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781B1 -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 Google Patents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781B1
KR102143781B1 KR1020200031447A KR20200031447A KR102143781B1 KR 102143781 B1 KR102143781 B1 KR 102143781B1 KR 1020200031447 A KR1020200031447 A KR 1020200031447A KR 20200031447 A KR20200031447 A KR 20200031447A KR 102143781 B1 KR102143781 B1 KR 102143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pump
gear
shaft
p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봉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주)한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서정공 filed Critical (주)한서정공
Priority to KR1020200031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6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 links or levers, and cams, or members of at least two of these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60Y2400/79Drive shafts, output shafts or propeller shafts
    • B60Y2400/795Power take 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장차에 PTO와 보조엔진을 장착하고 상기 PTO와 보조엔진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펌프를 구동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기와 연결되는 제1샤프트(11)와, 상기 제1샤프트(11)를 지지하는 베어링(16)과, 상기 제1샤프트(11)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풀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PTO(Power Take Off)(10)를 구비한 특장차에 있어서, 차량을 운행시키기 위한 엔진 외에 별도로 구비되는 보조엔진(50)과, 상기 PTO(10) 또는 보조엔진(5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펌프에 전달하기 위한 제2샤프트(20)와, 상기 제2샤프트(20)에 조립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선택기어(15)와, 상기 선택기어(15)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POWER TAKE OFF DEVICE FOR SPECIAL PURPOSE VEHICLE}
본 발명은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장차에 동력인출장치인 PTO(Power Take Off)와 보조엔진을 구비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어느 하나의 동력원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펌프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장차라 함은, 차량의 동력을 인출하여 차량에 구비된 특수장비 인 펌프, 발전기, 농업기계, 냉동기 등을 작동시키는 트럭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장차에는, 소방차량, 산불진화차량, 전염병 방제차량, 쓰레기 수거차량, 견인차량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도 1은 이러한 특장차의 동력전달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엔진(110)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은 클러치(140)를 통해 수동변속기(120)로 전달되고, 수동변속기(120)에서 적절한 속도로 변속되어 구동륜(125)측에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일반적인 특장차는, 상기 수동변속기(120)의 동력을 인출하는 동력인출장치인 PTO(Power Take Off)(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종래의 동력인출장치인 PTO를 본 발명에 따른 동력인출장치와 구별하기 위해 단순히 'PTO'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한 PTO(130)는, 엔진(110)의 동력을 차량의 주행과 관계없는 특수 용도에 이용하기 위해 설치되며, 통상 수동변속기(120)의 구동기어에 PTO(130)의 종동기어를 맞물리게 하여 동력을 인출한다.
또한 종래의 특장차는, 일반적으로 기계식 액셀 페달(111) 및 PTO 온/오프 레버(113)가 엔진(110) 및 PTO(130)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가 PTO 온/오프 레버(113)를 조절하여 PTO(30)를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특장차는, 상기 PTO(30)로부터 인출된 회전력을 유압펌프(135)에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133)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PTO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POT(10)와, 상기 PTO(10)의 회전력을 제1펌프(30)에 전달하기 위한 제2샤프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PTO(10)는, 제1샤프트(11)와, 상기 제1샤프트(11)를 지지하는 베어링(16)과, 상기 제1샤프트(11)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풀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샤프트(20)는, PTO(10)의 동력을 제1펌프(30)에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제1벨트(13)에 의해 PTO(10)의 제1풀리(12)와 연결되는 제2풀리(14)와, 제2벨트(25)에 의해 제1펌프(30)의 제6풀리(31)와 연결되는 제4풀리(22)와,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PTO 구조에 의하면, PTO(10)의 제1샤프트(11)의 회전력이 제1벨트(13)를 통해 제2샤프트(20)에 전달되고, 상기 제2샤프트(20)의 회전력이 제2벨트(25)를 통해 제1펌프(30)에 전달되어 상기 제1펌프를 구동시킨다.
이로써 특장차에 구비된 특수장비를 구동시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TO를 이용하지 않고 차량의 구동엔진 외에 별도의 보조엔진을 장착하는 경우도 있다.
