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904B1 -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904B1
KR102142904B1 KR1020180023766A KR20180023766A KR102142904B1 KR 102142904 B1 KR102142904 B1 KR 102142904B1 KR 1020180023766 A KR1020180023766 A KR 1020180023766A KR 20180023766 A KR20180023766 A KR 20180023766A KR 102142904 B1 KR102142904 B1 KR 102142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y
fetus
region
invasive prenatal
s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810A (ko
Inventor
이민섭
신상철
권혁중
윤선영
Original Assignee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 filed Critical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
Priority to KR1020180023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0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evolutionary bioinformatics, e.g. phylogenetic tree construction or an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69Methods for sequen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7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sex determin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analysis involving nucleo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50/00ICT programming tools or databas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bioinforma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5/0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assay type for determining the identity of a nucleotide base or a sequence of oligonucleotides
    • C12Q2535/122Massive parallel sequenc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et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을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침습적 산전진단 방법을 이용하여 산모의 생체시료로부터 Y 염색체에만 존재하는 영역인 MSY 영역을 시퀀싱하여, 기존보다 높은 정확도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을 판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FETAL GENDER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NON-INVASIVE PRENATAL TEST}
본 발명은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을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모의 생체시료로부터 Y 염색체에만 존재하는 영역인 MSY 영역을 비침습적 산전진단 방법을 이용하여 시퀀싱하여 기존보다 높은 정확도로 태아의 성별을 판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산전 진단 방법은 크게 침습적 진단 방법과 비침습적 진단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침습적 진단 방법의 예로는, 임신 10 ~ 12주 사이에 시행하는 융모막검사(chorionic villi sampling, CVS), 임신 15 ~ 20주 사이에 면역분석법을 이용하여 양수 내 AFP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태아의 염색체를 분석하는 양수천자(amniocentesis), 임신 18 ~ 20주 사이에 초음파 유도하에 탯줄로부터 직접 태아 혈액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시행하는 탯줄천자(cordocentesis)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침습적 진단 방법들은 검사 과정에서 태아에게 충격을 가하여 유산이나, 질병 또는 기형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양수천자 또는 융모막 융모 샘플 채취에 의한 태아 물질 확보를 기초로 한 방법은 침습적이고, 심지어 숙련된 임상의에 의한 경우에도 임신에 대해 무시할 수 없는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현재 실무에서, 이러한 침습적 진단 방법은 대체로 모체 연령이 높은 경우 또는 생화학적 시험 또는 초음파 검사를 통한 사전 스크리닝을 통해 다운 증후군 태아 임신 가능성이 증가한 표지가 있을 경우에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침습적 진단 방법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비침습적 진단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산모 혈청 내의 무세포 DNA(cell-free DNA; cfDNA)에서의 무세포 태아 DNA(cell-free fetal DNA; cffDNA)의 발견은 비침습적 산전진단법을 개발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를 제공하였다. cffDNA는 태반세포의 고사(apoptosis) 과정에서 산모 혈액으로 유입되며, 약 80~200bp 정도의 짧은 단편으로 임신 5~7주부터 산모 혈액에서 검출되는데, 이를 통한 진단은 자궁 내의 태아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을 배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기술발달에 따라 전체 세포로부터 성을 구별하는 것은 쉽지만, 임산부의 cfDNA(cell-free DNA)로부터 성을 구별하는 것은 아직 난해한 편이고, 산모의 cfDNA에서 태아의 분획인 무세포 태아 DNA(cell-free fetal DNA; cffDNA)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더욱 난해해진다.
차세대 시퀀싱(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과 같은 대규모 병렬형 서열분석(massively parallel sequencing) 기술을 이용할 경우, 샘플 내에 존재하는 모든 핵산을 분석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샘플의 농도가 매우 낮은 cffDNA의 분석에 매우 유용하다.
