접근하여 정상화시킨 후 정상상태를 점검하여 완료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고, 이는 기본 조치실행시간(Teb)×(1+가중치(W))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조치실행시간(Teb)이란 운전원이 최적의 상태에서 수동조치(OAMA)를 수행할 때 소요되는 시간이고, 이는 훈련 등의 수행을 통한 데이터로부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가중치(W)는 OMA를 실행할 때, 추가로 소요될 수 있는 환경 및/또는 설비의 조건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본 조치실행시간(Teb)는 상기 가중치(W)에 해당하는 조건이 없는 상태에서 OMA를 실행할 경우에 소요되는 시간이 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수동조치를 위해 이동하는 시간)과 (수동조치 방화지역에서 실제 수동조치를 수행하는 시간)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화재가 발생하여 안전정지를 수행해야 할 경우에는, 현장 OMA를 수행할 때 다양한 변수들이 발생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가중치(W)로 나타내어, 실제 OMA 조치실행시간(Te)을 파악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치실행시간(Te)이 증가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가중치(W)에 포함시켰는데, 본 발명의 가중치(W)는 ① 환경적 요인 가중치(We); ② 절차서-훈련도 가중치(Wt); ③ 가용인원 가중치(Ws); 및 ④ 수동조치 방화지역 접근성 가중치(Wa); 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환경적 요인 가중치(We)는 운전원이 수동조치가 필요한 대상기기로 이동 및 OMA를 수행하는 환경이 방사선, 화재에 의한 온도, 연기에 의해 현장 운전원의 작업 능력을 저해될 수 있는 것을 고려한 가중치이다.
이 때, 방사선에 의한 가중치는 OMA를 수행하는 방화지역을 i) 고방사선 관리구역, ii) 방사선 관리구역 및 iii) 방사선 관리구역과 인접한 구역으로 구분하여 가중치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방사선 관리구역은 0.05 내지 0.1; 방사선 관리구역은 0.02 내지 0.05; 방사선 관리구역과 인접한 구역은 0 내지 0.02; 사이의 값을 방사선에 의한 가중치로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각 구역의 구분은 원전 설비에서 지정하는 기준에 따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온도에 의한 가중치는 i) 현장 운전원이 OMA를 수행하는 위치 및 OMA를 위해 이동하는 경로가 화재 발생 방화지역과 인접한 경우, ii) OMA를 수행하는 방화지역의 위치가 화재 발생 방화지역과 인접한 경우, 및 iii) OMA를 위해 이동하는 경로가 화재 발생 방화지역과 인접한 경우로 구분하여 가중치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재 발생 방화지역이 OMA 이동 경로 및 위치와 인접한 경우는 0.05 내지 0.1; 화재 발생 방화지역이 OMA 위치와 인접한 경우는 0.02 내지 0.05; 화재 발생 방화지역이 OMA를 위해 이동하는 경로와 인접한 경우는 0 내지 0.02; 사이의 값을 온도에 의한 가중치로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연기에 의한 가중치는 i) 현장 운전원이 OMA를 위해 이동하는 경로 및/또는 OMA를 수행하는 위치가 연기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경우, 및 ii) 공조장치가 존재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가중치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OMA 이동 경로 및 위치가 연기의 영향을 받는 경우는 0.01 내지 0.05; 공조장치가 일부의 연기를 제거할 수 있는 경우는 -0.01 내지 0.01; 사이의 값을 연기에 의한 가중치로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연기에 의한 가중치의 최소값은 0이며, 상기 공조장치에 의한 가중치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연기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경우에 함께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용인원 가중치(Ws)는 수행해야 하는 OMA 대상의 수와 상주하는 운전원의 인원수를 고려한 가중치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의 방화지역[R03]에서 화재로 인하여 방화지역[R04], [R05]에서의 밸브, 스위치 또는 차단기가 오동작하여 OMA가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상주하는 현장 운전원의 인원수는 정해져 있으므로, OMA에 투입될 수 있는 가용인원은 한정되어 있는데 화재로 인해, 여러 방화지역에서 동시에 OMA가 필요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가용인원 가중치(Ws)에서는 상주하는 가용인원으로 수동조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0.0; 상수하는 가용인원으로 수동조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0.5 내지 2.0; 사이의 값을 가중치로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절차서-훈련도 가중치(Wt)는 화재시 안전정지 달성을 위한 절차서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현장 운전원의 훈련도를 고려한 가중치이다.