PTO를 이용하지 않고 보조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인출하는 장치는, 보조엔진(50)과, 상기 보조엔진(50)의 동력을 제1펌프(30)에 전달하기 위한 제2샤프트(20)와, 상기 제2샤프트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1펌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샤프트(20)는, 제4벨트(52)에 의해 보조엔진(50)의 제8풀리(51)와 연결되는 제3풀리(21)와, 제2벨트(25)에 의해 제1펌프(30)의 제6풀리(31)와 연결되되는 제4풀리(22)와,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엔진(50)의 동력을 인출하는 구조에서는, 보조엔진(50)의 회전력이 제4벨트(52)를 통해 제2샤프트(20)에 전달되고, 상기 제2샤프트(20)의 회전력이 제2벨트(25)를 통해 제1펌프(30)에 전달되어 상기 제1펌프를 구동시킨다.
그런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동력인출장치는, PTO만을 이용하거나 보조엔진만을 이용하여 펌프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므로, 동력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펌프를 작동시킬 수가 없어 작업을 중단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긴급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04455호(2005. 12. 23. 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1028422호(2011. 4. 14. 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1611884호(2016. 4. 26.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장차에 PTO와 보조엔진을 모두 장착하여 상기 PTO와 보조엔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장차에서 PTO 또는 보조엔진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다른 동력원으로 즉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동력원을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대의 펌프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는, 차량 변속기와 연결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제1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PTO(Power Take Off)를 구비한 특장차에 있어서, 차량을 운행시키기 위한 엔진 외에 별도로 구비되는 보조엔진과, 상기 PTO 또는 보조엔진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펌프에 전달하기 위한 제2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에 조립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선택기어와, 상기 선택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샤프트는, 제1벨트에 의해 PTO의 제1풀리와 연결되는 제2풀리와, 상기 제2풀리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제4벨트에 의해 보조엔진의 제8풀리와 연결되는 제3풀리와, 제2벨트에 의해 제1펌프의 제6풀리와 연결되는 제4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기어는,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중심으로 왼쪽에 형성되는 좌측기어부와, 상기 오목부를 중심으로 오른쪽에 형성되는 우측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연결부재에 의해 기어이동장치의 제1링크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기어의 좌측기어부는 제2풀리의 내측 일부에 형성된 기어치에 조립되어 PTO의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선택기어의 우측기어부는 제3풀리의 내측 일부에 형성된 기어치에 조립되어 보조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이동장치는, 상기 선택기어의 중앙 오목부에 조립되는 링 형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일단에 구비되는 손잡이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레버는, 제1힌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요동운동을 하고, 상기 손잡이 레버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로드의 단부와 제2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를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2샤프트가 제4풀리의 외측에 제5풀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풀리는 제2벨트에 의해 제1펌프의 제6풀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5풀리는 제3벨트에 의해 제2펌프의 제7풀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펌프의 제6풀리에 전자클러치가 장착되고, 상기 제2펌프의 제7풀리에 전자클러치가 장착되어, 상기 제1펌프와 제2펌프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거나, 모두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기어이동장치가 제2힌지와 제3힌지 사이에 설치되는 전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상기 기어이동장치가 제2힌지와 제3힌지 사이에 설치되는 푸시풀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장차에 PTO와 보조엔진을 모두 구비하여, PTO와 보조엔진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장차에서 작업 수행시 동력원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다른 동력원으로 교체하여 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동력원을 쉽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대의 펌프를 동시에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 상황에서 동력원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PTO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PTO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조엔진 장착형 동력인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가 PTO에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가 보조엔진에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기어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는 PTO와 보조엔진을 모두 구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변속기와 연결되는 제1샤프트(11)와, 상기 제1샤프트(11)를 지지하는 베어링(16)과, 상기 제1샤프트(11)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풀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PTO(Power Take Off)(10)를 구비한 특장차에 있어서, 차량을 운행시키기 위한 엔진 외에 별도로 구비되는 보조엔진(50)과, 상기 PTO(10) 또는 보조엔진(5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펌프에 전달하기 위한 제2샤프트(20)와, 상기 제2샤프트(20)에 조립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선택기어(15)와, 상기 선택기어(15)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이동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PTO(10) 