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513B1 - 블라인드 디코딩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디코딩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513B1
KR102142513B1 KR1020147032935A KR20147032935A KR102142513B1 KR 102142513 B1 KR102142513 B1 KR 102142513B1 KR 1020147032935 A KR1020147032935 A KR 1020147032935A KR 20147032935 A KR20147032935 A KR 20147032935A KR 102142513 B1 KR102142513 B1 KR 102142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ing
likelihood
null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874A (ko
Inventor
배동운
김한주
강인엽
이정원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0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9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 H03M13/3905Maximum a posteriori probability [MAP] decoding or approximations thereof based on trellis or lattice decoding, e.g. forward-backward algorithm, log-MAP decoding, max-log-MAP deco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738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with judging correct deco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 H03M13/2933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using a block and a convolutional c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9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 H03M13/41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09Error detection only, e.g.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CRC] codes or single parity b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9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 H03M13/41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 H03M13/413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tail biting Viterbi de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은: 제어 유닛을 사용하여 도착 통신(arriving communication)에 관한 대체 가설(alternative hypothesis)을 규정하는 디코딩 우도(decoding likelihood)를 계산하는 디코딩 확률 모듈과;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도착 통신에 관한 널 가설(null hypothesis)을 규정하는 널 우도(null likelihood)를 계산하는 널 확률 모듈과;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디코딩 우도, 혹은 상기 널 우도, 혹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의 조합에 상응하게 결정 웨이트(decision weight)를 생성하는 웨이트 계산 모듈과;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결정 웨이트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를 사용하여 디코딩 신뢰성(decoding reliability)을 계산하는 신뢰성 계산 모듈과;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에 연결되며,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디코딩 파라미터(decoding parameter)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코딩 신뢰성은 디코딩된 결과에 상응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 디코딩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COMMUNICATION SYSTEM WITH BLIND DECOD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라인드 디코딩 메카니즘(blind decoding mechanism)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뎀 소비자 및 산업용 전자 장치들, 특히 셀룰라 전화기들,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s system)들, 휴대 정보 단말기(portable digital assistant)들, 조합 디바이스들과 같은 디바이스들은 증가하는 레벨(level)들의 기능을 제공하여 이동 통신을 포함하는 현대 생활을 지원하고 있다. 기존 기술들에서의 연구 및 개발은 무수한 다른 방향들을 취급하고 있다.
현대 생활에서 정보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는 사용자들이 언제라도 어떤 증가하는 데이터 레이트들로 정보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동 통신에서 사용되는 전화 통신 신호들은 통신되는 정보에 대한 많은, 가능한 포맷들로부터 발생하는 연산 복잡도 뿐만 아니라, 상기 억세스 가능한 데이터의 품질 및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소스(source)들로부터의 다양한 타입(type)들의 간섭들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블라인드 디코딩 메카니즘(blind decoding mechanism)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증가되는 소비자 기대들 및 시장에서의 의미있는 제품 차별화의 감소하는 기회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업 경쟁 압력의 관점에서, 이런 문제들에 대한 해결 방안들을 찾는 것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게다가,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성 및 성능을 개선시키고, 경쟁 압력을 만족시켜야 하는 요구는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들을 찾는 것에 대한 중요한 필요성에 대해 보다 큰 긴급성을 부여한다.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들이 오래 동안 찾아져 왔지만, 이전의 개발들은 어떤 해결 방안들도 제시하거나 혹은 제안하지 못했고,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들은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을 오래 동안 회피해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 유닛을 사용하여 도착 통신(arriving communication)에 관한 대체 가설(alternative hypothesis)을 규정하는 디코딩 우도(decoding likelihood)를 계산하는 디코딩 확률 모듈과;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도착 통신에 관한 널 가설(null hypothesis)을 규정하는 널 우도(null likelihood)를 계산하는 널 확률 모듈과;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디코딩 우도, 혹은 상기 널 우도, 혹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의 조합에 상응하게 결정 웨이트(decision weight)를 생성하는 웨이트 계산 모듈과;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결정 웨이트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를 사용하여 디코딩 신뢰성(decoding reliability)을 계산하는 신뢰성 계산 모듈과;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에 연결되며,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디코딩 파라미터(decoding parameter)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디코딩 신뢰성은 디코딩 결과에 상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착 통신(arriving communication)에 관한 대체 가설(alternative hypothesis)을 규정하는 디코딩 우도(decoding likelihood)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도착 통신에 관한 널 가설(null hypothesis)을 규정하는 널 우도(null likelihood)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디코딩 우도, 혹은 상기 널 우도, 혹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의 조합에 상응하게 결정 웨이트(decision weight)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 웨이트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를 사용하여 디코딩 신뢰성(decoding reliability)을 계산하는 과정과;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디코딩 파라미터(decoding parameter)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코딩 파라미터(decoding parameter)를 사용하여 도착 통신(arriving communication)을 디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도착 통신과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를 평가하기 위해 대체 가설(alternative hypothesis)을 규정하는 디코딩 우도(decoding likelihood)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도착 통신과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를 평가하기 위해 널 가설(null hypothesis)을 규정하는 널 우도(null likelihood)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디코딩 우도, 혹은 상기 널 우도, 혹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의 조합에 상응하게 결정 웨이트(decision weight)를 생성하는 과정과; 디코딩 결과에 상응하게 상기 결정 웨이트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를 사용하여 디코딩 신뢰성(decoding reliability)을 계산하는 과정과; 디바이스에서 디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디코딩된 결과로부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디코딩 신뢰성은 상기 디코딩 결과에 상응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들 혹은 엘리먼트들에 추가하여, 혹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들 혹은 엘리먼트들을 대신하여 다른 과정들 혹은 엘리먼트들을 가진다. 상기 과정들 혹은 엘리먼트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을 읽음으로써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디코딩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도 2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와 기지국간의 통신의 일 예이다.
도 3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바람직한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4는 상기 통신 시스템의 제어 플로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이 구현하고 또한 사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기반으로 분명해질 것이며, 그 시스템, 혹은 프로세스, 혹은 기계적인 변경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구현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컨텐트 에러(content error)를 결정하는 것 이외에도 도착 통신(arriving communication)을 감소(prune)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착 통신은 대체 가설(alternative hypothesis)을 규정하는 디코딩 우도(decoding likelihood)와, 널 가설(null hypothesis)을 규정하는 널 우도(null likelihood)와, 결정 웨이트(decision weight)를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는 디코딩 신뢰성(decoding reliability)을 사용하여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하는 감소는 상기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 및 강인함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와, 상기 결정 웨이트는 비용 혹은 연산 복잡도의 심각한 증가없이도 상기 통신 시스템의 정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많은, 특정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통해 제공되도록 주어진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런 특정한 구체적인 사항들 없이도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모호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부 공지의 회로들과, 시스템 구성들 및 프로세스 과정들은 구체적으로 게시되지 않는다.
상기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들은 반도식적이며, 크기가 조정되지 않으며, 특히 차원들 중 일부는 도면들에서 도시의 간략성을 위해서 존재하며, 도면들에서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면들에서의 관점들이 일반적으로 유사한 방향들을 도시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도면들에서의 이런 묘사는 대부분에 대해서 임의적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어떤 방향에서라도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 등과 같이 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나, 상기 실시예들은 다른 의미를 가지도록 의도되거나, 혹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제한들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칭해지는 용어 “모듈(module)은 상기 용어가 사용되는 컨텍스트(context)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software), 혹은 하드웨어(hardware),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트프웨어는 기계 코드(machine code)와, 펌웨어(firmware)와, 삽입 코드(embedded code)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하드웨어는 회로, 혹은 프로세서(processor), 혹은 컴퓨터(computer), 혹은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혹은 집적 회로 코어(integrated circuit core)들, 혹은 압력 센서(sensor), 혹은 관성 센서, 혹은 미세 전자 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혹은 패시브 디바이스(passive device)들, 혹은 그 조합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상기 용어 “프로세싱(processing)”은 신호들을 필터링(filtering)하는 것과, 심볼(symbol)들을 디코딩하는 것과, 데이터 구조들을 조립하는 것과, 데이터 구조들을 전달하는 것과, 데이터 구조들을 조작하는 것과, 데이터 구조들을 리딩(reading) 및 라이팅(writ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데이터 구조들은 심볼들과, 패킷(packet)들과, 블록(block)들과, 파일(file)들과, 입력 데이터와, 계산된 혹은 생성된 데이터와 같은 시스템 생성 데이터와, 프로그램 데이터(program data)와 같이 배열된 정보가 되도록 정의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블라인드 디코딩 메커니즘(blind decoding mechanism)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network)(104)에 연결되어 있는, 셀룰라 전화기 혹은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와 같은 이동 디바이스(mobile device)(102)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104)는 디바이스들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서로에게 연결된 유선 혹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시스템이다.
일 예로, 상기 네트워크(104)는 무선 셀룰라 네트워크(wireless cellular network)를 위한 유선들, 혹은 송신기들, 혹은 수신기들, 혹은 안테나들, 혹은 타워(tower)들, 혹은 단말기(station)들, 혹은 반복기들, 혹은 전화 네트워크, 혹은 서버들, 혹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client device)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104)는 다양한 사이즈의 영역 네트워크들에 대한 라우터(router)들, 케이블(cable)들, 컴퓨터들, 서버들,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간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104)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링크하고, 통신하는 기지국(106)에 위치하고 있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6)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로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고, 신호들 혹은 그 조합을 프로세스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6)은 또한 다른 기지국들간의 신호들, 혹은 상기 네트워크(104) 내의 컴포넌트(component)들, 혹은 그 조합을 릴레이(relay)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상기 기지국(106)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104)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지국(106)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혹은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와 같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로 신호들을 송신하거나 혹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셀 타워(cell tower), 무선 라우터(wireless router), 안테나, 프로세싱 디바이스,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하거나 혹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다른 이동 디바이스들, 혹은 서버들, 혹은 컴퓨터들, 혹은 전화기들, 혹은 그 조합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결하고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104)를 통해 상기 기지국(10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6)은 전화 호의 음성 신호들 혹은 웹 사이트(website)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그 상호 동작들을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신호들을 무선으로 교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6)은 또한 기준 정보, 혹은 트레이닝(training) 정보, 혹은 에러 검출 정보, 혹은 에러 정정 정보, 혹은 헤더(header) 정보, 송신 포맷(format), 프로토콜(protocol) 정보, 혹은 그 조합을 송신할 수 있다.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스탠다드(standard), 혹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스탠다드, 혹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스탠다드, 혹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스탠다드, 혹은 4세대(fourth generation: 4G) 스탠다드와 같은 상기 통신 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통신 신호들은 상기 통신되는 정보에 삽입되어 있는, 기준 부분들, 혹은 헤더 부분들, 혹은 포맷 부분들, 혹은 에러 정정 혹은 검출 부분,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부분들, 혹은 헤더 부분들, 혹은 포맷 부분들, 혹은 에러 정정 혹은 검출 부분, 혹은 그 조합은 미리 결정되어 있는 비트, 혹은 펄스(pulse), 혹은 파형(wave), 혹은 심볼(symbol),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부분들은 규칙적인 시구간들, 혹은 주파수, 혹은 코드, 혹은 그 조합에서 상기 통신되는 신호들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채널(108)을 통해 상기 기지국(106)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채널(108)은 2개의 다른 위치들에서 디바이스들간의 통신을 위한 특정 방법, 혹은 파라미터, 혹은 그 조합이다.