최근에는 기술을 업그레이드하여 비침습 산전진단(Non-Invasive Prenatal Test, NIPT) 기술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기반으로 수행되고 있고(Bianchi DW et al., (2014) DNA sequencing versus standard prenatal aneuploidy screening. N Engl J Med. 370: 799808., Sparks AB et al., (2012) Noninvasive prenatal detection and selective analysis of cell-free DNA obtained from maternal blood: evaluation for trisomy 21 and trisomy 18. Am J Obstet Gynecol. 206: 319.e19., Ehrich M et al., (2011) Noninvasive detection of fetal trisomy 21 by sequencing of DNA in maternal blood: a study in a clinical setting. Am J Obstet Gynecol. 204: 205.e111.), Illumina와 Ion Torrent 회사의 두 가지 플랫폼을 이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클리닉 분석 테스트가 수행되고 있다. 초기에 Illumina 플랫폼을 이용한 비침습산전진단(NIPT) 분석의 민감성(sensitivity)과 특이성(specificity)은 98%정도였지만(Lau TK et al., (2014) Non-invasive prenatal testing for fetal chromosomal abnormalities by low-coverage wholegenome sequencing of maternal plasma DNA: review of 1982 consecutive cases in a single center. Ultrasound Obstet Gynecol 43: 254264., Ashoor G et al., (2012) Chromosome-selective sequencing of maternal plasma cell-free DNA for firsttrimester detection of trisomy 21 and trisomy 18. Am J Obstet Gynecol. 206: 322.e15.), 최근에는 99%이상의 민감성(sensitivity)과 특이성(specificity)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2개의 X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남성은 X와 Y염색체를 가지며, 포유류에서 Y염색체의 유무가 성별을 결정하게 되는 바, Y염색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생식선은 난소로 분화되게 되고 여성성이 발달하게 된다. Y염색체의 크기는 약 60Mb이고, X염색체로부터 유래하며, X염색체와 Y 염색체에는 위(僞)상염색체(pseudoautosomal region, PAR1, PAR2)라 불리는 상동성 영역이 있으며, Y 염색체에서 상기 PAR1, PAR2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Y 염색체에만 존재하는 영역인 MSY(MSY, Male-Specific region of the Y gene)영역으로 볼 수 있다.
Y염색체는 산모의 혈장에서 추출된 태아의 DNA로부터 실시간 PCR에 의해 증폭되어 관찰될 수 있다. 실시간 PCR에 의할 때, 산모가 남성 태아를 가진 경우 Y염색체 영역이 증폭되어 관찰되지만, 산모가 여성 태아를 가진 경우에는 Y염색체 영역이 증폭되지 아니하여 관찰되지 않는다.
종래의 실험에서 산모의 혈장에 있는 Y 염색체의 DYS-14 영역을 실시간 PCR에 의해 증폭하여 관찰한 경우 정확도가 92.6%이었고(Prenat Diagn, 26(13), 1219-1223), 산모의 게놈에는 존재하지 않는 DAZ(남성불임 유전자)를 실시간 PCR에 의해 증폭하여 관찰한 경우에는 실제 태어난 신생아들과 비교하였을 때 그 정확도가 97.3%로 나타났다는 점이 보고된 바 있다(Acta Medica Iranica, 51(4), 209-214).
본 발명은 비침습적 산전진단 방법을 이용하여 산모의 생체시료로부터 획득한 무세포 DNA를 차세대 서열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기존보다 높은 정확도로 태아의 성별을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비침습적 산전진단 방법을 통하여 태아의 성별을 판별할 수 있는 MSY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산모의 생체시료에서 cfDNA를 추출하여 차세대 시퀀싱(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시퀀싱된 서열들(reads)을 참조 유전체 데이터베이스(reference genome database)에 서열 정리(alignment)하는 단계;
(C) 상기 정리된 서열로부터 Y 염색체의 MSY 영역에 유일하게 정리되는 리드를 추출하고, 전체 리드 대비 태아 성별을 판별하기 위한 MSY 의 영역에 유일한 리드의 UR(y)%(Unique Reads y%)를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계산된 UR(y)% 데이터를 동시에 계산하여, 기준값(cut-off value)을 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태아 성별을 판별하기 위한 MSY 영역의 UR(y)%가 기준값 보다 큰 경우 남자 태아로 판별하고,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여자 태아로 판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채취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는 단계;