또는 보조엔진(5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샤프트(20)는, 제1벨트(13)에 의해 PTO(10)의 제1풀리(12)와 연결되는 제2풀리(14)와, 상기 제2풀리(14)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제4벨트(52)에 의해 보조엔진(50)의 제8풀리(51)와 연결되는 제3풀리(21)와, 제2벨트(25)에 의해 상기 제1펌프(30)의 제6풀리(31)와 연결되는 제4풀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선택기어(1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중심으로 왼쪽에 형성되는 좌측기어부(15a)와, 상기 오목부를 중심으로 오른쪽에 형성되는 우측기어부(1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는 연결부재(15c)에 의해 기어이동장치의 제1링크부재(28e)와 연결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좌측기어부(15a)가 제2풀리(14)의 내측 일부에 형성된 기어치에 조립되어 PTO(10)의 동력을 전달하거나, 상기 우측기어부(15b)가 제3풀리(21)의 내측 일부에 형성된 기어치에 조립되어 보조엔진(50)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펌프(30)를 구동시켜 특장차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이동장치는, 상기 선택기어(15)의 중앙 오목부에 조립되는 링 형상의 연결부재(15c)와, 상기 연결부재(15c)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28e)와, 상기 제1링크부재(28e)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28f)와, 상기 제2링크부재(28f)와 연결되는 연결로드(28)와, 상기 연결로드(28)의 일단에 구비되는 손잡이 레버(28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PTO(10)의 동력을 이용하여 펌프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PTO(10)의 동력을 이용할 경우에는, 손잡이 레버(28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 레버(28a)의 하단부에 구비된 제2힌지(28c)가 제1힌지(28b)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힌지(28c)는, 수직 플레이트(29) 상에 형성된 원호상 슬롯(28g)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수평으로 구비된 연결로드(28)가 왼쪽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제3힌지(28d)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28)의 왼쪽 단부에 연결된 제2링크부재(28f)(도 8 참조)가 오른쪽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28f)가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와 연결된 제1링크부재(28e)는 선택기어(15)를 왼쪽방향, 즉 PTO(10)와 연결된 제2풀리(14)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선택기어(15)의 좌측기어부(15a)가 제2풀리(14)의 내측 일부에 형성된 기어치에 맞물리게 된다.
또한 상기 선택기어(15)의 우측기어부(15b)는 제3풀리(21)로부터 이격되어 보조엔진(50)과의 동력전달이 해제된다.
이로써 PTO(10)의 동력은, 제1풀리(12)→ 제2풀리(14)→제4풀리(22)→제6풀리(31)를 거쳐 제1펌프(30)에 전달되어, 상기 제1펌프(1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보조엔진(30)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1펌프(30)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보조엔진(50)을 이용하여 펌프를 구동시킬 경우에는, 손잡이 레버(28a)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 레버(28a)의 하단부에 구비된 제2힌지(28c)가 제1힌지(28b)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힌지(28c)는, 수직 플레이트(29) 상에 형성된 원호상 슬롯(28g)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수평으로 구비된 연결로드(28)가 오른쪽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제3힌지(28d)에 의해 연결로드(28)의 왼쪽 단부에 연결된 제2링크부재(28f)(도 8 참조)가 왼쪽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28f)가 왼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와 연결된 제1링크부재(28e)는 선택기어(15)를 오른쪽방향, 즉 보조엔진(50)과 연결된 제8풀리(51)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선택기어(15)의 우측기어부(15b)는 제3풀리(21)의 내측 일부에 형성된 기어치에 맞물리게 된다.
또한 상기 선택기어(15)의 좌측기어부(15a)는 제2풀리(14)로부터 이격되어 PTO(10)와의 동력전달이 해제된다.
이로써 보조엔진(50)의 동력은, 제8풀리(51)→ 제3풀리(21)→제4풀리(22)→제6풀리(31)를 거쳐 제1펌프(30)에 전달되어, 상기 제1펌프(10)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한 방식에 의해, PTO(10) 또는 보조엔진(5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제1펌프(30)를 구동시킬 수가 있다.
즉 선택기어(15)의 좌측기어부(15a)를 제2풀리(14)측으로 이동시키면, PTO(10)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1펌프(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기어(15)의 우측기어부(15b)를 제3풀리(21)측으로 이동시키면 보조엔진(50)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1펌프(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어느 하나의 동력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신속히 대처할 수 있고, 특히 긴급한 상황에서 동력원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가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대의 펌프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이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2샤프트(20)의 제4풀리(22)의 외측에 제5풀리(23)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4풀리(22)는, 제1펌프(30)의 제6풀리(31)와 제2벨트(25)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5풀리(23)는, 제2펌프(40)의 제7풀리(41)와 제3벨트(26)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펌프(30)의 제6풀리(31)에는 전자클러치(24)가 장착되고, 상기 제2펌프(40)의 제7풀리(41)에도 전자클러치(24)가 장착된다.
상기 전자클러치(24)는 전자석과 마찰판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자클러치(24)에, 의해 제1펌프(30) 및 제2펌프(40)로 전달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2대의 펌프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 기어이동장치를 변경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어이동장치는, 제2힌지(28c)와 제3힌지(28d) 사이에 설치되는 전동실린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동실린더(60)는 연결로드(28)의 일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선택기어(15)를 수작업이 아닌 자동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이동장치를 푸시풀 와이어(Push Pull Wire)(70)로 구성한 것이다.
