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005A -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005A
KR20220120005A KR1020210023596A KR20210023596A KR20220120005A KR 20220120005 A KR20220120005 A KR 20220120005A KR 1020210023596 A KR1020210023596 A KR 1020210023596A KR 20210023596 A KR20210023596 A KR 20210023596A KR 20220120005 A KR20220120005 A KR 2022012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operator
accident
unit
pow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234B1 (ko
Inventor
이재호
문종설
최선미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234B1/ko
Priority to KR1020210026139A priority patent/KR1025822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21D3/06Safety arrangements responsive to faults within the pla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1Computer implement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은 복수의 기기가 설치된 발전소에서 상기 복수의 기기 중에 특정기기에 운전원의 수동조치가 요구되는 사고가 발생한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발전소에 대응되는 가상발전소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상기기를 모델링하고, 상기 시나리오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발전소에서 상기 사고가 발생한 상황을 구현하여, 상기 운전원이 상기 복수의 가상기기 중에 상기 특정기기에 대응되는 특정가상기기를 수동조치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사고 상황 구현부, 구현된 상기 사고에 대응하여 상기 운전원이 상기 특정가상기기에 대한 수동조치를 완료하기까지 요구되는 시간인 가용시간을 설정하는 가용시간설정부; 상기 운전원이 상기 사고를 인지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기기 중에 상기 특정가상기기를 특정하는 진단단계에서 소모된 시간인 진단시간을 측정하는 진단시간 측정부, 상기 운전원이 상기 가상발전소 내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특정가상기기가 설치된 조작 위치까지 이동하는 이동단계에서 소모된 시간인 이동시간을 측정하는 이동시간 측정부 및 상기 운전원이 상기 조작 위치에서 상기 특정가상기기를 조작하는 조작단계에서 소모된 시간인 조작시간을 측정하는 조작시간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system for reliability of operator's manual action and method for reliability of operator's manual action}
본 발명은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 화재, 지진, 해일 등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발전소를 안전정지(Safety Shutdown)시키기 위해,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이 관련된 기기를 수동조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NEREG-1852 지침서에 따르면, 이러한 운전원의 수동조치의 타당성은 수동조치와 관련된 타임라인을 검증함으로써 검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발전소에 사고가 발생한 상황을 구현하고, 구현된 사고 상황에서 운전원이 사고에 대응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사고에 대한 타당한 조치 방법을 확보할 수 있는,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은 복수의 기기가 설치된 발전소에서 상기 복수의 기기 중에 특정기기에 운전원의 수동조치가 요구되는 사고가 발생한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발전소에 대응되는 가상발전소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상기기를 모델링하고, 상기 시나리오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발전소에서 상기 사고가 발생한 상황을 구현하여, 상기 운전원이 상기 복수의 가상기기 중에 상기 특정기기에 대응되는 특정가상기기를 수동조치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사고 상황 구현부, 구현된 상기 사고에 대응하여 상기 운전원이 상기 특정가상기기에 대한 수동조치를 완료하기까지 요구되는 시간인 가용시간을 설정하는 가용시간설정부; 상기 운전원이 상기 사고를 인지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기기 중에 상기 특정가상기기를 특정하는 진단단계에서 소모된 시간인 진단시간을 측정하는 진단시간 측정부, 상기 운전원이 상기 가상발전소 내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특정가상기기가 설치된 조작 위치까지 이동하는 이동단계에서 소모된 시간인 이동시간을 측정하는 이동시간 측정부 및 상기 운전원이 상기 조작 위치에서 상기 특정가상기기를 조작하는 조작단계에서 소모된 시간인 조작시간을 측정하는 조작시간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용시간 설정부로부터 상기 가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용시간데이터, 상기 진단시간 측정부로부터 상기 진단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시간데이터, 상기 이동시간 측정부로부터 상기 이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시간데이터 및 상기 조작시간 측정부로부터 상기 조작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시간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가용시간데이터, 상기 진단시간데이터, 상기 이동시간데이터 및 상기 조작시간데이터를 기반으로 여유시간을 연산하며, 상기 여유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운전원의 수동조치에 대한 적합성을 판단하는, 조치 적합성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치 적합성 판단부는, 상기 여유시간이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운전원의 수동조치를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가상발전소에는 상기 초기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를 연결하는 복수의 경로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시간 측정부는, 상기 운전원이 상기 복수의 경로에 포함되는 각각의 경로를 이동하는데 소모된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경로 중에 추천경로를 판단하는 경로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은 발전소에서 발생 가능한 운전원의 조치가 요구되는 사고에 대한 시나리오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운전원이 상기 사고에 대한 조치를 훈련할 수 있도록, 상기 시나리오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발전소와 가상 사고를 구현하며, 상기 운전원이 상기 가상 사고에 대응하여 조치를 취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사고 상황 구현부; 상기 시뮬레이션에서 상기 운전원이 상기 가상 사고에 대응하여 행한 조치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조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동조치데이터를 생성하는 조치 적합성 판단부; 및 상기 발전소에서 실제 사고 발생 시 상기 수동조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실제 사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조치 가능성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발전소에는 복수의 가상기기가 설치되며, 상기 수동조치데이터는 상기 가상 사고의 유형, 상기 가상 사고가 발생한 위치, 상기 가상 사고가 발생한 계통, 상기 가상 사고 발생 시 조작이 필요했던 가상기기들의 목록 및 상기 조작이 필요했던 가상기기를 조작한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조치 가능성 판단부는, 실제 사고 발생 시 상기 실제 사고의 유형, 상기 실제 사고가 발생한 위치 및 상기 실제 사고가 발생한 계통에 대한 정보와 상기 수동조치데이터를 비교하여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사고에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을 경우를 시뮬레이션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원이 상기 조치를 완료하기까지 사용할 수 있는 가용시간을 설정하는 가용시간 설정부; 상기 조치를 취하는 과정 중에서 상기 운전원이 상기 가상발전소에 상기 가상 사고가 발생한 후 상기 가상발전소에 설치된 복수의 가상기기 중에서 조치가 필요한 가상기기를 특정하는 진단하기까지 소모된 진단시간을 측정하는 진단시간 측정부; 상기 조치를 취하는 과정 중에서 상기 운전원이 상기 가상발전소 내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조치가 필요한 가상기기까지 이동하는데 소모된 이동시간을 측정하는 이동시간 측정부; 및 상기 조치를 취하는 과정 중에서 상기 운전원이 상기 조치가 필요한 가상기기의 조작을 시작한 후 조치를 완료하기까지 소모된 조작시간을 측정하는 조작시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치 적합성 판단부는, 상기 가용시간, 상기 진단시간, 상기 이동시간 및 상기 조작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조치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치 적합성 판단부는, 상기 진단시간, 상기 이동시간 및 상기 조작시간의 합과 상기 가용시간의 차이 값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사고에 대해 상기 운전원이 행한 조치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은 복수의 기기가 설치된 발전소와 대응되는 가상발전소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상기기가 모델링되고, 상기 복수의 기기 중에 특정기기에 운전원의 수동조치가 요구되는 사고가 발생한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발전소에서 상기 사고가 발생한 상황이 구현되는 단계, 구현된 상기 사고에 대응하여 상기 운전원이 상기 특정기기에 대응되는 특정가상기기에 대해 수동조치를 완료하기까지 요구되는 시간인 가용시간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운전원이 상기 가상발전소에서 상기 사고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상기 가상발전소에서 발생한 상기 사고를 인지하고 상기 특정가상기기를 특정하는데 소모된 시간인 진단시간이 측정되는 단계, 상기 운전원이 상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상기 가상발전소 내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특정가상기기가 설치된 조작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소모된 시간인 이동시간이 측정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원이 상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상기 조작 위치에서 상기 특정가상기기를 조작하는데 소모된 시간인 조작시간이 측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발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들에 대한 타당한 수동조치 방법의 확보가 가능하다.