상기 채널(108)은 무선, 혹은 유선, 혹은 그 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채널(108)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 기지국(106)간의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가 될 수 있거나, 혹은 반복기들, 혹은 증폭기들,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채널(108)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 상기 기지국(106)간의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주파수, 혹은 타임 슬럿(time slot), 혹은 패킷 지정, 혹은 송신 레이트(transmission rate), 혹은 채널 코드(channel code),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108)은 실제 메시지(actual message)(110) 및 제어 정보(112)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제 메시지(110)는 상기 네트워크(104), 혹은 상기 기지국(106), 혹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 혹은 상기 채널(108), 혹은 그 조합으로부터 에러 소스(error source)들로부터 의도되지 않은 에러들없이 한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될 컨텐트(content)이다. 상기 실제 메시지(110)는 상기 기지국(106)으로부터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로 송신하는 이미지(image), 혹은 사운드(sound), 혹은 정보, 혹은 그 부분, 혹은 그 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또한 상기 실제 메시지(110)를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의 인터페이싱 부분(interfacing portion)에서 상기 실제 메시지(110)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상기 실제 메시지(110)의 사운드들을 재생성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로 통신할 수 있다.
도시의 목적들을 위해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정보를 다운로드(download)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106)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2)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와 같이 도시될 것이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정보를 업로드(upload)하기 위해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가 상기 기지국(106)으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제어 정보(112)는 상기 실제 메시지(110)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포맷들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상기 제어 정보(112)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를 위한 자원 할당들에 관련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112)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에서 통신을 수신하기 위해, 단일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송신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및 클로즈 루프 랭크(close-loop rank) 1와 같은 다양한 모드(mode)들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112)는 다양한 다른 타입(type)들의 통신 프로토콜(protocol)들 및 환경들에 대해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scheduling information)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112)는 또한 랜덤 억세스 절차 동안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채널(108) 은 제어 채널(114) 및 데이터 채널(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채널(116)은 컨텐트를 통신하기 위한 자원들의 집합이다. 상기 데이터 채널(116)은 상기 실제 메시지(110)를 송신하는 것에 전용인, 주파수, 혹은 타임 슬럿(timeslot), 혹은 코드, 혹은 심볼, 혹은 그 조합 등과 같은 상기 채널(108)의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채널(114)은 상기 컨텐트의 통신에 관한 포맷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자원들의 집합이다. 상기 제어 채널(114)은 상기 제어 정보(112)를 송신하는 것에 전용인, 주파수, 혹은 타임 슬럿, 혹은 코드, 혹은 심볼, 혹은 그 조합 등과 같은 상기 채널(108)의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채널(114)은 상기 데이터 채널(116)로부터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데이터 채널(116)과 동일한 주파수 혹은 타임 슬럿을 공유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채널(114)은 디바이스들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도착 통신(118)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도착 통신(118)은 상기 제어 정보(112), 혹은 상기 실제 메시지(110),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채널(114)은 상기 도착 통신(118) 내의 각 서브 프레임(sub-frame)에서 처음 1개의 심볼, 2개의 심볼들, 혹은 3개의 심볼들을 점유할 수 있다.
상기 도착 통신(118)은 상기 채널(108)의 영향들에 의해 변경된, 상기 기지국(106)에 의해 송신된 정보의 집합이 될 수 있다. 상기 도착 통신(118)은 ‘y’와 같이 나타내질 수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상기 기지국(106)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정보의 집합에 상응하게 상기 도착 통신(118)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도착 통신(118)은 상기 기지국(106)에 의해 송신된 정보의 집합 혹은 상기 실제 메시지(110)와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채널(108)은 지연을 초래하고, 크기를 변경시키고, 펄스의 모양을 변경시키고, 위상을 변경시키고, 혹은 그 조합에 의해 상기 채널(108)을 통하는 신호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채널(108)의 영향들은 반사된 신호들의 지연된 도착으로부터의 치환, 혹은 다른 송신 신호들로부터의 간섭, 혹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의 이동으로부터의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 혹은 그 조합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상기 채널(108)의 영향들은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추정될 수 있고, ‘h’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상기 제어 정보(112)를 포함하는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도착 통신(118)은 상기 도착 통신(118) 내의 주파수 및 시간에서 다양한 포맷들, 심볼들 및 위치들에서 상기 제어 정보(11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상기 제어 정보(112)에 상응하게 시간 혹은 주파수에서 상기 포맷, 심볼, 위치, 혹은 그 조합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제어 정보(112)를 디코딩할 수 있다. 디코딩 프로세스 및 상기 제어 정보(112)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들이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시의 목적들을 위해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기지국(106) 및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간의 통신을 위해서 직교 위상 쉬프트 키잉(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변조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혹은 주파수 쉬프트 키잉(frequency shift keying: FSK)과 같은 다양한 다른 변조 방식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 상기 기지국(106)간의 통신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 상기 기지국(106)간의 통신은 별도 디바이스(202)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간의 통신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별도 디바이스(202)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 전화 호를 위해 음성 데이터, 혹은 이미지 데이터, 혹은 사운드 데이터, 혹은 그 조합을 통신하는 셀룰라 전화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별도 디바이스(202)는 웹 페이지(web page), 혹은 영화, 혹은 음악, 혹은 소프트웨어(software), 혹은 그 조합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운드 데이터, 혹은 이미지 데이터, 혹은 명령어(instruction)들, 혹은 그 조합을 통신하는 서버 혹은 서비스 제공자가 될 수 있다.
상기 별도 디바이스(202) 및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통신을 위해서 상기 네트워크(10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상기 채널(108)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104)에서 상기 기지국(106)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별도 디바이스(202)는 이미지, 혹은 사운드, 혹은 그 조합에 대한 정보와 같은 상기 실제 메시지(110)를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실제 메시지(110)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에서 상기 도착 통신(118)으로 수신될 수 있는, 송신을 위해, 조정될 수 있고, 혹은 변환될 수 있고, 혹은 다른 정보와 결합될 수 있고, 혹은 그 프로세스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도착 통신(118)은 상기 제어 정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112)는 심볼들 혹은 컨텐트와 같은 다양한 다른 포맷들을 사용하여 주파수 및 타이밍(timing)에서와 같이, 다양한 다른 자원들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10)은 디코딩 파라미터(decoding parameter)(204)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112)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는 상기 도착 통신(118)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는 타이밍, 혹은 주파수, 혹은 심볼, 혹은 비트 조작, 혹은 그 조합을 위해서와 같이, 상기 제어 정보(112), 혹은 상기 도착 통신(118), 혹은 그 조합을 비트들, 혹은 심볼들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프로세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 혹은 상기 제어 정보(112)의 길이, 혹은 상기 제어 정보(112)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채널(114) 내에서 송신되는 컨텐트에 대한 위치, 혹은 상기 제어 채널(114) 내에서 송신된 컨텐트에 대한 어그리게이션 레벨(aggregation level),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 채널(114)의 포맷에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는 또한 다양한 가능한 위치들, 길이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112)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채널(114)을 통해 송신되는 다양한 정보에 대한 컨텐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제어 정보(112), 혹은 상기 도착 통신(118), 혹은 그 조합의 디코딩된 인스턴스(instance)에 대한 컨텐트 에러(206)를 체크(check)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 에러(206)는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함으로써 생성되는 비트들의 시퀀스(sequence)로부터 체크 섬 에러(check sum error), 혹은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 CRC) 에러, 혹은 그 조합을 검출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상태(status)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디코딩 신뢰성(decoding reliability)(208)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은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 혹은 그 결과의 평가이다.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은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 혹은 그 결과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스코어(score), 레이팅(rating), 혹은 확률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은 상기 제어 정보(112), 혹은 상기 도착 통신(118), 혹은 그 조합을 디코딩함으로써 생성되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비트들의 시퀀스가 정확하다는, 퍼센트 표시 혹은 비율과 같은 디코딩 정확도의 우도(likelihood)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에러 결과(error result)(21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에러 결과(210)는 상기 실제 메시지(110)와 다른 상기 이동 디바이스(106)의 출력에서의 편차가 될 수 있다. 상기 에러 결과(210)는 드롭(drop)된 호, 스크램블된 주파수들 혹은 크기에서의 드롭에서와 같은 사운드에서의 대체, 컬러(color) 혹은 라인(line)의 위치에서의 변경들과 같은 이미지를 묘사할 경우의 실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에러 결과(210)는 또한 상기 이동 디바이스(106)를 통한 미디어 컨텐트(media content)를 스트리밍할 경우와 같이, 더 느린 통신 레이트, 혹은 정지들, 혹은 의도되지 않은 중지들, 혹은 그 조합과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에러 결과(210)는 다양한 원인들로부터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에러 결과(210)는 신호 검출 프로세스, 혹은 시스템 잡음, 혹은 다른 신호들로부터의 간섭, 혹은 상기 채널(108)의 품질, 혹은 그 조합으로부터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에러 결과(210)는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로부터의 거짓 경보(false alarm)들, 혹은 미스(miss) 결과들,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거짓 경보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이 상기 도착 통신(118) 혹은 상기 제어 정보(112)를 잘못 디코딩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상기 거짓 경보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가 부정확하지만, 상기 컨텐트 에러(206), 혹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 혹은 그 조합이 정확하다는 것을 지시하는 거짓 포지티브 에러(false positive error)의 생성이 될 수 있다. 상기 거짓 경보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의 부정확한 인스턴스를 폐기하거나 혹은 정정하는 것에 실패하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과 연관될 수 있다.
미스 결과(miss result)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이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 혹은 그 결과의 인스턴스를 잘못 무시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상기 미스 결과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는 정확하지만 상기 컨텐트 에러(206), 혹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 혹은 그 조합이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지시하는 거짓 네가티브 에러(false negative error)의 생성이 될 수 있다. 상기 미스 결과는 디코딩 파라미터(204)의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인스턴스들을 폐기하거나 혹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의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인스턴스들에 에러 프로세싱 메카니즘들을 적용하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과 연관될 수 있다.
상기 거짓 경보 및 상기 미스 결과는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기반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도착 통신(118) 혹은 상기 제어 정보(112)를 프로세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기반으로 상기 결과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기반으로 상기 도착 통신(118) 혹은 상기 제어 정보(112)을 폐기하거나 혹은 정정함으로써 상기 결과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에러 결과(210)는 감소 거짓 경보(pruning-false-alarm)(212), 혹은 감소 미스(pruning-miss)(214),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소 거짓 경보(212)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이 상기 도착 통신(118) 혹은 상기 제어 정보(112)를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서 잘못 감소시키는 상황이다.
