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151B1 -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151B1
KR102143151B1 KR1020180036400A KR20180036400A KR102143151B1 KR 102143151 B1 KR102143151 B1 KR 102143151B1 KR 1020180036400 A KR1020180036400 A KR 1020180036400A KR 20180036400 A KR20180036400 A KR 20180036400A KR 102143151 B1 KR102143151 B1 KR 102143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nitive function
blocks
fixed position
position sensor
funct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156A (ko
Inventor
한인석
손경순
윤병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티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티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티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036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15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기능 검사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검사 장치는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조각블록들을 정 위치로 연결하여 미리 정해진 모형 형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지기능 검사모형,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상에 구비되며,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조각블록들을 접촉 연결시키는 마그넷, 상기 조각블록들이 상기 마그넷에 의해 상호 접촉하여 연결될 때,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주하여 설치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출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입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 및 상기 정 위치 연결 신호 각각이 입력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인지기능 검사모형 별로 정해진 점수채점기준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COGNITIVE ABILITY TESTING DEVICE USING DIVIDED BLOCK}
본 발명은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매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인지훈련 및 인지재활에 대한 연구 및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최근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노령과 관련된 인지기능의 저하 또는 치매가 큰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구나 치매 치료약제의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를 낳으면서 치매의 조기발견 및 예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아울러 치매에 대한 예방 및 치료의 일환으로 인지훈련 및 인지재활을 발전시키고 활성화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143096호에는 치매 검사 장치, 치매 검사 서버, 치매 검사 클라이언트 및 치매 검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한자가 나타내는 색과, 그 한자를 나타내고 있는 색의 일치 또는 불일치를 판단한다는 주의분배 능력만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난이도가 낮아 평이한 결과밖에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나아가, 문자와 색채만을 이용함에 따라 인지기능을 검사하는 피검사자들에게 흥미를 느끼게 해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다수의 피검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 개의 형태(예를 들어 모형 맞추기 난이도에 따라 간단한 도형에서 복잡한 도형, 또는 평면 도형에서 입체 도형 등)로 준비된 모형에 대하여 다수 개로 분할된 조각블록들을 준비하고, 이들을 하나의 모형으로 맞추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 및 정 위치로 연결된 조각블록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지루하지 않으면서 쉽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인지기능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동시 또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인지기능 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다수의 피검사자 각각의 조각블록으로부터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통합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인지기능 검사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는 인지기능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는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조각블록들을 정 위치로 연결하여 미리 정해진 모형 형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지기능 검사모형;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상에 구비되며,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조각블록들을 접촉 연결시키는 마그넷; 상기 조각블록들이 상기 마그넷에 의해 상호 접촉하여 연결될 때,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주하여 설치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출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입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 및 상기 정 위치 연결 신호 각각이 입력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인지기능 검사모형 별로 정해진 점수채점기준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상에서 교체 가능하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좌우 길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좌우 양단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좌우 양단에 배치된 복수 개의 마그넷 각각은 상기 위치 센서와 동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일정한 단면 크기를 갖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가장자리 측에서, 상기 마그넷의 단면 크기가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상기 가장자리 측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연장되는 가로방향 연장돌기와, 상기 가로방향 연장돌기가 돌출되는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가로방향 연장돌기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세로방향 연장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입 홈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몸체는, 둘레 면을 통해 적어도 한 쌍이 탄성 지지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지지 볼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지지 볼은 상기 내입 홈의 벽면에 마련된 반구 형상 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센서의 전방에는 일정한 크기의 스페이스를 두고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와 나란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개폐 가능한 차폐 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에는 일정한 두께로 코팅 처리되어 상기 조각블록들 간의 접촉 연결 시 마찰을 저감하는 표면마찰저감코팅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표면마찰저감코팅부는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외측 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개의 형태(예를 들어 모형 맞추기 난이도에 따라 간단한 도형에서 복잡한 도형, 또는 평면 도형에서 입체 도형 등)로 준비된 모형에 대하여 다수 개로 분할된 조각블록들을 준비하되, 이들 조각블록들마다 접촉하는 부위를 통해 마그넷을 배치하고, 서로 간의 연결 위치를 판단하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모형 맞추기에 소요되는 시간 및 조각블록들 간의 정 위치 연결 여부를 쉽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그 결과, 준비된 모형으로 맞추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정 