(a-2) 분리된 상기 혈장에서, cfDNA를 추출하는 단계;
(a-3) 추출된 상기 cfDNA를 이용하여 라이브러리를 제작하는 단계; 및
(a-4) 제작된 상기 라이브러리를 pooling 한 다음, NGS 장비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해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체시료는 혈액, 혈장, 혈청, 소변 또는 타액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체시료는 산모로부터 입수되고, 관심있는 하나 이상의 핵산 분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시료로서 상기 혈액이외에도 산모의 혈장, 혈청, 소변 또는 타액에서도 cfDNA의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은, 예컨대 454 플랫폼 (platform) (Margulies, 등, Nature (2005) 437:376~380), Illumina Genome Analyzer (또는 Solexa™ platform), Illumina HiSeq2000, HisSeq2500, MiSeq, NextSeq500, Life Tech Ion PGM, Ion Proton, Ion S5, Ion S5XL, 또는 SOLiD (Applied Biosystems) 또는 Helicos True Single Molecule DNA 서열분석 기술 (Harris, 등, Science (2008) 320:106~109), Pacific Biosciences의 단일 분자, 및/또는 실시간(SMRT™) 기술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산모의 생체시료에서 cfDNA를 추출하여 차세대 시퀀싱(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수행하는 단계는, 대규모 병렬형 서열분석법으로 유전체 DNA를 무수히 많은 조각으로 나눈 뒤 각 조각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얻고, 다양한 생물 정보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조각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조합하여 유전체를 해독하는 분석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NextSeq 550Dx, Ion Proton 등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을 통해 임산부의 cfDNA 로부터 태아의 성별을 결정할 때에는 Y염색체의 매핑율에 의해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차세대 시퀀싱을 50kb bin 크기로 나누어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세대 시퀀싱을 Ion Torrent사의 Ion proton system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세대 시퀀싱을 일루미나(Illumina)사의 NextSeq 550Dx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B) 상기 차세대 시퀀싱을 수행하는 플랫폼 별로 시퀀싱된 서열들(reads)을 참조 유전체 데이터베이스(reference genome database)에 서열 정리(alignment)하는 단계는 기존에 해독된 DNA 염기서열(reference genome database, 참조 유전체 데이터베이스)과 산모로부터 획득되어 해독된 DNA 조각의 염기서열을 비교, 정렬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차세대 시퀀싱을 수행하는 플랫폼 별로 시퀀싱된 서열들(reads)을 참조 유전체 데이터베이스(reference genome database)에 서열 정리(alignment)한 후, 상기 플랫폼 별로 Y 염색체의 MSY 영역에 유일하게 정리되는 리드를 추출하고, 전체 리드 대비 특정 영역에 유일한 리드의 UR(y)%(Unique Reads y%)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C) 상기 Y염색체의 MSY 영역에 유일하게 정리되는 리드를 추출하고, 전체 리드 대비 태아 성별을 판별하기 위한 MSY 의 영역에 유일한 리드의 UR(y)%(Unique Reads y%)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UR(y)% 는 유전자 전체 리드 대비 Y 염색체의 MSY 영역에 유일하게 매핑되는 리드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태아 성별을 판별하기 위한 MSY 의 영역이란 MSY 영역을 적절하게 나눈 복수개의 영역 중의 태아 성별을 판별하기에 적합한 일정 영역을 의미하는 바, 일루미나(Illumina)사의 NextSeq 550Dx는 아래 표 1의 50개 영역, Ion Torrent사의 Ion proton system은 아래 표 2의 31개 영역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상기 정리된 서열로부터 Y염색체의 MSY영역에 유일하게 정리되는 리드를 추출하고, 전체 리드 대비 특정영역에 유일한 리드의 UR(y)%(Unique Reads y%)를 계산하는 단계에서는 Y염색체의 MSY 영역을 50kb bin 으로 나눈 후 Ion proton system 에 적합한 31개 영역(하기 표 1의 region 1 내지 31)에서 유일한 리드의 개수를 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을 제공한다.