상기 감소 거짓 경보(212)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이 상기 도착 통신(118) 혹은 상기 제어 정보(112)를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서 잘못 감소시키는 것에 실패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상기 감소 거짓 경보(212)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는 정확하지 않지만, 상기 컨텐트 에러(206),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 혹은 그 조합이 정확하다는 거짓 포지티브 에러(false positive error)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거짓 경보가 될 수 있다. 상기 감소 거짓 경보(212)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의 부정확한 인스턴스를 폐기 혹은 정정함으로써 감소시키는 것에 실패하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과 연관될 수 있다.
상기 감소 미스(214)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이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 혹은 그 결과의 인스턴스를 잘못 감소시키는 상황이다. 상기 감소 미스(214)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는 정확하지만 상기 컨텐트 에러(206),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 혹은 그 조합이 정확하지 않다는 거짓 네가티브 에러(false negative error)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미스 결과가 될 수 있다. 상기 감소 미스(214)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의 에러없는 인스턴스들을 폐기하거나 혹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의 에러없는 인스턴스들에 에러 프로세싱 메커니즘들을 적용시킴으로써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의 에러없는 인스턴스들을 감소시키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과 연관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디코딩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감소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의 안정성 및 강인함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컨텐트 에러(206)와 에러 체킹 혹은 에러 정정하는 것 이외에도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의 사용은 상기 감소 미스(214)의 확률에서의 결과 증가와 비교하여 상기 감소 거짓 경보(212)의 확률에서 현저하게 더 큰 감소를 생성한다. 상기 감소 거짓 경보(212) 및 상기 감소 미스(214)와 연관되는 계산들 및 결정들을 포함하는, 감소 프로세스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제부터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의 바람직한 블록 다이아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 상기 네트워크(104)와, 상기 기지국(106)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상기 이동 송신(308)에서 상기 네트워크(104)를 통해 상기 기지국(106)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6)은 상기 기저 송신(base transmission)(310)에서 상기 네트워크(104)를 통해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시의 목적들을 위해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client device)로 도시하지만,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를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로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display interface)를 가지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도시의 목적들을 위해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기지국(106)을 서버로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기지국(106)을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로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예로, 상기 기지국(106)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런 실시예에서 설명의 간략성을 위해서,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서 설명될 것이고, 상기 기지국(106)은 서버 디바이스로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디바이스들의 타입에 대한 이런 선택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선택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예이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제1 제어 유닛(312)과, 제1 저장 유닛(314)과, 제1 통신 유닛(316)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3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유닛(312)은 상기 제1 제어 인터페이스(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유닛(312)은 제1 소프트웨어(326)를 실행시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의 인텔리전스(intelligenc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유닛(312)은 다수의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제어 유닛(312)은 프로세서, 혹은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혹은 삽입 프로세서, 혹은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혹은 하드웨어 제어 로직(hardware control logic), 혹은 하드웨어 유한 상태 기계(finite state machine: FSM), 혹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혹은 그 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인터페이스(322)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에서 상기 제1 제어 유닛(312)과 다른 기능 유닛들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인터페이스(322)는 또한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의 외부에 존재하는 통신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인터페이스(322)는 상기 다른 기능 유닛들로부터 혹은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다른 기능 유닛들, 혹은 외부의 목적지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소스들 및 상기 외부 목적지들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의 외부의 소스들 및 목적지들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제어 인터페이스(322)는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떤 기능 유닛들 혹은 외부 유닛들이 상기 제1 제어 인터페이스(322)와 인터페이스되고 있는지를 기반으로 다른 구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제어 인터페이스(322)는 압력 센서, 혹은 관성 센서, 혹은 미세 전자 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혹은 광 회로, 혹은 도파관들, 혹은 무선 회로, 혹은 유선 회로, 혹은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 유닛(314)은 상기 제1 소프트웨어(326)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 유닛(314)은 또한 입력 이미지들을 나타내는 데이터, 혹은 이전에 제시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혹은 사운드 파일(sound file)들, 혹은 그 조합과 같은 상기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 유닛(314)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혹은 내부 메모리, 혹은 외부 메모리, 혹은 그 조합 등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저장 유닛(314)은 비휘발성 랜덤 억세스 메모리(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저장 장치, 혹은 고정 랜덤 억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와 같은 휘발성 저장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 유닛(314)은 제1 저장 인터페이스(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 인터페이스(324)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에서 다른 기능 유닛들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 인터페이스(324)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의 외부에 존재하는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 인터페이스(324)는 다른 기능 유닛들로부터 혹은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다른 기능 유닛들로 혹은 외부 목적지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소스들 및 상기 외부 목적지들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의 외부의 소스들 및 목적지들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저장 인터페이스(324)는 어떤 기능 유닛들 혹은 외부 유닛들이 상기 제1 저장 유닛(314)과 인터페이스하고 있는지를 기반으로 다른 구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 인터페이스(324)는 상기 제1 제어 인터페이스(322)의 구현과 유사한 기술들 및 기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유닛(316)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로의 외부 통신 및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로부터의 외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통신 유닛(316)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가 도 1의 상기 기지국(106), 주변 장치 디바이스 혹은 컴퓨터 데스크탑(computer desktop)과 같은 부가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104)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유닛(316)은 또한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가 상기 네트워크(104)의 일부로서는 기능하지만, 상기 네트워크(104)에 대한 엔드 포인트(end point) 혹은 터미널 유닛(terminal unit)으로 한정되지는 않도록 하는 것을 허여하는 통신 허브(communication hub)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유닛(316)은 상기 네트워크(104)와의 상호 동작을 위해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microelectronics) 혹은 안테나와 같은 액티브(active) 컴포넌트 및 패시브(passive)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유닛(316)은 제1 통신 인터페이스(3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328)는 상기 제1 통신 유닛(316)과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에서의 다른 기능 유닛들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328)는 상기 다른 기능 유닛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다른 기능 유닛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328)는 어떤 기능 유닛들이 상기 제1 통신 유닛(316)과 인터페이스하고 있는지를 기반으로 다른 구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328)는 상기 제1 제어 인터페이스(322)의 구현과 유사한 기술들 및 기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는 사용자(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 인터페이스 및 상호 동작하는 것을 허여한다.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는 입력 디바이스 및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의 입력 디바이스의 예들은 데이터 및 통신 입력들을 제공하는, 키패드(keypad), 혹은 터치패드(touchpad), 혹은 소프트 키(soft-key)들, 혹은 키보드(keyboard), 혹은 마이크로 폰(microphone), 혹은 원격 신호들을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는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30)는 디스플레이, 혹은 프로젝터(projector), 혹은 비디오 스크린(video screen), 혹은 스피커(speaker),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유닛(312)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를 동작시켜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유닛(312)은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의 다른 기능들을 위한 제1 소프트웨어(326)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유닛(312)은 또한 상기 제1통신 유닛(316)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104)와의 상호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소프트웨어(326)를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6)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 다수의 디바이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6)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혹은 더 높은 성능 프로세싱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6)은 제2 제어 유닛(334)와, 제2 통신 유닛(336)과,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는 사용자(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상기 기지국(106)과 인터페이스 및 상호 동작하도록 허여된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는 입력 디바이스 및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의 입력 디바이스의 예들은 데이터 및 통신 입력들을 제공하는, 키패드, 혹은 터치패드, 혹은 소프트 키들, 혹은 키보드, 혹은 마이크로 폰,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의 출력 디바이스의 예들은 제2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40)는 디스플레이, 혹은 프로젝터, 혹은 비디오 스크린, 혹은 스피커,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유닛(334)은 제2 소프트웨어(342)를 실행시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의 기지국(106)의 인텔리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소프트웨어(342)는 상기 제1 소프트웨어(326)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유닛(334)은 상기 제1 제어 유닛(312)과 비교하여 추가적인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유닛(334)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를 동작시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유닛(334)은 또한 상기 제2 통신 유닛(336)을 동작시켜 상기 네트워크(104)를 통해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의 다른 기능들을 위해 상기 제2 소프트웨어(342)를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유닛(334)은 다수의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제어 유닛(334)은 프로세서, 혹은 내장 프로세서, 혹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하드웨어 제어 로직, 혹은 하드웨어 유한 스테이트 기계(finite state machine: FSM), 혹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혹은 그 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유닛(334)은 제2 제어기 인터페이스(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기 인터페이스(344)는 상기 기지국(106)에서 상기 제2 제어 유닛(334)과 다른 기능 유닛들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기 인터페이스(344)는 또한 상기 기지국(106)의 외부에 존재하는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기 인터페이스(344)는 상기 다른 기능 유닛들로부터 혹은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다른 기능 유닛들, 혹은 외부의 목적지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소스들 및 상기 외부 목적지들은 상기 기지국(106)의 외부의 소스들 및 목적지들을 나타낸다.
상기 제2 제어기 인터페이스(344)는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떤 기능 유닛들 혹은 외부 유닛들이 상기 제2 제어기 인터페이스(344)와 인터페이스되고 있는지를 기반으로 다른 구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제어기 인터페이스(344)는 압력 센서, 혹은 관성 센서, 혹은 미세 전자 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혹은 광 회로, 혹은 도파관들, 혹은 무선 회로, 혹은 유선 회로, 혹은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 유닛(346)은 상기 제2 소프트웨어(342)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 유닛(346)은 또한 입력 이미지들을 나타내는 데이터, 혹은 이전에 제시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혹은 사운드 파일들, 혹은 그 조합을 조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 유닛(346)은 상기 제1 저장 유닛(314)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추가적인 저장 용량을 제공하는 사이즈가 될 수 있다.
도시의 목적들을 위해서, 상기 제2 저장 유닛(346)은 단일 엘리먼트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제2 저장 유닛(346)은 저장 엘리먼트들의 분포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시의 목적들을 위해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제2 저장 유닛(346)이 단일 계층 저장 시스템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다른 구성으로 상기 제2 저장 유닛(346)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제2 저장 유닛(346)은 다른 레벨들의 캐싱(caching), 혹은 메인 메모리(main memory), 혹은 로테이팅 미디어(rotating media), 혹은 오프라인(off-line)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계층 시스템을 형성하는 다른 저장 기술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 유닛(346)은 휘발성 메모리,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내부 메모리, 혹은 외부 메모리, 혹은 그 조합 등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저장 유닛(346)은 비휘발성 랜덤 억세스 메모리(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플래쉬 메모리,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저장 장치, 혹은 고정 랜덤 억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등과 같은 휘발성 저장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 유닛(346)은 제2 저장 인터페이스(3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 인터페이스(348)는 상기 기지국(106)에서 다른 기능 유닛들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 인터페이스(348)는 또한 상기 기지국(106)의 외부에 존재하는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 인터페이스(348)는 상기 다른 기능 유닛들로부터 혹은 외부 소스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다른 기능 유닛들, 혹은 외부의 목적지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소스들 및 상기 외부 목적지들은 상기 기지국(106)의 외부의 소스들 및 목적지들을 나타낸다.
