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952B1 -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952B1
KR102142952B1 KR1020180099177A KR20180099177A KR102142952B1 KR 102142952 B1 KR102142952 B1 KR 102142952B1 KR 1020180099177 A KR1020180099177 A KR 1020180099177A KR 20180099177 A KR20180099177 A KR 20180099177A KR 102142952 B1 KR102142952 B1 KR 10214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passage
air
hot air
b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941A (ko
Inventor
최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온스메디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온스메디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온스메디케어
Priority to KR102018009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2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몸체의 선단부 중앙에 액체분출구, 상기 액체분출구의 선단 쪽으로 경사지게 개구되되 상기 액체분출구의 선단 테두리에 접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기체분출구 및 상기 액체분출구를 에워싼 상태에서 상기 액체분출구와 평행하게 개구된 열풍분출구를 마련한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를 이용하여, 액방울로 분사시키는 단계, 상기 액방울을 압축공기에 부딪치게 하여 마이크로 크기로 쪼개는 단계, 상기 쪼개진 액방울을 열풍에 접촉시켜 증발시켜서 분자 크기로 쪼개는 단계, 분자크기로 쪼개진 증기 입자를 서로 접촉시키면서 소독될 공간의 공기와 접촉시켜 응축 및 응결시켜서 나노크기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소독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방법 및 장치{mathod and apparatus for vaporizing sterilant to disinfecting air}
본 발명은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분출구에서 분출되는 약액기둥 형상의 액체를 액체분출구의 외측에 설치된 기체분출구를 통하여 분출되는 기류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하여 미립자화 된 액체 알갱이로 하고, 이 미립자화 된 액체 알갱이를 열풍에 포위되게 하여 증발시켜서 초미세 액체 알갱이로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5년 여름 한국에서 메르스(MERS) 감염 환자가 여러 병원을 방문함으로써 메르스(MERS) 바이러스에 많은 사람들이 감염되어 수십명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감염환자가 발생된 병원과 감염 의심자를 격리 조치하였지만 메르스 사태를 조기에 막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메르스 감염 환자로부터 나온 메르스 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 또는 병원에 설치된 환풍기를 통하여 많은 사람들의 호흡기에 침투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염된 공간을 신속하게 멸균시킬 수 있는 공기소독장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과거에는 비점(10oC)이 낮은 에틸렌옥사이드 가스(EO gas)를 이용하여 공간소독을 시행해 왔지만, 이 물질은 1급 발암물질로 판명되어 더 이상 사용을 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이 방법은 소독을 위해 사용된 에틸렌옥사이드 가스를 반드시 외부로 배출하여야 하므로 환기가 어려운 공간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과산화수소수이다. 과산화수소수는 살균성을 가지며, 저농도 즉, 0.01증량% ~ 0.10중량%의 과산화수소수가 의약품의 포장물품을 소독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기화된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한 소독은 100 ~ 700 ppm의 가스상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80℃ 이하에서 30분 내지 4시간의 소독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산화수소수는 과산화수소와 물의 혼합물이며, 과산화수소의 비점이 150℃이기 때문에, 예전에는 고온의 표면에 이 혼합물의 소량을 적하하여 급속하게 기화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수행은 분사개구마다/분당/ 5그램의 분사율로 고온 표면에 적하시켜야 하기 때문에 대량의 소독에는 문제가 있고, 또 소독되는 물품 또는 표면에서 기화된 과산화수소수가 응축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멸균할 물품 또는 표면에서 응축되지 않는 농도에서 대량으로 과산화수소 증기를 만드는 장치가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공기소독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10-1633274 및 10-163327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공기소독장치에는 챔버 내의 중앙에 배치된 초점에 압축공기에 의해 약액을 미립화시켜 분사시키는 이류체 노즐과, 열풍을 와류로 유도하여 상기 이류체 노즐에서 분사되는 약액에 접촉시켜 약액을 증발시키는 가열와류 형성부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공기소독장치에서는 챔버 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이류체 노즐들이 챔버 내의 중앙 초점에 맞추어 지기 위해서 상기 이류체 노즐들이 가열와류형성부의 관형부에서 확경되어 상기 관형부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챔버의 크기가 비대해지므로, 공기소독장치의 전체 크기가 커져서 제조단가를 증대시키고 설치점유면적을 증대시키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이류체 노즐들이 약액분출구의 중심축선 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약액분출구에서 분사되는 약액의 분출력이 상기 복수개의 이류체 노즐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출력의 수평성분에 의해 감쇄되어 약액이 멀리 비산을 하지 못하는 문제를 상기 개시된 공기소독장치는 가진다.