region Ion Proton system
1 chrY:2800001-2850000
2 chrY:6850001-6900000
3 chrY:6900001-6950000
4 chrY:7250001-7300000
5 chrY:7550001-7600000
6 chrY:7850001-7900000
7 chrY:7900001-7950000
8 chrY:8350001-8400000
9 chrY:8600001-8650000
10 chrY:8850001-8900000
11 chrY:9850001-9900000
12 chrY:14400001-14450000
13 chrY:15550001-15600000
14 chrY:15800001-15850000
15 chrY:16400001-16450000
16 chrY:16850001-16900000
17 chrY:17100001-17150000
18 chrY:17500001-17550000
19 chrY:17750001-17800000
20 chrY:17850001-17900000
21 chrY:18150001-18200000
22 chrY:18650001-18700000
23 chrY:18850001-18900000
24 chrY:19150001-19200000
25 chrY:19500001-19550000
26 chrY:20800001-20850000
27 chrY:21650001-21700000
28 chrY:22050001-22100000
29 chrY:22700001-22750000
30 chrY:22750001-22800000
31 chrY:22800001-22850000
region NextSeq 550Dx
32 chrY:2700001-2750000
33 chrY:6850001-6900000
34 chrY:6950001-7000000
35 chrY:7500001-7550000
36 chrY:7600001-7650000
37 chrY:7650001-7700000
38 chrY:7750001-7800000
39 chrY:7800001-7850000
40 chrY:7850001-7900000
41 chrY:7900001-7950000
42 chrY:7950001-8000000
43 chrY:8250001-8300000
44 chrY:8350001-8400000
45 chrY:8400001-8450000
46 chrY:8500001-8550000
47 chrY:8550001-8600000
48 chrY:8600001-8650000
49 chrY:8750001-8800000
50 chrY:8850001-8900000
51 chrY:9050001-9100000
52 chrY:9100001-9150000
53 chrY:9850001-9900000
54 chrY:14850001-14900000
55 chrY:15000001-15050000
56 chrY:15500001-15550000
57 chrY:16150001-16200000
58 chrY:16250001-16300000
59 chrY:16550001-16600000
60 chrY:16750001-16800000
61 chrY:16800001-16850000
62 chrY:16900001-16950000
63 chrY:17350001-17400000
64 chrY:17400001-17450000
65 chrY:17550001-17600000
66 chrY:18150001-18200000
67 chrY:18550001-18600000
68 chrY:18800001-18850000
69 chrY:19450001-19500000
70 chrY:21200001-21250000
71 chrY:21300001-21350000
72 chrY:22200001-22250000
73 chrY:22250001-22300000
74 chrY:22450001-22500000
75 chrY:22900001-22950000
76 chrY:23350001-23400000
77 chrY:23400001-23450000
78 chrY:23450001-23500000
79 chrY:23550001-23600000
80 chrY:23600001-23650000
81 chrY:23850001-23900000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은 상기 차세대 시퀀싱된 결과로부터 Y염색체의 MSY영역을 50kb bin 으로 나눈 후 NextSeq 550Dx에 적합한 50개 영역(상기 표 2의 region 32 내지 81)을 사용하여 유일한 리드의 개수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태아의 성별을 판별할 수 있는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D) 상기 플랫폼 별로 계산된 UR(y)% 데이터를 동시에 계산하여, 기준값(cut-off value)을 정하는 단계에서 기준값(cut-off value)은 남아와 여아의 리드값이 차이로 태아의 성별 판별에 사용되는 수치를 의미한다. .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에 있어서, Y 염색체의 맵핑율이 기준값(cut-off value)보다 낮은 경우 여자 태아로 분류하고,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남자 태아로 분류할 수 있다(The Journal of Maternal-Fetal and Neonatal Medicine, 25(8): 1370-1374).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은 비침습적 산전진단에 의해 태아에 대한 위험 요소를 줄이고, NGS 방법으로 시퀀싱하여 남성 태아에서만 발견되는 Y염색체의 MSY 영역에서 리드값이 비교하여 더욱 높은 정확도로 태아의 성별을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성별을 미리 파악하고 있는 샘플을 이용하여 chrY 염색체를 50kb bin으로 나눈 data set을 나타낸다.
도 2는 male 샘플에서 맵핑된 리드의 개수가 2 미만인 영역 및 female 샘플에서 맵핑된 리드의 개수가 3 초과인 영역을 제거한 dataset을 나타낸다.
도 3은 Y염색체의 MSY영역 중 NextSeq 550Dx에 적합한 50개 영역에서 맵핑된 리드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male 샘플에서 전반적으로 맵핑된 리드의 개수가 많은 영역 및 female 샘플에서 전반적으로 맵핑된 리드의 개수가 적은 영역만 선별한 dataset을 나타낸다
도 6은 NextSeq 550Dx에 적합한 50개 영역의 맵핑된 리드의 개수를 모두 더하였을 때 male은 50개 이상 나타나고, female은 20개 미만 나타남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Ion Proton system에 의할 때 Ion Proton dataset의 31개 영역(blue box)을 사용한 경우 태아의 성별판별에 더 유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7(B)는 NextSeq 550Dx에 의할 때 NextSeq dataset의 50개 영역(red box)을 사용하는 경우 태아의 성별판별에 더 유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및 이하에 기술하는 실험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성별 구분가능 영역의 추출
일루미나(Illumina)사의 NextSeq 550Dx에 의하여 이미 성별을 알고 있는 dataset를 이용하여 chrY 염색체의 MSY 영역을 50kb bin으로 나눈 후(도 1), 맵핑된 리드 개수를 파악하여, 남아 샘플에서 리드 개수가 2미만인 영역 및 여아 샘플에서 리드 개수가 3초과인 영역은 제거하였다(도 2, 도 3).