상기 제2 저장 인터페이스(348)는 어떤 기능 유닛들 혹은 외부 유닛들이 상기 제2 저장 유닛(346)과 인터페이스하고 있는지를 기반으로 다른 구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 인터페이스(348)는 상기 제2 제어기 인터페이스(344)의 구현과 유사한 기술들 및 기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유닛(336)은 상기 기지국(306)으로의 외부 통신 및 상기 기지국(106)으로부터의 외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통신 유닛(336)은 상기 기지국(106)이 상기 네트워크(104)를 통해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유닛(336)은 상기 기지국(106)이 상기 네트워크(104)의 일부로서는 기능하지만, 상기 네트워크(104)에 대한 엔드 포인트 혹은 터미널 유닛으로 한정되지는 않도록 하는 것을 허여하는 통신 허브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유닛(336)은 상기 네트워크(104)와의 상호 동작을 위해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혹은 안테나와 같은 액티브 컴포넌트 및 패시브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유닛(336)은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상기 제2 통신 유닛(336)과 상기 기지국(106)에서의 다른 기능 유닛들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상기 다른 기능 유닛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다른 기능 유닛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어떤 기능 유닛들이 상기 제2 통신 유닛(336)과 인터페이스하고 있는지를 기반으로 다른 구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상기 제2 제어기 인터페이스(344)의 구현과 유사한 기술들 및 기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유닛(316)은 상기 네트워크(104)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송신(308)에서 상기 기지국(106)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6)은 상기 네트워크(104)의 이동 송신(308)으로부터 상기 제2 통신 유닛(336)에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유닛(336)은 상기 네트워크(104)와 연결되어 상기 기저 송신(310)에서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상기 네트워크(104)의 기저 송신(310)으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유닛(316)에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제어 유닛(312), 혹은 상기 제2 제어 유닛(334), 혹은 그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시의 목적들을 위해서, 상기 기지국(106)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와, 상기 제2 저장 유닛(346)과, 상기 제2 제어 유닛(334)과, 상기 제2 통신 유닛(336)을 가지는 부분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기지국(106)은 다른 부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제2 소프트웨어(342)는 다르게 분할되어 상기 제2 소프트웨어(342)의 일부 혹은 전부는 상기 제2 제어 유닛(334)과 상기 제2 통신 유닛(336)에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106)은 명료성을 위해서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기능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에서 상기 기능 유닛들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다른 기능 유닛들에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는 개별적으로, 그리고 상기 기지국(106) 및 상기 네트워크(104)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6)에서 상기 기능 유닛들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다른 기능 유닛들에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6)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 및 상기 네트워크(104)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시의 목적들을 위해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 및 상기 기지국(106)의 동작으로서 설명된다.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 및 상기 기지국(106)은 상기 통신 시스템(100)의 모듈들 및 기능들 중 어느 것이라도 동작시킬 수 잇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부터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의 제어 플로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검출 모듈(402), 선택 모듈(404), 디코딩 모듈(decoding module)(406), 에러 체크 모듈(error-check module)(408), 확률 연산 모듈(410), 신뢰성 계산 모듈(412), 평가 모듈(41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상기 선택 모듈(404)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디코딩 모듈(406)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검출 모듈(402)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출력들은 상기 선택 모듈(404)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입력들에 연결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선택 모듈(404)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출력들은 상기 디코딩 모듈(406)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입력들에 연결될 수 있거나, 혹은 그 조합이 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디코딩 모듈(406)은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에 연결될 수 있다. 비슷하게,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은 또한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은 상기 평가 모듈(414)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평가 모듈(414)은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선택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도 1의 도착 통신(118)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도 3의 상기 제1 통신 유닛(316), 혹은 도 3의 제2 통신(336), 혹은 도 3의 제1 제어 유닛(312), 혹은 도 3의 제2 제어 유닛(334),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118)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상기 도착 통신(118)을 수신할 수 있고, 도 1의 상기 채널(108)을 통해 송신된 심볼들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전자기 신호들을 위해 크기, 혹은 주파수, 혹은 위상, 혹은 그 조합의 패턴(pattern)들을 식별함으로써 도 1의 상기 기지국(106)으로부터의 상기 송신된 심볼들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또한 상기 채널(108)의 특징으로 인해 상기 송신된 심볼들에서의 열화를 식별 및 보상함으로써 상기 송신된 심볼들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상기 기지국(106)에 의해 송신된 파일럿 톤(pilot tone) 혹은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와 같은 기준 통신들을 사용하여 상기 열화들을 식별 및 보상할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상기 통신 표준, 혹은 상기 통신 시스템(100), 혹은 그 조합에 의해 설정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주파수, 혹은 위상, 혹은 컨텐트(content), 혹은 모양, 혹은 전력 레벨, 혹은 그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상기 기준 통신에 상응하게 상기 도착 통신(118) 내에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부분들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상기 채널(108)의 영향들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기준 통신에 상응하게 상기 도착 통신(118) 내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부분들에서 크기, 혹은 위상, 혹은 주파수, 혹은 컨텐트, 혹은 전력 레벨, 혹은 그 조합에서의 상기 변경들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또한 쉬프팅(shifting)을 포함하는 수학적 모델들을 사용하거나, 혹은 수학적 동작들을 사용하거나, 혹은 그 조합으로 상기 채널(108)의 영향들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또한 상기 기준 통신의 미리 결정된 인스턴스들, 혹은 상기 수신된 인스턴스들, 혹은 상기 미리 결정된 인스턴스들 및 상기 수신된 인스턴스들 둘 다를 사용하여 주파수 혹은 시간 도메인(domain) 변환, 혹은 컨벌루션(convolution), 혹은 트랜스포지션(transposition),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또한 상기 최소 제곱 방법, 혹은 상기 최소 평균 제곱(the least mean square: LMS) 방법, 혹은 상기 최소 평균 제곱 에러(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방법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상기 수신된 혹은 프로세싱되는 심볼 정보를 심볼들, 혹은 비트 정보, 혹은 그 조합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도착 통신(118)은 상기 검출 모듈(402)에 의해 프로세싱한 후의 심볼들, 혹은 비트들, 혹은 그 조합의 시퀀스가 될 수 있다. 상기 검출 모듈(402)은 도 3의 상기 제1 저장 유닛(314), 혹은 도 3의 제2 저장 유닛(346), 혹은 그 조합에서 상기 도착 통신(118)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도착 통신(118)을 수신한 후, 상기 제어 플로우는 상기 선택 모듈(404)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플로우는 상기 도착 통신(118)이 상기 검출 모듈(402)로부터 상기 선택 모듈(404)의 입력으로 진행되도록 하거나, 혹은 상기 도착 통신(118)을 상기 선택 모듈(404)의 알려지고, 억세스 가능한 위치에 저장하도록 하거나, 혹은 플래그(flag), 혹은 인터럽트(interrupt), 혹은 상태 신호,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함으로써와 같이 상기 선택 모듈(404)에게 통보하거나, 혹은 그 프로세스들의 조합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선택 모듈(404)은 도 2의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 모듈(404)은 상기 통신 표준, 혹은 상기 연산 시스템(100), 혹은 그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제1 저장 유닛(314), 혹은 상기 제2 저장 유닛(346), 혹은 그 조합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에 대한 파라미터 집합(parameter set)(420)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주파수, 혹은 타임 슬럿, 혹은 그 조합과 같은, 도 1의 상기 제어 채널(114)의 가능한 위치는 탐색 공간(search space)으로 미리 결정될 수 있고 또한 알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색 공간은 도 1의 상기 제어 정보(112)를 기반으로 길이 혹은 컨텐트 등에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 집합(420)은 가능한 위치들의 조합, 혹은 가능한 컨텐트 혹은 상기 제어 정보(112)의 길이,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일 예로 22개의 페어(pair)들의 위치들과, 일 예로 최대 44개의 다른 파라미터 인스턴스들인 상기 제어 정보(112)의 가능한 컨텐트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선택 모듈(404)은 상기 파라미터 집합(420)으로부터의 하나의 인스턴스에 상응하게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값들을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로 할당함으로써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모듈(404)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에 할당된 상기 파라미터 집합(420)의 인스턴스를 추적하기 위해 내부 인덱스(internal index)(42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선택 모듈(404)은 0 혹은 1의 인덱스 값을 가지는, 상기 파라미터 집합(420)의 첫 번째 인스턴스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모듈(404)은 상기 내부 인덱스(422)의 값을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로 사용되는 상기 파라미터 집합(420)의 인스턴스에 상응하게 상기 인덱스 값 혹은 원래 값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모듈(404)은 도 3의 상기 제1 제어 인터페이스(322), 혹은 도 3의 제1 저장 인터페이스(324), 혹은 도 3의 제2 제어 인터페이스(344), 혹은 도 3의 상기 제2 저장 인터페이스(348),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파라미터 집합(420)에 억세스하고, 또한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모듈(404)은 상기 제1 저장 유닛(314), 혹은 상기 제2 저장 유닛(346), 혹은 그 조합에 상기 내부 인덱스(422), 혹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도착 통신(118), 혹은 그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플로우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의 선택 후에 상기 선택 모듈(404)로부터 상기 디코딩 모듈(406)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플로우는 상기 검출 모듈(402)과 상기 선택 모듈(404)간에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인덱스(422), 혹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도착 통신(118), 흑은 상태 신호,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모듈(406)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한다. 상기 디코딩 모듈(406)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하는 것으로부터 디코딩된 결과(424)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모듈(406)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에 의해 명시되는 정보의 상기 포맷, 혹은 위치, 혹은 길이, 혹은 컨텐트, 혹은 패턴,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모듈(406)은 심볼 정보를 비트들로 변경시키거나, 혹은 명시된 포맷들에 따라 비트 정보를 재배열하거나, 혹은 그 조합에 의해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는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하는 것으로부터 생성된 비트들의 시퀀스일 수 있다.