또한 상기 개시된 공기소독장치는 이류체 노즐에서 마이크로 크기의 약액을 만들어서 분사시키지 못하는 경우 약액이 열풍에 접촉하여도 여전히 큰 마이크로 크기를 갖게 되어 소독할 공간으로 멀리 퍼져나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에 제기된 문제점, 즉 제품을 구성하는 증발챔버의 크기가 비대해져서 공기소독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 및 분사된 살균소독제가 공기소독장치의 다른 부분에 접촉됨으로써 응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방울로 분사시키는 단계, 상기 액방울을 압축공기에 부딪치게 하여 마이크로 크기로 쪼개는 단계, 상기 쪼개진 액방울을 열풍에 접촉시켜 증발시켜서 분자 크기로 증발시키는 단계, 분자크기로 증발된 증기 입자를 서로 접촉시키면서 소독될 공간의 공기와 접촉시켜 응축 및 응결시켜서 나노의 크기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소독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소독방법을 구현시키기 위해 노즐몸체의 선단부 중앙에 액체분출구, 상기 액체분출구의 선단 쪽으로 경사지게 개구되되 상기 액체분출구의 선단 테두리에 접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기체분출구 및 상기 액체분출구를 에워싼 상태에서 상기 액체분출구와 평행하게 개구된 열풍분출구를 마련한 공기소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체분사구의 내측에 설치된 액체분출구에서 분출되어 생성된 액방울 군 중 테두리 부위에 위치된 복수개의 액방울은 기체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기류에 의해서 분쇄되어 마이크로 크기의 액방울로 되면서, 테두리 부위에 위치된 복수개의 액방울의 수평성분이 기류에 의해 상쇄되면서 액체분출구의 주위로 퍼지지 않게 하면서, 액체분출구의 전방으로 더 멀리 분출되는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 부위에 위치된 복수개의 액방울이 소용돌이가 되어 종래보다 더 멀리 소독될 공간으로 비산하고, 그리고 액방울 군의 중앙부의 액방울은 기체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기류에 장애를 받지 않고 소용돌이 형태로 그대로 분사되고, 그 후 상기 테두리 부위에 위치된 복수개의 액방울과 중앙부의 액방울은 유도가열에 의해 만들어진 대량의 열풍에 의해 증발되어, 더욱 미세한 분자크기의 증기로 되어 소독될 공간으로 퍼져 날아가게 되고, 공중으로 퍼져 날아가는 분자크기의 증기입자들은 서로 접촉하거나 소독될 공간의 공기와 접촉하여 응축(condensation) 내지 응결(coagulation)되어 나노크기로 되면서 계속 공중으로 퍼져 날아가게 되어, 실내의 공중이나 표면에 붙어 있는 병원균과의 접촉 가능성이 증가되어 소독의 효율이 증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
도 2는 도 1의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사 노즐부의 선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분사 노즐부의 기체토출구와 노즐팁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1의 분사 노즐부에서 마이크로 크기로 된 액방울들이 열풍에 의해 증발되는 현상을 도시한 모식도, 및
도 7은 공기소독을 위해 액방울이 나노의 크기로 쪼개어지는 수순을 도시한 모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방법, 즉 공기소독방법이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소독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소독용 약액을 액방울로 분사시키는 단계, 상기 액방울을 압축공기에 부딪치게 하여 마이크로 크기로 쪼개는 단계, 상기 쪼개진 약액을 열풍에 접촉시켜 증발시켜서 분자 크기로 쪼개는 단계, 분자크기로 쪼개진 증기 입자를 서로 접촉시키면서 소독될 공간의 공기와 접촉시켜 응축 및 응결시켜서 나노크기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공기소독방법에 의하면, 분사 액방울이 마이크로 크기로 쪼개어져 공중으로 퍼져 날아가서 열풍에 의해 다시 쪼개어져 분자크기의 증기입자로 되었다가 계속 공중으로 퍼져 날아가면서 서로 접촉하거나 소독될 공간의 공기와 접촉하여 응축 및 응결되어 나노크기로 되어서 실내의 공중에 비산되어 있거나 표면에 붙어 있는 각종 미생물과의 접촉 가능성이 증가되어 소독의 효율이 증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소독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공급관(200)의 선단 밖으로 열풍이 토출될 수 있게 상기 열풍공급관(200)의 선단에 장착된 분사 노즐부(100)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관(200)의 선단은 상기 분사 노즐부(100)가 점유하고 있는 부위 이외의 부위가 개구되어 있다.