male 샘플에서 맵핑된 리드 개수가 전반적으로 많은 영역 및 female 샘플에서 전반적으로 맵핑된 리드 개수가 적은 영역만 다시 선별하였다.
그 결과 MSY 영역 중 50개 영역(상기 표 1의 region 32 내지 81) 의 매핑된 리드 개수를 모두 합하였을 때 male 샘플은 50개 이상, female 샘플은 20개 미만임을 알 수 있었다(도4, 도5, 도6).
MSY 영역 중 50개 영역에서 남아와 여아의 리드 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태아의 성별을 구별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산모의 cfDNA 추출 및 시퀀싱
산모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를 통해 혈장을 분리한 후 분리된 혈장에서 30ng이상의 cfDNA(cell-free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cfDNA를 이용하여 라이브러리를 제작한 후 adaptor를 결합하고(ligation), 라이브러리를 pooling하여 염기서열을 해독하였다.
<실시예 3> Proton dataset에 의한 태아의 성별 결정
Ion proton system은 Ion Torrent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험하였다.
Proton dataset는 총 894개의 샘플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MSY 영역을 50kb bin으로 나누었을 때 여자 태아의 경우 매핑이 거의 없는 31개 영역에서 성별을 구별할 수 있었다(상기 표 1의 region 1 내지 31).
<실시예 4> NextSeq dataset에 의한 태아의 성별 결정
일루미나(Illumina)사의 NextSeq 550Dx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험하였다.
NextSeq dataset는 총 734개의 샘플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MSY 영역을 50kb bin으로 나누었을 때 여자 태아의 경우 매핑이 거의 없는 50개 영역에서 성별을 구별할 수 있었다(상기 표 2의 region 32 내지 81).
도 3에서는 예시적으로 8개의 샘플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내었다. 태아가 남자인 경우 50개 영역에서 모두 3 이상의 리드 수(read count)를 나타내었고, 태아가 여자인 경우 50개 영역에서 모두 2 이하의 리드 수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기존 영역과의 비교
총 1628개의 샘플을 본 발명에 의한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과 비교예로서 MSY 영역 전체에 대해 시퀀싱한 경우의 분별법 및 Y 염색체에서 반복된 염기서열, 동원체(centromere)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리드의 수 측정에 의한 분별법의 4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green box는 MSR 영역 전체에서 리드의 수를 나타내고, yellow box는 Y 염색체에서 반복된 염기서열, 동원체(centromere)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리드의 수를 나타낸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Ion Proton dataset에 의할 때 NextSeq dataset의 50개 영역(red box) 대신 Ion Proton dataset의 31개 영역(blue box)을 사용한 경우 여성 태아의 리드 값이 더 낮아져서 구별이 쉬워지므로, Ion Proton dataset의 31개 영역을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Ion Proton dataset에 의할 때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green box와 yellow box는 남성 태아와 여성 태아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7(B)에서는 NextSeq dataset에 의할 때 NextSeq dataset의 50개 영역(red box)을 사용하는 경우 Ion Proton dataset의 31개 영역(blue box)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여성 태아의 리드 값이 더 낮아져서 구별이 용이하므로, NextSeq dataset의 50개 영역을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7(B)는 NextSeq dataset에 의할 때도 2(A)와 마찬가지로 green box와 yellow box는 태아의 성별구분이 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8)

  1. (A) 산모의 생체시료에서 cfDNA를 추출하여 차세대 시퀀싱(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시퀀싱된 서열들(reads)을 참조 유전체 데이터베이스(reference genome database)에 서열 정리(alignment)하는 단계;
    (C) 상기 정리된 서열로부터 Y염색체의 MSY영역에 유일하게 정리되는 리드를 추출하고, 전체 리드 대비 태아 성별을 판별하기 위한 MSY 의 영역에 유일한 리드의 UR(y)%(Unique Reads y%)를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계산된 UR(y)% 데이터로부터 기준값(cut-off value)을 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UR(y)%가 기준값 보다 큰 경우 남자 태아로 판별하고,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여자 태아로 판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으로서,
    상기 차세대 시퀀싱을 Ion Torrent사의 Ion proton system에 의해 수행하는 경우, MSY 영역은 하기 31개 영역이고,
    Figure 112020023416574-pat00010

    상기 차세대 시퀀싱을 일루미나(Illumina)사의 NextSeq 550Dx에 의해 수행하는 경우, MSY 영역은 하기 50개 영역인,
