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922B1 -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 Google Patents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922B1
KR102142922B1 KR1020180171626A KR20180171626A KR102142922B1 KR 102142922 B1 KR102142922 B1 KR 102142922B1 KR 1020180171626 A KR1020180171626 A KR 1020180171626A KR 20180171626 A KR20180171626 A KR 20180171626A KR 102142922 B1 KR102142922 B1 KR 102142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body
glass
coupl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6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1772A (en
Inventor
하현수
하현진
Original Assignee
하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현수 filed Critical 하현수
Priority to KR1020180171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22B1/en
Publication of KR2020008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7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는 차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고정바디와, 상기 제1 고정바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차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바디와, 상기 제1 고정바디에 결합되고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홈 또는 단차부가 형성된 거치부재와, 상기 제1 고정바디를 차체에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바디를 차체에 고정하고, 상기 거치부재를 상기 제1 고정바디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1 고정바디와 상기 제2 고정바디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한다.The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xed body coupled to one side of a vehicle body, a second fixed body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to be slidable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A mount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fixing body and having a groove or step portion for supporting the glass, fixing the first fixing body to the vehicle body, fixing the second fixing body to the vehicle body, and fixing the mounting member to the first It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for coupling the first fixed body and the second fixed body to be slidably movable.

Description

유리 셀프 교환기{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Glass Self Changer{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본 발명은 유리 셀프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ass self exchanger.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유리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프레임에 본딩제를 도포하고, 2인이 차량의 양측에서 앞유리를 들고 차량의 장착위치로 이동 후 본딩제가 도포된 차량의 프레임에 앞유리를 결합시킨다.In general, to mount the windshield of a vehicle, apply a bonding agent to the frame of the vehicle, and two people hold the windshield from both sides of the vehicle and move to the vehicl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n bond the windshield to the frame of the vehicle coated with the bonding agent. Let it.

이 경우, 혼자서는 차량의 앞유리를 장착 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 매우 비효율적이다.In this case, it is very inefficient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ount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lone.

또한, 앞유리를 차량 프레임에 장착할 때 장착 위치의 기준 및 설정없이 숙련도 만으로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함에 따라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고, 장착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the windshield is mounted on the vehicle frame, the height and angle are adjusted only with skill without a reference and setting of the mounting position, so that an accurate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and the mounting efficiency may be deteriorated.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혼자서 차량의 앞유리를 교체할 수 있는 유리 셀프 교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lass self-changing machine capable of replacing the windshield of a vehicle by oneself.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유리 셀프 교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lass self-exchanger capable of supporting glass in a state that is firmly and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는 차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고정바디와, 상기 제1 고정바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차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바디와, 상기 제1 고정바디에 결합되고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홈 또는 단차부가 형성된 거치부재와, 상기 제1 고정바디를 차체에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바디를 차체에 고정하고, 상기 거치부재를 상기 제1 고정바디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1 고정바디와 상기 제2 고정바디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한다.The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xed body coupled to one side of a vehicle body, a second fixed body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to be slidable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A mount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fixing body and having a groove or step portion for supporting the glass, fixing the first fixing body to the vehicle body, fixing the second fixing body to the vehicle body, and fixing the mounting member to the first It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for coupling the first fixed body and the second fixed body to be slidably movable.

또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바디는 상기 거치부재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바디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홀 또는 나사 결합홀로 형성된 제1 차체 고정부가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glass self-exchanger, the first fixed body has a first guide slit for fixing the mounting member so as to be slidable, and a second guide slit for coupling to the second fixed body so as to be slidable Is formed, and a first vehicle body fixing portion formed of a through hole or a screw coupling hole for fixing the first fixing body to the vehicle body by the fixing member is formed.

또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체 고정부는 와이퍼 고정부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glass self-exchanger, the first vehicle body fix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wiper fixing part.

또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바디에는 제3 가이드 슬릿과 제2 차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이드 슬릿은 상기 제1 고정바디(1100)의 가이드 이동 및 위치고정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차체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바디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홀 또는 나사 결합홀로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glass self-exchanger, a third guide slit and a second vehicle body fixing part are formed on the second fixed body, and the third guide slit is for guide movement and position fixing of the first fixed body 1100. , The second vehicle body fixing part is for fixing the second fixing body to the vehicle body by the fixing member, and is formed as a through hole or a screw coupling hole.

또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에는 유리 거치부와 제4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 거치부에는 유리가 안착되도록 단차부 또는 홈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4 가이드 슬릿은 상기 거치부를 상기 제1 고정바디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거치부재를 제1 고정바디에 대하여 상하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4 가이드 슬릿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In addition, in the glass self-exchanger, the mounting member is formed with a glass mounting portion and a fourth guide slit, the glass mounting portion is formed as a step or groove portion so that the glass is seated, and the fourth guide slit is the mounting portion The fourth guide slit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slit in order to couple to the first fixed body and to couple the mounting member to be movable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ed body.

또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바디에 직교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바디와, 연결바디에 직교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차체의 타측에 지지되는 제2 고정바디와, 기 제1 고정바디에 결합되고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홈 또는 단차부가 형성된 거치부재와, 상기 제1 고정바디를 차체에 고정하고, 상기 거치부재를 상기 제1 고정바디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1 고정바디와 상기 연결부재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록 결합시키고, 상기 제2 고정바디와 상기 연결부재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In addition, in the glass self-exchanger, a connection body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ion body, and a second fixed body coupled to the connection body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a mount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and having a groove or step portion for supporting the glass, and fixing the first fixed body to the vehicle body, and coupling the mounting member to the first fixed body, and 1 It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that slide and lock the fixed body and the connecting member, and slidably couple the second fixed body and the connecting member.