위치로 연결된 조각블록들의 개수를 손쉽게 파악하여 피검사자가 지루하지 않으면서도 인지기능을 쉽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동시 또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인지기능 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다수의 피검사자 각각의 조각블록으로부터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통합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인지기능 검사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는 인지기능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피검사자마다 주어진 서로 다른 넘버링을 갖는 조각블록들에 대해 모형 맞추기 작업이 동시에 실시되고, 이들 서로 다른 넘버링을 갖는 조각블록들을 통해 검출된 정보들을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여러 명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서로 간의 인지기능을 실시간으로 비교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검사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각블록들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각블록들이 서로 마주하여 연결되는 경우 정 위치 연결 신호가 출력되어 제어부에 입력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각블록 내에 위치 센서와 마그넷이 설치된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인지기능 검사모형의 일 예로서 다수 개의 조각블록들로 분할된 사과모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다수 개의 조각블록들이 피검사자에 의해 하나의 사과모형으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인지기능 검사모형의 다른 예로서 다수 개의 조각블록들로 분할된 자동차모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다수 개의 조각블록들이 피검사자에 의해 하나의 자동차모형으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인지기능 검사모형으로 활용 가능한 다른 형상으로서 다양한 조각모형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검사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인지기능 검사모형을 구성하는 조각블록들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조각블록들이 정 위치로 연결되는 경우 위치 센서로부터 정 위치 연결 신호가 출력되어 제어부에 입력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검사 장치는 인지기능 검사모형(100), 마그넷(131, 132, 133, 134), 그리고 위치 센서(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1243)를 포함한다.
인지기능 검사모형(100)은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인지기능 검사모형(100)은 사과모형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다른 예로서, 도 8 및 도 9에는 자동차모형(300)이 나타나 있으며, 도 10에는 다양한 형상의 조각모형들이 나타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인지기능 검사모형(100)(300)은 이에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녀, 공, 말, 얼굴 등 다양한 모형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조각모형들의 형상 역시 원, 타원, 다각형 등으로 변경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나의 예시적인 형상으로 사과모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은 미리 정해진 위치(이하, '정 위치'라 함)에서 마주하여 접촉 연결되어, 사과모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그넷(131, 132, 133, 134)은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상에 구비될 수 있다.
마그넷(131, 132, 133, 134)은 영구자석을 의미하는 것으로 서로 마주할 때 인력이 발생되도록 서로 반대되는 극끼리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서로 마주하여 정 위치로 배치되는 조각블록들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위치 센서(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1243)는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이 마그넷(131, 132, 133, 134)에 의해 상호 접촉하여 연결될 때,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 각각의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예컨대, 서로 정해진 위치상에 마주할 때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비 접촉 방식의 관용적으로 알려진 센서라면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 광학 센서, 초음파 센서 등 다양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센서(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1243)는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주하여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 센서(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1243)는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좌우 길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2개의 조각블록들(111, 112, 도 2 참조) 각각에 대해 하나의 위치 센서(1211, 1221)를 좌우 중심 위치에 배치한다. 이로써,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2개의 조각블록들(111, 112, 도 2 참조) 간의 위치 정렬 상태를 센터를 기준으로 하여 쉽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이러한 위치 센서는 각 조각블록들의 대면 부위마다 반드시 하나만 배치시킬 필요는 없으며, 2개 이상 배치할 수도 있다.
마그넷(131, 132)은 조각블록들(111, 112)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좌우 양단에 적어도 하나씩, 즉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양단에 배치된 복수 개의 마그넷 각각(131, 132)은 위치 센서(1211, 1221)와 동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위치에 마그넷(131, 132)이 복수 개로 배치됨에 따라 2개의 조각블록들(111, 112, 도 2 참조)을 손쉽게 서로 간에 인력이 발생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위치 센서(1211, 1221)에 간섭을 주지 않아 정 위치 연결 신호 발생에 오차를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위치 센서(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1243)로부터 출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S1, 도 3 참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이렇게 입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와, 피검사자가 검사를 받기 시작한 후로부터 정 위치 연결 신호 각각이 입력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이렇게 산출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 및 소요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지기능 검사모형(100) 별로 정해진 점수채점기준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해 낼 수 있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구성으로서, 제어부(200)는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210),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220), 인지기능 결과 출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센서(1211, 1221)에서 서로 마주하여 연결되는 조각블록들이 정 위치로 연결되었음을 감지하여 정 위치 연결 신호(S1)를 출력한다.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210)는 위치 센서(1211, 1221)에서 출력된 신호(S1)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220)는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와 함께, 정 위치 연결 신호 각각이 입력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산출해 낼 수 있다. 그리고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220)는 이렇게 산출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 및 소요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지기능 검사모형 별로 정해진 점수채점기준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가 획득한 인지기능 점수를 연산할 수 있다.
