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143B1 -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4143B1 KR101964143B1 KR1020180091220A KR20180091220A KR101964143B1 KR 101964143 B1 KR101964143 B1 KR 101964143B1 KR 1020180091220 A KR1020180091220 A KR 1020180091220A KR 20180091220 A KR20180091220 A KR 20180091220A KR 101964143 B1 KR101964143 B1 KR 101964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gh frequency
- signal
- filter
- frequency filter
- low frequenc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2—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multimode resonator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는, 소정의 범위를 갖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신호 중 상대적으로 저주파 신호에 대해 하나 이상의 소정의 범위를 갖는 저주파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저주파 필터부; 및 상기 입력된 무선 주파수 신호 중 상대적으로 고주파 신호에 대해 하나 이상의 소정의 범위를 갖는 고주파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되는 신호를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으로 분리하여, 저주파 대역의 신호는 유전체 필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주파수별로 분리하고, 고주파 대역의 신호는 캐비티 필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주파수별로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어, 비용 대비 성능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주파 및 고주파의 주파수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터는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 중 특정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로, 다양한 방식의 필터가 이용되고 있다. 그 중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필터는 대체로 유전체 필터 및 도파관 필터가 이용되고 있다.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원하는 신호만 통과시키고, 나머지 신호는 감쇄시키는 필터이다. 이러한 유전체 필터는, 파장에 따른 공진을 이용하는 구조적인 필터로, 고유전체의 유전체 세라믹을 이용하여 신호의 전기적 파장을 줄여 콤팩트한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체 필터는 컴라인(combline)이라 불리는 단위 파장 공진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별개의 컴라인을 하나씩 연결하는 방식과 하나의 유전체 블록으로 구현하는 모노 블럭 방식이 있다. 그 외에 세라믹을 다층 패턴으로 구현한 세라믹 칩 필터 등이 있다.
또한, 도파관 필터는 공진 현상을 직접적으로 이용한 것으로 크게 금속 블록을 이용한 캐비티 필터가 있으며, 또한, 유전체를 삽입한 세라믹 도파관 필터가 있다. 이러한 도파관 필터는 위성이나 이동통신 기지국에서와 같이, kW 단위의 대전력을 사용하는데 널리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무선 주파수 필터는 이동통신망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필요한 주파수를 필터링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무선 주파수 필터를 이용할 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약 800MHz 대역의 저주파 신호 및 약 2GHz 대역의 고주파 신호가 이용되는데, 입력된 신호를 주파수 별로 분리하여 주파수 대역별로 출력한다.
이때, 유전체 필터를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필터링하는 경우,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출력할 때, 고주파 대역의 신호 특성으로 인해 신호를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는 것이 쉽지 않아, 높은 성능이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캐비티 필터를 이용하는 경우, 고주파 대역에서 주파수 별로 나누어 출력하는 성능이 좋지만, 저주파 대역에서 주파수 별로 나누어 출력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포함되는 공진관 등의 크기가 커지고, 그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성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는, 소정의 범위를 갖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신호 중 상대적으로 저주파 신호에 대해 하나 이상의 소정의 범위를 갖는 저주파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저주파 필터부; 및 상기 입력된 무선 주파수 신호 중 상대적으로 고주파 신호에 대해 하나 이상의 소정의 범위를 갖는 고주파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주파 필터부는 상기 입력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특정 주파수를 기준으로 분리하여, 상대적으로 고주파 신호는 상기 고주파 필터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주파 필터부는 700MHz 내지 900MHz 범위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유전체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필터부는 1.7GHz 내지 2.1GHz 범위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캐비티 필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필터부는 1.7GHz 내지 2.1GHz 범위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복수의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캐비티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주파 필터부는 서로 다른 범위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필터부는 서로 다른 범위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주파 필터부는, 유전체 블록으로 구현된 모노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전체 필터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유전체 필터기를 통해 소정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필터부는, 하나 이상의 공진관이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공진룸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주파 필터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주파 필터기를 통해 소정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되는 신호를 필터링시 저주파 대역의 신호는 유전체 필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주파수별로 분리하고, 고주파 대역의 신호는 캐비티 필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주파수별로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어, 비용 대비 성능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력되는 신호를 필터링이 이루어지기 전에 1차적으로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저주파 대역 및 고주파 대역에서 각각 주파수별로 분리하기 때문에, 저주파 대역 및 고주파 대역에서의 주파수별로의 분리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의 저주파 필터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의 고주파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의 고주파 필터부의 일부를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의 저주파 필터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의 고주파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의 고주파 필터부의 일부를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100)는, 저주파 필터부(110) 및 고주파 필터부(120)를 포함한다.