상기 분사 노즐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풍공급관(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토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서 상기 열풍공급관(200)의 반경 방향으로 뻗어 양단이 상기 열풍공급관(200)에 장착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윗면 중앙에 형성된 보어(103)에 하부가 삽입 장착되는 제1관형부(120); 상기 제1관형부(120)의 상반부에 외접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보어(103)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110)에 장착되는 제2관형부(130) 및 상기 열풍공급관(200)에 착탈가능하게 내접되고 상기 제2관형부(130)의 상부에 외접되어 상기 열풍공급관(200) 내로 고형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릴(1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어(103)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시트부(104), 도시되지 않은 약액공급원에 접속되고 상기 보어(103)의 바닥 중앙에 출구(102a)가 형성된 약액유입로(102), 도시되지 않은 압축공기원에 접속되고 상기 보어(103)의 벽부에 출구(101a)가 형성된 압축공기유입로(10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관형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어(103)의 바닥에 형성된 상기 약액유입로(102)의 출구(102a)에 유통하게 전장에 걸쳐서 뻗어서 형성된 약액통로(121a)를 구획형성하는 내부관형벽부(121); 상기 보어(103)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내부관형벽부(121)에서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하부확경부(122); 상기 보어(103)에서 위로 노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내부관형벽부(121)에서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확경부(123); 상기 상부확경부(123)의 중앙에 형성된 제2보어(124); 상기 제2보어(124)의 바닥 중앙에서 위로 돌출되어 상기 약액통로(121a)에 유통하고 있는 약액노즐팁(125);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중심축선에 중심축선이 교차되지 않게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선단 쪽으로 경사지고 그리고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둘레방향 일측으로 경사져서 상기 상부확경부(123)의 밑면에서 제2보어(124)의 바닥으로 관통되어 뻗어 형성되어 있고 서로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둘레방향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기체토출구(126); 상기 하부확경부(122)와 상기 상부확경부(123)에 대하여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확경부(122)와 상기 상부확경부(12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약액통로(121a)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복수개의 하부중간돌출편(127); 상기 상부확경부(123)와 상기 복수개의 하부중간톨출편(127)에 대하여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부확경부(123)와 상기 복수개의 하부중간톨출편(127)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약액통로(121a)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지되, 상기 복수개의 하부중간톨출편(127)에 대하여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둘레방향에서 상이한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상부중간돌출편(128); 및 상기 하부확경부(122)의 윗면과 상기 내부관형벽부(121)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확경부(12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서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링형상의 스페이서(129)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관형부(130)는, 상기 복수개의 상부중간돌출편(128), 상기 복수개의 하부중간돌출편(127), 상기 상부확경부(123) 및 상기 스페이서(129)에 외접되어 이들과 협력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체토출구(126)에 유통하는 지그재그의 기체통로(131)를 형성하는 외부관형벽부(132), 상기 상부확경부(123)의 제2보어(124)를 구획형성하는 벽부의 윗면에 안착되기 위해 약액통로(121a)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된 축경부(133), 상기 스페이서(129)와 상기 하부확경부(122)에 의해 형성된 시트부(122a)에 안착되게 상기 외부관형벽부(132)의 하부에서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하부플랜지(134), 상기 보어(103)를 구회형성하는 벽부의 윗면에 형성된 시트부(104)에 안착되어 체결고정되는 상부플랜지(135), 상기 하부플랜지(134)와 상기 상부플랜지(13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힘쌀부(136) 및 상기 기체통로(131)를 상기 압축공기유입로(101)의 출구(101a)에 유통시기 위해 상기 힘쌀부(136)과 상기 하부플랜지(134) 사이의 상기 외부관형벽부(132)의 부위에 형성된 유통구(137)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그재그의 기체통로(131)는 상기 복수개의 기체토출구(1126)에서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이 서로 균일하게 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그릴(140)의 중앙에는 상기 제2관형부(130)의 상부가 관통되게 