인지 기능 결과 출력부(230)는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220)에서 연산된 피검사자가 획득한 인지기능 점수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인지기능 기준 값과 비교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을 갖는 사과 모양의 인지기능 모형(100)을 이용하여 인지기능을 검사한다고 할 때, 검사 제한 시간이 주어지고 피검사자는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와 소요시간에 따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인지기능 기준 값을 기준으로 점수를 획득하게 되며, 피검사자가 획득한 점수를 통해 피검사자의 인지기능 수준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사과 모양이 아니라, 소녀, 자동차, 말, 공, 얼굴 등 점차 형상이 복잡해지거나 조각블록들의 분할된 개수가 증가되는 경우, 이에 대한 인지기능 점수는 더 많아지도록 점수채점기준이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인지기능 검사모형(100)에는 다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도록 다수의 피검사자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번호가 사전에 부여될 수 있다. 즉, 피검사자마다 검사에 사용되는 인지기능 검사모형(100)에 미리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여, 어떤 피검사자가 어떤 고유식별번호의 모형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서로 다른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된 각각의 인지기능 검사모형(100)에서 감지된 정 위치 연결 신호는 미리 할당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210)로 무선 전송될 수 있어, 검사를 주관하는 감독자는 다수의 피검사자에 대한 인지기능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인지기능 검사모형(100)은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을 포함하는데,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은 평면 구조로 2차원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은 물론, 입체 구조로 3차원적으로 연결되는 방식까지 구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이들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어 서로 연결 가능한 형상 및 색상의 조합을 통해 정 위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검사 장치에서, 위치 센서 및 마그넷 위치 및 결합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Ⅳ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마그넷(131)은 조각블록(111)의 대면 부위(즉, 접촉 면(111a)을 의미함)에서 일정한 단면 크기를 갖는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마그넷(131)은 조각블록(111)의 가장자리 측(즉, 도 4의 우측 테두리를 의미함)에서, 마그넷(131)의 단면 크기가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가장자리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가로방향 연장돌기(131a)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가로방향 연장돌기(131a)가 돌출되는 시작 지점으로부터 가로방향 연장돌기(131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세로방향 연장돌기(131b, 131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로방향 연장돌기(131a)는 마그넷(131)의 기본 몸체에 비해 좁은 단면을 갖도록 연장되며, 조각블록(111)의 테두리로부터 a만큼의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세로방향 연장돌기(131b)의 말단은 조각블록(111)의 상부 면과 b만큼의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로방향 연장돌기(131b, 131c)는 가로방향 연장돌기(131a)와 함께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십(十)자 형상을 이루며, 각각의 말단이 설정된 크기로 이루어진 이격 간격(a, b)을 두고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마그넷(131)의 자기력이 증가에 유리한 장점이 있으며, 마그넷(131) 간의 연결 위치가 더욱 구체적으로 한정됨으로써 위치 정렬 상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각블록 내에 위치 센서와 마그넷이 설치된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조각블록(111)의 접촉 면(111a)에 대향하여 마그넷(131)과 위치 센서(1211)가 배치된다. 마그넷(131)의 선단부는 접촉 면(111a)을 향하여 평탄한 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마그넷(131)의 미단부(131d)는 마그넷(131)보다 확장된 단면을 갖는 홀더(1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마그넷(131)은 홀더(150)의 지지 고정 효과에 의해 반복 사용 시에도 설치된 위치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위치 센서(1211)는 조각블록(111)의 대면 부위, 즉 접촉 면(111a)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내입 홈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몸체(1211a)를 포함한다.