상기 디코딩 모듈(406)은 상기 제1 제어 유닛(312), 혹은 상기 제1 통신 유닛(316), 혹은 상기 제2 제어 유닛(334), 혹은 상기 제2 통신 유닛(336),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118)을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로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모듈(406)은 상기 제1 저장 유닛(314), 혹은 상기 제2 저장 유닛(346), 혹은 그 조합에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 플로우는 상기 검출 모듈(402)와 상기 선택 모듈(404)간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상태 지시자,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모듈(406)로부터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은 디코딩된 결과의 유효성을 체크한다.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하는 것을 기반으로 도 2의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유효성을 체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를 사용하여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cyclical redundancy check: CRC) 혹은 체크 섬 프로세스(check sum process)를 수행하는 상태로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은 상기 유효성 체크의 결과로서 상기 컨텐트 에러(206)에 Boolean 값, 혹은 번호, 혹은 심볼, 혹은 텍스트(text) 값, 혹은 그 조합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가 상기 유효성 체트를 통과하거나 혹은 실패할 경우 진실(True) 혹은 거짓(False), 혹은 제로(zero) 값 혹은 논 제로(non-zero) 값, 혹은 “패스(pass)” 혹은 “실패(fail)”, 혹은 그 조합을 상기 컨텐트 에러(206)에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은 상기 컨텐트 에러(206)가 상기 유효성 체크의 실패를 지시할 경우 상기 내부 인덱스(422)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플로우는 상기 검출 모듈(402)과 상기 선택 모듈(404)간에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상기 내부 인덱스(422), 혹은 상태 지시자,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로부터 상기 선택 모듈(404)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모듈(404)은 상기 내부 인덱스(422)에 따라 상기 파라미터 집합(420)의 다음 발생 인스턴스를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모듈(406)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하여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의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플로우는 상기 컨텐트 에러(206)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가 상기 유효성 체크를 통과함을 나타낼 경우 상기 내부 인덱스(422)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로부터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플로우는 상기 검출 모듈(402)과 상기 선택 모듈(404)간에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상기 내부 인덱스(422),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상기 컨텐트 에러(206), 혹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태 지시자,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로부터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은 확률들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의 정확도를 평가한다.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은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가 적합한 확률, 혹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가 부적합한 확률, 혹은 그 확률들의 조합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은 상기 도착 통신(118)과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대체 가설(alternative hypothesis)(426) 및 널 가설(null hypothesis)(428)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대체 가설(426)과 상기 널 가설(428)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를 사용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여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대체 가설(426)은 상기 도착 통신(118)이 상기 제어 채널(114)에 대한 디코딩 포맷들을 디코딩하도록 의도된 정보를 포함한다는 표현 혹은 추정이다. 상기 대체 가설(426)은 수학적 표현(mathematical expression), 혹은 수 표현(numerical expression), 혹은 그 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대체 가설(426)은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평가될 수 있는 표현 혹은 추정이 될 수 있다.
상기 널 가설(428)은 상기 도착 통신(118)이 상기 제어 채널(114)에 대한 디코딩 포맷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의도되지 않은 정보를 포함한다는 표현 혹은 추정이다. 상기 널 가설(428)은 수학적 표현, 혹은 수 표현, 혹은 그 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널 가설(428)은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평가될 수 있는 표현 혹은 추정이 될 수 있다. 상기 널 가설(428)은 상기 제어 채널(114)을 통해 수신된 도착 통신(118) 혹은 컨텐트들에서의 심볼들이 랜덤 신호(random signal) 혹은 블랭크 신호(blank signal)로 모델링될 경우의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은 상기 가설들을 평가하기 위해 디코딩 확률 모듈(440)과, 널 확률 모듈(442)과, 웨이트 계산 모듈(44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은 상기 대체 가설(426)을 평가한다.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은 디코딩 우도(decoding likelihood)(430)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대체 가설(426)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가 적합했다는 통계적 우도(statistical likelihood)이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 대체 가설(426)의 정확도를 규정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가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하는데 적합했거나,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가 도 1의 실제 메시지(110)와 정확하게 연관되거나, 혹은 그 조합이라는 가능성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정확도를 규정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은 상기 도착 통신(118)의 일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의 우도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제어 채널(114)을 통해 송신되었을 수 있는 주어진 다양한 가능한 심볼들의 상기 디코딩 우도(430)를 계산할 수 있다. 잡음, 혹은 간섭, 고유한 채널 품질들, 혹은 그 조합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신호들을 가지는 상기 도착 통신(118)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내질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4113316846-pct00001
상기 도착 통신(118)은 상기 검출 모듈(40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도착 통신(118)의 수신된 인스턴스는 또한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내질 수 있다:
<수학식 2>
yn = hnxn + zn.
상기 채널(108)의 영향들은 hn에 의해 나타내질 수 있고, xn은 송신된 코드워드(code word)의 n번째 엘리먼트(element)를 나타낼 수 있고, 잡음은 zn로 나타내질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근사화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4113316846-pct00002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PDCCH에 대한 상기 대체 가설(426)을 규정하는, HPDCCH로 표현되는 상기 대체 가설(426)로 주어지는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의 우도를 근사화시킬 수 있다.
수학식 3에 대해서, K는 상기 제어 정보(112)의 길이일 수 있고, L은 CRC 혹은 체크 섬 비트들의 개수와 같은,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도착 통신(118)에서의 정보 량이 될 수 있고,
Figure 112014113316846-pct00003
는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을 전달하는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를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Figure 112014113316846-pct00004
는 상기 우도의 내림 차순으로 상기 제어 채널(114)을 사용하여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가능한 테일 비팅 컨벌류셔널 코드(tail biting convolutional code)들이고, 하기 수학식 4와 같다:
<수학식 4>
Figure 112014113316846-pct00005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은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 내에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비터비 디코더는 가장 유사한 코드워드(most likely codeword)
Figure 112014113316846-pct00006
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또한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4113316846-pct00007
상기 수학식 5에 대해서, 상기 코드워드의 가장 유사한 인스턴스(most likely instance)는
Figure 112014113316846-pct00008
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상기
Figure 112014113316846-pct00009
는 하기 수학식 6과 같다:
<수학식 6>
Figure 112014113316846-pct00010
상기 잡음의 분산은
Figure 112014113316846-pct00011
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yn는 상기 도착 통신(118)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로그 우도(log-likelihood)가 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14113316846-pct00012
상기 항
Figure 112014113316846-pct00013
는 상기 수신기 신호와 가상 유사한 코드워드간의 제곱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가 될 수 있다. 다른 모든 항들이 계산될 필요가 없는 상기 널 우도(null likelihood)(440)에 포함되어 있는 공통 항들이기 때문에,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하기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내질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112014113316846-pct00014
따라서,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은 또한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 혹은 사인 플립핑(sign flipping), 덧셈들,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수학식 3에서와 같이 근사화시킴으로써 상기 디코딩 우도(430)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은 상기 도착 통신(118)과 상기 페이딩(fading)에 의해 왜곡되는 가장 유사한 코드워드간의 제곱 유클리디안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디코딩 우도(430)를 계산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곱 유클리디안 거리의 연산은 필요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수학식 8을 참조하면,
Figure 112014113316846-pct00015
는 상기 비터비 디코더의 출력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Figure 112014113316846-pct00016
는 추가적인 연산을 제거하기 위해 저장될 수 있는, 상기 비터비 디코더의 입력이 될 수 있다. 그 곱
Figure 112014113316846-pct00017
는 사인 플리핑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14113316846-pct00018
Figure 112014113316846-pct00019
Figure 112014113316846-pct00020
간의 평균 상관(average correlation)의 실수 파트(real part)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은 곱셈, 나눗셈, 변환, 도함수(derivative), 적분,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복잡한 동작들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디코딩 우도(430)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가 상기 유효성 체크를 만족시켰다는 것을 지시하는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우도(430)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은 상기 제어 플로우가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로부터 상기 선택 모듈(404)이 아니라,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로 전달될 경우에만 상기 디코딩 우도(430)를 결정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은 또한 상기 컨텐트 에러(206)의 값이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가 상기 유효성 체크를 만족하였다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체크하고 상기 디코딩 우도(430)를 결정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디코딩 우도(430)의 계산은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대한 증가된 정확도 및 강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디코딩 우도(430)의 계산은 상기 디코딩 결과들이 에러 체크를 통과하지 않는 경우들을 식별하고 프로세싱하지 않음으로써 증가된 정확도 및 강인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도 2의 감소 미스(214), 혹은 도 2의 감소 거짓 경보(212), 혹은 그 조합의 가능성과 연관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가 정확하지만 상기 평가 모듈(414)에 의해서 무시될 것이라는 상기 우도를 정량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감소 미스(214)의 가능성은 하기 수학식 9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9>
Figure 112014113316846-pct00021
수학식 9에 대해서,
Figure 112014113316846-pct00022
Figure 112014113316846-pct00023
가 상기 평가 모듈(414)에 의해 무시될 수 있는 감소 영역을 나타낼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감소 미스(214)의 확률은
Figure 112014113316846-pct00024
가 상기 대체 가설(426)과 연관되는 유효 코드로부터 생성된다는 것을 가정하여 수학식 3의 적분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대한 개선된 정확도를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초과하는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에 대한 정확도의 추가적인 측정을 제공함으로써 개선된 정확도를 제공한다.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에 대한 추가된 레벨의 독립적인 평가는 상기 프로세싱된 신호들에 대한 전체적인 정확도를 개선시킨다.
또한, 슬라이싱과, 사인 플리핑과, 상관 연산 및 덧셈들을 사용하여 계산된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대해서 개선된 효율성 및 강인함을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더 복잡한 동작들을 사용하는 상관 기반 대신 간단한 계산들만을 필요로 하는 확률 기반을 가짐으로써 개선된 정확도 및 강인함을 제공한다.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상기 널 가설(428)을 평가한다.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에 연결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로부터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에 유선들, 입력 출력 조합, 공유 메모리,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상기 제1 제어 유닛(312), 혹은 상기 제2 제어 유닛(334), 혹은 그 조합에서 별개의 프로세서들 혹은 코어들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에 병렬로 정보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널 우도(432)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널 가설(428)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널 우도(432)는 상기 제어 채널(114)의 컨텐트가 랜덤(random)하였던 확률이다.
상기 널 우도(432)는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가 적합하지 않았던 확률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널 우도(432)는 또한 상기 널 가설(428)의 정확도를 규정할 수 있다. 상기 널 우도(432)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가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는 확률, 혹은 상기 제어 채널(114)을 통해 수신된 컨텐트가 블랭크(blank)라고, 혹은 랜덤 QPSK 신호로 필터링된다고, 혹은 의사 제어 정보(pseudo control information)로 필터링된다고 모델링될 수 있다는 확률, 혹은 그 조합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정확도를 규정할 수 있다.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상기 널 가설(428)이 주어진, 상기 도착 통신,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의 일부의 우도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널 우도(432)를 계산할 수 있고, 상기 도착 통신,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의 일부는 상기 제어 채널(114)을 통해 송신되었을 수 있는 다양한 가능한 심볼들의 일부이다.
상기 널 우도(432)는 하기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0>
Figure 112014113316846-pct00025
상기 널 우도(432)에 대해서,
Figure 112014113316846-pct00026
는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를 나타낼 수 있고, HNull는 상기 널 가설(428)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PB는 상기 널 가설(428)이 주어진 블랭크의 확률일 수 있고, 상기 PQ는 상기 널 가설(428)이 주어진 QPSK의 확률일 수 있다. 상기 널 가설(428)이 주어진 블랭크의 확률 및 QPSK의 확률의 합은 1이 될 수 있다.