또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바디에는 상기 거치부재와 상기 연결바디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바디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홀 또는 나사 결합홀로 형성된 제1 차체 고정부가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glass self-exchanger, the first fixed body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slit to slide the moun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body, for fixing the first fixed body to the vehicle body by the fixing member A first vehicle body fixing portion formed by a through hole or a screw coupling hole is formed.

또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는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제3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glass self-exchanger, the connecting body has a third guide slit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slit.

또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2 고정바디는 가이드 연결부, 일측 제2 고정바디 및 타측 제2 고정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연결부는 상기 연결바디의 상기 제3 가이드 슬릿에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제2 고정바디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제2 고정바디는 상기 일측 제2 고정바디의 타측에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In addition, in the glass self-exchanger, the second fixed body includes a guide connection part, a second fixed body on one side, and a second fixed body on the other side, and the guide connection part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guide slit of the connection body. A second guide slit is formed,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ne second fixed body, and the other second fixed body is connected to be movable to the other side of the one second fixed bod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는 차체에 부착되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결합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결합부재에 연결된 거치바디와, 상기 거치 바디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유리를 거치하기 위한 홈 또는 단차부가 형성된 거치부재를 포함한다.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plate attached to a vehicle body, a connection plate connected to the suction plate, a support part including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a mounting body connect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It includes a mounting member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to be slidably movable and formed with a groove or step portion for mounting the glas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는 차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고정바디와, 상기 제1 고정바디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결합되고 유리를 거치하기 위한 홈 또는 단차부가 형성된 거치부재와, 상기 고정바디의 단부에는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차체의 타측에 위치되는 차량의 장착물에 거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The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one side of a vehicle body, a fixed body having a guide slit formed thereon, and a groove for sliding movement to the first fixed body, coupled, and And a mounting member having a stepped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fixed body and mounted on a vehicle attachment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는 장착 플레이트와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장착부와, 유리를 거치하기 위한 홈 또는 단차부가 형성된 롤부와 상기 롤부를 장착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The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mounting plate including a mounting plate and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vehicle body, a roll portion formed with a groove or step portion for mounting the glass, and the roll portion rotatably to the mounting plate Includes fixing bolt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는 차체에 부착되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에 연결되고 후크고리가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지부와, 유리를 거치하기 위한 홈 또는 단차부가 형성된 롤부와, 거치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롤부는 상기 거치바디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거치바디에는 후크고리가 형성된 거치부와, 제1 후크, 바디 및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양단부에 상기 제1 후크와 상기 제2 후크가 결합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크는 지지부의 후크고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거치부의 후크고리에 결합된다.The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including an adsorption plate attached to a vehicle body, a connection plate connected to the adsorption plate and formed with a hook ring, a roll part having a groove or step part for mounting the glass, and Including a body, the roll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the mounting body includes a mounting portion having a hook ring formed thereon, a first hook, a body, and a second hook, and the first hook at both ends of the body 1 and a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 hook and the second hook are coupled, the first hook is coupled to the hook ring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hook is coupled to the hook ring of the mounting portion.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혼자서 차량의 앞유리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유리 셀프 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windshield of a vehicle alon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 glass self-exchanger capable of supporting the glass in a state that is firmly and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fully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eff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유리 거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거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유리 거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후크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유리 셀프 교환기의 제2 유리 거치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의 개략적인 제1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의 개략적인 제2 사용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lass self-exchanger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glass holder in the glass self-exchanger shown in FIG. 6.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glass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glass self-exchanger shown in FIG. 6.
9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glass holder in the glass self-exchanger shown in FIG. 9.
FIG. 1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hook support in the glass self-changing machine shown in FIG. 9.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glass mounting structure of the glass self-exchanger.
13 is a schematic first state of use of the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second state of use of the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use state of the glass self-exchanger shown in FIG. 15;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lass self-exchanger shown in FIG. 1.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셀프 교환기(1000)은 제1 고정바디(1100), 제2 고정바디(1200), 거치부재(1300) 및 고정부재(140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glass self-exchanger 1000 includes a first fixed body 1100, a second fixed body 1200, a mounting member 1300, and a fixing member 140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바디(1100)는 차량에 장착하는 유리를 거치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1 고정바디(1100)는 차체에 고정되고, 제2 고정바디(1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고정바디(1100)에는 거치부재(1300)가 결합된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fixed body 1100 is for mounting glass mounted on a vehicle. In addition, the first fixed body 1100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coupled to the second fixed body 1200 so as to be slidably moved, and the mounting member 1300 is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1100.

이를 위해 제1 고정바디(1100)에는 제1 가이드 슬릿(1110), 제2 가이드 슬릿(1120) 및 제1 차체 고정부(1130)가 형성된다.To this end, a first guide slit 1110, a second guide slit 1120, and a first vehicle body fixing part 1130 are formed in the first fixed body 1100.

제1 가이드 슬릿(1110)은 거치부재(130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2 가이드 슬릿(1120)은 제2 고정바디(1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guide slit 1110 is for fixing the mounting member 1300 to be slidable, and the second guide slit 1120 is for coupling to the second fixing body 1200 so as to be slidable.