사고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전소에 사고 발생시 운전원의 초기 대응 능력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운전원이 행한 수동조치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타임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의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사고'는 화재, 지진, 해일, 기기 파손, 기기 오작동 또는 이와 유사한 이상(異常) 상황(이하 '화재 등')의 발생으로 인하여, 발전소에 설치된 안전정지에 관련된 기기(이하 '안전정지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사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등의 사고로 발전소의 안전정지 기기가 손상되거나, 안전정지 기기가 오작동하거나, 안전정지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아니하여, 발전소가 정상적으로 안전정지되지 않는 사고일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운전원'은 발전소의 설치된 기기를 제어, 운전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1)은 데이터베이스(100), 사고 상황 구현부(200), 가용시간 설정부(300), 진단시간 측정부(400), 이동시간 측정부(500), 조작시간 측정부(600),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 및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모델링부(210), 가용시간 설정부(300), 진단시간 측정부(400), 이동시간 측정부(500), 조작시간 측정부(600),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 및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기능적으로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나, 실제로는 하나의 처리 유닛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처리 유닛에서 실행되는 개별적인 소프트웨어로 구비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100), 사고 상황 구현부(200), 가용시간 설정부(300), 진단시간 측정부(400), 이동시간 측정부(500), 조작시간 측정부(600),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 및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각각이 하나의 모듈로 모듈화되거나, 복수의 구성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00), 사고 상황 구현부(200), 가용시간 설정부(300), 진단시간 측정부(400), 이동시간 측정부(500), 조작시간 측정부(600),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 및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00), 사고 상황 구현부(200), 가용시간 설정부(300), 진단시간 측정부(400), 이동시간 측정부(500), 조작시간 측정부(600),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 및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100), 사고 상황 구현부(200), 가용시간 설정부(300), 진단시간 측정부(400), 이동시간 측정부(500), 조작시간 측정부(600),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 및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서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사항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1)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데이터베이스(100)에 대하여 살펴보면, 데이터베이스(100)는 사고가 발생한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 수동조치에 대한 정보, 추천경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0)에는 진단시간 측정부(400), 이동시간 측정부(500) 및 조작시간 측정부(600)가 측정한 통계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100)는 진단시간 측정부(400)가 측정한 진단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0)는 이동시간 측정부(500)가 측정한 이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0)는 조작시간 측정부(600)가 측정한 조작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0) 진단시간 측정부(400), 이동시간 측정부(500) 및 조작시간 측정부(600)로부터 각각 진단시간데이터, 이동시간데이터, 조작시간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00)는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110), 추천경로 데이터베이스(120) 및 수동조치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사고가 발생한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나리오데이터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100)에는 발전소에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사고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나리오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고는 복수의 기기를 포함하는 발전소에서 복수의 기기 중에 특정기기에 운전원의 수동조치가 요구되는 사고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특정기기는, 발전소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들 중 운전원의 수동 조치가 필요한 하나 또는 복수의 기기를 뜻한다. 즉, 특정기기는, 사고 상황에서 운전원에 의한 수동조치가 요구되는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기기는 발전소에 설치된 복수의 안전정지 기기 중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시나리오데이터는 발전소에 대한 모델링 정보, 발전소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에 대한 모델링 정보 및 사고에 대한 모델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전소에 대한 모델링 정보는 가상발전소를 모델링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소에 대한 모델링 정보에는 발전소의 설계 정보, 좌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기에 대한 모델링 정보는 복수의 가상기기를 모델링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기에 대한 모델링 정보에는 복수의 기기의 설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사고에 대한 모델링 정보는 가상발전소에 사고가 발생한 상황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에 대한 모델링 정보에는 사고의 유형에 대한 정보, 사고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정보, 사고가 발생한 계통에 대한 정보, 사고가 진행되는 과정에 대한 정보, 사고에 의해 조작이 필요한 특정가상기기의 목록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시나리오데이터에는 사용자가 사고에 대하여 설정한 사고의 위험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위험도를 1~100 사이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추천경로 데이터베이스(120)는 경로 판단부(530)가 판단한 추천경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한, 수동조치 데이터베이스(130)는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 수동조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동조치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110), 추천경로 데이터베이스(120) 및 수동조치 데이터베이스(130)는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기재되었으나, 실제로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00)는 저장된 추천 경로에 대한 정보, 수동조치에대한 정보 및 통계데이터를 사용자가 화재비상절차서에 반영할 수 있도록, 발전소 내에 설치된 화재방호전산화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시나리오데이터를 획득하여, 시나리오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발전소에 사고가 발생한 상황을 구현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시나리오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발전소, 가상기기 및 사고 상황을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가상발전소, 가상기기 및 사고 상황을 화면에 표시하며, 운전원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변경시키거나 또는 운전원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재생되는 영상을 변경하는 시뮬레이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운전원이 가상발전소에서 특정기기에 대응하는 특정가상기기를 수동조치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환경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가상발전소, 가상기기 및 사고 상황을 시각화하여 제공하며, 운전원의 입력을 받아 시각화된 영상을 변경한다.
이하에서는 시뮬레이션에 참여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운전원을 참여 운전원이라 칭하며, 특정기기에 대응되어 모델링된 특정가상기기를 참여운전원이 진단하고, 특정가상기기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특정가상기기를 수동조치하는 과정을 조치과정이라고 칭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모델링부(210), 디스플레이부(240), 입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델링부(210)는 발전소에 대응하는 가상발전소와 발전소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기기를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가상발전소에서 사고 상황을 구현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모델링부(210)는 시나리오데이터에 포함된 발전소에 대한 모델링 정보, 복수의 기기에 대한 모델링 정보 및 사고에 대한 모델링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한 상황을 모델링하여 구현한다.
여기서 가상발전소는 시나리오데이터에 포함된 발전소의 모델링 정보를 기반으로 모델링되고, 실제 발전소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모델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상기기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모델링 정보를 기반으로 모델링되고, 실제 발전소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모델링될 수 있다.