Figure 112014113316846-pct00027
의 제어 채널(114)의 어그리게이션 레벨(aggregation level)은
Figure 112014113316846-pct00028
와 같이 나타내질 수 있다.
상기 널 우도(432)는 또한 로그 우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로그 우도인 상기 널 우도(432)는 하기 수학식 1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112014113316846-pct00029
상기 널 우도(432)는
Figure 112014113316846-pct00030
의 로그-우도로서 연산될 수 있고, 상기 도착 통신(118)에게는 널 가설(428)이 제공된다.
수학식 11에 대해서, 하기 수학식 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2>
Figure 112014113316846-pct00031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현들과 함께, MC는 복소 심볼들에서 상기 제어 채널(114)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Figure 112014113316846-pct00032
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Figure 112014113316846-pct00033
<수학식 13>
Figure 112014113316846-pct00034
상기 C는
Figure 112014113316846-pct00035
와 같은 QPSK 성상도들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근사값인 상기 널 우도(432)는 하기 수학식 1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4>
Figure 112014113316846-pct00036
상기 Ai은 하기 수학식 15가 될 수 있다:
<수학식 15>
Figure 112014113316846-pct00037
또한, 상기 Ai은 상기 널 우도(432)에 대해 하기 수학식 16과 같이 근사화될 수 있다:
<수학식 16>
Figure 112014113316846-pct00038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표현들과 함께, smin는 하기 수학식 17과 같이 정의되는 최소 거리 성상도 포인트(minimum distance constellation point)가 될 수 있다:
<수학식 17>
Figure 112014113316846-pct00039
또한, B는 하기 수학식 18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수학식 18>
Figure 112014113316846-pct00040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오프라인에서 사전 연산될 수 있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사용하여 상기 수학식 18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1 혹은 수학식 14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이 상기 디코딩 우도(430)에 대해 수학식 7을 사용할 경우 상기 널 우도(432)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수학식 8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우도(430)를 나타내기 위해서, 로그 우도인 상기 널 우도(432)는 하기 수학식 19-1 및 수학식 19-2로 나타내질 수 있다:
<수학식 19-1>
Figure 112014113316846-pct00041
Figure 112014113316846-pct00042
<수학식 19-2>
Figure 112014113316846-pct00043
상기 Gi는 하기 수학식 20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20>
Figure 112014113316846-pct00044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또한 상기 Gi를 하기 수학식 21과 같이 근사화시킬 수 있다:
<수학식 21>
Figure 112014113316846-pct00045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Figure 112014113316846-pct00046
/
Figure 112014113316846-pct00047
와, s로 표현되는 모든 가능한 QPSK 성상도 포인트들 혹은 smin으로 표현되는 가장 가까운 QPSK 성상도 포인트간의 상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QPSK 성상도 포인트들을 사용하여 상관을 계산하는 사인 플리핑 동작들을 사용하여 상기 수학식 21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상기 수학식 19-1과 수학식 20을 사용하여 상기 널 우도(432)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슬라이싱, 혹은 사인 플리핑, 혹은 덧셈들,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수학식 19-2 및 수학식 21에서와 같이 상기 널 우도(432)를 근사화시켜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학식 21에서, smin
Figure 112014113316846-pct00048
의 슬라이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Figure 112014113316846-pct00049
는 저장될 수는 있지만 추가적인 연산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 상기 비터비 디코더의 입력이고, 그 곱
Figure 112014113316846-pct00050
는 사인 플리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14113316846-pct00051
Figure 112014113316846-pct00052
와smin간의 평균 상관의 실수 파트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9-2에 대해서, max{}는 간단한 비교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상기 수학식 16-1 및 수학식 16-2에서
Figure 112014113316846-pct00053
에 대한 제곱 동작을 제외한, 곱셈, 혹은 나눗셈, 혹은 변환, 혹은 도함수, 혹은 적분,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복잡한 동작들 없이도 상기 널 우도(432)를 근사화시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가 상기 유효성 체크를 만족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기반으로 상기 널 우도(432)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상기 제어 플로우가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로부터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로는 진행하고 상기 선택 모듈(404)로는 진행하지 않을 경우에만, 상기 널 우도(432)를 결정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상기 널 확률 모듈(442)은 또한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체크하고, 상기 컨텐트 에러(206)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가 상기 유효성 체크를 만족하였을 경우 상기 널 우도(432)를 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널 우도(432)의 계산은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대한 증가된 정확도 및 강인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널 우도(432)는 상기 디코딩 결과들이 에러 검사를 통과하지 않은 경우들을 식별하고 프로세싱하지 않음으로써 증가된 정확도 및 강인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널 우도(432)는 상기 거짓 경보(212)의 기존 인스턴스 뿐만 아니라 상기 평가 규칙(436)을 기반으로 하는 감소로 인한 상기 감소된 거짓 경보의 확률과 연관될 수 있다. 상기 널 우도(432)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가 적합하지는 않지만,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서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 및 프로세싱하는 것이 수락될 것이라고 결정될 상기 우도를 정량화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소 거짓 경보(212)의 확률은 하기 수학식 2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2>
Figure 112014113316846-pct00054
상기 수학식 22에 대해서,
Figure 112014113316846-pct00055
Figure 112014113316846-pct00056
가 상기 평가 모듈(414)에 의해 무시될 수 있는 감소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감소된 거짓 경보는
Figure 112014113316846-pct00057
가 상기 널 가설에 관련되는 블랭크 혹은 랜덤 QPSK 신호로부터 생성된다는 것을 가정하여 상기 수학식 10의 적분이 될 수 있다.
상기 널 우도(432)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대한 개선된 정확도를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널 우도(432)는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초과하는 디코딩 프로세스에 대한 추가적으로 측정 가능하고, 테스트 가능한 특징을 제공함으로써 개선된 정확도를 제공한다.
또한, 슬라이싱과, 사인 플리핑과, 상관 연산, 및 덧셈들로 계산된 상기 널 우도(432)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대한 개선된 효율성 및 강인함을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널 우도(43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더 복잡한 동작들을 가지는 상관 기반 대신에 간단한 계산들만을 필요로 하는 확률 기반을 가짐으로써 개선된 정확도 및 강인함을 제공한다.
상기 웨이트 계산 모듈(444)은 상기 대체 가설(426) 및 널 가설(428)의 조합을 평가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상기 웨이트 계산 모듈(444)은 결정 웨이트(decision weight)(434)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가설들을 평가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 웨이트(434)는 상기 대체 가설(426)과 널 가설(428)간의 상대적 관계를 나타내는 계수(factor)이다. 상기 결정 웨이트(434)는 상기 대체 가설(426)과 널 가설(428)간의 상대적 중요도, 혹은 우도, 혹은 비교, 혹은 그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웨이트 계산 모듈(444)은 상기 대체 가설(426)과 널 가설(428)간의 상대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디코딩 우도(430), 혹은 상기 널 우도(432), 혹은 그 조합에 상응하게 상기 결정 웨이트(434)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정 웨이트(434)는 상기 널 가설(428) 혹은 상기 널 우도(432)에 상응하는 w0, 혹은 상기 대체 가설(426) 혹은 상기 디코딩 우도에 상응하는 w1, 혹은 그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예제에 계속하여, 상기 결정 웨이트(434)가 결정될 수 있고, 따라서 w0는 상기 거짓 경보(212)를 발생시킬 수 있는 상기 제어 채널(114)을 통해 수신된 정보의 블록별 블라인드 디코딩 개수가 된다. 또한, w1는 상기 감소 미스(214)를 발생시킬 수 있는 상기 제어 채널(114)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의 블록별 블라인드 코딩의 개수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44개의 가능한 블라인드 디코딩 시도들에 상응하는 상기 파라미터 집합(420)의 44개의 인스턴스들 중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의 1개의 유효한 인스턴스가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경우, w0는 43이되고, w1은 1이 될 수 있다.
상기 결정 웨이트(434)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대해서 개선된 정확도 및 강인함을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결정 웨이트(434)는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를 평가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우도(430)와 상기 널 우도(432)를 동시에 프로세싱하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개선된 정확도를 제공한다. 상기 우도들에 대한 상기 결정 웨이트(434)를 사용하는 상기 가설들의 조인트 평가(joint assessment)를 통한 개선된 정확도는 드롭(drop)된 호들, 혹은 정지된 다운로드(download)들, 혹은 다운로드 속도들의 감소, 혹은 그 조합을 초래할 수 있는 잘못된 디코딩 프로세스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통신 시스템(100)의 강인함을 증가시킨다.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440)과, 상기 널 확률 모듈(442)과, 상기 웨이트 계산 모듈(444)을 포함하는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은 상기 제1 제어 유닛(312), 혹은 상기 제2 제어 유닛(334), 혹은 상기 제1 통신 유닛(316), 혹은 상기 제2 통신 유닛(336),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우도(430), 혹은 상기 널 우도(432), 혹은 상기 결정 웨이트(434), 혹은 그 조합을 계산하거나 혹은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은 상기 제1 저장 유닛(314), 혹은 상기 제2 저장 유닛(346), 혹은 상기 제1 통신 유닛(316), 혹은 상기 제2 통신 유닛(336), 혹은 그 조합에 상기 다양한 결과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에서 상기 다양한 결과들을 계산 혹은 생성한 후, 상기 제어 플로우는 상기 검출 모듈(402)와 상기 선택 모듈(404)간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디코딩 우도(430), 혹은 상기 널 우도(432), 혹은 상기 결정 웨이트(434), 혹은 상태 지시자,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로부터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은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의 성공 가능성을 결정한다.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은 상기 널 가설(428) 및 상기 대체 가설(426)과 연관되는 우도들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디코딩의 성공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성공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은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의 전체적인 평가이다.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의 정확도의 우도를 나타내는, 스코어 혹은 퍼센트와 같은 숫자가 될 수 있다.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은 상기 결정 웨이트(434), 혹은 상기 디코딩 우도(430), 혹은 상기 널 우도(432),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은 하기 수학식 23과 같이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23>
Figure 112014113316846-pct00058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수학식 7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Figure 112014113316846-pct00059
에 관련될 수 있다. 상기 널 우도(43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수학식 11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Figure 112014113316846-pct00060
에 관련될 수 있다. 상기 결정 웨이트(434)는 'ln w1/w0'가 될 수 있다.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은 상기 제1 제어 유닛(312), 혹은 상기 제2 제어 유닛(334), 혹은 상기 제1 통신 유닛(316), 혹은 상기 제2 통신 유닛(336),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상기 제1 저장 유닛(314), 혹은 상기 제2 저장 유닛(346), 혹은 상기 제1 통신 유닛(316), 혹은 상기 제2 통신 유닛(336), 혹은 그 조합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결정 웨이트(434)와, 상기 디코딩 우도(430)와, 상기 널 우도(432)를 사용하여 계산되는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은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에 대한 개선된 신뢰성을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은 상기 널 가설(428)과 상기 대체 가설(426) 둘 다의 평가들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의 조인트 평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선된 신뢰성을 제공한다.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계산한 후, 상기 제어 플로우는 상기 검출 모듈(402)와 상기 선택 모듈(404)간에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코딩 신뢰성(208), 혹은 상태 지시자,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으로부터 상기 평가 모듈(414)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전체적인 디코딩 프로세스를 평가한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을 평가함으로써 상기 전체적인 디코딩 프로세스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다양한 방식들로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를 평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을 적합하거나 혹은 정확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내부 인덱스(422)에 상응하게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 혹은 그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내부 인덱스(422)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어 플로우를 상기 선택 모듈(404)로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예제에 계속하여,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내부 인덱스(422)에 따라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의 새로운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세스들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디코딩 모듈(406)이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내부 인덱스(422)의 증가 및 루프 진행(looping)으로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제에 계속하여,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 혹은 그 조합의 다양한 인스턴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디코딩 신리성(208)의 가장 높은 값, 혹은 상기 임계값, 혹은 그 조합을 가지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를 평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평가 모듈(414)은 최대 사후 확률(maximum a posteriori probability: MAP) 결정 규칙, 혹은 베이즈(Bayes) 결정 이론,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MAP, 혹은 Bayes 결정, 혹은 그 조합을 구현하기 위한 평가 규칙(436)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가 규칙(436)은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계 조건이다.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에서 계산된 디코딩 신뢰성(208)을 사용할 경우, 상기 평가 규칙(436)은 하기 수학식 24가 될 수 있다:
<수학식 24>
Figure 112014113316846-pct00061
상기 수학식 24에서의 상기 Bayes 결정은 '
Figure 112014113316846-pct00062
'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상기 수학식 9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PMS에 관련될 수 있다. 상기 널 우도(43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상기 수학식 22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PFA 에 관련될 수 있다. 상기 결정 웨이트(434)는 w0와 w1가 될 수 있다.