삽입몸체(1211a)는 둘레 면을 통해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된 탄성지지 볼(1211b)을 구비하는데, 이 탄성지지 볼(1211b)은 내입 홈의 벽면에 마련된 반구 형상의 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즉, 위치 센서(1211)를 설치하기 위해 삽입몸체(1211a)를 내입 홈에 삽입시킬 때에는 탄성지지 볼(1211b)이 스프링 수축 작용에 의해 삽입몸체(1211a)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그리고 한편, 정해진 위치까지 삽입된 다음에는 스프링 복원 작용에 의해 삽입몸체(1211a)의 둘레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반구 형상의 홈에 끼워져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위치 센서(1211)의 교체 작업이 간편하며, 고장 및 수리를 위해 탈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탈거 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파지 끈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위치 센서(1211)의 전방에는 일정한 크기의 스페이스(145)를 두고 조각블록(111)의 대면 부위, 즉 접촉면(111a)과 나란하게 결합되는 차폐 플레이트(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차폐 플레이트(140)는 투명한 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위치 센서(1211)가 광학 센서로 구성될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먼지 또는 습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센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차폐 플레이트(140)는 필요에 따라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조각블록(111)의 접촉 면(111a)을 통해 마련된 직선 가이드 홈을 통해 정해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차폐 플레이트(140)의 교체가 가능하며, 위치 센서(1211)의 교체를 위해 설치 홈의 개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조각블록(111)의 대면 부위, 즉 접촉 면(111a)에는 일정한 두께로 코팅 처리된 표면마찰저감코팅부(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표면마찰저감코팅부(190)는 조각블록들 간의 접촉 시 서로 간의 접촉 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 등을 줄여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부드럽게 슬립 될 수 있도록 하여, 접촉 면 사이의 마모 손상 등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표면마찰저감코팅부(190)는 차폐 플레이트(140)의 외측 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다수 개의 형태(예를 들어 모형 맞추기 난이도에 따라 간단한 도형에서 복잡한 도형, 또는 평면 도형에서 입체 도형 등)로 준비된 모형에 대하여 다수 개로 분할된 조각블록들을 준비하되, 이들 조각블록들마다 접촉하는 부위를 통해 마그넷을 배치하고, 서로 간의 연결 위치를 판단하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모형 맞추기에 소요되는 시간 및 조각블록들 간의 정 위치 연결 여부를 쉽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그 결과, 준비된 모형으로 맞추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정 위치로 연결된 조각블록들의 개수를 손쉽게 파악하여 피검사자가 지루하지 않으면서도 인지기능을 쉽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나아가, 다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동시 또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인지기능 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다수의 피검사자 각각의 조각블록으로부터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통합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인지기능 검사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피검사자마다 주어진 서로 다른 넘버링을 갖는 조각블록들에 대해 모형 맞추기 작업이 동시에 실시되고, 이들 서로 다른 넘버링을 갖는 조각블록들을 통해 검출된 정보들을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여러 명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서로 간의 인지기능을 실시간으로 비교 판단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인지기능 검사모형
110: 다수의 조각블록들
111, 112, 113, 114: 조각블록
1211, 1212, 1221, 1222, 1223: 위치 센서
1211a: 삽입몸체
1211b: 탄성지지 볼
131, 132, 133, 134: 마그넷
131a: 가로방향 연장돌기
131b, 131c: 세로방향 연장돌기
140: 차폐 플레이트
145: 스페이스
150: 홀더
190: 표면마찰저감코팅부
200: 통합 제어부
210: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
220: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
230: 인기기능 결과 출력부

Claims (8)

  1.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조각블록들을 정 위치로 연결하여 미리 정해진 모형 형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지기능 검사모형;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상에 구비되며,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조각블록들을 접촉 연결시키는 마그넷;
    상기 조각블록들이 상기 마그넷에 의해 상호 접촉하여 연결될 때,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주하여 설치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출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입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 및 상기 정 위치 연결 신호 각각이 입력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인지기능 검사모형 별로 정해진 점수채점기준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출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를 입력 받는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
    상기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와 함께, 상기 정 위치 연결 신호 각각이 입력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인지기능 검사모형 별로 정해진 점수채점기준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가 획득한 인지기능 점수를 연산하는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 및