저주파 필터부(110)는 수신되는 신호에서 저주파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분리하여 출력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저주파 필터부(110)는 세라믹을 이용한 유전체 필터일 수 있다. 유전체 필터는 파장에 따른 공진을 이용하는 구조적인 필터로, 고유전체의 유전체 세라믹을 이용하여 신호의 전기적인 파장을 줄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유전체 필터는 작은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전체 필터는 하나의 유전체 블록으로 구현하여 모노 블록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저주파 필터부(110)는 모노 블록으로 제조된 것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주파 필터부(110)는 신호 입력부(111) 및 저주파 신호 출력부(113)를 포함한다. 신호 입력부(111)는 주파수를 분리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며, 일례로, 약 700MHz 내지 2.1G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저주파 신호 출력부(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저주파 출력단자(113a, 113b, 113c, 113d)를 통해 네 개의 주파수 대역의 저주파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주파 신호 출력부(113)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 대역은 약 700MHz 내지 900MHz일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저주파 출력단자(113a, 113b, 113c, 113d)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사용되기 위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저주파 필터부(110)의 내부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고주파 필터부(120)는 수신되는 신호에서 고주파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분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주파 필터부(120)는 공진 현상을 직접적으로 이용한 도파관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도파관 필터는 금속으로 제조된 공진관(WG)이 이용되는 캐비티 필터와 유전체를 삽입하는 세라믹 공진 필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캐비티 필터가 고주파 필터부(120)로 이용된 것에 대해 설명한다.
캐비티 필터는 도파관에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고, 형성된 구멍에 나사를 체결하여 나사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도파관을 따라 이동되는 신호의 주파수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주파수 선택성이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도파관의 원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고주파 필터부(120)로 입력되는 신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필터부(110)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고주파 신호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고주파 필터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신호 입력부(121), 고주파 신호 출력부(123) 및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125a, 125b, 125c, 125d)를 포함한다.
고주파 신호 입력부(121)는 저주파 필터부(110)에서 출력된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기 위해 구비되며, 고주파 필터부(120) 내부에서 다수 개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때 분리되는 고주파 신호는 모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고주파 신호 출력부(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고주파 출력단자(123a, 123b, 123c, 123d)를 통해 네 개의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주파 신호 출력부(123)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 대역은 약 1.7GHz 내지 2.1GHz일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고주파 출력단자(123a, 123b, 123c, 123d)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사용되기 위한 주파수 대역에 따라 고주파 필터부(120)의 내부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고주파 필터부(120)는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125a, 125b, 125c, 125d)를 포함하며,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125a, 125b, 125c, 125d)에 각각 제1 내지 제4 고주파 출력단자(123a, 123b, 123c, 123d)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의 저주파 필터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100)의 저주파 필터부(11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주파 필터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신호 입력부(111), 저주파 출력부 및 검증단자(115)가 배치된다. 그리고 내부에 제1 내지 제6 유전체 필터기(C1, C2, C3, C4, C5, C6), 분리기(S) 및 고주파 신호 입력부(121)가 배치된다.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약 700MHz 내지 2.1G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신호는 저주파 필터부(110)의 내부로 이동하고, 일부 신호가 분기되어 검증단자(115)로 출력될 수 있다. 검증단자(115)는 신호 입력부(111)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검증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분리기(S)에서 분리되며, 분리된 신호는 저주파 필터기들을 통해 저주파 대역의 신호로 분리되며, 다른 분리된 신호는 고주파 신호부로 출력된다.