제1 차체 고정부(1130)는 제1 고정바디(1100)를 고정부재에 의해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홀 또는 나사 결합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체 고정부(1130)는 와이퍼 고정부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와이퍼 고정부에 제1 고정바디(1100)가 결합될 수도 있다. The first vehicle body fixing part 1130 is for fixing the first fixing body 1100 to the vehicle body by a fixing member, and may be formed as a through hole or a screw coupling hole. In addition, the first vehicle body fixing part 1130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wiper fixing part, and the first fixing body 1100 may be coupled to the wiper fixing part.

제2 고정바디(1200)에는 제3 가이드 슬릿(1210)과 제2 차체 고정부(1220)이 형성된다. 제3 가이드 슬릿(1210)은 제1 고정바디(1100)의 가이드 이동 및 위치고정을 위한 것이고, 제2 차체 고정부(1220)는 제2 고정바디(1200)를 고정부재에 의해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홀 또는 나사 결합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third guide slit 1210 and a second vehicle body fixing part 1220 are formed on the second fixed body 1200. The third guide slit 1210 is for guide movement and position fixing of the first fixed body 1100, and the second body fixing part 1220 fixes the second fixed body 1200 to the vehicle body by a fixing member. It may be formed as a through hole or a screw coupling hole.

거치부재(1300)는 차량 장착용 유리를 거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거치부재(1300)에는 유리 거치부(1310)와 제4 가이드 슬릿(1320)이 형성된다. 유리 거치부(1310)는 유리가 안착되도록 단차부 또는 홈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가이드 슬릿(1320)은 거치부재(1300)를 제1 고정바디(1100)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거치부재(1300)를 제1 고정바디(1100)에 대하여 상하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mounting member 1300 is for mounting the vehicle mounting glass. To this end, a glass mounting portion 1310 and a fourth guide slit 1320 are formed in the mounting member 1300. The glass mounting portion 1310 may be formed as a stepped portion or a groove portion so that the glass is seated. The fourth guide slit 1320 is for coupling the mounting member 1300 to the first fixed body 1100 and at the same time, coupling the mounting member 1300 to the first fixed body 1100 so that the position can be moved up and down. will be.

이를 위해 제4 가이드 슬릿(1320)은 제1 가이드 슬릿(1110)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거치부재(1300)에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fourth guide slit 1320 is formed on the mounting member 1300 to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slit 1110.

고정부재(1400)는 제1 고정부재(1410), 제2 고정부재(1420), 제3 고정부재(1430) 및 제4 고정부재(1440)를 포함한다. The fixing member 1400 includes a first fixing member 1410, a second fixing member 1420, a third fixing member 1430, and a fourth fixing member 1440.

제1 고정부재(1410)는 제1 고정바디(1100)를 차체 바디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차체 고정부(1130)를 통해 차체에 결합된다.The first fixing member 1410 is for coupling the first fixing body 1100 to the vehicle body, and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first vehicle body fixing portion 1130.

제2 고정부재(1420)는 제1 고정바디(1100)와 제2 고정바디(1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고정바디(1100)의 제2 가이드 슬릿(1120)와 제2 고정바디(1200)의 제3 가이드 슬릿(1210)에 결합된다.The second fixing member 1420 is for coupling the first fixed body 1100 and the second fixed body 1200, and the second guide slit 1120 and the second fixed body of the first fixed body 1100 It is coupled to the third guide slit 1210 of 1200).

제3 고정부재(1430)는 제2 고정바디(1200)를 차체 바디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 차체 고정부(1220)를 통해 차체에 결합된다.The third fixing member 1430 is for coupling the second fixing body 1200 to the vehicle body, and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second vehicle body fixing portion 1220.

제4 고정부재(1440)는 거치부재(1300)를 제1 고정바디(1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4 고정부재(1440)는 거치부재(1300)의 제4 가이드 슬릿(1320)와 제1 고정바디(1100)의 제1 가이드 슬릿(1110)에 결합된다. The fourth fixing member 1440 is for fixing the mounting member 1300 to the first fixing body 1100. To this end, the fourth fixing member 1440 is coupled to the fourth guide slit 1320 of the mounting member 1300 and the first guide slit 1110 of the first fixing body 1100.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같이, 유리 셀프 교환기(2000)는 제1 고정바디(2100), 제2 고정바디(2200), 연결바디(2300), 거치부재(2400) 및 고정부재(250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glass self-exchanger 2000 includes a first fixed body 2100, a second fixed body 2200, a connecting body 2300, a mounting member 2400, and a fixing member 250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바디(2100)는 차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2 고정바디(2200)는 차체의 타측에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fixed body 21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second fixed body 2200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제1 고정바디(2100)는 차량에 장착되기 위한 유리를 거치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1 고정바디(2100)는 연결바디(23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연결바디(2300)는 제1 고정바디(2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연결바디(2300)는 제1 고정바디(2100)에 직교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fixed body 2100 is for mounting glass to be mounted on a vehicle. In addition, the first fixed body 210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ody 2300 to be slidably movable, and the connection body 2300 is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2100 to be slidable. The connection body 23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2100 so as to be slidable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그리고 제1 고정바디(2100)에는 거치부재(2400)가 결합된다. In addition, a mounting member 2400 is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2100.