관통구멍(1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을 구획형성하는 벽부의 밑면(142)은 상기 상부플랜지(135)와 맞닿음하여 상기 제2관형부(130)가 상기 열풍공급관(20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복수개의 기체토출구(126)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의 기류가 약액노즐팁(125)에서 분사되는 약액의 액방울 군 테두리 부위를 둘레방향 일방향으로 빗겨 쳐서 약액의 액방울에 소용돌이를 발생시켜 종래보다 더 멀리 소독될 공간으로 비산되게 하고, 약액의 액방울 군 테두리 부위의 수평 힘 성분을 압축공기의 기류의 수직 힘 성분에 의해 상쇄시키면서 순간적으로 충돌하여 약액의 액방울 군을 분쇄시킴과 동시에 마이크로 크기로 된 약액 액방울로 분무되어 약액노즐팁(125) 주위로 퍼지지 않게 하면서, 약액노즐팁(125)의 전방으로 더 멀리 분출되게 하고, 그 후 약액의 액방울 군의 테두리 부위의 액방울과 액방울 군의 중앙부의 액방울은 열풍공급관(200)에서 공급되는 열풍에 포위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되어, 소독될 공간으로 퍼져 날아가게 되고, 공중으로 퍼져 날아가는 분자크기의 증기입자들은 서로 접촉하거나 소독될 공간의 공기와 접촉하여 응축 및 응결되어 나노크기로 되어서 계속 공중으로 퍼져 날아가게 되어, 실내의 공중에 존재하거나 각종 표면에 붙어 있는 미세물과의 접촉 가능성이 증가되어 소독의 효율이 증가된다.
또한, 나노 크기로 응축 및 응결되어 소독될 공간의 공중으로 퍼져 날아가는 나노크기의 증기는 더 이상 응축 또는 응결되는 것이 방지되어서, 분무 중에 응결되어 바닥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최대한으로 방지된다.
그 이유는, 나노크기의 증기는 상기 열풍공급관(200)에서 분사되는 열풍의 분위기 속에 위치되며, 상기 열풍에 의해 가온되어서 다시 증발되거나 응축 내지 응결되는 과정이 역동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이 수없이 반복되는 과정을 통해 전체적으로는 모두 나노의 증기로 변화됨으로써 응결됨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결국, 상기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는 약액의 보다 많은 나노크기의 증기가 사방에서 실내의 공중이나 표면에 붙어 있는 미생물과 접촉할 가능성을 증대시켜 소독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5 마이크로미터의 약액 알갱이가 100 나노미터의 균일한 증기로 변화될 경우 모두 125,000 개의 증기로 만들어지는데, 이들이 목표 미생물의 표면을 빈틈없이 둘러 싸 그 표면에 있는 각종 기능성 구조물을 엉망으로 만들어 버림으로써 그 미생물이 완전히 사멸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을 더 미립화하기 위해, 상기 열풍공급관(200)의 선단에 복수개의 나선형 날개부(15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개의 나선형 날개부(150) 중 반경방향으로 마주하는 2개의 나선형 날개부(150a)의 반경 안쪽방향의 기단이 상기 몸체(110)의 양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2개의 나선형 날개부(150a)의 반경 바깥방향 선단이 상기 열풍공급관(200)의 내벽에 접촉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줄의 나선형 날개부(150) 중 반경방향으로 마주하는 나머지 2개의 나선형 날개부(150b)의 상단이 상기 몸체(110)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나머지 2개의 나선형 날개부(150b)의 반경 바깥방향 선단이 상기 열풍공급관(200)의 내벽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나선형 날개부(150)는 열풍을 와류로 만들어서, 상기 압축공기기류의 충격에 의해 미립자화 된 약액이 열풍와류 안에 포위되게 하여, 상기 미립자화 된 약액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효과적으로 증발되어 멸균제의 분자로 형성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상기 미립자화 된 약방울들이 상기 열풍와류를 타고 상기 분사 노즐부(100)에서 멀리 비산하게 하여 열풍와류와의 접촉시간을 증대시켜서 분무 중에 나노크기로 응결되기 때문에 바닥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더욱 더 방지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100: 분사 노즐부, 200: 열풍 발생관

Claims (9)

  1. 삭제
  2. 열풍공급관(200)의 선단 밖으로 열풍이 토출될 수 있게 상기 열풍공급관(200)의 선단에 장착된 분사 노즐부(100)를 구비하여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부(100)는,
    상기 열풍공급관(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토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서 상기 열풍공급관(200)의 반경 방향으로 뻗어 양단이 상기 열풍공급관(200)에 장착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윗면 중앙에 형성된 보어(103)에 하부가 삽입 장착되고, 약액공급원에 접속된 약액통로(121a)를 구비한 제1관형부(120);
    상기 제1관형부(120)의 상반부에 외접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보어(103)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110)에 장착되어 상기 제1관형부(120)와 협력하여 압축공기원에 접속된 기체통로(131)를 구획형성하는 제2관형부(130); 및