한편, 모델링부(210)는 시나리오데이터에 포함된 사고에 대한 모델링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한 상황을 구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링부(210)는 사고의 유형(해일, 지진, 화재, 기기 오작동...등)과 사고가 발생한 계통, 사고가 발생한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발전소에서 사고를 상황을 모델링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델링부(210)는 시나리오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소의 특정 구역에 화재가 발생하여 특정기기에 운전원의 수동조치가 필요한 상황을 모델링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델링부(210)는 시나리오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발전소를 모델링하고 가상발전소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황을 구현 또는 모델링한다. 예를 들어, 모델링부(210)는 시간에 따른 불의 움직임, 화재 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가 화재로 인하여 영향 받는 과정을 구현 또는 모델링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를 받아 모델링부(210)에 의해 모델링된 가상발전소와 복수의 가상기기 및 사고 상황을 시각화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모델링부(210)가 모델링한 가상발전소를 2차원 상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참여 운전원에게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현실의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획득부(미도시), 영상획득부가 획득한 영상에 표시된 미리 설정된 사물을 인지하고, 영상획득부가 획득한 영상에 가상발전소 또는 가상기기를 오버랩하는 오버랩표시부(미도시) 및 오버랩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참여 운전원이 시뮬레이션의 시작 및 진행을 위해 조작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20)는 참여 운전원이 모델링부(210)가 모델링한 가상 공간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입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20)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이와 대응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20)는 참여 운전원에게 증강현실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영상획득부가 인지하는 별도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20)는 참여 운전원이 보행하는 보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보행부는 운전원이 탑승하고 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행부는 운전원의 보행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일 예로 보행부는, 운전원이 보행하는 벨트를 갖는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부는 트레드밀(treadmill)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입력부(220)의 입력에 따라, 모델링부(210) 및/또는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입력부(220)의 입력에 따라 시뮬레이션이 진행되도록 모델링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참여 운전원이 사고를 선택하는 입력을 하면 모델링부(210)를 제어하여 가상발전소, 가상기기 및 사고 상황을 모델링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하여 모델링된 가상발전소, 가상기기 및 사고 상황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참여 운전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이 변경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참여 운전원이 복수의 가상기기 중에 수동조치가 필요한 특정가상기기를 진단하고, 특정가상기기를 선택하는 입력을 하면, 제어부(230)는 특정가상기기로 이동하는 복수의 경로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참여 운전원이 복수의 경로 중에 특정경로를 선택하면, 해당 경로에 대응되는 풍경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특정경로를 선택한 참여 운전원이 보행부에 탑승하고 보행하면, 모델링된 가상발전소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보행 속도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가상발전소의 풍경이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모델링된 가상발전소에 대한 정보 및 모델링된 가상기기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가상기기가 위치한 공간에 도착한 참여 운전원이 특정가상기기를 조작하는 입력을 하면 입력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가상기기의 상태가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조치과정 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리를 참여 운전원이 들을 수 있도록 음향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용시간 설정부(300), 진단시간 측정부(400), 이동시간 측정부(500) 및 조작시간 측정부(600)를 설명하기 전에,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도 2는 운전원이 행한 수동조치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타임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용시간은, 발전소의 안전정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 발전소를 안정정지시키기 위한 조치에 운전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안전정지에 부정적인 영향은, 안정정지 기기가 자동적으로 안전정지를 위한 작용을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발전소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가용시간은, 사고가 발생한 경우, 특정기기(가상발전소에서는 특정가상기기)에 대한 수동조치를 완료하기까지 요구되는 바람직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시간은 운전원이 사고를 인지한 시점부터 특정기기(또는 특정가상기기)에 대한 수동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고의 발생에 의해 파생된 파생사고가 발전소(또는 가상발전소)에 발생될 수 있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진단시간은, 운전원이 사고 발생을 인지한 시점부터 수동조치가 필요한 특정기기(또는 특정가상기기)를 특정하는 진단을 완료할 때까지 소모된 시간이다. 예를 들어, 진단시간은 운전원이 사고 발생을 인지하고, 사고와 관련된 진단절차서를 수행하여 복수의 기기(또는 복수의 가상기기) 중에 수동조치가 요구되는 특정기기(또는 특정가상기기)를 특정하는 진단을 완료한 시점까지 소모된 시간일 수 있다.
또는 진단시간은 운전원이 사고 발생을 인지하고, 운전원의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특정기기(또는 특정가상기기)를 특정하는 진단을 완료한 시점까지 소모된 시간일 수 있다.
이동시간은, 운전원이 초기 위치에서 진단된 특정기기(또는 특정 가상기기)가 위치한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데 소모된 시간이다. 즉 이동시간은, 사고에 대한 진단을 완료한 운전원이 초기 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을 시작한 시점부터 이동을 완료한 시점까지의 시간이다. 예를 들어, 초기 위치는 주제어실일 수 있다.
조작시간(또는 조치시간)은, 운전원이 특정기기(또는 특정 가상기기)를 조작하는데 소모된 시간이다. 예를 들어, 조작시간은 운전원이 특정기기(또는 특정 가상기기)에 대한 조작을 완료하는데 까지 소모된 시간일 수 있다.
여유시간(또는 마진시간, 또는 시간마진)은 가용시간에서 진단시간, 이동시간 및 조작시간을 감한 나머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가용시간 설정부(30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에 의해 구현된 사고에 대응하여 참여 운전원이 특정가상기기에 대한 수동 조치를 완료하기까지 요구되는 가용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가용시간 설정부(300)는, 발전소에 설치되어 사고를 해석하는 시뮬레이터 및/또는 연산 장치가 사고를 시뮬레이션한 정보 및/또는 사고를 해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가용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용시간 설정부(300)는 시뮬레이터 및/또는 연산 장치로부터 시뮬레이터 및/또는 연산 장치가 사고를 시뮬레이션한 정보 및/또는 사고를 해석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가용시간 설정부(300)는 시뮬레이터 및/또는 연산 장치와 시뮬레이터 및/또는 연산 장치가 사고를 시뮬레이션한 정보 및/또는 사고를 해석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시뮬레이터 및/또는 연산 장치는 발전소에 설치되어 운전원이 입력한 코드를 기반으로 사고를 해석하는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터 및/또는 연산 장치는 안전해석코드 또는 이와 대응되는 연산코드를 기반으로 사고를 해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서 안전해석코드는 특정 발전소 계통 및/또는 특정 기기가 사고의 발생에 따라 보이는 거동을 예측할 수 있도록 개발된 코드 또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해석코드는 노물리(core physics) 분석을 위한 코드, 연료거동 분석을 위한코드, 열수력 거동을 해석하기 위한 코드, 핵연료로부터 누출되는 핵분열생성물의 분석을 위한 코드 등 다양한 안전해석코드 중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서 안전해석코드와 대응되는 연산코드는 사고에 대한 변수들을 기반으로 특정 발전소 계통 및/또는 특정 기기가 사고의 발생에 따라 보이는 거동을 예측할 수 있도록 개발된 코드 또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코드는, 안전해석코드가 해석한 사고 또는 이와 유사한 사고(이하, '해석된 사고')를 해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산코드는 해석된 사고를 안전해석코드와 상이한 변수를 기반으로, 특정 발전소 계통 및/또는 특정 기기가 사고의 발생에 따라 보이는 거동을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연산코드는 안전해석코드가 해석하지 않은 사고에 대하여, 특정 발전소 계통 및/또는 특정기기가 사고의 발생에 따라 보이는 거동을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용시간 설정부(300)는 시뮬레이터 및/또는 연산 장치로부터 가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가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고에 대한 가용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가용시간을 설정한 가용시간 설정부(300)는 가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용시간데이터를 후술하는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로 송신한다.
또한 가용시간 설정부(300)는 시뮬레이터 및/또는 연산 장치가 해석한 가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용시간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가용시간 설정부(3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위험도를 기반으로 복수의 가용시간 중에 하나의 가용시간을 선택하는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뮬레이터 및/또는 연산 장치는 복수의 안전해석코드 및 복수의 연산코드를 이용하여 획득한 복수의 가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이를 위해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는 미리 해석되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복수의 가용시간데이터를 획득하여 복수의 가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로부터 현재 구현되고 있는 사고의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복수의 가용시간에 대한 정보 및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는, 위험도에 따라 복수의 가용시간 중에 하나의 가용시간을 선택하여 가용시간을 설정한다. 복수의 가용시간 중에 선택된 하나의 가용시간을 안전가용시간이라한다. 즉, 안전가용시간은 사고의 위험도에 따라 복수의 가용시간 중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 가용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00)는 동일한 사고를 복수의 방법(복수의 안전해석 코드 및/또는 연산코드)으로 해석하여 획득한 복수의 가용시간 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사고의 위험도를 기반으로 하나의 가용시간을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고의 경중에 따라 위험도를 달리 설정하여, 사고 별로 가용시간의 장단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경우에서,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가 사고 상황 구현부(200)로부터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가 위험도에 따라 안전가용시간을 선택하는 방법은 이하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위험도가 일정 기준치 이하로 낮게 설정된 사고의 경우,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는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가 획득한 복수의 가용시간 중 최장시간 또는 이와 유사한 시간을 안전가용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위험도가 일정 기준치 이상으로 높게 설정된 사고의 경우,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는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가 획득한 복수의 가용시간 중 최단시간 또는 이와 유사한 시간을 안전가용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N의 위험도를 갖는 사고에 대하여 복수의 가용시간 중에 N퍼센타일(percentile)에 대응하는 가용시간을 안전가용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N퍼센타일에 대응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가장 인접한 퍼센타일 값을 갖는 가용시간이 안전가용시간으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개의 가용시간이 있는 경우, N퍼센타일에 대응하는 가용시간은 이하와 같다. 먼저, M개의 가용시간을 가용시간이 긴 순서로 정렬하면, K번째로 긴 시간을 갖는 가용시간은 (100K/M)퍼센타일에 대응된다. 따라서 가장 긴 가용시간이 (100/M) 퍼센타일에 대응되고 가장 짧은 시간을 갖는 가용시간이 100퍼센타일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90퍼센타일에 해당하는 가용시간은, 복수의 가용시간에서 90퍼센타일에 해당하는 가용시간보다 긴 가용시간들이 전체의 90퍼센트이고, 90퍼센타일에 해당하는 가용시간 값보다 짧은 가용시간들이 전체의 10퍼센트인 값을 의미한다.