화재시 안전정지 달성을 위한 절차서에 의한 가중치는 i) 절차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및 ii) 절차서가 존재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가중치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차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0.02; 절차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적합성에 따라 0 내지 0.01; 사이의 값을 절차서에 의한 가중치로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훈련도에 의한 가중치는 현장 운전원의 숙련도 및 훈련도에 따라 0 내지 0.02 사이의 값을 가중치로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가용인원 가중치(Ws)와 상기 절차서-훈련도 가중치(Wt)는 서로 연관되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즉, OMA를 수행할 수 있는 가용인원이 충분히 배치되어 있는 것이 가장 안전하지만,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OMA 대상의 수에 따라 가용인원이 필요한 모든 OMA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을 수도 있고, 훈련도가 낮은 현장 운전원이 투입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OMA 지역 접근성 가중치는 OMA를 위한 장비 및 수행 장소에 접근하기 용이한지 여부를 고려한 가중치로써, 크게 조명등 가중치 및 장비 접근성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는 잠김지역 가중치로 구분할 수 있다.
조명등에 의한 가중치는 i) OMA를 수행할 위치 및 접근하기 위한 경로에 조명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ii) OMA 수행 위치에 조명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및 iii) 접근하기 위한 경로에 조명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로 구분하여 가중치를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OMA를 수행할 위치 및 접근 경로에 조명등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0.05 내지 0.1; OMA를 수행할 위치에 조명등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0.02 내지 0.05; OMA 수행 위치로의 접근 경로에 조명등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0.01 내지 0.03; 사이의 값을 가중치로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장비 접근성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는 잠김지역 가중치는 OMA를 위한 장비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상에 잠김지역이 있는지 여부와 잠김의 종류 등에 따라 가중치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각 가중치를 모두 합하여 최종 가중치(W)를 결정하고, 기본 조치실행시간(Teb)×(1+가중치(W))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e) 단계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을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과 대비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d) 단계에서 추출된 OMA 조치실행시간(Te)이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OMA 조치가용시간(Ta)보다 작은 경우에는, 적합한 OMA 조치실행시간(Te)으로 판단하여 후술하는 (f)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이 상기 조치가용시간(Ta) 보다 큰 경우에는 OMA가 불가능한 기기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는, 상기 (e) 단계에서 OMA 조치실행시간(Te)을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OMA 조치소요시간(Tr)을 결정한다.
상기 OMA 조치소요시간(Tr)은 OMA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총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OMA 조치소요시간(Tr)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과 OMA 조치분석시간(Td)과 OMA 조치여유시간(Ts)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OMA 조치분석시간(Td)은 화재를 감지한 후에 원전의 안전정지 결정 및 필요한 OMA를 결정하는 데 소요된 시간을 나타내며, 이는 각 원전에 준비되어 있는 절차서 및 숙련도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OMA 조치여유시간(Ts)은 OMA를 수행하는 중에 추가적으로 소요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에 가중치(W)를 고려하고 있으나, 예상치 못한 돌발 변수에 대하여 대응하기 위한 여유시간을 추가하고 이는 각 원전의 구조적, 기능적 복잡성에 따라 상기 조치실행시간(Te)의 10% 내지 20%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전의 크기가 작고 단순한 구조를 띄면 10%, 원전의 크기가 크고 많은 방화지역으로 구획되어 있다면 20%로 선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g) 단계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OMA 조치소요시간(Tr)을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과 대비하여, 상기 OMA 조치소요시간(Tr)이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보다 작은 기기에 대해서만 OMA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와 같은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을 통해 각 방화지역에 구비되어 있는 OMA 대상기기로부터 OMA가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여, OMA가 가능한 기기를 선정함으로서, OMA에 대한 실행가능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OMA를 수행할 수 없는 대상기기도 구분하여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재포설 또는 화재방호체 설치 등과 같은 별도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전의 모든 방화지역의 화재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대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2)