이를 위해 제1 고정바디(2100)에는 제1 가이드 슬릿(2110)과 제1 차체 고정부(2120)가 형성된다.To this end, a first guide slit 2110 and a first vehicle body fixing part 2120 are formed in the first fixed body 2100.

제1 가이드 슬릿(2110)은 거치부재(2400)와 연결바디(230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고정바디(2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guide slit 2110 is for coupling the mounting member 2400 and the connecting body 2300 to the first fixed body 2100 so as to be slidable.

제1 차체 고정부(2120)는 제1 고정바디(2100)를 고정부재에 의해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홀 또는 나사 결합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체 고정부(2120)는 와이퍼 고정부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와이퍼 고정부에 제1 고정바디(210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vehicle body fixing part 2120 is for fixing the first fixing body 2100 to the vehicle body by a fixing member, and may be formed as a through hole or a screw coupling hole. Also, the first vehicle body fixing part 2120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wiper fixing part, and the first fixing body 2100 may be coupled to the wiper fixing part.

제2 고정바디(2200)는 차량의 모터등에 지지되기 위한 것이고, 연결바디(2300)에 슬라이드 이동되기 위한 가이드 연결부(2210), 일측 제2 고정바디(2220) 및 타측 제2 고정바디(2230)를 포함한다.The second fixed body 2200 is for being supported by the motor of the vehicle, and the guide connecting part 2210 for sliding to the connecting body 2300, the second fixed body 2220 on one side, and the second fixed body 2230 on the other side Includes.

가이드 연결부(2210)는 일측 제2 고정바디(222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 제2 고정바디(2230)는 일측 제2 고정바디(2220)의 타측에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를 위해 일측 제2 고정바디(2220)에 타측 제2 고정바디(2230)가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The guide connection part 22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fixed body 2220 on one side, and the second fixed body 2230 on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be movable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ed body 2220 on the other side. To this end, the second fixed body 2230 of the other side may be inserted and withdrawn from the second fixed body 2220 of one side.

가이드 연결부(2210)에는 제3 가이드 슬릿에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 슬릿(2211)이 형성된다. A second guide slit 2211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ird guide slit is formed in the guide connection part 2210.

또한, 일측 제2 고정바디(2220) 및 타측 제2 고정바디(2230)에는 각각 인출지지부(2221,2231)가 결합된다. 그리고 인출지지부(2221,2231)는 일측 제2 고정바디(222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타측 제2 고정바디(2230)의 결합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일측 제2 고정바디(2220)와 타측 제2 고정바디(2230)에 각각 결합된다. In addition, withdrawal support portions 2221 and 2231 are coupled to the second fixed body 2220 on one side and the second fixed body 2230 on the other sid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withdrawal support portions 2221 and 2231 have one side of the second fixed body 2220 and the other side so as to be able to be withdraw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other second fixed body 2230 that is slide-coupled to the second fixed body 2220 on one side. It is coupled to the second fixed body 2230, respectively.

이에 따라, 제2 고정바디(2200)는 일측 제2 고정바디(2220)에 타측 제2 고정바디(2230)가 삽입 및 인출되어 가로방향으로 길이가 조정되고, 인출지지부(2221,2231)가 각각 일측 제2 고정바디(2220)와 타측 제2 고정바디(2230)에 삽입 및 인출되어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second fixed body 2200, the second fixed body 2230 on one side is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second fixed body 2220 to adjust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withdrawal support portions 2221 and 2231 are respectively It is inserted and withdrawn into the second fixed body 2220 on one side and the second fixed body 2230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이에 따라 형성된 공간부(V)에 모터 등 차량 장착물이 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vehicle attachments such as a motor may be mounted on the space portion V thus formed.

연결바디(2300)에는 제3 가이드 슬릿(2310)이 형성되고, 제3 가이드 슬릿(2310)을 통해 제1 고정바디(2100)와 제2 고정바디(2200)가 슬라이드 이동된다. 제3 가이드 슬릿(2310)은 제1 가이드 슬릿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제1 고정바디(2100)와 제2 고정바디(2200)의 세로방향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A third guide slit 2310 is formed in the connecting body 2300, and the first fixed body 2100 and the second fixed body 2200 slide through the third guide slit 2310. The third guide slit 2310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slit. And through this, the length of the first fixed body 2100 and the second fixed body 2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adjusted.

거치부재(2400)는 차량 장착용 유리를 거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거치부재(2400)에는 유리 거치부(2410)와 제4 가이드 슬릿(2420)이 형성된다. 유리 거치부(2410)는 유리가 안착되도록 단차부 또는 홈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가이드 슬릿(2420)은 거치부재(2400)를 제1 고정바디(2100)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거치부재(2400)를 제1 고정바디(2100)에 대하여 상하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mounting member 2400 is for mounting the vehicle mounting glass. To this end, a glass mounting portion 2410 and a fourth guide slit 2420 are formed in the mounting member 2400. The glass mounting portion 2410 may be formed as a stepped portion or a groove portion so that the glass is seated. The fourth guide slit 2420 is for coupling the mounting member 2400 to the first fixed body 2100 and at the same time coupling the mounting member 2400 to the first fixed body 2100 so that the position can be moved up and down. will be.

이를 위해 제4 가이드 슬릿(2420)은 제1 가이드 슬릿(2110)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거치부재(2400)에 형성된다.To this end, the fourth guide slit 2420 is formed on the mounting member 2400 to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slit 2110.