안전가용시간을 설정한 안전 가용시간 설정부(300)는 안전가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가용시간데이터를 후술하는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로 송신한다.
한편, 진단시간 측정부(40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에 의해 시뮬레이션된 참여 운전원의 조치과정 중에서, 참여 운전원이 사고를 인지하고 복수의 가상기기 중에 특정가상기기를 특정하는 진단단계에서 소모된 시간인 진단시간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참여 운전원이 사고를 인지한 시점은 가상발전소에서 사고 등으로 인한 경고가 발생한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참여 운전원이 특정가상기기를 특정하는 진단이 완료된 시점은 입력부를 통해 특정가상기기를 입력하는 입력이 완료된 시점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시간 측정부(400)는 진단시간데이터 기록부(410) 및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시간데이터 기록부(410)는 참여 운전원이 진단단계를 진행하여 측정된 진단시간과 참여 운전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진단시간데이터 기록부(410)는 조치과정을 시뮬레이션한 참여 운전원의 경력, 운전 경험 등을 포함하는 참여 운전원에 대한 정보인 진단관련정보와 참여 운전원이 진단단계를 완료하는데 걸린 진단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시간데이터를 기록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관련정보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에 의한 시뮬레이션이 시작되는 단계, 또는 시뮬레이션 과정 중에, 또는 시뮬레이션이 종료된 후에 참여 운전원이 입력부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진단시간데이터 기록부(410)가 진단시간데이터를 기록 또는 저장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진단시간데이터 기록부(410)는 진단시간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하고, 저장한 진단시간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진단단계가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며 측정된 복수의 진단시간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의 진단시간을 선택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진단시간을 안전진단시간이라 한다.
즉,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측정된 진단시간의 불확실도를 고려하여, 가상발전소에서 발생한 사고가 실제 발전소에서 발생할 경우 사고를 진단하는데 소모될 것으로 예상되는 진단시간을 선택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불확실도란 동일인이 같은 사고를 진단하는 경우이더라도 매회 진단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며, 복수의 운전원이 같은 사고를 진단하는 경우 운전원마다 진단시간이 달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진단시간데이터 기록부(410)로부터 진단단계가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며 진단시간데이터 기록부(410)에 기록된 복수의 진단시간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획득한 복수의 진단시간데이터에서 진단단계가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며 측정된 복수의 진단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진단단계가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며 측정된 복수의 진단시간들은 복수의 참여 운전원 각각이 적어도 한번 이상 진단단계를 진행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안전진단시간은 상술한 복수의 사고 각각의 위험도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위험도가 일정 기준치 이하로 낮게 설정된 사고의 경우,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가 획득한 복수의 진단시간 중 최장시간 또는 이와 유사한 시간을 안전진단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위험도가 일정 기준치 이상으로 높게 설정된 사고의 경우,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가 획득한 복수의 진단시간 중 최단시간 또는 이와 유사한 시간을 안전진단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위험도를 기준으로,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N의 위험도를 갖는 사고에 대하여 복수의 진단시간 중에 N퍼센타일에 대응하는 진단시간을 안전진단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N퍼센타일에 대응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가장 인접한 퍼센타일 값을 갖는 진단시간이 안전진단시간으로 선택될 수 있다. 퍼센타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를 위해,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로부터 현재 시뮬레이션되고 있는 사고의 위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로부터 현재 시뮬레이션되고 있는 사고의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사용자로부터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진단단계를 진행한 참여 운전원 별로 설정된 안전진단시간인 개인별 안전진단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개인별 안전진단시간은 복수의 참여 운전원 각각에 대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참여 운전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하 '식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는 참여 운전원의 이름, 사원 번호, 직책 등일 수 있다.
한편, 진단시간데이터 기록부(41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식별 정보를 진단시간데이터에 포함하여 저장 또는 기록할 수 있다.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가 개인별 안전진단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복수의 진단시간데이터에서 식별 정보가 동일한 데이터들을 추출한 후 추출된 데이터들로부터 복수의 진단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복수의 진단시간을 추출한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복수의 진단시간을 평균하여 개인별 안전진단시간으로 할 수 있다. 또는 개인별 안전진단시간은 복수의 진단시간 중에 사고의 위험도에 따라 선택된 값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의 위험도가 N일 경우, 복수의 진단시간을 진단시간이 긴 쪽에서부터 세어 N퍼센타일에 대응되는 진단시간이 개인별 안전진단시간으로 선택될 수 있다.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는 개인별 안전진단시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동시간 측정부(50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에 의해 시뮬레이션된 참여 운전원의 조치 과정 중에서, 진단 단계를 완료한 참여 운전원이 가상발전소의 초기 위치에서 특정가상기기가 설치된 조작 위치까지 이동하는 이동단계에서 소모된 시간인 이동시간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초기 위치는 발전소의 주제어실에 대응되어 구현된 가상발전소의 주제어실일 수 있다.
진단단계가 완료되고 이동단계가 시작되면 디스플레이부(240)의 디스플레이 상에 초기 위치에서 조작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참여 운전원이 복수의 경로 중에 특정경로를 선택하는 입력을 하면 이동시간의 측정이 시작된다.