분리기(S)는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고주파 대역 신호와 저주파 대역 신호로 분리한다. 분리기(S)를 통해 분리된 고주파 대역 신호는 고주파 입력부를 통해 고주파 필터부(120)로 이동하고, 저주파 대역 신호는 저주파 필터기들을 통해 설정한 저주파 대역의 신호들로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기(S)에서 분리되는 고주파 신호 및 저주파 신호의 기준은 약 1.2GHz일 수 있다. 즉, 1.2GHz 이상인 고주파 신호는 고주파 입력부로 이동하고, 1.2GHz 미만의 저주파 신호는 저주파 필터기를 통해 저주파 대역의 신호들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분리기를 이용하여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으로 1차 필터링함으로써, 고주파 필터부(120)에서 필터링된 고주파 대역 신호에 저주파의 고조파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기(S)에서 분리된 저주파 신호는 제1 내지 제6 유전체 필터기(C1, C2, C3, C4, C5, C6)를 통해 제1 내지 제4 저주파 출력단자(113a, 113b, 113c, 113d)로 출력된다. 분리기(S)에서 분리된 저주파 신호는 제1 유전체 필터기(C1)를 통해 저주파 대역 중 소정의 범위 내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저주파 출력단자(113a)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전체 필터기(C1)를 통해 출력된 신호 중 일부는 제2 유전체 필터기(C2)를 통해 저주파 대역 중 소정의 범위 내의 주파수 대역이 제2 저주파 출력단자(113b)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기(S)에서 분리된 저주파 신호 중 일부는 제3 유전체 필터기(C3)을 통해 저주파 대역 중 소정의 범위 내의 주파수 대역이 제4 저주파 출력단자(113d)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분리기(S)에서 분리된 저주파 신호 중 일부는 제4 유전체 필터기(C4)를 통하고, 제4 유전체 필터기(C4)를 통해 출력된 신호가 각각 제5 유전체 필터기(C5) 및 제6 유전체 필터기(C6)를 통과한 다음, 합쳐진 상태에서, 제3 저주파 출력단자(113c)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저주파 출력단자(113a, 113b, 113c, 113d)를 통해 출력되는 저주파 신호의 주파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저주파 출력단자(113a, 113b, 113c, 113d)를 통해 출력되는 저주파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달라지면, 제1 내지 제6 유전체 필터기(C1, C2, C3, C4, C5, C6)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전체 필터기의 개수 및 설치 구조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의 고주파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의 고주파 필터부의 일부를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필터부(120)는,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125a, 125b, 125c, 125d)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125a, 125b, 125c, 125d)는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고주파 필터기가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125a, 125b, 125c, 125d)의 배치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지만, 배치되는 위치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제1 및 제2 고주파 필터기(125a, 125b)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하부에 제3 및 제4 고주파 필터기(125c, 125d)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125a, 125b, 125c, 125d)에는 각각 제1 내지 제4 고주파 출력단자(123a, 123b, 123c, 123d)가 배치된다. 고주파 필터부(120)로 입력된 고주파 신호는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125a, 125b, 125c, 125d)로 각각 분리되어 동일한 신호가 공급되고,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125a, 125b, 125c, 125d)로 공급된 신호는 각각의 고주파 필터부(120)에서 소정의 고주파 대역의 주파수 범위로 분리되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고주파 출력단자(123a, 123b, 123c, 123d)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고주파 출력단자(123a, 123b, 123c, 123d)를 통해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달라지면,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125a, 125b, 125c, 125d)의 세부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125a, 125b, 125c, 125d)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는 1.2GHz 이상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고주파 필터부(120)에 배치된 제1 고주파 필터기(125a)를 이용하여 세구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125a, 125b, 125c, 125d)의 구성은 제1 고주파 필터기(125a)의 구조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주파 필터기(125a)에 배치된 고주파 신호 입력부(121a)로 고주파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제1 고주파 필터기(125a)에 배치된 고주파 신호 입력부(121a)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는 저주파 필터부(110)에서 고주파 신호 입력부(121)로 입력되는 신호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고주파 필터기(125a)의 구조를 살펴보면, 제1 고주파 필터기(125a)는 내부에 네 개의 공진룸(R)이 형성된다. 네 개의 공진룸(R)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공진관(WG)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네 개의 공진룸(R)의 크기는 서로 같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공진룸(R)에 배치된 공진관(WG)의 크기는 서로 같을 수도 있으며,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각 공진룸(R)은 인접한 공진룸(R) 사이에 격벽(PW)이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격벽(PW)으로 인해 각 공진룸(R)의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각 공진룸(R)은 서로 완전히 차단된 공간은 아니며, 각 공진룸(R) 사이에 배치된 격벽(PW)에는 각 공진룸(R)을 연결할 수 있는 윈도우(WD)가 형성될 수 있다.