고정부재(2500)는 제1 고정부재(2510), 제2 고정부재(2520), 제3 고정부재(2530) 및 제4 고정부재(2540)를 포함한다.The fixing member 2500 includes a first fixing member 2510, a second fixing member 2520, a third fixing member 2530, and a fourth fixing member 2540.

제1 고정부재(2510)는 제1 고정바디(2100)를 차체 바디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차체 고정부(2120)를 통해 차체에 결합된다.The first fixing member 2510 is for coupling the first fixing body 2100 to the vehicle body, and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first vehicle body fixing part 2120.

제2 고정부재(2520)는 제1 고정바디(2100)와 연결바디(23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고정바디(2100)의 제1 가이드 슬릿(2110)과 연결바디(2300)의 제3 가이드 슬릿(2310)에 결합된다. The second fixing member 2520 is for coupling the first fixing body 2100 and the connection body 2300, and the first guide slit 2110 and the connection body 2300 of the first fixing body 2100 3 It is coupled to the guide slit 2310.

제3 고정부재(2530)는 연결바디(2300)와 제2 고정바디(2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결바디(2300)의 제3 가이드 슬릿(2310)과 제2 고정바디(2200)의 가이드 연결부(221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릿(2211)에 결합된다.The third fixing member 2530 is for coupling the connection body 2300 and the second fixing body 2200, and the guide of the third guide slit 2310 and the second fixing body 2200 of the connection body 2300 It is coupled to the second guide slit 2211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2210.

제4 고정부재(2540)는 거치부재(2400)를 제1 고정바디(2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4 고정부재(2540)는 거치부재(2400)의 제4 가이드 슬릿(2420)와 제1 고정바디(2100)의 제1 가이드 슬릿(2110)에 결합된다.The fourth fixing member 2540 is for fixing the mounting member 2400 to the first fixing body 2100. To this end, the fourth fixing member 2540 is coupled to the fourth guide slit 2420 of the mounting member 2400 and the first guide slit 2110 of the first fixing body 2100.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셀프 교환기(3000)는 지지부(3100), 거치바디(3200) 및 거치부재(330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glass self-exchanger 3000 includes a support part 3100, a mounting body 3200, and a mounting member 3300.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100)는 흡착판(3110), 손잡이(3120), 연결플레이트(3130) 및 결합부재(314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part 3100 includes a suction plate 3110, a handle 3120, a connection plate 3130, and a coupling member 3140.

보다 구체적으로, 흡착판(3110)은 차체에 부착되기 위한 것이고, 손잡이(3120)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플레이트(3130)는 손잡이(3120)와 결합부재(3140)를 연결한다.More specifically, the suction plate 3110 is intended to be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3120. In addition, the connection plate 3130 connects the handle 3120 and the coupling member 3140.

결합부재(3140)는 연결플레이트(3130)와 거치바디(32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The coupling member 3140 is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plate 3130 and the mounting body 3200.

거치바디(3200)는 지지부(3100)에 거치되고 거치부재(3300)가 결합된다. The mounting body 3200 is mounted on the support 3100 and the mounting member 3300 is coupled.

거치부재(3300)는 전술한 제 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브 교환기의 거치부재와 동일하고 전술한 바 세부구성 및 결합관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mounting member 3300 is the same as the mounting member of the glass shelf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coupling relationship are omitted.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지지부(3100)의 흡착판(3110)을 차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유리를 거치부재(3300)에 거치시킬 수 있다. It is made as described above, and the glass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3300 while the suction plate 3110 of the support part 3100 i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는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거치바디(3200)와 결합부재(3140)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late coupled to be slidably movable between the mounting body 3200 and the coupling member 3140 to enable length adjust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셀프 교환기(4000)는 고정바디(4100), 거치부재(4200) 및 지지부재(430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glass self exchanger 4000 includes a fixed body 4100, a mounting member 4200, and a support member 4300.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바디(4100), 거치부재(4200)는 도 1에 도시한 제1 고정바디(1100) 및 거치부재(1300)와 동일하다.More specifically, the fixed body 4100 and the mounting member 4200 are the same as the first fixed body 1100 and the mounting member 1300 shown in FIG. 1.

또한, 고정바디(4100)의 단부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부재(4300)가 결합된다. 또한, 지지부재(4300)에는 회동결합부(431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4300)는 고정바디(4100)에 회동되고, 지지부재는 모터 등 차량 장착물이 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member 4300 is coupled to an end of the fixed body 4100 so as to be rotatable. In addition, a rotation coupling portion 4310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4300.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4300 is rotated to the fixed body 4100, and the support member may mount a vehicle attachment such as a motor.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셀프 교환기(5000)는 장착부(5100) 및 유리 거치부(52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부(5100)는 장착 플레이트(5110) 및 고정부재(512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glass self-exchanger 500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5100 and a glass mounting portion 5200. More specifically, the mounting portion 5100 includes a mounting plate 5110 and a fixing member 5120.

또한, 장착 플레이트(5110)에 고정부재(5120)가 결합되고, 고정부재(5120)는 와이퍼 고정부등의 차체에 고정된다. 유리 거치부(5200)는 롤부(5210)와 고정볼트(5220)를 포함한다. 고정볼트(5220)는 롤부(5210)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 플레이트(5110)에 결합시킨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512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5110, and the fixing member 5120 is fixed to a vehicle body such as a wiper fixing part. The glass mounting portion 5200 includes a roll portion 5210 and a fixing bolt 5220. The fixing bolt 5220 couples the roll part 5210 to the mounting plate 5110 so as to be rotatable.