이동단계의 일 실시예에서, 경로를 선택한 참여 운전원은 보행부에 탑승하여 보행을 시작한다. 이때 가상발전소 내부에서 참여 운전원의 이동 속도는 참여 운전원이 보행부에서 보행하는 보행속도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보행부는 참여 운전원이 이동하는 경로에 따라, 운전원이 보행하고 있는 컨베이어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 운전원이 가상 발전소내의 계단 또는 경사를 오를 때는 컨베이어가 지면에 대하여 상향 경사를 이루게 된다. 한편, 참여 운전원이 가상 발전소내의 계단 또는 경사를 내려갈 때는 컨베이어가 지면에 대하여 하향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동단계의 다른 실시예에서 참여 운전원은 보행부를 이용하여 실제로 보행하지 않고, 참여 운전원의 보행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참여 운전원의 보행 정보는 미리 측정된 참여 운전원의 보행 속도, 보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또는 후술하는 이동시간데이터로부터 참여 운전원의 보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참여 운전원의 보행 정보를 획득한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이동단계에서의 이동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에서 이동단계에서는, 참여 운전원에 대응되는 아바타가 참여 운전원의 입력에 대응하여 특정 경로를 이동하는 과정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또는, 이 실시예에서 이동단계는 시뮬레이션되지 않고 이동시간이 바로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 운전원이 복수의 경로 중에 특정경로를 선택하면 특정경로의 길이 정보와 참여 운전원의 보행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시간이 연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시간은 특정경로의 길이에서 운전원의 보행 속도를 나눈 값으로 연산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간 측정부(500)는 이동시간데이터 기록부(510), 안전이동시간 설정부(420) 및 경로 판단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시간데이터 기록부(510)는 참여 운전원이 이동단계를 진행하여 측정된 이동시간과 참여 운전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이동시간데이터 기록부(510)는 조치과정을 시뮬레이션한 참여 운전원의 나이, 성별, 몸무게, 신장, 보행 속도, 보폭 등을 포함하는 참여 운전원에 대한 정보인 이동관련정보, 참여 운전원이 이동단계를 완료하는데 걸린 이동시간에 대한 정보 및 참여 운전원이 선택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시간데이터를 기록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관련정보 중 나이, 성별, 몸무게, 신장 등은, 사고 상황 구현부(200)에 의한 시뮬레이션이 시작되는 단계, 또는 시뮬레이션 과정 중에, 또는 시뮬레이션이 종료된 후에 참여 운전원이 입력부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여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이동관련정보 중 보폭, 보행 속도 등은 참여 운전원이 보행부에 탑승하여 보행하는 과정에서 측정되어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이동관련정보 중 보폭, 보행 속도 등은 시뮬레이션이 시작되는 단계, 또는 시뮬레이션 과정 중에, 또는 시뮬레이션이 종료된 후에 참여 운전원이 입력부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여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이동시간데이터에 기반하여 참여 운전원의 보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이동시간데이터 기록부(510)로부터 이동시간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이동시간데이터를 기반으로 참여 운전원의 보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이동시간데이터 기록부(510)가 이동시간데이터를 기록 또는 저장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시간데이터 기록부(510)는 이동시간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하고, 저장한 이동시간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이동단계가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며 측정된 복수의 이동시간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의 이동시간을 선택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선택된 이동시간을 안전이동시간이라 한다.
즉,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측정된 이동시간의 불확실도를 고려하여, 가상발전소에서 발생한 사고가 실제 발전소에서 발생할 경우 초기 위치에서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데 예상되는 이동시간을 선택하는 구성요소이다.
상술한 내용에서 이동시간의 불확실도란 동일인이 같은 경로를 이동하는 경우이더라도 매회 이동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며, 복수의 운전원이 같은 경로를 이동하는 경우 운전원마다 이동시간이 달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이동시간데이터 기록부(510)로부터 이동단계가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어 이동시간데이터 기록부(510)에 기록된 복수의 이동시간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획득한 복수의 이동시간데이터에서 이동단계가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며 측정된 복수의 이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계가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며 측정된 복수의 이동시간들은, 복수의 참여 운전원 각각이 적어도 한번 이상 이동단계를 진행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안전이동시간은 상술한 복수의 사고 각각의 위험도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위험도가 일정 기준치 이하로 낮게 설정된 사고의 경우,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가 획득한 복수의 이동시간 중 최장시간 또는 이와 유사한 시간을 안전이동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위험도가 일정 기준치 이상으로 높게 설정된 사고의 경우,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가 획득한 복수의 이동시간 중 최단시간 또는 이와 유사한 시간을 안전이동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위험도를 기준으로,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N의 위험도를 갖는 사고에 대하여 복수의 이동시간 중에 N퍼센타일에 대응하는 이동시간을 안전이동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N퍼센타일에 대응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가장 인접한 퍼센타일 값을 갖는 이동시간이 안전이동시간으로 선택될 수 있다. 퍼센타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를 위해,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로부터 현재 시뮬레이션되고 있는 사고의 위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로부터 현재 시뮬레이션되고 있는 사고의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사용자로부터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이동단계를 진행한 참여 운전원 별로 설정된 안전이동시간인 개인별 안전이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개인별 안전이동시간은 복수의 참여 운전원 각각에 대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참여 운전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이동시간데이터 기록부(51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식별 정보를 이동시간데이터에 포함하여 저장 또는 기록할 수 있다.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가 개인별 안전이동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복수의 이동시간데이터에서 식별 정보가 동일한 데이터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들로부터 복수의 이동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시간을 추출한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복수의 이동시간을 평균하여 개인별 안전이동시간으로 할 수 있다. 또는 개인별 안전이동시간은 복수의 이동시간 중에 사고의 위험도에 따라 선택된 값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의 위험도가 N일 경우, 복수의 이동시간을 이동시간이 긴 쪽에서부터 세어 N퍼센타일에 대응되는 이동시간이 개인별 안전이동시간으로 선택될 수 있다.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는 개인별 안전이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할 수 있다.
경로 판단부(530)는 참여 운전원이 초기 위치에서 조작 위치를 연결하는 복수의 경로에 포함되는 각각의 경로를 이동하는데 소모된 시간을 기반으로 추천경로를 판단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로 판단부(530)는 이동시간데이터 기록부(510)에 저장된 이동시간데이터를 기반으로, 임의의 운전원이 각각의 경로를 이동하는 데 소모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로이동시간을 연산 또는 선택한다. 이를 위해 이동시간데이터 기록부(510)는 이동시간데이터에 이동단계에서 참여 운전원이 복수의 경로 중에 선택한 경로인 선택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먼저 경로 판단부(530)는 복수의 이동시간데이터에서 선택 경로에 대한 정보가 동일한 복수의 이동시간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이동시간을 추출한다. 경로 판단부(530)는 추출된 복수의 이동시간을 기반으로 선택 경로에 대한 경로이동시간을 연산 또는 선택한다.
예를 들어 선택 경로의 경로이동시간은 추출된 복수의 이동시간의 평균값으로 연산될 수 있다. 또는, 선택 경로의 경로이동시간은 추출된 복수의 이동시간 중에 최장시간으로 선택될 수 있다.
경로 판단부(530)는 각각의 선택 경로 별로 경로이동시간을 연산 또는 선택하고, 경로이동시간을 비교하여 추천경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추천경로는 복수의 선택 경로 중에 최단의 경로이동시간 값을 갖는 선택 경로일 수 있다.
또는 추천경로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의 범위 안에 속하는 경로이동시간을 갖는 선택 경로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추천경로는 복수 개일 수 있다.
한편, 경로 판단부(530)는 판단된 추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추천경로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시간 측정부(600)는 조작시간데이터 기록부(610) 및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시간 측정부(600)는 참여 운전원의 가상발전소 내의 조작 위치에 도달하면 조작시간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조작시간 측정부(600)는 참여 운전원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보고 가상특정기기를 조작하여 수동조치를 완료하는 데까지 소모된 시간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조작시간 측정부(600)는 조작단계에서 참여 운전원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을 보고 입력부를 통해 특정가상기기를 조작하는데 소모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조작시간 측정부(600)는 조작단계에서 참여 운전원이 증강현실로 표현된 특정가상기기를 조작하는데 소모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조작시간데이터 기록부(610)는 참여 운전원이 조작단계를 진행하여 측정된 조작시간과 참여 운전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조작시간데이터 기록부(610)는 조치과정을 시뮬레이션한 참여 운전원의 경력, 운전 경험, 특정기기에 대한 조작한 경험, 운전원의 훈련 정보 등을 포함하는 참여 운전원에 대한 정보인 조작관련정보와 참여 운전원이 조작단계를 완료하는데 걸린 조작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시간데이터를 기록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관련정보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에 의한 시뮬레이션이 시작되는 단계, 또는 시뮬레이션 과정 중에, 또는 시뮬레이션이 종료된 후에 참여 운전원이 입력부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조작시간데이터 기록부(610)가 조작시간데이터를 기록 또는 저장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작시간데이터 기록부(610)는 조작시간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하고, 저장한 조작시간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조작단계가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며 측정된 복수의 조작시간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의 조작시간을 선택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조작시간을 안전조작시간이라 한다.
