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280B1 - 통신 컴포넌트 - Google Patents
통신 컴포넌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3280B1 KR102143280B1 KR1020180147893A KR20180147893A KR102143280B1 KR 102143280 B1 KR102143280 B1 KR 102143280B1 KR 1020180147893 A KR1020180147893 A KR 1020180147893A KR 20180147893 A KR20180147893 A KR 20180147893A KR 102143280 B1 KR102143280 B1 KR 1021432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dio wave
- radio
- path
- output bar
- ghz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컴포넌트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컴포넌트의 신호합성부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컴포넌트의 신호합성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컴포넌트의 출력바를 보인 사시도 이다.
37; 제2전파이동경로 38; 제3전파이동경로
39; 제4전파이동경로 40; 유전체공진기
35; 합성부 41; 제1말단공진기
42; 제2말단공진기 43; 제3말단공진기
44; 제4말단공진기 50; 출력바
51; 내측연장부 59; 횡연장부
Claims (7)
- 전파신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입력포트;
상기 입력포트가 설치되며 상기 입력포트에 입력된 전파들의 전파이동경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전파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트;
상기 출력포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전파이동경로의 단부까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파이동경로를 통과하는 복수의 전파를 하나로 합성하는 출력바;를 포함하며,
상기 전파이동경로를 따라 유전체공진기가 열을 지어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출력바의 측면은 상기 유전체공진기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출력바와 대향하는 상기 유전체공진기는 상기 복수의 전파이동경로 별로 각각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전파이동경로를 통과하는 복수의 전파 중 상대적으로 고주파인 전파는 상기 출력바와 오픈타입으로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저주파인 전파는 상기 출력바와 쇼트타입으로 연결되며,
상기 출력바와 대향하는 상기 유전체공진기는 상기 복수의 전파이동경로 별로 각각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유전체공진기와 상기 출력바는 복수의 도체로 연결되며,
상기 전파이동경로를 통과하는 복수의 전파 중 상대적으로 저주파인 전파를 전달하는 제1도체의 인덕턴스는, 고주파인 전파를 전달하는 제2도체의 인덕턴스보다 높도록 형성되며,
상기 입력포트들을 통해, 0.7 GHz ~ 0.8 GHz 의 LTE용 전파신호(이하, '제1전파'라 함.), 3.4 GHz ~ 3.6 GHz 의 5G용 전파신호(이하, '제2전파' 라함.), 3.8 GHz ~ 4.2 GHz 의 5G용 전파신호(이하, '제3전파' 라함.), 4.5 GHz ~ 4.9 GHz 의 5G용 전파신호(이하, '제4전파'라 함.)가 입력되며,
상기 전파이동경로는 제1전파가 이동하는 제1전파이동경로, 제2전파가 이동하는 제2전파이동경로, 제3전파가 이동하는 제3전파이동경로, 제4전파가 이동하는 제4전파이동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파이동경로의 말단에 설치되는 제1말단공진기, 상기 제2전파이동경로의 말단에 설치되는 제2말단공진기, 상기 제3전파이동경로의 말단에 설치되는 제3말단공진기, 상기 제4전파이동경로의 말단에 설치되는 제4말단공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말단공진기와 상기 제2말단공진기는 상기 출력바와 쇼트타입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말단공진기와 상기 제4말단공진기는 상기 출력바와 오픈타입으로 연결되며,
상기 출력바는,
상기 출력포트 측 단부는 상기 출력바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저면과 결합되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와 반대측의 단부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출력바는 상기 출력포트 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연장부와 상기 내측연장부로부터 소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횡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횡연장부의 단부에는 변형가능한 스터브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터브부의 변형에 의해 임피던스튜닝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컴포넌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7893A KR102143280B1 (ko) | 2018-11-26 | 2018-11-26 | 통신 컴포넌트 |
JP2018227806A JP2020088831A (ja) | 2018-11-26 | 2018-12-05 | 通信コンポーネン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7893A KR102143280B1 (ko) | 2018-11-26 | 2018-11-26 | 통신 컴포넌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1988A KR20200061988A (ko) | 2020-06-03 |
KR102143280B1 true KR102143280B1 (ko) | 2020-08-11 |
Family
ID=7090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7893A Active KR102143280B1 (ko) | 2018-11-26 | 2018-11-26 | 통신 컴포넌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20088831A (ko) |
KR (1) | KR102143280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4446B1 (ko) * | 2013-11-11 | 2015-02-23 | 주식회사 이너트론 | 단일 포트 피딩 구조를 갖는 멀티플렉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6258A (ko) | 2014-09-25 | 2016-04-04 | (주)엠엘테크놀로지스 |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 대역 콤바이너 |
-
2018
- 2018-11-26 KR KR1020180147893A patent/KR102143280B1/ko active Active
- 2018-12-05 JP JP2018227806A patent/JP2020088831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4446B1 (ko) * | 2013-11-11 | 2015-02-23 | 주식회사 이너트론 | 단일 포트 피딩 구조를 갖는 멀티플렉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1988A (ko) | 2020-06-03 |
JP2020088831A (ja) | 2020-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7935B1 (ko) | 멀티 밴드 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유전체 멀티플렉서 | |
US9899716B1 (en) | Waveguide E-plane filter | |
EP3146589B1 (en) | Tuning element for radio frequency resonator | |
KR20170048753A (ko) | 유전체 도파관 듀플렉서 및 그 설계 방법 | |
JP2008271188A (ja) | 無線機 | |
KR102143280B1 (ko) | 통신 컴포넌트 | |
KR100611351B1 (ko) | 마이크로스트립 필터 장치 | |
CN106463806B (zh) | Rf滤波器 | |
KR102143281B1 (ko) | 통신 컴포넌트 | |
US11923587B2 (en) | Transmission line for radiofrequency range current | |
KR102625750B1 (ko) | 통신 컴포넌트 | |
CN101728607B (zh) | 短路支节滤波器 | |
KR100729969B1 (ko) | 유전체 밴드 스톱 공진기와 이를 구비한 중계기 | |
KR102202710B1 (ko) | 통신 시스템에서 듀플렉서 및 그를 구비한 송수신기 | |
CN113013568B (zh) | 一种5g合路器 | |
KR101964143B1 (ko) |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링 장치 | |
MXPA05007338A (es) | Filtro de paso de banda rf de plano e de guiaondas con respuesta seudo-eliptica. | |
KR102339254B1 (ko) | 유전체 도파관 필터 | |
US9923254B2 (en) | Radio-frequency blocking filter | |
KR100577747B1 (ko) | 듀플렉서 | |
KR101887362B1 (ko) | 통신 컴포넌트 | |
JP2005277594A (ja) | 誘電体フィルタ装置 | |
JP3767824B1 (ja) | 誘電体装置 | |
KR20250097641A (ko) | 듀얼 밴드 도파관 필터 | |
KR101322286B1 (ko) | 수신 대역 저지 필터 일체형 송신기 도파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