각 격벽(PW)에 형성된 윈도우(WD)의 크기는 서로 같거나 필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주파 필터기(125a)에서 분리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소정의 범위를 갖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격벽(PW)에 형성된 윈도우(WD)의 크기 및 형성되는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제1 고주파 필터기(125a)는 원하는 범위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공진관(WG)의 크기 또는 수 그리고 격벽(PW)에 형성된 윈도우(WD)의 위치와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제1 고주파 필터기(125a)에서 분리된 소정의 범위를 갖는 주파수가 제1 고주파 출력단자(123a)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제1 고주파 출력단자(123a)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각 공진룸(R)에 형성된 필터 조정부(FC)를 이용하여 세밀하게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조정부(FC)는 공진관을 따라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나사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주파 필터기(125a)를 통해 출력되는 고주파 대역은 소정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1.7GHz 내지 2.1GHz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선 주파수 필터
110: 저주파 필터부
111: 신호 입력부
113: 저주파 신호 출력부
113a, 113b, 113c, 113d: 제1 내지 제4 저주파 출력단자
115: 검증단자
120: 고주파 필터부
121, 121a: 고주파 신호 입력부
123: 고주파 신호 출력부
123a, 123b, 123c, 123d: 제1 내지 제4 고주파 출력단자
125a, 125b, 125c, 125d: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
C1, C2, C3, C4, C5, C6: 제1 내지 제6 유전체 필터기
S: 분리기
FC: 필터 조정부
R: 공진룸
WG: 공진관
PW: 격벽
WD: 윈도우
110: 저주파 필터부
111: 신호 입력부
113: 저주파 신호 출력부
113a, 113b, 113c, 113d: 제1 내지 제4 저주파 출력단자
115: 검증단자
120: 고주파 필터부
121, 121a: 고주파 신호 입력부
123: 고주파 신호 출력부
123a, 123b, 123c, 123d: 제1 내지 제4 고주파 출력단자
125a, 125b, 125c, 125d: 제1 내지 제4 고주파 필터기
C1, C2, C3, C4, C5, C6: 제1 내지 제6 유전체 필터기
S: 분리기
FC: 필터 조정부
R: 공진룸
WG: 공진관
PW: 격벽
WD: 윈도우
Claims (8)
- 일면에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 단자가 형성되고 타면에 입력된 신호 중 고주파 대역의 신호가 출력되는 고주파 출력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저주파 필터 하우징;
상기 저주파 필터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되며 일면에 상기 고주파 대역의 신호가 입력되는 고주파 입력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고주파 필터 하우징;
상기 고주파 출력 단자와 상기 고주파 입력 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
상기 저주파 필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신호 입력 단자로 입력된 신호를 저주파 대역 신호와 고주파 대역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기;
상기 저주파 필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저주파 대역 신호에 대해 하나 이상의 소정의 범위를 갖는 저주파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저주파 필터부; 및
상기 고주파 필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고주파 대역 신호에 대해 하나 이상의 소정의 범위를 갖는 고주파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주파 필터 하우징과 상기 고주파 필터 하우징은 서로 개별적으로 제작되며,
상기 저주파 필터부는 유전체 블록으로 구현된 모노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전체 필터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유전체 필터기를 통해 소정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고주파 필터부는 하나 이상의 공진관이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공진룸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주파 필터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주파 필터기를 통해 소정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데,
상기 고주파 필터기에는 공진관을 따라 삽입 깊이가 조절되어 상기 고주파 필터기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범위를 세부 조정하는 나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필터부는 700MHz 내지 900MHz 범위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복수의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유전체 필터가 이용된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필터부는 1.7GHz 내지 2.1GHz 범위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복수의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캐비티 필터가 이용된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필터부는 서로 다른 범위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필터부는 서로 다른 범위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 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1220A KR101964143B1 (ko) | 2018-08-06 | 2018-08-06 |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1220A KR101964143B1 (ko) | 2018-08-06 | 2018-08-06 |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링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4143B1 true KR101964143B1 (ko) | 2019-08-08 |