상기 예제에 연속하여,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수학식 24의 우변이 0을 초과할 경우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를 만족스럽다고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1의 좌변은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에 의해 계산되는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에 상응할 수 있다.
상기 예제에 연속하여,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결정 웨이트(434)와, 상기 널 우도(432)와, 상기 디코딩 우도(430)에 대한 로그 우도 값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8을 기반으로, 상기 수학식 24의 첫 번째 항은 상기 디코딩 우도(430)가 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4의 첫 번째 항은 하기 수학식 2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5>
Figure 112014113316846-pct00063
상기 수학식 25에 대해서, 상기 가중(summation) 항은 상기 수학식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디코딩 우도(430)가 될 수 있다.
상기 예제에 계속하여, 상기 수학식 10 내지 수학식 22를 기반으로, 상기 수학식 21의 두 번째 항은 상기 널 우도(432)가 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4의 두 번째 항은 하기 수학식 2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6>
Figure 112014113316846-pct00064
상기 수학식 26에 대해서, 상기 summation 항은 상기 수학식 19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상기 널 우도(432)가 될 수 있다.
상기 예제에 계속하여, 상기 수학식 24의 두 번째 항은 결정 웨이트들(434)의 로그 비율(log-ratio)이 될 수 있고, 여기서 w1는 상기 대체 가설(426) 혹은 상기 디코딩 우도(430)에 상응하는 상기 결정 웨이트(434)가 될 수 있고, w0는 상기 널 가설(428) 혹은 상기 널 우도(432)에 상응하는 상기 결정 웨이트(434)가 될 수 있다.
상기 예제에 계속하여,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디코딩 우도(430), 혹은 상기 널 우도(432), 혹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 혹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내부 인덱스(422),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또한 상기 내부 인덱스(422)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어 플로우를 상기 선택 모듈(404)로 전달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의 다른 인스턴스를 기반으로 상기 도착 통신(118)을 디코딩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상기 예제에 계속하여,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에 의한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의 가장 큰 인스턴스를 가지는,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수학식 21의 좌변의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상기 내부 인덱스(422)에 상응하게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예제에 계속하여, 상기 평가 모듈(414)은 또한, 상기 현재의 인스턴스에 대한 상기 수학식 21의 좌변이 상기 이전의 인스턴스보다 클 경우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예제 프로세스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를 평가하고,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디코딩 우도(430)와 연관되는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의 일 부분이 상기 널 우도(432)와 연관되는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의 다른 부분 보다 클 경우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118)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평가 규칙(436)에 대한 좌변 비교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세스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그 조합의 선택된 인스턴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의 상기 선택된 인스턴스 내에서 상기 제어 정보(112)를 유효화시키고 결정함으로써 상기 도착 통신(118)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제어 정보(112)를 가지는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의 현재의 인스턴스를 평가 및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어 정보(112)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도 1의 상기 데이터 채널(116)을 통해 수신되는 부분과 같은, 상기 도착 통신(118)의 나머지 부분을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도착 통신(118)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 혹은 상기 제어 정보(112), 혹은 그 조합의 선택된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118)의 나머지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또한 상기 평가 모듈(414)의 의도된 목적에 따라 상기 도착 통신(118)로부터의 디코딩된 결과들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도착 통신(118)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도착 통신(118)으로부터 상기 실제 메시지(110)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상기 실제 메시지(110)를 오디오적으로 재생성하거나, 혹은 그 조합과 같이 상기 통신을 완료시킴으로써 상기 도착 통신(118)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평가 모듈(414)은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혹은 상기 도착 통신(118)으로부터 상기 실제 메시지(110)를 저장함으로써 도 1의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와의 통신을 완료한다.
전체적인 예로서,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 동안 상기 도착 통신(118)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과 프로세싱 후,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 혹은 상기 평가 규칙(436),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를 유지하거나 폐기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컨텐트 에러(206)가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 및 상기 평가 규칙(436)에 따라 결정되지 않을 경우라도 상기 디코딩 결과(424)를 폐기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상기 제1 통신 유닛(316), 혹은 상기 제1 제어 유닛(312), 혹은 상기 제2 통신 유닛(336), 혹은 상기 제2 제어 유닛(334),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모듈(414)은 또한 상기 실제 메시지(110)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오디오적으로 재생성함으로써와 같이 도 3의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318), 혹은 도 3의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338), 혹은 그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결정 웨이트(434)를 포함하는 상기 평가 규칙(436)과, 상기 널 가설(428)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널 우도(432)와, 상기 대체 가설(426)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 감소 미스(214)의 발생들을 심각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상기 감소 거짓 경보(212)의 감소된 발생들을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우도들을 포함하는 상기 평가 규칙(436)은 상기 널 가설(428) 및 상기 대체 가설(426)이 MAP 및 베이즈 최적화 프로세스들을 사용하여 테스트 및 최적화되는 것을 허여함으로써 상기 감소를 제공한다.
또한, 통신에 대한 상기 대체 가설(426) 및 상기 널 가설(428) 둘 다의 결정 및 사용은 상기 통신 시스템(00)에 대한 증가된 정확도 및 강인함을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두 가설들의 결정 및 사용은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에 대한 증가된 레벨의 평가 및 유효화를 제공함으로써 증가된 정확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코딩 우도(430)과, 상기 널 우도(432)와, 상기 결정 웨이트(434)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평가 규칙(436) 및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사용하는 감소는 증가된 신호 프로세싱 정확도를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감소 프로세스는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에 대한 프로세스들의 기반과는 별도인 통계적 기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평가 규칙(436) 및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사용하는 상기 감소 프로세스는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거짓 경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일 예로 모듈 기능들 혹은 순서로 설명된 바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모듈들을 다르게 분할하거나 혹은 상기 모듈들을 다르게 순서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선택 모듈(404) 및 상기 디코딩 모듈(406)의 기능들은 조합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확률 연산 모듈(410)과,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412)과, 상기 평가 모듈(414)의 기능들은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선택 모듈(404)은 상기 검출 모듈(402) 전에 존재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상기 모듈들은 도 3의 상기 제1 제어 유닛(316) 혹은 도 3의 제2 제어 유닛(338)에서 소프트웨어 구현 혹은 하드웨어 액셀레이터(accelerator)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들은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 혹은 상기 기지국(106) 내부에서, 상기 제1 제어 유닛(316) 혹은 상기 제2 제어 유닛(338)의 외부에서 각각 소프트웨어 구현 혹은 하드웨어 액셀레이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으로부터의 물리적 변환은 상기 실제 메시지(110)인 네비게이션 안내를 사용하여 실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실제 메시지(110)를 정확하게 통신하기 위해 상기 도착 통신(118)에 대한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204) 혹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424)와 같은 상기 물질 세계(physical world)의 이동을 초래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의 사용자는 정확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이동 디바이스(102)가 이동할 경우, 상기 채널(108)로의 변경들을 포함하는, 상기 물질 세계에서의 해당 변경들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에 대한 변경들을 초래한다.
이제부터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도 1의 통신 시스템(100)의 방법(500) 및 방법(550)의 플로우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500)은: 블록(502)에서 도착 통신에 관한 대체 가설을 규정하는 디코딩 우도를 계산하고; 블록(504)에서 상기 도착 통신에 관한 널 가설을 규정하는 널 우도를 계산하고; 블록(506)에서 상기 디코딩 우도, 혹은 상기 널 우도, 혹은 그 조합에 상응하게 결정 웨이트를 생성하고; 블록(508)에서 상기 결정 웨이트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를 사용하여 디코딩 신뢰성을 계산하고; 블록(510)에서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디코딩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550)은: 블록(552)에서 제어 유닛을 사용하여, 디코딩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고; 블록(554)에서 상기 도착 통신 및 디코딩 파라미터를 평가하기 위해 대체 가설을 규정하는 디코딩 우도를 계산하고; 블록(556)에서 상기 도착 통신 및 디코딩 파라미터를 평가하기 위해 널 가설을 규정하는 널 우도를 계산하고; 블록(558)에서 상기 디코딩 우도, 혹은 상기 널 우도, 혹은 그 조합에 상응하게 결정 웨이트를 생성하고; 블록(560)에서 상기 결정 웨이트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를 사용하여 디코딩 신뢰성을 계산하고, 여기서 상기 디코딩 신뢰성은 디코딩된 결과에 상응하고; 블록(562)에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된 결과로부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의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기반으로 하는 도 4의 상기 디코딩 우도(430)의 계산은 상기 통신 시스템(100)의 증가된 정확도 및 강인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 디코딩 결과들이 에러 체크를 통과하지 않는 경우들을 식별하고 프로세싱하지 않음으로써 증가된 정확도 및 강인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 대한 개선된 정확도를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디코딩 우도(430)는 상기 컨텐트 에러(206)를 초과하는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에 대한 정확도의 추가적인 측정을 제공함으로써 개선된 정확도를 제공한다.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에 대한 추가된 레벨의 독립적인 평가는 상기 프로세싱된 신호들에 대한 전체적인 정확도를 개선시킨다.