    상기 열풍공급관(200)에 착탈가능하게 내접되고 상기 제2관형부(130)의 상부에 외접되어 상기 열풍공급관(200) 내로 고형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릴(1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형부(120)의 선단 중앙에는 상기 약액통로(121a)와 유통하는 약액노즐팁(125)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약액노즐팁(125)에 반경 바깥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1관형부(120)의 선단에는 상기 기체통로(131)와 유통하는 복수개의 기체토출구(126)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기체토출구(126)는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중심축선에 그 중심축선이 교차되지 않게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선단 쪽으로 경사지고 그리고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둘레방향 일측으로 경사져서, 서로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둘레방향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두고 배치되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체토출구(126)에서 토출되는 기류가 약액노즐팁(125)에서 분사되는 약액의 약액기둥 테두리 부위를 약액기둥의 둘레방향 일방향으로 빗겨 쳐서 약액의 약액기둥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통로(131)에는,
    상기 기체통로(131)에는,
    상기 제1관형부(120)에서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약액통로(121a)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복수개의 하부중간돌출편(127); 및
    상기 복수개의 하부중간톨출편(127)에 대하여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약액통로(121a)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지되, 상기 복수개의 하부중간톨출편(127)에 대하여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둘레방향에서 상이한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상부중간돌출편(128)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관(200)의 선단에는 상기 분사 노즐부(100)와 상기 열풍공급관(200) 사이에 복수개의 줄의 나선형 날개부(150)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상기 보어(103)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시트부(104), 약액공급원에 접속되고 상기 보어(103)의 바닥 중앙에 출구(102a)가 형성된 약액유입로(102), 및 압축공기원에 접속되고 상기 보어(103)의 벽부에 출구(101a)가 형성된 압축공기유입로(101)를 포함하고,
    상기 제1관형부(120)는,
    상기 보어(103)의 바닥 형성된 상기 약액유입로(102)의 출구(102a)에 유통하게 전장에 걸쳐서 뻗어서 형성된 약액통로(121a)를 구획형성하는 내부관형벽부(121);
    상기 보어(103)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내부관형벽부(121)에서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하부확경부(122);
    상기 보어(103)에서 위로 노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내부관형벽부(121)에서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확경부(123);
    상기 상부확경부(123)의 중앙에 형성된 제2보어(124); 상기 제2보어(124)의 바닥 중앙에서 위로 돌출되어 상기 약액통로(121a)에 유통하고 있는 약액노즐팁(125);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중심축선에 중심축선이 교차되지 않게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선단 쪽으로 경사지고 그리고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둘레방향 일측으로 경사져서 상기 상부확경부(123)의 밑면에서 제2보어(124)의 바닥으로 관통되어 뻗어 형성되어 있고 서로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둘레방향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기체토출구(126);
    상기 하부확경부(122)와 상기 상부확경부(123)에 대하여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확경부(122)와 상기 상부확경부(12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약액통로(121a)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복수개의 하부중간돌출편(127);
    상기 상부확경부(123)와 상기 복수개의 하부중간톨출편(127)에 대하여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부확경부(123)와 상기 복수개의 하부중간톨출편(127)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약액통로(121a)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지되, 상기 복수개의 하부중간톨출편(127)에 대하여 상기 약액노즐팁(125)의 둘레방향에서 상이한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상부중간돌출편(128); 및
    상기 하부확경부(122)의 윗면과 상기 내부관형벽부(121)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확경부(12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서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링형상의 스페이서(129)를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형부(130)는,
    상기 복수개의 상부중간돌출편(128), 상기 복수개의 하부중간돌출편(127), 상기 상부확경부(123) 및 상기 스페이서(129)에 외접되어 이들과 협력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체토출구(126)에 유통하는 지그재그의 기체통로(131)를 형성하는 외부관형벽부(132),
    상기 상부확경부(123)의 제2보어(124)를 구획형성하는 벽부의 윗면에 안착되기 위해 약액통로(121a)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된 축경부(133),
    상기 스페이서(129)와 상기 하부확경부(122)에 의해 형성된 시트부(122a)에 안착되게 상기 외부관형벽부(132)의 하부에서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하부플랜지(134),
    상기 보어(103)를 구회형성하는 벽부의 윗면에 형성된 시트부(104)에 안착되어 체결고정되는 상부플랜지(135),