롤부에는 유리를 거치하기 위한 홈 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차량용 유리는 롤부(5210)에 이동가능하도록 거치될 수 있다. A groove or step portion for mounting the glass may be formed in the roll portion, and the vehicle glass may be mounted on the roll portion 5210 so as to be movable.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거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glass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glass self-exchanger shown in FIG. 6.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거치부(6200)는 롤부(6210), 거치바디(6220) 및 고정볼트(6230)를 포함한다. 고정볼트(6230)는 롤부(6210)를 회전가능하도록 거치바디(6220)에 결합시킨다.As shown, the glass mounting portion 6200 includes a roll portion 6210, a mounting body 6220, and a fixing bolt 6230. The fixing bolt 6230 couples the roll part 6210 to the mounting body 6220 so as to be rotatable.

또한, 롤부(6210)는 제1 롤부(6211)와 제2 롤부(6212)를 포함하고, 제1 롤부(6211)와 제2 롤부(6212)는 지지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거치바디(6220)에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ll part 6210 includes a first roll part 6211 and a second roll part 6212, and the first roll part 6211 and the second roll part 6212 are attached to the mounting body 6220 so that the support shaft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an be mounted.

이에 따라, 차량용 유리는 여러 방향으로 롤부(6210)에 이동가능하도록 거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vehicle glass may be mounted to be movable on the roll part 6210 in various directions.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거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FIG.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glass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glass self-exchanger shown in FIG. 6.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거치부(7200)는 유리 거치부(6200)와 비교하여 롤부가 거치바디에 결합되는 장착각도만이 상이하다. As shown, the glass mounting portion 7200 is different from the glass mounting portion 6200 only in the mounting angle at which the roll portion is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롤부(7211)와 제2 롤부(7212)는 지지축이 서로 교차하도록 거치바디(6220)에 장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roll part 7211 and the second roll part 7212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body 6220 so that the support shafts cross each other.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유리 거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후크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lass holder in the glass self-exchanger shown in FIG. 9, and FIG. 1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hook support portion in the glass self-exchanger shown in FIG. 9.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셀프 교환기(8000)는 지지부(8100), 거치부(8200) 및 연결부재(8300)를 포함한다. 지지부(8100)는 흡착판(8110), 손잡이(8120), 연결플레이트(81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glass self-exchanger 8000 includes a support portion 8100, a mounting portion 8200, and a connecting member 8300. The support part 8100 includes a suction plate 8110, a handle 8120, and a connection plate 8130.

연결플레이트(8130)의 단부에는 연결부재(8300)가 결합되고, 이를 위한 후크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A connection member 8300 is coupled to an end of the connection plate 8130, and a hook ring for this may be formed.

연결부재(8300)는 후크등에 의해 지지부(8100)에 거치부(8200)를 걸어서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거치부(8200)는 상하자유로 자유도가 부여된다.The connecting member 8300 is connected by hooking the mounting portion 8200 to the support portion 8100 by a hook or the like. Accordingly, the mounting portion 8200 is provided with a degree of freedom due to injury.

거치부(8200)는 롤부(8210)와 거치바디(8220)를 포함하고, 롤부(8210)는 거치바디(822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거치바디(8220)에는 후크고리(8221)가 형성된다.The mounting portion 8200 includes a roll portion 8210 and a mounting body 8220, and the roll portion 8210 is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8220 so as to be rotatable. In addition, a hook ring 821 is formed on the mounting body 8220.

연결부재(8300)는 제1 후크(8310), 제2 후크(8310) 및 바디(83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바디(8330)의 양단부에 제1 후크(8310)와 제2 후크(8310)가 형성된다. The connecting member 8300 includes a first hook 8310, a second hook 8310, and a body 8330. In addition, a first hook 8310 and a second hook 831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8330.

연결부재(8300)의 제1 후크(8310)는 연결플레이트(8130)의 후크고리에 결합되고, 제2 후크(8310)는 거치부(8200)의 후크고리에 결합된다. The first hook 8310 of the connecting member 8300 is coupled to the hook ring of the connecting plate 8130, and the second hook 8310 is coupled to the hook ring of the mounting portion 8200.

도 12는 유리 셀프 교환기의 제2 유리 거치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glass mounting structure of the glass self-exchanger.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유리 지지구조체(9000)는 유리 셀프 교환기의 타측 차체에 결합되어 유리 셀프 교환기와 함께 셀프 유리교환에 이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glass support structure 9000 may b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on the other side of the glass self exchanger and used for self glass exchange together with the glass self exchanger.

제2 유리 지지구조체(9000)는 흡착판(9100), 손잡이(9200), 연결플레이트(9300) 및 지지체(9400)를 포함한다.The second glass support structure 9000 includes a suction plate 9100, a handle 9200, a connection plate 9300, and a support 9400.

보다 구체적으로, 흡착판(9100)은 차체에 부착되기 위한 것이고, 손잡이(9200)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플레이트(9300)는 손잡이(9200)와 지지체(9400)를 연결한다.More specifically, the suction plate 9100 is for attaching to the vehicl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9200. In addition, the connection plate 9300 connects the handle 9200 and the support 9400.