    Figure 112020023416574-pat00011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시료는 혈액, 혈장, 혈청, 소변 또는 타액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채취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는 단계;
    (a-2) 분리된 상기 혈장에서, cfDNA를 추출하는 단계;
    (a-3) 추출된 상기 cfDNA를 이용하여 라이브러리를 제작하는 단계; 및
    (a-4) 제작된 상기 라이브러리를 pooling 한 다음, NGS 장비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해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차세대 시퀀싱을 50kb bin 크기로 나누어서 수행하는 것인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23766A 2018-02-27 2018-02-27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 KR102142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766A KR102142904B1 (ko) 2018-02-27 2018-02-27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766A KR102142904B1 (ko) 2018-02-27 2018-02-27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810A KR20190102810A (ko) 2019-09-04
KR102142904B1 true KR102142904B1 (ko) 2020-08-10

Family

ID=6795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766A KR102142904B1 (ko) 2018-02-27 2018-02-27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9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180B1 (ko) * 2016-01-20 2018-01-10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 염색체 이상 판단 방법
KR101817785B1 (ko) * 2015-08-06 2018-01-11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 다양한 플랫폼에서 태아의 성별과 성염색체 이상을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785B1 (ko) * 2015-08-06 2018-01-11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 다양한 플랫폼에서 태아의 성별과 성염색체 이상을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KR101817180B1 (ko) * 2016-01-20 2018-01-10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 염색체 이상 판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810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10371A1 (en) Rapid aneuploidy detection
KR101817785B1 (ko) 다양한 플랫폼에서 태아의 성별과 성염색체 이상을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US9885080B2 (en) Kit, a device and a method for detecting copy number of fetal chromosomes or tumor cell chromosomes
Hahn et al. Determination of fetal chromosome aberrations from fetal DNA in maternal blood: has the challenge finally been met?
CN103946394A (zh) 胎儿染色体非整倍性诊断
WO2013053183A1 (zh) 对核酸样本中预定区域进行基因分型的方法和系统
KR101614471B1 (ko) 유전체 서열분석을 이용한 태아 염색체 이수성의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1801871B1 (ko) 산모의 혈청 dna를 이용한 태아의 단일유전자 유전변이의 예측방법
US201403360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ing whether genome is abnormal
KR20150070111A (ko) 염색체 이상의 검출 방법
JP2004528027A (ja) 診断検査
CN108604258B (zh) 染色体异常判断方法
CN109371121A (zh) 一种用于产前诊断染色体异常的试剂盒
JP2019500901A (ja) 核酸の混合物を含むサンプルでコピー数異常を決定する方法
KR102142904B1 (ko) 비침습적 산전진단을 통한 태아의 성별 판별방법
KR102519739B1 (ko) 2단계 Z-score에 기반한 비침습적 산전 검사 방법 및 장치
CN116497106B (zh) 一种产前诊断中母源污染的鉴别方法
RU2777072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анеуплоидии плода в образце крови беременной женщины
CN111321210B (zh) 一种无创产前检测胎儿是否患有遗传疾病的方法
EP3202912A1 (en) Noninvasive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fetal chromosomal aneuploidy
Vinh A Method to Create NIPT Samples with Turner Disorder to Evaluate NIPT Algorithms
EP3149202A1 (en) Method of prenatal diagnosis
KR20170036649A (ko) 비침습적 태아 염색체 이수성 판별 방법
KR20170036648A (ko) 비침습적 태아 염색체 이수성 판별 방법
KR20200028153A (ko) 모체 혈액 유래 무세포 dna 단편을 이용한 비침습적 산전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