즉,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측정된 조작시간의 불확실도를 고려하여, 가상발전소에서 발생한 사고가 실제 발전소에서 발생할 경우 특정기기를 조작하는데 소모될 것으로 예상되는 조작시간을 선택하는 구성요소이다.
상술한 내용에서 불확실도란 동일인이 같은 기기를 조작하는 경우이더라도 매회 조작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며, 복수의 운전원이 같은 기기를 조작하는 경우 운전원마다 조작시간이 달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조작시간데이터 기록부(610)로부터 조작단계가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어 조작시간데이터 기록부(610)에 기록된 복수의 조작시간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획득한 복수의 조작시간데이터에서 조작단계가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며 측정된 복수의 조작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조작단계가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며 측정된 복수의 진단시간들은 복수의 참여 운전원 각각이 적어도 한번 이상 조작단계를 진행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안전조작시간은 상술한 복수의 사고 각각의 위험도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위험도가 일정 기준치 이하로 낮게 설정된 사고의 경우,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가 획득한 복수의 조작시간 중 최장시간 또는 이와 유사한 시간을 안전조작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위험도가 일정 기준치 이상으로 높게 설정된 사고의 경우,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가 획득한 복수의 조작시간 중 최단시간 또는 이와 유사한 시간을 안전조작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위험도를 기준으로,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N의 위험도를 갖는 사고에 대하여 복수의 조작시간 중에 N퍼센타일에 대응하는 조작시간을 안전조작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N퍼센타일에 대응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가장 인접한 퍼센타일 값을 갖는 조작시간이 안전조작시간으로 선택될 수 있다. 퍼센타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를 위해,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로부터 현재 시뮬레이션되고 있는 사고의 위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로부터 현재 시뮬레이션되고 있는 사고의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사용자로부터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조작단계를 진행한 참여 운전원 별로 설정된 안전조작시간인 개인별 안전조작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개인별 안전조작시간은 복수의 참여 운전원 각각에 대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고 상황 구현부(200)는 참여 운전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조작시간데이터 기록부(610)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식별 정보를 조작시간데이터에 포함하여 저장 또는 기록할 수 있다.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가 개인별 안전조작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복수의 조작시간데이터에서, 식별 정보가 동일한 데이터들을 추출한 후 추출된 데이터들로부터 복수의 진단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복수의 조작시간을 추출한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복수의 조작시간을 평균하여 개인별 안전조작시간으로 할 수 있다. 또는 개인별 안전조작시간은 복수의 조작시간 중에 사고의 위험도에 따라 선택된 값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의 위험도가 N일 경우, 복수의 조작시간을 조작시간이 긴 쪽에서부터 세어 N퍼센타일에 대응되는 조작시간이 개인별 안전조작시간으로 선택될 수 있다.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는 개인별 안전조작시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참여 운전원의 수동조치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가용시간, 진단시간, 이동시간, 조작시간을 기반으로 여유시간을 연산하고, 여유시간을 기반으로 수동조치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참여 운전원의 수동조치의 적합성이란, 참여 운전원의 특정가상기기를 진단하고 조작위치를 이동하여 특정가상기기를 조작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적합성을 의미한다. 즉, 참여 운전원의 수동조치의 적합성이란 가상발전소의 안전정지를 위해 참여 운전원이 행한 조치과정의 적합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가용시간 설정부(300)로부터 가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용시간데이터, 진단시간 측정부(400)로부터 진단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시간데이터, 이동시간 측정부(500)로부터 이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시간데이터 및 조작시간 측정부(600)로부터 조작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시간데이터를 각각 수신한다.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가용시간데이터, 진단시간데이터, 이동시간데이터 및 조작시간데이터로부터 각각 가용시간, 진단시간, 이동시간 및 조작시간을 획득한다. 그 후 조치 적합성 판단부는 진단시간, 이동시간 및 조작시간을 합한 소요시간과 가용시간의 차이를 연산하여 여유시간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여유시간은 가용시간에서 소요시간을 뺀 값으로 연산될 수 있다.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여유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참여 운전원의 수동조치를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여유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참여 운전원에 의한 수동조치를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안전가용시간 설정부(310)로부터 안전가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가용시간데이터, 안전진단시간 설정부(420)로부터 안전진단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진단시간데이터, 안전이동시간 설정부(520)로부터 안전이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이동시간데이터 및 안전조작시간 설정부(620)로부터 안전조작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조작시간데이터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안전가용시간데이터, 안전진단시간데이터, 안전이동시간데이터 및 안전조작시간데이터로부터 각각 안전가용시간, 안전진단시간, 안전이동시간 및 안전조작시간을 획득한다. 그 후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안전진단시간, 안전이동시간 및 안전조작시간을 합한 소요시간과 안전가용시간의 차이를 연산하여 여유시간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여유시간은 안전가용시간에서 소요시간을 뺀 값으로 연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가 안전가용시간, 안전진단시간, 안전이동시간 및 안전조작시간을 기반으로 여유시간을 연산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는 예시적이다. 예를 들어,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가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용시간데이터를 수신하고, 가용시간, 안전진단시간, 안전이동시간 및 안전조작시간을 기반으로 여유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여유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참여 운전원의 수동조치를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여유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시뮬레이션된 수동조치를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운전원의 수동조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동조치데이터를 수동조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또한,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운전원의 수동조치에 대한 정보를 시뮬레이션된 사고와 관련된 비정상절차서에 기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조치데이터에는, 시뮬레이션된 사고에 대한 정보(사고의 유형, 사고가 발생한 위치, 사고가 발생한 계통, 조작이 필요했던 특정가상기기의 목록), 가용시간(또는 안전가용시간), 진단시간(또는 안전진단시간), 이동시간(또는 안전이동시간), 조작시간(또는 안전조작시간), 조작단계에서 특정가상기기를 조작한 방법, 여유시간, 식별 정보, 참여 운전원의 진단관련정보, 참여 운전원의 이동관련정보 및 참여 운전원의 조작관련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발전소에 실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110), 수동조치 데이터베이스(120) 및/또는 추천경로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0)에는 복수의 운전원 각각의 운전원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 진단관련정보, 이동관련정보 및 조작관련정보가 저장되고,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복수의 운전원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 진단관련정보, 이동관련정보 및 조작관련정보를 획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에 복수의 운전원 각각의 운전원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 진단관련정보, 이동관련정보 및 조작관련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발전소에 실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들에 대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들의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들의 진단관련정보, 이동관련정보 및 조작관련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진단관련정보, 이동관련정보 및 조작관련정보를 기반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 수동조치를 행한 참여 운전원의 진단관련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진단관련정보를 가진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에게 진단을 행할 것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 수동조치를 행한 참여 운전원의 이동관련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이동관련정보를 가진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에게 조작 위치로 이동할 것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 수동조치를 행한 참여 운전원의 조작관련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조작관련정보를 가진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에게 조작 위치로 이동하여 기기를 조작할 것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개인별 안전진단시간에 대한 정보, 개인별 안전이동시간에 대한 정보 및/또는 개인별 안전조작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 중에 개인별 안전진단시간이 최단시간인 운전원에게 사고에 대한 진단을 행할 것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 중에 개인별 안전이동시간이 최단시간인 운전원에게 특정기기로 이동할 것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 중에 개인별 안전조작시간이 최단시간인 운전원에게 특정기기로 이동하여 특정기기를 조작할 것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수동조치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수동조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동조치데이터를 획득하여 수동조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고 조치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발생한 실제 사고와 동일 또는 유사한 사고에 대응하여 적합한것으로 판단된 수동조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동조치데이터를 탐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실제 사고와 동일 또는 유사한 사고에 대응하여 적합한것으로 판단된 수동조치가 존재하면,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에게 적합한것으로 판단된 수동조치를 추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수동조치데이터에 포함된, 시뮬레이션된 사고에 대한 정보를 미리 학습하여 실제 사고와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사용자로부터 실제 사고의 사고의 유형, 사고가 발생한 위치, 사고가 발생한 계통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수동조치데이터에 포함된 시뮬레이션된 사고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고의 유형은 예를 들어 화재, 해일, 지진 등일 수 있다.