  1. (a) 원전의 각 방화지역에서 운전원 수동조치(OMA) 대상 기기를 선정하여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
    (b) 각 OMA 대상 기기에 대한 OMA 조치가용시간(Ta)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의 적합성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OMA 대상 기기에 대한 OMA 조치실행시간(Te)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e)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을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과 대비하는 단계;
    (f) OMA 조치소요시간(Tr)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g)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OMA 조치소요시간(Tr)을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과 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은 기본 조치실행시간(Teb)×(1+가중치(W))로부터 결정되고,
    상기 가중치(W)는 환경적 요인 가중치(We)와 절차서-훈련도 가중치(Wt)와 가용인원 가중치(Ws) 및 OMA 지역 접근성 가중치(Wa)를 포함하며,
    상기 환경적 요인 가중치(We)는 방사선 가중치와 온도 가중치 및 연기 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절차서-훈련도 가중치(Wt)는 절차서 가중치와 훈련도 가중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용인원 가중치(Ws)는 상주하는 가용인원으로 OMA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을 때의 가중치를 포함하며,
    상기 OMA 지역 접근성 가중치(Wa)는 조명등 가중치 및 장비 접근성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는 잠김지역 가중치를 포함하며,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OMA 조치소요시간(Tr)은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과 OMA 조치분석시간(Td)와 OMA 조치여유시간(Ts)의 합으로 결정되며, 상기 OMA 조치여유시간(Ts)은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의 10% 내지 20%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가중치는 OMA를 수행하는 방화지역을 i) 고방사선 관리구역, ii) 방사선 관리구역 및 iii) 방사선 관리구역과 인접한 구역으로 구분하여 가중치에 차이를 두고,
    상기 온도에 의한 가중치는 i) OMA를 수행하는 위치 및 OMA를 위해 이동하는 경로가 화재 발생 방화지역과 인접한 경우, ii) OMA를 수행하는 방화지역의 위치가 화재 발생 방화지역과 인접한 경우, 및 iii) OMA를 위해 이동하는 경로가 화재 발생 방화지역과 인접한 경우로 구분하여 가중치에 차이를 두고,
    상기 연기에 의한 가중치는 i) 현장 운전원이 OMA를 위해 이동하는 경로 또는 OMA를 수행하는 위치가 연기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경우, 및 ii) 공조장치가 존재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가중치에 차이를 두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OMA 조치실행시간(Te)이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OMA 대상기기를 OMA 불가능한 기기로 분류하고,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OMA 조치소요시간(Tr)이 상기 OMA 조치가용시간(Ta)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OMA 대상기기를 OMA 불가능한 기기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OMA 불가능한 것으로 분류된 기기는 재포설 또는 화재방호체 설치와 같은 별도의 조치가 필요한 기기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
  2. 삭제
KR1020190106396A 2019-08-29 2019-08-29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 KR102144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396A KR102144113B1 (ko) 2019-08-29 2019-08-29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396A KR102144113B1 (ko) 2019-08-29 2019-08-29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113B1 true KR102144113B1 (ko) 2020-08-12

Family

ID=7203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396A KR102144113B1 (ko) 2019-08-29 2019-08-29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1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61B1 (ko) * 2020-09-04 2021-04-02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전 화재 시 안전정지 기기에 대한 운전원 조치 관리 시스템
CN113744909A (zh) * 2021-09-03 2021-12-03 中广核工程有限公司 核电厂数字化规程推送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4914008A (zh) * 2022-05-16 2022-08-16 华能核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核电厂应急响应行动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220120395A (ko) * 2021-02-22 2022-08-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374A (ko) * 2007-09-27 2009-04-01 한국전력공사 냉각재 상실 사고시 운전원 조치 제한시간을 결정하기 위한분석방법
KR101591300B1 (ko) * 2014-10-15 2016-02-0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01034B1 (ko) 2017-09-21 2017-11-24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자력발전소 계통 및 기기의 화재 다중오동작 분석방법