또한, 지지체(9400)는 유리를 거치하고 지지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지지체(9400)는 유리가 장착되는 차량의 오픈부의 타측에 위치되고, 지지체(9400)에는 유리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가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9400 is for holding the glass and maintaining the supported state. The support 9400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 part of the vehicle on which the glass is mounted, and a cover made of a soft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support 9400 so as not to scratch the glass.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의 개략적인 제1 사용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의 개략적인 제2 사용상태도이다. 13 is a schematic first state of use of the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chematic second state of use of the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C)의 타측부에 유리 셀프 교환기(1000)와 제2 유리 지지구조체(9000)를 부착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흡착기(P)를 이용하여 유리(G)를 차체로 이동시키고, 차체의 일단부에 유리(G)의 일단부를 거치시킨다.As shown, a glass self-exchanger 1000 and a second glass support structure 9000 are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C. And the worker moves the glass G to the vehicle body using the adsorber P, and places one end of the glass G on one end of the vehicle body.

그리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G)의 타단부를 유리 셀프 교환기(1000)와 제2 유리 지지구조체(9000)에 거치시킨다.And, as shown in Figure 14, the other end of the glass (G) is mounted on the glass self-exchanger 1000 and the second glass support structure (9000).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는 혼자서도 차량의 유리를 교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place the glass of the vehicle alone.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FIG. 1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lass self-exchang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schematic view of a use state of the glass self-exchanger shown in FIG. 15.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셀프 교환기는 흡착부(8410), 걸림봉(8420) 및 연결부(8430)를 포함하는 거치부(8400)와, 흡착부(8452) 및 거치홈부(8451)을 포함하는 지지부(8450)을 포함한다. As shown, the glass self-exchanger includes a mounting portion 8400 including an adsorption part 8410, a locking rod 8420 and a connection part 8430, and a support part including an adsorption part 8452 and a mounting groove 841 (8450).

흡착부(8410)와 걸림봉(8420)은 연결부(8430)를 통해 연결된다. 흡착부(8410)는 유리(G)에 부착되고, 걸림봉(8420)은 지지부(8450)의 거치홈부(8451)에 탈착가능하도록 안착되기 위한 것이다. The adsorption part 8410 and the locking rod 8420 ar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part 8430. The adsorption part 8410 is attached to the glass G, and the locking rod 8420 is to be seated detachably in the mounting groove 8451 of the support part 8450.

또한, 지지부(8450)는 걸림봉(8420)의 원활한 이탈을 위해 거치홈부(8451)는 흡착부(84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845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adsorption portion 8452 for the mounting groove 8451 for smooth separation of the locking rod 8420.

흡착부(8452)는 차체에 부착되고, 거치홈부(8451)은 흡착부(8452)를 통해 지지된다. The adsorption part 8452 i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mounting groove 841 is supported through the adsorption part 8452.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지지부(8450)의 흡착부(8452)를 차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유리에 흡착부(8410)를 통해 부착한 거치부(8400)의 걸림봉(8420)을 거치홈부(8451)에 삽입한다.Made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adsorption part 8452 of the support part 8450 i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the locking rod 8420 of the mounting part 8400 attached to the glass through the adsorption part 841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part ( 8451).

그리고 유리(G)의 일측을 맞추고 걸림봉(8420)을 거치홈부(8451)에서 이탈시키고, 타측의 걸림봉(8420)을 거치홈(8451)에서 제거하는 방식으로 유리를 차체에 장착한다. Then, the glass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by aligning one side of the glass G, removing the locking rod 8420 from the mounting groove 841, and removing the locking rod 8420 on the other side from the mounting groove 8451.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is not limiting.

1000: 유리 셀프 교환기 1100: 제1 고정바디
1110: 제1 가이드 슬릿 1120: 제2 가이드 슬릿
1130: 제1 차체 고정부 1200: 제2 고정바디
1210: 제3 가이드 슬릿 1220: 제2 차체 고정부
1300: 거치부재 1310: 유리 거치부
1320: 제4 가이드 슬릿 1400: 고정부재
1410: 제1 고정부재 1420: 제2 고정부재
1430: 제3 고정부재 1440: 제4 고정부재
1000: glass self changer 1100: first fixed body
1110: first guide slit 1120: second guide slit
1130: first body fixing part 1200: second fixing body
1210: third guide slit 1220: second vehicle body fixing portion
1300: mounting member 1310: glass mounting portion
1320: fourth guide slit 1400: fixing member
1410: first fixing member 1420: second fixing member
1430: third fixing member 1440: fourth fixing member

Claims (15)