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실제 발전소에 발생한 사고와 동일 또는 유사한 사고에 대응하여 적합한것으로 판단된 수동조치가 존재하면, 이를 기반으로, 조작이 필요했던 특정가상기기의 목록 및 조작단계에서 특정가상기기를 조작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수동조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사고가 발생되면 수동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특정기기의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수동조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사고 발생시 수동조치가 필요한 특정기기를 조작하는 방법을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추천경로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추천경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추천경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유사 사고 발생시,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에게 추천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현재 발전소의 상태를 고려하여 경로를 추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사용 가능한 경로 및 사용 불가능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 불가능한 경로는 예를 들어 현재 출입이 제한되거나, 사고에 의해 출입이 제한된 경로일 수 있다.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이동시간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경로이동시간을 비교하여 현재 사용 가능한 경로 중에서 특정기기까지 이동하는 데 최단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로를 추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화재비정상 절차서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시 주제어실에 위치한 가용인력을 확인하고 화재에 대한 조치를 추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1)에 따르면, 수동조치와 관련된 타임라인이 검증되어 타당한 수동조치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가용시간, 안전진단시간, 안전이동시간 및 안전조작시간을 보수적으로 설정하여, 주제어실에 위치한 운전원이 누구인지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는 수동조치방법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가용시간을 최단시간으로 설정하고 안전진단시간, 안전이동시간 및 안전조작시간 각각을 최장시간으로 설정하더라도 발전소의 안전정지가 성공되는 수동조치방법을 획득하면 이를 사고와 관련된 비정상절차서에 반영하여, 실제 사고 발생시 안정적으로 수동조치를 취할 수 있는효과가 있다.
한편, 안전가용시간을 최단시간으로 설정하여 여유시간이 음의 값을 가지게 된 경우 사용자는, 안전가용시간, 안전진단시간, 안전이동시간 및/또는 안전조작시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여유시간이 양의 값을 갖는 수동 조치 중 가장 많은 운전원이 수동조치를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수동조치방법을 비정상절차서에 반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의 순서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은 사고가 발생한 상황이 구현되는 단계(S10), 가용시간이 설정되는 단계(S20), 진단시간이 측정되는 단계(S30), 이동시간이 측정되는 단계(S40), 조작시간이 측정되는 단계(S50), 수동조치의 적합성이 판단되는 단계(S60) 및 사고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고가 발생한 상황이 구현되는 단계(S10)에서는, 사고 상황 구현부(200)에 의해, 가상발전소와 복수의 가상기기가 모델링되고, 사고가 발생한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가상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한 상황이 구현되는 단계이다.
먼저 참여 운전원은 입력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사고가 발생한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시나리오데이터에 대응되는 시나리오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참여 운전원이, 복수의 시나리오 중에 하나의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입력을 하면,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시나리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 상황 구현부(200)가 사고가 발생한 상황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모델링부(210)에 의해 가상발전소와 가상기기가 모델링된다. 또한 모델링부(210)가 시나리오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한 상황을 모델링하여 구현한다.
가용시간이 설정되는 단계(S20)에서는 가용시간 설정부(300)에 의해, 구현된 사고에 대응하여, 참여 운전원이 특정기기에 대응되는 특정가상기기에 대해 수동조치를 완료하기까지 요구되는 가용시간이 설정된다. 설정된 가용시간은 참여 운전원이 남은 시간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시간이 설정되는 단계(S20)에서 가용시간 설정부(200)가 시뮬레이터 및/또는 연산장치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가용시간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가용시간을 선택하는 입력을 하여 가용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가용시간이 설정되는 단계(S20)에서는 시나리오데이터에 포함된, 위험도에 기반하여 가용시간 설정부(200)가 가용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진단시간이 측정되는 단계(S30)에서는 진단시간 측정부(400)에 의해 참여 운전원이 사고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가상발전소에서 발생한 사고를 인지하고 특정가상기기를 특정하는데 소모된 시간이 측정된다.
예를 들어 참여 운전원이 사고를 인지한 시점은 가상발전소에서 사고 등으로 인한 경고가 발생한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는 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으로 표시되거나 음향 장치에서 발생된 경고음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참여 운전원이 특정가상기기를 특정하는 진단이 완료된 시점은 입력부를 통해 특정가상기기를 입력하는 입력이 완료된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복수의 가상기기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하여 진단 단계를 완료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특정가상기기에 대응하는 코드를 입력하여 진단단계를 완료실킬 수 있다.
이동시간이 측정되는 단계(S40)에서는 이동시간 측정부(500)에 의해, 참여 운전원이 사고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가상발전소 내의 초기 위치에서 특정가상기기가 설치된 조작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소모된 시간이 측정된다.
이동시간의 측정이 시적되는 시점은 참여 운전원이 복수의 경로 중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입력을 한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선택지가 주어지고 운전원이 이에 대응하는 입력을 하여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운전원이 특정한 경로에 대응되는 코드를 입력하여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이동시간의 측정이 종료되는 시점은 참여 운전원이 조작 위치에 도착한 시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전원이 조종하는 가상 아바타가 초기 위치에서 조작 위치로 이동하기까지의 시간이 이동시간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가상 아바타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고, 모델링부(210)에 의해 모델링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운전원은 보행부에 탑승하고, 운전원이 보행부 상에서 보행하는 보행 속도에 대응하여 제어부(230)가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된 가상 발전소의 풍경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보행 속도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된 풍경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작시간이 측정되는 단계(S50)에서는 조작시간 측정부(600)에 의해, 참여 운전원이 사고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조작 위치에서 특정가상기기를 조작하는데 소모된 시간이 측정된다.
조작시간의 측정이 시적되는 시점은 참여 운전원이 조작 위치에 도착한 시점이다. 조작시간의 측정이 종료되는 시점은 참여 운전원이 특정가상기기에 대한 수동조치를 완료한 시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조작시간 측정부(600)는 운전원이 조종하는 가상 아바타가 참여 운전원의 입력을 받아 수동조치를 완료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작시간 측정부(600)는 운전원이 증강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특정가상기기에 대한 수동조치를 완료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수동조치의 적합성이 판단되는 단계(S60)에서는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가 여유시간을 연산하고, 여유시간을 기반으로 참여 운전원이 사고에 대응하여 시뮬레이션한 수동조치의 적합성이 판단된다. 이 단계에서,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운전원의 수동조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동조치데이터를 수동조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조치 적합성 판단부(700)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수동조치에 대한 정보를 관련된 사고의 비정상절차서에 반영할 수 있다.