또한, 도 4의 상기 결정 웨이트(434)와, 도 4의 상기 디코딩 우도(430) 및 도 4의 상기 널 우도(432)를 사용하여 계산되는 도 2의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은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에 대한 개선된 신뢰성을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된 바 있다.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은 도 4의 상기 널 가설(428) 및 도 4의 상기 가설(426) 둘 다의 평가들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의 조인트 평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증가된 신뢰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감소 프로세스는 도 4의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에 대한 프로세스들의 기반과는 별개인, 통계적 기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평가 규칙(436) 및 상기 디코딩 신뢰성(208)을 사용하는 상기 감소 절차는 상기 에러 체크 모듈(408)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거짓 경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결과적인 방법과, 프로세스와, 장치와, 디바이스와, 제품 및/혹은 시스템은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고, 복잡하지 않고, 높은 융통성을 가지며, 정확하고, 민감하고, 효율적이며, 준비되어 있고,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생산, 적용, 사용을 위해 공지의 컴포넌트들을 적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중요한 측면은 가격 감소, 시스템 간략화, 성능 개선의 역사적 트렌드를 중요하게 지원하고 서비스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런 중요한 측면 및 다른 중요한 측면은 또한 결과적으로 상기 기술의 스테이트를 적어도 다음 레벨로 증진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특정 최적 모드로 설명되었지만, 많은 대체들, 수정들, 및 변경들이 상기한 바와 같은 설명의 관점에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기와 같은 모든 대체들, 수정들, 및 변경들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될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혹은 첨부 도면에서 도시되는 모든 사항들은 도시를 위한 것이고,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Claims (20)

  1.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유닛을 사용하여 도착 통신(arriving communication)에 관한 대체 가설(alternative hypothesis)을 규정하는 디코딩 우도(decoding likelihood)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확률 모듈과;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도착 통신에 관한 널 가설(null hypothesis)을 규정하는 널 우도(null likelihood)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널 확률 모듈과;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디코딩 우도, 혹은 상기 널 우도, 혹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의 조합에 상응하게 결정 웨이트(decision weight)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웨이트 계산 모듈과;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결정 웨이트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를 사용하여 디코딩 신뢰성(decoding reliability)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신뢰성 계산 모듈과;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에 연결되며,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디코딩 파라미터(decoding parameter)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딩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코딩 신뢰성은 디코딩된 결과에 상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디코딩 우도와 연관되는 상기 디코딩 신뢰성의 일부가 상기 널 우도와 연관되는 상기 디코딩 신뢰성의 다른 일부보다 클 경우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을 프로세싱 하도록 구성된 평가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는 것으로부터 제어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평가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은 슬라이싱(slicing) 및 덧셈(addition)을 사용하는 근사화들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우도를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널 확률 모듈은 슬라이싱 및 덧셈을 사용하는 근사화들을 사용하여 상기 널 우도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은 감소 거짓 경보(pruning-false-alarm), 혹은 감소 미스(pruning-miss), 혹은 상기 감소 거짓 경보와 상기 감소 미스의 조합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우도를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널 확률 모듈은 감소 거짓 경보(pruning-false-alarm), 혹은 감소 미스(pruning-miss), 혹은 상기 감소 거짓 경보와 상기 감소 미스의 조합을 기반으로 상기 널 우도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은 상기 도착 통신과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를 평가하기 위해 상기 대체 가설을 규정하는 상기 디코딩 우도를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널 확률 모듈은 상기 도착 통신과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를 평가하기 위해 상기 널 가설을 규정하는 상기 널 우도를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신뢰성 계산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된 결과로부터 제어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모듈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의 상기 디코딩 우도 일부가 상기 디코딩 신뢰성의 널 우도 일부보다 작거나 혹은 동일할 경우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의 다른 인스턴스(instance)를 기반으로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는 것을 기반으로 컨텐트 에러(content error)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에러 체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은 상기 컨텐트 에러를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우도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확률 모듈은 곱셈들 혹은 어떤 도함수(derivative) 동작들도 없이 상기 디코딩 우도를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널 확률 모듈은 곱셈들 혹은 어떤 도함수 동작들도 없이 상기 널 우도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모듈은 상기 컨텐트 에러와 상관없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된 결과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11.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어 유닛을 사용하여 도착 통신(arriving communication)에 관한 대체 가설(alternative hypothesis)을 규정하는 디코딩 우도(decoding likelihood)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도착 통신에 관한 널 가설(null hypothesis)을 규정하는 널 우도(null likelihood)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디코딩 우도, 혹은 상기 널 우도, 혹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의 조합에 상응하게 결정 웨이트(decision weight)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 웨이트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를 사용하여 디코딩 신뢰성(decoding reliability)을 계산하는 과정과;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디코딩 파라미터(decoding parameter)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는 과정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연관되는 상기 디코딩 신뢰성의 일부가 상기 널 우도와 연관되는 상기 디코딩 신뢰성의 다른 일부보다 클 경우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을 프로세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는 과정은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는 것으로부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를 계산하는 과정은 슬라이싱(slicing) 및 덧셈(addition)을 사용하는 근사화들을 사용하여 상기 디코딩 우도 및 널 우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우도를 계산하는 과정은 감소 거짓 경보(pruning-false-alarm), 혹은 감소 미스(pruning-miss), 혹은 상기 감소 거짓 경보와 상기 감소 미스의 조합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우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널 우도를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감소 거짓 경보, 혹은 감소 미스, 혹은 상기 감소 거짓 경보와 상기 감소 미스의 조합을 기반으로 상기 널 우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16.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디코딩 파라미터(decoding parameter)를 사용하여, 제어 유닛을 사용하여 도착 통신(arriving communication)을 디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도착 통신과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를 평가하기 위해 대체 가설(alternative hypothesis)을 규정하는 디코딩 우도(decoding likelihood)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도착 통신과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를 평가하기 위해 널 가설(null hypothesis)을 규정하는 널 우도(null likelihood)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디코딩 우도, 혹은 상기 널 우도, 혹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의 조합에 상응하게 결정 웨이트(decision weight)를 생성하는 과정과;
    디코딩된 결과에 상응하게 상기 결정 웨이트와, 상기 디코딩 우도와, 상기 널 우도를 사용하여 디코딩 신뢰성(decoding reliability)을 계산하는 과정과;
    디바이스에서 디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디코딩된 결과로부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디코딩 신뢰성은 상기 디코딩된 결과에 상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디코딩 신뢰성의 디코딩 우도 일부가 상기 디코딩 신뢰성의 널 우도 일부보다 작거나 혹은 동일할 경우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의 다른 인스턴스(instance)를 기반으로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도착 통신을 디코딩하는 것을 기반으로 컨텐트 에러(content error)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코딩 우도를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컨텐트 에러를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우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우도 및 상기 널 우도를 계산하는 과정은 곱셈들 혹은 어떤 도함수(derivative) 동작들도 없이 상기 디코딩 우도 및 널 우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우도를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컨텐트 에러와 상관없이 상기 디코딩 신뢰성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된 결과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47032935A 2012-04-24 2013-04-24 블라인드 디코딩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142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37773P 2012-04-24 2012-04-24
US61/637,773 2012-04-24
US13/859,177 2013-04-09
US13/859,177 US8898552B2 (en) 2012-04-24 2013-04-09 Communication system with blind decod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PCT/KR2013/003529 WO2013162289A1 (en) 2012-04-24 2013-04-24 Communication system with blind decod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74A KR20150003874A (ko) 2015-01-09
KR102142513B1 true KR102142513B1 (ko) 2020-08-10

Family

ID=4938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935A KR102142513B1 (ko) 2012-04-24 2013-04-24 블라인드 디코딩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98552B2 (ko)
EP (1) EP2842240B1 (ko)
KR (1) KR102142513B1 (ko)
WO (1) WO2013162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8074B2 (en) * 2013-03-12 2018-05-22 Cbs Interactive Inc. Automated experiment scheduling
US9405616B2 (en) 2013-11-27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Reliability metric for decoding hypothesis
KR20180060010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 디코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GB201712840D0 (en) * 2017-08-10 2017-09-27 Univ Surre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utually interfering information streams
US10123322B1 (en) * 2017-09-18 2018-11-06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beam switch commands through control channel signaling
KR102075926B1 (ko) 2019-09-09 2020-02-11 추한용 자석 잠금장치가 구비된 다이어리
KR102213939B1 (ko) 2020-09-16 2021-02-08 추한용 자석 잠금장치 일체형 다이어리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748B1 (ko) 1999-09-01 2007-05-0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에서 제로율 프레임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1014738A2 (en) 2009-07-30 2011-0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ility-aided pruning of blind decoding resul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3930A (ja) * 1984-02-20 1985-09-07 Fujitsu Ltd パイプライン処理ビタビ復号器
US6108372A (en) 1996-10-30 2000-08-22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ariable rate data using hypothesis testing to determine data rate
US6654926B1 (en) * 2000-10-11 2003-11-25 Itran Communications Ltd. Soft decision maximum likelihood encoder and decoder
US8489128B2 (en) 2005-10-31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transmission on a shared data channel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294231B2 (en) * 2007-03-17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acknowledgement process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87745B2 (en) 2007-12-13 2014-04-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blind decoding
US8249201B2 (en) * 2008-10-13 2012-08-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MIMO preamble detection
US8446868B2 (en) * 2009-05-07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lind decoding resul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85609B1 (ko) * 2010-05-03 2017-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순환잉여검사 부호화를 위한 기술
KR101349161B1 (ko) 2012-02-07 2014-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금속-탄소나노튜브 코팅 유리섬유와 그라파이트를 함유한 고분자 나노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748B1 (ko) 1999-09-01 2007-05-0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에서 제로율 프레임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1014738A2 (en) 2009-07-30 2011-0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ility-aided pruning of blind decoding resul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2240A4 (en) 2015-12-02
US20130283134A1 (en) 2013-10-24
KR20150003874A (ko) 2015-01-09
EP2842240B1 (en) 2019-04-03
EP2842240A1 (en) 2015-03-04
US8898552B2 (en) 2014-11-25
WO2013162289A1 (en)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513B1 (ko) 블라인드 디코딩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EP2936721B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compound cod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0153811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communication-layer maximiz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2893738B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whitening feedback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103716B1 (ko) 반복 검출기 및 디코더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8942323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signal-to-noise ratio adjustment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071983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repeat-response process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203659B2 (en) Computing system with interference classific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2907254B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flexible repeat-respons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277413B1 (ko) 채널 품질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컴퓨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9215017B2 (en) Computing system with decoding sequenc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806827B2 (en) Computing system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117981B1 (ko) 수신기 최적화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25826B1 (ko) 간섭 완화 메커니즘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48181B1 (ko) 피드백 동작 방식의 통신 시스템과 그에 따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