    상기 하부플랜지(134)와 상기 상부플랜지(13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약액통로(121a)의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힘쌀부(136) 및
    상기 기체통로(131)를 상기 압축공기유입로(101)의 출구(101a)에 유통시기 위해 상기 힘쌀부(136)과 상기 하부플랜지(134) 사이의 상기 외부관형벽부(132)의 부위에 형성된 유통구(137)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관(200)의 선단에 복수개의 줄의 나선형 날개부(15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줄의 나선형 날개부(150) 중 반경방향으로 마주하는 2개의 나선형 날개부(150a)의 반경 안쪽방향의 기단이 상기 몸체(110)의 양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2개의 나선형 날개부(150a)의 반경 바깥방향 선단이 상기 열풍공급관(200)의 내벽에 접촉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줄의 나선형 날개부(150) 중 반경방향으로 마주하는 나머지 2개의 나선형 날개부(150b)의 상단이 상기 몸체(110)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나머지 2개의 나선형 날개부(150b)의 반경 바깥방향 선단이 상기 열풍공급관(200)의 내벽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140)의 중앙에는 상기 제2관형부(130)의 상부가 관통되게 관통구멍(1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을 구획형성하는 벽부의 밑면(142)은 상기 상부플랜지(135)와 맞닿음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KR1020180099177A 2018-08-24 2018-08-24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2142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177A KR102142952B1 (ko) 2018-08-24 2018-08-24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177A KR102142952B1 (ko) 2018-08-24 2018-08-24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941A KR20200022941A (ko) 2020-03-04
KR102142952B1 true KR102142952B1 (ko) 2020-08-10

Family

ID=6978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177A KR102142952B1 (ko) 2018-08-24 2018-08-24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9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31B1 (ko) 2006-01-11 2007-06-18 오승현 소독약제의 분무 방법 및 장치
KR101732648B1 (ko) 2014-12-26 2017-05-04 (주)메가이엔씨 다수 유체 미립자 분무용 노즐 어셈블리
KR101870431B1 (ko) * 2016-11-01 2018-06-22 주식회사 위그린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981A (ko) * 2003-10-23 2005-04-29 신일선 축산뇨 기화식 증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31B1 (ko) 2006-01-11 2007-06-18 오승현 소독약제의 분무 방법 및 장치
KR101732648B1 (ko) 2014-12-26 2017-05-04 (주)메가이엔씨 다수 유체 미립자 분무용 노즐 어셈블리
KR101870431B1 (ko) * 2016-11-01 2018-06-22 주식회사 위그린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941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817B1 (ko) 이중제트노즐을 구비하는 과산화수소 플라즈마 이온화 발생장치
US9241491B2 (en) Aerosol
KR101870431B1 (ko)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KR101961940B1 (ko)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KR20210001365U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US9333275B2 (en) Nebulizer manifold
KR102142952B1 (ko) 공기를 소독하기 위해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방법 및 장치
CN105772272B (zh) 一种环保健康绿色高压喷杀器
KR20190009060A (ko) 공기소독용 약액을 증발시키는 장치
KR102611353B1 (ko) 건식 과산화수소 기화 플라즈마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KR101905030B1 (ko)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플라즈마 전원 장치
CN109675074A (zh) 一种医用洗衣房消毒装置
KR101870814B1 (ko)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선형노즐을 갖는 플라즈마 장치
KR20210132904A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US20210244841A1 (en) Droplet bandpass filter
KR20110100515A (ko) 초음파 진동기를 이용한 기화식 휘산기
KR101870806B1 (ko)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면 플라즈마 장치
JP2009115440A (ja) 遠心式加湿器
WO2022092069A1 (ja) 高速ナノミストおよびその生成方法と生成装置、処理方法と処理装置および計測方法と計測装置
JP2005046338A (ja) 微細霧を用いた消臭、病原微生物処理及び香気散布に係る方法
KR20220143355A (ko) 과산화수소 미세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소독 장치
MX2008001781A (en) Space disinfection
KR20170114868A (ko)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플라즈마 전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