즉 제2힌지(28c)와 제3힌지(28d) 사이에 설치되는 푸시풀 와이어(70)에 의해 제2링크부재(28f)와 제1링크부재(28e)를 이동시킴으로써, 선택기어(15)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상기 푸시풀 와이어(70)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PTO: Power Take off 11: 제1샤프트(Shaft)
12: 제1풀리(Pulley) 13: 제1벨트(Belt)
14: 제2풀리 15: 선택기어
15a: 좌측기어부 15b: 우측기어부
15c: 연결부재 16: 베어링(Bearing)
20: 제2샤프트 21: 제3풀리
22: 제4풀리 23: 제5풀리
24: 전자 클러치(Clutch) 25: 제2벨트
26: 제3벨트 27: 베어링
28: 연결로드 28a: 손잡이 레버(Lever)
28b: 제1힌지(Hinge) 28c: 제2힌지
28d: 제3힌지 28e: 제1링크부재
28f: 제2링크부재 28g: 원호상 슬롯(Slot)
29: 수직 플레이트(Plate) 30: 제1펌프
31: 제6풀리 32: 전자 클러치
40: 제2펌프 41: 제7풀리
50: 보조엔진 51: 제8풀리
52: 제4벨트 60: 전동실린더
70: 푸시풀 와이어(Push-Pull Wire)

Claims (10)

  1. 차량의 변속기와 연결되는 제1샤프트(11)와, 상기 제1샤프트(11)를 지지하는 베어링(16)과, 상기 제1샤프트(11)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풀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PTO(Power Take Off)(10)를 구비한 특장차에 있어서,
    차량을 운행시키기 위한 엔진 외에 별도로 구비되는 보조엔진(50)과,
    상기 PTO(10) 또는 보조엔진(5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펌프에 전달하기 위한 제2샤프트(20)와,
    상기 제2샤프트(20)에 조립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선택기어(15)와,
    상기 선택기어(15)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이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기어(15)는,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중심으로 왼쪽에 형성되는 좌측기어부(15a)와,
    상기 오목부를 중심으로 오른쪽에 형성되는 우측기어부(15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연결부재(15c)에 의해 기어이동장치의 제1링크부재(28e)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샤프트(20)는,
    제1벨트(13)에 의해 상기 PTO(10)의 제1풀리(12)와 연결되는 제2풀리(14)와,
    상기 제2풀리(14)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제4벨트(52)에 의해 보조엔진(50)의 제8풀리(51)와 연결되는 제3풀리(21)와,
    제2벨트(25)에 의해 제1펌프(30)의 제6풀리(31)와 연결되는 제4풀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어(15)의 좌측기어부(15a)는 제2풀리(14)의 내측 일부에 형성된 기어치에 조립되어 PTO(10)의 동력을 전달하거나, 상기 우측기어부(15b)는 제3풀리(21)의 내측 일부에 형성된 기어치에 조립되어 보조엔진(50)의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이동장치는,
    상기 선택기어(15)의 중앙 오목부에 조립되는 링 형상의 연결부재(15c)와,
    상기 연결부재(15c)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28e)와,
    상기 제1링크부재(28e)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28f)와,
    상기 제2링크부재(28f)와 연결되는 연결로드(28)와,
    상기 연결로드(28)의 일단에 구비되는 손잡이 레버(28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레버(28a)는, 제1힌지(28b)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요동운동을 하고,
    상기 손잡이 레버(28a)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로드(28)의 단부와 제2힌지(28c)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28b)를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샤프트(20)는,
    제4풀리(22)의 외측에 제5풀리(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풀리(22)는, 제2벨트(25)에 의해 제1펌프(30)의 제6풀리(31)와 연결되고,
    상기 제5풀리(23)는, 제3벨트(26)에 의해 제2펌프(40)의 제7풀리(4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펌프(30)의 제6풀리(31)에 전자클러치(24)가 장착되고,
    상기 제2펌프(40)의 제7풀리(41)에 전자클러치(24)가 장착되어,
    상기 제1펌프(30)와 제2펌프(40)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거나, 제1펌프(30)와 제2펌프(40)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이동장치는,
    제2힌지(28c)와 제3힌지(28d) 사이에 설치되는 전동실린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이동장치는,