    상기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에서 연산된 피검사자가 획득한 인지기능 점수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인지기능 기준 값과 비교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출력하는 인지기능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상에서 교체 가능하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좌우 길이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좌우 양단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좌우 양단에 배치된 복수 개의 마그넷 각각은 상기 위치 센서와 동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일정한 단면 크기를 갖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가장자리 측에서, 상기 마그넷의 단면 크기가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상기 가장자리 측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연장되는 가로방향 연장돌기와, 상기 가로방향 연장돌기가 돌출되는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가로방향 연장돌기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세로방향 연장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입 홈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에는 일정한 두께로 코팅 처리되어 상기 조각블록들 간의 접촉 연결 시 마찰을 저감하는 표면마찰저감코팅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 검사모형에는, 다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도록 상기 다수의 피검사자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번호가 사전에 부여되고,
    상기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된 상기 인지기능 검사모형에서 감지된 정 위치 연결 신호는 미리 할당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로 무선 전송됨에 따라 다수의 피검사자에 대한 인지기능 검사가 동시에 수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8. 삭제
KR1020180036400A 2018-03-29 2018-03-29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KR102143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400A KR102143151B1 (ko) 2018-03-29 2018-03-29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400A KR102143151B1 (ko) 2018-03-29 2018-03-29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156A KR20190114156A (ko) 2019-10-10
KR102143151B1 true KR102143151B1 (ko) 2020-08-10

Family

ID=6820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400A KR102143151B1 (ko) 2018-03-29 2018-03-29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1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1838A (ja) 2007-07-03 2009-01-22 G-Time Electronic Co Ltd 知育ゲーム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101312367B1 (ko) 2011-06-14 2013-09-27 안준범 자석퍼즐
KR101526508B1 (ko) 2014-12-03 2015-06-09 엠텍씨앤케이주식회사 외부 기기와 연동하는 퍼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921A (ko) * 2004-02-11 2005-08-18 박경화 놀이 기구 및 퍼즐형 책자
KR101035204B1 (ko) * 2008-12-31 2011-05-17 엔에이치엔(주) 직소 퍼즐 게임의 퍼즐 조각 클리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직소 퍼즐 게임 방법 및 직소 퍼즐 게임 서비스 방법
KR101329179B1 (ko) * 2009-03-27 2013-11-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을 만들기용 조각 퍼즐 및 그것을 이용한 주민 의견 수집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1838A (ja) 2007-07-03 2009-01-22 G-Time Electronic Co Ltd 知育ゲーム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101312367B1 (ko) 2011-06-14 2013-09-27 안준범 자석퍼즐
KR101526508B1 (ko) 2014-12-03 2015-06-09 엠텍씨앤케이주식회사 외부 기기와 연동하는 퍼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156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57688B (zh) 基于深度学习和大数据的停车位检测方法和系统
CY1107130T1 (el) Διαταξη και μεθοδος για την αναλυση πληροφοριακου σηματος.
DK2053539T3 (da) Klassificering af objekter samt detektering af deres position og orientering i rummet
TW357078B (en) Organism state measuring device and relaxation instructing device
DK1261279T3 (da) Fremgangsmåde til analyse af uregelmæssigheder af menneskelig bevægelse
ATE394681T1 (de) Mess- und stabilisierungsystem f r maschinell steuerbare veh ikel
EP1302908A3 (en) Verification techniques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s
KR102170055B1 (ko) 드론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검사장치
WO2003009100A3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s for verifying the integrity of a probe
KR102143151B1 (ko)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JP2007167471A (ja) 生体情報処理装置および生体情報処理方法
ATE261154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tektion eines gegenstandes in bezug auf eine oberfläche
WO2002004946A3 (en) Methods for identifying combinations of drugs
KR102502951B1 (ko) 자율주행 차량의 도로 실증평가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실증평가 장치
KR100926132B1 (ko) 로봇 환경에서의 음원 방향 결정 시스템 및 방법
CN106226740B (zh) 远场声源定位系统和方法
KR20100087013A (ko) 생체측정적 행동 맥락을 기반으로 하는 인간 인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37540A1 (en) Providing an alert to a passenger based on a location of the passenger while in transit on a multi-passenger mode of transport
CN103796165A (zh) 确定井下人员位置的概率方法
CN106687795B (zh) 轮胎试验装置
JP6193613B2 (ja) てんかん発作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モニタリング方法
JP2006122458A (ja) 近赤外光イメージング装置のプローブ保持ホルダ
ATE422050T1 (de) Positioniereinrichtung für ein testelement
US97106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sis and comparison of fingerprint images
ATE469345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r messung an einer klauenkupp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