사고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는 단계(S70)에서는 발전소에 실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가 사고에 대한 가드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운전원에게 해당 사고와 동일 또는 유사한 사고에 대하여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수동조치에 대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운전원에게 특정기기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추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진단단계, 이동단계, 및/또는 조작단게를 수행할 운전원을 추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사고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는 단계(S70)에서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수동조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동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특정기기의 목록과 특정기기를 조작하는 방법을 추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사고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는 단계(S70)에서 조치 가능성 판단부(800)는 개인별 안전진단시간, 개인별 안전이동시간 및/또는 개인별 안전조작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100: 데이터베이스 110: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
120: 추천경로 데이터베이스 130: 수동조치 데이터베이스
200: 사고 상황 구현부 210: 모델링부
220: 입력부 230: 제어부
240: 디스플레이부 300: 가용시간 설정부
310: 안전가용시간 설정부 400: 진단시간 측정부
410: 진단시간데이터 기록부 420: 안전진단시간 설정부
500: 이동시간 측정부 510: 이동시간데이터 기록부
520: 안전이동시간 설정부 530: 경로 판단부
600: 조작시간 측정부 610: 조작시간데이터 기록부
620: 안전조작시간 설정부 700: 조치 적합성 판단부
800: 조치 가능성 판단부

Claims (5)

  1. 복수의 기기가 설치된 발전소에서 상기 복수의 기기 중 특정기기에 운전원의 수동조치가 요구되는 사고가 발생한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발전소에 대응되는 가상발전소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상기기를 모델링하고, 상기 시나리오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발전소에서 상기 사고가 발생한 상황을 구현하여, 상기 운전원이 상기 복수의 가상기기 중에 상기 특정기기에 대응되는 특정가상기기를 수동조치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사고 상황 구현부;
    구현된 상기 사고에 대응하여 상기 운전원이 상기 특정가상기기에 대한 수동조치를 완료하기까지 요구되는 시간인 가용시간을 설정하는 가용시간설정부;
    상기 운전원이 상기 사고를 인지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기기 중에 상기 특정가상기기를 특정하는 진단단계에서 소모된 시간인 진단시간을 측정하는 진단시간 측정부;
    상기 운전원이 상기 가상발전소 내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특정가상기기가 설치된 조작 위치까지 이동하는 이동단계에서 소모된 시간인 이동시간을 측정하는 이동시간 측정부; 및
    상기 운전원이 상기 조작 위치에서 상기 특정가상기기를 조작하는 조작단계에서 소모된 시간인 조작시간을 측정하는 조작시간 측정부;를 포함하는,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시간 설정부로부터 상기 가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용시간데이터, 상기 진단시간 측정부로부터 상기 진단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시간데이터, 상기 이동시간 측정부로부터 상기 이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시간데이터 및 상기 조작시간 측정부로부터 상기 조작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시간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가용시간데이터, 상기 진단시간데이터, 상기 이동시간데이터 및 상기 조작시간데이터를 기반으로 여유시간을 연산하며, 상기 여유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운전원의 수동조치에 대한 적합성을 판단하는, 조치 적합성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치 적합성 판단부는.
    상기 여유시간이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운전원의 수동조치를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는,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발전소에는 상기 초기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를 연결하는 복수의 경로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시간 측정부는, 상기 운전원이 상기 복수의 경로에 포함되는 각각의 경로를 이동하는데 소모된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경로 중에 추천경로를 판단하는 경로 판단부를 포함하는,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5. 복수의 기기가 설치된 발전소와 대응되는 가상발전소와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상기기가 모델링되고, 상기 복수의 기기 중에 특정기기에 운전원의 수동조치가 요구되는 사고가 발생한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발전소에서 상기 사고가 발생한 상황이 구현되는 단계;
    구현된 상기 사고에 대응하여 상기 운전원이 상기 특정기기에 대응되는 특정가상기기에 대해 수동조치를 완료하기까지 요구되는 시간인 가용시간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운전원이 상기 가상발전소에서 상기 사고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상기 가상발전소에서 발생한 상기 사고를 인지하고 상기 특정가상기기를 특정하는데 소모된 시간인 진단시간이 측정되는 단계;
    상기 운전원이 상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상기 가상발전소 내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특정가상기기가 설치된 조작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소모된 시간인 이동시간이 측정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원이 상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상기 조작 위치에서 상기 특정가상기기를 조작하는데 소모된 시간인 조작시간이 측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KR1020210023596A 2021-02-22 2021-02-22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KR10258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596A KR102582234B1 (ko) 2021-02-22 2021-02-22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KR1020210026139A KR102582235B1 (ko) 2021-02-22 2021-02-26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596A KR102582234B1 (ko) 2021-02-22 2021-02-22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139A Division KR102582235B1 (ko) 2021-02-22 2021-02-26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005A true KR20220120005A (ko) 2022-08-30
KR102582234B1 KR102582234B1 (ko) 2023-09-25

Family

ID=831140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596A KR102582234B1 (ko) 2021-02-22 2021-02-22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KR1020210026139A KR102582235B1 (ko) 2021-02-22 2021-02-26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139A KR102582235B1 (ko) 2021-02-22 2021-02-26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822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749A (ko) *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열린기술 동적 공정 시뮬레이션 결과를 활용한 플랜트 안전훈련 시스템
KR102102849B1 (ko) * 2019-08-14 2020-04-22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화재 시의 안전정지 분석 방법
KR102144113B1 (ko) * 2019-08-29 2020-08-12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968B1 (ko) * 2014-11-07 2016-05-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데이터 정형화 처리기 및 실시간 제어 분석기를 이용한 사고 회복 방법 및 사고 회복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749A (ko) *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열린기술 동적 공정 시뮬레이션 결과를 활용한 플랜트 안전훈련 시스템
KR102102849B1 (ko) * 2019-08-14 2020-04-22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화재 시의 안전정지 분석 방법
KR102144113B1 (ko) * 2019-08-29 2020-08-12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전 화재발생시 운전원 비상조치시간 적합성 평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235B1 (ko) 2023-09-25
KR102582234B1 (ko) 2023-09-25
KR20220120395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45095A (zh) 用于飞行器大修期间的结构修理的预测方法和系统
Kontogiannis Stress and operator decision making in coping with emergencies
US201802109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on of dismantling operation of nuclear facility
Li et al. Dynamic simulation of knowledge based reasoning of nuclear power plant operator in accident conditions: Modeling and simulation foundations
CN107462425A (zh) 一种车载装备系统的故障预测方法及故障预测平台
CN103198230A (zh) 人-机界面检测方法及系统
JP6706034B2 (ja) 故障予兆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故障予兆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故障予兆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im et al. SACADA and HuREX part 2: The use of SACADA and HuREX data to estimate human error probabilities
US11816024B2 (en) Method of testing a system model
CN113853557A (zh) 测试设备
KR102511069B1 (ko)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장치,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591300B1 (ko) 원전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82235B1 (ko)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및 운전원 수동조치의 신뢰성 확보 방법
Sutcliffe et al. ISRE: immersive scenario-based requirements engineering with virtual prototypes
Zhu et al. Safety risk assessment of drones on construction sites using 4D simulation
Leva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ATM safety issues using retrospective accident data: The dynamic risk modelling project
CN113611416B (zh) 基于虚拟现实技术心理场景评估方法及系统
KR102419667B1 (ko)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환경에서 협업 딥러닝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항공 조종사 훈련시스템 및 그 방법
Spurgin et al. Advanced simulator data mining for operators’ performance assessment
Chuang et al.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human-system interface for Lungmen nuclear project
Woods et al. Cognitive environment simulation: a tool for modeling intention formation for human reliability analysis
US20230359165A1 (en) Virtual Evaluation System For Evaluating An Industrial Process Designed To Be Implemented In An Industrial Facility And Associated Method
CN113642172A (zh) 用于微组装工艺的仿真操作方法及系统
dos Santos et al. Human reliability analysis as an evaluation tool of the emergency evacuation process on industrial installation
Sutcliffe et al. The ISRE method for analyzing system requirements with virtual prototy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