KR101861118B1 (ko) 2017-10-23 2018-05-28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자력 발전소 방화지역의 상대적 종합안전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374A (ko) * 2007-09-27 2009-04-01 한국전력공사 냉각재 상실 사고시 운전원 조치 제한시간을 결정하기 위한분석방법
KR101591300B1 (ko) * 2014-10-15 2016-02-0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01034B1 (ko) 2017-09-21 2017-11-24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자력발전소 계통 및 기기의 화재 다중오동작 분석방법
KR101861118B1 (ko) 2017-10-23 2018-05-28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자력 발전소 방화지역의 상대적 종합안전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61B1 (ko) * 2020-09-04 2021-04-02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전 화재 시 안전정지 기기에 대한 운전원 조치 관리 시스템
KR20220120395A (ko) * 2021-02-22 2022-08-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KR20220120005A (ko) * 2021-02-22 2022-08-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KR102582234B1 (ko) * 2021-02-22 2023-09-2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KR102582235B1 (ko) * 2021-02-22 2023-09-2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CN113744909A (zh) * 2021-09-03 2021-12-03 中广核工程有限公司 核电厂数字化规程推送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3744909B (zh) * 2021-09-03 2023-12-01 中广核工程有限公司 核电厂数字化规程推送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4914008A (zh) * 2022-05-16 2022-08-16 华能核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核电厂应急响应行动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4914008B (zh) * 2022-05-16 2023-08-04 华能核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核电厂应急响应行动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113B1 (ko)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
Alizadeh et al. Reliability modelling of redundant safety systems without automatic diagnostics incorporating common cause failures and process demand
KR102050883B1 (ko) 원전 방화지역의 화재시 적합한 비정상운전절차를 선택하는 방법
Idris et al. Human factors influencing the reliability of fire and gas detection system
KR101698334B1 (ko) 주제어실의 상주 불능을 고려한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관리 방법
US20070201600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Shell-Type Nuclear Reactor And A Two-Position Switch For The Passive Protection Thereof
Zhenying et al. Development of Fuel Product Barrier Monitoring System Based on State Functions in State‐Oriented Emergency Operating Procedure
Burgazzi Probabilistic safety analysis of an accelerator—Lithium target based experimental facility
CN112271008B (zh) 核电厂火灾事故安全停堆路径的评估方法
KR102449257B1 (ko) 원자력 발전소의 화재 발생 구역 별 화재 진압 시스템
Yoshikawa et al. Integrated functional modeling method for configuring NPP plant DiD risk monitor and its application for AP1000
RU84717U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ой
CN116052917A (zh) 一种核电厂火灾导致运行事件的识别方法和系统
Watkins et al. SAFETY CONSIDERATIONS FOR SHIELD DOOR CONTROL SYSTEMS
Siu et al. Loss of spent fuel pool cooling PRA: Model and results
O’CONNOR et al.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Zhao et al. Research on An Opera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Technology for Advanced Main Control Room of Nuclear Power Plant
Yang et al. NPP Condition Diagnosis by Monitoring Critical Safety Functions
CN117010680A (zh) 核电厂厂房火灾确认方法、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Hughes I&C safety standards and codes
Shin et al. DIVERSITY AND DEFENSE-IN-DEPTH ANALYSIS FOR I&C SYSTEMS OF RESEARCH REACTORS: A CASE STUDY ON TWO RESEARCH REACTORS
Grobbelaar et al. Probabilistic fire risk assessment for Koeberg nuclear power station unit 1
Kumamoto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Reduction
Stute The German standard KTA 3501 Reactor Protection System and the Monitoring of Engineered Safeguards: Interface with regulatory requirements, high lights, differences to IAEA SG-D 3, Safety Guide on Protection Systems in nuclear power plants
Disclosing Initiating Ev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