차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고정바디;
상기 제1 고정바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차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바디;
상기 제1 고정바디에 결합되고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홈 또는 단차부가 형성된 거치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바디를 차체에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바디를 차체에 고정하고, 상기 거치부재를 상기 제1 고정바디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1 고정바디와 상기 제2 고정바디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바디는
상기 거치부재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바디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홀 또는 나사 결합홀로 형성된 제1 차체 고정부가 형성된
유리 셀프 교환기.
A first fixed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A second fixed body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to be slidable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A mount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and having a groove or step portion for supporting the glass; And
The first fixed body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 second fixed body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 moun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and the first fixed body and the second fixed body are slideable. It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to be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A first guide slit for fixing the mounting member to be slidable is formed,
A second guide sli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fixed body so as to be slidably moved,
A first vehicle body fixing portion formed by a through hole or a screw coupling hole for fixing the first fixing body to the vehicle body by the fixing member is formed
Glass self chang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체 고정부는 와이퍼 고정부에 결합되는
유리 셀프 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vehicle body fixing part is coupled to the wiper fixing part
Glass self cha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바디에는 제3 가이드 슬릿과 제2 차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이드 슬릿은 상기 제1 고정바디의 가이드 이동 및 위치고정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차체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바디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홀 또는 나사 결합홀로 형성된
유리 셀프 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1,
A third guide slit and a second vehicle body fixing part are formed on the second fixed body,
The third guide slit is for guide movement and position fixing of the first fixing body, and the second vehicle body fixing part is for fixing the second fixing body to the vehicle body by the fixing member, and is used as a through hole or a screw coupling hole. Formed
Glass self cha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에는 유리 거치부와 제4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 거치부에는 유리가 안착되도록 단차부 또는 홈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4 가이드 슬릿은 상기 거치부를 상기 제1 고정바디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거치부재를 상기 제1 고정바디에 대하여 상하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4 가이드 슬릿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유리 셀프 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glass mounting portion and a fourth guide slit, the glass mounting portion is formed as a stepped portion or a groove to mount the glass, and the fourth guide slit couples the mounting portion to the first fixed body At the same time, the fourth guide slit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slit in order to couple the mounting member to be movable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ed body.
Glass self changer.
차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고정바디;
상기 제1 고정바디에 직교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직교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차체의 타측에 지지되는 제2 고정바디;
상기 제1 고정바디에 결합되고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홈 또는 단차부가 형성된 거치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바디를 차체에 고정하고, 상기 거치부재를 상기 제1 고정바디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1 고정바디와 상기 연결바디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록 결합시키고, 상기 제2 고정바디와 상기 연결바디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유리 셀프 교환기.
A first fixed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A connection body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to sli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fixed body;
A second fixed body coupled to the connection body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body and suppo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A mount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and having a groove or step portion for supporting the glass; And
The first fixed body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 moun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fixed body, the first fixed body and the connecting body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fixed body and the conn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for coupling the body to be slidable
Glass self chang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바디는
상기 거치부재와 상기 연결바디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바디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홀 또는 나사 결합홀로 형성된 제1 차체 고정부가 형성된
유리 셀프 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fixed body
A first guide slit is formed to slide the mount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body,
A first vehicle body fixing portion formed by a through hole or a screw coupling hole for fixing the first fixing body to the vehicle body by the fixing member is formed
Glass self chang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는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제3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유리 셀프 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necting body is
A third guide slit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slit is formed
Glass self changer.
제 8 항에 있어서,
제2 고정바디는 가이드 연결부, 일측 제2 고정바디 및 타측 제2 고정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연결부는 상기 연결바디의 상기 제3 가이드 슬릿에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제2 고정바디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 제2 고정바디는 상기 일측 제2 고정바디의 타측에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유리 셀프 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fixed body includes a guide connection part, a second fixed body on one side, and a second fixed body on the other side,
The guide connection part has a second guide slit extending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to the third guide slit of the connection body,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fixed body,
The other second fixed body is connected to be movable to the other side of the one second fixed body
Glass self chang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71626A 2018-12-28 2018-12-28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KR1021429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26A KR102142922B1 (en) 2018-12-28 2018-12-28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26A KR102142922B1 (en) 2018-12-28 2018-12-28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140A Division KR20200096462A (en) 2020-08-04 2020-08-04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KR1020200097139A Division KR20200096461A (en) 2020-08-04 2020-08-04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72A KR20200081772A (en) 2020-07-08
KR102142922B1 true KR102142922B1 (en) 2020-08-28

Family

ID=7160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626A KR102142922B1 (en) 2018-12-28 2018-12-28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922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537Y2 (en) * 1993-10-12 2000-0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Window glass mounting guide jig for automobile
KR19990040358A (en) * 1997-11-18 1999-06-05 정몽규 Flange Mounting Jig of Engine Flue Gas Exhaust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72A (en)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67463B (en) Automatic chip mounter for mounting and process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8870148B2 (en) Artist's easel attachable to a door
US20160324701A1 (en) Accessory clamp for emergency cots
US10357105B2 (en) Coupling assembly and bracket device thereof
US20110011909A1 (en) Bicycle Carrier for a Wheeled Vehicle
CA3053087A1 (en) Universal target stand for adas static calibration, method of using the same, target plate for the same and use of a mat for the same
WO2014000314A1 (en) Assembling fixture for supersiz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42922B1 (en)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CN109510741B (en) Switch test fixture
KR100968365B1 (en) Jig for camera
KR20200096462A (en)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KR20200096461A (en) 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CN113531334A (en) Auxiliary device for computer software research and development
JP2003341486A (en) Glass working table and mounting/removing device for car glass using working table
CN112264254A (en) Die bonding dispenser
KR200483134Y1 (en) A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JP2004217115A (en) Device for mounting and holding door for vehicle
CN211037727U (en) Wall brick fixing device
CN109279360B (en) Substrate bearing device
CN220422155U (en) Attaching mechanism for strip-shaped structure
CN220623350U (en) Prompter and adjustable cradle head
CN219864263U (en) Building engineering strutting arrangement
CN214262456U (en) Multifunctional automobile coating overturning and shrinking support
CN218728261U (en) Optical element clamping type support
CN113634952B (en) Welding auxiliary tool of street lamp bas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