Family
ID=6761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1220A KR101964143B1 (ko) | 2018-08-06 | 2018-08-06 |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414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2449B1 (ko) * | 1986-08-07 | 1990-04-14 | 아루프스 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 마이크로파 분파기 |
KR200390715Y1 (ko) * | 2005-04-26 | 2005-07-22 | 유파인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결합/분배기 |
KR20080000915A (ko) * | 2006-06-28 | 2008-01-03 | 에이앤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건물 내 구축된 케이블망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을 위한임피던스 정합 다중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빌딩-시스템 |
KR100899102B1 (ko) * | 2008-11-19 | 2009-05-27 | 에프투텔레콤 주식회사 | 다이플렉서 및 다이플렉서를 구비한 다중 대역 주파수 공용기 |
KR101010917B1 (ko) | 2008-07-17 | 2011-01-26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감쇄 특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이를 이용한통신 중계 장치 |
-
2018
- 2018-08-06 KR KR1020180091220A patent/KR101964143B1/ko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2449B1 (ko) * | 1986-08-07 | 1990-04-14 | 아루프스 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 마이크로파 분파기 |
KR200390715Y1 (ko) * | 2005-04-26 | 2005-07-22 | 유파인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결합/분배기 |
KR20080000915A (ko) * | 2006-06-28 | 2008-01-03 | 에이앤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건물 내 구축된 케이블망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을 위한임피던스 정합 다중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빌딩-시스템 |
KR101010917B1 (ko) | 2008-07-17 | 2011-01-26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감쇄 특성을 향상시킨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이를 이용한통신 중계 장치 |
KR100899102B1 (ko) * | 2008-11-19 | 2009-05-27 | 에프투텔레콤 주식회사 | 다이플렉서 및 다이플렉서를 구비한 다중 대역 주파수 공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8642B1 (ko) | 필터 컴바이너/디바이더 | |
US6118355A (en) | Dual band combiner arrangement | |
US20150280299A1 (en) | Waveguide band pass filter using short-circuit stub for rejection performance improvement | |
EP3416232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adio frequency (rf) filter module with stacked coaxial resonators and related methods | |
KR101357027B1 (ko) | 리엔트런트 캐비티형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듀얼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 |
CN108206320B (zh) | 利用非谐振节点的滤波器及天线共用器 | |
KR101964143B1 (ko) | 하이브리드 무선 주파수 필터링 장치 | |
CN106463806B (zh) | Rf滤波器 | |
KR20010089532A (ko) | 마이크로스트립 필터 장치 | |
US7283017B2 (en) | Band pass filter | |
KR101237008B1 (ko) | 원통 구조의 바이어스 티를 구비하는 공진기 필터 | |
KR20050036522A (ko) | 공진기 노치 필터 | |
EP1581980B1 (en) | Waveguide e-plane rf bandpass filter with pseudo-elliptic response | |
CN101728607B (zh) | 短路支节滤波器 | |
CN112038740A (zh) | 一种小型化多工器 | |
KR102143280B1 (ko) | 통신 컴포넌트 | |
KR100763582B1 (ko) | 컴팩트 도파관 필터 | |
US20240222832A1 (en) | Filters including dual cross-couplings and related combiners | |
US9923254B2 (en) | Radio-frequency blocking filter | |
WO2017203216A1 (en) | Multi-band filt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 |
KR102625750B1 (ko) | 통신 컴포넌트 | |
KR102143281B1 (ko) | 통신 컴포넌트 | |
EP4060805A1 (en) | Filters including bandpass filter transmission lines | |
KR100269585B1 (ko) | 커플링 루프 직결형 협대역 다채널 합성기 | |
KR100258788B1 (ko) | 동축선 공진기의 절반구조를 이용한 대역 통과 여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