    제2힌지(28c)와 제3힌지(28d) 사이에 설치되는 푸시풀 와이어(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KR1020200031447A 2020-03-13 2020-03-13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KR102143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47A KR102143781B1 (ko) 2020-03-13 2020-03-13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47A KR102143781B1 (ko) 2020-03-13 2020-03-13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781B1 true KR102143781B1 (ko) 2020-08-12

Family

ID=7203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447A KR102143781B1 (ko) 2020-03-13 2020-03-13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623A (ko) * 2020-09-09 2022-03-17 노성왕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KR102448328B1 (ko) * 2021-04-27 2022-09-28 (주) 세웅 엔진식 고소작업차용 동력유닛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086A (ko) * 2001-05-23 2002-11-29 한국산업안전공단 핀 클러치식 프레스
KR200404455Y1 (ko) 2005-08-19 2005-12-23 남영자동차공업 주식회사 소방차의 동력인출장치 조립체
KR101028422B1 (ko) 2010-12-21 2011-04-14 유한회사 삼능기계 수동변속 차량용 부스터에 구현된 클러치의 자동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력인출장치의 자동 제어방법
KR101233394B1 (ko) * 2012-04-13 2013-02-15 (주)한서정공 차량 탑재형 분무 시스템
KR101401882B1 (ko) * 2012-11-28 2014-05-29 현대다이모스(주) 동력인출 겸용 2속 변속기
KR101611884B1 (ko) 2015-10-14 2016-04-26 (주)유현시스템즈 자동 및 수동변속기가 장착된 상용트럭 및 픽업 차량용 독립 모듈화된 트랜스퍼 타입의 동력인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086A (ko) * 2001-05-23 2002-11-29 한국산업안전공단 핀 클러치식 프레스
KR200404455Y1 (ko) 2005-08-19 2005-12-23 남영자동차공업 주식회사 소방차의 동력인출장치 조립체
KR101028422B1 (ko) 2010-12-21 2011-04-14 유한회사 삼능기계 수동변속 차량용 부스터에 구현된 클러치의 자동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력인출장치의 자동 제어방법
KR101233394B1 (ko) * 2012-04-13 2013-02-15 (주)한서정공 차량 탑재형 분무 시스템
KR101401882B1 (ko) * 2012-11-28 2014-05-29 현대다이모스(주) 동력인출 겸용 2속 변속기
KR101611884B1 (ko) 2015-10-14 2016-04-26 (주)유현시스템즈 자동 및 수동변속기가 장착된 상용트럭 및 픽업 차량용 독립 모듈화된 트랜스퍼 타입의 동력인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623A (ko) * 2020-09-09 2022-03-17 노성왕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KR102529982B1 (ko) * 2020-09-09 2023-05-08 노성왕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KR102448328B1 (ko) * 2021-04-27 2022-09-28 (주) 세웅 엔진식 고소작업차용 동력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781B1 (ko) 특장차의 동력인출장치
US10968983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DE102014009098B4 (de) Elektronische Parkbremse
CN106904074B (zh) 混合式传动装置
CN101280842B (zh) 带有空挡锁的变速器挡位段换挡控制系统
US5755098A (en) Axle driving apparatus
KR101905288B1 (ko) 리프팅 메커니즘의 시스템 장치 및 그 시스템 장치의 작동 방법
EP2466168A1 (de) Einrichtung zur Aufteilung der Antriebsleistung
JP2014503417A (ja) 車両補助装置のための駆動装置
CN104989813B (zh) Hst无级变速多档一杆操纵系统
US6257080B1 (en) Power-Shifted transmission for industrial vehicles
US6393944B1 (en) Intermediate total power takeoff for trucks and self-propelled machines for various operations
CN109642654A (zh) 用于机动车辆的差速器
JP4899419B2 (ja) 車両に搭載された作業用機器の駆動装置
CN101644310B (zh) 离合器式双选择传动装置
US11465496B2 (en) Power unit of utility vehicle
US2528314A (en) Power-transmitting mechanism
KR102582845B1 (ko)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용 구동추출장치
CN102865349A (zh) 采用液压离合器的轮式拖拉机前动力输出变速箱
CN202833920U (zh) 采用液压离合器的轮式拖拉机前动力输出变速箱
KR102583451B1 (ko) Pto 유압 제어 밸브 장치
CN216975745U (zh) 一种链式传动箱
CN219007590U (zh) Pto传动系统、后桥总成及拖拉机
CN218294340U (zh) 一种农用机械的传动系统
CN108432367A (zh) 履带自走式旋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